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018B1 - Machine to user appliance - Google Patents

Machine to user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018B1
KR101216018B1 KR1020100132518A KR20100132518A KR101216018B1 KR 101216018 B1 KR101216018 B1 KR 101216018B1 KR 1020100132518 A KR1020100132518 A KR 1020100132518A KR 20100132518 A KR20100132518 A KR 20100132518A KR 101216018 B1 KR101216018 B1 KR 101216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otocol
module
commun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5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70962A (en
Inventor
노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처스
Priority to KR1020100132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018B1/en
Publication of KR20120070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9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0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은, 이종 장치 사이에서 중계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표준 데이터 구조가 정의된 프로토콜 모듈, 상기 표준 데이터 구조에 연관된 통신 프로토콜의 선후 관계 정보가 정의된 프로토콜 관계 정보 모듈, 상기 표준 데이터 구조에 포함된 각 데이터와 연관된 장치 정보가 정의된 장치 데이터 관계 정보 모듈 및 상기 표준 데이터 구조에 포함된 각 데이터의 내부 처리 또는 상위의 운영 시스템으로 전달 처리 여부를 결정하는 정보가 정의된 데이터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device and a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tocol module in which a standard data structure for a communication protocol relayed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is defined, and a protocol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in which procedural relationship information of a communication protocol associated with the standard data structure is defined. A device data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in which devic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each data included in the standard data structure is defined, and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process an internal process of each data included in the standard data structure or a transfer process to a higher operating system. Data processing module.

Description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MACHINE TO USER APPLIANCE}Collabo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device and user {MACHINE TO USER APPLIANCE}

본 발명은 이종 장치를 연결하여 자동으로 연속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user and a device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a continuous process by connecting heterogeneous devices.

일반적으로 가공, 조립, 검사 등을 행하기 위한 생산설비는 단계별로 설비 장치가 연속적으로 나열되고 이 설비 장치들의 정보를 송수신하며 제품이 완성된다. 상기 설비 장치를 통해 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서 수집된 정보도 순차적으로 전송되어 완제품이 제작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 자동화 설비 장치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 받는 수단에 대한 설치의 작업이 복잡하고 힘들어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지속적으로 끊임없이 변경, 개선되는 프로세스를 반영하기 위한 운영, 유지 보수에 과도한 자원이 소모되는 문제들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설비 장치가 다양한 제조자에 의해 제조되어 설비 장치 사이에 통일되지 않은 통신 환경 및 데이터 포맷을 가지고 있어 통합/자동화 비용 및 소요 시간이 증가되었다. 그로 인하여, 필요에 따른 신규 장치의 변경, 증설 및 추가가 어렵고, 상기 설비 장치를 운영하는 프로그램 변경 또는 확장에 어려움이 있었다.
In general, the production equipment for processing, assembly, inspection, etc. are arranged in a series of equipment equipment step by step,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of the equipment equipment and the product is completed. As the work proceeds sequentially through the equipment, the collected information is also sequentially transmitted to produce a finished product. However, the installation work on the means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these conventional automation equipment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and the installation cost is high. There were problems that were consumed. In addition, the equipment has been manufactured by various manufacturers and has a unified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data format between the equipment, thereby increasing integration / automation cost and time required.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change, expand, or add a new device as necessary, and there is a difficulty in changing or expanding a program for operating the facility devic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종 장치를 연결하여 자동으로 연속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user and a device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a continuous process by connecting heterogeneous devices.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은, 이종 장치 사이에서 중계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표준 데이터 구조가 정의된 프로토콜 모듈, 상기 표준 데이터 구조에 연관된 통신 프로토콜의 선후 관계 정보가 정의된 프로토콜 관계 정보 모듈, 상기 표준 데이터 구조에 포함된 각 데이터와 연관된 장치 정보가 정의된 장치 데이터 관계 정보 모듈 및 상기 표준 데이터 구조에 포함된 각 데이터의 내부 처리 또는 상위의 운영 시스템으로 전달 처리 여부를 결정하는 정보가 정의된 데이터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In a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device and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a protocol module in which a standard data structure for a communication protocol relayed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is defined, and communication associated with the standard data structure A protocol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in which prognostic relation information of a protocol is defined, a device data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in which devic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each data included in the standard data structure is defined, and internal processing or a higher level of each data included in the standard data structure. It includes a data processing module in which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process the delivery to the operating system is defined.

또한, 상기 표준 데이터 구조에 포함된 각 데이터를 내부 처리하는 경우, 실시간 처리 또는 조건 반응 처리 여부를 결정하는 정보가 정의된 데이터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data management module in which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process each data included in the standard data structure is determined in real time or condition response.

또한, 상기 표준 데이터 구조는 이종 장치 사이에서 표준화된 형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andard data structure may define a communication protocol capable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in a standardized form among heterogeneous devices.

또한,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 내의 데이터 이력을 저장하고, 상위의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명령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device configured to store a data history in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and to store command data transmitted from an upper operating system.

또한, 상기 프로토콜 관계 정보 모듈은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준으로 선행 처리되는 통신 프로토콜 및 후행 처리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프로토콜 브릿지 정보,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교환될 수 있는 프로토콜 교환 조건 정보 및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교환된 이후의 프로토콜 상태 정보가 정의될 수 있다. The protocol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protocol bridge information that defines a communication protocol that is preprocessed and a communication protocol that is postprocessed based on an arbitrary communication protocol, protocol exchange condition information through which the communication protocol can be exchanged, and the communication protocol. Protocol status information after being exchanged may be defined.

또한, 상기 데이터 관계 정보 모듈은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자 정보, 상기 복수의 데이터의 처리와 연관된 장치를 식별하는 연관 장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가 처리될 수 있는 처리 조건 정보가 정의될 수 있다. The data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may also process data identifi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lurality of data included in any communication protocol, associated device identifi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device associated with the processing of the plurality of data, and the plurality of data. Process condition information can be defined.

또한,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동일 또는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을 상호 연결한 상태에서 구동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may process the data by driving a plurality of the same or different applications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은 기능 확장을 지원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 output interface for supporting a function extens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은, 무인화 플랫폼 설치를 가능하게 하고, 생산 제어에 관련된 장치들과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또는 상위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된 명령이 표준화된 프로토콜과 데이터 포맷으로 전달되어 투명한 쌍방향 통신을 제공할 수 있고, 고가의 추가적인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 없이 무정지, 고효율의 설비 운영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device and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enable an unmanned platform installation, perform real-time data communication with devices related to production control, and operate a user or a higher level. Instructions delivered from the system can be delivered in standardized protocols and data formats to provide transparent two-way communication, and have the advantage of enabling uninterrupted, high-efficiency installations without expensive additional systems or softwa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이 포함된 실시간 자동 설비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M2M 계층으로 구성된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이 포함된 실시간 자동 설비 시스템의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device and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real-time automatic facility system including a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device and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real-time automatic facility system including a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user and a device configured with one or more M2M lay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면을 참조 또는 변형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하며 이루어지며, 아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Hereinafter, a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device and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inf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ferring to or modifying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various embodiments inferred abov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device and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생산, 설비 등에 관련된 이종 장치를 연결하여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 및 데이터 포맷으로 상기 이종 장치를 연속적으로 자동 공정하는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M2U: Machine to User)(100)은 프로토콜 모듈(110), 프로토콜 관계 정보 모듈(120), 장치 데이터 관계 정보 모듈(130), 데이터 관리 모듈(140) 및 데이터 처리 모듈(150)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모듈은 OSGI 표준을 통해 구성, 운영 또는 관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machine-to-user (M2U) machine 100 for connecting a heterogeneous device related to a production, a facility, and the like to continuously process the heterogeneous device automatically with a standardized communication protocol and data format (M2U) 100 ) Includes a protocol module 110, a protocol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120, a device data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130, a data management module 140, and a data processing module 150. The module constituting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100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may be configured, operated or managed through an OSGI standard.

상기 프로토콜 모듈(110)은 이종 장치 사이에서 중계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표준 데이터 구조가 정의된다.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는 이종 장치 사이에서 표준화된 형식으로 중계되는 메타(meta) 형식의 데이터의 표준 구조가 정의되고, 상기 데이터의 표준 구조는 데이터 형식을 정의하는 구조체(structure) 및 구조체를 구성하는 N개(N≥1)의 데이터에 대한 멤버 변수(member variable)로 구성된다. 상기 구조체는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프로토콜에 포함된 N개의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형식으로 구성되고, 멤버 변수는 N개의 데이터 중 출력 장치로 출력할 n(1≤n≤N)개의 출력 변수 및 N-n개의 유지 변수로 구성된다. 상기 N-n개의 유지 변수는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 이후에 처리될 후행 통신 프로토콜의 교환 조건을 판별하는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 모듈(110)에서 정의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표준 데이터 구조는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를 통해 데이터의 성격(nature) 및 값(value)에 따른 가공, 치환, 변환, 추가(enrichment) 등의 다양한 상황에 따른 수정이 가능하다.The protocol module 110 defines a standard data structure for communication protocols relayed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The communication protocol defines a standard structure of meta-type data that is relayed in a standardized format among heterogeneous devices, and the standard structure of the data includes N structures constituting a structure and a structure defining a data format. It is composed of member variables for data of (N≥1). The structure is composed of a data format for N data included in an input protocol input from an input device, and the member variable is n (1 ≦ n ≦ N) output variables and Nn pieces of N data to be output to the output device. It consists of holding variables. The N-n maintenance variables may be used as a function of determining an exchange condition of a subsequent communication protocol to be processed after any communication protocol. The standard data structure for the communication protocol defined in the protocol module 110 may be processed, replaced, converted, added, etc. according to the nature and value of data through OSGI (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It is possible to modify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상기 프로토콜 관계 정보 모듈(120)은 상기 프로토콜 모듈(110)에서 정의된 표준 데이터 구조에 연관된 통신 프로토콜의 선후 관계 정보가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토콜 관계 정보 모듈(120)은,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준으로 선행 처리되는 통신 프로토콜 및 후행 처리되는 통신 프로토콜의 선후 관계를 정의하는 프로토콜 브릿지 정보, 상기 프로토콜이 교환될 수 있는 선행 조건인 프로토콜 교환 조건 정보 및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교환된 이후의 프로토콜 상태에 관한 프로토콜 상태 정보에 관한 정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 브릿지 정보는 상기 프로토콜 모듈(110)의 표준 데이터 구조의 멤버로 포함되거나, 프로토콜 관계 정보 모듈(120)의 프로토콜 브릿지 정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 교환 조건 정보 및 프로토콜 상태 정보는 통신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조건에 대한 기준이 된다. 설정에 따라서, 상기 프로토콜 교환 조건 정보 및 프로토콜 상태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통신 프로토콜의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내부 처리되는 데이터로 정의될 수 있다. The protocol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120 defines procedural relationship information of a communication protocol associated with a standard data structure defined in the protocol module 110. Specifically, the protocol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120 includes protocol bridge information that defines a predecessor relationship between a communication protocol preprocessed and a postprocessing communication protocol based on an arbitrary communication protocol, and a prerequisite for the protocol to be exchanged. In-protocol exchange condition information and protocol status information regarding a protocol state after the communication protocol is exchanged may be configured. The protocol bridg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as a member of the standard data structure of the protocol module 110 or may be stored in the protocol bridge information of the protocol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120. The protocol exchange condition information and protocol state information serve as criteria for a condition for processing data included in a communication protocol. According to a setting, data of a communication protocol that does not include the protocol exchange condition information and protocol state information may be defined as data processed internally in real time.

상기 장치 데이터 관계 정보 모듈(130)은 상기 프로토콜 모듈(110)에서 정의된 표준 데이터 구조에 포함된 각 데이터와 연관된 장치 정보가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 데이터 관계 정보 모듈(130)은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 중 유일한 하나의 데이터로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자 정보, 상기 복수의 데이터를 생성, 전송, 수신 또는 이용 등의 처리에 연관된 장치를 식별하는 연관 장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가 생성, 전송, 수신 또는 이용 등으로 처리될 수 있는 선행 조건인 처리 조건 정보가 정의될 수 있다.The device data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130 defines devic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each data included in the standard data structure defined by the protocol module 110. Specifically, the device data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130 processes data identifi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data as only one of a plurality of data included in any communication protocol, and generating, transmitting, receiving, or using the plurality of data. Associated device identifi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device associated with a and processing condition information, which is a prerequisite that the plurality of data can be processed by generation, transmission, reception or use, can be defined.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140)은 상기 프로토콜 모듈(110)에서 정의된 표준 데이터 구조에 포함된 각 데이터를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100)에서 처리하는 경우, 현재 데이터에 기반한 실시간 이벤트(event), 알람(alarm) 또는 경고(warning) 발생 여부 뿐만 아니라, 상황 또는 조건 등에 따른 적절한 반응 처리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장치 데이터 관계 정보 모듈(130)을 참조하여, 현재 데이터를 어느 장치에서 얻은 데이터와 비교, 통합, 연산(enrichment)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정보가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140)은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 중 유일한 하나의 데이터로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자 정보 및 각 통신 프로토콜 관계 정보에 따른 선행 조건인 프로토콜 교환 조건 정보 및 프로토콜 상태 정보에 따라 각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할지 또는 조건에 따라 반응 처리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규칙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When the data management module 140 processes each data included in the standard data structure defined by the protocol module 110 in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100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a real-time event based on the current data Refer to the device data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130 to determine appropriate respons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situation or condition, as well as whether an alarm or a warning has occurred, Information that defines whether to compare, integrate, or enrich is defined. Specifically, the data management module 140 may include data identifier information identifying only one of a plurality of data included in any communication protocol, and protocol exchange condition information and protocol state, which are prerequisites according to each communication protocol relationship information. It may be composed of rul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process each data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r the reaction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nditions.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150)은 상기 프로토콜 모듈(110)에서 정의된 표준 데이터 구조에 포함된 각 데이터를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100)에서 내부 처리할지 또는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100)에 연결된 상위 장치인 운영 시스템으로 전달하여 처리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정보가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150)은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 중 유일한 하나의 데이터로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자 정보 및 각 데이터를 내부 처리할지 또는 운영 시스템으로 전달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규칙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ata processing module 150 may internally process each data included in the standard data structure defined in the protocol module 110 in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100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or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process and deliver to an operating system that is an upper device connected to 100 is defined. In detail, the data processing module 150 may determine data identifier information identifying only one data among a plurality of data included in any communication protocol, and a rule for determining whether each data is internally processed or transmitted to an operating system. It can consist of information.

또한,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100)은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100)과 장치들 사이에서 송수신된 데이터 이력(raw data)을 저장하고, 연결된 상위의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명령 데이터(instruction data)를 저장하는 비휘발성(non-volatile)저장 장치를 더 포함하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애 또는 외부의 장애 등의 시스템 오류에 대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ystem 100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may store raw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device and the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ystem 100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and may be transmitted from a connected upper operating system.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non-volatile storage device that stores instruction data. The stored data may correspond to a system error such as a network failure or an external failure using the stored data.

또한,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100)은 동일한 하드웨어의 리소스 내에서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instance)를 구성하고, 동일 또는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을 상호 연결한 상태에서 동시 또는 이시에 구동하여, 별도의 소프트웨어 또는 별도의 시스템 연결 없이 반복 구동(redundancy)을 확보함으로써, 설비나 생산에 관련된 장치 등의 무정지, 무중단 운영을 통해 설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이 된다. In addition, the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ystem 100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configures one or more instances within a resource of the same hardware, and runs simultaneously or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or different applications, and thus separate software. Or, by securing redundancy without a separate system connection, it becomes a foundatio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quipment through non-stop and non-stop operation of equipment or production-related devices.

또한,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100)은 기능 확장을 지원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향후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아날로그 센서, 디지털 센서, 진동 센서(vibration sensor), 카메라 또는 지그비 주변장치(zigbee dongle) 등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메라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동작의 인식, 영상을 통한 감시 등의 기능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지그비 주변 장치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인텔리전트 빌딩(intelligent building) 또는 유비쿼터스 시티(ubiquitous city) 구성 등으로 기능을 확장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ystem 100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 output interface supporting function expansion, and may support various protocols in the future. The input / output interface may be equipped with an analog sensor, a digital sensor, a vibration sensor, a camera or a Zigbee dongle, and when the camera is mounted throug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recognition of an operation and an image. It can be extended to a function such as monitoring through a ZigBee device, and when a ZigBee peripheral device is mounted, the function can be extended to an intelligent building or ubiquitous city configuration.

이를 통해,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100)은 생산, 설비등에 관련된 이종의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수행 결과를 표준 데이터 구조로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과 데이터 포맷으로 정의하고, 각 통신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상관 관계 및 우선 순위를 할당하며,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100) 내부에서 처리될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이외의 데이터는 상위의 운영 시스템으로 전달함으로써 실시간 공정 처리가 가능하다.
Through this, the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ystem 100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performs data communication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related to production, equipment, and the like, and defines a result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and data format defined by a standard data structure. Assigns correlation and priority of data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protocol, and processes data to be processed in the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ystem 100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in real time, and delivers other data to a higher operating system in real time. Process treatment is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이 포함된 실시간 자동 설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real-time automatic facility system including a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device and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간 자동 설비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100)과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장치(301, 302, 303, 304, 305 및 306)가 연결되는 M2M(Machine to Machine) 계층 및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100) 과 상위 운영 시스템(200)이 연결되는 M2U(Machine to User) 계층이 포함된다. 상기 M2M 계층에서는,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100)은 인라인(in-line)화된 하나 이상의 상이한 생산 제어 설비 등의 장치(301, 302, 303, 304, 305 및 306)와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상이한 생산 제어 설비 사이에서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 및 데이터 포맷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장치 운영을 자동화, 무인화한다. 또한, 상기 M2U 계층에서는,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100)은 상위의 운영 시스템(200)과 연결되고, 상기 운영 시스템(200)으로부터 전달된 지시 정보를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 및 데이터 포맷으로 전달하여 투명한(transparent) 쌍방향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2U 계층에서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M2M 계층과 연계하여 분산된 데이터를 접근, 관리하고 이를 통해 상위의 운영 시스템으로 하여금 실시간 관리를 위한 이벤트 및 알람 전송을 통해 시스템 오류 등에 대한 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M2M 계층으로 구성된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이 포함된 실시간 자동 설비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M2M 계층과 연계하여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 및 데이터 포맷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상위의 운영 시스템은 이를 실시간 관리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2, the real-time automatic facility system is one or more devices 301, 302, 303 connected to a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ystem 100 between a device and a user and a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device and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chine to machine (M2M) layer to which the 304, 305, and 306 are connected, and a machine to user (M2U) layer to which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100 and the upper operating system 200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are connected. In the M2M layer, the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ystem 100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is connected with devices 301, 302, 303, 304, 305, and 306, such as one or more different production control facilities in-line, Automate and unmann the device operation b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one or more different production control facilities in a standardized communication protocol and data format. In addition, in the M2U layer,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100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is connected to an upper operating system 200 and converts the ind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perating system 200 into a standardized communication protocol and data format. Transfer to support transparent two-way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ystem 100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in the M2U layer accesses and manages distributed data in association with one or more M2M layers, thereby allowing the upper operating system to transmit events and alarms for real time management. This allows you to manage risks such as system failures.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real-time automatic facility system including a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device and a user configured with one or more M2M lay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onnection, data communication is performed in a standardized communication protocol and data format, and the upper operating system manages the data in real time.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described as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each or all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Can be configured.

100: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
110: 프로토콜 모듈
120: 프로토콜 관계 정보 모듈
130: 장치 데이터 관계 정보 모듈
140: 데이터 관리 모듈
150: 데이터 처리 모듈
100: a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device and a user
110: protocol module
120: protocol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130: device data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140: data management module
150: data processing module

Claims (8)

이종 장치 사이에서 중계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표준 데이터 구조가 정의된 프로토콜 모듈;
상기 프로토콜 모듈과 통신 연결되며, 상기 표준 데이터 구조에 연관된 통신 프로토콜의 선후 관계 정보가 정의된 프로토콜 관계 정보 모듈;
상기 프로토콜 모듈과 통신 연결되며, 상기 표준 데이터 구조에 포함된 각 데이터와 연관된 장치 정보가 정의된 장치 데이터 관계 정보 모듈; 및
상기 프로토콜 관계 정보 모듈 및 상기 장치 데이터 관계 정보 모듈과 통신 연결되며,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선후 관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표준 데이터 구조에 포함된 각 데이터의 내부 처리 또는 상위의 운영 시스템으로 전달 처리 여부를 결정하는 정보가 정의된 데이터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
A protocol module in which standard data structures for communication protocols relayed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are defined;
A protocol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in communication with the protocol module, the prognostic relationship information of a communication protocol associated with the standard data structure defined;
A device data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in communication with the protocol module, the device data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defining devic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each data included in the standard data structure; And
It is connected with the protocol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and the device data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and based on the prognostic relationship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whether to process the internal data of each data included in the standard data structure or transfer processing to the higher operating system. And a data processing module in which information for determining is def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데이터 구조에 포함된 각 데이터를 내부 처리하는 경우, 상기 프로토콜 관계 정보 모듈 및 상기 장치 데이터 관계 정보 모듈과 통신 연결되며,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선후 관계 정보 및 상기 장치 정보를 기준으로, 실시간 처리 또는 조건 반응 처리 여부를 결정하는 정보가 정의된 데이터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n each data included in the standard data structure is internally processed, the protocol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and the device data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real-time processing or And a data management module in which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process the conditional reaction is def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데이터 구조는 이종 장치 사이에서 표준화된 형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tandard data structure defines a communication protocol capable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in a standardized format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 내의 데이터 이력을 저장하고, 상위의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명령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 data history in the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and storing command data transmitted from an upper operat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관계 정보 모듈은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준으로 선행 처리되는 통신 프로토콜 및 후행 처리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프로토콜 브릿지 정보,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교환될 수 있는 프로토콜 교환 조건 정보 및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교환된 이후의 프로토콜 상태 정보가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ocol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includes protocol bridge information defining a communication protocol that is preprocessed and a communication protocol that is postprocessed based on an arbitrary communication protocol, protocol exchange condition information that the communication protocol can be exchanged, and the communication protocol exchanged. The protocol status information is defined after the collaboration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데이터 관계 정보 모듈은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자 정보, 상기 복수의 데이터의 처리와 연관된 장치를 식별하는 연관 장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가 처리될 수 있는 처리 조건 정보가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vice data relationship information module may include data identifi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lurality of data included in an arbitrary communication protocol, associated device identifi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device associated with the processing of the plurality of data, and the plurality of data.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ing condition information is def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동일 또는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을 상호 연결한 상태에서 구동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processes data by driving a plurality of same or different applications in a state of interconnecting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은 기능 확장을 지원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와 사용자 간의 협업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further comprises an input / output interface for supporting a function extension.
KR1020100132518A 2010-12-22 2010-12-22 Machine to user appliance KR1012160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518A KR101216018B1 (en) 2010-12-22 2010-12-22 Machine to user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518A KR101216018B1 (en) 2010-12-22 2010-12-22 Machine to user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962A KR20120070962A (en) 2012-07-02
KR101216018B1 true KR101216018B1 (en) 2012-12-27

Family

ID=46706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518A KR101216018B1 (en) 2010-12-22 2010-12-22 Machine to user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01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133B1 (en) 2003-07-11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d-hoc network of heterogeneous termina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133B1 (en) 2003-07-11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d-hoc network of heterogeneous termi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962A (en) 201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26894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notification through industrial asset delivery
CN1188761C (en) Function block apparatus for viewing data in a process control system
CN100592745C (en) Method and system for sending localization and identity dependent information to mobile terminals
US9465371B2 (en)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6747449B2 (en) Communication adapter
JP2019530084A (en) Factory equipm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active black box
JP6927557B2 (en) Management system
CN102611726A (en) Monitoring alarm device and monitoring alarm method
WO2016021208A1 (en) Management device, control method for manage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management system
CN105137922A (en) Field device management system
CN110995859A (en) Intelligent transformer substation supporting platform system based on ubiquitous Internet of things
CN108989382B (en) Method for replacing and/or cloning at least some devices of a machine
CN102809953A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ert capture and transmission
WO2018149289A1 (en) Field data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4715499B2 (en)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KR101216018B1 (en) Machine to user appliance
JP2003299161A (en) Remotely managing system of building
AU2018252445A1 (en) Communication adapter and connection test run method therefor
US875170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fieldbus interface
JP2014060636A (en) Communication interface conversion device
CN111030853B (en)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based on full life cycle of equipment
KR101917616B1 (en) Iot system using lora network
JP6131504B2 (en) Intercom system
KR101545232B1 (en) Integrated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ing distributed computing
KR1025930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smart factory operation using opc u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