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624B1 - Apparatus of guiding walk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guiding walk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624B1
KR101217624B1 KR1020100106939A KR20100106939A KR101217624B1 KR 101217624 B1 KR101217624 B1 KR 101217624B1 KR 1020100106939 A KR1020100106939 A KR 1020100106939A KR 20100106939 A KR20100106939 A KR 20100106939A KR 101217624 B1 KR101217624 B1 KR 101217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event
location space
path
wa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9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45417A (en
Inventor
서종환
최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6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624B1/en
Publication of KR20120045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4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6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07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행 안내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모바일 단말기는 목표위치공간을 입력받은 후 현 위치공간과 목표위치공간 사이의 보행 경로의 대기 구간의 수 및 이동 거리를 고려한 최적의 보행 경로를 산정하고, 목표위치공간과 연계된 목표 이벤트의 발생일정의 타이밍을 맞출 수 있는 권장보행속도를 포함한 보행방법을 산정한 후 산정된 보행경로 및 보행방법을 표시하고 안내한다.Disclosed are a walking guidance apparatus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After receiving the target location space, the mobile terminal calculates the optimal walking path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and moving distance of waiting sections of the walking path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space and the target location space, and the occurrence schedule of the target event associated with the target location space. After calculating the walking method including the recommended walking speed to meet the timing, the calculated walking path and walking method are displayed and guided.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행 안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of guiding walk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Apparatus for guiding walk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행 안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표위치공간과 연관된 이벤트의 발생 타이밍을 맞출 수 있도록 보행을 안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guidance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guiding walking so as to match an occurrence timing of an event associated with a target location space.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의 향상과 더불어 자이로스코프, GPS, 카메라 등 다양한 센서들이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됨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context)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각 상황에 맞는 적합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서비스들은 단순히 사용자 상황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단순 정보를 조회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할 뿐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에 버스운행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관심 노선의 시간표 조회, 사용자의 현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정류소 위치, 버스의 현 위치나 도착 예정 시간 등의 정보를 단순 제공할 뿐이다. 그러나 사용자는 원하는 시간대의 관심 버스에 승차하기 위하여 버스의 도착 전에 현 위치에서 버스정류장까지 걸어서 이동을 해야 하는데 버스정류장에 너무 일찍 또는 너무 늦게 도착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In addition to the improvement of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various sensors such as gyroscopes, GPS, cameras, etc. ar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s, and various services that collect and analyze context information of users and provide appropriate functions for each situation are provided. Is being developed. However, the conventional services simply grasp the user situation and provide simpl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when providing bus operation information to a mobile terminal, it simply provides information such as a timetable inquiry of a route of interest, a location of a stop closest to a user's current location, and a current location or estimated time of arrival of a bus. However, in order to get on the bus of interest in the desired time zone, the user has to walk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bus stop before the arrival of the bus, but the situation frequently arrives at the bus stop too early or too lat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목표위치공간과 연계된 이벤트의 발생 타이밍에 맞출 수 있도록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 위치부터 목표위치까지의 보행방법을 안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guiding a walking method from a current position to a target position using a mobile terminal so as to match an occurrence timing of an event associated with a target position spac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행 안내 방법의 일 예는, 목표위치공간을 입력받은 후 현 위치공간과 목표위치공간 사이의 보행 경로의 대기 구간의 수 및 이동 거리를 고려한 최적의 보행 경로를 산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위치공간과 연계된 목표 이벤트의 발생일정의 타이밍을 맞출 수 있는 권장보행속도를 포함한 보행방법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행경로 및 보행방법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xample of a walking guidance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receiving the target location space, the number and movement of waiting sections of the walking path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space and the target location space Calculating an optimal walking path in consideration of distance; Calculating a walking method including a recommended walking speed capable of matching a timing of an occurrence schedule of a target event associated with the target location space; And displaying the walking path and the walking method.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일 예는, 목표위치공간을 입력받은 후 현 위치공간과 목표위치공간 사이의 보행 경로의 대기 구간의 수 및 이동 거리를 고려한 최적의 보행 경로를 산정하는 보행경로 산정부; 상기 목표위치공간과 연계된 이벤트의 발생일정의 타이밍을 맞출 수 있는 권장보행속도를 포함한 보행방법을 산정하는 보행방법 산정부; 및 상기 보행경로 및 보행방법을 표시하는 보행 안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receiving the target location space is optimal considering the number of moving sections and the walking distance of the walking path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space and the target location space Pedestrian path calculation for calculating pedestrian paths; A pedestrian method calculating a pedestrian method including a recommended pedestrian speed capable of matching a timing of an event schedule associated with the target location space; And a walking guide unit displaying the walking path and the walk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현 위치공간에서 목표위치공간에 대한 이벤트의 발생일정 중 보행이동시 타이밍 맞춤이 가능한 이벤트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의 타이밍을 맞추기 위한 보행 이동시의 최적의 보행 속도 등을 안내받음으로써 보행 중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뿐 아니라 이벤트의 타이밍에 맞게 목표위치공간에 도착할 수 있어 목표위치공간에 너무 일찍 도착하거나 또는 너무 늦게 도착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grasp the event that can be adjusted at the time of walking movement of the event schedule for the target location space in the current location space. In addition, by guiding the optimal walking speed during walking movement to adjust the timing of the event, it minimizes the waiting time while walking and arrives at the target location space according to the timing of the event. You can prevent late arriva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안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서버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보행 안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안내 서비스를 위한 이벤트 선택 방법의 구체적인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안내 서비스 중 목표위치공간이 버스 정류장인 경우의 이벤트 선택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맞춤이 가능한 이벤트를 선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방법을 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보행 방법의 산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방법을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안내를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for performing a walking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 walking guidance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pecific example of an event selection method for a walking guidanc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to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event selection method when the target location space of the walking guidanc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selecting an event capable of timing alig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calculating a wal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walking metho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guiding a wal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user through a mobile terminal, and
11 to 13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isplaying a walking guide on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보행 안내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walking guidance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안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서버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for performing a walking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서버(15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모바일 단말기(100)는 서버(150)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기초로 보행 안내 방법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기(100)는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서버(150)와 통신을 수행하며 소정의 연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이면 가능하며, 일 예로 스마트 폰 등이 있다.Referring to FIG. 1, a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 server 15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obile terminal 100 grasps a walking guidance method based on information of various databases stored in the server 150 to a user. to provide. Herei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determining its own location,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150, and performing a predetermined calculation process, for example, a smartphone.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행경로 산정부(110), 이벤트 확인부(120), 보행방법 산정부(130) 및 보행 안내부(140)를 포함하며 서버(150)는 위치공간정보DB(160), 이벤트정보DB(170) 및 대기구간일정DB(180)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alking path calculation unit 110, an event check unit 120, a walking method calculation unit 130, and a walking guide unit 140, and the server 150 includes a location spatial information DB. 160, the event information DB 170, and the waiting section schedule DB 180.

보행경로 산정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목표위치공간을 입력받은 후 현 위치공간과 목표위치공간 사이의 보행 경로의 대기 구간의 수와 이동 거리를 고려한 최적의 보행 경로를 산정한다. 보행경로 산정부(110)는 서버의 위치공간정보DB(160)로부터 위치공간지도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목표위치공간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The walking path calculation unit 110 calculates an optimal walking path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moving sections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walking path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space and the target location space after receiving the target location space from the user. The pedestrian path calculation unit 110 receives the location space map from the location space information DB 160 of the server and displays the location space map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nput the target location space.

이벤트 확인부(120)는 서버의 이벤트정보DB(17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목표위치공간에 대한 이벤트 카테고리를 조회하여 표시하며,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이벤트 카테고리의 발생일정을 이벤트정보DB(170)에서 조회하여 타이밍 맞춤이 가능한 이벤트 리스트를 표시한다. 만약 목표위치공간에 대한 이벤트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가 하나만 존재하여 사용자의 선택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타이밍 맞춤이 가능한 이벤트 리스트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다시 설명한다.The event checking unit 120 searches and displays an event category of a target location spac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event information DB 170 of the server, and also displays an event schedule of the event category selected by the user in the event information DB 170. Display a list of events for which timing can be customized. If there is only one information on the event category for the target location space and the user's selection is not necessary, the user's selection process for the event can be omitted. A method of identifying an event list capable of timing align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보행방법 산정부(130)는 보행경로를 대기가 발생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각 구간으로 나눈 후 대기구간일정DB(180)를 참조하여 각 대기구간 사이에서 발생하는 대기시간을 예측하고 각 구간 사이의 지점에서 발생하는 대기의 평균주기 등을 계산한 후 각 구간 사이에 대기시간이 최대한 발생하지 않도록 각 구간별로 권장보행 속도를 계산한다. 보행방법의 산정 방법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The pedestrian method calculation unit 130 divides the pedestrian path into each section based on the point where the air is generated and then predicts the waiting time between each section by referring to the waiting section schedule DB 180. After calculating the average period of waiting time at the point, calculate the recommended walking speed for each section so that the waiting time does not occur between the sections as much as possible. A method of calculating the walkin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보행 안내부(140)는 보행경로 및 보행방법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표시한다. 보행 안내 방법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walking guide unit 140 displays the walking path and the walking method through various methods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The walking guidanc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3.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보행 안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2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 walking guidance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210)는 사용자(200)로부터 목표위치공간을 입력받는다(S254). 사용자(200)의 목표위치공간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모바일 단말기(210)는 먼저 서버(220)의 위치공간정보DB(미도시)로부터 위치공간지도를 수신한 후(S250) 이를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한다(S252). 사용자(200)는 지도를 이용해 원하는 목표위치공간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S254). 본 실시예는 위치공간지도를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 외 주소 검색이나 목표위치공간의 이름(예를 들어, 역명이나 영화관 이름 등)을 통해서도 목표위치공간을 입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the mobile terminal 210 receives a target location space from the user 200 (S254). In order to facilitate input of the target location space of the user 200, the mobile terminal 210 first receives a location space map from a location spatial information DB (not shown) of the server 220 (S250). Displayed on the screen (S252). The user 200 may easily select a desired target location space using a map (S254). 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illustrates a case of using a location space map, the target location space may also be input through an address search or a name of the target location space (for example, a station name or a movie theater name).

사용자의 목표위치공간 입력 후, 모바일 단말기(210)는 GPS 등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현 위치를 파악한다(S256). 모바일 단말기(210)의 현 위치 파악은 GPS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종래 구현 가능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현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After inputting the target location space of the user, the mobile terminal 210 detect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by using the GPS (S256).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10 is not limited to the GPS, and the current location may be determined through various methods that can be conventionally implemented.

모바일 단말기(210)는 현 위치공간과 목표위치공간 사이의 보행 가능한 이동 경로 중 최적의 보행 경로를 선택한다(S258). 즉 모바일 단말기(210)는 현 위치공간과 목표위치공간 사이의 가능한 보행 경로 중 이동 거리, 횡단 보도와 같은 대기 구간의 수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보행 경로를 선택한다. 최적의 보행 경로로 최소의 대기 구간의 수 또는 최소의 이동거리를 갖는 경로가 선택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210 selects an optimal walking path among the walkable moving paths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space and the target location space (S258). That is, the mobile terminal 210 selects an optimal walking path in consideration of the moving distance and the number of waiting sections such as a crosswalk among the possible walking paths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space and the target location space. As the optimal walking path, a path having a minimum number of waiting sections or a minimum moving distance may be selected.

모바일 단말기(210)는 사용자가 선택한 목표위치공간과 연계된 이벤트 카테고리를 서버(220)의 이벤트정보 DB(미도시)를 통해 조회하고 제공받아 이를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하며(S260,S262), 사용자(200)는 모바일 단말기(210)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목표 이벤트 카테고리를 선택한다(S264). 만약 목표위치공간과 연계된 이벤트 카테고리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라면 목표 이벤트 카테고리를 조회하고 선택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210 displays and receives an event category associated with the target location spac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event information DB (not shown) of the server 220 and displays it on the mobile terminal (S260, S262). 200 selects a target event category to receive a servic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10 (S264). If there is only one event category associated with the target location space,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nd selecting the target event category may be omitted.

서버(220)의 이벤트정보 DB(미도시)는 특정위치공간과 연관된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정보 DB는 특정위치공간이 버스 정류장인 경우에는 버스노선이나 버스 도착시간 등 버스 정보에 대한 정보가 각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영화관이 경우에는 상영영화나 상영시간을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특히 특정 위치 공간이 버스 정류장인 경우의 이벤트 조회 및 선택 과정에 대해서는 도 2b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The event information DB (not shown) of the server 220 store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pecific location space for each category. For example, the event information DB stores information about bus information such as bus route and bus arrival time in each category when a specific location space is a bus stop.In the case of a movie theater, a movie or a show time is categorized. Store as classified. In particular, an event inquiry and selection process when a specific location space is a bus sto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B to 6.

모바일 단말기(210)는 목표 이벤트 카테고리가 선택되면(S266) 해당 목표 이벤트 카테고리의 발생일정을 이벤트정보 DB로부터 조회하여 표시한다(S268). 이때 모바일 단말기(210)는 선택된 보행 경로를 참조하여 이벤트의 발생일정의 타이밍에 맞추어 목표위치공간에 도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타이밍 맞춤이 가능한 이벤트를 표시한다. 타이밍 맞춤이 가능한 이벤트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When the target event category is selected (S266), the mobile terminal 210 displays and displays the schedule of occurrence of the target event category from the event information DB (S268). 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210 refers to the selected pedestrian path to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location space can be reached according to the timing of the event occurrence schedule and displays an event capable of timing alignment.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event is capable of timing align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사용자가 타이밍 맞춤이 가능한 이벤트들 중 목표 이벤트를 선택하면(S270), 해당 목표 이벤트의 타이밍 맞춤이 가능하도록 선택된 보행 경로의 대기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행 방법을 산정한 후(S272), 보행경로와 보행방법을 사용자에게 안내한다(S274). 보행 방법의 산정방법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고, 보행 안내 방법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When the user selects a target event among the timing alignment events (S270), after calculating a walking method that minimizes the waiting time that may occur in the waiting section of the walking path selected to enable timing alignment of the target event. In operation S272, the user walks the walking path and the walking method (S274).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walking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and the walking guidanc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3.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안내 서비스를 위한 이벤트 선택 방법의 구체적인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안내 서비스 중 목표위치공간이 버스 정류장인 경우의 이벤트 선택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b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2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pecific example of an event selection method for a walking guidanc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to 6 are events selection when the target location space is a bus stop among the walking guidance ser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xample of a method is shown.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2B to 6.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사용자가 목표위치공간(330)으로 버스정류장을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기는 현 위치공간(330)과 목표위치공간(330) 사이의 보행 경로(320)를 산정한다. 이때 보행 경로에는 대기 구간(310)이 포함된다.First, referring to FIG. 3, when the user selects a bus stop as the target location space 330, the mobile terminal calculates a walking path 320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space 330 and the target location space 330. At this time, the walking path includes a waiting section 310.

도 2b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3과 같이 목표위치공간(330)으로 버스정류장을 선택한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서버의 이벤트정보 DB를 조회하여 버스정류장과 연관된 이벤트 카테고리를 표시한다(S280). 그리고 사용자가 이벤트 카테고리 중 '버스도착' 이벤트를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기는 서버의 이벤트정보 DB를 조회하여 '버스도착' 이벤트 카테고리인 '버스노선' 리스트(400)를 표시한다(S282). 2B and 4, when the user selects a bus stop as the target location space 330 as shown in FIG. 3,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n event category associated with the bus stop by searching the event information DB of the server (S280). ). When the user selects the 'bus arrival' event among the event categories, the mobile terminal inquires the event information DB of the server and displays the 'bus route' list 400 which is the 'bus arrival' event category (S282).

도 2b 및 도 5,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버스노선' 리스트(400)에서 버스번호로 2010번(500)을 선택한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버스번호 2010번의 도착일정(510)을 조회하여 표시하되(S284), 도착일정 중 선택된 보행경로에서 타이밍 맞춤, 즉 도착일정에 도착가능한 리스트(600)를 표시한다(S286). 2B and 5 and 6, when the user selects the 2010 number 500 as the bus number in the 'bus route' list 400,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nd displays the arrival schedule 510 of the bus number 2010. At step S284, the timing 600 that matches the timing of the selected walking path among the arrival schedule, that is, the arrival schedule 600, is displayed (S286).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된 타이밍 맞춤이 가능한 도착일정 중 하나를 목표 이벤트로 선택한다(S288).The user selects one of the arrival schedules capable of timing alignment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as the target event (S288).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맞춤이 가능한 이벤트를 선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selecting an event capable of timing alig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는 선택한 보행 경로를 대기가 발생하는 지점(예를 들어, 횡단보도 등)을 기준으로 각 구간으로 나눈다(S700). 구간별 최대 대기시간을 구하고(S702) 이를 합산하여 보행 경로에서의 전체 대기 시간을 구한다(S704). 예를 들어, 대기가 발생하는 지점이 L-1개인 경우 보행 경로는 L개의 구간(구간1, 구간2,..., 구간L)으로 나누어지며, 각 구간별 최대 대기시간은 각 구간에서 대기가 발생하는 지점의 최대 대기 시간에 따라 MW1, MW2,...MWL-1과 같이 구해지고, 따라서 전체 대기 시간(MW)은 MW1+MW2+...+MWL-1로 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mobile terminal divides the selected walking path into respective sections based on the point where the air is generated (for example, pedestrian crossing, etc.) (S700). The maximum waiting time for each section is obtained (S702) and the sum is calculated to obtain the total waiting time for the walking path (S704). For example, if there is an L-1 point where waiting occurs, the walking path is divided into L sections (section 1, section 2, ..., section L), and the maximum waiting time for each section is waiting in each section. MW1, MW2, ... MWL-1 is obtained according to the maximum waiting time at the point where is generated. Therefore, the total waiting time (MW) can be obtained as MW1 + MW2 + ... + MWL-1.

또한 사람의 평균걸음속도를 기준으로 느리게 걸었을 때와 빠르게 걸었을 때의 속도를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은 후 설정된 느린 걸음 속도 및 빠른 걸음 속도를 기준으로 보행 경로의 이동소요시간을 각각 산정한다(S710,S720). In addition, after calculating the slow walking speed and the fast walking speed based on the average walking speed of the user, the movement time of the walking path is calculated based on the set slow walking speed and the fast walking speed, respectively (S710, S720).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느린 걸음에 대해서는 평균걸음속도에 0.8과 1 사이의 값(S)을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아 수학식 1과 같이 S배 느린 걸음에 대한 보행이동소요시간(T1)을 구하고(S710) 전체 대기 시간을 함께 고려한 전체 보행이동소요시간(MT1)을 구한다(S730).Specifically, for the user's slow pace, a value (S) between 0.8 and 1 is set in the average pace, and the walking movement time (T1) for the S times slower pace is calculated as shown in Equation 1 (S710). The total walking movement time MT1 in consideration of the waiting time is obtained (S730).

Figure 112010070577775-pat00001
Figure 112010070577775-pat00001

동일한 방법으로 빠른 걸음에 대해서는 평균걸음속도에 1과 1.2 사이의 값(F)을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아 수학식 2와 같이 F배 빠른 걸음에 대한 보행이동소요시간(T2)을 구하고(S720) 전체 대기 시간을 함께 고려한 전체 보행이동소요시간(MT2)을 구한다(S750).In the same way, for a fast pace, the user sets a value (F) between 1 and 1.2 for the average pace and obtains a walking movement time (T2) for a F times faster pace as shown in Equation 2 (S720). Obtaining the total walking movement time MT2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S750).

Figure 112010070577775-pat00002
Figure 112010070577775-pat00002

이러한 방법을 통해 구해진 전체 보행이동소요시간의 최대 및 최소값에 현 시점의 시간을 파악하여(S750) 합산한 후 그 사이에 발생일정이 속하는 이벤트, 즉 "(현 시점 + MT2) <= 이벤트 발생일정 <= (현 시점 + MT1)"를 만족하는 이벤트를 타이밍 맞춤이 가능한 이벤트로 선택한다(S760).In this way, the current time is identified and summed up to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total walking movement time obtained through this method (S750), and the event that the occurrence schedule belongs to, ie, "(current time + MT2) <= event occurrence schedule An event satisfying <= (current time + MT1) "is selected as an event capable of timing alignment (S76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방법을 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calculating a wal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는 선택된 보행 경로를 대기가 발생하는 지점(예를 들어, 횡단보도 등)을 기준으로 각 구간별로 나눈다(S800). Referring to FIG. 8, the mobile terminal divides the selected walking path for each section based on a point where waiting occurs (for example, a crosswalk, etc.) (S800).

모바일 단말기는 서버의 대기구간일정DB(850)를 참조하여 각 대기가 발생하는 지점에서의 대기 발생 일정을 조회하여(S810) 현 시점에서 평균걸음속도로 걸었을 때 각 구간 사이에서 발생하는 대기시간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하여 구간별로 예측되는 대기시간을 구한다(S820). 예를 들어, 평균걸음속도를 기준으로 첫 번째 대기가 발생하는 지점까지의 이동시간을 구하면 현 시점에서 얼마 후에 첫 번째 대기가 발생하는 지점에 도착하는지 알 수 있고 또한 그 시점에 대기발생일정에 따른 첫 번째 대기가 발생하는 지점의 대기발생 일정을 파악하여 대기시간을 구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각 구간별로 시뮬레이션하여 구간별 예측되는 대기시간을 구한다.The mobile terminal refers to the standby section schedule DB 850 of the server and inquires the schedule of occurrence of the wait at the point where each wait occurs (S810). By predicting through the simulation to obtain the waiting time for each section (S820). For example, if you calculate the travel time to the point where the first wait occurs based on the average pace, you can see how long after you arrive at the point where the first wait occurs. Find the waiting time at the point where the first wait occurs and find the waiting time. This method is simulated for each section to calculate the waiting time for each section.

또한 모바일 단말기는 구간 사이에서 발생하는 대기의 평균주기를 계산하여(S830) 보행 경로의 이동시에 각 구간 사이에서 대기시간이 최대한 발생하지 않도록 각 구간별로 권장하는 보행속도를 계산한다(S840). 구체적으로 각 구간별 권장보행 속도는 구간별로 예측된 대기시간이 '구간의 대기 평균주기 *(1/2)'보다 큰 경우 가능한 예측된 대기가 시작되기 전 시점에 도착하도록 평균 걸음 속도에 감소하여 권장 속도를 계산하고(S842,S844), 구간별로 예측되는 대기시간이 '구간의 대기 평균주기 * (1/2)'보다 작은 경우 평균걸음속도에서 증가하여 보행 속도를 계산하다(S842,S846).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각 구간별 권장보행 속도를 계산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calculates an average period of waiting occurring between sections (S830) and calculates a recommended walking speed for each section so that the waiting time does not occur as much as possible during the movement of the walking path (S840). Specifically, the recommended walking speed for each section is reduced to the average walking speed so that if the predicted waiting time for each section is larger than the 'waiting average period of the section * (1/2)', it arrives at the point before the predicted waiting is possible. Calculate the recommended speed (S842, S844), and calculate the walking speed by increasing from the average step speed if the waiting time predicted for each section is smaller than the 'waiting average period of the interval * (1/2)' (S842, S846). . Through this process, the recommended walking speed for each section is calculated.

도 9는 본 발명에 보행 방법의 산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목표위치공간(330)으로 버스정류장이 선택되고, 그 목표 이벤트로 도 6에 도시된 버스의 도착시간(도 6의 600) 중 14:53의 일정이 선택된 경우의 보행 방법의 산정 결과를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하는 일 예이다. 9 is a view showing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walking method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9 is a walking method when a bus stop is selected as the target location space 330 and a schedule of 14:53 is selected among the arrival times (600 in FIG. 6) of the bus shown in FIG. 6 as the target event. An example of displaying the calculation result on the mobile terminal.

도 9를 참조하면, 현 위치공간(300)부터 목표위치공간(330)까지의 보행경로(320)가 지도상에 표시되고, 또한 대기가 발생하는 지점(310)을 기준으로 구분된 각 구간의 권장보행속도와 각 구간별 권장보행속도와 평균걸음속도와의 차이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구간 1의 경우 권장보행속도는 4.5Km/hr이며 이는 평균걸음속도 0.1(km/hr) 느린 속도이다.Referring to FIG. 9, the walking path 320 from the current location space 300 to the target location space 330 is displayed on a map, and each section divided based on the point 310 where an atmosphere occur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ommended walking speed and the recommended walking speed and average walking speed for each section is indicat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interval 1, the recommended walking speed is 4.5 km / hr, which is 0.1 km / hr slow.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방법을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guiding a wal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user through a mobile terminal.

도 10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의 현 위치를 파악하여(S1000) 보행 경로의 구간 중 어느 구간에 있는지를 파악한다(S1010). 또한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의 보행 속도를 측정한다(S1020). 보행 속도의 측정은 모바일 단말기의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가능하므로 이동시간과 이동거리의 산출을 통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외 다른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서도 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determined (S1000) to determine which section of the walking path is located (S1010).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measures the walking speed of the user (S1020). The walking speed can be measured in real time becaus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grasped in real time, and may be easily obtained through calculation of the moving time and the moving distance.

현재 위치한 구간과 사용자 보행 속도의 파악이 완료되면 모바일 단말기는 현 구간의 권장보행속도와 사용자의 보행속도가 동일한지 파악한다(S1030). 사용자의 보행속도가 현 구간의 권장속도보다 느린 경우(S1040)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의 보행속도가 권장속도보다 늦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며(S1050), 반대인 경우 사용자의 보행속도가 권장보행속도보다 빠름을 알려준다(S1060). 이때 모바일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보행속도의 늦음 또는 빠름을 안내하는 방법으로 알람소리나 진동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느리게 걸어야 하는 경우의 알람소리나 진동의 타입과 빠르게 걸어야 하는 경우의 알람소리나 진동의 타입을 다르게 하여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걸음속도를 조정하여 권장보행속도에 해당하면 알람소리나 진동이 종료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권장속도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의 보행 안내는 아래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시각적 표시방법을 통해서도 안내 가능하다.When the grasp of the currently located section and the user walking speed is completed,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recommended walking speed of the current section and the walking speed of the user are the same (S1030). If the walking speed of the user is slower than the recommended speed of the current section (S1040), the mobile terminal informs the user that the walking speed of the user is slower than the recommended speed (S1050), and in the opposite case, the walking speed of the user is faster than the recommended walking speed. Inform (S1060). 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may use a method such as an alarm sound or vibration as a method of informing the user of a slow or fast walking speed, for example, an alarm sound or vibration type when a slow walk is required and an alarm when a fast walk is required. By varying the type of sound or vibration, the user can recognize the mobile terminal without checking it. If the user adjusts the pace of walking and corresponds to the recommended walking speed, the alarm sound or vibration is terminated so that the user may know the recommended speed. The walking guidance of the user may also be guided through a visual display method as shown in FIGS. 11 to 13.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안내를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행 방법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정된 경우를 기준으로 살펴본다.11 to 13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isplaying a walking guide on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king method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case calculated as shown in FIG. 9.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구간 1에 존재하며 현 사용자 보행속도가 4.5Km/hr인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권장보행속도의 범위 내에 존재하므로 현 속도를 유지하라는 메시지(1100,1130)와 함께 현 속도(102)를 표시한다. 화면의 좌측에는 보행 경로와 산정된 보행 방법에 대한 정보를 표시(1140)하며 사용자의 현 위치공간(1150)을 녹색으로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11, when the user is present in section 1 and the current user walking speed is 4.5 km / hr, the mobile terminal exists within the range of the recommended walking speed, and thus the current speeds together with the messages 1100 and 1130 to maintain the current speed. The speed 102 is displayed. Information on the walking path and the calculated walking method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1140), and the current location space 1150 of the user is displayed in green.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구간 1에 존재하며 현 사용자 보행속도가 6.0Km/hr인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 보행속도가 권장보행속도보다 빠르므로 걸음 속도를 낮추라는 메시지(1210)와 함께 현재 걸음속도(1220)를 표기한다. 또한 권장보행속도(1230)에 대해서도 함께 표시한다. 화면의 좌측(1240)에는 보행 경로 산정된 보행 방법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며 사용자의 현 위치공간(1250)은 파란색으로 표기한다.Referring to FIG. 12, when the user exists in section 1 and the current user walking speed is 6.0 km / hr, the mobile terminal is present with a message 1210 indicating that the user walking speed is lower than the recommended walking speed. Step speed 1220 is indicated. It also displays the recommended walking speed 1230. Information on a walking method for calculating a walking path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1240 of the screen, and the current location space 1250 of the user is indicated in blue.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구간 1에 존재하며 현 사용자 보행속도가 3.0Km/hr인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 보행속도가 권장보행속도보다 느리므로 걸음 속도를 높이라는 메시지(1310)와 함께 현재 걸음속도(1320)를 표시한다. 또한 권장보행속도(1330)에 대해서는 함께 표시한다. 화면의 좌측(1340)에는 보행 경로 산정된 보행 방법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며 사용자의 현 위치공간(1350)은 빨간색으로 표기한다.Referring to FIG. 13, when the user is present in section 1 and the current user walking speed is 3.0 km / hr, the mobile terminal is present with a message 1310 indicating that the user walking speed is slower than the recommended walking speed. The walking speed 1320 is displayed. Also, the recommended walking speed 1330 is displayed together. Information on a walking method for calculating a walking path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1340 of the screen, and the current location space 1350 of the user is marked in red.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목표위치공간을 입력받은 후 현 위치공간과 목표위치공간 사이의 보행 경로의 대기 구간의 수 및 이동 거리를 고려한 최적의 보행 경로를 산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위치공간과 연계된 목표 이벤트의 발생일정의 타이밍을 맞출 수 있는 권장보행속도를 포함한 보행방법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행경로 및 보행방법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행방법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보행 경로를 대기가 발생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각 구간별 구분하는 단계;
각 대기가 발생하는 지점에 대한 대기 일정이 저장된 대기구간일정DB를 참조하여 현 시점에서 평균걸음속도로 이동시 각 대기지점에서의 평균 대기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각 대기지점에서의 평균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평균걸음속도를 기준으로 각 구간별 보행속도의 증감을 계산한 후 이를 보행방법으로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행 안내 방법.
Calculating an optimal walking path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and moving distances of waiting sections of the walking path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space and the target location space after receiving the target location space;
Calculating a walking method including a recommended walking speed capable of matching a timing of an occurrence schedule of a target event associated with the target location space; And
And displaying the walking path and the walking method.
Calculating the walking method,
Dividing the selected walking path for each section based on a point where an atmosphere occurs;
Calculating an average waiting time at each waiting point when moving at the average step speed at the present time with reference to the waiting section schedule DB in which the waiting schedule for each waiting point is stored; And
Calculating an increase or decrease of the walking speed for each section based on the average walking speed so as to minimize the average waiting time at each waiting point; How to wal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경로를 산정하는 단계는,
현 위치공간과 목표위치공간 사이의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행 경로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악된 보행 경로 중 이동 거리 및 횡단 보도를 포함한 대기 구간의 수를 기초로 최단의 시간이 소요되는 보행 경로를 최적의 보행 경로로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행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lculating of the walking path comprises:
Identifying at least one walking path movabl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space and the target location space; And
Calculating a walking path that takes the shortest time as an optimal walking path based on the number of waiting sections including the moving distance and the crosswalk among the determined walking paths; Guide wa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방법을 산정하는 단계 전에,
각 목표위치공간과 연계된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이벤트정보DB를 조회하여 상기 목표위치공간과 연계된 이벤트를 찾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이벤트 중 어느 하나를 목표 이벤트로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before calculating the walking method,
Searching for an event information DB storing even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each target location space, searching for and displaying an event associated with the target location space, and receiving any one of the displayed events from the user as a target event; Walking guid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이벤트를 입력받은 단계는,
상기 목표위치공간과 연계된 이벤트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표시된 이벤트 카테고리에서 선택한 목표 이벤트 카테고리의 이벤트 리스트 중 상기 산정한 보행 경로를 고려하여 타이밍 맞춤이 가능한 이벤트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타이밍 맞춤이 가능한 이벤트 중 하나를 목표 이벤트로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행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ceiving of the target event comprises:
Displaying an event category associated with the target location space;
Displaying an event capable of timing alig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calculated walking path in the event list of the target event category selected by the user in the displayed event category;
Receiving one of the events that can be adjusted timing from the user as a target event; Walking guidance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맞춤이 가능한 이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 경로를 대기가 발행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각 구간별로 구분하는 단계;
대기가 발생하는 각 지점의 최대 대기 시간을 기초로 보행 전체의 전체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느린 걸음 속도 및 빠른 걸음 속도에 따라 상기 보행 경로의 제1 및 제2 이동 소요 시간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현 시점에서 상기 제1 소요시간과 상기 전체 대기시간을 합한 최소 이동소요시간과 현 시점에서 상기 제2 소요시간과 상기 전체 대기시간을 합한 최대 이동소요시간 사이에 존재하는 이벤트 발생일정을 타이밍 맞춤이 가능한 이벤트로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행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splaying of the timing alignment event comprises:
Dividing the walking path by each section based on a point where an atmosphere is issued;
Calculating a total waiting time of the entire walk based on the maximum waiting time of each point where the waiting occurs;
Calculating first and second travel times of the walking path according to a slow walking speed and a fast walking speed set by a user, respectively; And
The timing of the event occurrence schedule existing between the minimum travel time of the first travel time and the total waiting time at the present time and the maximum travel time of the sum of the second travel time and the total waiting time at the present time are adjusted. Selecting a possible event; walking guidance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 1항에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권장보행속도와 현 사용자의 보행속도를 비교하여 권장보행속도와의 차이를 시각 또는 청각적 수단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행 안내 방법.
The displaying in claim 1,
Comparing the recommended walking speed with the walking speed of the current user and display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commended walking speed through visual or auditory means; a walking guidance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목표위치공간을 입력받은 후 현 위치공간과 목표위치공간 사이의 보행 경로의 대기 구간의 수 및 이동 거리를 고려한 최적의 보행 경로를 산정하는 보행경로 산정부;
상기 목표위치공간과 연계된 이벤트의 발생일정의 타이밍을 맞출 수 있는 권장보행속도를 포함한 보행방법을 산정하는 보행방법 산정부; 및
상기 보행경로 및 보행방법을 표시하는 보행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행방법 산정부는, 상기 보행 경로를 대기가 발생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각 구간별로 구분하고, 각 대기가 발생하는 지점의 대기 발생일정이 저장된 대기구간일정 DB를 참조하여 평균걸음속도로 이동시 각 대기가 발생하는 지점에서의 평균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각 대기지점에서의 평균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평균걸음속도를 기준으로 각 구간별 보행속도의 증감을 계산한 후 이를 각 구간의 보행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A pedestrian path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n optimal pedestrian path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moving sections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pedestrian path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space and the target location space after receiving the target location space;
A pedestrian method calculating a pedestrian method including a recommended pedestrian speed capable of matching a timing of an event schedule associated with the target location space; And
And a walking guide unit displaying the walking path and the walking method.
The walk method calculation unit divides the walking path into each section on the basis of the point where the air is generated, and moves to the average step speed with reference to the waiting section schedule DB in which the air occurrence schedule of each point is generated. Calculate the average waiting time at the point where is generated, and calculate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walking speed for each section based on the average walking speed so as to minimize the average waiting time at each waiting point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calculat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경로 산정부는,
현 위치공간과 목표위치공간 사이의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행 경로를 파악한 후, 상기 파악된 보행 경로 중 이동 거리 및 횡단 보도를 포함한 대기 구간의 수를 고려하여 최단의 시간이 소요되는 보행 경로를 최적의 보행 경로로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walking path calculation unit,
After identifying at least one walking path that can be moved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space and the target location space, the optimal walking path is optimized by considering the number of waiting sections including the moving distance and the crosswalk among the identified walking paths.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calculate the walking path of the.
제 8항에 있어서,
각 목표위치공간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이벤트정보 DB를 참조하여 상기 목표위치공간과 연계된 이벤트 카테고리를 찾아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이벤트 카테고리에서 상기 산정한 보행 경로를 고려하여 타이밍 맞춤이 가능한 이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타이밍 맞춤이 가능한 이벤트 중 하나를 목표 이벤트로 입력받아 상기 보행방법 산정부로 제공하는 이벤트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event category associated with the target location space can be found and displayed by referring to the event information DB storing event information for each target location space, and timing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walking path calculated by the user selected event category. And an event confirming unit which displays an event and receives one of the events that can be timing-adjusted as a target event from the user and provides the event to the walking method calculation unit.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확인부는,
상기 보행 경로를 대기가 발행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각 구간별로 구분하고, 대기가 발생하는 각 지점의 최대 대기 시간을 기초로 보행 경로의 전체 대기시간을 산출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느린 걸음 속도 및 빠른 걸음 속도에 따른 상기 보행 경로의 제1 및 제2 이동 소요 시간을 각각 산출하고, 현 시점에서 상기 제1 소요시간과 상기 전체 대기시간을 합한 최대 이동소요시간과 현 시점에서 상기 제2 소요시간과 상기 전체 대기시간을 합한 최소 이동소요시간 사이에 존재하는 이벤트 발생일정을 선별하여 타이밍 맞춤이 가능한 이벤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event check unit,
The walk path is divided into sections based on the point where the air is issued, and the total wait time of the walk path is calculated based on the maximum wait time of each point where the air is generated, and the slow pace and the fast pace set by the user are calculated. Computing the first and second travel time of the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speed, respectively, and the maximum travel time of the sum of the first travel time and the total waiting time at the present time and the second travel time and the current time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vent occurrence schedule that exists between the minimum travel time of the sum of the total waiting time to display as an event capable of timing alignment.
삭제delet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안내부는,
상기 권장보행속도와 현 사용자의 보행속도를 비교하여 권장보행속도와의 차이를 시각 또는 청각적 수단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walking guide portion,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by comparing the recommended walking speed and the walking speed of the current user to display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ommended walking speed through a visual or auditory means.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KR1020100106939A 2010-10-29 2010-10-29 Apparatus of guiding walk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12176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939A KR101217624B1 (en) 2010-10-29 2010-10-29 Apparatus of guiding walk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939A KR101217624B1 (en) 2010-10-29 2010-10-29 Apparatus of guiding walk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417A KR20120045417A (en) 2012-05-09
KR101217624B1 true KR101217624B1 (en) 2013-01-21

Family

ID=46264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939A KR101217624B1 (en) 2010-10-29 2010-10-29 Apparatus of guiding walk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62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674B1 (en) * 2013-12-19 2015-04-23 김경태 Apparatus and method for announce position of traffic light
CN108510732A (en) * 2018-05-28 2018-09-07 苏州创存数字科技有限公司 A kind of walking reminding method and its system based on movement speed materializ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4436A (en) 2004-09-17 2006-03-30 Xing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JP2008014881A (en) 2006-07-07 2008-01-24 Alpine Electronics Inc Navigation device
JP2008116320A (en) 2006-11-06 2008-05-22 Navitime Japan Co Ltd Navigation system, route search server,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4436A (en) 2004-09-17 2006-03-30 Xing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JP2008014881A (en) 2006-07-07 2008-01-24 Alpine Electronics Inc Navigation device
JP2008116320A (en) 2006-11-06 2008-05-22 Navitime Japan Co Ltd Navigation system, route search server,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674B1 (en) * 2013-12-19 2015-04-23 김경태 Apparatus and method for announce position of traffic light
CN108510732A (en) * 2018-05-28 2018-09-07 苏州创存数字科技有限公司 A kind of walking reminding method and its system based on movement speed materialization
CN108510732B (en) * 2018-05-28 2021-07-02 合肥曌云科技有限公司 Walking prompt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moving speed concret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417A (en)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020B1 (en) Parking guide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US9285240B2 (en) EV route optimization through crowdsourcing
CN105203100B (en) Intelligently guiding user takes the method and device of elevator
US10527433B2 (en) Automated vehicle parking space recommendation
JP6141743B2 (en) Moving path estimation system and method
US201902194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e planning incorporating charging needs
CN104884899A (en) Method of determining trajectories through one or more junctions of a transportation network
KR1016802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text aware information using local service information
US10575128B2 (en)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image and displaying image
CN108534795A (en) Selection method, device, navigation equipment and the computer storage media of navigation routine
JP2007537613A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osi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21129703A1 (en) Station arrival prompting method an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1217624B1 (en) Apparatus of guiding walk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CN104457765A (en) Positioning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server
KR102501090B1 (en)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density prediction
JP7114981B2 (en) Route search device, program and route search server
JP5460841B2 (en) GUIDAN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PROGRAM, GUIDAN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GUIDAN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TERMINAL DEVICE
KR101955559B1 (en) Point Of Interes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aratus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JP5807506B2 (en)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method, and navigation program
KR102215061B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 nearby station,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JP2008190899A (en) Meeting place determination system, meeting place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KR102216467B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 nearby station,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KR20190000066A (en) User location based travel route information server and method
WO2021090219A1 (en) 3d video generation for showing shortest path to destination
KR20150116928A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setting multilateral optimal meeting pl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