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515B1 -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515B1
KR101215515B1 KR1020110015621A KR20110015621A KR101215515B1 KR 101215515 B1 KR101215515 B1 KR 101215515B1 KR 1020110015621 A KR1020110015621 A KR 1020110015621A KR 20110015621 A KR20110015621 A KR 20110015621A KR 101215515 B1 KR101215515 B1 KR 101215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information
smart device
unit
information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6295A (ko
Inventor
마득운
김시복
Original Assignee
김시복
마득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복, 마득운 filed Critical 김시복
Priority to KR1020110015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515B1/ko
Publication of KR20120096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상기 콘텐츠 저장부로부터 저장된 상기 가상 정보 중에서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선택하는 콘텐츠 선택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중첩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콘텐츠 선택부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가상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Description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Image display apparatus based on recognizing selected location cordinates}
본 발명은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영상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좌표를 선택하는 경우 특정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s)는 휴대폰이나 PDA, PC 등으로 해당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한 위치와 관련된 경로안내, POI (Point Of Interest) 정보, 쇼핑 정보, 광고 등의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를 일컫는다.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을 이용하는 방식, GPS 위성신호를 이용하는 방식, 무선랜이나 블루투스, WLAN, WPAN 또는 AP(Access Point) 등을 이용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위치정보 제공 기술의 하나로 연구되고 있는 것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이다. 증강현실 기술은 가상현실 기술에서 파생된 기술로서,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실세계에 3차원 가상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을 의미한다. 실세계와의 상호작용을 배제하고 오직 미리 구축해놓은 가상공간 내에서의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가상현실 기술과는 달리, 증강현실 기술은 실시간 처리를 바탕으로 미리 구축된 실세계 정보가 특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제로 관찰되는 실세계의 영상에 겹쳐서 표현되고, 실제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관찰자가 실세계 관찰지역에 대한 신속하고 편리한 상황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일례가 하기 인용문헌 1 및 인용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인용문헌 1(한국등록특허 제0651508호 증강현실을 이용한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역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GPS 수신기와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여 카메라의 위치와 자세를 찾아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에서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사영상에 대한 지역 정보를 인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서버는 전송받은 위치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에 따라 그 실사 영상에 대한 지역 정보를 지역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드한다.
한편, 하기 인용문헌 2(한국공개특허 제2009-0000186호 증강현실을 이용한 관심 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는 관심지점 표시 장치의 현재 위치와 자세를 측정하고, 지도정보를 바탕으로 소정 범위의 검색 영역을 선정한다. 상기 선정된 검색 영역에서 카메라의 시야각 내에 존재하는 소정 개수의 관심지점을 선정하고, 해당 관심지점에 상응하는 추가정보를 추출한 다음, 관심지점과 추가정보를 합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인용문헌들은 실사 영상에 서버로부터 전송된 지역 정보를 중첩하여 출력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실사 영상에 상기 실사 영상과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중첩하여 출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인용문헌들은 실사 영상에 중첩된 가상 정보를 현장에서 직접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상 정보를 생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인용문헌들은 위치 및 방향을 변경하는 것과 동시에 가상 정보를 변경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현장감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갖는다.
1. 한국등록특허 제0651508호 (2006.11.29 등록) 2. 한국공개특허 제2009-0000186호 (2009.01.07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 및 상기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위치좌표에 중첩하여 출력할 수 있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사 영상에 중첩된 가상 정보를 현장에서 직접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상 정보를 생성하여 실사 영상에 중첩할 수 있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의 위치좌표 및 방향을 변경하더라도 이와 대응하여 가상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중첩함으로써 생생한 현장감을 얻을 수 있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는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상기 콘텐츠 저장부로부터 저장된 상기 가상 정보 중에서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선택하는 콘텐츠 선택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중첩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콘텐츠 선택부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가상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좌표를 제공하는 좌표 인식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고도 감지부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방향 변화를 감지하는 방향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 높이 및 방향 변화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가상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가상 정보를 텍스트로 출력하는 텍스트 출력부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가상 정보를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가상 정보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상 정보를 제작하기 위한 콘텐츠 제작 수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가상 정보를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대응시키거나 상기 가상 정보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상 정보를 제작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구동하는 앱 선택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가상 정보는 음성 정보,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 및 상기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위치좌표에 중첩하여 출력함으로써 현장감 있는 가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실사 영상에 중첩된 가상 정보를 현장에서 직접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상 정보를 생성하여 실사 영상에 중첩함으로써 가상 정보와 관련된 디자인의 효율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구면 좌표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 및 그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중첩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이동에 대응하는 위치변화 및 상기 위치변화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중첩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방향변화 및 상기 방향변화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가상 정보를 중첩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구면 좌표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 및 그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중첩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이동에 대응하는 위치변화 및 상기 위치변화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중첩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방향변화 및 상기 방향변화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가상 정보를 중첩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는 스마트 기기(11)에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 기기(11)의 영상 촬영부(13)를 이용하여 선택된 지점을 촬영한다. 상기 스마트 기기(11)는 인공위성(15)을 이용하여 GPS 모듈로부터 선택된 지점(16)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통신망(17)을 통해 서버(19)와 유/무선으로 통신함으로써 선택된 지점(16)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가상 정보(21)를 선택된 지점(16)과 중첩하여 출력한다.
상기 스마트 기기(11)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스마트폰, 테블릿 PC,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헬드 PC(Hand-Held PC), CDMA-2000 폰, WCDMA 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SP(PlayStation Portable) 및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11)는 영상 촬영부(13)를 구비하고, GPS 시스템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통신망(17)을 통해 서버(19)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가상 정보(21)는 캐드(CAD), MAX 및 포토샵 등과 같이 음성, 텍스트, 이미지(image) 또는 동영상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된 이미지이거나 동영상 제작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된 동영상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상 정보(21)는 특정 위치에 세워질 건물의 외관에 대한 디자인 또는 건물 내부의 실내 인테리어에 대한 디자인, 각종 소품에 대한 이미지 또는 왕의 행차와 같은 가상의 동영상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기기(11)는 영상 촬영부(13)를 통해 특정 위치를 선택하면, 캐드 , MAX 또는 포토샵 등을 통해 미리 제작된 건물의 이미지를 특정 위치에 배치하거나 스마트 기기(11)를 이동시키면서 건물 내부의 인테리어 등을 현장에서 직접 확인 또는 수정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100)는 스마트 기기(11)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표시장치(100)는 영상 촬영부(13), 위치정보 제공부(23), 콘텐츠 저장부(25), 콘텐츠 선택부(27), 콘텐츠 제작 수정부(29), 출력부(31) 및 제어부(3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영상 표시장치(100)는 앱 선택 구동부(35) 및 통신모듈(37)을 구비한다.
상기 영상 촬영부(13)는 스마트 기기(11)에 내장되어 영상 표시장치(100)로부터 선택된 지점을 촬영한다. 상기 영상 촬영부(13)로부터 촬영된 영상은 영상 표시장치(100)의 콘텐츠 저장부(25)에 저장된 가상 정보(21)와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23)는 스마트 기기(11)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23)는 스마트 기기(11)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좌표를 제공하는 좌표 인식부(39), 고도 감지부(41) 및 방향 감지부(43)를 구비한다. 상기위치좌표는 통신모듈(37)에 구비된 GPS 송수신부(45)로부터 수신된 지점의 좌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좌표는 스마트 기기(11)가 빌딩 내부 또는 고층 빌딩 사이와 같은 GPS의 음영지역에 위치할 경우 GPS 송수신부(45)로부터 위치 정보 측정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Cell ID), 무선랜, 블루투스, WLAN 또는 WPAN의 삼각측량을 이용하여 측정된 좌표일 수 있다.
상기 고도 감지부(41)는 스마트 기기(11)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고도(θ)의 변화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기기(11)를 상부 또는 하부로 향하게 하는 경우, 상기 영상 표시장치(100)는 고도 감지부(41)로부터 감지된 고도(θ) 변화를 출력부(31)에 반영하여 선택된 위치의 가상 정보(21)를 변화시켜 출력한다. 상기 고도 감지부(41)는 자이로스코프의 원리를 응용한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이용하거나,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 감지부(43)는 스마트 기기(11)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방향(φ) 변화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의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경하는 경우, 상기 영상 표시장치(100)는 방향 감지부(43)로부터 감지된 방향(φ) 변화를 출력부(31)에 반영하여 선택된 위치의 가상 정보(21)를 변화시켜 출력한다. 상기 방향 감지부(43)는 나침반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콘텐츠 저장부(25)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저장한다. 상기 콘텐츠 저장부(25)는 서버(19)로부터 제공된 가상 정보(21)를 통신모듈(37)로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SD 메모리 카드 또는 HDD로부터 직접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영상 표시장치(100)로부터 직접 제작한 가상 정보(21)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선택부(27)는 콘텐츠 저장부(25)에 저장된 가상 정보(21) 중에서 영상 촬영부(13)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선택한다. 이 경우, 상기 콘텐츠 선택부(27)는 제어부(33)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 저장부(25)로부터 가상 정보(21)를 입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인테리어를 변경할 경우에, 상기 콘텐츠 선택부(27)는 콘텐츠 저장부(25)에 저장되어 있는 변경된 실내 인테리어를 선택하거나, 가구, 각종 실내 장식품 또는 소품 등을 선택하여 상기 출력부(31)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선택된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선택된 위치좌표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작 수정부(29)는 콘텐츠 저장부(25)에 저장된 가상 정보(21)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상 정보(21)를 제작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위치에 대응하여 출력된 실내 인테리어를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콘텐츠 제작 수정부(29)는 창문 또는 측벽의 디자인을 변경하거나 CAD 또는 MAX 등으로부터 제작된 종래의 가상 정보(21)에는 선택되지 않은 새로운 가상 정보(21)를 제작하고, 상기 출력부(31)는 이를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31)는 스마트 기기(11)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중첩하여 출력한다. 상기 출력부(31)는 음성 출력부(47), 텍스트 출력부(49) 및 표시부(51)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47)는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11)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가상 정보(21)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부(31)가 옛 궁궐터 또는 사적지 등의 위치좌표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경우, 상기 음성 출력부(47)는 궁궐터 또는 사적지 등을 설명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31)가 건물의 외부 또는 인테리어를 변경해야할 건물 내부 등의 위치좌표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경우, 상기 음성 출력부(47)는 출력된 건물 외부 또는 실내 인테리어의 특징 등을 음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출력부(49)는 스마트 기기(11)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가상 정보(21)를 텍스트로 출력한다. 상기 출력부(31)가 옛 궁궐터 또는 사적지 등의 위치좌표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 출력부(49)는 궁궐터 또는 사적지 등을 설명하는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31)가 건물의 외부 또는 인테리어를 변경해야할 건물 내부 등의 위치좌표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 출력부(49)는 출력된 건물 외부 또는 실내 인테리어의 특징 등을 텍스트로 설명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51)는 스마트 기기(11)로부터 선택된 저점의 가상 정보(21)를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부(31)가 옛 궁궐터 또는 사적지 등의 위치좌표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경우, 상기 출력부(31)는 궁궐터 또는 사적지 등의 복원된 건물을 이미지로 표시하거나, 왕의 행차를 동영상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콘텐츠 저장부(25)에 저장된 건물 외부의 변경된 디자인 또는 변경된 실내 인테리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부(31)는 스마트 기기(11)에 미리 입력된 앱 선택 구동부(35)를 이용함으로써 선택된 지점의 위치좌표 및 그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앱 선택 구동부(35)는 가상 정보(21)를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대응시키거나 가상 정보(21)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상 정보(21)를 제작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통신모듈(37)은 인공위성(15) 또는 서버(19)와 유/무선으로 통신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통신모듈(37)은 GPS 송수신부(45) 및 데이터 송수신부(53)를 구비한다. 상기 GPS 송수신부(45)는 인공위성(15)으로부터 스마트 기기(11) 또는 영상 촬영부(13)로 선택된 지점의 위치좌표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53)는 서버(19)와 유/무선으로 통신하거나, 이동식 메모리 등과 직접 접촉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등을 수신하고, 음성,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11)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 및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중첩하여 출력부(31)로 출력함으로써 현장감 있는 가상 정보(2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사 영상에 중첩된 가상 정보(21)를 현장에서 직접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상 정보(21)를 생성하여 실사 영상에 중첩함으로써 가상 정보(21)와 관련된 디자인의 효율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100)는 영상 촬영부(13)를 이용하여 선택된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선택된 위치좌표에 중첩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 기기(11)가 도 2b의 원점(O)에 위치하고 있고, 영상 촬영부(13)가 좌표(P=(x1, y1, z1))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영상 표시장치(100)는 콘텐츠 저장부(25)에 저장된 가상 정보(21)를 상기 좌표(P)에 중첩시켜 출력부(31)로 출력한다. 이 경우, 상기 좌표(P)는 위치정보 제공부(23)에 구비된 좌표 인식부(39)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 내부의 실내 인테리어를 변경하는 경우, 사용자는 CAD 또는 MAX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상의 실내 인테리어, 즉 가상 정보(21)를 미리 설계하고, 상기 가상 정보(21)는 영상 표시장치(100)의 콘텐츠 저장부(25)에 저장된다. 상기 사용자가 영상 표시장치(100)를 이용하여 실제 인테리어를 변경할 대상 건물 내부의 위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영상 표시장치(100)는 인테리어 대상 건물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인테리어가 변경될 위치에 중첩하여 출력부(31)로 출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XZ 평면 상에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영상 표시장치(100)는 GPS 송수신부(45)를 통해 수신된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영상 표시장치(100)의 영상 촬영부(13)로 건물 내부를 촬영하면서 건물 내부의 복도를 따라 걷는 경우, 상기 영상 표시장치(100)는 사용자의 걸음걸이에 맞춰 영상 촬영부(13)로 촬영되는 위치좌표의 변화에 대응하는 건물 내부의 가상 정보(21)를 출력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영상 표시장치(100)의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도 방향 감지부(43)를 이용하여 방향 변화에 대한 위치좌표를 수신하고, 방향 변화에 대한 실내 인테리어의 변화, 즉 가상 정보(21)의 변화를 출력부(31)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또는 방향 변화에 따라 스마트 기기(11)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중첩하여 출력부(31)로 출력함으로써 현장감 있는 가상 정보(21)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정 위치 좌표에 위치한 실사를 가상 정보와 중첩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테리어 또는 건축 디자인 분야와 같이 가상 공간에서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을 구현한 후에 실제 위치에 직접 중첩시켜 확인함으로써 제공되는 정보의 현장감을 살릴 수 있고, 가상 공간에서 구현된 이미지 등의 적합성을 미리 판단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존 유물 및 문화유산에 대해 가상의 결과물을 더함으로써 유물 및 문화유산에 대한 정보의 콘텐츠를 풍부하게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11: 스마트 기기 13: 영상 촬영부
23: 위치정보 제공부 25: 콘텐츠 저장부
27: 콘텐츠 선택부 29: 콘텐츠 제작 수정부
31: 출력부 35: 앱 선택 구동부
39: 좌표 인식부 41: 고도 감지부
43: 방향 감지부 45: GPS 송수신부
47: 음성 출력부 49: 텍스트 출력부
51: 표시부 100: 영상 표시장치

Claims (8)

  1. 스마트 기기에 탑재되며, 스마트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상기 콘텐츠 저장부로부터 저장된 상기 가상 정보 중에서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선택하는 콘텐츠 선택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중첩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콘텐츠 선택부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가상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가상 정보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상 정보를 제작하기 위한 콘텐츠 제작 수정부를 스마트기기에 더 포함하며;
    상기 가상 정보를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대응시키거나 상기 가상 정보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상 정보를 제작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구동하는 앱 선택구동부를 스마트기기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좌표를 제공하는 좌표 인식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고도 감지부;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방향 변화를 감지하는 방향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 높이 및 방향 변화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가상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가상 정보를 텍스트로 출력하는 텍스트 출력부;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가상 정보를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정보는 음성 정보,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KR1020110015621A 2011-02-22 2011-02-22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KR101215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621A KR101215515B1 (ko) 2011-02-22 2011-02-22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621A KR101215515B1 (ko) 2011-02-22 2011-02-22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295A KR20120096295A (ko) 2012-08-30
KR101215515B1 true KR101215515B1 (ko) 2012-12-26

Family

ID=46886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621A KR101215515B1 (ko) 2011-02-22 2011-02-22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5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3272A1 (en) * 2013-02-28 2014-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delivery system with augmented reality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786B1 (ko) 2013-12-31 2020-06-09 주식회사 케이티 제약없는 시공간 위치 기반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3272A1 (en) * 2013-02-28 2014-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delivery system with augmented reality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654818B2 (en) 2013-02-28 2017-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delivery system with augmented reality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295A (ko)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5945B2 (en) Directional and X-ray view techniques for navigation using a mobile device
US9294873B1 (en) Enhanced guidance for electronic devices using objects within in a particular area
KR101570195B1 (ko) 실내 포지셔닝을 위한 로고 검출
US89080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operation of a head mounted display
JP634874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330805B1 (ko)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7020170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610564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10896327B1 (en) Device with a camera for locating hidden object
KR101212636B1 (ko) 증강 현실에서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57663B1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KR101413011B1 (ko) 위치 정보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및 제공 방법
JPWO2014017200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40087157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20160284051A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215515B1 (ko)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JP2011113245A (ja) 位置認識装置
KR20150077607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공룡 유적지 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20281102A1 (en) Portable terminal, activity history depiction method, and activity history depiction system
JP2010171664A (ja) 携帯情報端末、情報表示制御方法、及び、情報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473334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2011022662A (ja) 携帯電話端末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7192670A (ja) 携帯端末機用プログラム及び建築物内案内システム
KR20200004135A (ko) 증강현실 기반의 모델하우스 가상이미지 제공방법
KR101153127B1 (ko) 스마트 폰의 지리정보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