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798B1 - A method for imaging metastasis of cancer via primo-vessel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imaging metastasis of cancer via primo-vess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798B1
KR101218798B1 KR1020100132749A KR20100132749A KR101218798B1 KR 101218798 B1 KR101218798 B1 KR 101218798B1 KR 1020100132749 A KR1020100132749 A KR 1020100132749A KR 20100132749 A KR20100132749 A KR 20100132749A KR 101218798 B1 KR101218798 B1 KR 101218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image
bonghan
quantum dot
metasta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7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71139A (en
Inventor
소광섭
유정선
임재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베이스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베이스,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베이스
Priority to KR1020100132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798B1/en
Publication of KR20120071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1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7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8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1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measuring fluorescence e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2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for laboratory resear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82Translation products from oncoge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On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한관을 통한 암 전이 경로를 분석할 수 있는 이미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ⅰ) 암세포에 양자점 염료를 미세주입하는 단계; (ⅱ) 양자점 염료가 주입된 암세포를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주입하여 암 발생을 유도하는 단계; (ⅲ) 상기 동물의 암 발생 부위 주변을 절개한 후 다중 스펙트럼 형광 이미징 장치로 복수의 방출 파장에 따른 형광 이미지 및 광학 컬러 이미지를 수득하는 단계; (ⅳ) 상기 형광 이미지에서 암 전류 이미지 및 내재 형광 이미지를 고려하여 정상화 형광 이미지를 수득하는 단계; 및 (ⅴ) 상기 광학 컬러 이미지와 상기 정상화 형광 이미지를 비교하여, 봉한관에 형광이 나타나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효율적이고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봉한관을 통한 암의 전이 기전의 규명 및 전이 억제 물질의 스크리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ing method capable of analyzing cancer metastasis pathways through Bonghan ducts.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 microinjecting a quantum dot dye into cancer cells; (Ii) injecting cancer cells injected with the quantum dot dye into an animal other than a human to induce cancer development; (Iv) obtaining a fluorescence image and an optical color image according to a plurality of emission wavelengths after the incision around the cancer-generating site of the animal; (Iii) obtaining a normalized fluorescence image by considering a dark current image and an intrinsic fluorescence image in the fluorescence image; And (iii) comparing the optical color image with the normalized fluorescence image to determine whether fluorescence is present in the Bonghan duct. Sinc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icient and highly sensitive, it can be usefully used for screening metastasis inhibiting agents and metastasis mechanism of cancer through Bonghan duct.

Description

봉한관을 통한 암전이 이미징 방법{A method for imaging metastasis of cancer via primo-vessel}A method for imaging metastasis of cancer via primo-vessel}

본 발명은 봉한관을 통한 암 전이 경로를 분석할 수 있는 이미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ing method capable of analyzing cancer metastasis pathways through Bonghan ducts.

전이(metastasis)는 암세포가 다른 기관에서 새로운 종양을 형성하도록 원발 부위에서 확산되는 과정이다. 이는 복잡한 다단계 과정으로서 세포수준의 견지로 매우 불충분하게 고려하더라도 사실상 환자의 갑작스런 죽음을 유발한다. 따라서, 전이의 억제 및 조절은 암 치료를 완수하기 위한 가장 촉망받는 접근방법이다. 지난 30 여 년간, 암 전이에 대한 연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종양 전이는 혈관 및 림프관을 경유하여(이를 각각, 혈관성 및 림프관성 경로라고 지칭함)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연구초점은 항-신생혈관생성 및 항-림프관생성과 관련된 많은 분자 및 유전자의 동정에 맞추어져 왔다. 그러나, 신생혈관생성(angiogenesis) 및 신생림프관생성(lymphangiogenesis)의 차단은 임상실험에서 항상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나지 않았고, 전이의 과정과 기전은 아직까지 완벽히 규명되지 않았다. 이는 종양의 증명되지 않았고, 암의 확산의 과정에 관한 그리고 이들 주제에 대한 접근에 필요한 기술에 대한 새로운 방식의 생각을 근본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Metastasis is the process by which cancer cells spread from the primary site to form new tumors in other organs. This is a complex, multi-step process that, in fact, considers it very poorly at the cellular level, causing a sudden death of the patient. Thus, inhibition and control of metastasis is the most promising approach for completing cancer treatment. Over the past three decades, research on cancer metastasis has exploded. Since tumor metastasis is believed to occur via blood vessels and lymphatic vessels (referred to as the vascular and lymphatic pathways, respectively), the focus of the study is on the identification of many molecules and genes related to anti-angiogenesis and anti-lymphocytic production. Has been tailored. However, the blocking of angiogenesis and lymphangiogenesis has not alway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clinical trials, and the process and mechanism of metastasis has not yet been fully elucidated. This calls for radically different ways of thinking about new ways of thinking about the process of cancer's spread and the technologies needed to access these themes.

최근, 새로운 실 같은(thread-like) 관상 구조가 표재성 종양(superficial tumor)을 둘러싸고 있는 근막(fascia)에서 발견되었다(Yoo et al., J. Acupunct. Meridian Stud., 2(2): 118-123, 2009). 이들 관상 실은 새로운 종류의 도관(conduit)일 뿐만 아니라, 혈관 또는 림프관과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이다. 이들 새로운 도관이 종양조직 외부 그리고 내부 모두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은 매우 획기적인 것이다. 해부학적 및 조직학적 관찰로 인해 이러한 구조가 사실은 김봉한 박사에 의해 최초로 발견된 지 40여년 후에야 재발견된 봉한조직(primo-vascular system)의 병리학적 발전임이 규명되었다(Soh et al., J. Acupunct. Meridian Stud., 2(2): 93-106, 2009). 상기 봉한조직은 봉한관(primo-vessel)이라고 불리는 실 같은 관상 구조의 전신규모의 망(web)으로서, 상기 관 내부로 어떤 액체가 흐른다. 상기 봉한관은 마우스, 랫트 및 토끼의 다양한 조직의 표면과 혈관, 림프관, 뇌실 및 척수의 중심관(central canal)의 내부에서 검출되어 왔다(Soh et al., J. Acupunct. Meridian Stud., 2(2): 93-106, 2009. 전체적인 순환 네트워크는 아직 규명되지 않았으나, 봉한조직의 액체 운반 기능에 대한 증거가 액체 및 직경이 1 내지 2 ㎛를 갖는 매우 작은 세포 모두를 포함하는 실과 같은 구조에 대한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연구를 통해 관찰되었다(Lee et al., Microsc. Res. Tech. 70(1): 34-43, 2007). 염료의 미세주입(0.3±0.1 mm/s)을 이용한 유속의 측정(Sung et al., Naturwissenschaften, 95(2): 117-124, 2008) 및 미세추출 방법(상온에서 1.4±0.1 mPa s)을 이용한 액체 점성도의 측정이 보고된 바 있다(Sung et al., Phys . Rev. E: Stat ., Nonlinear , Soft Matter Phys., 79(2), 2009). Recently, new thread-like coronary structures have been found in the fascia surrounding superficial tumors (Yoo et al ., J. Acupunct. Meridian Stud ., 2 (2): 118-). 123, 2009). These coronary threads are not only a new kind of conduit, but are also clearly distinguished from blood vessels or lymphatic vessels. It is a major breakthrough that these new conduits are present both inside and outside the tumor tissue. Anatomical and histological observations have confirmed that this structure is in fact a pathological development of the primo-vascular system, which was rediscovered only 40 years after it was first discovered by Dr. Kim Bong-han (Soh et al ., J. Acupunct). Meridian Stud ., 2 (2): 93-106, 2009). The Bonghan tissue is a whole-scale web of thread-like tubular structure called primo-vessel, in which some liquid flows. The Bonghan duct has been detected on the surface of various tissues of mice, rats and rabbits and inside the central canal of blood vessels, lymphatic vessels, ventricles and spinal cords (Soh et al ., J. Acupunct. Meridian Stud ., 2) 2): 93-106, 2009. Although the overall circulatory network has not yet been identified, evidence for the liquid transport function of bony tissues has been found for yarn-like structures containing both liquid and very small cells with diameters of 1 to 2 μm. Observations were made through electron microscopy (Lee et al ., Microsc. Res. Tech . 70 (1): 34-43, 2007) .Measurement of flow rate using microinjection of dye (0.3 ± 0.1 mm / s) (Sung et al ., Naturwissenschaften , 95 (2): 117-124, 2008) and measurement of liquid viscosity using a microextraction method (1.4 ± 0.1 mPa s at room temperature) have been reported (Sung et al. al ., Phys . Rev. E: Stat ., Nonlinear , Soft Matter Phys ., 79 (2), 2009).

그러나, 상기 봉한관은 경락과 관련되어 있고, 기의 흐름과 관련되어 있다는 정도의 연구결과 이외에는 그 기능이 알려진 바 없다.However, the function of the Bonghan duct is related to the meridians, and the research results of the degree of the flow of chi is unknown.

본 발명의 목적은 봉한관을 통한 암세포 전이관찰을 위한 이미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ing method for cancer cell metastasis observation through Bonghan duc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이미징 방법을 이용하여, 봉한관을 통한 암세포 전이를 억제하는 물질의 생체내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in vivo screening of a substance that inhibits cancer cell metastasis through the Bonghan duct using the imaging method.

본 발명자들은 상기 안출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암세포가 혈관 및 림프관 외에도 봉한관을 이소로의 파종 및 군집화에 이용할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하였으며, 상기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근적외광 양자점(NIR QD)-전기천공법 및 다중스펙트럼 형광 이미징 방법을 이용하여, 암세포가 봉한관을 통해 타소로 전이될 수 있음을 증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proposed a hypothesis that cancer cells can be used for seeding and clustering of Bonghan ducts in addition to blood vessels and lymphatic vessels in addition to vascular and lymphatic vessels.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demonstrating that cancer cells can metastasize to Bonso via Bonghan ducts using NIR QD) -electroporation and multispectral fluorescence imaging methods.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정의Definition of terms used in this document

이하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erms used in the present docu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양자점 ( Quantum dot , QD ): 양자점이란 약 2~10 ㎚(나노미터) 크기의 중심체와 ZnS(황화아연)으로 이뤄진 껍질로 구성되며, 껍질 밖 표면에 고분자 코팅을 하기 때문에 통상 10~15㎚ 크기의 나노입자를 가지게 되는데, 양자점의 중심체로는 CdSe(카드뮴셀레나이드), CdTe(카드뮴텔루라이드), CdS(황화카드뮴)이 주로 사용된다. 양자점은 다른 소재가 갖지 못하는 다양한 성질을 갖고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좁은 파장대에서 강한 형광을 발생하는데, 상기 양자점이 발산하는 빛은 전도대(Conduction band)에서 가전자대(valence band)로 불안정한(들뜬) 상태의 전자가 내려오면서 발생하며, 이때 발생하는 형광은 양자점의 입자가 작을수록 짧은 파장의 빛이 발생하고, 입자가 클수록 긴 파장의 빛을 발생하는 매우 특수한 성질이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최근에는 양자점을 세포 등 생체물질을 표지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또한, 천연색 재현력이 우수하여, 최근에는 LED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QD (Quantum dot , QD ) : A quantum dot is composed of a shell made of ZnS (zinc sulfide) and a centroid of about 2 to 10 nm (nanometer) in size. CdSe (cadmium selenide), CdTe (cadmium telluride), CdS (cadmium sulfide) are mainly used as the center of the quantum dot. Quantum dots have various properties that other materials do not have. Typically, quantum dots generate a strong fluorescence in a narrow wavelength band, and the light emitted by the quantum dots is unstable from the conduction band to the valence band. As the electrons in the state come down, the generated fluorescence has a very special property of generating shorter wavelength light as the particles of the quantum dot is smaller, and longer wavelength light as the particles are larger.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quantum dots have recently been used to label biological materials such as cells. In addition, it is excellent in natural color reproducibility, has recently been spotlighted as a material that can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LED.

다중 스펙트럼 형광 이미징 장치(multispectral fluorescent imaging system): 다중 스펙트럼 형광 이미징 장치는 다양한 파장대에서 방출되는 형광을 동시에 시각화할 수 있는 영상 촬영 장비를 의미한다. Multispectral fluorescent imaging system : A multispectral fluorescent imaging system refers to an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ly visualizing fluorescence emitted from various wavelength bands.

광학 컬러 이미지: 광학 컬러 이미지는 해부 부위에 대하여 자연광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을 촬영하여 수득된 이미지를 의미한다. Optical color image : An optical color image refers to an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reflected light by irradiating natural light to an anatomical site.

암 전류 이미지(dark current image): 아무런 빛을 조사하지 않고, 동일 파장대에서 방출되는 빛을 촬영한 이미지로서 촬영장치 자체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Dark current image : An image of light emitted from the same wavelength range without irradiating any light, and used to remove nois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tself.

정상화 형광 이미지(normalized fluorescent image): 정상화 형광 이미지는 최초 형광 이미지에서 내재적 형광 및 암 전류 이미지를 고려하여 생성된 순수한 양자점에 의해 발생한 형광 이미지이다. Normalized fluorescent image : Normalized fluorescent image is a fluorescence image generated by pure quantum dots generated by considering intrinsic fluorescence and dark current images in the original fluorescence image.

봉한관(primo-vessel): 봉한관은 혈관 및 림프관과 구분되는 제3의 관 구조로서, 미백색을 띠고 다발 구조의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지고 있고, 아직 그 생물학적 기능에 대하여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내부에 어떤 액체가 흐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rimo-vessel : Bonghan duct is a third vascular structure that is distinct from blood vessels and lymphatic vessels. It is white and has a rugged surface with a bundle structure, and its biological function is not known yet. It is known to flow.

봉한절(primo node): 봉한절은 2 개 이상의 봉한관이 교차하는 교차지점을 의미한다.Bonghanjeol (primo node) : Bonghanjeol refers to the intersection of two or more Bonghan ducts.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 전기천공법은 세포에 일정 폭의 전류를 일정 간격으로 가하여, 세포막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때 발생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 특정 물질이 당해 구멍을 통해 흘러 들어가게 함으로써, 상기 특정 물질을 세포질 내로 전달하는 세포내 물질전달 방법의 일종이다. Electroporation : Electroporation is a method in which a certain width of current is applied to a cell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 hole in a cell membrane, and a specific material flows through the hole according to the flow of current generated therein. It is a kind of intracellular substance delivery method that delivers substances into the cytoplasm.

나노주입법(nanoinjection): 나노주입법은 나노미터 단위의 주입기를 이용하여 세포막에 대한 최소한의 동요를 유발한채 특정 물질을 세포내로 도입할 수 있는 기법을 의미하며, 현재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나노주입기(microinjector)가 개발되어 있다(Che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04(20): 8218-8222, 2007). Nanoinjection (nanoinjection) : Nanoinjection refers to a technique that can introduce a specific substance into the cell while inducing minimal fluctuations to the cell membrane using a nanometer injector. Currently, a nanoinjector using carbon nanotubes is used. (Chen et al ., Proc. Natl. Acad. Sci. USA , 104 (20): 8218-8222, 2007).

삼투압법(osmotic method): 양자점을 살아있는 세포내로 비침습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서, 양자점-스테렙타비딘과 바이오틴 표지된 단백질을 고삼투압 용액에서 1:1 몰비율로 혼합하여 복합체를 형성시킨 후, 이를 저삼투압 환경의 세포에 넣어, 음작용포(pinocytic vesicle)가 삼투압에 의해 용해시킴으로써, 상기 복합체를 세포내로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음작용포의 용해에 의해 세포의 생동성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한다(Courty et al., Methods Enzymol., 414: 211-228, 2006). Osmotic method (osmotic method) : One method for non-invasive delivery of quantum dots into living cells, the complex is formed by mixing quantum dots-stereptavidin and biotin-labeled protein in a high molar ratio of 1: 1 molar ratio After this, the cells are placed in a cell in a low osmotic environment, and the pinocytic vesicles are lysed by osmotic pressure to deliver the complex intracellularly. (Courty et al ., Methods Enzymol ., 414: 211-228, 2006).

리포펙션(lipofection): 지질 이중막(lipid bilayer) 또는 미셀(mycel)에 의해 포획된 물질이 세포의 음세포 및/또는 식세포 작용에 의해 세포내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서, 지질 이중막의 경우 주로 핵산과 같은 수용성 물질을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미셀의 경우에는 지용성 물질을 세포내로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Lipofection : A method that allows a substance captured by a lipid bilayer or mycel to be delivered intracellularly by the cell's negative cell and / or phagocytosis. It is used to deliver water-soluble substances such as nucleic acids and, in the case of micelles, to deliver fat-soluble substances intracellularly.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일 실시형태에서,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ⅰ) 암세포에 양자점 염료를 미세주입하는 단계;(Iii) microinjecting the quantum dot dye into cancer cells;

(ⅱ) 양자점 염료가 주입된 암세포를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주입하여 암 발생을 유도하는 단계;(Ii) injecting cancer cells injected with the quantum dot dye into an animal other than a human to induce cancer development;

(ⅲ) 상기 동물의 암 발생 부위 주변을 절개한 후 다중 스펙트럼 형광 이미징 장치로 복수의 방출 파장에 따른 형광 이미지 및 광학 컬러 이미지를 수득하는 단계;(Iv) obtaining a fluorescence image and an optical color image according to a plurality of emission wavelengths after the incision around the cancer-generating site of the animal;

(ⅳ) 상기 형광 이미지에서 암 전류 이미지 및 내재 형광 이미지를 고려하여 정상화 형광 이미지를 수득하는 단계; 및(Iii) obtaining a normalized fluorescence image by considering a dark current image and an intrinsic fluorescence image in the fluorescence image; And

(ⅴ) 상기 광학 컬러 이미지와 상기 정상화 형광 이미지를 비교하여, 봉한관에 형광이 나타나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봉한관을 통한 암세포의 전이의 이미징 방법을 제공한다.(Iii) comparing the optical color image with the normalized fluorescence image to determine whether fluorescence is present in the Bonghan duct, and providing an imaging method of metastasis of cancer cells through the Bonghan duct.

이때, 상기 미세주입은 나노주입(nanoinjection), 리포펙션(lipfection), 삼투압법(osmotic method) 또는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천공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전기천공법을 사용할 경우, 인가하는 펄스의 펄스 너비는 50 내지 150 μs, 펄스 간격은 50 내지 150 μs, 펄스 횟수는 15 내지 25 번 및 펄스 진폭은 0.5 내지 2.0 kV/cm인 것이 바람직하고, 펄스 너비는 100 μs, 펄스 간격은 100 μs, 펄스 횟수는 18회 및 펄스 진폭은 1.0 kV/c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is case, the micro-injection is preferably performed by nanoinjection (nanoinjection), lipofection (lipfection), osmotic method (electrosmotic method) or electroporation (electropor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using an electroporation method Most preferably. In the case of using the electroporation method, the pulse width of the applied pulse is 50 to 150 μs, the pulse interval is 50 to 150 μs, the number of pulses is 15 to 25 times, and the pulse amplitude is preferably 0.5 to 2.0 kV / cm. Most preferably, the width is 100 μs, the pulse interval is 100 μs, the number of pulses is 18 and the pulse amplitude is 1.0 kV / c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양자점 염료는 CdSe(카드뮴셀레나이드), CdTe(카드뮴텔루라이드), CdS(황화카드뮴), CdTeSe(카드뮴텔루라이드셀레나이드) 합금 양자점인 것이 바람직하고, CdTeSe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quantum dot dye is preferably CdSe (cadmium selenide), CdTe (cadmium telluride), CdS (cadmium sulfide), CdTeSe (cadmium telluride selenide) alloy quantum dots, and most preferably, but not limited to CdTeSe .

상기 인간을 제외한 동물은 면역반응이 억제된 동물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나 무흉선의 누드마우스 또는 누드랫트인 것이 바람직하다.Any animal other than the human may be any animal that has an immune response suppressed, but is preferably athymic nude mouse or nude rat.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ⅰ) 암세포에 양자점 염료를 미세주입하는 단계;(Iii) microinjecting the quantum dot dye into cancer cells;

(ⅱ) 양자점 염료가 주입된 암세포를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주입하여 암 발생을 유도하는 단계;(Ii) injecting cancer cells injected with the quantum dot dye into an animal other than a human to induce cancer development;

(ⅲ) 상기 암 발생이 유도된 동물에 항-암전이 후보물질을 투여하는 단계;(Iii) administering an anti-cancer metastasis candidate to the animal inducing cancer;

(ⅳ) 상기 후보물질을 투여한 동물 및 후보물질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동물의 암 발생 부위 주변을 절개한 후 다중 스펙트럼 형광 이미징 장치로 복수의 방출 파장에 따른 형광 이미지 및 광학 컬러 이미지를 수득하는 단계;(Iii) obtaining a fluorescence image and an optical color image according to a plurality of emission wavelengths by dissection around the cancer-generating site of the animal to which the candidate is administered and the control animal to which the candidate is not administered ;

(ⅳ) 상기 형광 이미지에서 암 전류 이미지 및 내재 형광 이미지를 고려하여 정상화 형광 이미지를 수득하는 단계; 및(Iii) obtaining a normalized fluorescence image by considering a dark current image and an intrinsic fluorescence image in the fluorescence image; And

(ⅴ) 상기 광학 컬러 이미지 상으로 확인된 봉한관에 나타난 형광이 대조군의 봉한관에 나타난 형광보다 적게 검출되는 후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 봉한관을 통한 암세포 전이를 억제하는 물질의 생체내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Iii) screening in vivo a method for inhibiting cancer cell metastasis through the Bonghan duct, comprising selecting a candidate substance whose fluorescence in the Bonghan duct identified on the optical color image is less than that in the Bonghan duct of the control group. to provide.

이때, 상기 미세주입은 나노주입(nanoinjection), 리포펙션(lipfection), 삼투압법(osmotic method) 또는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천공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전기천공법을 사용할 경우, 인가하는 펄스의 펄스 너비는 50 내지 150 μs, 펄스 간격은 50 내지 150 μs, 펄스 횟수는 15 내지 25 번 및 펄스 진폭은 0.5 내지 2.0 kV/cm인 것이 바람직하고, 펄스 너비는 100 μs, 펄스 간격은 100 μs, 펄스 횟수는 18회 및 펄스 진폭은 1.0 kV/c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micro-injection is preferably performed by nanoinjection (nanoinjection), lipofection (lipfection), osmotic method (electrosmotic method) or electroporation (electropor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using an electroporation method Most preferably. In the case of using the electroporation method, the pulse width of the applied pulse is 50 to 150 μs, the pulse interval is 50 to 150 μs, the number of pulses is 15 to 25 times, and the pulse amplitude is preferably 0.5 to 2.0 kV / cm. Most preferably, the width is 100 μs, the pulse interval is 100 μs, the number of pulses is 18 and the pulse amplitude is 1.0 kV / c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양자점 염료는 CdSe(카드뮴셀레나이드), CdTe(카드뮴텔루라이드), CdS(황화카드뮴), CdTeSe(카드뮴텔루라이드셀레나이드) 합금 양자점인 것이 바람직하고, CdTeSe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quantum dot dye is preferably CdSe (cadmium selenide), CdTe (cadmium telluride), CdS (cadmium sulfide), CdTeSe (cadmium telluride selenide) alloy quantum dots, and most preferably, but not limited to CdTeSe .

상기 인간을 제외한 동물은 면역반응이 억제된 동물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나 무흉선의 누드마우스 또는 누드랫트인 것이 바람직하다.Any animal other than the human may be any animal that has an immune response suppressed, but is preferably athymic nude mouse or nude rat.

발명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일 실시형태에서,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ⅰ) 암세포에 양자점 염료를 미세주입하는 단계;(Iii) microinjecting the quantum dot dye into cancer cells;

(ⅱ) 양자점 염료가 주입된 암세포를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주입하여 암 발생을 유도하는 단계;(Ii) injecting cancer cells injected with the quantum dot dye into an animal other than a human to induce cancer development;

(ⅲ) 상기 동물의 암 발생 부위 주변을 절개한 후 다중 스펙트럼 형광 이미징 장치로 복수의 방출 파장에 따른 형광 이미지 및 광학 컬러 이미지를 수득하는 단계;(Iv) obtaining a fluorescence image and an optical color image according to a plurality of emission wavelengths after the incision around the cancer-generating site of the animal;

(ⅳ) 상기 형광 이미지에서 암 전류 이미지 및 내재 형광 이미지를 고려하여 정상화 형광 이미지를 수득하는 단계; 및(Iii) obtaining a normalized fluorescence image by considering a dark current image and an intrinsic fluorescence image in the fluorescence image; And

(ⅴ) 상기 광학 컬러 이미지와 상기 정상화 형광 이미지를 비교하여, 봉한관에 형광이 나타나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봉한관을 통한 암세포의 전이의 이미징 방법을 제공한다.(Iii) comparing the optical color image with the normalized fluorescence image to determine whether fluorescence is present in the Bonghan duct, and providing an imaging method of metastasis of cancer cells through the Bonghan duct.

이때, 상기 미세주입은 나노주입(nanoinjection), 리포펙션(lipofection), 삼투압법(osmotic method) 또는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천공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전기천공법을 사용할 경우, 인가하는 펄스의 펄스 너비는 50 내지 150 μs, 펄스 간격은 50 내지 150 μs, 펄스 횟수는 15 내지 25 번 및 펄스 진폭은 0.5 내지 2.0 kV/cm인 것이 바람직하고, 펄스 너비는 100 μs, 펄스 간격은 100 μs, 펄스 횟수는 18회 및 펄스 진폭은 1.0 kV/c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micro-injection is preferably performed by nanoinjection (nanoinjection), lipofection, osmotic method (electrosmotic method) or electroporation (electropor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using an electroporation method Most preferably. In the case of using the electroporation method, the pulse width of the applied pulse is 50 to 150 μs, the pulse interval is 50 to 150 μs, the number of pulses is 15 to 25 times, and the pulse amplitude is preferably 0.5 to 2.0 kV / cm. Most preferably, the width is 100 μs, the pulse interval is 100 μs, the number of pulses is 18 and the pulse amplitude is 1.0 kV / c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양자점 염료는 CdSe(카드뮴셀레나이드), CdTe(카드뮴텔루라이드), CdS(황화카드뮴), CdTeSe(카드뮴텔루라이드셀레나이드) 합금 양자점인 것이 바람직하고, CdTeSe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quantum dot dye is preferably CdSe (cadmium selenide), CdTe (cadmium telluride), CdS (cadmium sulfide), CdTeSe (cadmium telluride selenide) alloy quantum dots, and most preferably, but not limited to CdTeSe

상기 인간을 제외한 동물은 면역반응이 억제된 동물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나 무흉선의 누드마우스 또는 누드랫트인 것이 바람직하다.Any animal other than the human may be any animal that has an immune response suppressed, but is preferably athymic nude mouse or nude rat.

본 발명자들은 제3의 관상 시스템으로서 봉한관이 암의 전이와 관련되어 있을지도 모른다는 가설을 수립하고, 상기 가설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우선, 전기천공법을 이용하여 양자점 염료를 암세포에 암세포의 손상 없이 적재하는 것이 가능한지 조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100 μs의 펄스 너비, 100 μs의 펄스 간격, 펄스 횟수 18번 및 펄스 진폭 1.0 kV/cm의 펄스를 가할 경우, 암세포의 손상 없이 양자점을 암세포에 적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참조). 종래에는 양자점을 전기천공법을 이용하여 세포에 적재할 경우, 세포독성이 나타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해온 것을 고려할 때, 이는 매우 고무적인 결과이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hypothesized that Bonghan duct may be related to cancer metastasis as a third coronary system, and in order to confirm that the hypothesis is correct, first, by using electroporation, a quantum dot dye is applied to cancer cells without damaging cancer cells. It was examined whether it was possible to load. 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at applying a pulse width of 100 μs, a pulse interval of 100 μs, 18 pulses, and a pulse amplitude of 1.0 kV / cm, quantum dots can be loaded onto cancer cells without damaging the cancer cells (FIG. 1). Reference). This is a very encouraging result considering that conventionally, when quantum dots are loaded into cells by electroporation, they are considered undesirable because of their cytotoxicity.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 양자점으로 표지된 암세포를 동물에 주입하여 암을 유발시킨 후, 이들 암의 전이 과정을 다중 스펙트럼 형광 이미징 시스템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Based on the above results, cancer cells labeled with these quantum dots were injected into animals to induce cancer, and then the metastasis process of these cancers was confirmed by a multispectral fluorescence imaging system.

구체적으로, 양자점으로 표지된 폐암종을 쥐의 등쪽 피하주입하여, 주입부위 주변부로의 전이 및 내장기관으로의 전이 모델로 사용하였고, 양자점으로 표지된 인간 난소암세포를 쥐의 복강 내에 주입하여 복강내 전이 모델로 사용하였다. 암세포의 접종 후 생체내 형광 이미징을 통해, 암세포의 전이를 확인할 수 있었고, 수술중 형광 이미징 및 해부학적 관찰을 통해, 이들 암세포의 전이가 봉한관을 통해 비교적 선택적으로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내지 7 참조).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봉한관을 통해서도 암의 전이가 일어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봉한관을 통한 암의 전이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봉한관을 통한 암의 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 항-전이제 후보물질을 선별함으로써, 새로운 항전이제의 개발의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Specifically, lung carcinoma labeled with quantum dots was injected subcutaneously in rats, and used as a model for metastasis to the periphery of the injection site and metastasis to visceral organs, and injected human ovarian cancer cells labeled with quantum dots into the abdominal cavity of mice. Used as a transition model. In vivo fluorescence imaging after inoculation of cancer cells confirmed cancer cell metastasis, and intraoperative fluorescence imaging and anatomical observation revealed that metastasis of these cancer cells occurred relatively selectively through Bonghan duct (FIGS. 2 to 2). 7). 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firmed that cancer metastasis may occur through the Bonghan duct, and by monitoring the cancer metastasis through the Bonghan duct, by selecting an anti-metastatic agent that can suppress the metastasis of the cancer through the Bonghan duct,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may provide clues to the development of new antitransmitters.

본 발명의 봉한관을 통한 암 전이 억제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은 하기와 같다:The screening method of cancer metastasis suppressor through Bonghan 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ⅰ) 암세포에 양자점 염료를 미세주입하는 단계;(Iii) microinjecting the quantum dot dye into cancer cells;

(ⅱ) 양자점 염료가 주입된 암세포를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주입하여 암 발생을 유도하는 단계;(Ii) injecting cancer cells injected with the quantum dot dye into an animal other than a human to induce cancer development;

(ⅲ) 상기 암 발생이 유도된 동물에 항-암전이 후보물질을 투여하는 단계;(Iii) administering an anti-cancer metastasis candidate to the animal inducing cancer;

(ⅳ) 상기 후보물질을 투여한 동물 및 후보물질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동물의 암 발생 부위 주변을 절개한 후 다중 스펙트럼 형광 이미징 장치로 복수의 방출 파장에 따른 형광 이미지 및 광학 컬러 이미지를 수득하는 단계;(Iii) obtaining a fluorescence image and an optical color image according to a plurality of emission wavelengths by dissection around the cancer-generating site of the animal to which the candidate is administered and the control animal to which the candidate is not administered ;

(ⅳ) 상기 형광 이미지에서 암 전류 이미지 및 내재 형광 이미지를 고려하여 정상화 형광 이미지를 수득하는 단계; 및(Iii) obtaining a normalized fluorescence image by considering a dark current image and an intrinsic fluorescence image in the fluorescence image; And

(ⅴ) 상기 광학 컬러 이미지 상으로 확인된 봉한관에 나타난 형광이 대조군의 봉한관에 나타난 형광보다 적게 검출되는 후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 봉한관을 통한 암세포 전이를 억제하는 물질의 생체내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Iii) screening in vivo a method for inhibiting cancer cell metastasis through the Bonghan duct, comprising selecting a candidate substance whose fluorescence in the Bonghan duct identified on the optical color image is less than that in the Bonghan duct of the control group. to provide.

이때, 상기 미세주입은 나노주입(nanoinjection), 리포펙션(lipfection), 삼투압법(osmotic method) 또는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천공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전기천공법을 사용할 경우, 인가하는 펄스의 펄스 너비는 50 내지 150 μs, 펄스 간격은 50 내지 150 μs, 펄스 횟수는 15 내지 25 번 및 펄스 진폭은 0.5 내지 2.0 kV/cm인 것이 바람직하고, 펄스 너비는 100 μs, 펄스 간격은 100 μs, 펄스 횟수는 18회 및 펄스 진폭은 1.0 kV/c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micro-injection is preferably performed by nanoinjection (nanoinjection), lipofection (lipfection), osmotic method (electrosmotic method) or electroporation (electropor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using an electroporation method Most preferably. In the case of using the electroporation method, the pulse width of the applied pulse is 50 to 150 μs, the pulse interval is 50 to 150 μs, the number of pulses is 15 to 25 times, and the pulse amplitude is preferably 0.5 to 2.0 kV / cm. Most preferably, the width is 100 μs, the pulse interval is 100 μs, the number of pulses is 18 and the pulse amplitude is 1.0 kV / c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양자점 염료는 CdSe(카드뮴셀레나이드), CdTe(카드뮴텔루라이드), CdS(황화카드뮴), CdTeSe(카드뮴텔루라이드셀레나이드) 합금 양자점인 것이 바람직하고, CdTeSe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quantum dot dye is preferably CdSe (cadmium selenide), CdTe (cadmium telluride), CdS (cadmium sulfide), CdTeSe (cadmium telluride selenide) alloy quantum dots, and most preferably, but not limited to CdTeSe

상기 인간을 제외한 동물은 면역반응이 억제된 동물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나 무흉선의 누드마우스 또는 누드랫트인 것이 바람직하다.Any animal other than the human may be any animal that has an immune response suppressed, but is preferably athymic nude mouse or nude rat.

본 발명에서 사용한 전기천공법의 경우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없이, 효율적으로 양자점을 암세포에 도입하여 표지할 수 있었고, 수주 경과후에도 양자점의 확산으로 인한 이미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암세포의 추적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한 양자점에 대한 다중 스펙트럼 형광 이미징 방법은 매우 민감하고, 정확하게 봉한관 및 림프관을 통한 암의 전이 경로를 추적할 수 이었었다.In the electroporation meth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quantum dots could be efficiently introduced into the cancer cells and labeled without cytotoxicity against the cancer cells, and even after several weeks, the image loss due to the diffusion of the quantum dots could be minimized, which is very useful for tracking cancer cells.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and the multispectral fluorescence imaging method for the quantum dot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very sensitive and was able to accurately track the metastasis path of cancer through Bonghan and Lymphatic vessels.

도 1은 QD 전기천공에 의해 세포내 표지된 종양 세포의 사진이다:
A: QD 전기천공된 인간 폐암세포(NCI-H460)의 형광 및 DIC 현미경 사진(적색: 가-채색된 QD, 청색: DAPI에 의해 염색된 핵),
B: 크기(8-10 nm) 및 모양(4족형)에 근반하여 확인된 NCI-H460 세포로 전달된 QD에 대한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
C: QD-적재된 NCI-H460의 접종 6주 후 효율적인 종양 성장을 나타내는 보정된 다중 스펙트럼 이미지, 및
D: 다중광자 현미경에 의해 C에서 절제된 종양조직의 QD-표지된 세포를 재시각화한 사진.
도 2는 표재성으로 성장한 종양 주변에서 봉한조직을 통해 파종된 암세포에 대한 생체 내 다중 스펙트럼 이미지이다:
A: 생체 내(in vivo) 다중 스펙트럼 이미지,
B: 수술 중(intra operative) 다중 스펙트럼 이미지, 및
C: B의 컬러 이미지 중 림프관 및 봉한관 부위에 대한 관심영역의 도시.
도 3은 상기 도 2C의 봉한관 및 림프관의 관심영역에서의 보정 형광 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피하 이종이식 종양 모델에서 복강 봉한조직을 통한 암세포의 파종에 대한 수술중 다중 스펙트럼 이미지이다:
A: 피하 종양의 내재적 이미지, 형광 이미지 및 보정된 형광 이미지,
B: 개복(開腹) 후 내장에 대한 내재적 이미지, 형광 이미지 및 보정된 형광 이미지, 및
C: B에서 간에서 복벽까지(a), 소장(b), 방광(c) 부위를 확대한 컬러 이미지로 점선은 봉한관의 위치를 나타냄.
도 5는 복강내 주입된 난소암 모들에서 복강 봉한관을 통한 암세포의 선택적 이식에 대한 수술중 다중 스펙트럼 이미지이다:
A: 대장막(greater omentum) 주변을 포함하는 절개부의 광학적 컬러 이미지, 내재적 이미지, 형광 이미지 및 보정된 형광 이미지로서, 화살머리표는 봉한관을 나타냄,
B: 고환 지방을 포함하는 절개부의 광학적 컬러 이미지, 내재적 이미지, 형광 이미지 및 보정된 형광 이미지로서 화살머리표는 봉한절을, 화살표는 봉한관을 나타냄, 및
C: 하대정맥(inferior vena cava)를 둘러싼 절개부의 광학적 컬러 이미지, 내재적 이미지, 형광 이미지 및 보정된 형광 이미지로서, 화살머리표는 봉한절을, 점선 화살표는 림프절을 나타냄.
도 6은 각 관심영역(L: 간, S: 위, I: 소장, O: 난소 및 GF: 고환 지방)에서의 평균 광자수를 계산하여 정량적으로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전이된 기관 및 봉한관에 대한 조직학적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일련의 사진들이다:
A: 피하 NCI-H460 종양 이종이식에서 전이된 기관(첫 번째 행: 소장 융모, 두 번째 행: 간 및 세 번째 행: 폐)의 박편에 대한 대표적 형광/DIC 현미경 이미지로서, 첫 번째 열(column)은 양자점에 의한 형광 이미지, 두 번째 열은 양자점 이미지 및 DAPI 염색의 중첩 이미지이며, 세 번째 열은 양자점 이미지 및 DIC 현미경 이미지의 중첩 이미지임,
B: NCI-H460 암세포의 피하 이종이식 모델에서 피하 종양 주변의 봉한절(첫 번째 행의 이중 화살표), 봉한관(두 번째 행의 화살표) 및 복강 봉한관(세 번째 행) 대한 대표적 형광/DIC 현미경 이미지로서, 첫 번째 열은 양자점에 의한 형광 이미지이고, 두 번째 열은 H&E 염색에 의한 이미지이며, 세 번째 열은 베르훼프(Verhoeff) 염색에 의한 이미지임, 및
C: 봉한관(첫 번째 행 및 두 번째 행) 및 림프관(세 번째 행)의 길이방향 박편에 대한 대표적 형광/DIC 현미경 이미지로서, 특히 두 번째 행과 세 번째 행은 동일한 고환 지방 주변에 위치한 봉한관 및 림프관에 형광/DIC 현미경 이미지이며, 각 열에 대한 설명은 A와 동일함.
1 is a photograph of tumor cells labeled intracellularly by QD electroporation:
A: Fluorescence and DIC micrographs (red: pseudo-coloured QD, blue: nuclei stained by DAPI) of QD electroporated human lung cancer cells (NCI-H460),
B: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of QD delivered to NCI-H460 cells identified based on size (8-10 nm) and shape (group 4),
C: calibrated multispectral image showing efficient tumor growth 6 weeks after inoculation of QD-loaded NCI-H460, and
D: Re-visualized photograph of QD-labeled cells of tumor tissue excised from C by multiphoton microscopy.
FIG. 2 is an in vivo multispectral image of cancer cells seeded through bonghan tissue around superficially grown tumors:
A: in vivo multispectral image,
B: intra operative multispectral image, and
C: Illustration of region of interest for lymphatic and Bonghan duct sites in color image of B. FIG.
Figure 3 is a graph comparing the corrected fluorescence intensity in the region of interest of the Bonghan duct and lymphatic vessel of Figure 2C.
4 is an intraoperative multispectral image of the seeding of cancer cells through peritoneal bony tissue in a subcutaneous xenograft tumor model:
A: intrinsic image, fluorescence image and corrected fluorescence image of subcutaneous tumor,
B: intrinsic image, fluorescence image and corrected fluorescence image for viscera after open, and
C: An enlarged color image from B to liver, abdominal wall (a), small intestine (b) and bladder (c). Dotted line indicates the location of Bonghan duct.
FIG. 5 is an intraoperative multispectral image of selective implantation of cancer cells through the abdominal Bonghan duct in intraperitoneally injected ovarian cancer mice:
A: Optical color image, intrinsic image, fluorescence image and corrected fluorescence image of the incision including around the greater omentum, with arrowhead indicating Bonghan duct,
B: optical color image, intrinsic image, fluorescence image, and corrected fluorescence image of the incision containing testicular fat, with arrowhead indicating Bonghan lord, arrow indicating Bonghan duct, and
C: Optical color image, intrinsic image, fluorescence image and corrected fluorescence image of the incision surrounding the inferior vena cava, with arrowheads representing bony nodules and dashed arrows representing lymph nodes.
FIG. 6 is a graph quantitatively comparing and calculating the average number of photons in each region of interest (L: liver, S: stomach, I: small intestine, O: ovary, and GF: testicular fat).
7 is a series of photographs showing histological observations of metastasized organs and Bonghan ducts:
A: Representative fluorescence / DIC microscopy images of slices of metastasized organs (first row: small intestinal villi, second row: liver and third row: lung) in subcutaneous NCI-H460 tumor xenografts, column 1 ) Is a fluorescence image by quantum dots, the second column is an overlap image of quantum dot image and DAPI staining, and the third column is an overlap image of quantum dot image and DIC microscope image,
B: Representative fluorescence / DIC microscopy images of bony nodules (double arrows in the first row), Bonghan ducts (arrows in the second row), and abdominal Bonghan ducts (third row) around the subcutaneous tumors in a subcutaneous xenograft model of NCI-H460 cancer cells A first column is a fluorescence image by quantum dots, a second column is an image by H & E staining, a third column is an image by Verhoeff staining, and
C: Representative fluorescence / DIC microscopic images of longitudinal slices of the Bonghan ducts (first row and second row) and lymphatic vessels (third row), in particular the second and third rows are located around the same testicular fat and Fluorescence / DIC microscopy image of lymphatic vessel, description of each column is same as A.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본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specific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 실험방법General Experiment Method

1. 전기천공을 이용한 양자점의 적재1. Loading of quantum dots using electroporation

CdTeSe 합금 양자점(QD)는 종래 보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카드뮴-풍부 조건하에서 합성하였다(Bailey et al., J. Am. Chem. Soc., 125(23): 7100-7106, 2003). 상기 양자점의 방출 피크는 800 nm이었고, 50 nm의 반치전폭(full width at hat maximum)을 갖고 있었다. 유체역학적 직경은 8-10 nm였다. 한국세포주은행(서울, 대한민국)에서 구매한 암세포인 NCI-H460 인간 폐암세포 및 SK-OV-3 인간 난소암 세포 각각 2×107개 정도를 전기천공기에 적재한 후, 500 nm의 CdTeSe 합금 양자점과 함께 2 ml의 RPMI-1640 배지에 현탁한 후, 5분간 정치시킨 후, 100 μs의 펄스 너비, 100 μs의 펄스 간격, 펄스 횟수 18번 및 펄스 진폭 1.0 kV/cm의 펄스를 가하여 세포사멸 없이 최적의 세포내 양자점의 전달을 수행하였다. 이어, 유리 양자점 염료를 제거하기 위해 세포배양배지로 수차례 세척하였다. CdTeSe alloy quantum dots (QD) were synthesized under cadmium-rich conditions using methods similar to those previously reported (Bailey et al ., J. Am. Chem. Soc. , 125 (23): 7100-7106, 2003). . The emission peak of the quantum dot was 800 nm and had a full width at hat maximum of 50 nm. Hydrodynamic diameter was 8-10 nm. 500 nm CdTeSe alloy quantum dots were loaded with an electroporator after loading 2 × 10 7 NCI-H460 human lung cancer cells and SK-OV-3 human ovarian cancer cells, which are cancer cells purchased from Korea Cell Line Bank (Seoul, Korea). And suspended in 2 ml of RPMI-1640 medium and allowed to stand for 5 minutes, followed by application of pulse width of 100 μs, pulse interval of 100 μs, pulse number 18 and pulse amplitude of 1.0 kV / cm without cell death. Optimal intracellular quantum dot delivery was performed. Then, the cells were washed several times with cell culture medium to remove free quantum dot dye.

2. 종양 모델 동물의 제작2. Fabrication of Tumor Model Animals

종양 모델 동물로는 5 내지 7주령의 암컷 누드마우스(Balb-c-nu/nd, Japan SLC, Inc., Japan)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동물은 여과기-층류 캐비닛에서 사육되었고, 살균 공정을 이용하여 조작되었다. 동물과 관련된 실험은 서울대학교 가이드라인에 적합하게 수행되었다. 두 세트의 종양모델이 사용되었는데, 첫 번째 모델은 표준 피하(subcutaneous, s.c.) 이종이식 마우스 모델이었다(Welch et al., Clin. Exp. Metastasis, 15(3): 272-306, 1997). 이 경우 다섯 마리의 마우스를 졸레틸/롬푼의 복강내(intraperitoneally, i.p.) 주입으로 마취시킨 후 피하 암 형성을 위해 1 ml RPMI-1640 배지에 현탁된 1×107 개의 NCI-H460 인간 폐암세포를 등 쪽에 피하주사하여 접종하였다. 다른 종양 모델은 복강내 실험 전이 모델이다. SK-OV-3 인간 난소암 세포가 1×107 cells/ml로 현탁된 RPMI-1640 배지 1 ml을 5 마리 누드 마우스의 복강에 주입하였다.Tumor model animals were 5-7 week old female nude mice (Balb-c-nu / nd, Japan SLC, Inc., Japan), which were bred in a filter-laminar flow cabinet and using a sterilization process. It was manipulated. Animal-related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wo sets of tumor models were used, the first being a standard subcutaneous (sc) xenograft mouse model (Welch et al ., Clin. Exp. Metastasis , 15 (3): 272-306, 1997). In this case, five mice were anesthetized by intraperitoneally (ip) injection of zoletil / rompun and then 1 × 10 7 NCI-H460 human lung cancer cells suspended in 1 ml RPMI-1640 medium for subcutaneous cancer formation. Inoculated by subcutaneous injection to the back. Another tumor model is an intraperitoneal experimental metastasis model. 1 ml of RPMI-1640 medium in which SK-OV-3 human ovarian cancer cells were suspended at 1 × 10 7 cells / ml was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of five nude mice.

3. 봉한조직에서의 생체 내 종양 형성 확인3. Confirmation of tumor formation in vivo in Bonghan tissue

피하 이종이식 종양 모델에서 피하 종양 및 내장 기관 주위의 봉한관을 통한 암세포 이동을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종양 세포의 피하 접종 후 8주가 경과한 마우스에 대하여 이중 형광 및 컬러 검출기를 가진 자체 제작한 다중 스펙트럼 이미징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수득하였다. 모든 수술중의 이미징 절차는 졸레틸/롬푼의 복강내 주입을 통한 일반적인 마취 하에서 수행되었다. 우선, 종양 피부의 측면을 절제하고, 종양의 피부를 조심스럽게 제거하여 손상되지 않은 막을 가진 종양을 노출시켰다. 그리고 나서, 봉한관 및 혈관을 이미징 설정의 컬러 채널을 통해 외과적 해부 구조를 직접 시각화하여 확인하였다. 동시에, 봉한관 및 종양조직 내부의 암세포로부터 근적외광(near infra-red, NIR) 형광을 기록하였고, 추가적인 이미지 처리는 조직 감쇄 변이(tissue attenuation variation) 및 배경 자가형광을 보정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소 기관의 표면상의 상기 봉한조직은 상기 봉한관을 통한 표재성 종양으로부터 암세포의 탈출을 확인하기 위해 복부를 복개하여 조사하였다. 복강내 봉한조직에서의 암세포의 선별적인 이식을 조사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동일한 이미징 방법으로 복부에 복강 접종 후 1 내지 4주 경과 후 실험 전이 마우스 모델을 관찰하였다.To identify cancer cell migration through the Bonghan duct around subcutaneous tumors and visceral organs in a subcutaneous xenograft tumor model, we have developed a self-made multiplex with dual fluorescence and color detectors for mice 8 weeks after subcutaneous inoculation of tumor cells. Images were obtained using a spectral imaging system. All intraoperative imaging procedures were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via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zoletil / romfun. First, the side of the tumor skin was excised and the skin of the tumor was carefully removed to expose the tumor with an intact membrane. Bonghan ducts and blood vessels were then confirmed by visualizing the surgical anatomy directly through the color channels of the imaging setup. At the same time, near infra-red (NIR) fluorescence was recorded from cancer cells inside Bonghan ducts and tumor tissues, and further image processing was achieved by correcting tissue attenuation variation and background autofluorescence. The Bonghan tissue on the surface of the iso organ was irradiated abdomen to confirm the escape of cancer cells from the superficial tumor through the Bonghan duct. To investigate the selective transplantation of cancer cells in the intraperitoneal bony tissue, the inventors observed an experimental metastatic mouse model 1 to 4 weeks after intraperitoneal inoculation in the same imaging method.

4. 다중 스펙트럼 이미징 및 분석4. Multispectral Imaging and Analysis

봉한조직 내의 암세포의 생체내 및 수술중 이미징을 위해, 본 발명자들은 자체 제작한 다중 스펙트럼 이미징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상기 개발된 시스템은 조직 광학적 감쇄 및 자가-형광을 보정한 형광 이미지를 생성하며 동시에, 광학적 컬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각 실험마다 각각 6 개의 이미지, 즉, 650±5 nm, 750±12.5 nm, 800±12.5 nm, 상기와 동일한 방출 파장에 대한 암 전류 이미지(dark current image) 및 광학 컬러 이미지를 수득하였다. 이어, 본 발명자들은 비-정상화 형광 이미지인 파장 λ x 가 750±12.5 nm일 때의 이미지인 I x 및 파장 λ y 가 800±12.5 nm일 때의 이미지인 I y 를 각각 수득하였는데, 상기 I x I y 는 각각 하기의 식 Ⅰ 및 Ⅱ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For in vivo and intraoperative imaging of cancer cells in Bonghan tissues, we used a self-made multispectral imaging system. The developed system can generate a fluorescent image that corrects tissue optical attenuation and self-fluorescence while simultaneously generating an optical color image. Typically, 6 images were obtained for each experiment, 650 ± 5 nm, 750 ± 12.5 nm, 800 ± 12.5 nm, dark current image and optical color image for the same emission wavelength as above. . Then,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non-were obtained to normalize the fluorescent image having a wavelength of λ x is 750 ± 12.5 nm one image of I x and the wavelength λ y is 800 ± 12.5 nm image of when the time I y, respectively, the I x And I y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formulas I and II, respectively:

I x = I fx - I dx (Ⅰ) I x = I fx -I dx (Ⅰ)

I y = I fy - I dy (Ⅱ). I y = I fy -I dy (II).

상기 식에서, I fx I fy 는 초기 형광 이미지이고 I dx I dy 는 상기 I fx I fy 각각 동일한 노출시간 동안 빛의 조사 없이 수득된 상응하는 암 전류 이미지이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조사 파장인 λ z =650±5 nm에서의 감쇄(내재) 이미지인 I z 를 하기 식 Ⅲ에 의해 수득하였다: Wherein I fx and I fy are the initial fluorescence images and I dx and I dy are the I fx and I fy Each is a corresponding dark current image obtained without irradiation of light for the same exposure time. The inventors also obtained I z , which is an attenuation (intrinsic) image at the irradiation wavelength of λ z = 650 ± 5 nm, by the following formula III:

I z = I iz - I dz (Ⅲ). I z = I iz -I dz (III).

상기 식에서, I iz 는 내재적 이미지이고 I dz 는 그에 상응하는 노이즈 이미지인다. 이어, 본 발명자들은 상응하는 정상화된 형광 이미지인, U x U y 를 종래 보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식 Ⅳ 및 Ⅴ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Ntziachristos et al., J. Biomed. Opt., 10(6): 064007, 2005):Where I iz is an intrinsic image and I dz is a corresponding noise image. We then describe U x , which is the corresponding normalized fluorescence image And U y were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s IV and V in a similar manner as previously reported (Ntziachristos et al ., J. Biomed. Opt ., 10 (6): 064007, 2005):

Figure 112010084951619-pat00001
(Ⅳ),
Figure 112010084951619-pat00001
(Ⅳ),

Figure 112010084951619-pat00002
(Ⅴ).
Figure 112010084951619-pat00002
(Ⅴ).

상기 식에서, 역치인 T i 는 최종 이미지인 U x U y 에 기여하는 것으로부터 낮은 신호대잡음 비율의 신호를 방지하기 위한 분모 값의 최대치의 3%로 설정되었다. In the above formula, the threshold T i was set to 3% of the maximum of the denominator value to prevent low signal-to-noise ratio signals from contributing to the final images U x and U y .

감쇄 측정 이후, 양자점 및 자가-형광 신호의 스펙트럼에 따른 보정을 선형 불혼화 알고리즘(linear unmix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Zimmermann et al., Adv. Biochem. Eng. Biotechnol. 95: 245-265, 2005). 본 발명자들은 상기 개발된 설정을 통한 측정으로 순수 양자점의 방출 스펙트럼을 수득하였고, 당해 신호가 순수한 자가-형광임이 분명한 지역을 확인함으로써 배경 자가-형광의 방출 스펙트럼을 수득하였다. 상기 비공유된 이미지는 하기 공유 시스템에 관한 방정식 Ⅵ 및 Ⅶ을 해결함으로써 수득되었다:After the attenuation measurement, the spectral correction of the quantum dots and the self-fluorescent signal was performed using a linear unmixing algorithm (Zimmermann et al ., Adv. Biochem. Eng. Biotechnol . 95: 245-265, 2005). The inventors obtained the emission spectra of pure quantum dots by measurement through the above-developed setup, and obtained the emission spectra of background self-fluorescence by identifying areas where the signal is clearly pure self-fluorescence. The non-shared image was obtained by solving equations VI and VII for the following shared system:

U x = S Ax C A + S Qx C Q (Ⅵ) U x = S Ax C A + S Qx C Q (Ⅵ)

U y = S Ay C A + S Qy C Q (Ⅶ). U y = S Ay C A + S Qy C Q (Ⅶ).

상기 식에서, U x U y 는 검출된 정상화 형광 이미지이고, S Ax , S Ay , S Qx S Qy 는 사전에 수득된 표준 방출 스펙트럼으로부터 알려진, 채널 λ x = 750±12.5 nm 및 λ y = 800±12.5 nm에 대한 배경 자가-형광 및 양자점의 상대적 기여도이며, C A C Q 는 각각 상기 자가-형광 및 양자점에 대한 알려지지 않은 비혼류 이미지(unmixed image)이다.In the above formula, U x and U y are detected normalized fluorescence images, and S Ax , S Ay , S Qx and S Qy are known from the standard emission spectra obtained in advance, channel λ x = 750 ± 12.5 nm and λ y = 800 ± 12.5 nm relative contribution of background self-fluorescence and quantum dots, C A and C Q are unknown unmixed images for the self-fluorescence and quantum dots, respectively to be.

5. 현미경 및 조직학적 분석5. Microscopy and Histological Analysis

양자점의 암세포로의 효과적인 전달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천공법의 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전기천공된 세포에 대한 다중광자 현미경 및 투과 전자현미경 분석을 수행하였다. 다중광자 현미경을 이해, 전기천공된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에서 20 분간 고정한 후, 인산 완충 염수(PBS)로 여러 번 세척한 후, 번짐 방지 제제로 포매한 다음, 다중 광자 현미경(Zeiss LSM 510 META, Germany)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수득하였다. 핵은 DAPI(Molecular Probes, USA)로 표지하였다. 투과 전자 현미경 분석을 위해서, 상기 세포를 pH 7.4의 0.1 M 카코딜산 완충액 내의 2.5% 글루타레알데히드 용액으로 4℃에서 10시간동안 고정한 후, 오스뮴 테트라이드로 후고정을 하고 탈수시켰다. 고정된 세포는 Epon812에 포매시킨 후, 50 nm 두께로 박편화시켰고, 우라닐 아세테이트 및 리드 시트레이트로 염색하였고, 투과 전자현민경(JEOL JEM-1010, Japan)을 80 kV로 작동시켜 이미지를 촬영하였다.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electroporation to provide effective delivery of quantum dots to cancer cells, we performed multiphoton mic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alysis of the electroporated cells. Understanding multiphoton microscopy, the electroporated cells were fixed in 4% paraformaldehyde for 20 minutes, washed several times with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embedded in anti-smearing agents, and then multiphoton microscopy (Zeiss LSM 510). META, Germany) to obtain an image. Nuclei were labeled with DAPI (Molecular Probes, USA). Fo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cells were fixed for 10 hours at 4 ° C. with 2.5% glutaraldehyde solution in 0.1 M cacodylate acid buffer at pH 7.4, followed by post-fixation with osmium tetraide and dehydration. The immobilized cells were embedded in Epon812 and then sliced to 50 nm thickness, stained with uranil acetate and lead citrate, and images were taken by operating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JEOL JEM-1010, Japan) at 80 kV. It was.

봉한조직에서의 암세포에 대한 생체 또는 수술중 이미지 수득 후, 다중 광자 현미경(Zeiss LSM 510 META, Germany) 또는 광학현미경(Olympus BX51, Japan)으로 엑스 비보 재검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샘플을 5 μm로 박편화시킨 후, 4% 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하였다. 상기 표본은 상기 고정제에 밤새 정치시킨 후, 다음 날 PBS로 수차례 세척을 하였고 DAPI로 대응염색을 하였다. 몇몇 연속된 조직 박편을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염색제 똔 베르호에프(Verhoeff) 염색제로 염색하여 봉한관의 조직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After obtaining in vivo or surgical images of cancer cells in Bonghan tissues, ex vivo retests were performed with a multi-photon microscope (Zeiss LSM 510 META, Germany) or an optical microscope (Olympus BX51, Japan). For this purpose, samples were sliced to 5 μm and then fixed with 4% formaldehyde. The samples were left overnight in the fixative, washed several times with PBS the next day and counterstained with DAPI. Several consecutive tissue slice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stains Verhoeff staining to confirm histological properties of Bonghan ducts.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 1: 생체 내 전이 연구를 위한 전기천공법의 유용성 검증Example 1: Validation of the utility of electroporation for in vivo metastasis studies

본 발명자들은 살아있는 동물에서의 봉한관 내부의 암세포를 촬영하기 위한 모델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암세포를 전기천공법에 의해 근적외광 양자점(NIR QD)으로 표지하는 것이다. 전기적 펄스에 대한 최적의 파라미터를 채용한 전기천공법을 사용함으로써, DHLA-포장된 CdTeSe 양자점은 다중 광자 현미경(도 1A) 및 투과 전자현미경(도 1B)에 의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효과적으로 세포로 전달되었다.The method we used to establish a model for imaging cancer cells inside the Bonghan duct in living animals is to label cancer cells with near-infrared quantum dots (NIR QD) by electroporation. By using electroporation with optimal parameters for electrical pulses, DHLA-packed CdTeSe quantum dots are effectively delivered to cells, as confirmed by multi-photon microscopy (FIG. 1A)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FIG. 1B). It became.

전기천공-기반의 양자점의 적재는 고성능의 평행 전달 및 세포내 양자점 응집의 간헐적 형성(도 1A)이라는 다른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Chen et al., Nano Lett., 4(10): 1827-1832, 2004; Derfus et al., Adv. Mater., 16(12): 961-966, 2004). 일부 양자점은 핵내로 진입했으나, 대부분은 세포질에 머물렀다. 생체내 조건에서 양자점-표지된 암세포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양자점으로 표지된 NCI-H460 인간 폐함 세포를 면역결핍 마우스의 등 쪽에 피하주사하였다. 접정 6주 째부터, 본 발명자들은 양자점 표지된 암세포가 비표지된 암세포와 마찬가지로 종양으로 효율적으로 발달됨을 확인하였다(도 1C). Loading of electroporation-based quantum dots resulted in agreement with other findings of high performance parallel delivery and intermittent formation of intracellular quantum dot aggregation (FIG. 1A) (Chen et al ., Nano Lett ., 4 (10)). : 1827-1832, 2004; Derfus et al ., Adv. Mater ., 16 (12): 961-966, 2004). Some quantum dots entered the nucleus, but most remained cytoplasmic.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quantum dot-labeled cancer cells under in vivo conditions, we subcutaneously injected NCI-H460 human lung cells labeled with quantum dots to the back of immunodeficient mice. From the sixth week of surgery, 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at quantum dot-labeled cancer cells developed efficiently into tumors as well as unlabeled cancer cells (FIG. 1C).

생체 내 다중 스펙트럼 이미징은 조직 광학 감쇄 보정과 자가-형광 비혼류 덕분에, 종양의 성장을 고 대비 및 고 민감도로 기록할 수 있었다(도 1C). 박편화된 종양에 대한 조직학적 검사 결과, 대부분의 암세포는 생체내 접종 후 6주가 지난 후에도 양자점을 여전히 보유하고 있어, 양자점의 확산이 최소화됨이 규명되었다(도 1D). 양자점-표지된 암세포의 종양형성 능력은 본 문서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살아 있는 동물에서 봉한관에서의 전이 과정을 확인하기 위한 이상적인 도구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n vivo multispectral imaging was able to record tumor growth with high contrast and high sensitivity, thanks to tissue optical attenuation correction and self-fluorescent non-interflow (FIG. 1C).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he exfoliated tumors revealed that most cancer cells still retain quantum dots after 6 weeks after in vivo inoculation, minimizing the spread of quantum dots (FIG. 1D). It is understood that the tumorigenic capacity of quantum dot-labeled cancer cells may provide an ideal tool for identifying metastatic processes in Bonghan ducts in living animals, as identified herein.

실시예 2: 봉한관을 경유한 암세포의 이동 및 전이성 군집의 형성Example 2: Formation of metastatic colonies and migration of cancer cells via Bonghan duct

본 발명자들은 무흉선 면역결핍 마우스(n=5)의 NCI-H460 세포 접종 지역에서의 NIR 형광 신호의 생체내 다중 스펙트럼 이미징을 이용하여 양자점-표지된 세포의 종양 성장 및 전이 과정을 조사하였다. 이 때, 상기 형광 측정 값은 종양 경계를 더 선명하게 나타내게 하기 위해 조직 감쇄 및 자가-형광을 고려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교정되었으며, 내재적 이미지 및 상기 형광 이미지는 650±5 nm에서 여기 및 800±12.5 nm의 방출 파장에서 촬영하였다. 이식한지 3주 경과 후, 본 발명자들은 양자점-표지된 세포가 확산되고 주입 부위의 인접부에서 군집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A). 상기 도 2A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a로 표시되는 QD-표지된 세포 주입 부위에서의 종양 성장은 강한 NIR 신호로 영상화되었으며, b로 표지되는 인접부위에서 새로운 종양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양자점-표지된 암세포의 성공적인 군집-형성 능력은 전기천공 과정에 의해 야기된 세포독성이 무시할만한 정도임을 보여준다. 확산 경로에 대한 해부학적 확인 및 암세포 행동의 상세한 조사는 조심스러운 피부 절제를 통해 수행되었다(도 2B). NIR 형광 이미징을 통해 림프관 경로와 구분되는 봉한관을 경유하여 원 종양으로부터 새로 성장한 종양으로 이동한 양자점-표지 암세포를 조사하였다(도 2B). 림프관과 봉한관의 구분은 그들의 해부학적 특징, 예를 들어, 봉한관은 미백색을 띠고 다발 구조의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지고 있는 반면, 림프관은 단일 내강 구조의 매우 투명하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다수의 선행 연구의 형태학적 분석으로부터 학습된 단순하지만 핵심적인 기준이다(Soh et al., J. Acupunct. Meridian Stud. 2(2): 93-106, 2009). 상기 종양세포의 이동 경로는 도 2C에 박스로 도시된 유사한 관심지역에 대한 평균 광자수를 계산함으로써 정량적으로 비교되었다(도 3). 상기 종양세포는 림프관(실선 화살표)에 비하여 봉한관(점선 화살표)을 통하여 이동하는 것을 선호하였는데, 봉한관에서의 신호의 강도가 림프관의 그것에 비하여 거의 두 배 정도 높았다. 혈관으로부터의 평균적인 신호 강도는 신호대잡음비의 기준에서 거의 유의하지 않았다.We investigated the tumor growth and metastasis process of quantum dot-labeled cells using in vivo multispectral imaging of NIR fluorescence signals in NCI-H460 cell inoculation regions of athymic immunodeficient mice (n = 5). At this time, the fluorescence measurement value was corrected as described above in consideration of tissue attenuation and self-fluorescence in order to more clearly show the tumor boundary, the intrinsic image and the fluorescence image were excited at 650 ± 5 nm and 800 ± 12.5 Photographed at emission wavelength of nm. Three weeks after transplantation, we found that the quantum dot-labeled cells spread and clustered in the vicinity of the injection site (FIG. 2A). As shown in FIG. 2A above, tumor growth at the QD-labeled cell injection site, denoted a, was imaged with a strong NIR signal, and new tumors were observed at adjacent sites labeled b. The successful colony-forming ability of these quantum dot-labeled cancer cells shows that the cytotoxicity caused by the electroporation process is negligible. Anatomical confirmation of the proliferation pathway and detailed investigation of cancer cell behavior were performed through careful skin resection (FIG. 2B). NIR fluorescence imaging examined quantum dot-labeled cancer cells that migrated from the original tumor to the newly grown tumor via a Bonghan duct that is distinct from the lymphatic pathway (FIG. 2B). The distinction between lymphatic and Bonghan ducts is their anatomical features, for example, Bonghan ducts are white and have a bumpy surface of bundle structure, whereas lymphatic vessels have a very transparent and smooth surface of a single lumen structure, which is a large number of prior art. It is a simple but key criterion learned from the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study (Soh et al ., J. Acupunct. Meridian Stud . 2 (2): 93-106, 2009). The path of migration of the tumor cells was compared quantitatively by calculating the average photon count for similar regions of interest shown as boxes in FIG. 2C (FIG. 3). The tumor cells preferred to migrate through the Bonghan duct (dashed arrow) relative to the lymphatic vessel (solid arrow), the intensity of the signal in the Bonghan duct was about twice as high as that of the lymphatic vessel. Average signal intensity from blood vessels was little significant in terms of signal to noise ratio.

실시예 3: 피하 이종이식 모델에서의 봉한관을 통한 암세포의 복부 전이Example 3: Abdominal metastasis of cancer cells through Bonghan duct in subcutaneous xenograft model

본 발명자들은 다음으로 복부에 대한 중간선 절개를 이용하여 피하 이종이식 모델(n=5)에서의 복부 전이를 조사하였다. 수술중 다중 스펙트럼 이미징을 통해, 양자점-표지 NCI-H460 세포의 피하 주입 8주 후에 표재성 성장 형광 종양의 확인과 함께, 피하 종양(도 4B의 a, b 및 c)으로부터 복강내로의 자발적인 전이가 확인되었다(도 4A). 전이중인 세포에 의해 방출되는 강한 형광 신호가 봉한관에서 검축되었는데, 상기 봉한관은 간으로부터 복벽쪽으로 위치하고 있었으며, 소장 및 방광 위에도 존재하였다(도 4B의 a, b 및 c). 확대된 해부학적 관찰을 통해, 봉한관이 혈관과 림프관의 특징과 구분되는 독특한 특성을 가진 반투명하고 자유롭게 움직이는 관상 구조(도 4C에서 점선으로 표시됨)임이 확인되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제시된 데이터는 암의 전이에 있어서 봉한관의 유의하게 높은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We next examined abdominal metastases in a subcutaneous xenograft model (n = 5) using a midline incision to the abdomen. Intraoperative multispectral imaging confirmed spontaneous metastasis from subcutaneous tumors (a, b and c in FIG. 4B), with confirmation of superficial growth fluorescent tumors 8 weeks after subcutaneous injection of quantum dot-labeled NCI-H460 cells (FIG. 4A). A strong fluorescence signal emitted by the metastatic cells was detected in the Bonghan duct, which was located from the liver towards the abdominal wall and was also present on the small intestine and bladder (a, b and c in FIG. 4B). An enlarged anatomical observation confirmed that the Bonghan duct is a translucent and freely moving coronary structure (indicated by dotted lines in FIG. 4C) with uniqu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it from those of blood vessels and lymphatic vessels. In such cases, the data presented show significantly higher capacity of Bonghan ducts in metastasis of cancer.

실시예 4: 복강내 난소암 이종이식 모델에서의 봉한관을 통한 암세포의 복부 전이Example 4: Abdominal metastasis of cancer cells through Bonghan duct in intraperitoneal ovarian cancer xenograft model

양자점-표지된 암세포의 복강내 주사 실험결과 역시 봉한관과 암의 전이 사이의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무흉선 면역결핍 마우스(n=5)에 복강내(i.p.) 접종 방법을 이용하여 봉한조직에서의 양자점-표지 난소암세포 침윤을 증명할 수 있었다. 접종후 2 또는 3주후에, NIR 다중 스펙트럼 이미징 시스템으로부터 수술중(intra-operative) 유도(guidance)에 따른 복강 조직에서의 양자점-표지 SK-OV-3의 부위 특이적 이식을 조사하였다. 다수의 양자점-표지 난소암세포가 봉한절로 선택적으로 침윤하였는데, 이는 대장막(greater omentum)에서의 반투명한 점상 구조로 빈번하게 확인 가능하였다(도 5A). 봉한조직의 복잡한 네트워크는 뚜렷하게 이식된 다수의 양자점-표지 난소암세포로 이식된 봉한조직의 복잡한 네트워크가 고환 지방에서 관찰되었다(도 5B). 지방 조직에서 산란되는 빛의 간섭 없는 봉한조직에서의 파종된 암세포의 시각화는 정교한 다중 스펙트럼 이미징에 의해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분석한 사례에서 봉한절 및 림프절에서의 양자점-표지 암세포의 축적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도 5C). 평균 형광 강도 값을 하대정맥 부근의 봉한절(예를 들어, 자유롭게 움직이는 봉한관에 연결된 자유롭게 움직이는 구조, 화살머리표) 및 두 개의 림프절(예를 들어, 림프관에 연결된 둘러싸인 구조, 점선 화살표)에서의 유사 관심영역으로부터 수득하였다(도 5C). 상기 봉한절은 양자점-표지 암세포의 더 높은 침윤에 의해 림프절과 구분되었다(도 6).The results of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quantum dot-labeled cancer cells also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onghan tube and cancer metastasis.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ors were able to demonstrate quantum dot-labeled ovarian cancer cell infiltration in Bonghan tissue using intraperitoneal (i.p.) inoculation method in athymic immunodeficient mice (n = 5). Two or three weeks after inoculation, site-specific transplantation of quantum dot-labeled SK-OV-3 in peritoneal tissue following intra-operative guidance from the NIR multispectral imaging system was investigated. Numerous quantum dot-labeled ovarian cancer cells selectively infiltrated into Bonghan ganglia, frequently identified as translucent point structures in the greater omentum (FIG. 5A). A complex network of Bonghan tissues A complex network of Bonghan tissues transplanted with a number of distinctly transplanted quantum dot-labeled ovarian cancer cells was observed in testicular fat (FIG. 5B). Visualization of seeded cancer cells in Bonghan tissue without interference of light scattered from adipose tissue could be obtained by sophisticated multispectral imaging. We quantitatively compared the accumulation of quantum dot-labeled cancer cells in bony and lymph nodes in the analyzed cases (FIG. 5C). The mean fluorescence intensity value is similar to the interest in Bonghan nodes near the inferior vena cava (eg, freely moving structures connected to freely moving Bonghan ducts, arrowheads) and two lymph nodes (eg, enclosed structures connected to lymphatic vessels, dotted arrows). Obtained from the area (FIG. 5C). The Bonghan ganglia were differentiated from lymph nodes by higher infiltration of quantum dot-labeled cancer cells (FIG. 6).

실시예 5: 조직병리학적 분석Example 5: Histopathological Analysis

본 발명자들은 비 손상된 암세포로부터의 NIR 형광 신호의 존재 및 봉한조직의 구분되는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후속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 봉한조직 내에서의 전이 과정을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도 7). 도 7A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재성 종양이 성공적으로 생성된 피하 NCI-H460 마우스 이종이식 모델에서 전이된 기관이 관찰되었다. 양자점으로부터 생성되는 특징적인 NIR 형광(적색과 중첩되어 있음)에서 나타나듯이, 표재성 종양으로부터 탈출한 후, 양자점-표지 암세포의 군집이 소장융모(첫 번째 열), 간(두 번째 열) 및 폐(마지막 열)에서 발생하였다. 다른 기관에서의 전이의 발달은 양자점으로 세포를 표지하는 것이 암세포의 생동성 및 기능에 검출할만한 부작용이 없고, 피하 NCI-H460 이종이식 모델이 전이의 연구에 적합함을 의미한다. 도 7B는 봉한절(첫 번째 열), 표재성 종양 부근의 봉한관(두 번째 열) 및 복강 봉한관(마지막 열) 내에 정체된 양자점-표지 암세포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나타낸다. NIR 형광의 현미경에 의한 확인을 통해, 생체내 데이터와 일치하게, 다수의 양자점-표지된 암세포가 봉한관 및 봉한절의 시료에 위치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도 2 및 4). H&E 염색 및 베르회프 염색을 통해, 종래 보고와 일치하는(Soh et al., J. Acupunct. Meridian Stud., 2(2): 93-106, 2009; Ogay et al., J. Acupunct. Meridian Stud., 2(2): 107-117, 2009) 횡으로 절단된 봉한절에서의 다중-강 구조 및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봉한관에서 막대 목양의 핵의 전형적인 정렬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 7C는 이미 도 5에서 생체 내 다중 스펙트럼 이미징에 의해 확인된 바와 같이, 봉한관을 침투하는 복강내 접종된 양자점-표지된 암세포의 확인을 나타낸다. 암세포의 핵을 둘러싸는 세포질에서 위치하는 NIR 양자점은 봉한관 내부에서 분명히 관찰된다(첫 번째 열). 더 나아가, 현미경에 의한 관찰결과, 지방조직(두 번째 열)에서 막대-모양의 핵으로 둘러싸여 있는 봉한관의 다중 강을 침윤하고 있는 다수의 양자점-표지된 암세포가 확인되었으나, 동일 지방조직에서 림프절의 단일한 깨끗한 내강에서는 더 적은 암세포가 관찰되었다(마지막 열). 이와 관련하여, 세포외 기질로 어떠한 양잦점도 방출되지 않았으며, 상기 양자점은 모든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통해 모두 암세포 내에 위치하였으며, 이는 생체내 결과의 신뢰성을 더욱 확인해줌을 주목하여야 한다.In order to confirm the presence of the NIR fluorescence signal from the non-injured cancer cells and the distinctive morphology of the bony tissues, the present inventors further confirmed the metastasis process in the bony tissues as a result of subsequent histopathological analysis (FIG. 7). ). As shown in FIG. 7A, metastasized organs were observed in a subcutaneous NCI-H460 mouse xenograft model in which superficial tumors were successfully produced. As shown by the characteristic NIR fluorescence generated from quantum dots (overlapping with red), after escaping from superficial tumors, a population of quantum dot-labeled cancer cells developed intestinal villi (first row), liver (second row) and lung ( Last row). The development of metastases in other organs means that labeling cells with quantum dots has no detectable side effects on the viability and function of cancer cells, and the subcutaneous NCI-H460 xenograft model is suitable for the study of metastasis. FIG. 7B shows representative images of quantum dot-labeled cancer cells stagnated in Bonghan ganglia (first row), Bonghan duct (second row) and peritoneal Bonghan duct (last row) near superficial tumors. Microscopic confirmation of NIR fluorescence confirmed that a number of quantum dot-labeled cancer cells were located in the Bonghan duct and Bonghan duct samples consistent with in vivo data (FIGS. 2 and 4). Through H & E staining and Berghofe staining, which is consistent with previous reports (Soh et al ., J. Acupunct. Meridian Stud ., 2 (2): 93-106, 2009; Ogay et al ., J. Acupunct. Meridian Stud , 2 (2): 107-117, 2009) A typical alignment of the rod sheath nucleus can be observed in the multi-steel structure and the longitudinally cut Bonghan duct in the transversely cut Bonghan pelvis. FIG. 7C shows the identification of intraperitoneally inoculated quantum dot-labeled cancer cells penetrating the Bonghan duct, as already confirmed by in vivo multispectral imaging in FIG. 5. NIR quantum dots located in the cytoplasm surrounding the nucleus of cancer cells are clearly observed inside the Bonghan duct (first row). Furthermore, microscopic observations revealed a number of quantum dot-labeled cancer cells infiltrating multiple cavities in the Bonghan duct, surrounded by rod-shaped nuclei in adipose tissue (second row), but in lymphoid tissues of the same adipose tissue. Fewer cancer cells were observed in a single clean lumen (last row). In this regard, it should be noted that no frequent spots were released into the extracellular matrix and the quantum dots were all located within the cancer cells through all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s, which further confirms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in viv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봉한조직에서의 암세포 이동 및 이식에 대한 생체 내 이미징을 통해 원발종양의 근처로부터 복강으로의 암세포의 추가적인 경로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기 봉한조직은 암 발달의 다양한 시기 동안에 혈관성 및 림프관성 경로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에 의한 연구결과는 종양 전이와 관련된 이러한 새로운 구조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 전략의 개발을 위한 새로운 실마리를 제공할지 모른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대비 및 고감도의 생체내 이미징 시스템은 봉한조직에서의 암세포의 이동 및 침윤 기전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ors were able to confirm the presence of additional pathways of cancer cells from the vicinity of the primary tumor to the abdominal cavity through in vivo imaging of cancer cell migration and transplantation in the Bonghan tissue, and the Bonghan tissue was found in various stages of cancer development. It was found that during the period it can operate independently of the vascular and lymphatic pathways. Thus, the findings by the inventors may provide new clues for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strategies targeting these new structures associated with tumor metastasis. On the other hand, the high contrast and high sensitivity in vivo imaging syste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f great help in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cancer cell migration and infiltration in the bony tissue.

본 발명의 방법은 효율적이고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봉한관을 통한 암의 전이 기전의 규명 및 전이 억제 물질의 스크리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Sinc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icient and highly sensitive, it can be usefully used for screening metastasis suppressor and metastasis mechanism of cancer through Bonghan duct.

Claims (10)

(ⅰ) 암세포에 양자점 염료를 미세주입하는 단계;
(ⅱ) 양자점 염료가 주입된 암세포를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주입하여 암 발생을 유도하는 단계;
(ⅲ) 상기 동물의 암 발생 부위 주변을 절개한 후 다중 스펙트럼 형광 이미징 장치로 복수의 방출 파장에 따른 형광 이미지 및 광학 컬러 이미지를 수득하는 단계;
(ⅳ) 상기 형광 이미지에서 암 전류 이미지 및 내재 형광 이미지를 고려하여 정상화 형광 이미지를 수득하는 단계; 및
(ⅴ) 상기 광학 컬러 이미지와 상기 정상화 형광 이미지를 비교하여, 봉한관에 형광이 나타나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봉한관을 통한 암세포의 전이의 측정방법.
(Iii) microinjecting the quantum dot dye into cancer cells;
(Ii) injecting cancer cells injected with the quantum dot dye into an animal other than a human to induce cancer development;
(Iv) obtaining a fluorescence image and an optical color image according to a plurality of emission wavelengths after the incision around the cancer-generating site of the animal;
(Iii) obtaining a normalized fluorescence image by considering a dark current image and an intrinsic fluorescence image in the fluorescence image; And
(Iii) comparing the optical color image with the normalized fluorescence image to determine whether fluorescence is present in the Bonghan duct, the method of measuring metastasis of cancer cells through the Bonghan duc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주입은 전기천공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한관을 통한 암세포의 전이의 측정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icroinjection is performed by electropora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천공법은 펄스 너비 50 내지 150 μs, 펄스 간격 50 내지 150 μs, 펄스 횟수 15 내지 25 번 및 펄스 진폭 0.5 내지 2.0 kV/cm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한관을 통한 암세포의 전이의 측정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lectroporation is performed through a Bonghan 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pulse width 50 to 150 μs, pulse interval 50 to 150 μs, pulse number 15 to 25 times and pulse amplitude 0.5 to 2.0 kV / cm Method for measuring metastasis of cancer cell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점 염료는 CdTeSe 합금 양자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한관을 통한 암세포의 전이의 측정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quantum dot dye is a CdTeSe alloy quantum do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을 제외한 동물은 누드마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한관을 통한 암세포의 전이의 측정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nimal other than the human is a nude mouse. (ⅰ) 암세포에 양자점 염료를 미세주입하는 단계;
(ⅱ) 양자점 염료가 주입된 암세포를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주입하여 암 발생을 유도하는 단계;
(ⅲ) 상기 암 발생이 유도된 동물에 항-암전이 후보물질을 투여하는 단계;
(ⅳ) 상기 후보물질을 투여한 동물 및 후보물질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동물의 암 발생 부위 주변을 절개한 후 다중 스펙트럼 형광 이미징 장치로 복수의 방출 파장에 따른 형광 이미지 및 광학 컬러 이미지를 수득하는 단계;
(ⅳ) 상기 형광 이미지에서 암 전류 이미지 및 내재 형광 이미지를 고려하여 정상화 형광 이미지를 수득하는 단계; 및
(ⅴ) 상기 광학 컬러 이미지 상으로 확인된 봉한관에 나타난 형광이 대조군의 봉한관에 나타난 형광보다 적게 검출되는 후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 봉한관을 통한 암세포 전이를 억제하는 물질의 생체내 스크리닝 방법.
(Iii) microinjecting the quantum dot dye into cancer cells;
(Ii) injecting cancer cells injected with the quantum dot dye into an animal other than a human to induce cancer development;
(Iii) administering an anti-cancer metastasis candidate to the animal inducing cancer;
(Iii) obtaining a fluorescence image and an optical color image according to a plurality of emission wavelengths by dissection around the cancer-generating site of the animal to which the candidate is administered and the control animal to which the candidate is not administered ;
(Iii) obtaining a normalized fluorescence image by considering a dark current image and an intrinsic fluorescence image in the fluorescence image; And
(Iii) screening a candidate substance for inhibiting cancer cell metastasis through the Bonghan duct, comprising selecting a candidate substance whose fluorescence shown in the Bonghan duct identified on the optical color image is less than that shown in the Bonghan duct of the control group.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주입은 전기천공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한관을 통한 암세포 전이를 억제하는 물질의 생체내 스크리닝 방법.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icro-injection is performed by electroporation method in vivo screening of a substance for inhibiting cancer cell metastasis through Bonghan duc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천공법은 펄스 너비 50 내지 150 μs, 펄스 간격 50 내지 150 μs, 펄스 횟수 15 내지 25 번 및 펄스 진폭 0.5 내지 2.0 kV/cm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한관을 통한 암세포 전이를 억제하는 물질의 생체내 스크리닝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lectroporation is performed through a Bonghan 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pulse width 50 to 150 μs, pulse interval 50 to 150 μs, pulse number 15 to 25 times and pulse amplitude 0.5 to 2.0 kV / cm In vivo screening methods of substances that inhibit cancer cell metastasi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점 염료는 CdTeSe 합금 양자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한관을 통한 암세포 전이를 억제하는 물질의 생체내 스크리닝 방법.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quantum dot dye is a CdTeSe alloy quantum dot in vivo screening method of a substance for inhibiting cancer cell metastasis through Bonghan duc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을 제외한 동물은 누드마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한관을 통한 암세포 전이를 억제하는 물질의 생체내 스크리닝 방법.The in vivo screening method of a substance for inhibiting cancer cell metastasis through Bonghan duct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nimal other than human is a nude mouse.
KR1020100132749A 2010-12-22 2010-12-22 A method for imaging metastasis of cancer via primo-vessel KR1012187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749A KR101218798B1 (en) 2010-12-22 2010-12-22 A method for imaging metastasis of cancer via primo-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749A KR101218798B1 (en) 2010-12-22 2010-12-22 A method for imaging metastasis of cancer via primo-vess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139A KR20120071139A (en) 2012-07-02
KR101218798B1 true KR101218798B1 (en) 2013-01-07

Family

ID=4670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749A KR101218798B1 (en) 2010-12-22 2010-12-22 A method for imaging metastasis of cancer via primo-vess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79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374B1 (en) 2019-09-09 2021-08-26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Electro Chemical wireless diagnosing method using Carbon quantum dot
KR102256817B1 (en) 2019-09-09 2021-05-26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Self­Healing Electro Chemical wireless diagnosing method using Hydrogel with Carbon quantum do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7000A (en) * 2005-01-21 2006-08-31 Na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Indexing method of allergy seriousness
KR100902445B1 (en) * 2007-03-30 2009-06-1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Visualizing method of Cell from internal organ-surface Corpuscle and Duct
KR100904746B1 (en) * 2007-10-11 2009-06-2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Method of Injecting Liquid Agents at Acupuncture Points to Arrive Internal Organs and Method of Visualizing Arrival of Liquid Agents
JP4585050B1 (en) * 2009-03-30 2010-11-24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Fluorescence observation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7000A (en) * 2005-01-21 2006-08-31 Na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Indexing method of allergy seriousness
KR100902445B1 (en) * 2007-03-30 2009-06-1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Visualizing method of Cell from internal organ-surface Corpuscle and Duct
KR100904746B1 (en) * 2007-10-11 2009-06-2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Method of Injecting Liquid Agents at Acupuncture Points to Arrive Internal Organs and Method of Visualizing Arrival of Liquid Agents
JP4585050B1 (en) * 2009-03-30 2010-11-24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Fluorescence observation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139A (en) 201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oo et al. Evidence for an additional metastatic route: in vivo imaging of cancer cells in the primo-vascular system around tumors and organs
Li et al. In vivo real-time visualization of tissue blood flow and angiogenesis using Ag2S quantum dots in the NIR-II window
EP2980585B1 (en) Vital stain
Sato et al. Near infrared photoimmunotherapy for lung metastases
Uchugonova et al. Cancer-cell killing by engineered Salmonella imaged by multiphoton tomography in live mice
CN101594827B (en) Apparatus for blocking abnormal electrical conduction using photodynamic therapy (pdt)
JPWO2019107370A1 (en) Detection method
Papagiannaros et al. Quantum dots encapsulated in phospholipid micelles for imaging and quantification of tumors in the near-infrared region
Jiguet-Jiglaire et al. Noninvasive near-infrared fluorescent protein-based imaging of tumor progression and metastases in deep organs and intraosseous tissues
CN113456613B (en)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near-infrared light activated macrophage-nano prodrug targeted drug delivery system
US20100068148A1 (en) Enhanced resolution of tumor metastasis using a skin flap model
WO2020241633A1 (en) Lesion detection method
KR101218798B1 (en) A method for imaging metastasis of cancer via primo-vessel
Hoffman Back to the future: are tumor-targeting bacteria the next-generation cancer therapy?
Hoffman In vivo cell biology of cancer cells visualized with fluorescent proteins
EP3572094A1 (en) Composition for photodynamic therapy using gene expressing fluorescent protein and photosensitizer, and photodynamic therapy method using same
Yoo et al. In vivo imaging of cancer cells with electroporation of quantum dots and multispectral imaging
AU2002326872A1 (en) Enhanced resolution of tumor metastasis
Paulson et al. Longitudinal micro-endoscopic monitoring of high-success intramucosal xenografts for mouse models of colorectal cancer
KR20170095742A (en) preparation method of lung cancer animal model
Kang et al. Technical challenges in current primo vascular system research and potential solutions
McKinnon et al. Fluorescence and Bioluminescence Imaging of Orthotopic Brain Tumors in Mice
CA3078689A1 (en) Methods for monitoring bladder cancer immunotherapy
US10500289B2 (en) Method of using methylene blue nanoparticle for detecting cancer by bioimaging
Wang Optical imaging of immune response following synergistic immune photothermal therapy (SYMPHONY) for bladder cancer using a murine window chamber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