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560B1 - 수집 장치 및 그의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수집 장치 및 그의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560B1
KR101214560B1 KR1020090108211A KR20090108211A KR101214560B1 KR 101214560 B1 KR101214560 B1 KR 101214560B1 KR 1020090108211 A KR1020090108211 A KR 1020090108211A KR 20090108211 A KR20090108211 A KR 20090108211A KR 101214560 B1 KR101214560 B1 KR 101214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location
information
scheduled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571A (ko
Inventor
조영수
윤성조
지명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08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56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무선 랜 기반의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수집 장치는 조사 지역에 해당하는 실내 지도를 선택하고, 선택한 실내 지도에 요구되는 단말의 위치 정확도를 고려하여 수집 예정 위치의 속성 정보를 설정한다. 수집 장치는 수집 예정 위치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접속 장치(Access Point)의 측정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예정 위치를 생성한다.
실내 측위, 무선랜, AP(Access Point), 수집 예정 위치

Description

수집 장치 및 그의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APPARATUS FOR COLLECTING AND METHOD FOR GENERATING COLLECTION PREDETERMINED POSITION}
본 발명은 수집 장치 및 그의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원천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F-040-03, 과제명: 실내외 연속측위 기술개발].
무선 인프라를 이용한 측위 기술은 인프라 종류 및 서비스 범위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한다.
범지구항법위성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은 지구 궤도 상의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GNSS는 지구 전 지역을 서비스하도록 배치되어 정밀한 시각 정보와 위성 궤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출하는 위성부와 적어도 4개 이상의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GNSS는 위성부와 수신부의 직접 가시선(Direct Line Of Sight)이 확보되는 평지나 교외 지역이 경우 위치 정보의 오차가 10m 이내의 높은 위치 정확도(Accuracy)와 가용성(Availability)을 제공하지만, 비 가시선(Non Line Of Sight) 구간인 도심 밀집 지역의 경우 다중 경로 오차로 인해 위치 정보의 오차가 50m에 다다르고 특히, 실내 지역의 경우 수신 신호 감도가 저하되어 위치 결정이 불가능하다.
셀룰러 기반 측위 기술은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 정보와 측정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며, 단말에서 수신 가능한 기지국 수에 따라 셀 아이디(Cell-ID), E-OTD(Enhanced-Observed Time Different), AFLT(Advanced-Forward Link Trilateration)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셀룰러 기반 측위 기술은 도심 및 교외 대부분의 지역을 서비스 범위로 가지는 이동통신 인프라의 특성 상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위치 결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기지국의 배치 밀도에 따라 측위 정확도가 달라지고 평균적으로 약 100~800m의 위치 정보의 오차를 가지므로, 위치 정확도를 요구하는 실내외 항법 서비스 등에 적합하지 않다.
한편,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기반 측위 기술은 실내 측위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써, 무선 접속 장치(Access Point, AP)의 기준 위치 및 단말에서 수신한 AP의 신호 측정값을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계산한다. 무선 랜 기반 측위 기술은 크게 AP의 기준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과 획득한 AP의 기준 위치와 AP의 신호 측정값을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임의의 장치를 통해 자발적으로 등록하는 AP의 위치를 이용하거나 제한된 사업자가 전용 장치를 통해 계획된 경로에서 수집된 AP의 측정 정보를 처리 하여 AP의 위치를 계산함으로써 AP의 기준 위치를 획득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AP의 기준 위치 획득 방법은 계산된 AP의 위치 정확도가 낮고 이로 인해 제공 가능한 측위 서비스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내 지도상에 AP의 측정 정보 수집을 위한 수집 위치를 입력하여 AP의 기준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수집 위치를 임의로 입력함에 따라 사용자가 정확한 수집 위치에서 AP의 측정 정보를 수집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랜 기반의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보다 정확한 수집 위치에서 무선 접속 장치(Access Point)의 측정 정보의 수집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수집 장치 및 그의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랜 기반의 실내 측위 시스템의 수집 장치가 제공된다. 수집 장치는 실내 지도 표시부, 수집 위치 결정부, 수집 위치 입력부, 그리고 측정 정보 수집부를 포함한다. 실내 지도 표시부는 조사하고자 하는 실내 지역의 지리 정보에 해당하는 실내 지도를 선택한다. 수집 위치 결정부는 요구되는 단말의 위치 정확도를 고려하여 수집 예정 위치를 설정한다. 수집 위치 입력부는 상기 수집 예정 위치를 상기 실내 지도에 입력한다. 그리고 측정 정보 수집 부는 상기 수집 예정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접속 장치(Access Point, AP)를 스캔하고, 상기 스캔을 통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AP의 측정 정보를 위치 서버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랜 기반의 실내 측위 시스템의 수집 장치에서 무선 접속 장치(Access Point)의 측정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예정 위치를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은 조사 지역에 해당하는 실내 지도를 선택하는 단계, 요구되는 단말의 위치 정확도를 고려하여 상기 실내 지도에 상기 수집 예정 위치의 속성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집 예정 위치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 예정 위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요구되는 단말의 위치 정확도에 따라 수집 예정 위치의 간격을 설정하고, 수집 예정 위치에서 AP의 측정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 작업 전에 수집 예정 위치의 간격을 실내 지도상에 표시함으로써, 수집 장치의 사용자는 수집 예정 위치의 수, 각 수집 예정 위치별 수집 시간 등을 고려하여 수집 작업량을 예측할 수가 있으며, 요구되는 단말의 위치 정확도 또한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수집 예정 위치가 실내 지도상에 표시된 주요 객체에 대한 상대 위치로 표시됨으로써, 수집 장치의 사용자는 수집 예정 위치로 보다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신속한 수집 예정 위치의 탐색을 통해 수집 예정 위치간의 이동 시간도 최소화할 수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집 장치 및 그의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랜 기반의 측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랜 기반의 측위 시스템은 수집 장치(100), 복수의 무선접속장치(Access Point, AP)(200a-200n), 위치 서버(300) 및 단말(400)을 포함한다.
수집 장치(100)는 AP(200a-200n) 중 수집 예정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영역에 속한 AP를 스캔함으로써 AP의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AP의 측정 정보를 위 치 서버(300)로 전달한다. 여기서, 스캔을 통한 AP의 측정 정보에는 AP의 식별자 정보, AP의 신호 특성 정보 및 AP의 기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AP의 식별자 정보에는 맥 주소(MAC Address) 또는 고정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포함될 수 있으며, AP의 신호 특성 정보에는 수신신호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및 신호대 간섭비(Signal to Noise Ratio, SNR)가 포함될 수 있다. AP의 기본 정보에는 AP 제조사별 식별 정보 및 AP의 모델명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수집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AP의 식별자 정보 및 AP의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수집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은 AP의 식별자 정보 및 AP의 위치 정보를 위치 서버(30)로 전달한다.
AP(200a-200n)는 수집 장치(100)와 통신하며, 실내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내 측위 무선 통신 인프라(200)를 형성한다.
위치 서버(3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수집 장치(100)로부터 조사 지역에 위치한 AP의 측정 정보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된 AP의 식별자 정보 및 AP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고, 이 정보를 토대로 조사 지역에 위치한 AP(200a-200n)의 등록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310)를 생성한다. 여기서, 등록 정보는 AP(200a-200n)의 식별자 정보 및 AP(200a-200n)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서버(300)는 수집 장치(100)로부터 조사 지역에 위치한 AP의 측정 정보를 전달받은 경우, AP의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AP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고, 추정한 AP의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한다. 또한, 위치 서버(300)는 수집 장치(100)로부터 조사 지역에 위치한 AP의 식별자 정보 및 AP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 은 경우, AP의 위치 정보를 추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를 데이터베이스(310)에 그대로 저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위치 서버(30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베이스(310)는 단말(400) 또는/및 수집 장치(100)로 제공된다. 수집 장치(100)로 제공되는 데이터베이스(310)는 신규 AP의 설치 또는 AP의 재배치 등에 사용되며, 단말(400)로 제공되는 데이터베이스(310)는 단말(400)의 위치 기반 서비스에 사용된다.
단말(400)은 네트워크(500)를 통해 위치 서버(300)로 AP(200a-200n)의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310)를 요청하고, 네트워크(500)를 통해 위치 서버(300)로부터 데이터베이스(310)를 제공받는다. 또한, 단말(400)은 데이터베이스(310)를 이용하여 단말(400)의 위치를 측정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집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집 장치(100)는 지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10), 실내 지도 표시부(120), 방식 선택부(130), 입력 정보 처리부(140), 수집 위치 결정부(150), 수집 위치 입력부(160), 측정 정보 수집부(170), 통신부(180) 및 환경 분석부(190)를 포함한다.
지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는 각 지역의 실내 지도가 저장되어 있다.
실내 지도 표시부(120)는 사용자로부터 AP의 위치를 조사하고자 하는 실내 조사 지역의 지리 정보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지리 정보에 해당하는 실내 지도를 실내 지도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선택하고, 선택한 실내 지도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지리 정보에는 시/도, 구/군, 동/읍/면 등의 주소, 건물명, 층 정보가 포 함될 수 있다.
방식 선택부(130)는 사용자로부터 AP의 위치 결정 방식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위치 결정 방식에 따른 모드로 전환한다. AP의 위치 결정 방식에는 직접 입력 방식과 측정 정보의 수집을 통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직접 입력 방식은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서 실내 공간에 AP를 추가하거나 이동하는 경우에 적용되며, AP의 설치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직접 입력 방식의 경우, 사용자로부터 AP의 식별자 정보와 AP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으므로, 실내 지도상에 AP의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가 있다. 한편, 측정 정보의 수집을 통한 방식은 실내 공간에 임의로 배치된 실내 측위 무선 통신 인프라(200)에서 AP의 위치를 결정할 때 적용된다. 측정 정보 수집을 통한 방식은 AP의 설치 위치를 알지 못하므로, AP의 위치 추정이 필요하며, AP의 위치 추정은 위치 서버(300)에서 수행된다.
입력 정보 처리부(140)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 방식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AP의 식별자 정보와 AP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실내 지도상에 AP의 식별자와 AP의 위치를 입력한다. 여기서, 입력 정보 처리부(140)는 주변의 실내 지형지물 정보와 실내 지도상의 위치 비교를 통해 실내 지도상에 AP의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정보 처리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AP의 위치 정보와 식별자 정보를 통신부(180)로 전달하여 네트워크(500)를 통해 위치 서버(300)로 전달되도록 한다.
수집 위치 결정부(150)는 사용자가 측정 정보의 수집을 통한 방식을 선택한 경우, 단말(400)의 요구 위치 정확도를 고려하여 수집 예정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 한 수집 예정 위치를 실내 지도상에 표시한다.
수집 위치 입력부(160)는 사용자가 주변 실내 지형지물 정보와 실내 지도상의 위치 비교를 통해 설정한 수집 예정 위치로 이동하면, 측정 정보 수집 시작을 위해 해당 위치를 실내 지도상에 입력한다.
측정 정보 수집부(170)는 수집 예정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영역에 속한 AP를 스캔하고, 스캔을 통해 획득한 AP의 측정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측정 정보 수집부(170)는 스캔을 통해 획득한 AP의 측정 정보를 통신부(180)로 전달하여 네트워크(500)를 통해 위치 서버(300)로 전달되도록 한다.
통신부(18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위치 서버(300)와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80)는 입력 정보 처리부(140)로부터 전달된 AP의 위치 정보와 AP의 식별자 정보 및 측정 정보 수집부(170)로부터 전달된 AP의 측정 정보를 네트워크(500)를 통해 위치 서버(300)로 전달한다. 또한, 통신부(17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위치 서버(30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베이스(310)를 환경 분석부(190)로 전달한다.
환경 분석부(19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위치 서버(30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베이스(310)를 이용하여 조사 지역의 데이터베이스화된 AP의 위치를 실내 지도상에 표시한다. 환경 분석부(190)는 실내 지도상에 표시된 AP들의 측위 정도 열화 계수(Dilution of Precision, DoP) 및 서비스 범위를 분석하고, 조사 지역에서 단말(400)의 위치 정확도(Accuracy)와 가용도(Availability)를 분석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실내 측위 성능의 향상을 위해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단말(400)의 위치 정확 도나 가용도가 떨어지는 지역에는 신규 AP를 설치하거나 AP를 재배치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위치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치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310), 시스템 운영 관리부(320), 통신부(330) 및 측위 정보 관리부(34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310)에는 AP(200a-200n)의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시스템 운영 관리부(320)는 운영자 인터페이스, 하드웨어 상태 감시 및 응용 프로세스 상태 감시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통신부(33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수집 장치(100) 및 단말(400)과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30)는 수집 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AP의 정보를 측위 정보 관리부(340)로 전달하고, 수집 장치(100) 또는 단말(400)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10)를 수집 장치(100) 또는 단말(400)로 전달한다.
측위 정보 관리부(340)는 단말의 위치 측정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측위 정보 관리부(340)는 등록 정보 추정부(342) 및 인프라 정보 관리부(344)를 포함한다. 등록 정보 추정부(342)는 수집 장치(100)로부터 수집 예정 위치에서 스캔을 통해 획득한 AP의 측정 정보를 전달받으면, AP의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AP의 식별자 정보를 추출하고, AP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며, 추출한 AP의 식별자 정보와 추정한 AP의 위치 정보를 인프라 정보 관리부(344)로 전달한다. 또한, 등록 정보 추정부(342)는 수집 장치(100)로부터 AP의 식별자 정보와 AP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으면, 전달받은 AP의 식별자 정보와 AP의 위치 정보를 인프라 정보 관리부(344)로 전달한다.
인프라 정보 관리부(344)는 등록 정보 추정부(342)로부터 전달받은 AP의 식별자 정보와 AP의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310)에는 AP(200a-200n)의 등록 정보 즉, AP(200a-200n)의 식별자 정보 및 AP(20a-20n)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AP(200a-200n)의 식별자는 AP(200a-200n)의 고유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AP(200a-200n)의 위치 정보는 AP(200a-200n)가 설치된 공간정보 식별자, 층 정보, 수평 위치 정보, 공칭 RSSI 및 신뢰도 정보를 포함한다.
공간 정보 식별자는 지역 식별자와 건물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역 식별자는 AP(200a-200n)가 설치된 지역을 나타내며, "광역시/도"를 1 바이트(byte)로 표시하고, "시/군/구"를 1 바이트(byte)로 표시하며, "읍/면/동"을 1 바이트(byte)로 표시할 수 있다. 건물 식별자는 AP(200a-200n)가 설치된 건물명을 나타내며, "건물명"을 1 바이트(byte)로 표시할 수 있다. 즉, 해당 동에 위치하는 각각의 개별 건물별로 식별자를 고유하게 부여함으로써, 4 바이트(byte)의 공간정보 식별자를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하나의 읍/면/동 행정구역에 255개의 건물에 대하여 고유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으며, 해당 지역의 건물에 대한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는 데 있어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 바이트 수를 늘려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정보 식별자는 지형 공간을 구분하기 위한 특징을 갖는 다양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층 정보를 표시하는 고유 식별자인 층 식별자는 1 바이트(byte)로 구성될 수 있으며, 총 255개의 층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 1~50층은 1~50으로 표현하고, 지상 1층부터 105층은 51~255로 표현할 수 있다. 수평 위치 정보는 수집 장치(10)의 사용자가 UI(user interface)상에 나타난 지도로부터 입력한 위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X축 및 Y축 각각 4 바이트(byte)로 표현할 수 있다.
공칭 RSSI는 AP(200a-200n)별 특성 정보로써 기준 거리에서 측정된 RSSI값을 의미하여 1 바이트(byte)로 구성될 수 있다. AP 제조사 및 모델 별로 공칭 RSSI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수집된 측정 정보 중 AP의 기본 정보 즉, 제조사 및 모델 정보와 비교하여 수집한 AP의 공칭 RSSI 값을 결정한다. 신뢰도는 측정 정보로부터 계산된 AP 위치의 오차 공분산 값을 의미하며, 1 바이트(byte)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수집 위치 결정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집 예정 위치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집 위치 결정부(150)는 속성 정보 설정부(151), 불가능 지역 설정부(152), 예정 위치 생성부(153), 추가 예정 위치 생성부(154), 필터링부(155) 및 표시부(156)를 포함한다.
도 6을 보면, 실내 지도 표시부(120)에 의해 AP의 위치를 조사 하고자 하는 실내 조사 지역에 해당하는 실내 지도가 선택되고 나면(S602), 속성 정보 설정부(151)는 요구되는 단말(400)의 위치 정확도를 고려하여 수집 예정 위치의 속성 정보를 설정한다(S604). 수집 예정 위치의 속성 정보에는 수집 예정 위치의 범위, 간격 및 모양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수집 예정 위치의 범위는 무선랜 기반의 측위 시스템의 서비스 커버리지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고, 수집 예정 위치의 간격 은 요구되는 단말(400)의 위치 정확도가 높을수록 좁게 설정될 수 있으며, 수집 예정 위치의 모양은 AP의 위치를 중심으로 수집 위치가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불가능 지역 설정부(152)는 실내 지도상에 수집 불가능 지역을 설정한다(S606). 수집 불가능 지역은 실내 공간 중 사용자의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공간을 의미하며, 실내 지도상의 벽, 기둥, 엘리베이터, 출입 제한 및 허가 지역, 문이 없는 닫힌 공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수집 불가능 지역을 설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로써, 불가능 지역 설정부(152)는 사용자로부터 실내 지도상에 수집 불가능 지역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방, 기둥, 길 등의 속성 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속성 정보를 토대로 실내 지도상에 수집 불가능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정 위치 생성부(153)는 수집 예정 위치의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우선적으로 실내 이동 통로 상에 수집 예정 위치를 생성한다(S608).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수집 예정 위치 생성 기법을 빠른 획득 기법(Fast Acquisition Scheme)으로 정의한다. 이와 같이, 빠른 획득 기법(Fast Acquisition Scheme)으로 실내 이동 통로 상에 수집 예정 위치를 생성함으로써, 수집 예정 위치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수집 속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7은 빠른 획득 기법(Fast Acquisition Scheme)으로 생성된 수집 예정 위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추가 예정 위치 생성부(154)는 사용자로부터 요구되는 단말(400)의 위치 정확도에 따라 수집 예정 위치를 추가적으로 생성할지를 결정한다(S610).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요구되는 단말(400)의 위치 정확도가 설정 조건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수집 예정 위치를 추가적으로 생성한다. 여기서, 설정 조건 범위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위치 정보의 오차가 10m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실내 이동 통로의 배치가 단순한 경우, 빠른 획득 기법(Fast Acquisition Scheme)으로 실내 이동 통로 상에 수집 예정 위치를 생성하면, 실내 측위 무선 통신 인프라(200)의 영역 내에서 수집 예정 위치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은 수집 예정 위치에서 수집한 AP의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310)를 생성한다면, 단말(400)의 위치 계산 시에 위치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예정 위치 생성부(154)는 사용자로부터 요구되는 단말(400)의 위치 정확도가 높은 경우, 수집 영역을 확대하여 실내 이동 통로를 제외한 실내 공간 전체에서 수집 예정 위치의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수집 예정 위치를 추가적으로 생성한다(S612).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수집 예정 위치 생성 기법을 정밀 획득 기법(Precise Acquisition Scheme)으로 정의한다. 도 8은 정밀 획득 기법(Precise Acquisition Scheme)으로 생성된 수집 예정 위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가 예정 위치 생성부(154)는 실내 이동 통로를 제외한 실내 공간 전체에서 최대한 균등하게 수집 예정 위치를 추가적으로 생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수집 예정 위치가 모두 생성되고 나면, 필터링부(155)는 생성한 수집 예정 위치를 필터링한다(S614). 구체적으로, 필터링부(155)는 실내 지도 상에 설정한 수집 불가능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 예정 위치가 수집 불가능 지역에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수집 불가능 지역에 존재하는 수집 예정 위치를 삭제하 가장 근접한 수집 가능 지역으로 수집 예정 위치를 이동시킨다.
마지막으로, 표시부(156)는 실내 지도 내의 속성 정보의 상대 위치로서 필터링한 수집 예정 위치를 표시한다(S616). 이렇게 하면, 지형지물과의 정성적인 비교뿐만 아니라 수치적인 상대거리 제공으로 인해 사용자가 AP의 측정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수집 예정 위치로 이동할 때 정량적인 판단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정확한 수집 예정 위치에서 AP의 측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더불어 수집 위치간의 이동 시간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도 9는 실내 지도 내의 속성 정보를 활용하여 수집 예정 위치를 표시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방 1의 화살표로 표시된 수집 예정 위치에서 AP의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자 하는 경우, 표시부(156)는 해당 수집 예정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실내 지도의 속성 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수집 예정 위치까지의 상대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부(156)는 방 1의 문 1로부터 상대 좌표(X: -3m, Y: 5m)로 수집 예정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특히 실내가 하나의 넓은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는 대형 전시장 및 아케이드와 같은 장소에서 수집 예정 위치로 보다 정확하게 이동하여 측정 정보를 수집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랜 기반의 측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집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위치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수집 위치 결정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집 예정 위치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은 빠른 획득 기법(Fast acquisition scheme)으로 생성된 수집 예정 위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정밀 획득 기법(Precise acquisition scheme)으로 생성된 수집 예정 위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실내 지도 내의 속성 정보를 활용하여 수집 예정 위치를 표시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9)

  1. 무선 랜 기반의 실내 측위 시스템의 수집 장치에 있어서,
    조사하고자 하는 실내 지역의 지리 정보에 해당하는 실내 지도를 선택하는 실내 지도 표시부,
    요구되는 단말의 위치 정확도를 고려하여 수집 예정 위치를 설정하는 수집 위치 결정부,
    상기 수집 예정 위치를 상기 실내 지도에 입력하는 수집 위치 입력부, 그리고
    상기 수집 예정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접속 장치(Access Point, AP)를 스캔하고, 상기 스캔을 통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AP의 측정 정보를 위치 서버로 전달하는 측정 정보 수집부
    를 포함하는 수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위치 결정부는,
    상기 요구되는 단말의 위치 정확도를 고려하여 상기 수집 예정 위치의 속성 정보를 설정하는 속성 정보 설정부,
    상기 실내 지도에 수집 불가능 지역을 설정하는 불가능 지역 설정부, 그리고
    상기 수집 예정 위치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이동 통로 상에 수집 예 정 위치를 생성하는 예정 위치 생성부
    를 포함하는 수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위치 결정부는,
    생성한 상기 수집 예정 위치를 상기 실내 지도의 속성 정보의 상대 위치로서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수집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위치 결정부는,
    상기 요구되는 단말의 위치 정확도에 따라 상기 실내 이동 통로를 제외한 실내 지역 전체에서 수집 예정 위치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 예정 위치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추가 예정 위치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수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위치 결정부는,
    상기 수집 예정 위치 중 상기 수집 불가능 지역에 존재하는 수집 예정 위치를 삭제하거나 가장 근접한 수집 가능 지역으로 수집 예정 위치를 이동시키는 필터 링부
    를 더 포함하는 수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하고자 하는 실내 지역의 데이터베이스화된 AP의 위치를 상기 실내 지도에 표시하고, 상기 실내 지도에 표시된 AP들의 측위 정도 열화 계수 및 서비스 범위를 분석하는 환경 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수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지역에서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된 AP의 식별자 정보 및 AP의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서버로 전달하는 입력 정보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수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공간 정보 식별자를 포함하는 수집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AP의 식별자 정보, 상기 AP의 신호 특성 정보 및 상기 AP의 기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집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측정 정보를 전달받은 상기 위치 서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위치가 결정되는 수집 장치.
  11. 무선 랜 기반의 실내 측위 시스템의 수집 장치에서 무선 접속 장치(Access Point)의 측정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예정 위치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조사 지역에 해당하는 실내 지도를 선택하는 단계,
    요구되는 단말의 위치 정확도를 고려하여 상기 실내 지도에 상기 수집 예정 위치의 속성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집 예정 위치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 예정 위치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되는 단말의 위치 정확도가 설정 조건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수집 예정 위치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집 예정 위치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예정 위치를 생성하는 단계는,
    이동 통로에 상기 수집 예정 위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집 예정 위치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통로를 제외한 상기 실내 지역 전체에 상기 수집 예정 위치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지도에 수집 불가능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집 불가능 지역을 토대로 생성한 상기 수집 예정 위치를 필터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 예정 위치 중 상기 수집 불가능 지역에 존재하는 수집 예정 위치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 예정 위치 중 상기 수집 불가능 지역에 존재하는 수집 예정 위치를 가장 근접한 수집 가능 지역으로 수집 예정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생성한 상기 수집 예정 위치를 상기 실내 지도의 속성 정보의 상대 위치로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수집 예정 위치의 범위, 간격 및 모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되는 단말의 위치 정확도가 높을수록 상기 수집 예정 위치의 간격이 좁게 설정되는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
KR1020090108211A 2009-11-10 2009-11-10 수집 장치 및 그의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 KR101214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211A KR101214560B1 (ko) 2009-11-10 2009-11-10 수집 장치 및 그의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211A KR101214560B1 (ko) 2009-11-10 2009-11-10 수집 장치 및 그의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571A KR20110051571A (ko) 2011-05-18
KR101214560B1 true KR101214560B1 (ko) 2012-12-24

Family

ID=4436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211A KR101214560B1 (ko) 2009-11-10 2009-11-10 수집 장치 및 그의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6006B2 (en) 2012-02-01 2015-08-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door collection points and collecting heterogeneous infrastructure measurement information
KR20140012573A (ko) * 2012-07-19 2014-02-03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실내 지도 구축 장치 및 방법
US10019821B2 (en) 2014-09-02 2018-07-10 Naver Business Platform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indoor map using cloud point
KR101803598B1 (ko) * 2014-09-02 2017-12-01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클라우드 포인트를 이용한 실내 지도 구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057A (ja) 2003-08-18 2005-03-10 Nippon Hoso Kyokai <Nhk> 電波受信点周辺環境判定装置、電波受信点周辺環境判定方法および電波受信点周辺環境判定プログラム
KR100723197B1 (ko) 2006-02-21 2007-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능동적 실내 위치 인식 시스템의 위치 정보 구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057A (ja) 2003-08-18 2005-03-10 Nippon Hoso Kyokai <Nhk> 電波受信点周辺環境判定装置、電波受信点周辺環境判定方法および電波受信点周辺環境判定プログラム
KR100723197B1 (ko) 2006-02-21 2007-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능동적 실내 위치 인식 시스템의 위치 정보 구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571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722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infrastructure, and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352006B1 (ko) 인프라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 측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48322B1 (ko) 실내 무선 측위 장치 및 방법
US8744749B2 (en) Radio model updating
US9639557B2 (en) Positioning system
KR101077879B1 (ko) 신호 세기 측정치를 이용한 저가 무선 단말기의 위치 판단
US9131347B2 (en) Utilizing a pressure profile to determine a location context identifier
KR101268575B1 (ko) 단말의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20029976A (ko) 실내 무선 측위를 위한 기준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 실내에 설치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실내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JP2012525569A (ja) Wi−fi信号による測位のための方法
WO2009072735A1 (en) Method of automatically generating fingerprint database for an indoor wireless location
JP2013515952A (ja) 電磁信号源の位置特定
KR101709411B1 (ko) 가중치 삼변측량법에 기반한 위치 측정 방법과 이를 이용한 실내 측위 방법
CN103906230A (zh) 用于WiFi定位的系统及方法
KR101257073B1 (ko)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그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EP3754303A1 (en) Floor levels of a venue
Liu The quick radio fingerprint collection method for a WiFi-based indoor positioning system
KR101342559B1 (ko) 무선랜 기반 측위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계산 장치 및 방법
KR101214560B1 (ko) 수집 장치 및 그의 수집 예정 위치 생성 방법
KR20150079080A (ko) 신뢰도 기반 측위 방법 및 그 장치
Cho et al. WARP-P: Wireless Signal Acquisition with Reference Point by using Simplified PDR–System Concept and Performance Assessment
Hermersdorf Indoor positioning with a WLAN access point list on a mobile device
US11375336B2 (en) Radio-based occupancies in venues
KR101878487B1 (ko) 위치인식용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KR20110066832A (ko) 무선랜 기반 측위 시스템에서 ap 등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