KR101220395B1 -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395B1
KR101220395B1 KR1020110027683A KR20110027683A KR101220395B1 KR 101220395 B1 KR101220395 B1 KR 101220395B1 KR 1020110027683 A KR1020110027683 A KR 1020110027683A KR 20110027683 A KR20110027683 A KR 20110027683A KR 101220395 B1 KR101220395 B1 KR 101220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support
fixed
phone holder
fixed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9233A (ko
Inventor
김기진
Original Assignee
(주) 이노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노밴 filed Critical (주) 이노밴
Priority to KR1020110027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395B1/ko
Publication of KR20120109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를 와이어로 형성하여 구조를 단순하게 하며, 별도의 조작 없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거치가 가능한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고정패킹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폰 거치대{support for cellphone}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를 와이어로 형성하여 구조를 단순하게 하며, 별도의 조작 없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거치가 가능한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MP3, 동영상 플레이어 등과 같은 기기는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않되는 필수적인 생활기기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 중 휴대폰의 경우에는 어린아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상대방과의 통화가 주 목적이지만, 스마트폰이 개발됨에 따라 통화 기능외에 카메라로 사용하거나, MP3플레이어나 동영상 플레이어로 사용하거나, DMB를 시청 할 수 있게 되었는데, 동영상이나 DMB를 시청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휴대폰을 눈높이에 맞게 휴대폰을 든 상태로 시청하여야 하므로 장시간 시청하게 되면, 팔, 손목, 손에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개실용신안 제20-2010-5566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일측 양단에 각각 힌지결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결합홈(11)에 상단측으로 지지면(12)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 양단에 힌지결합되는 힌지돌기(21)가 하부 양측면에 각각 돌설된 힌지부(22)가 하단에 형성되고 전면에 제1체결홈(23)과 후면에 제2결합홈(미도시)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힌지결합홈(11)에 결합되는 힌지돌기(21)를 축으로 회전되는 거치대(20)와, 상기 거치대(20)의 전면에 형성된 제1결합홈(23)에 결합되는 제2회전돌기(31)가 후면에 형성된 지지부(32)로 구성되는 휴대폰 거치부(30)와, 상기 거치대(20)의 후면에 형성된 제2결합홈(미도시)에 결합되는 제2회전돌기(41)가 후면에 형성된 거울지지부(42)와 상기 거울지지부(42)에 후면이 부착되어 고정되는 거울(4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공개실용신안 제20-2010-5566호에 기재된 기술은 휴대폰을 거치하여 사용자가 직접 휴대폰을 들지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동영상이나 DMB를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와이드화면으로 시청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작이 필요하며, 견고한 고정이 되지 않아 외부의 힘에 의해 휴대폰이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를 사용하여 몸체를 형성함으로써, 그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에 고정패킹을 구비함으로써 휴대폰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외부의 힘에 의해 임으로 휴대폰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휴대폰의 손상을 방지하는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쌍의 상부 지지부와 한쌍의 하부 지지부의 이격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별도의 조작없이 휴대폰을 세로방향이나 가로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여 화면에 따라 적절하게 휴대폰의 고정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고정패킹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휴대폰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알맞은 각도를 설정하여 편안한 상태로 시청할 수 있는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고정패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패킹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에 삽입 설치되되, 상기 고정패킹의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패킹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평행을 이루는 상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지지부를 연결하는 수평 연결부와,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부 지지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하부 지지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 연장형성되는 받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의 전단에는 지지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에는 고정패킹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평 연결부에는 손잡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를 사용하여 몸체를 형성함으로써, 그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에 고정패킹을 구비함으로써 휴대폰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외부의 힘에 의해 임으로 휴대폰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휴대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쌍의 상부 지지부와 한쌍의 하부 지지부의 이격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별도의 조작없이 휴대폰을 세로방향이나 가로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여 화면에 따라 적절하게 휴대폰의 고정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고정패킹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휴대폰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알맞은 각도를 설정하여 편안한 상태로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휴대폰 거치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에 휴대폰을 가로 및 세로로 고정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에 휴대폰을 고정하여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에 휴대폰을 가로 및 세로로 고정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에 휴대폰을 고정하여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는 고정패킹(2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는 상부 프레임(110)과 상기 상부 프레임(110)의 하부에 결합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상부 프레임(110)은 한쌍이 서로 평행을 이루는 상부 지지부(112)와 상기 상부 지지부(112)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 연결부(114)와 상기 수평 연결부(114)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120)을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11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120)은 상기 상부 지지부(112)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하부 지지부(122)와 상기 하부 지지부(122)에 연장 형성되는 받침부(124)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상부 지지부(112)와 하부 지지부(122) 사이에 휴대폰(300)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부(112)와 하부 지지부(122)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단은 수직 연결부(116)에 의해 연결되어 탄성력을 가지게 되는데, 상기 상부 지지부(112)와 하부 지지부(122)의 이격거리를 휴대폰(300)의 폭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탄성력에 의하여 휴대폰(300)을 가압하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프레임(110)의 상부 지지부(112)와 하부 프레임(120)의 하부 지지부(122)에는 고정패킹(200)이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패킹(200)은 길이 방향으로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고정홈(220)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고정패킹(200)은 관통공(210)에 의해 상기 상부 지지부(110)와 하부 지지부(120)에 삽입 설치되게 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훔(220)에 의해 휴대폰(300)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지지부(122)에 삽입 설치되는 고정패킹(200)은 절개부(미도시)를 형성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연결부(114)의 중심에는 고리 형상의 손잡이부(115)가 형성되어 미관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를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부(122)의 하단에는 받침부(124)가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받침부(124)는 "ㄴ"자 형상으로 상기 하부 지지부(122)의 단전부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에 외력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상기 받침부(124)의 탄성력에 의하여 외력이 상쇄되어 휴대폰(3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124)의 절곡된 부분에는 지지대(126)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124)의 이격 거리를 고정하게 되어,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하부 지지부(122)의 이격 거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부 지지부(122)에 놓여지는 휴대폰(300)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26)의 양측 단부는 상기 받침부(124)의 측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휴대폰 거치대의 측면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측면으로 작용하는 힘을 안정적으로 버티게 되어, 휴대폰 거치대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300)의 하단은 상기 하부 지지부(122)에 설치된 고정패킹(200)의 고정홈(220)에 상측으로 삽입되게 하고, 휴대폰(300)의 양측면은 상부 지지부(112)에 설치된 고정패킹(200)의 고정홈(220)에 측부로 삽입되게 하여 휴대폰(300)의 하단과 양측을 고정함으로써 휴대폰(300)을 세로 방향으로 고정하게 된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300)의 하단은 상기 하부 지지부(122)에 설치된 고정패킹(200)의 고정홈(220)에 상측으로 삽입되게 하고, 휴대폰(300)의 상단은 상부 지지부(112)에 설치된 고정패킹(200)의 고정홈(220)에 하측으로 삽입되게 하여, 휴대폰(300)의 하단과 상단을 고정하게 하여 휴대폰(300)을 가로 방향으로 고정하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휴대폰(300)으로 DMB나 동영상등을 와이드 화면으로 시청할 경우에는 휴대폰(300)을 가로로 고정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되고, MP3와 같은 화면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에는 세로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휴대폰(300)을 눈 높이에 맞게 직접 들지 않고도 편안한 상태로 휴대폰(30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휴대폰(3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에 고정하여 보관함으로써 책상등을 보다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고, 휴대폰 매장과 같은 곳에서는 휴대폰(300)을 가로 또는 세로로 고정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형태로 전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패킹(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지지부(112)와 하부 지지부(122) 상에서 전, 후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상부 지지부(112) 또는 하부 지지부(122)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된 고정패킹(200)을 전, 후로 이동시켜, 휴대폰(3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위치와 휴대폰(300)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안한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보다 장시간 DMB나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하부 프레임(120)에 형성된 받침부(124)에는 고정패킹(200)이 설치되게 된다.
그래서, 휴대폰(300)을 고정할 경우, 휴대폰(300)의 하단이 상기 받침부(124)에 설치된 고정패킹(200)의 고정홈(220)에 상측부로 삽입되고, 휴대폰(300)의 중심부 양측은 하부 지지부(122)에 설치된 고정패킹(200)의 고정홈(200)에 측부로 삽입되며, 휴대폰(300)의 상단 양측은 상부 지지부(112)에 설치된 고정패킹(200)의 측부로 삽입되어, 휴대폰(300)의 하단, 중심부 양측, 상부 양측을 고정하게 되어 보다 견고하게 휴대폰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부(112)을 연결하는 수평 연결부(114')의 양단은 하부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부 지지부(112)가 휴대폰(300)의 상부 양측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를 와이어로 형성하여 구조를 단순하게 하며, 별도의 조작 없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거치가 가능한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100,100' : 몸체 110 : 상부 프레임
112 : 상부 지지부 114, 114' : 수평 연결부
115 : 손잡이부 116 : 수직 연결부
120 : 하부 프레임 122 : 하부 지지부
124 : 받침부 126 : 지지대
200 : 고정패킹 210 : 관통공
220 : 고정홈

Claims (9)

  1.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고정패킹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패킹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에 삽입 설치되되, 상기 고정패킹의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패킹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평행을 이루는 상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지지부를 연결하는 수평 연결부와,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부 지지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하부 지지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 연장형성되는 받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전단에는 지지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고정패킹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연결부에는 손잡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KR1020110027683A 2011-03-28 2011-03-28 휴대폰 거치대 KR101220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683A KR101220395B1 (ko) 2011-03-28 2011-03-28 휴대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683A KR101220395B1 (ko) 2011-03-28 2011-03-28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233A KR20120109233A (ko) 2012-10-08
KR101220395B1 true KR101220395B1 (ko) 2013-01-24

Family

ID=4728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683A KR101220395B1 (ko) 2011-03-28 2011-03-28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3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9784A (en) 1988-12-22 1991-07-09 Michael Blahout Display stand
KR200210300Y1 (ko) 2000-08-07 2001-01-15 기한전자주식회사 휴대폰용 거치대
JP2001309009A (ja) * 2000-04-22 2001-11-02 Toto Kagaku Kogyo Kk 携帯電話用マルチ器具
US20080315051A1 (en) * 2007-06-20 2008-12-25 Barrameda Jr David Cutangco Adaptable mobile phone ra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9784A (en) 1988-12-22 1991-07-09 Michael Blahout Display stand
JP2001309009A (ja) * 2000-04-22 2001-11-02 Toto Kagaku Kogyo Kk 携帯電話用マルチ器具
KR200210300Y1 (ko) 2000-08-07 2001-01-15 기한전자주식회사 휴대폰용 거치대
US20080315051A1 (en) * 2007-06-20 2008-12-25 Barrameda Jr David Cutangco Adaptable mobile phone r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233A (ko) 201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N202635909U (zh) 一种带摄像头窗口的手机保护套
JP3179614U (ja) 携帯端末機用カバー
KR101220395B1 (ko) 휴대폰 거치대
KR20130007167U (ko) 휴대폰용 접이식 받침구
CN205942102U (zh) Vr眼镜
KR200470994Y1 (ko)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CN205374917U (zh) 一种带有外放功能的蓝牙眼镜
CN212992380U (zh) 一种带有夹子的隐形支架手机壳
CN105744030A (zh) 隐形手机支架
CN205040795U (zh) 具有u盘手机座功能的钥匙扣
CN201094110Y (zh) 带易于更换镜片的眼镜
CN102006344A (zh) 一种滑轨及具有该滑轨的手机
CN203632711U (zh) 一种带有支架的手机保护壳
CN104917226A (zh) 隐藏式手机支架移动电源
CN202309802U (zh) 一种大屏手机抗摔抗压的保护装置
CN205945869U (zh) 一种护眼手机支架
CN208442540U (zh) 便携式双折叠桌面支架
CN206807515U (zh) 带有卡接式支架的手机保护套
CN204731506U (zh) 一种自拍蓝牙眼镜
CN216313169U (zh) 一种手机用组合式手机壳
CN211600145U (zh) 一种公共卫生间手机物品临时放置架
JP3189041U (ja) 道具付きの携帯電話ケース
KR101235924B1 (ko) 태블릿 기기용 다기능 스탠드
CN207995171U (zh) 一种便于调节的手机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