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696B1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in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in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696B1
KR101216696B1 KR1020060044937A KR20060044937A KR101216696B1 KR 101216696 B1 KR101216696 B1 KR 101216696B1 KR 1020060044937 A KR1020060044937 A KR 1020060044937A KR 20060044937 A KR20060044937 A KR 20060044937A KR 101216696 B1 KR101216696 B1 KR 101216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inclination
menu selection
key
t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9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11751A (en
Inventor
김선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4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696B1/en
Publication of KR20070111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7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6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정보를 획득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부와,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부가 획득한 상기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 감지부와, 특정 키의 입력시,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부가 제공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메뉴 선택 기능과 연관하여 사용시 상, 하측 방향 또는 좌, 우측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1 차원적인 메뉴 선택 커서의 이동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2차원적으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tilt detection sensor unit for obtaining tilt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n operation detection for determining a til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by using the tilt information obtained by the tilt detection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n inclin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by using the inclin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d by the inclination sensor and at the input of a specific key,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specific key. When used in connection with the selection function, the movement of the one-dimensional menu selection cursor, which can be moved in one of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can be operated two-dimensionally according to the til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메뉴 선택, 휠 키(Wheel Key), 동작 감지 Menu selection, wheel key, motion detection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IN PORTABLE TERMINAL} Input device and method of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tilt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의 따른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ilting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tilt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른 동작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til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and a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different operations according to the tilt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 다 편리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is rapidly spreading due to the convenience of the portable, and thus service providers (terminal manufacturers) are competitively developing terminals having more convenient functions to secure a large number of users.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MP3(MPEG Layer 3), 디지털 카메라 및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여 다양한 부가기능을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E.g.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phone book, a game, a short message, an e-mail, a morning call, an MP3 (MPEG Layer 3), a digital camera, and a wireless Internet. It has evolved into a device and provides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to many users.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부가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누르는 네비게이션 키 입력을 통해 화면상의 메뉴 선택 커서를 이동(상, 하, 좌, 우)시켜야 한다.The portable terminal needs to move (up, down, left, right) a menu selection cursor on a screen through a navigation key input that a user presses to select the additional service.

현재 출시되는 휴대용 단말기는 그 기술이 더욱 발달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도 자유로운 메뉴 선택이 가능한 휠 키(Wheel Key)를 제공하고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which is currently on the market, is further developed to provide a wheel key that enables free menu selection eve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held by one hand.

하지만,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되는 휠 키(Wheel Key)는 특정 메뉴 선택시 상, 하측 방향 또는 좌, 우측 방향 중 한 방향만으로 메뉴 선택 커서의 이동이 가능하다.However, the wheel key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may move the menu selection cursor only in one of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selecting a specific menu.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키를 설치하고 상기 별도의 키를 누름으로 상기 메뉴 선택 커서의 이동 방향을 선택적으로 2 차원적으로 가능하게 하였지만, 상기 별도 키를 설치함으로써 부가적인 설치 공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별도의 키를 입력해야한다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eparate key is installed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enu selection cursor can be selectively two-dimensionally by pressing the separate key. However, additional installation space is provided by installing the separate key. need. And, the user has to input the separate key.

따라서, 상기 1차원적인 메뉴 선택 커서의 이동을 별도의 키를 설치하지 않고 2차원적으로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wo-dimensionall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one-dimensional menu selection cursor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key.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1차원적인 입력만이 가능한 특정 키에 기울기를 이용한 입력 방식을 더하여 2 차원적인 입력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two-dimensional input by adding an input method using a slope to a specific key capable of only one-dimensional inpu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른 입력을 받아 2차원적인 동작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two-dimensional operation by receiving an input according to a tilt of a portable terminal.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정보를 획득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부와,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부가 획득한 상기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 감지부와, 특정 키의 입력시,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부가 제공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input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haracterized by using a tilt detection sensor unit for obtaining the tilt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using the tilt information obtained by the tilt detection sensor unit An operation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an inclin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when an input of a specific key is input, the inclin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etermined using an inclin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d by the inclination sensor unit, and the specific key is inpu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은 특정 키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키의 입력이 있을 경우, 상기 특정 키의 입력 방향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방향의 확인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기울기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특정 키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키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한 모드와 키 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input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a specific key is input, and if there is an input of the specific key, checking the input direction of the specific key. Determining the input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quiring the inclin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fter determining the input direction,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f the specific key after acquiring the inclin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f the specific key. It includes a process of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ode and key inpu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이하 설명에서 정의하는 입력 장치는 일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감지 장치와 특정 키로 구성된다. 상기 기울기 감지 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정보를 확인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부와 상기 기울기 정보에 따른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감지부를 말하며, 상기 특정 키는 상, 하 방향 또는 좌, 우 방향 중 한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한 키로써 휠 키(Wheel Key), 사이드 키(볼륨 키)와 같은 메뉴 이동 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device defin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composed of a tilt detection device and a specific key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ilt detection device refers to a tilt detection sensor unit for confirming tilt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motion detection unit for confirming an inclin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tilt information, wherein the specific key is upward, downward or left, right. As a key which can be moved only in one of the directions, it may include a menu moving key such as a wheel key and a side key.

또한, 메뉴 선택 커서(Cursor)는 상기 특정 키의 입력에 따라 메뉴 선택을 위하여 사용자가 가르키는 블록을 말한다.Also, a menu selection cursor (Cursor) refers to a block indicated by the user for menu selection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specific ke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표시부(104), 입력부(106), 메모리부(108) 및 기울기 감지 센서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0)는 동작 감지부(10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ontrol unit 100, a display unit 104, an input unit 106, a memory unit 108, and a tilt detection sensor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otion detector 102.

상기 제어부(MPU : Micro-Processer Unit)(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특정 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부(110)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동작 감지부(102)를 통해 상기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확인한 후 상기 기울기 상태에 따른 동작을 제어한다. 일 예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메뉴 선택 커서의 위치를 상, 하 방향 또는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MPU: Micro-Processer Unit) 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input of a specific key is sen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normal function, and performs the processing and control for voic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the tilt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tilt detection sensor unit 110 Get information. Thereafter,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e inclin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inclin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unit 102 and control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state.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menu selection cursor is moved in the up, down direction or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tilt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부(1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를 확인하는 센서(예 : 수평 방향 자이로 센서와 수직 방향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수평 및 수직 기울기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의 동작 감지부(102)로 제공한다.The tilt detecting sensor unit 110 includes a sensor (eg, a horizontal gyro sensor and a vertical gyro sensor) for checking the tilt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input of the specific key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control, the horizontal and vertical tilts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detected and provided to the motion detection unit 102 of the controller 100.

상기 동작 감지부(102)는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부(110)로부터 수신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수평 및 수직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확인한다.The motion detecting unit 102 checks the til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by using horizontal and vertical tilt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d from the tilt detecting sensor unit 110.

상기 표시부(104)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신호를 출력한다.The display unit 104 outputs a signal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입력부(106)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키 패드를 구비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 하 방향 또는 좌, 우 방향 중 한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한 상기 특정 키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The input unit 106 includes a keypad of a general portable terminal, and includes the specific key which can be moved only in one of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orresponds to a user input. The key input data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100.

상기 메모리부(108)는 롬(ROM : Read Only Memory),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 또는 상기 동작 감지부(102)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특정 키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기울기 임계값 또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은 기울기 임계값을 저장한다.The memory unit 108 includes a read 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a flash ROM,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00 or the motion detection unit ( In order to confirm a program for operation of the operation 102 and an operation mode of the specific key, a predetermined tilt threshold value or a tilt threshold value set by a user is stor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메뉴 선택 커서의 위치를 변경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 portable terminal for changing a position of a menu selection cursor according to an inclin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먼저 201단계에서 특정 키의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특정 키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선택 커서를 수평 방향만의 이동 또는 수직 방향만의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키를 말한다. 만일, 상기 특정 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예 : 대기 모드)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ler 100 first checks whether a specific key is input in step 201. The specific key refers to a key for controlling a menu selection cursor for selecting a menu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move only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only in a vertical direction. If the specific key input is not detected,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213 to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eg, standby mode).

한편, 상기 특정 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특정 키의 입력 방향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기울기 감지 센서부(110)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수평 및 수직 기울기 정보를 획득한 후 동작 감지부(102)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판단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pecific key input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203 to check the input direction of the input specific key. In operation 205, the controller 100 obtains horizontal and vertical tilt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tilt detection sensor 110 and then determines the til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motion detector 102. do.

여기에서, 상기 기울기 상태의 판단은 상기 메뉴 선택 커서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상기 특정 키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며, 상기 특정 키의 동작 모드는 상기 메뉴 선택 커서가 상,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메뉴 선택 커서가 좌,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모드를 포함한다. Here, the determination of the tilt state is performed to confirm an operation mode of the specific key that determin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enu selection cursor,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specific key moves the menu selection curso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a second mode in which the menu selection cursor moves left and right.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정보의 획득 후 상기 제어부(100)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가 상기 제 1 모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울기인지 검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울기 임계값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가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특정 키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 1 모드로 설정한다.After acquiring the inclin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step 205,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207 to check whether the inclin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clination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de. For example, if the inclin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nclination threshold, the controller 100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specific key to the first mode.

한편, 상기 기울기 임계값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가 작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특정 키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 2 모드로 설정한다.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기울기 임계값은 사용자로부터 설정 값을 입력받아 이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inclin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less than the inclination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100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specific key to the second mode. The second mode may include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inclined, and the inclination threshold may be used by receiving a setting value from a user.

만일, 상기 207단계의 확인결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가 상기 제 1 모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울기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03단계에서 확인된 특정 키의 입력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모드에서의 이동 방향을 결정한 후 2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된 특정 키의 입력 방향으로 상기 메뉴 선택 커서를 이동시킨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07 that the inclin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etermined as the inclination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de,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209 to determine the specific key identified in step 203. After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in the first mode by using the input direction,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211 to move the menu selection cursor in the input direction of the identified specific key.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특정 키를 상측 방향으로 입력하는 사용자의 키 조작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표시부(104)에 출력된 상기 메뉴 선택 커서를 제 1 모드에 상응하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For example, when the controller 100 detects a key operation of a user who inputs the specific key in an upward direction, the controller 100 corresponds to the menu selection cursor output on the display unit 104 in a first mode. To the upper direction.

만약,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특정 키(303)를 하측 방향으로 입력하는 사용자의 키 조작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표시부(104)에 출력된 상기 메뉴 선택 커서를 상기 제 1 모드에 상응하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If the controller 100 detects a key operation of a user who inputs the specific key 303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controller 100 moves the menu selection cursor output to the display unit 104 to the first key. Move downward to correspond to the mode.

한편, 상기 207단계의 확인결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가 상기 제 1 모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울기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03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특정 키의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모드에서의 이동 방향을 결정한 후 상기 제어부(100)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된 특정 키의 방향으로 상기 메뉴 선택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If the inclin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the inclination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de,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215 and the specific key confirmed in step 203. After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in the second mode using the direction of,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211 to move the position of the menu selection cursor in the direction of the identified specific key.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특정 키를 상측 방향으로 입력하는 사용자의 키 조작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표시부(104)에 출력된 상기 메뉴 선택 커서(351)를 상기 제 2 모드에 상응하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For example, when the controller 100 detects a key manipulation of a user who inputs the specific key in an upward direction, the controller 100 displays the menu selection cursor 351 output to the display unit 104. Move to the lef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de.

만일,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특정 키를 하측 방향으로 입력하는 사용자의 키 조작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표시부(104)에 출력된 상기 메뉴 선택 커서(351)를 상기 제 2 모드에 상응하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If the controller 100 detects a key operation of a user who inputs the specific key in a downward direction, the controller 100 moves the menu selection cursor 351 output to the display unit 104 to the second key. Move in the righ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de.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Thereafter, the controller 100 ends the present algorithm.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른 동작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동작 과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라 제 1 모드(도 3(a)), 제 2 모드(도 3(b))의 과정을 포함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inclin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process includes a first mode (FIG. 3 (a)) and a second mode (FIG. 3 (b)) according to the tilt of the portable terminal.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키(303)를 포함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기울기 임계값(예 : 45°)보다 큰 기울기의 상태(305)로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특정 키(303)를 상측 방향으로 입력하는 사용자의 키 조작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310와 같이 화면에 출력된 메뉴 선택 커서(321)를 3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모드에 상응하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 3A,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pecific key 303 is positioned in a state 305 of an inclination greater than an inclination threshold (eg, 45 °).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tects a user's key operation of inputting the specific key 303 in the upward direction, the controller 100 displays the menu selection cursor 321 displayed on the screen at 320 as shown in 310. As shown in FIG. 1, the upward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first mode.

한편, 상기 도 3(a)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특정 키(303)를 하측 방향으로 입력하는 사용자의 키 조작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310와 같이 화면에 출력된 메뉴 선택 커서(321)를 3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모드에 상응하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as shown in FIG. 321 is moved in a down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de as shown at 330.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키(343)를 포함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기울기 임계값(예 : 45°)보다 작은 기울기의 상태(345)(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로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특정 키(343)를 상측 방향으로 입력하는 사용자의 키 조작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350와 같이 화면에 출력된 메뉴 선택 커서(351)를 3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모드에 상응하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3B,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pecific key 343 may be in a state 345 (not tilted) having a slope smaller than an inclination threshold (eg, 45 °). Locat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tects a user's key operation of inputting the specific key 343 in the upward direction, the controller 100 displays the menu selection cursor 351 displayed on the screen as 360 in 360. As shown in FIG. 2, the shifter moves to the lef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de.

한편, 상기 도 3(b)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특정 키(343)를 하측 방향으로 입력하는 사용자의 키 조작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350와 같이 화면에 출력된 메뉴 선택 커서(351)를 3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모드에 상응하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as shown in FIG. 351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de as shown at 370.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를 입력으로 받아 다른 동작 과정을 수행하는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뉴 선택 기능과 연관하여 사용시 상, 하측 방향 또는 좌, 우측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1 차원적인 메뉴 선택 커서의 이동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2차원적으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and a method for receiving an inclin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s an input and performing another operation process, and when used in connection with a menu selection function, moves in one of up, down,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This possible one-dimensional movement of the menu selection cursor can be made to operate in two dimensions according to the til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Claims (7)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In the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정보를 획득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부와,A tilt detection sensor unit for obtaining tilt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부가 획득한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 감지부와,An operation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an inclin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inclin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clination detection unit;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제 1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메뉴 선택 커서를 제 2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 menu selection cursor operating in a first operation mode to operate in a second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inclin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제 1 동작 모드는 메뉴 선택 커서가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 2 동작 모드는 메뉴 선택 커서가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Wherein the first operation mode is a mode in which the menu selection cursor moves in an upward direction and a downward direc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a mode in which the menu selection cursor moves in a left direction and a right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동작 감지부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가 판단된 후, 제 1 방향으로만 메뉴 선택 커서를 이동시키는 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메뉴 선택 커서를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되,After the til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etermined by the motion detector, when an input of a key for moving a menu selection cursor is detected only in a first direction, the menu selection cursor is moved in a second direction. 상기 제 1 방향으로만 메뉴 선택 커서를 이동시키는 키는,The key for moving the menu selection cursor only in the first direction is: 휠 키(Wheel Key), 사이드 키(볼륨 키)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키를 포함하는 장치.Device that includes at least one of a wheel key and a side key (volume ke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작 감지부는,The motion detection unit,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부가 획득한 상기 기울기 정보와 기설정된 기울기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comparing the inclin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clination sensor with a preset inclination threshold to determine an inclin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input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Obtaining tilt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획득한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a til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by using the obtained tilt information;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제 1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메뉴 선택 커서를 제 2 동작 모드로 동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되,And operating a menu selection cursor operating in a first operation mode in a second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inclin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제 1 동작 모드는 메뉴 선택 커서가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 2 동작 모드는 메뉴 선택 커서가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rein the first operation mode is a mode in which a menu selection cursor moves in an upward direction and a downward direc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a mode in which a menu selection cursor moves in a left direction and a right direction. 제 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가 판단된 후, 제 1 방향으로만 메뉴 선택 커서를 이동시키는 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메뉴 선택 커서를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되,After the til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etermined, if an input of a key for moving the menu selection cursor is detected only in a first direction, moving the menu selection cursor in a second direction; 상기 제 1 방향으로만 메뉴 선택 커서를 이동시키는 키는,The key for moving the menu selection cursor only in the first direction is: 휠 키(Wheel Key), 사이드 키(볼륨 키)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키를 포함하는 방법.A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wheel key and a side key (volume key). 제 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은,Determining the til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울기 정보와 기설정된 기울기 임계값을 비교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comparing the inclin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a preset inclination threshold. 삭제delete
KR1020060044937A 2006-05-19 2006-05-1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in portable terminal KR101216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937A KR101216696B1 (en) 2006-05-19 2006-05-1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937A KR101216696B1 (en) 2006-05-19 2006-05-1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in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751A KR20070111751A (en) 2007-11-22
KR101216696B1 true KR101216696B1 (en) 2012-12-31

Family

ID=3909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937A KR101216696B1 (en) 2006-05-19 2006-05-1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in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6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913B1 (en) * 2012-11-22 2019-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7115889A1 (en) * 2015-12-30 2017-07-06 비엘프로세스(주) Apparatus for oxidation pretreatment of nutrient salts and organic matter, and method for measurement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751A (en)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44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3338777B2 (en) Mobile terminal and screen display method thereof
KR10161228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ating user input pattern in portable terminal
KR101680059B1 (en) Method for moving scree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5728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detecting in portable terminal
US109490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in portable terminal
CN102541255B (en) Camera-based orientation fix from portrait to landscape
KR1007823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 controlling in portable terminal
KR101851612B1 (en) Text input method,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020029B1 (e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inputting key using touch thereof
US20110185308A1 (en) Portable computer device
KR2011010158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switching in portable terminal
KR1017512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in portable terminal
KR20160060599A (en)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descriptive information
KR10169477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ating user input pattern in portable terminal
KR2011008872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ting display image in portable terminal
KR10121669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in portable terminal
KR101186211B1 (en) Portable terminal and application converting method thereof
JP2012058332A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US9392399B2 (en) Wireless terminal and method of data communication therein
JP6701940B2 (en) Remote control system, image processing device, remote control method, and remote control program
CN107205284B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060022475A (en) Method of pointing control in mobile phone of built-in- type of camera
KR100629877B1 (en) Method for moving menu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rotary camera module
KR2007011490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croll i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