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442B1 -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442B1
KR101213442B1 KR1020090072871A KR20090072871A KR101213442B1 KR 101213442 B1 KR101213442 B1 KR 101213442B1 KR 1020090072871 A KR1020090072871 A KR 1020090072871A KR 20090072871 A KR20090072871 A KR 20090072871A KR 101213442 B1 KR101213442 B1 KR 101213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file
server
image
que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246A (ko
Inventor
김시복
Original Assignee
김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복 filed Critical 김시복
Priority to KR1020090072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4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15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으로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한 특정 대상 웹페이지의 URL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를 이미지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현된 그리기 정보 데이터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 데이터를 통합하여 생성된 질문 파일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의 URL정보 및 상기 질문 파일을 요청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URL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질문 파일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질문 파일의 재생 화면을 이미지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현된 그리기 정보 데이터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 데이터를 통합하여 생성된 답변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전달, 멀티미디어 파일, 그리기

Description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using multi-media file through interne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인터넷 상에서 웹서핑을 하는 과정에서 임의의 특정 대상 웹페이지에 대한 질문이나 답변 또는 의견을 멀티미디어 파일 형태로 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러한 서버 시스템에 의해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은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와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공유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제공한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웹서핑을 하는 도중에 접하는 콘텐츠 또는 웹페이지의 내용에 대해서 질문을 하거나 의견을 기술할 필요성을 느낄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해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전형적인 방법은 전문화된 사이트의 게시판을 이용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예컨대, 포털(Portal) 사이트들이 제공하는 전문 서비스 사이트를 방문하여 문의하고자 하는 질문이나 의견을 게시하고, 이를 접한 또 다른 사용자가 답변을 입력하게 된다. 제3자도 예를 들어, ‘지식검색’과 같은 서비스를 통해 질문과 답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널리 보급된 블로그나 개인 홈페이지 등에는 방문자들이 궁금한 점이나 의견을 남길 수 있는 게시판을 제공하고, 소위 ‘댓글’ 형식으로 답변이나 의견을 공유하기도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존의 정보 공유 방식은 여전히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우선, 사용자가 인터넷을 서핑하는 도중에 임의의 웹페이지 내용에 대해서 질문이나 의견을 남기고자 할 경우 만약 해당 웹페이지가 질문이나 답변 기능을 별도로 제공하지 않는다면, 사용자는 다시 위와 같은 전문 사이트를 재방문하여 질문이나 의견을 남겨야 한다.
더욱이, 상기 질문 내용에 대해서 답변을 해야 하는 제3자는 원문 웹페이지의 콘텐츠나 내용을 전혀 확인할 수 없는 상태에서(즉, 대상이 된 웹페이지와는 전혀 무관한 상태에서) 질문 내용에만 의존하여 답변을 할 수밖에 없으므로 정확한 답변이 이루어지기도 쉽지 않다.
기존 방식에 있어서의 또 하나의 한계는 질문이나 답변을 하는 방식이 대부분 문자 입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질문자는 충분히 자신의 의문점이나 의견 을 전달할 수 없고, 답변자 역시 답변 내용을 제대로 전달하기가 곤란하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웹서핑을 하는 도중에 접속한 특정 대상 웹페이지에 대한 질문이나 의견을 실시간으로 입력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문화된 사이트나 질문/답변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도 의견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웹페이지나 현재 화면을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 상에 사용자가 다양한 형태의 선, 도형, 그림 또는 문자를 그리거나 기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견 내용을 직접 음성으로 설명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상호간에 의견을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정보 전달의 용이성과 확실성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인터넷으로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한 특정 대상 웹페이지의 URL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를 이미지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현된 그리기 정보 데이터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 데이터를 통합하여 생성된 질문 파일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의 URL정보 및 상기 질문 파일을 요청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URL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질문 파일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질문 파일의 재생 화면을 이미지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현된 그리기 정보 데이터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 데이터를 통합하여 생성된 답변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넷으로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한 특정 대상 웹페이지의 URL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를 이미지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현된 그리기 정보 데이터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 데이터를 통합하여 생성된 제1 의견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의견 파일을 요청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의견 파일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제1 의견 파일의 재생 화면을 이미지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현된 그리기 정보 데이터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 데이터를 통합하여 생성된 제2 의견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이벤트를 수행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현재 화면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변환수단; 상기 이미지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 상에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선, 문자, 도형, 그림 등을 표현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그리기수단;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녹음하는 음성기록수단; 상기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현된 그리기 정보 데이터와 상기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통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생성수단;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요청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다운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통신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으로 접속된 서버를 이용한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설치하는 단계; (b) 제1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특정 대상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 (c)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의 현재 화면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c)단계에서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현된 선, 도형, 문자, 그림 등의 그리기 정보 데이터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통합하여 질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생성된 질문 파일과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의 URL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저장하는 단계; (f)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질문 파일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재생하는 단계; (g)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질문 파일의 현재 화면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h)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g)단계에서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현된 선, 도형, 문자, 그림 등의 그리기 정보 데이터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통합하여 답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i)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성된 답변 파일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으로 접속된 서버를 이용한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특정 대상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 (c)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의 현재 화면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현된 선, 도형, 문자, 그림 등의 그리기 정보 데이터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통합하여 제1 의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생성된 제1 의견 파일과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의 URL정보를 상 기 서버로 전송하고 저장하는 단계; (f)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의견 파일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재생하는 단계; (g)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제1 의견 파일의 현재 화면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h)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g)단계에서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현된 선, 도형, 문자, 그림 등의 그리기 정보 데이터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통합하여 제2 의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i)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성된 제2 의견 파일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으로 접속된 서버를 이용한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특정 대상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의 URL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에 해당하는 제1 의견 파일을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서버로부터 요청된 제1 의견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재생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제1 의견 파일의 현재 화면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g)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현된 선, 도형, 문자, 그림 등의 그리기 정보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통합하여 제2 의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h)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성된 제2 의견 파일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웹서핑을 하는 도중에 접속한 특정 대상 웹페이지에 대한 질문이나 의견을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해당 웹페이지에 질문이나 의견을 남길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라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정보 공유의 폭을 광범위하게 확대할 수 있는 융통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전달 방법에 있어서는, 질문이나 의견의 대상이 되는 웹페이지 또는 현재 화면을 이미지로 변환하고 그 이미지 상에 사용자가 필요한 선이나 도형 또는 문자를 표현할 뿐만 아니라 직접 음성으로 설명하여 전달할 수 있으므로 정보를 보다 쉽고 정확하게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 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시스템 개요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와, 인터넷(20)을 통해 상기 서버(10)와 접속된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기(30)(32)(34)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10)는 인터넷(20)을 통해 서버(1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30)(32)(34)에 본 발명의 정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도 3의 40 참조)을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0)에 의해 작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10)는 웹관리부(11), 회원관리부(12) 및 파일관리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웹관리부(11)는 인터넷(20)을 통한 사용자 단말기(30)(32)(34)의 접속을 제어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웹페이지 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회원관리부(12)는 사용자 단말기(30)(32)(34)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가 회원 가입을 하거나 로그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일관리부(1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32)(34)에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10)는 사용자의 성명, 주소, 연락처, 사용자 ID, 비밀번호 등의 인적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회원 DB(14)와, 상기 파일관리부(13)에 의해 관리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 DB(15)를 포함한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는 서버(1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서버(10)의 각 구성부는 물리적이고 하드웨어적인 개념으로 구분된 것이 아니라 그것이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구분된 것이며, 이러한 기능들은 그것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밍된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서버(10)는 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해 예컨대, CRT 또는 LCD와 같은 기본적인 표시장치와, 정보 입력을 위해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가진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32)(34)는 통상적인 개인용 PC, PDA 단말, PMP 단말, DMB 단말 및 Wibro 단말 등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개인용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32)(34)는 질문자가 사용 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 답변자가 사용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32), 그리고 제3자가 사용하는 제3 사용자 단말기(34)로 구분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기능적이고 상대적인 기준에 의한 분류일뿐이고, 구성이나 동작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32)(34)에는 예를 들어, 인터넷(20)을 통해 제공되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작성된 웹페이지를 해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36)가 탑재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작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예컨대, 원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나 곰플레이어와 같은 플레이어(38)가 설치된다. 상기 플레이어(38)는 텍스트 기반이나 동영상 기반을 포함하는 여하한 포맷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0)과 구별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서버(10)와 사용자 단말기(30)(32)(34)를 연결하는 인터넷(20)은 광의의 개념으로 공중전화망(PSTN), 셀룰러폰, PCS 및 TRS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고정된 통신수단을 무선망으로 연결하는 무선가입자망(Wireless Local Loop)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2.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서버(1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30)(32)(34)로 제공되어 설치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0)의 구성 은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41), 서버통신수단(42), 이미지변환수단(43), 그리기수단(44), 음성기록수단(45) 및 파일생성수단(46)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41)은 서버(10)에 접속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특정 이벤트(예: 질문하기, 질문보기, 답변쓰기, 답변보기, 의견쓰기, 의견보기, 서버로가기 등등)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30)(32)(34)에 대해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32)(34)의 모니터 일부에 표시되는 메뉴바(50) 또는 아이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러한 메뉴바(50)는 질문하기(51), 질문보기(52), 답변하기(53), 답변보기(54), 서버로가기(55), 의견쓰기, 의견보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메뉴바(50)는 평소에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보이지 않도록 슬라이딩 메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등 그 디자인과 구성은 본 발명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서버통신수단(42)은 사용자 단말기(30)(32)(34)와 서버(10) 사이의 접속을 제어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서버(10)로 전송하고, 서버(1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요청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32)(34)로 다운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서버통신수단(42)은 인터넷(20) 접속 또는 서버(10)와의 접속을 위한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환경을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변환수단(43)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32)(34)에서 실행되는 현재 화면을 캡쳐하여 이미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변환수단(43)은 대체로 두 가지의 문서를 이미지로 변환하는데, 첫째는 사용자 단말기(30)(32)(34)가 인터넷(20) 상에서 접속 중에 있는 특정한 웹페이지(이하 본문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특정 대상 웹페이지’라고 정의함)의 현재 화면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것이고, 둘째는 사용자 단말기(30)(32)(34)에서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질문 파일, 답변 파일 또는 의견 파일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의 현재 화면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현재 화면을 포괄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현재 화면’이라고 약칭한다.
상기 이미지변환수단(43)은 사용자 단말기(30)(32)(34)에서 실행 중인 현재 화면을 캡쳐하여 비트맵(Bitmap), JPEG, GIF, PNG 등 다양한 포맷의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으며, 그러한 형식은 본 발명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그리기수단(44)은 상기 이미지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 상에 사용자가 단말기에 구비된 마우스 또는 기타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선, 문자, 도형, 그림 등을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그리기수단(44)은 선이나 문자 또는 색상을 선택할 수 있는 팔레트나 설정판을 사용자 단말 기(30)(32)(34)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음성기록수단(45)은 사용자 단말기(30)(32)(3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예컨대, MP3와 같은 오디오 정보 데이터로 기록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음성기록수단(45)은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의 환경을 설정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일생성수단(45)은 상기 이미지변환수단(43)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현된 그리기 정보 데이터와 상기 음성 정보 데이터를 통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 형태의 파일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은 문서를 동적으로 표시(예: 그리기 내용을 동영상으로 표현)하는 동시에 음성 신호를 출력(예: 파일 내용 설명을 음성 신호로 출력)할 수 있는 여하한 형태의 파일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는 그리기 정보 데이터와 음성 정보 데이터를 별도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물리적인 파일의 구분이 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물리적인 구분이 없는 기능적인 분류로 이해될 수도 있다. 즉, 기능적인 구분에 불과한 경우에는 상기 파일생성수단(45)은 예를 들어,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현되는 선, 문자, 그림, 도형 등의 궤적 또는 좌표 데이터와 상기 음성 신호를 실시간으로 통합처리하여 단일 멀티미디어 파일로 생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은 텍스트 기반 또는 동영상 기반의 단일 파일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미지, 동적파일, 음성파일 등과 같이 복수개의 파일군(群)이 연동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3. 시스템의 동작 및 기능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시스템을 사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다양한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3.1 회원 가입 및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설치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정보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30)(32)(34)로 서버(10)에 접속한 뒤 회원 가입을 한다.
상기 서버(10)의 웹관리부(11)는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30)(32)(34)에 회원 가입을 위한 등록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예를 들어, 성명, 주소, 사용자ID, 비밀번호 등을 포함하는 인적정보를 입력하고 등록함으로써 회원 가입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회원관리부(12)는 입력된 사용자의 인적정보를 회원 DB(14)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어서, 서버(10)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공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0)을 사용자 단말기(30)(32)(34)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30)(32)(34)는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0)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0)은 사용자가 수동에 의해 실행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30)(32)(34)의 시동(부팅)과 동시에 실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와 같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실행은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 ID와 비밀 번호를 입력하도록 요구할 것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0)이 실행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30)(32)(34)의 화면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32)(34)의 모니터 일측에 질문하기(51), 질문보기(52), 답변하기(53), 답변보기(54) 및 서버로가기(55) 등의 메뉴를 포함하고 있는 메뉴바(50)가 디스플레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메뉴바의 구성과 디자인은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3.2 질문하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인터넷(20)에 접속하여 웹서핑을 하다가 특정 대상 웹페이지의 내용에 대해서 질문을 하거나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데 이것에 대한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0)이 실행되는 상태(로그인 상태)에서 사용자(여기서는 ‘질문자’가 됨)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한 후, 웹브라우저(36)를 사용하여 웹서핑을 할 수 있다(단계 S100).
그 과정에서 특정 대상 웹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질문자)가 질문을 하거나 의견을 남길 필요성을 느낄 경우, 메뉴바(50)의 질문하기(51) 버튼을 클릭한다(단계 S102).
그러면,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이미지변환수단(43)은 현재 오픈되어 있는 웹페이지의 문서(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현재 화면)(예: HTML 문서)를 캡쳐하여 이미지로 변환한다(단계 S104).
만약,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웹페이지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어느 웹페이지를 선택할 것인지를 묻는 팝업창을 제1 사용자 단말기(3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변환에 있어서, 예를 들어, 웹브라우저의 툴바, 주소창, 스크롤바, 상태표시줄 등을 제외한 웹페이지 본문만을 이미지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이 변환된 웹페이지의 이미지는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41)에 의해 제1 사용자 단말기(30)에 표시되는데, 예를 들어 새로운 창을 팝업함으로써 변환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그리기수단(44)은 상기 변환된 이미지 상에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기타 수단을 포함하는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선, 문자, 도형, 기타 그림 등을 그리거나 기재할 수 있는 그리기 도구를 제공하는데(단계 S106), 예를 들어, 이러한 그리기 도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의 종류와 굵기, 도형, 영역 등을 선택할 수 있는 팔레트(56)를 비롯하여, 문자의 경우 글꼴과 크기, 밑줄, 하이라이트 등을 선택할 수 있는 글꼴설정판과, 색상선택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음성기록수단(45)은 제1 사용자 단말기(30)의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실시간으로 녹음하여 저장한다. 바람 직하게, 제1 사용자 단말기(30)의 화면에 음성 녹음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상태아이콘(도 9의 57 참조)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음성 녹음을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질문을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마우스 또는 기타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변환된 웹페이지 이미지 상에 직접 선, 도형 등을 그리거나 문자를 기재하면서 의견을 기술하거나 질문 내용을 입력하게 된다(단계 S108). 동시에, 화면 뿐만 아니라 음성으로 질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는 것도 병행한다.
이어서, 질문 내용 입력이 완료되면, 저장하기(도 9의 58) 버튼을 클릭하여 질문하기를 종료한다. 그러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파일생성수단(46)은 상기 변환된 웹페이지의 이미지 상에 표시된 그리기 정보 데이터와 상기 음성 정보 데이터를 통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 형태의 질문 파일을 생성한다(단계 S110).
위와 같이 멀티미디어 파일(질문 파일)의 생성이 완료되면, 서버통신수단(42)은 질문의 대상이 되었던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의 URL정보와 상기 질문 파일을 포함하는 질문 데이터를 서버(10)로 전송한다(단계 S112). 물론, 이러한 질문 데이터는 사용자 ID와 같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것이다.
이어서, 서버(10)의 파일관리부(13)는 수신된 질문 데이터를 파일 DB(15)에 저장하는데, 저장된 데이터의 도식적인 예가 도 10에 나타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되는 질문 데이터는 URL정보(http://www.kin.naver.com/detail), 사용자(질문자) ID(HONGKILDONG) 및 질문 파일(QSTN_1)로 구성될 수 있다.
3.3 답변하기-웹페이지에서 답변하기
본 발명에 따라서 질문자가 입력한 질문 내용은 또 다른 사용자가 확인하고 답변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답변자 역시 웹서핑을 하는 과정에서 질문자의 질문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답변을 입력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0)이 실행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2)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한 후, 웹브라우저(36)를 사용하여 웹서핑을 하게 된다(단계 S200).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특정 대상 웹페이지(위에서 질문자가 질문을 남긴 웹페이지)를 살펴보다가 질문 사항이 입력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메뉴바(50)의 질문보기(52)를 클릭한다(단계 S202).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답변자)가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순간,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0)의 서버통신수단(42)은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의 URL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하여 질문 데이터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해 서버(10)의 파일관리부(13)는 파일 DB(15)에서 해당 URL정보에 대응하는 질문 데이터를 검색하여 그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기(32)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바(50) 또는 인접영역에 "본 내용에 대한 질문사항이 있습니다"와 같은 메세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팝업창을 제공하거나 또는 메뉴바의 질문보기 버튼을 활성화 또는 깜빡이게 하는 등 여러가지 방안이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사용자가 질문보기(52) 버튼을 클릭하면, 서버통신수단(42)은 해당 페이지의 URL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하여 질문 파일을 요청한다(단계 S204). 이에 대해, 서버(10)의 파일관리부(13)는 상기 파일 DB(15)를 검색하여 해당 URL정보에 상응하는 질문 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32)로 전송하여 다운로드하도록 한다(단계 S206).
만약, 상기 웹페이지에 대한 질문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질문 목록을 먼저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질문 목록에 대한 질문 파일을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만약 이미 먼저 입력된 답변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답변 파일 목록도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제2 사용자 단말기(32)에 다운로드된 질문 파일은 플레이어(38) 또는 그와 균등한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재생되어 디스플레이된다(단계 S208). 이때, 답변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질문자가 입력한 그리기 정보를 눈으로 확인하는 동시에 스피커를 통해 질문자의 음성 정보를 청취함으로써 상세한 질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질문 파일이 재생되는 중간에 또는 재생 후에 답변하기(53) 버튼을 클릭하여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단계 S210).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답변하기(53)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이미지변환수단(43)은 제2 사용자 단말기(32)에서 실행 중인 현재 화면을 캡쳐하여 이미지로 변 환시킨다(단계 S212). 이러한 화면은 질문 파일이 재생되는 중간이었다면 질문 파일의 어느 일부가 될 것이다.
그런 다음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0)이 그리기 도구와 음성 녹음 기능을 제공하면(단계 S214), 사용자는 이것을 이용하여 선이나 도형 등을 그리거나 문자를 기재하는 동시에 음성으로 답변 내용을 입력하게 된다(단계 S216).
이어서, 답변 입력을 완료하고 저장하기(58) 버튼을 클릭하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0)의 파일생성수단(46)은 상기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시된 그리기 정보 데이터와 상기 음성 정보 데이터를 통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 형태의 답변 파일을 생성하고(단계 S218),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답변 파일)은 서버통신수단(42)에 의해 상기 웹페이지의 URL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와 함께 서버(10)로 전송된다(단계 S220).
최종적으로, 서버(10)의 파일관리부(13)는 수신된 답변 파일 데이터(예: 답변자 ID: LEEMY, 답변파일: ANSWR_1)를 도 10에 예시된 것과 같이 파일 DB(15)에 저장한다.
3.4 답변하기-서버 접속에 의해 답변하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웹서핑 뿐만 아니라 상기 서버(10)에 접속하여 질문 목록을 직접 검색함으로써 답변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실시예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가리킨다.
사용자(답변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상태(로그인 상태)에서 제2 사용자 단말기(32)를 사용하여 서버(10)의 메인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단계 S300). 이러한 동작은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기(32)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바(50)에 제공된 서버로가기(55)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사용자는 서버(10) 접속 후에 로그인 절차를 거치거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제2 사용자 단말기(32)가 접속되면 서버(10)의 웹관리부(11)는 질문 목록을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을 제2 사용자 단말기(32)에 제공하고, 사용자는 원하는 질문 목록을 검색하여 선택한다(단계 S302).
예를 들어, 웹관리부(11)는 질문 파일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한 목록을 제공하거나, 제목 또는 내용을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질문 목록을 선택하면, 서버(10)의 파일관리부(13)는 파일 DB(15)를 검색하여 해당 질문 파일을 제2 사용자 단말기(32)로 전송한다(단계 S304).
이어서, 제2 사용자 단말기(32)에 다운로드된 질문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 한 후, 그에 대한 답변을 그리기 도구와 음성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과정, 그런 다음 멀티미디어 파일 형태의 답변 파일을 생성하여 서버(10)로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단계 S210 내지 단계 S220까지의 과정)은 이미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3.5 답변보기-웹페이지에서 답변보기
도 13에는 질문을 등록한 사용자가 답변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과정이 순서도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질문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0)이 실행된 상태에서 자신의 제1 사용자 단말기(30)를 사용하여 질문을 등록하였던 특정 대상 웹페이지에 접속한다(단계 S400).
그런 다음, 답변을 확인하기 위해서, 메뉴바(50)의 답변보기(54)를 클릭하면(단계 S402), 서버통신수단(42)은 상기 웹페이지의 URL정보와 사용자 ID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하고 해당 URL에 대한 답변 파일을 요청한다(단계 S404).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해당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순간,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0)의 서버통신수단(42)은 해당 웹페이지의 URL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하여 답변 데이터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해 서버(10)의 파일관리부(13)는 파일 DB(15)에서 해당 URL정보에 대응하는 (또는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답변 데이터를 검색하여 그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기(3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바(50) 또는 인접영역에 "본 내용에 대한 답변이 존재합니다"와 같은 메세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팝업창을 제공하거나 또는 메뉴바의 답변보기 버튼을 활성화 또는 깜빡이게 하는 등 여러가지 방안이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답변 파일 요청이 있으면, 서버(10)의 파일관리부(13)는 상기 파일 DB(15)를 검색하여 해당 URL정보에 상응하는 답변 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고, 수신된 답변 파일은 제1 사용자 단말기(30)의 플레이어(38)에 의해 재생된다(단계 S406).
위 과정에서 만약, 해당 웹페이지에 대한 답변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답변 목록을 먼저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답변 목록에 대한 답변 파일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사용자는 답변자가 입력한 그리기 정보를 눈으로 확인하는 동시에 스피커를 통해 답변자의 답변 내용을 음성으로 청취함으로써 답변 내용을 쉽고 상세하게 알 수 있다.
사용자는 답변 파일이 재생되는 중간에 또는 재생 후에 질문하기(51)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추가로 질문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즉, 단계 S408에서 추가 질문을 하기 위해 사용자가 질문하기(51)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에는, 이미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이미지변환수단(43)에 의해 제1 사용자 단말기(30)에서 실행중인 현재 화면이 이미지로 변환된다(단계 S410).
그런 다음, 그리기 도구와 음성 녹음 기능을 제공하면(단계 S412), 사용자는 그리기 또는 문자를 사용하여 질문 내용을 표시하는 동시에 음성으로 추가 질문 내용을 입력하게 된다(단계 S414).
이어서, 추가 질문 입력을 완료하고 저장하기(58) 버튼을 클릭하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0)의 파일생성수단(46)은 상기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시된 그리기 정보 데이터와 상기 음성 정보 데이터를 통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 형태의 추가 질문 파일을 생성하고(단계 S416),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은 서버통신수단(42)에 의해 상기 웹페이지의 URL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와 함께 서버(10)로 전송된 후 파일 DB(15)에 저장된다(단계 S418).
3.6 답변보기-서버에서 답변보기
이번에는 사용자가 서버(10)에 접속하여 답변 목록을 직접 검색함으로써 답변 내용을 확인하는 실시예를 도 14를 참조로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가리킨다.
사용자(질문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0)이 실행되는 상태(로그인 상태)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30)를 사용하여 서버(10)의 메인 페이지에 접속한다(단계 S500). 이러한 동작은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기(30)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바(50)에 제공된 서버로가기(55)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사용자는 서버(10) 접속 후에 로그인 절차를 거치거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30)가 접속되면 서버(10)의 파일관리부(13)는 해당 사용자의 ID에 해당하는 답변 목록을 제1 사용자 단말기(30)에 제공하고, 사용자는 원하는 질문 목록을 선택한다(단계 S502).
사용자가 원하는 답변 목록을 선택하면, 상기 파일관리부(13)는 파일 DB(15)로부터 해당 답변 파일을 추출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고, 전송된 답 변 파일은 플레이어(38)에 의해 재생된다(단계 S504).
이후, 단계 S408 에서 단계 S418에 이르기까지, 사용자가 추가로 질문 내용을 입력하여, 추가 질문 파일을 생성하고 서버(10)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일련의 과정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3.7 제3자 단말기에서 질문/답변보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상의 정보 공유 방법에 의하면, 질문자와 답변자를 제외한 제3자도 특정 대상 웹페이지에 대한 질문과 답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 질문과 추가 답변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3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0)이 실행되는 상태에서 제3 사용자 단말기(34)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한 후, 웹브라우저(36)를 사용하여 웹서핑을 하게 된다(단계 S600).
이 과정에서, 제3자가 특정 대상 웹페이지(위에서 질문과 답변의 대상이 된 웹페이지)를 살펴보다가, 해당 웹페이지에 대한 질문과 답변 내용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질문보기(52)를 클릭한다(단계 S602).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자가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순간,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서버통신수단(42)은 해당 웹페이지의 URL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하여 질문 및 답변 데이터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해 서버(10)의 파일관리부(13)는 파일 DB(15)에서 해당 URL정보에 대응하는 질문 데이 터와 답변 데이터를 검색하여 그 정보를 제3 사용자 단말기(34)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바(50) 또는 인접영역에 "본 내용에 대한 질문과 답변내용이 존재합니다"와 같은 메세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팝업창을 제공하거나 또는 메뉴바의 질문보기와 답변보기 버튼을 활성화 또는 깜빡이게 하는 등 여러가지 방안이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제3자가 질문보기(52) 버튼을 클릭하면, 서버통신수단(42)은 해당 페이지의 URL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하여 질문 파일을 요청한다(단계 S604). 이에 대해, 서버(10)의 파일관리부(13)는 상기 파일 DB(15)를 검색하여 해당 URL정보에 상응하는 질문 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제3 사용자 단말기(34)로 전송하고 재생되도록 한다(단계 S606).
만약, 상기 웹페이지에 대한 질문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질문 목록을 먼저 제공하고, 제3자가 선택한 질문 목록에 대한 질문 파일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해당 질문 파일에 대한 답변 파일 목록도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제3자는 질문자가 입력한 그리기 정보를 눈으로 확인하는 동시에 스피커를 통해 질문자의 음성으로 청취함으로써 질문 내용을 상세히 파악할 수 있다.
제3자는 질문 파일이 재생되는 중간에 또는 재생 후에 질문하기(51)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추가로 다른 질문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즉, 단계 S608에서 추가 질문을 하기 위해 제3자가 질문하기(51)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에는, 이미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이미지변환수단(43)에 의해 질문 파일의 현재 화면이 이미지로 변환되고, 제3자는 그리기 도구와 음성 녹음 기능을 이용해 추가 질문 내용을 입력하게 된다(단계 S610).
그런 다음, 추가 질문 입력을 완료하고 저장하기(58) 버튼을 클릭하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0)의 파일생성수단(46)은 상기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시된 그리기 정보 데이터와 상기 음성 정보 데이터를 통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 형태의 추가 질문 파일을 생성하고(단계 S612),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은 서버통신수단(42)에 의해 상기 웹페이지의 URL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와 함께 서버(10)로 전송된 후 파일 DB(15)에 저장된다(단계 S614).
만약, 단계 S608에서 추가 질문이 없을 경우 제3자는 답변보기(54)를 클릭하고(단계 S616), 서버통신수단(42)은 상기 웹페이지의 URL정보와 사용자 ID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하여 해당 URL에 대한 답변 파일을 요청한다(단계 S618).
또 다른 대안으로서, 만약 질문 목록과 함께 답변 목록이 이미 제3 사용자 단말기(34)에 제공된 상태라면 제3자는 답변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를 간단히 선택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3 사용자 단말기(34)로부터 답변 파일 요청이 있으면, 서버(10)의 파일관리부(13)는 상기 파일 DB(15)를 검색하여 해당 URL정보에 상응하는 답변 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제3 사용자 단말기(34)로 전송하고, 수신된 답변 파일은 제3 사용자 단말기(34)의 플레이어(38)에 의해 재생된다(단계 S620).
또한, 제3자는 답변 파일이 재생되는 중간에 또는 재생 후에 답변하기(53) 버튼을 클릭하여 추가로 답변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단계 S622 및 단계 S624).
즉, 제3자가 답변하기(53) 버튼을 클릭하면, 이미지변환수단(43)은 제3 사용자 단말기(34)의 현재 화면을 캡쳐하여 이미지로 변환시키고 그리기 도구와 음성 녹음 기능을 제공한다. 제3자는 이것을 이용하여 답변 내용을 추가로 입력한 후 저장하기(58) 버튼을 클릭하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0)의 파일생성수단(46)은 상기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시된 그리기 정보 데이터와 상기 음성 정보 데이터를 통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 형태의 추가 답변 파일을 생성한다(단계 S626).
이렇게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추가 답변 파일)은 서버통신수단(42)에 의해 상기 웹페이지의 URL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와 함께 서버(10)로 전송되어 파일 DB(15)에 저장된다(단계 S628).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 질문하기와 추가 답변하기 동작을 특정한 순서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통상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추가 질문과 추가 답변하기는 언제든지 사용자가 필요한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상의 정보 공유 방법을 특정 대상 웹페이지에 대한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는 방식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예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의견을 공유하는데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30)(32)(34)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한 후, 웹서핑을 하다가 특정 대상 웹 페이지에 대해서 의견이나 정보를 남길 수 있고, 또 다른 사용자가 이미 입력해 놓은 의견이나 정보를 재생하여 볼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구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30)(32)(34)에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술한 메뉴바(50)에서 질문하기(51)와 답변하기(53) 대신에 '의견쓰기', 그리고 질문보기(52)와 답변보기(54) 대신에 '의견보기' 버튼을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질문하기 기능'와 '답변하기 기능'은 의견을 작성하는 것에 해당하고, '질문보기 기능'과 '답변보기 기능'은 이미 작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의견파일)을 재생하여 보는 것에 해당한다.
따라서, 비록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별도로 설명하지 않더라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로부터 충분히 실시 가능한 예들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한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한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한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한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에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한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한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에 있어서 질문하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한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예를 나타낸 도 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한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의 파일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한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에 있어서 답변하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한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에 있어서 답변하기 과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한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에 있어서 답변보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한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에 있어서 답변보기 과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한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에 있어서 제3자가 의견을 공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인터넷으로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이벤트를 수행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
    질문하기, 질문보기, 답변하기, 답변보기, 의견쓰기, 의견보기 및 서버로 가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뉴바;
    상기 메뉴바로부터 질문하기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행되는 웹페이지를 캡쳐하여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변환수단;
    상기 이미지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 상에 선, 문자, 도형 및 그림을 포함하는 그리기 정보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그릴 수 있는 그리기수단;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정보 데이터로 기록하는 음성기록수단;
    상기 이미지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현된 텍스트 기반의 그리기 정보 데이터와 상기 음성 정보 데이터를 통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생성수단;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요청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다운로드하는 서버통신수단; 및
    상기 이미지 상에 텍스트 기반의 그리기 정보 데이터를 동적으로 표시하여 출력함으로써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플레이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공유 시스템.
  4. 삭제
  5.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으로 접속된 서버를 이용한 인터넷 상의 정보 전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설치하는 단계;
    (b) 제1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특정 대상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
    (c)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의 현재 화면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c)단계에서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현된 선, 도형, 문자 및 그림을 포함하는 텍스트 기반의 그리기 정보 데이터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통합하여 질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생성된 질문 파일과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의 URL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저장하는 단계;
    (f)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질문 파일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질문 파일의 이미지 상에 텍스트 기반의 그리기 정보 데이터를 동적으로 표시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질문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
    (g)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질문 파일의 현재 화면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h)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g)단계에서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현된 선, 도형, 문자 및 그림을 포함하는 텍스트 기반의 그리기 정보 데이터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통합하여 답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i)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성된 답변 파일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
  6.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으로 접속된 서버를 이용한 인터넷 상의 정보 전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설치하는 단계;
    (b) 제1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특정 대상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
    (c)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의 현재 화면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현된 선, 도형, 문자 및 그림을 포함하는 텍스트 기반의 그리기 정보 데이터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통합하여 제1 의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생성된 제1 의견 파일과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의 URL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저장하는 단계;
    (f)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의견 파일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의견 파일의 이미지 상에 텍스트 기반의 그리기 정보 데이터를 동적으로 표시하여 출력함으로써 질문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
    (g)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제1 의견 파일의 현재 화면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h)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g)단계에서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현된 선, 도형, 문자 및 그림을 포함하는 텍스트 기반의 그리기 정보 데이터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통합하여 제2 의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i)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성된 제2 의견 파일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의 URL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파일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질문 목록 또는 의견 목록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공된 목록이 선택되면 상기 서버가 해당하는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와 (h)단계에서,
    선의 종류와 굵기 및 도형을 선택할 수 있는 팔레트와, 글꼴설정판과, 색상선택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그리기 도구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
  10.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으로 접속된 서버를 이용한 인터넷 상의 정보 전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특정 대상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의 URL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특정 대상 웹페이지에 해당하는 제1 의견 파일을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서버로부터 요청된 제1 의견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의견 파일의 이미지 상에 텍스트 기반의 그리기 정보 데이터를 동적으로 표시하여 출력함으로써 질문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제1 의견 파일의 현재 화면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g)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변환된 이미지 상에 표현된 선, 도형, 문자 및 그림을 포함하는 그리기 정보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통합하여 제2 의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h)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성된 제2 의견 파일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의 정보 공유 방법.
KR1020090072871A 2009-08-07 2009-08-07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KR101213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871A KR101213442B1 (ko) 2009-08-07 2009-08-07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871A KR101213442B1 (ko) 2009-08-07 2009-08-07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246A KR20110015246A (ko) 2011-02-15
KR101213442B1 true KR101213442B1 (ko) 2012-12-18

Family

ID=43774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871A KR101213442B1 (ko) 2009-08-07 2009-08-07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922B1 (ko) * 2012-08-06 2014-09-30 (주) 소프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지식컨텐츠의 재생산방법
CN111107116B (zh) * 2018-10-26 2024-03-05 莫西菲股份有限公司 递送个性化和定制化媒体的无缝连续播放的系统和方法以及浏览器屏幕共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643A (ja) * 2002-02-27 2003-09-12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Systems Corp ヘルプデスクシステム
JP2005038029A (ja) * 2003-07-15 2005-02-10 Toshiba Solutions Corp 保守支援システム、保守方法
JP2007179322A (ja) 2005-12-28 2007-07-12 Ibm Japan Ltd 利用者から受けた問い合わせに対する回答をすることを支援する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643A (ja) * 2002-02-27 2003-09-12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Systems Corp ヘルプデスクシステム
JP2005038029A (ja) * 2003-07-15 2005-02-10 Toshiba Solutions Corp 保守支援システム、保守方法
JP2007179322A (ja) 2005-12-28 2007-07-12 Ibm Japan Ltd 利用者から受けた問い合わせに対する回答をすることを支援する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246A (ko) 201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0957B2 (en) Remote management of an electronic presence
US8356077B2 (en) Linking users into live social networking interactions based on the users' actions relative to similar content
CN107274267B (zh) 提供内容推荐服务的系统和方法
US20140208235A1 (en) Dynam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delivery and sharing in content-, metadata- & viewer-based, live social networking among users concurrently engaged in the same and/or similar content
WO2007100228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upload using a mobile terminal
CN113157157B (zh) 基于直播的互动图像管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200602592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tours
KR20060004049A (ko) 블로그 편집 방법
US10860187B1 (en) Object oriented interactions
Mirri et al. Augment browsing and standard profiling for enhancing web accessibility
CN112329403A (zh) 一种直播文档处理方法和装置
CN114297476A (zh) 基于用户标签的问卷调查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213442B1 (ko)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KR20090080489A (ko) 웹사이트 링크정보를 이용한 웹페이지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9187163A (ja) 質問回答装置
JP2022518157A (ja) ドキュメントマーキング方法及び装置
KR20080005793A (ko) 실시간 방송참여를 위한 폰페이지 및 홈페이지간 연동시스템 및 방법
KR20020064588A (ko) 네트워크를 통한 맞춤형 컨텐츠 제작 및 컨텐츠 중개시스템 및 그 방법
JP5009861B2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WO2021144896A1 (ja) 会話制御プログラム、会話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070031672A (ko) 통신 단말기의 바탕화면 편집 방법 및 바탕화면 편집시스템
JP2002230150A (ja) 質問回答装置、質問回答方法、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939074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US20240037322A1 (en) Customizable data management form builder method and devices
KR101896479B1 (ko) 메모 등록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