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171B1 -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셋톱박스 장치 - Google Patents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셋톱박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171B1
KR101220171B1 KR1020110029787A KR20110029787A KR101220171B1 KR 101220171 B1 KR101220171 B1 KR 101220171B1 KR 1020110029787 A KR1020110029787 A KR 1020110029787A KR 20110029787 A KR20110029787 A KR 20110029787A KR 101220171 B1 KR101220171 B1 KR 101220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ernet network
top box
room
indoor
broadcast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1361A (ko
Inventor
김철민
김기남
권재현
Original Assignee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9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171B1/ko
Priority to PCT/KR2012/000819 priority patent/WO2012134049A2/ko
Publication of KR2012011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셋톱박스에서 수신한 방송스트림 또는 각종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복수 개의 룸에서 독립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N 스크린에 대응하도록 해주는 멀티룸 시스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집합건물에 통상적으로 미리 설치되어 제공되는 이더넷을 통해 메인 셋톱박스와 각각의 룸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이를 통해 메인 셋톱박스와 개별 룸에서 독립적으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해주되, POE를 활용하여 각각의 룸에서 표시 장치의 설치를 편리하게 해주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합건물에 현재 통상적으로 미리 설치되어 제공되는 이더넷을 멀티룸 시스템의 기반 네트워크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개별 룸에서 이더넷 포트에 표시 장치를 간단히 연결하기만 하면 멀티룸 서비스가 가능해지게 되어 멀티룸 시스템의 설치가 매우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셋톱박스 장치{Home built-in Ethernet-based multi-room system, and base set-top boxe device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메인 셋톱박스에서 수신한 방송스트림이나 각종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복수 개의 룸에서 독립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N 스크린에 대응하도록 해주는 멀티룸 시스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댁 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이더넷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메인 셋톱박스와 각각의 룸을 연결하여 이더넷 네트워크를 구성한 후, 메인 셋톱박스에서 방송스트림이나 각종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입력하여 각각의 룸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제공하며, 각각의 룸에서 설치는 표시 장치가 댁 내의 이더넷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POE(Power On Ethernet)을 통해 동작 전원을 제공받는 동시에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부터 방송스트림 또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여 각각의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을 개시한다.
근래 들어 디지털 영상 압축 및 디지털 변/복조 등과 같은 디지털 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TV) 방송에 대한 표준화 및 상용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는 셋톱박스(Set-top Box)와 같은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기 내에 구비된 디코더를 이용하여, 원래의 A/V(Audio/Video) 데이터로 복원한 후 텔레비전과 같은 표시 장치로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안방, 거실, 공부방 등과 같은 여러 장소에 한 대씩의 TV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여러 대의 TV를 한 대의 셋톱박스에 접속시킬 수 있다면 각각의 TV를 통해 위성방송, 케이블방송, 디지털 지상파방송 등을 독립적으로 시청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한 대의 셋톱박스를 여러 대의 TV에 접속시키는 방식은 셋톱박스에서 각 방까지의 무손실 신호전송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댁내 선로공사 등을 통해 추가적인 선로시공이 필수적이므로 설치비용의 증대 및 설치과정의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종래에 사용되었던 한 대의 셋톱박스를 여러 대의 TV에 접속시키는 방식에 의하면, 셋톱박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다른 장소에서 셋톱박스를 원격제어하고자 할 경우 고가의 RF(UHF) 리모컨 송수신기를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해야되기 때문에, 설치관련 비용의 중복발생과 함께 중복설치의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들어 'N 스크린(N Screen)'에 대한 논의가 모바일 정보통신 분야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N 스크린이란 일반적으로는 공통된 운영체제를 탑재한 여러 단말장치에서 공통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영화, 음악, 게임을 스마트폰 앱스토어에서 구입하여 지하철이나 버스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즐기다가 집에 들어온 이후에는 TV나 PC로 이어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N 스크린을 셋톱박스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면 댁내에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셋톱박스에서 수신한 방송스트림 또는 각종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복수 개의 룸에서 독립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N 스크린에 대응하도록 해주는 멀티룸 시스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집합건물에 통상적으로 미리 설치되어 제공되는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를 통해 메인 셋톱박스와 각각의 룸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이를 통해 메인 셋톱박스와 개별 룸에서 독립적으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해주되, POE(Power On Ethernet)을 활용하여 각각의 룸에서 표시 장치의 설치를 편리하게 해주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은 메인 셋톱박스(100)와 댁 내의 하나 이상의 룸(room)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표시장치(210, 220, 230, 240)를 댁 내의 미리 설치된 이더넷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디지털 방식의 방송신호를 제공받아, 디지털 방송신호로부터 디지털 방송스트림을 추출하여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입력하는 메인 셋톱박스(100); 댁 내의 룸 별로 설치되고, 파워온이더넷(POE) 모듈(211)을 구비하여 룸에 설치된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이로부터 동작 전원을 획득하여 동작하고, 접속된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부터 디지털 방송스트림을 제공받아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대응하여 디지털 방송스트림으로부터 방송 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표시장치(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에서, 메인 셋톱박스(100)는 스토리지(101), 컨텐츠 서버(102), 어플리케이션 실행(103)으로부터 생성된 화면으로부터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생성하여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입력하여 하나 이상의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N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에서, 메인 셋톱박스(100)는 하나 이상의 표시장치(210, 220, 230, 240)에 대해 POE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소모량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대응하여 각 방 별로 전력소모 내역을 제공하는 전력측정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에서, 메인 셋톱박스(100)는 방송스트림에 삽입된 수신제한 암호화를 해결하기 위한 CAS 모듈(110)과, CAS 모듈(110)에서 출력된 암호해제 스트림을 다시 스크램블링함으로써 암호화된 방송스트림을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입력하는 스크램블러 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표시장치(210)는 스크램블러 모듈(120)과 대응하여 키(KEY)를 보유함으로써 스크램블러 모듈(120)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암호화된 방송스트림을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받아 이를 암호 해제하는 디스크램블러 모듈(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은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와 메인 셋톱박스(100)에 연결되어,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메인 셋톱박스(100)로 제공하고, 메인 셋톱박스(100)로부터 방송스트림을 입력받아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제공하는 이더넷 허브(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을 위한 셋톱박스 장치는, 댁 내의 룸 별로 설치되고, 파워온이더넷(POE) 모듈(211)을 구비하여 룸에 설치된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이로부터 동작 전원을 획득하여 동작하며, 접속된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부터 디지털 방송스트림을 제공받아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대응하여 디지털 방송스트림으로부터 방송 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표시장치(210, 220, 230, 240)와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멀티룸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디지털 방식의 방송신호를 제공받아, 디지털 방송신호로부터 디지털 방송스트림을 추출하여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입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을 위한 셋톱박스 장치는 스토리지(101), 컨텐츠 서버(102), 어플리케이션 실행(103)으로부터 생성된 화면으로부터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생성하여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입력하여 하나 이상의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N 스크린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을 위한 셋톱박스 장치는, 방송스트림에 삽입된 수신제한 암호화를 해결하기 위한 CAS 모듈(110); CAS 모듈(110)에서 출력된 암호해제 스트림을 다시 스크램블링함으로써 암호화된 방송스트림을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입력하는 스크램블러 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을 위한 셋톱박스 장치는 하나 이상의 표시장치(210, 220, 230, 240)에 대해 POE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소모량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대응하여 각 방 별로 전력소모 내역을 제공하는 전력측정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을 위한 셋톱박스 장치는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방송신호를 입력받고 방송스트림을 입력받아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제공하는 이더넷 허브(400)를 포함하여 일체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을 위한 표시 장치는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디지털 방식의 방송신호를 제공받아, 디지털 방송신호로부터 디지털 방송스트림을 추출하여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입력하는 메인 셋톱박스(100)와 댁 내의 미리 설치된 이더넷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멀티룸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댁 내의 룸 별로 설치되고, 파워온이더넷(POE) 모듈(211)을 구비하여 룸에 설치된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이로부터 동작 전원을 획득하여 동작하고, 접속된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부터 디지털 방송스트림을 제공받아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대응하여 디지털 방송스트림으로부터 방송 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을 위한 표시 장치는 메인 셋톱박스(100)의 스크램블러 모듈(120)과 대응하여 키(KEY)를 보유함으로써 스크램블러 모듈(120)에 의해 스크램블링되어 메인 셋톱박스(100)로부터 출력되는 암호화된 방송스트림을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받아 이를 암호 해제하는 디스크램블러 모듈(21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을 위한 표시장치에 구비된 POE 모듈(211)은 클래스 0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합건물에 현재 통상적으로 미리 설치되어 제공되는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를 멀티룸 시스템의 기반 네트워크로 활용함으로써 멀티룸 시스템의 설치가 매우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룸에서 POE를 활용하여 표시 장치의 동작 전원을 끌어 사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개별 룸에서 이더넷 포트에 표시 장치를 간단히 연결하기만 하면 멀티룸 서비스가 가능해지게 되어 멀티룸 시스템의 설치가 매우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름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에서 이더넷 허브장치를 사용하여 연결할 때의 이더넷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에서 수신제한모듈(CAS)를 고려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름 시스템의 다양한 적용예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방송서버(300)는 각종의 방송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현재 방송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매체로는 지상파, 케이블, 위성, IPTV 등이 있는데, 본 발명은 이중에서 임의로 선택될 수 있고, 향후로 출현할 새로운 방식의 방송매체를 배제하지 않는 총괄적인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메인 셋톱박스(100)는 방송서버(100)로부터 디지털 방식의 방송신호를 제공받는다. 통상적인 셋톱박스(set-top box)와 마찬가지로 메인 셋톱박스(100)도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방송신호로부터 디지털 방송스트림을 추출한다. 일반적으로 현재의 디지털 방송의 경우에는 동조회로와 MPEG TS 디먹스(MPEG Transport Stream Demultiplexer : 미도시)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신호로부터 디지털 방송스트림을 추출하는데, 이는 MPEG 디코딩 분야의 주지기술에 속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메인 셋톱박스(100)는 댁 내의 거실에 설치된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은 메인 셋톱박스(100)를 활용하여 댁 내의 방 4개, 즉 [도 1]에서 룸 #1, #2, #3, #4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210, 220, 230, 240)에 방송 화면이 나오도록 한다.
최근에 지어지는 대부분의 집합건물에는 이더넷 네트워크가 미리 설치되어 제공되며, 그에 따라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건물 벽에 매립되어 있는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각 방의 이더넷 포트가 모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고 하며, 이를 통해 가정 내 선로공사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 메인 셋톱박스(100)는 거실 벽면에 설치된 이더넷 포트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방송신호로부터 추출한 디지털 방송스트림을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제공한다.
각 방(룸 #1, #2, #3, #4)에는 표시 장치(210, 220, 230, 240)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표시 장치(210, 220, 230, 240)는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디지털 방송스트림을 제공받는다. 각 방에 있는 사용자들은 리모컨(215, 225, 235, 245)을 사용하여 표시 장치(210, 220, 230, 240)의 동작을 제어하며, 이를 통해 디지털 방송스트림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을 소망하는 대로 선택하여 시청한다.
한편, 표시 장치(210, 220, 230, 240)는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부터 동작 전원을 끌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파워온이더넷(POE) 모듈(211, 221, 231, 241)을 구비한다. 파워온이더넷(Power over Ethernet : POE)은 이더넷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종의 장치(VoIP 전화기, WLAN 송신기, 보안 카메라 등)로 전력이 제공되는 기술을 의미한다. POE의 동작모드로는 클래스 0 내지 3까지 정의되어 있는데, 클래스 0에서 최대 12.95와트의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더 많은 전력제공을 위해 클래스 4가 마련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POE UPS 기술이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주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사이즈에 따라 표시 장치(210, 220, 230, 240)의 동작에 소요되는 전력이 결정되므로, 표시 장치(210, 220, 230, 240)의 사양은 POE로부터 끌어올 수 있는 전력 정도에 맞추어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POE 클래스 0으로 설정되어 12.95와트의 전력을 표시 장치(210, 220, 230, 240)로 제공하고, 표시 장치(210, 220, 230, 240)는 이 전력에 맞게 동작할 수 있도록 저전력 기술(예: 저전력 마이콤, 저전력 회로소자, OLED와 같은 저전력 디스플레이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한다. 반드시 클래스 0으로 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전력으로 표시 장치(210, 220, 230, 240)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클래스 1 내지 3으로 하더라도 무방하다.
이처럼 POE 방식으로 표시 장치(210, 220, 230, 240)의 동작 전원이 제공됨에 따라 본 발명은 멀티룸 시스템의 설치에 커다란 장점을 나타낸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르면 멀티룸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댁내 선로공사를 별도로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방(룸 #1, #2, #3, #4)에서 표시 장치(210, 220, 230, 240)를 설치할 때, 벽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의 이더넷 포트에 대해 표시 장치(210, 220, 230, 240)를 이더넷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지극히 단순한 작업만 수행하면 모든 설치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표시 장치(210, 220, 230, 240)의 동작 전원을 POE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관련 전원은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에 연결된 메인 셋톱박스(100)에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메인 셋톱박스(100)는 전력측정부(150)를 구비하여, 각 방 별로 공급되는 전력소모량을 감시하였다가, 사용자의 조작입력에 대응하여 전력소모 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의 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에서 이더넷 허브장치(110)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경우의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메인 셋톱박스(100)가 위성 방송이나 케이블 방송용 셋톱박스인 경우에는 앞서의 [도 1] 내지 [도 2]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것이나, 만일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셋톱박스라면 메인 셋톱박스(100)로 제공되는 방송신호도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제공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와 메인 셋톱박스(100) 사이에 이더넷 허브(400)를 삽입함으로써, 단일의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IPTV 방송신호와 본 발명의 멀티룸용 신호를 문제없이 유통시킬 수 있다.
한편, 구현 방식에 따라서는 메인 셋톱박스(100)와 이더넷 허브(400)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메인 셋톱박스(100)가 IPTV 셋톱박스라면 이러한 문제가 항상 일어날 가능성이 많으므로, IPTV 셋톱박스에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 기술을 적용한다면, 메인 셋톱박스(100) 내에 이더넷 허브(400)를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에서 수신제한모듈(CAS)(110)를 고려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지상파 신호를 제외하고는 방송신호에는 수신제한이 걸려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에 대응하여 메인 셋톱박스(100)는 수신제한모듈(Condition Access System : CAS)(110)을 구비한다. CAS 모듈(110)은 방송사업자에 특화된 프로토콜을 통하여 방송스트림에 삽입된 수신제한 암호화를 해결하며, 이를 통해 메인 셋톱박스(100)는 방송신호를 사용하여 화면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처럼 CAS 모듈(110)에서 수신제한 암호화가 풀린 비트스트림(즉, 클리어텍스트[cleartext])을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바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불법 복제에 취약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에 따라, 메인 셋톱박스(100)는 스크램블러 모듈(120)을 통해 클리어텍스트를 다시 스크램블링한 후,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제공한다. 이에 대응하여 표시장치(210, 220, 230, 240)는 디스크램블러 모듈(212, 222, 232, 242)를 구비한다. 디스크램블러 모듈(212, 222, 232, 242)은 스크램블러 모듈(120)과 대응하여 키(KEY)를 보유하며, 이를 통해 스크램블러 모듈(120)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비트스트림에 대해 다시 암호 해제(즉, 디스크램블링)를 수행한다. 스크램블러 모듈(120)과 디스크램블러 모듈(212, 222, 232, 242) 간의 암호화 키 관리는 바람직하게는 국제 표준 규격에 따른 키 관리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름 시스템의 다양한 적용예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메인 셋톱박스(100)가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그로부터 추출한 디지털 방송스트림을 각 방에 설치된 표시장치(210, 220, 230, 240)로 제공하였다. 하지만, 메인 셋톱박스(100)가 다루는 컨텐츠는 굳이 방송신호에 한정되지 않으며, 좀더 넓은 범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인 셋톱박스(100)는 내장 또는 외장형 스토리지(101)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예: 영화 파일)을 재생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생성할 수도 있고, 외부의 컨텐츠 서버(102)와 별도의 통신을 수행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03)을 수행하는 화면을 자체적으로 인코딩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103)으로는 유튜브(YouTube)의 재생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고,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파워포인트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또한, 메인 셋톱박스(100)에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생성 방식에 대해서는 좀더 유연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메인 셋톱박스(100)가 외부의 스마트폰(미도시)을 접속한 후, 스마트폰의 내장된 스토리지(101)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거나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103)을 실행한 화면을 가져와서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인코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조작을 통하여 본 발명의 멀티룸 시스템 기술을 사용하면 N 스크린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즉, 동일한 컨텐츠를 여러 단말장치를 통해 시청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사용자가 외부에서는 스마트폰으로 동영상을 재생하다가, 집으로 들어오면 본 발명의 멀티룸 시스템을 이용하여 메인 셋톱박스(100)는 물론 모든 방(룸 #1, #2, #3, #4)에서 표시 장치(210, 220, 230, 240)를 통해 연결하여 시청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메인 셋톱박스(100)와 댁 내의 하나 이상의 룸(room)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표시장치(210, 220, 230, 240)를 댁 내의 미리 설치된 이더넷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구성한 멀티룸 시스템으로서,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디지털 방식의 방송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로부터 디지털 방송스트림을 추출하여 상기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입력하는 메인 셋톱박스(100);
    댁 내의 룸 별로 설치되고, 파워온이더넷(POE) 모듈(211)을 구비하여 상기 룸에 설치된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이로부터 동작 전원을 획득하여 동작하고, 상기 접속된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부터 디지털 방송스트림을 제공받아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스트림으로부터 방송 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표시장치(21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 셋톱박스(100)는 스토리지(101), 컨텐츠 서버(102), 어플리케이션 실행(103)으로부터 생성된 화면으로부터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생성하여 상기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입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N 스크린을 구성하는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셋톱박스(100)는 상기 방송스트림에 삽입된 수신제한 암호화를 해결하기 위한 CAS 모듈(110)과, 상기 CAS 모듈(110)에서 출력된 암호해제 스트림을 다시 스크램블링함으로써 암호화된 방송스트림을 상기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입력하는 스크램블러 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표시장치(210)는 상기 스크램블러 모듈(120)과 대응하여 키(KEY)를 보유함으로써 상기 스크램블러 모듈(120)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상기 암호화된 방송스트림을 상기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받아 이를 암호 해제하는 디스크램블러 모듈(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 셋톱박스(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표시장치(210, 220, 230, 240)에 대해 POE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소모량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대응하여 각 방 별로 전력소모 내역을 제공하는 전력측정부(1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멀티룸 시스템은,
    상기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와 상기 메인 셋톱박스(100)에 연결되어, 상기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인 셋톱박스(100)로 제공하고, 상기 메인 셋톱박스(100)로부터 상기 방송스트림을 입력받아 상기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제공하는 이더넷 허브(4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210)의 POE 모듈(211)은 클래스 0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
  7. 댁 내의 룸 별로 설치되고, 파워온이더넷(POE) 모듈(211)을 구비하여 상기 룸에 설치된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이로부터 동작 전원을 획득하여 동작하며, 상기 접속된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부터 디지털 방송스트림을 제공받아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스트림으로부터 방송 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표시장치(210, 220, 230, 240)와 댁 내의 미리 설치된 이더넷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멀티룸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셋톱박스 장치로서,
    외부 전달매체로부터 디지털 방식의 방송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로부터 디지털 방송스트림을 추출하여 상기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입력하고, 스토리지(101), 컨텐츠 서버(102), 어플리케이션 실행(103)으로부터 생성된 화면으로부터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생성하여 상기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입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N 스크린을 구성하는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을 위한 셋톱박스 장치.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 장치는,
    상기 방송스트림에 삽입된 수신제한 암호화를 해결하기 위한 CAS 모듈(110);
    상기 CAS 모듈(110)에서 출력된 암호해제 스트림을 다시 스크램블링함으로써 암호화된 방송스트림을 상기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입력하는 스크램블러 모듈(1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을 위한 셋톱박스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표시장치(210, 220, 230, 240)에 대해 POE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소모량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대응하여 각 방 별로 전력소모 내역을 제공하는 전력측정부(1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을 위한 셋톱박스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 장치는,
    상기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방송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방송스트림을 입력받아 상기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로 제공하는 이더넷 허브(400);
    를 일체로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을 위한 셋톱박스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10029787A 2011-03-31 2011-03-31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셋톱박스 장치 KR101220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787A KR101220171B1 (ko) 2011-03-31 2011-03-31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셋톱박스 장치
PCT/KR2012/000819 WO2012134049A2 (ko) 2011-03-31 2012-02-02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셋톱박스 장치와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787A KR101220171B1 (ko) 2011-03-31 2011-03-31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셋톱박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361A KR20120111361A (ko) 2012-10-10
KR101220171B1 true KR101220171B1 (ko) 2013-01-21

Family

ID=46932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787A KR101220171B1 (ko) 2011-03-31 2011-03-31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셋톱박스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0171B1 (ko)
WO (1) WO201213404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7369A (ko) 2015-03-31 2016-10-10 주식회사 다빈기술 데이터 암호화 알고리즘을 갖는 파워 오버 이더넷 장치
KR102294259B1 (ko) * 2020-11-17 2021-08-25 임종준 Lan 영역에서 하나의 랜선을 객실로 인입시켜 객실 내 iptv와 노하드 컴퓨터를 결선시키는 네트워크 결선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92184B (zh) * 2016-11-16 2021-11-09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机顶盒以及机顶盒供电调整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7135A (ko) * 2005-08-29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다중 암호 해독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59817A (ko) * 2005-12-07 2007-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 융합 및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홈 서버 및 그 제어방법
US20090323711A1 (en) * 2004-12-06 2009-12-31 Terence Boarer Service system for a build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23711A1 (en) * 2004-12-06 2009-12-31 Terence Boarer Service system for a building
KR20070027135A (ko) * 2005-08-29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다중 암호 해독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59817A (ko) * 2005-12-07 2007-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 융합 및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홈 서버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7369A (ko) 2015-03-31 2016-10-10 주식회사 다빈기술 데이터 암호화 알고리즘을 갖는 파워 오버 이더넷 장치
KR102294259B1 (ko) * 2020-11-17 2021-08-25 임종준 Lan 영역에서 하나의 랜선을 객실로 인입시켜 객실 내 iptv와 노하드 컴퓨터를 결선시키는 네트워크 결선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361A (ko) 2012-10-10
WO2012134049A3 (ko) 2012-11-29
WO2012134049A2 (ko)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12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content
US20080010652A1 (en) Association of Network Terminals to a Common Account
CA2481626C (en) Method, apparatus and set-top device for transmitting content to a receiver
CN104303511A (zh) 具有多个解密模式的tv接收机
US201300284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a transcoding and presentation
CN103634628A (zh) 一种具有drm保护的数字家庭多媒体网关
CN102113336A (zh) 无线视频分发
US20160105726A1 (en) Wireless access point with digital television capabilities
KR20100074244A (ko) 멀티미디어 콘텐트에 대한 최종 사용자 액세스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220171B1 (ko) 댁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룸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셋톱박스 장치
CN105516796B (zh) 机顶盒多屏互动管理方法及系统
US201001258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istributed Television Services to a Subscriber
KR100617876B1 (ko) 멀티룸 개인 영상저장장치
US20080028219A1 (en) Provisioning Privacy on Communication Networks
US200803136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media content distributed within a premises
CN109196871B (zh) 用于个人多媒体内容分发的方法和装置
EP2827598A1 (en) A system for receiving and decrypting streaming content
CN202143181U (zh) 一种新型的网络电视机顶盒
US20220094992A1 (en) Atsc 3.0 hospitality tv system
CN111886873B (zh) 用于处理视听流的方法和相应设备、电子组件、系统、计算机可读程序产品、和存储介质
KR20060119106A (ko) 오디오/비디오 네트워크에서 타임 시프트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451854B2 (en) Dongle to convert formats to ATSC 3.0 low power wireless
KR20120064764A (ko) 원격 자격처리모듈 통합처리 장치
KR20100001045A (ko) 아이피 티브이 방송서비스에서 방송 컨텐츠의 불법 이용을방지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00344A (ko) 수신 제한 시스템에 기반하는 컨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