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850B1 - 휴대용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850B1
KR101215850B1 KR1020100134463A KR20100134463A KR101215850B1 KR 101215850 B1 KR101215850 B1 KR 101215850B1 KR 1020100134463 A KR1020100134463 A KR 1020100134463A KR 20100134463 A KR20100134463 A KR 20100134463A KR 101215850 B1 KR101215850 B1 KR 101215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unit
mode
communication terminal
registration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2619A (ko
Inventor
전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슬
Priority to KR1020100134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85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2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프로그램 사용제한 실행정보 또는 해제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 구동모드를 프로그램 사용제한 모드 또는 프로그램 사용제한 해제 모드로 변환하는 모드 변환부와, 모드 변환부에 의해 프로그램 구동모드가 프로그램 사용제한 모드로 변환된 경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모든 프로그램 중 조작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사용이 허여된 프로그램을 수집하여 등록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등록 리스트 처리부와, 모드 변환부에 의해 프로그램 구동모드가 프로그램 사용제한 모드로 변환된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등록 리스트에 포함된 프로그램들의 실행 아이콘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표시 제어부에 의해 표시된 프로그램들의 실행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실행 아이콘이 조작부를 통해 선택되면 해당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프로그램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통신 단말기{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 보급이 대중화 단계로 들어서면서 휴대전화를 스마트폰으로 바꿔 달라는 자녀들의 성화에 시달리는 부모들이 늘고 있다. 이미 500여만명에 이르는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 가운데 5%가량이 청소년으로 추산되고 있다. 친구 가운데 한두명이 신형 휴대전화를 사용하면 나머지도 따라 바꾸는 청소년들의 행태로 볼 때 휴대전화를 스마트폰으로 바꿔 달라는 자녀들의 성화는 더욱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뛰어나 부모나 학교 선생님의 눈을 피하기 좋고, 와이파이(무선랜) 지원으로 무선인터넷 속도도 초고속인터넷에 버금가기 때문에 컴퓨터보다 중독되기 쉽다. 한편 스마트폰에 무수히 많은 어플리케이션들이 탑재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찾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픈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오픈된 프로그램만 실행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프로그램의 구동시간 설정이 가능하고 구동 시간동안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목적은 프로그램 사용시간을 통계 처리할 수 있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프로그램 사용제한 실행정보 또는 해제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 구동모드를 프로그램 사용제한 모드 또는 프로그램 사용제한 해제 모드로 변환하는 모드 변환부와, 모드 변환부에 의해 프로그램 구동모드가 프로그램 사용제한 모드로 변환된 경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모든 프로그램 중 조작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사용이 허여된 프로그램을 수집하여 등록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등록 리스트 처리부와, 모드 변환부에 의해 프로그램 구동모드가 프로그램 사용제한 모드로 변환된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등록 리스트에 포함된 프로그램들의 실행 아이콘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표시 제어부에 의해 표시된 프로그램들의 실행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실행 아이콘이 조작부를 통해 선택되면 해당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프로그램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등록 리스트 처리부가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프로그램 삭제정보 또는 추가정보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등록 리스트에 포함된 해당 프로그램을 삭제 또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등록 리스트 처리부가 조작부로부터 사용이 허여된 프로그램들과 프로그램들에 대한 사용시간을 입력받아 등록 리스트를 생성하여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프로그램 구동부가 조작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램의 실행 아이콘이 선택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등록 리스트로부터 해당 프로그램의 사용시간을 읽어들인 후 해당 사용시간 동안 선택된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프로그램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 프로그램과 해당 프로그램의 사용시간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사용 리스트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통계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오픈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오픈된 프로그램만 실행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자녀 또는 타인의 무분별한 사용을 막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스마트폰(smart phone)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은 전화와 문자 송수신, 카메라, DMB,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폰과 전자우편, 스케줄, 메모를 통합 관리하는 개인정보관리 기능과 컴퓨터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smart phone)은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운영체제(OS)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smart phone)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영한·한영사전, 공학 계산기, 게임 기능까지 내장 가능하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살펴보면,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홈 키(HOME KEY)(11), 마이크(12), 스피커(13), 표시모듈(14), 근접센서(15), 카메라모듈(16)을 포함한다.
홈 키(HOME KEY)(11)는 현재 화면에 어떤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더라도 홈으로 등록된 프로그램의 실행 아이콘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사용자로부터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키이다. 마이크(12)와 스피커(13)는 음성을 입출력한다. 표시모듈(14)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는 것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근접센서(15)는 피사체에 빛을 주사하고 해당 주사된 빛의 반사광을 감지하여, 피사체와의 거리를 감지한다. 카메라모듈(16)은 렌즈계와, 렌즈계로부터의 광신호를 아날로그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촬상부와, 촬상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디지탈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한다. 렌즈계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소형의 하나 혹은 복수의 렌즈로 구성되며, 빛을 집광하여 촬상부에 공급한다. 촬상부는 통상 CMOS 촬상소자 또는 CCD 촬상소자로 구성되며, 렌즈계로부터의 광신호를 각 픽셀별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공지의 소자이다. 카메라 제어부는 근접센서(15)로부터 입력되는 감지값에 따라 렌즈계의 촛점거리를 조절한다.
도 1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현재 제조되고 있는 갤럭시탭이나 아이패드와 같은 태블릿 컴퓨터도 가능하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크게 조작부(210)와, 표시부(220)와, 저장부(230)와, 통신부(240)와, 사운드 처리부(250)와,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조작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수단으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키 버튼, 터치패널, 필기체 입력수단, 음성 인식수단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220)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는 것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실행 프로그램 및 사용자에 의해 사용이 허여된 프로그램의 등록 리스트와 모드 변환을 위한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통신장치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에 따른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설정 및 표시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이 실행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례로, 모드 변환을 위한 인증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일 수 있다.
통신부(240)는 무선 네트워크와 음성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일례로,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 및 무선통신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40)는 다양한 버젼의 CDMA, 셀룰라, GSM, W-CDMA 방식등 현존하는 방식은 물론, 향후에 등장할 이동통신방식의 무선통신회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부(24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EEE 802.11 표준을 따르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등 무선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기술의 표준을 따르는 무선통신회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운드 처리부(250)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제어부(260)로 제공하거나, 또는 제어부(260)가 추출 및/또는 생성하는 사운드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사운드 처리부(250)는 보코더(Vocoder)와 코덱(Codec)을 포함한다.
제어부(26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실행 프로그램에 따라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드 변환부(261)와, 등록 리스트 처리부(262)와, 표시 제어부(263)와, 프로그램 구동부(264)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모드 변환부(261)와, 등록 리스트 처리부(262)와, 표시 제어부(263)와, 프로그램 구동부(264)는 프로그램 코드로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안드로이드 마켓과 같은 상용화된 앱 스토어(Apps store)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설치될 수 있다.
모드 변환부(261)는 조작부(210)로부터 입력되는 프로그램 사용제한 실행정보 또는 해제정보와 저장부(230)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 구동모드를 프로그램 사용제한 모드 또는 프로그램 사용제한 해제 모드로 변환한다. 일례로, 조작부(210)로부터 입력되는 프로그램 사용제한 실행정보 또는 해제정보는 적어도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포함한다.
등록 리스트 처리부(262)는 모드 변환부(261)에 의해 프로그램 구동모드가 프로그램 사용제한 모드로 변환된 경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모든 프로그램 중 조작부(210)로부터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사용이 허여된 프로그램을 수집하여 등록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부(230)에 저장한다. 일례로, 등록 리스트는 복수개의 테마별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마 A는 워드, 엑셀, 그림판, 파워포인트, 테마 B는 게임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263)는 모드 변환부(261)에 의해 프로그램 구동모드가 프로그램 사용제한 모드로 변환된 경우, 저장부(230)에 저장된 등록 리스트에 포함된 프로그램들의 실행 아이콘을 표시부(220)에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263)는 프로그램 구동모드가 프로그램 사용제한 해제모드인 경우, 예컨대 모든 프로그램들의 실행 아이콘을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한다.
프로그램 구동부(264)는 표시 제어부(263)에 의해 표시된 프로그램들의 실행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실행 아이콘이 조작부(210)를 통해 선택되면 해당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등록 리스트 처리부(262)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부(210)로부터 입력되는 프로그램 삭제정보 또는 추가정보에 따라 저장부(230)에 저장된 등록 리스트에 포함된 해당 프로그램을 삭제 또는 추가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등록 리스트 처리부(262)는 조작부(210)로부터 사용이 허여된 프로그램들과 프로그램들에 대한 사용시간을 입력받아 등록 리스트를 생성하여 이를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같은 실시예에 따라, 프로그램 구동부(264)는 조작부(2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램의 실행 아이콘이 선택되면 저장부(230)에 저장된 등록 리스트로부터 해당 프로그램의 사용시간을 읽어들인 후 해당 사용시간 동안 선택된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통계 처리부(2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계 처리부(265)는 프로그램 구동부(264)에 의해 구동된 프로그램과 해당 프로그램의 사용시간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사용 리스트를 생성하여 이를 저장부(230)에 저장한다.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전원이 턴 온되면 운영체제(OS)를 구동한다(S301). 이후,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현재 프로그램 구동모드가 프로그램 사용제한 모드인지를 확인한다(S302).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확인결과 현재 프로그램 구동모드가 프로그램 사용제한 모드인 경우 전체 프로그램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들의 실행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S306을 실행한다. 즉, 본 발명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프로그램 사용제한 모드에서 전원이 꺼진 경우, 다시 전원이 턴 온되더라도 프로그램 사용제한 모드가 유지된다.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조작부를 통해 프로그램 사용제한 실행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303).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단계 S303에서 입력된 프로그램 사용제한 실행정보와 인증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예컨대 전체 프로그램들의 실행 아이콘을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S310을 실행한다.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만일 단계 S303에서 입력된 프로그램 사용제한 실행정보와 인증정보가 일치하면 프로그램 구동모드를 프로그램 사용제한 모드로 변환한다. 이후,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사용이 허여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등록 리스트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304).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만일 단계 S304에서 사용이 허여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등록 리스트가 있다면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들의 실행 아이콘을 표시한다.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만일 단계 S304에서 사용이 허여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등록 리스트가 없다면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모든 프로그램 중 조작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사용이 허여된 프로그램을 수집하여 등록 리스트를 생성하고 저장부에 저장한다(S305).
일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단계 S305에서 조작부로부터 사용이 허여된 프로그램들과 그 프로그램들에 대한 사용시간을 입력받아 등록 리스트를 생성하고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들의 실행 아이콘을 표시한다(S306).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등록 리스트 수정명령과 함께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프로그램 삭제정보 또는 추가정보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등록 리스트에 포함된 해당 프로그램을 삭제 또는 추가할 수 있다(S307).
이후,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화면에 표시된 프로그램들의 실행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실행 아이콘이 조작부를 통해 선택되면 해당 프로그램을 구동한다(S308).
일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저장부에 저장된 등록 리스트로부터 해당 프로그램의 사용시간을 읽어들인 후 해당 사용시간 동안 선택된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이후,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조작부를 통해 프로그램 사용제한 해제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309).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단계 S309에서 입력된 프로그램 사용제한 해제정보와 인증정보가 일치하면 예컨대 전체 프로그램들의 실행 아이콘을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S310을 실행한다.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단계 S309에서 입력된 프로그램 사용제한 해제정보와 인증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전체 프로그램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들의 실행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S306을 실행한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사용자로부터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표시부;
    사용자에 의해 사용이 허여된 프로그램 등록 리스트와 모드 변환을 위한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프로그램 사용제한 실행정보 또는 해제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 구동모드를 프로그램 사용제한 모드 또는 프로그램 사용제한 해제 모드로 변환하는 모드 변환부;
    상기 모드 변환부에 의해 프로그램 구동모드가 프로그램 사용제한 모드로 변환된 경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모든 프로그램 중 상기 조작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사용이 허여된 프로그램을 수집하여 등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프로그램 삭제정보 또는 추가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등록 리스트에 포함된 해당 프로그램을 삭제 또는 추가하는 등록 리스트 처리부;
    상기 모드 변환부에 의해 프로그램 구동모드가 프로그램 사용제한 모드로 변환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등록 리스트에 포함된 프로그램들의 실행 아이콘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표시 제어부에 의해 표시된 프로그램들의 실행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실행 아이콘이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되면 해당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프로그램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리스트 처리부가, 상기 조작부로부터 사용이 허여된 프로그램들과 상기 프로그램들에 대한 사용시간을 입력받아 등록 리스트를 생성하여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구동부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램의 실행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등록 리스트로부터 해당 프로그램의 사용시간을 읽어들인 후 해당 사용시간 동안 선택된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프로그램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 프로그램과 해당 프로그램의 사용시간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사용 리스트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통계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KR1020100134463A 2010-12-24 2010-12-24 휴대용 통신 단말기 KR101215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463A KR101215850B1 (ko) 2010-12-24 2010-12-24 휴대용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463A KR101215850B1 (ko) 2010-12-24 2010-12-24 휴대용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619A KR20120072619A (ko) 2012-07-04
KR101215850B1 true KR101215850B1 (ko) 2012-12-31

Family

ID=4670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463A KR101215850B1 (ko) 2010-12-24 2010-12-24 휴대용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8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619A (ko)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754B1 (ko) 블루루스 디바이스에서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EP3029889B1 (en) Method for instant messaging and device thereof
EP2983065B1 (en) Method and terminal for quickly starting application service
JP6393282B2 (ja) 携帯端末装置
JP6393021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073566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패널입력의 패턴인식을 이용한 명령일괄처리 방법
KR20080089955A (ko)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 다중선택 방법
WO2017012439A1 (zh) 图片拼接方法、终端及系统
CN102132543A (zh) 多电话环境中的远程用户接口
EP2924552B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executing user instructions
CN106507269B (zh) 一种数据迁移方法及终端设备
WO2019052291A1 (en) UNLOCKING METHODS AND RELATED PRODUCTS
CN103037070A (zh) 控制移动电话接听来电的方法和装置
CN103744592A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终端
CN103279272B (zh) 一种在电子装置中启动应用程序的方法及装置
WO20150432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pplications and operations on a terminal
CN103369095A (zh) 识别来电或短消息类型的方法和设备
CN103489025A (zh) 发送联系信息的方法和设备
RU2683481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инициализации для умного дома
CN104219372B (zh) 调整移动终端背光亮度的方法及装置
EP32103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sending a two-dimensional code in a message
CN105474134B (zh) 控制操作模式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电子设备
KR101215850B1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
JP2012019482A (ja) 携帯型電子機器
CN104182156A (zh) 触屏设备及其批量选择方法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