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101B1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101B1
KR101216101B1 KR1020100064764A KR20100064764A KR101216101B1 KR 101216101 B1 KR101216101 B1 KR 101216101B1 KR 1020100064764 A KR1020100064764 A KR 1020100064764A KR 20100064764 A KR20100064764 A KR 20100064764A KR 101216101 B1 KR101216101 B1 KR 101216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guide tube
collecting container
dust collecting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099A (ko
Inventor
서종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4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101B1/ko
Publication of KR20120004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에 마련되어 공기와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 장치, 상기 먼지 분리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먼지 분리 장치에서 토출되는 공기에서 미세 먼지를 분리하는 필터 장치,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흡입 노즐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먼지 분리 장치로 공기와 먼지를 안내하는 안내관 및 상기 필터 장치에서 필터링된 미세 먼지를 집진하고, 상기 안내관과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하게 마련되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A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안내관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집진통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를 이용하여 공기와 함께 먼지 및 이물 등을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이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의 진공 청소기는 크게 흡입구인 흡입 노즐이 본체와 연결관을 통해 연통되는 캐니스터(canister) 방식과, 흡입 노즐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up-right)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두 종류의 진공 청소기 중 캐니스터 방식의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 등이 내장되는 진공 청소기 본체와, 진공 청소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피청소면의 먼지 및 이물질 등을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진공 청소기의 본체와 흡입 노즐을 연결하는 연장관 및 연결관 등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 전원이 인가되어 흡입 모터가 구동되면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 노즐로 피청소면의 먼지 및 이물질 등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먼지 및 이물질 등이 포함된 공기는 연장관 및 연결관을 통하여 진공 청소기의 본체로 유입된다. 진공 청소기의 본체로 유입된 먼지 및 이물질 등이 포함된 공기는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 장착된 먼지 분리 장치에서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먼지 및 이물질 등이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먼지 및 이물질 등은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집진 용기에 포집되고, 먼지 및 이물질 등이 분리된 공기는 공기 배출부를 통하여 진공 청소기의 본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먼지 분리 장치는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어느 정도의 무게와 크기를 갖는 먼지 및 이물질 등을 분리하는 것으로서, 가시화되지 않는 미세 먼지는 집진 용기에 포집되지 않고 먼지 분리 장치와는 별도로 마련된 필터 장치 내부에서 필터링 된다.
한편, 필터 장치 내부에서 분리된 미세 먼지는 필터 장치 내부에 그대로 남아 있으므로 포집된 미세 먼지를 버리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필터 장치를 진공 청소기의 본체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포집된 미세 먼지를 버리는 과정에서 미세 먼지가 비산됨으로써 실내 공간의 공기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터 장치에서 분리된 미세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집진통을 별도로 마련하고, 집진통과 안내관이 선택적으로 체결되게 함으로써 미세 먼지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는, 본체에 마련되어 공기와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 장치; 상기 먼지 분리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먼지 분리 장치에서 토출되는 공기에서 미세 먼지를 분리하는 필터 장치와;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흡입 노즐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먼지 분리 장치로 공기와 먼지를 안내하는 안내관; 및 상기 필터 장치에서 필터링된 미세 먼지를 집진하고, 상기 안내관과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하게 마련되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 장치와는 별도로 집진통을 마련하여, 필터 장치에서 분리된 미세 먼지를 포집함으로써 사용자가 집진통만을 진공 청소기의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미세 먼지를 용이하게 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집진통은 안내관과 선택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집진통 내부의 먼지를 다시 먼지 분리 장치 내부로 흡입하여 집진 용기로 토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먼지 분리 장치, 필터 장치 및 집진 용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가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공기 유동을 나타낸 진공 청소기 내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통과 안내관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통과 안내관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통과 안내관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는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에서 발생된 흡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20)와, 상기 연결부(20)의 일측에 구비되어 피청소면에 산재한 먼지 및 이물질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상기 흡입 노즐(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30)의 내부에는 흡입 모터(미도시)가 장착되고, 흡입 모터(미도시)가 구동되는 경우 흡입력이 발생하여 공기와 함께 먼지 및 이물질 등을 상기 본체(30) 내부로 흡입한다. 흡입된 먼지 및 이물질 등은 상기 본체(30)의 내부에서 필터링 된다.
상기 연결부(20)는 일단에 상기 흡입 노즐(10)이 장착되며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상기 안내관(22)과, 상기 안내관(22) 및 상기 본체(30)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관(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관(22)은 진공 청소기의 사용자의 신장이나 피청소면의 위치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청소시에는 상기 안내관(22)에 연결된 상기 흡입 노즐(10)은 피청소면에 대하여 전후 좌우로 이동을 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청소를 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24)은 플렉시블(Flexibl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30) 내부에 마련되는 먼지 분리 장치(200), 필터 장치(320) 및 집진 용기(60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며, 상기 본체(30) 내부에 마련된 상기 먼지 분리 장치(200), 상기 필터 장치(320) 및 상기 집진 용기(600)의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피청소면에 묻어 있는 먼지 및 이물질 등을 포함한 공기는 상기 본체(3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먼지 분리 장치(200)는 유입된 공기 중에서 먼지 및 이물질 등을 분리한다.
상기 먼지 분리 장치(200)에서 분리된 먼지 및 이물질 등은 상기 먼지 분리 장치(200)의 일측에 마련된 먼지 배출부(220)를 통하여 상기 집진 용기(600)에 포집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 장치(200)에서 분리되지 않은 미세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200)의 타측에 마련된 연통관(230)을 통하여 상기 필터 장치(320)로 유입된다.
상기 필터 장치(320)는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본체(30) 후방에 형성된 공기 배출부(110)를 통하여 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가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공기 유동을 나타낸 진공 청소기 내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며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진공 청소기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에 전원을 인가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흡입 모터(100)가 작동되어 흡입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 및 이물질 등이 포함된 공기는 유입관(240)을 통하여 상기 본체(3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관(240)으로 유입된 먼지 및 이물질 등이 포함된 공기는 상기 유입관(240)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20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먼지 분리 장치(200)의 내부로 유입된 먼지 및 이물질 등이 포함된 공기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20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는 과정에서 먼지 및 이물질 등과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먼지 및 이물질 등은 먼지 배출부(220)를 통하여 상기 집진 용기(600)로 이동된다. 반면, 공기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200)의 내부에 마련되는 공기 배출 부재(210)를 통과한 후에 연통관(230)을 통하여 상기 필터 장치(3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즉, 상기 필터 장치(320)의 일측에는 연통관(230)과 연통되는 안내관(322)이 마련되어 상기 먼지 분리 장치(200)에서 먼지 및 이물질 등이 분리된 공기를 상기 필터 장치(320)의 내부로 안내한다.
상기 먼지 분리 장치(200)는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공기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질 등을 분리하므로, 어느 정도의 무게와 크기를 가지는 먼지 및 이물질 등만이 분리되고 가시화되지 않는 미세 먼지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200)로부터 토출된 공기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장치(320)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필터링한다. 상기 필터 장치(320)에 의하여 미세 먼지와도 분리된 공기는 상기 필터 장치(320)의 내부에 마련되는 흡입관(324)을 통하여 흡입 모터(100)로 이동한다.
즉, 상기 필터 장치(320) 내부에는 흡입 모터(100)와 연통되는 흡입관(324)이 마련되어 미세 먼지와 분리된 공기를 흡입 모터(100)로 흡입한다. 이렇게 흡입된 공기는 상기 본체(30)의 후방에 마련된 공기 배출부(110)를 통하여 상기 본체(30) 외부로 배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통(500)과 안내관(22)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집진통(500)과 상기 안내관(22)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집진통(500)과 상기 안내관(22)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필터 장치(320) 내에서 미세 먼지가 필터링 되어 상기 집진통(500) 내부로 토출되는 과정 및 상기 집진통(500)과 상기 안내관(22)이 체결되어 미세 먼지가 먼지 분리 장치 내부로 다시 유입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분리 장치(200)에서 먼지 및 이물질 등이 분리된 공기는 상기 안내관(22)을 통하여 상기 필터 장치(32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필터 장치(320)는 상기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필터링 한다.
즉, 상기 먼지 분리 장치(200)에서 토출된 공기에는 가시화되지 않은 미세 먼지가 혼합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 장치(320) 내부에 마련된 필터 등은 먼지 분리 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로부터 미세 먼지를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필터 장치(320) 내부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필터 장치(320)와 상기 집진통(500)을 연통시키는 토출구(326)를 통하여 상기 집진통(500)의 내부에 포집된다.
상기 집진통(500)은 진공 청소기 상기 본체(30)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집진통(500) 내부에 포집된 미세 먼지를 버리기 위하여 상기 집진통(500)을 진공 청소기와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집진통(500)을 진공 청소기와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집진통(500) 내부에 포집된 미세 먼지가 비산되어 실내 공간의 공기를 오염시키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안내관(22)을 상기 집진통(500)과 체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관(22)은 피청소면의 먼지 및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상기 흡입 노즐(1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기 집진통(500)에는 상기 안내관(22)이 삽입 체결될 수 있는 연통공(340)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흡입 노즐(10, 도 1 참조)과 상기 안내관(22)을 분리하여 상기 안내관(22)의 단부를 상기 집진통(500)에 형성된 연통공(340)에 삽입하여 상기 집진통(500) 내부에 포집된 미세 먼지를 다시 진공 청소기 본체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안내관(22)의 단부를 연통공(340)에 삽입한 후, 상기 본체(30)에 전원을 인가하면, 흡입 모터의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집진통(500) 내부에 포집된 미세 먼지는 상기 안내관(22)으로 유입된다.
상기 안내관(22)을 따라 상기 본체(30) 내부로 유입된 미세 먼지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200) 내부에서 공기와 분리되며, 분리된 미세 먼지는 상기 집진 용기(600) 내부로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 과정에서 공기와 분리되지 않은 미세 먼지는 다시 상기 필터 장치(320)로 토출되어 필터링 되고, 필터링된 미세 먼지는 상기 집진통(500) 내부로 토출된다.
즉, 상기 안내관(22)을 상기 집진통(500)과 체결하여 상기 집진통(500) 내부에 포집된 미세 먼지를 다시 상기 먼지 분리 장치(200) 내부로 유입시키는 경우 약간의 미세 먼지는 다시 상기 필터 장치(320) 내부로 유입되나, 미세 먼지는 서로 뭉쳐져 덩어리 형태로 남아 있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미세 먼지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200)에서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분리되어 상기 집진 용기(600)로 토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집진통(500)을 상기 본체(30)로 분리시키지 않아도 상기 집진통(500) 내부에 포집된 미세 먼지를 상기 집진 용기(600)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진통(500)에 형성되는 연통공(340)에는 씰링 부재(미도시)가 마련된다. 즉, 연통공(340)에 상기 안내관(22)의 단부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씰링 부재는 연통공(340)의 내주면과 상기 안내관(22)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연통공(340)과 상기 안내관(22) 사이를 밀폐시킴으로써, 포집된 미세 먼지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씰링 부재는 연통공(340)의 내주면과 상기 안내관(22)의 외주면 사이를 완벽하게 밀폐시키기 위하여 고무 재질을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상기 씰링 부재의 기능을 고려할 때, 상기 씰링 부재가 상기 안내관(22)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집진통(500)에 포집된 미세 먼지를 먼지 분리 장치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집진통(500)에 상기 안내관(22)을 체결하는 경우, 상기 안내관(22)의 단부는 상기 필터 장치(320)에 형성되는 토출구(326)를 폐쇄한다.
즉, 상기 필터 장치(320)에서 분리된 미세 먼지는 토출구(326)를 통하여 상기 집진통(500) 내부에 포집되는데, 상기 집진통(500) 내부에 포집된 미세 먼지만을 먼지 분리 장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안내관(22)이 상기 집진통(500) 내부의 포집된 먼지를 흡입하는 경우에 토출구(326)가 폐쇄되지 않는다면, 미세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이 약해지고 상기 필터 장치(320) 내부에 존재하는 미세 먼지도 함께 상기 먼지 분리 장치(200)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집진통(500)에는 연통공(340)을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33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집진통(500)에 상기 안내관(22)이 결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부재(330)가 연통공(340)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집진통(500) 내부의 미세 먼지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개폐 부재(330)는 연통공(34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안내관(22)의 삽입시 상기 집진통(500) 내측으로 회동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안내관(22)을 연통공(340)에 삽입하는 경우 개폐 부재(330)는 상기 집진통(500)의 상측에 형성된 토출구(326)를 향하여 회동하여 토출구(326)를 폐쇄시킨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관(22)이 상기 집진통(500) 내부의 미세 먼지를 흡입하는 경우, 흡입력의 세기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상기 필터 장치(320)에 존재하는 미세 먼지가 먼지 분리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상기 집진통(500)과 상기 안내관(22)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안내관(22)이 상기 집진통(500)의 외부로 분리되는 경우 개폐 부재(330)는 그 무게에 의하여 자동으로 연통공(340)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흡입 노즐 20: 안내관
22: 연장관 22: 연결관
30: 본체 500: 집진통

Claims (5)

  1. 본체에 마련되어 공기와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 장치;
    상기 먼지 분리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먼지 분리 장치에서 토출되는 공기에서 미세 먼지를 분리하는 필터 장치;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흡입 노즐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먼지 분리 장치로 공기와 먼지를 안내하는 안내관; 및
    상기 필터 장치에서 필터링된 미세 먼지를 집진하고, 상기 안내관과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하게 마련되는 집진통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장치에는 상기 필터 장치와 상기 집진통을 연통시키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집진통과 상기 안내관의 연결시 상기 토출구가 폐쇄되어 상기 집진통의 미세 먼지가 상기 안내관으로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에는 상기 안내관이 삽입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에는 상기 연통공과 상기 안내관 사이를 밀폐하는 씰링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과 상기 안내관의 연결시, 상기 안내관의 단부는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과 상기 안내관의 연결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토출구를 향하여 회동함으로써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집진통과 상기 안내관의 분리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연통공을 향하여 회동함으로써 상기 연통공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KR1020100064764A 2010-07-06 2010-07-06 진공 청소기 KR101216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764A KR101216101B1 (ko) 2010-07-06 2010-07-06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764A KR101216101B1 (ko) 2010-07-06 2010-07-06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099A KR20120004099A (ko) 2012-01-12
KR101216101B1 true KR101216101B1 (ko) 2012-12-26

Family

ID=45610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764A KR101216101B1 (ko) 2010-07-06 2010-07-06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1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251Y1 (ko) 1995-03-31 1999-06-15 최진호 진공청소기의 집진실 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251Y1 (ko) 1995-03-31 1999-06-15 최진호 진공청소기의 집진실 청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099A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2453B (zh) 手持式真空吸尘器
TWI687195B (zh) 具有吸塵器及基座之系統、吸塵器、基座及清空吸塵器之集塵室之方法
KR101471026B1 (ko) 먼지봉투 또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선택 장착할 수 있는진공청소기
KR101369234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핸디형 진공청소기
KR20210002057A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US20080229539A1 (en) Upright vacuum cleaner using return current of discharging air
KR20040110883A (ko) 사이클론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20060125952A (ko) 집진 유니트
EP2721985A2 (en) Device for connecting vacuum cleaner bag
CN113271831A (zh) 集尘装置和具有集尘装置的吸尘器
CN107348894A (zh) 一种表面清洁器
CN107205603A (zh) 具有旋风分离器的吸尘器
KR20170046345A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101216101B1 (ko) 진공 청소기
JP6430112B2 (ja) 電気掃除機
TW201628545A (zh) 用於電動吸塵器之吸嘴
WO2002043551A1 (en) Device for a dust container
KR101250079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KR20100010161A (ko) 진공청소기
KR102049860B1 (ko) 청소기
CN110234259A (zh) 表面清洁装置
KR101306739B1 (ko) 진공 청소기
KR101597228B1 (ko) 습식 이물질수거조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101147778B1 (ko) 진공 청소기
US20240057832A1 (en)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