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648B1 -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648B1
KR101213648B1 KR1020110040868A KR20110040868A KR101213648B1 KR 101213648 B1 KR101213648 B1 KR 101213648B1 KR 1020110040868 A KR1020110040868 A KR 1020110040868A KR 20110040868 A KR20110040868 A KR 20110040868A KR 101213648 B1 KR101213648 B1 KR 101213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image display
image
transparent electrode
parallax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2609A (ko
Inventor
김태형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40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648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4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spacers regularly patterned on the cell subtrate, e.g. walls, pill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가변 관찰거리를 갖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는 패럴랙스 배리어를 갖는 영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에는 영상 표시패널에서 방출된 광을 투과 또는 차단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제2 영역의 폭은 관찰자의 위치, 동공간 거리, 관찰자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관찰정보에 기초하여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관찰자의 관찰정보에 기초하여 입체영상을 위한 배리어(barrier) 형성 시, 상기 제2 영역의 폭과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시청 가능한 거리에 제한 없이 최적의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DISPLAYING IMAGE}
본 발명은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변 관찰거리를 갖는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입체감이란 마치 그 장소에 있는 것같이 느끼는 것이며 높은 입체감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디스플레이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눈앞에 펼쳐진 입체 영상을 잡으려고 손을 내밀어 버리거나, 전방에서 다가오는 영상을 엉겁결에 피하거나 할 만큼, 입체영상은 종래의 2차원 영상과는 전혀 다른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3D 디스플레이에서는 입체 영상 감상용 안경 같은 장치가 필요하거나, 정해진 장소에 눈의 위치를 고정해야 하는 등 사용하는 방법이 까다롭다고 할 수 있다.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은 주로 극장 등과 같이 여러 사람이 동시에 영상을 관람할 때 사용되며, 무안경 방식은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대신 여러 사람이 동시에 관람하는 것이 어려워 대부분 모바일 휴대장치, 컴퓨터 모니터 등 혼자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무안경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제작이 간편하면서 구현이 쉬운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방식과 렌티큘러(Lenticular Lens)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두 방법은 패럴랙스 배리어나 렌티큘러 스크린과 같은 광학 판을 디스플레이 화면 앞, 또는 뒤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이들 방식은 일반적으로 유효 시야가 상당히 좁고 한 사람 밖에 이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지만, 최근 여러 명의 사람이 함께 시청할 수 있는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가 발표되는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도, 입체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범위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시청자는 고정된 위치에서 입체영상을 관찰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패럴랙스 배리어의 배리어 전극 모양 및 간격을 달리 설계하여, 이에 따라 배리어 폭과 배리어 피치를 조절함으로써 가변 관찰거리를 갖는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자배열 상태에 대한 메모리 기능을 갖는 배리어를 생성함으로써, 패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는 패럴랙스 배리어를 갖는 영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에는 영상 표시패널에서 방출된 광을 투과 또는 차단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제2 영역의 폭은 관찰자의 위치, 동공간 거리, 관찰자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관찰정보에 기초하여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영역에는 상기 제2영역의 액정분자의 배열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투명전극(ITO)이 그 모양과 간격을 달리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상기 관찰정보에 기초하여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전극은 3전극의 FFS(Fringe Field Switching) 또는 4전극의 수평-수평전극 스위칭(Vertical in-plane switching)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분자배열 상태에 대한 메모리 기능을 갖는 액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관찰자의 관찰정보에 기초하여 입체영상을 위한 배리어(barrier) 형성 시, 상기 제2 영역의 폭과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시청 가능한 거리에 제한 없이 최적의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면영상 표현 시, 해상도 저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쌍안정 액정, 콜레스테릭 액정 등과 같이 메모리 기능을 갖는 액정으로 이루어진 배리어를 이용함으로써 배리어 구동을 위한 전력소모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표시장치 전체의 전력소모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동작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패럴랙스 배리어를 이용한 3D 디스플레이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투명전극을 이용한 가변 패럴랙스 배리어의 구동원리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투명전극의 모양과 간격에 대한 전압 또는 전계의 세기에 따른 배리어 전이 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 구동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급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과는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도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동작원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는 영상 표시패널(110)과 패럴랙스 배리어(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 표시패널(110)은 입력된 다시점 영상을 표시하고, 다시점 영상은 패럴랙스 배리어(120)를 통해 입체영상으로 변환된다.
구체적으로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이라고 부르는 것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상의 광학적인 배리어에 의해 좌우 영상을 분리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도 3에서는 작은 구명 혹은 배리어를 사이에 놓고 2점 좌안 영상(L)과 우안 영상(R)을 들여다보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양안의 위치에서 보면 우안에서는 점 R만을 좌안에서는 점 L만을 볼 수 있다. 또 배리어의 크기를 제한하여 우안에서는 점 L을 볼 수 없도록 한 것을 도 3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점 L, R을 좌우 영상의 한 화소(Pixel)라고 가정하고 이 위치에 액정 등의 평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며, 슬릿도 한 개가 아니고 등 간격의 다수의 슬릿을 가지는 패널을 놓은 것으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있다. 즉,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은 스크린 프린팅이나 노광 등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평면 디스플레이 전면에 설치함으로써, 고정된 배리어를 통해 좌/우 양안에 들어오는 영상을 서로 가리도록 함으로써, 좌/우 양안에 들어오는 영상의 양안시차에 의하여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도 1의 패럴랙스 배리어(120)는 영상 표시패널(110)의 전면에 배치되고 영상 표시패널(110)에서 방출되는 광을 투과 또는 차단하는 제1 영역(이하, 투과영역) 및 제2 영역(이하, 차단영역)이 교대로 반복되어 배열되는 패턴을 가진다. 이때, 투과영역은 도 1에서 화이트 영역(a)에, 차단영역은 블랙 영역(b)에 배치되는 것이며, 블랙 영역은 광을 차단하는 영역을 의미하고, 화이트 영역은 광을 투과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 경우, 영상 표시패널(110) 후면에 빛을 발사하기 위한 광원이 위치할 수 있고, 또는 영상 표시패널(110) 자체가 빛을 발산하는 소자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영상 표시패널(110)에 평면영상이 표시될 때 패럴랙스 배리어(120)의 차단영역은 개방되어 영상 표시패널(110)의 평면영상은 패럴랙스 배리어(120)의 차단영역 및 투과영역을 모두 통과하여 그대로 표시된다.
또한, 영상 표시패널(110)에 입체영상이 표시될 때 패럴랙스 배리어(120)의 차단영역은 차단되어, 영상 표시패널(110)에 표시된 영상은 투과영역만 통과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평면영상을 표현 시, 입체영상을 위한 배리어가 개방되어 해상도 저하가 없다.
해상도 저하가 없는 3D 입체영상을 구현함과 동시에 가변 관찰거리를 갖는 영상 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패럴랙스 배리어(120)의 차단영역에는 액정분자의 배열상태를 변경하는 투명전극(ITO)이 그 모양과 간격을 달리하여 배치되어 있고, 투명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관찰자의 위치, 동공간 거리, 관찰자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관찰정보에 기초하여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투명전극의 모양 및 간격의 변화와, 관찰자의 위치, 동공간의 거리, 관찰자의 수 등의 정보에 따라 가변되는 전계(또는 전압)의 세기의 차이로 인해, 차단영역은 확장 또는 축소되는데 이로 인해, 3차원 입체영상이 시청 가능한 거리를 제어할 수 있어 관찰거리에 제한 없이 최적의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가변 관찰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투명전극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하, 상술한 효과를 가지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는 영상 표시패널(210)과, 패럴랙스 배리어(220)와, 제어부(230)와 파라미터 획득부(240)와 구동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 표시패널(210)은 입력된 다시점 영상을 표시한다. 다시점 영상은 영상을 입체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점으로부터 획득한 오브젝트에 대한 영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패널(210)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발광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및 전기 발광 표시 장치(Electroluminescent Display)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패럴랙스 배리어(220)는 영상 표시패널(210)의 전면에 배치되고 일정한 표시 패턴을 구비하여, 표시 패턴에 따라 다시점 영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시역(viewing zone)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패럴랙스 배리어(220)는 영상 표시패널(210)에서 방출되는 광을 투과 또는 차단하는 투과영역 및 차단영역이 교대로 반복되어 배열되는 패턴을 가지고, 다시점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특정 패턴에 따라 다시점 영상에 포함된 각각의 시점 영상에 대한 시역을 생성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는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에 따라 입체 영상을 표시하게 되는데, 패럴랙스 배리어(220)는 영상 표시패널(210)의 전면에 위치하여 그 표시 패턴에 따라 복수 개의 시역을 생성하여 시청자가 입체영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영상 표시패널(210)의 후면에는 영상 표시패널(210)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이 위치할 수 있고, 영상 표시패널(210) 자체가 빛을 발산하는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패럴랙스 배리어(220)의 차단영역에는 액정분자의 배열상태를 변경함으로써 배리어를 형성하게 하는 투명전극(ITO)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투명전극은 광투과율이 높은 절연 물질의 표면에 형성된 광투과율이 높은 박막 전극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금, 플라티늄 등이 금속 박막에, 산화 제이주석, 삼산화인듐, 이산화티탄 등이 반도체 박막에 주로 쓰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전극은 양쪽의 유리 기판(Glass) 사이에 위치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전극의 FFS(Fringe Field Switching) 또는 4전극의 수평+수평전극 스위칭(Vertical+in-plane Switchin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전극(Top electrode)와 하부 전극(Ground electrode)는 두 유리 기판(Glass) 사이에 수평 전계를 형성시킬 수 있고, 하부 전극과 그리드 전극(Grid electrode) 사이에는 절연체가 형성되어, 두 유리 기판 사이에 Fringe field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그리드 전극을 두 개의 전극으로 형성하면 In-plane switching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 차단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각각의 투명전극(ITO)은 간격을 달리하여 배치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리어의 좌측부터 투명전극은 40um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그 간격은 30um, 20um, 10um 로 점점 줄어들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패턴을 가지는 배리어 패널을 반복함으로써 전체 패럴랙스 배리어를 구성한다. 이로 인해, 각각의 투명전극에 동일한 전압을 가한 경우에도, 배리어의 전이 영역 분포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전극이 성기게 배치된 영역과 투명전극이 촘촘하게 배치된 영역에서의 수평 전계의 전이 영역이 달라진다. 투명전극에 v1의 전압을 인가한 경우에는 투명전극이 촘촘하게 배치된 영역(예를 들어, 투명전극의 간격이 10um)에서만 수평 전계의 전이가 발생하고, 투명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크게할 수록, 예를 들어 v7의 전압을 인가한 경우에는 투명전극이 성기게 배치된 영역(예를 들어, 투명전극의 간격이 40um)까지 수평 전계의 전이가 발생하고, 수평 전계의 전이 범위는 투명전극이 촘촘하게 배치된 좌측영역에서 투명전극이 성기게 배치된 우측영역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투명전극이 일정한 모양을 가지고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전극이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지고 배치될 수도 있다. 투명전극의 모양도 수평 전계의 전이 영역 분포에 영향을 끼치는데, 이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투명전극의 모양과 간격에 대한 전압 또는 전계의 세기에 따른 배리어 전이 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투명전극이 톱니 모양으로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달리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투명전극, 구체적으로 그리드 전극의 모양과 간격에 변화를 줌으로써 전압 또는 전계의 세기에 따라 배리어의 전이 영역은 확장 또는 축소된다.
각 투명전극의 간격이 다르기에 동일한 전압(예를 들어, 40V가 인가된 사진을 참조)이 인가되어도 전극 간격에 따라 다른 세기의 전계가 형성된다. 또한, 전계의 세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에 다라 달라진다.
그러므로 배리어의 전이 영역은 전극의 모양, 간격 또는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에 따라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의 전이 영역은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가 0~34V 에서 60V 로 증가함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지고 확장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가변 관찰거리를 갖는 영상 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투명전극의 모양 및 간격을 달리하여 배치하고,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변경함으로써 패럴랙스 배리어의 차단영역의 폭을 관찰자의 위치, 동공간 거리, 관찰자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관찰정보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패럴랙스 배리어(220)는 분자배열 상태에 대한 메모리 기능을 갖는 액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럴랙스 배리어(220)는 노멀화이트(normal white)의 액정패널일 수 있으며, 메모리 기능을 갖는 쌍안정 액정, 콜레스테릭 액정, 강유전성 액정 중 어느 하나의 액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기능을 갖는 액정이란 한번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의 분자배열 상태를 변화시키면 외부의 자극이 없는 한 분자배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액정을 말한다. 패럴랙스 배리어(220)는 평면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초기 노멀화이트 상태를 유지하고, 입체영상 구현 시, 투명전극이 있는 차단영역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분자배열 상태를 달리한다. 그러면 차단영역에서는 광이 차단되고, 외부에서 특정 자극이 없는 한,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때문에 패럴랙스 배리어(220)를 구동하기 위해 소모되는 전력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230)는 영상 표시패널(210)의 영상과 연동하여 패럴랙스 배리어(220)의 차단영역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변경한다.
패럴랙스 배리어를 이용하는 다시점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시점 수만큼 디스플레이를 가려줘야 하기 때문에 늘어나는 시점 수만큼 해상도의 저하가 불가피하다.
이에 따라 제어부(230)는 평면영상을 구현 시, 영상 표시패널(210)의 초기 노멀화이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하여, 투명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0V로 결정하고, 입체영상 구현 시, 관찰자의 관찰정보에 기초하여 투명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파라미터 획득부(240)로부터 획득된 영상표시 패널(210)의 영상 정보, 관찰자와의 거리, 동공간 거리, 관찰자의 수 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투명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파라미터 획득부(240)는 영상 표시패널(210)의 영상으로부터 평면영상 또는 입체영상인 지에 관한 정보, 관찰자와의 거리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관찰자의 위치인식이 가능한 카메라 적외선 검출기(IR Detector)와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획득된 관찰거리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획득한 경우, 제어부(230)는 이를 기초로 하여 실질적으로 패럴랙스 배리어(22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250)에 해당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구동부(250)는 패럴랙스 배리어(22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이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을 공급 또는 차단함으로써 차단영역의 전이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250)는 패럴랙스 배리어(220)의 차단영역에 위치하는 투명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영상표시 패널(210)에 평면영상이 표시될 때, 차단영역을 개방하여 평면영상이 차단영역과 투과영역을 그대로 통과하여 표시되도록 구동한다.
또한, 구동부(250)는 영상표시 패널(210)에 입체영상이 표시될 때, 제어부(23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투명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도록 구동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 구동방법은 상술한 영상 표시장치의 각 구성요소가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미 각 구성요소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상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아래에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영상표시 패널은 외부로부터 영상을 획득한다(S610). 여기서, 획득되는 영상은 평면영상 또는 입체영상(다시점 영상)일 수도 있다. 여기서, 다시점 영상은 입체영상으로 표현하기 위한 복수의 2차원 영상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파라미터 획득부는 영상으로부터 평면영상 또는 입체영상인 지에 관한 정보, 관찰자와의 거리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획득한다(S620).
그리고 제어부는 획득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투명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결정한다(S630).
예를 들어, 평면영상을 구현 시, 영상 표시패널의 초기 노멀화이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하여, 투명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0V로 결정하고, 입체영상 구현 시, 관찰자의 관찰정보에 기초하여 투명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결정한다.
결정된 전압 세기에 따라 구동부는 투명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고(S640), 이에 따라 패럴랙스 배리어에는 특정 패턴을 가지는 차단영역이 생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패럴랙스 배리어의 차단영역에는 액정분자의 배열상태를 변경하는 투명전극(ITO)이 그 모양과 간격을 달리하여 배치되어 있고, 파라미터 획득부가 획득한 관찰자의 관찰거리에 따라 상이한 전압을 투명전극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차단영역의 폭은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제어되고, 이로 인해 관찰자에게 거리에 제한 없이 최적의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과는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패럴랙스 배리어를 갖는 영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에는 영상 표시패널에서 방출된 광을 투과 또는 차단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제2 영역의 폭은 관찰자의 위치, 동공간 거리, 관찰자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관찰정보에 기초하여 가변되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상기 제2 영역의 액정분자의 배열상태를 변경하는 투명전극(ITO)이 간격을 달리하여 배치되는 것인 영상 표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상기 관찰정보에 기초하여 가변되는 것
    인 영상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은,
    3전극의 FFS(Fringe Field Switching) 또는 4전극의 수평-수평전극 스위칭(Vertical in-plane switching) 중 하나인 것
    인 영상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분자배열 상태에 대한 메모리 기능을 갖는 액정으로 이루어진 것
    인 영상 표시장치.
  6. 영상 표시패널에서 방출된 광을 투과 또는 차단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교대로 배열되는 패럴랙스 배리어를 갖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관찰자의 위치, 동공간 거리, 관찰자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관찰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관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의 폭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분자배열 상태에 대한 메모리 기능을 갖는 액정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액정분자의 배열상태를 변경하는 투명전극(ITO)이 그 간격을 달리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영역의 폭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관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투명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인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은,
    3전극의 FFS(Fringe Field Switching) 또는 4전극의 수평-수평전극 스위칭(Vertical in-plane switching) 중 하나인 것
    인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10040868A 2011-04-29 2011-04-29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213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868A KR101213648B1 (ko) 2011-04-29 2011-04-29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868A KR101213648B1 (ko) 2011-04-29 2011-04-29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609A KR20120122609A (ko) 2012-11-07
KR101213648B1 true KR101213648B1 (ko) 2012-12-18

Family

ID=4750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868A KR101213648B1 (ko) 2011-04-29 2011-04-29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5941B (zh) * 2021-02-04 2021-04-16 成都工业学院 一种基于后置光源条的非均匀观看区域分布立体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5095A (ja) 1997-09-05 1999-03-30 Fujitsu Ltd 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5095A (ja) 1997-09-05 1999-03-30 Fujitsu Ltd 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609A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7467C2 (ru) Автостереоскопический дисплей
EP2268046B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method
TWI482999B (zh) 立體顯示裝置
US7986283B2 (en) Multi-dimensional image selectable display device
CN105992969B (zh) 液晶柱状透镜元件及其驱动方法、立体显示装置、终端机
KR101649235B1 (ko) 입체 표시 장치
US10061135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KR20090045842A (ko) 액정전계렌즈를 이용한 입체표시장치
KR101852121B1 (ko) 전자 영상 기기
US9300948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US95912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wo-dimensional (2D) and three-dimensional (3D) display
GB2470752A (en)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KR20080000425A (ko) 렌티큘러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WO2013061734A1 (ja) 立体表示装置
JP2011150344A (ja) 立体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EP2988167B1 (en) 3d display device for reducing moving flicker
US20150185488A1 (en) Double-layered liquid crystal lens and 3d display apparatus
WO2014054520A1 (ja) 立体表示装置
US1002137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080169997A1 (en) Multi-dimensional image selectable display device
JP2005172848A (ja)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KR20080060950A (ko)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방법
JP2015145920A (ja) 画像表示装置
KR101213648B1 (ko)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276206B1 (ko) 가변형 패럴랙스 배리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