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882B1 - Clean toilet capable of flushing excrement immediately during discharging - Google Patents

Clean toilet capable of flushing excrement immediately during discharg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882B1
KR101212882B1 KR1020100084377A KR20100084377A KR101212882B1 KR 101212882 B1 KR101212882 B1 KR 101212882B1 KR 1020100084377 A KR1020100084377 A KR 1020100084377A KR 20100084377 A KR20100084377 A KR 20100084377A KR 101212882 B1 KR101212882 B1 KR 101212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user
unit
water
wat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3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01556A (en
Inventor
이종호
이석우
Original Assignee
이석우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우, 이종호 filed Critical 이석우
Priority to KR1020100084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882B1/en
Publication of KR20100101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5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8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7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by diffusing deodorants in lavat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설물이 수용부에 머무르지 않고 즉시 배출되는 청결한 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변기는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용부 내부가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가 변기를 이용하는 시점부터 수용부의 내부 표면에 수막을 형성하기 시작하여 용변(用便)을 보는 동안 지속적으로 수막을 형성시켜 배설물이 수용부에 머무르지 않고 수용부 저면에 형성된 배출구로 즉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설물이 수용부의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즉시 수용부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용변 중 배설물에 의한 냄새가 발생되지 않으며 오물이 튀지 않아 항상 청결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 내부가 위생적으로 관리되며 수용부의 내부 표면에 배설물의 흔적이 남지 않고 깨끗하게 씻겨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 toilet in which excretion is immediately discharged without remaining in the receptacle. When 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is kept dry, and the user starts to form a water film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from the point of use of the toilet to continuously wash the water film while using the toilet. The feces do not stay in the receptacle and are immediately discharged to an outlet formed in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cretion does not stay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immedia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 smell of excretion in the toilet does not occur and the dirt does not splash can always be used cleanly.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receptacle is hygienically cleaned and cleaned without leaving traces of excreta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ptacle.

Description

용변 중에도 배설물이 즉시 배출되는 청결한 좌변기 {Clean toilet capable of flushing excrement immediately during discharging}Clean toilet capable of flushing feces immediately during stool {Clean toilet capable of flushing excrement immediately during discharging}

본 발명은 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용변(用便)을 보는 동안 수용부의 내부 표면에 수막을 형성하여 배설물이 수용부에 머무르지 않고 수용부 저면에 형성된 배출구로 즉시 배출되도록 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변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and more specifically, to form a water film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while the user is looking at the toilet so that the excrement does not stay in the receiving portion immediately discharged to the outlet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It is about a toilet that can maintain cleanliness.

변기는 사람의 배설물을 받아내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써, 어느 가정이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기를 구비하고 있다. 건강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하루에 한번 이상 대변 또는 소변을 배출하기 위해 변기를 이용한다. 최근에는 변기의 수용부에 수용된 배설물을 배출하기 위해 일정량의 물을 흘려서 처리하는 수세식 변기가 보편화되어 있다.A toilet is a device for receiving human waste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and has at least one toilet in any household. Anyone who is healthy uses the toilet to drain feces or urine at least once a day. In recent years, a flush toilet has been widely used to treat a certain amount of water to discharge the waste contain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toilet.

수세식 변기의 보급에도 불구하고 변기가 설치된 화장실은 여전히 지저분한 장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변기는 용변을 보는 중에 오물이 튀어서 지저분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75㎝ 높이에서 30초간 400리터의 물을 변기 중앙으로 흘려보았더니 21%가 변기 밖으로 튀어나갔다는 실험 결과도 있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변기는 용변이 끝난 후에 비로소 배설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시 변기 뚜껑을 덮지 않으면 아주 미세한 배설물 분자들이 변기 밖으로 튀어나가게 되며, 용변이 끝난 후 변기에 배설물이 묻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용변 중에 화장실에 냄새가 퍼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변기의 물통에 세척액을 투입하기도 하고, 화장실 내에 방향제를 설치하기도 하지만, 이는 임시방편인 해결 수단일 뿐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람에 따라 용변에 오랜 시간이 걸려 화장실에 오래 앉아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변기의 수용부에 담긴 배설물의 냄새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Despite the spread of flush toilets, toilets with toilets are still considered dirty. This is because toilets that are currently used are dirty from splashing while looking at the toilet. In fact, 400 liters of water flowed into the center of the toilet for 30 seconds at a height of 75 centimeters. In addition, since the toilet currently used has a structure that can discharge the feces after the toilet is finished, if the toilet lid is not covered during discharge, very fine fecal molecules will come out of the toilet, and if the fecal matter gets on the toilet after the toilet is finished. Often occurs and odors spread in the toilet during stool.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washing liquid is put in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and the fragrance is installed in the toilet, but this is only a temporary solution, and does not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In addition, some people take a long time in the toilet to sit for a long time in the toilet, in which case often suffers from the smell of feces contain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toilet.

용변 중이라도 배설물이 수용부 내부에 머무르지 않아 배설물에 의한 냄새가 발생되지 않으며 배설물이 수용부에 묻지 않는 변기가 있다면, 화장실은 보다 쾌적한 공간이 될 수 있으며 용변 중에 주로 하는 신문보기 또는 독서 등의 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기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며 사람들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Even if you have a toilet where feces do not stay inside the receptacle and no excretion occurs due to the feces and the feces do not adhere to the receptacle, the toilet may be a more comfortable space. Can be more effective. Therefore, the need for such a toilet is required, and people's attention is also increasing.

본 발명의 목적은 배설물이 즉시 수용부에서 배출되어 수용부 내부에 배설물이 머무르지 않는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ilet in which excretion is immediately discharged from the receptacle so that excretion does not remain inside the receptac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변 중에 배설물에 의한 냄새가 발생되지 않고 오물이 튀지 않으며, 배설물을 배출한 후에 수용부에 배설물의 흔적이 남지 않아 청결을 유지할 수 있고 위생적인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ygienic toilet bowl without odor caused by excretion in the feces and dirt does not splash, and after the excretion is discharged, there is no trace of excretion on the receiving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물통을 구비하지 않아 크기가 작으며 디자인이 수려한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with a small size and a beautiful design because no separate bucket is provided.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는 수용부와 수막 형성부를 포함한다. 수용부는 배설물을 수용하며 저면에 배설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수막 형성부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동안 수용부의 내부 표면을 따라 물을 흘려 수막을 형성한다. 수막 형성부는 수도관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and the water film forming portion. The receiving part receives the excrement and is formed with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excrement on the bottom. The water film forming portion forms water film by flowing water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during use by the user. The water film forming portion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pi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에는 차단막이 설치될 수 있다. 차단막은 일정 무게 이상이 되면 개방되며 일정 무게 이하가 되면 닫힌다.In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 barrier film. The barrier is opened when it is above a certain weight and closed when it is below a certain weigh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는 사용자의 접근과 멀어짐을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막 형성부는 사용자 감지부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후 사용자의 멀어짐이 감지될 때까지 수용부의 내부 표면에 물을 흘려 수막을 형성한다.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user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approach and distance. The water film forming unit forms a water film by flowing wat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unit until the user sensor detects the user's approach and the user's distance is detec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는 임시 저장부와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임시 저장부는 수용부의 하부에서 배출구와 연결된다. 배출부는 미리 설정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임시 저장부의 배설물을 배출시킨다. 미리 설정한 조건은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배설물의 무게 또는 부피가 될 수 있다. 배출부는 진공 흡입 방식으로 배설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emporary storage unit and a discharge unit. The temporary reservoir is connected to the outlet at the bottom of the receiver. The discharge unit discharges the excrement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when the preset condition is satisfied. The preset condition may be the weight or volume of excreta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The discharge part may discharge the excrement by vacuum suction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는 대소변 여부를 감지하는 대소변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막 형성부는 대소변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수막 형성에 사용되는 물의 양을 조절한다.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oilet stool detecting whether the toilet. The water film forming unit adjusts the amount of water used to form the water film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ecal sensor.

본 발명에 따른 변기는 용변 중에 수용부 내부에 수막을 형성하여 배설물이 수막과 함께 수용부의 배출구로 흘러간다. 이에 따라 배설물이 수용부의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즉시 수용부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용변 중 배설물에 의한 냄새가 발생되지 않으며 오물이 튀지 않는다. 또한 수막에 의해 배설물이 깨끗하게 씻겨 나가므로 수용부 내부가 위생적으로 관리되며 수용부의 표면에 배설물의 흔적이 남지 않는다. 즉, 변기가 항상 깨끗하고 청결하고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청결하게 변기를 이용할 수 있다.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water film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during the stool so that excrement flows to the outlet of the accommodating part together with the water film. Accordingly, the excretion does not stay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immedia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so that the odor caused by the excreta in the toilet does not occur and dirt does not splash. In addition, because the feces are washed clean by the water film,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art is hygienically managed, and no trace of the droppings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That is, the toilet can always be kept clean, clean and hygienic and the user can use the toilet cleanly.

본 발명에 따른 변기는 평소에 수용부 내부에 물이 고여 있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에만 수막이 형성되므로 수용부 내부가 건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 내부에 세균 등이 쉽게 번식하지 못한다.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dried state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because the water film is formed only when the water is not used in the accommodating part. Therefore, bacteria and the like do not easily bre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변기는 수용부가 수도관과 직접 연결되어 배설물 배출을 위한 별도의 물통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변기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며, 변기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a separate bucket for the discharge of excr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pipe. Therefore, the size of the toilet can be reduced, and the design of the toilet can be vari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감지부가 수용부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시 저장부를 포함한 변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부와 대소변 판단부를 포함하는 변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변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at the user sen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unit.
3 is a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toilet including a temporary storage uni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oilet including a fragrance discharge unit and a toilet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toilet illustrated in FIG. 4.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감지부가 수용부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toile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user sensing unit mounted in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1000)는 수용부(1100), 수막 형성부(1200)를 포함한다. 수막 형성부(1200)는 수용부(1100)의 상측에 위치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 1, the toilet 10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part 1100 and a water film forming part 1200. The water film forming unit 1200 is located above the accommodation unit 1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수용부(1100)는 대변 또는 소변과 같은 배설물을 수용한다. 수용부(11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저면에 배출구(1110)가 형성된다. 종래의 변기의 경우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수용부(1100)의 내부에 물이 고여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1000)는 수용부(1100)의 내부에 물이 고여 있지 않다. 따라서 수용부(1100) 내부가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여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으며 용변 중에 오물이 튀는 것이 방지된다. Receptacle 1100 receives feces, such as feces or urine. The accommodating part 1100 has an empty shape and an outlet 1110 is formed at a bottom thereof.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toilet, water is accumul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00 even when not used. However, the toilet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accumulate water in the accommodating part 1100. Therefore,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1100 may be hygienically managed by maintaining a dry state, and splashing of dirt during stool is prevented.

수용부(1100)로 수용되는 배설물은 배출구(1110)를 통해 수용부(1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위해 수용부(1100)의 내부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설물이 자연스럽게 배출구(1110)를 향해 흘러가도록 한다. 배출구(1110)는 관을 통해 정화조와 연결된다.The excremen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1100 through the outlet 1110. To this end,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ng part 1100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that the excrement naturally flows toward the outlet 1110. The outlet 1110 is connected to the septic tank through a tube.

배출구(1110)에는 차단막(1120)이 설치될 수 있다. 차단막(1120)은 일정한 무게 이상이 되면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어 배설물이 배출구(1110)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한다. 배설물이 흘러가서 일정 무게 이하가 되면 차단막(1120)은 다시 닫힌다. 차단막(1120)은 배설물이 배출구(1110)로 흘러가는 것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개방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출구(1110)의 측면으로 삽입되면서 개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배출구(1110)에 차단막(1120)이 설치되면, 정화조에서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정화조에서 관을 타고 벌레 등이 기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장실이 깨끗하고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 barrier layer 1120 may be installed at the outlet 1110. When the blocking film 112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weight, the blocking film 1120 is opened as shown in FIG. 1B to allow the excrement to flow to the outlet 1110. When the excrement flows below a certain weight, the blocking film 1120 is closed again. The barrier film 1120 may be opened while moving downwards so as not to prevent the excrement flowing into the outlet 1110, and in other embodiments, may be open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outlet 1110. As such, when the blocking membrane 1120 is installed at the outlet 1110, the odor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back from the septic tank and the worm may be prevented from crawling through the pipe in the septic tank. Therefore, the toilet can be kept clean and comfortable.

수막 형성부(1200)는 수용부(1100)의 내부 표면을 따라 물을 흘려 수막을 형성한다. 수막 형성부(1200)는 미세한 물방울 형태로 물을 흘릴 수도 있고, 일정량의 유량이 되도록 물의 양을 조절하여 물을 흘릴 수도 있다.The water film forming unit 1200 flows water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unit 1100 to form a water film. The water film forming unit 1200 may flow water in the form of fine water droplets, or may adjust the amount of water to flow a certain amount of flow.

수막 형성부(1200)는 사용자가 변기(1000)를 사용하는 동안 물을 흘려 수막을 형성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변기(1000)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변기(1000)는 변기(1000)의 사용과 종료를 알리는 버튼을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변기(1000)를 사용하기 시작하는 때 버튼을 누르면 수막 형성부(1200)가 수용부(1100) 내부에 수막을 형성하기 시작하고, 사용자가 변기(1000)의 사용을 종료하는 때 버튼을 누르면 수막 형성부(1200)는 수막 형성을 종료한다. The water film forming unit 1200 flows water while the user uses the toilet bowl 1000 to form a water film.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uses the toilet 1000. To this end, the toilet 1000 may include a button for notifying use and termination of the toilet 1000.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a button when the user starts using the toilet 1000, the water film forming unit 1200 starts to form a water film inside the receiving unit 1100, and when the user ends the use of the toilet 1000.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water film forming unit 1200 ends the water film formation.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1000)가 사용자 감지부(130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사용자 감지부(1300)는 수용부(1100)의 전방 하부에 장착된다. 사용자 감지부(130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용부(1100) 앞에 서서 용변을 보는 경우는 물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용부(1100)에 앉아서 용변을 보는 경우에도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 감지부(1300)가 수용부(1100)의 전방 하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다리 부분을 감지하도록 한다. 이 경우 사람마다 다리의 굵기가 다르고 변기(1000)를 이용하는 위치도 다소 다르므로 사용자 감지부(1300)는 좌우 방향으로 넓은 감지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감지부(1300)가 수용부(1100)의 전방 하부에 장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서서 용변을 보는 경우와 앉아서 용변을 보는 경우 모두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에도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감지부(1300)는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접근과 멀어짐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감지할 수도 있다. 사용자 감지부(1300)에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수막 형성부(1200)는 수막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이 후 사용자 감지부(1300)에서 사용자의 멀어짐을 감지하면 수막 형성부(1200)는 수막 형성을 종료한다.
In another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 2, the toilet 1000 may include a user detector 1300. The user detector 1300 is mounted at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unit 1100. As shown in (a) of FIG. 2, the user sensing unit 1300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user stands in front of the accommodating unit 1100 to view a toilet, as shown in FIG. ) Should be able to detect the user even when sitting on the toilet. To this end, the user detection unit 1300 is mounted o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unit 1100 to detect the user's leg portion. In this case, since the thickness of the foot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and the position using the toilet 1000 is also slightly different, the user sensing unit 1300 preferably has a wide detection rang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detecting unit 1300 is mounted o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unit 1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mounted anywhere if the user can detect both standing and viewing the toilet. Can b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user detector 1300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to detect a user's approach and distance from the us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user sensor 1300 detects a user's approach, the water film forming unit 1200 starts to form a water film. Thereafter, when the user detecting unit 1300 detects the distance of the user, the water film forming unit 1200 ends the water film 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시 저장부를 포함한 변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toilet including a temporary storage uni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2000)는 수용부(2100), 수막 형성부(2200), 사용자 감지부(2300), 임시 저장부(2400), 배출부(2500)를 포함한다. 수용부(2100), 수막 형성부(2200), 사용자 감지부(230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3, the toilet 2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part 2100, a water film forming part 2200, a user detecting part 2300, a temporary storage part 2400, and a discharge part. (2500). Since the accommodation unit 2100, the water film forming unit 2200, and the user detection unit 2300 are similar to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임시 저장부(2400)는 수용부(2100)의 하부에서 배출구(2110)와 연결된다. 수용부(2100)에서 배출되는 배설물은 배출구(2110)를 통해 임시 저장부(2400)로 유입되어 임시로 저장된다. 임시 저장부(2400)는 정화조와 연결된 관에서 벌레 등이 기어오는 것을 방지하며, 폐수가 역류하여 수용부(2100)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한다. The temporary storage unit 2400 is connected to the outlet 2110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unit 2100. Excretion discharg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2100 is introduced into the temporary storage unit 2400 through the discharge port 2110 and temporarily stored. The temporary storage 2400 prevents insects from crawling in the pipe connected to the septic tank, and prevents the wastewater from flowing back to the receiving portion 2100.

임시 저장부(2400)에 저장된 배설물은 배출부(2500)에 의해 정화조로 배출된다. 배출부(2500)는 임시 저장부(2400) 내부에 물이 고여 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배설물 배출시 임시 저장부(2400) 내부에 물을 남기지 않고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다.The excrement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400 is discharged to the septic tank by the discharge unit 2500. Discharge unit 2500 may be completely discharged without leaving water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400 during discharge of excretion in order to avoid the accumulation of water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400.

배출부(2500)는 사용자가 용변 중이라도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라면 배설물이 관을 통해 정화조로 배출되도록 한다. 미리 설정된 조건은 임시 저장부(2400)에 수용된 배설물의 무게 또는 임시 저장부(2400)에 수용된 배설물의 부피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조건을 임시 저장부(2400)에 수용된 배설물의 무게가 300g인 경우로 하면 배설물의 무게가 300g이 되는 때마다 배출부(2500)가 작동하여 임시 저장부(2400)에 수용된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 경우 임시 저장부(2400)는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예를 들어 저울)를 구비할 수 있다.  The discharge unit 2500 allows the excrement to be discharged to the septic tank through the pipe if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even when the user is in the toilet. The preset condition may be the weight of excreta accommodated in the temporary storage 2400 or the volume of excreta accommodated in the temporary storage 2400. For example, if the pre-set condition is the weight of the excrement accommodat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400 is 300g, the discharge unit 2500 is operated every time the weight of the excreta is 300g i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400 Drain the waste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temporary storage unit 2400 may include a measuring instrument (for example, a scale) capable of measuring a weight.

다른 실시예에서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임시 저장부(2400)에 수용된 배설물의 부피가 임시 저장부(2400) 수용량의 2/5가 되는 경우로 설정하면, 임시 저장부(2400)에 수용된 배설물의 부피가 임시 저장부(2400) 수용량의 2/5가 될 때마다 배출부(2500)가 작동하여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임시 저장부(2400)에 부피 감지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if the preset condition is set to the case where the volume of the excrement accommodated in the temporary storage 2400 becomes 2/5 of the capacity of the temporary storage 2400, the volume of the excreta accommodated in the temporary storage 2400 is increased. Whenever the storage capacity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2400 becomes 2/5, the discharge unit 2500 operates to discharge the excrement to the outside. For this purpose, the volume sensor may be mount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400.

이와 같이 사용자가 용변 중이라도 임시 저장부(2400)에 수용된 배설물을 배출하는 경우 사용자가 오랜 시간 화장실에 있어도 배설물의 냄새가 실내로 퍼지지 않으므로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As such, when the user discharges the excrement contain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2400 even during the toilet, the smell of the excrement does not spread to the room even if the user is in the bathroom for a long time, thereby creating a comfortable environment.

배출부(2500)는 진공 흡입 방식으로 배설물을 정화조 쪽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부(2500)는 흡입 펌프(2510)를 구비한다. 배출부(2500)는 사용자가 용변 중이라도 여러 번 작동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다량의 물을 유입시켜 배출하는 종래의 변기에 사용되는 배출부와 비교하여 진공 흡입 방식의 배출부(2500)가 적은 양의 물로도 배설물을 깨끗하게 배출할 수 있으므로 물을 절약할 수 있고 소음이 적게 발생되는 장점이 있다.
The discharge unit 2500 may discharge the excrement toward the septic tank by a vacuum suction method. To this end, the discharge unit 2500 includes a suction pump 2510. The discharge part 2500 may be operated several times even when the user is in a toilet, in which case the amount of the vacuum suction type discharge part 250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discharge part used in a conventional toilet for introducing and discharging a large amount of water. The feces can also be cleanly discharged with water, which saves water and produces less nois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부와 대소변 판단부를 포함하는 변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변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oilet including a fragrance discharge unit and a toilet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oilet shown in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3000)는 수용부(3100), 수막 형성부(3200), 사용자 감지부(3300), 임시 저장부(3400), 배출부(3500), 향기 배출부(3600), 대소변 판단부(37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the toilet 3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part 3100, a water film forming part 3200, a user sensing part 3300, a temporary storage part 3400, and an exhaust part. 3500, the fragrance discharger 3600, and the fecal judging unit 3700.

본 실시예에서 수막 형성부(3200)는 수도관과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변기(3000)가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된 물통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별도의 물통을 구비하지 않으면, 변기(3000)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며 변기(3000)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film forming unit 32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pipe. Therefore, the toilet 3000 does not need to separately include a bucket for storing water for washing. If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bucket, the size of the toilet bowl 3000 can be reduced and the design of the toilet bowl 3000 can be variously modified.

향기 배출부(3600)는 방향 물질을 배출한다. 향기 배출부(3600)에서 방향 물질이 배출되는 횟수는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감지부(3300)에서 사용자가 접근하는 신호를 전송하면, 향기 배출부(3600)가 방향 물질을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용변을 보는 동안 일정 간격으로 향기를 배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방향 물질은 천연 성분일 수 있다. 향기 배출부(3600)의 동작에 의해 화장실의 실내를 향기롭게 할 수 있다. The fragrance discharger 3600 discharges the fragrance substance. The number of times the fragrance substance is discharged from the fragrance discharge unit 3600 may be set in advance. For example, when the user sensor 3300 transmits a signal that the user approaches, the fragrance discharger 3600 may discharge the fragrance material. 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may set to discharge the fragrance at regular intervals while viewing the toilet. The fragrance material may be a natural component. By operating the fragrance discharge unit 3600, the interior of the toilet can be fragrant.

대소변 판단부(3700)는 수용부(3100)에 수용되는 배설물이 대변인지 소변인지를 판단한다. 대소변 판단부(3700)는 다양한 방법으로 대소변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소변 판단부(3700)는 가스를 감지하여 대소변을 판단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냄새 센서를 이용해서 대소변을 판단할 수 있다. 대소변 판단부(3700)에서의 판단에 따라 수막 형성부(3200)는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대소변 판단부(3700)에서 대변으로 판단하는 신호를 전송하면 수막 형성부(3200)는 많은 양의 물을 수용부(3100)로 흘려보내고, 소변으로 판단하는 신호를 전송하면 수막 형성부(3200)는 적은 양의 물을 수용부(3100)로 흘려보낸다. 이와 같이 대소변에 따라 유입되는 물의 양을 달리하면 물의 사용량을 줄여 물을 절약하면서 수용부(3100)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The fecal determination unit 3700 determines whether feces contained in the receiving unit 3100 is feces or urine. The toilet stool determiner 3700 may determine the toilet stool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fecal determination unit 3700 may determine the urine by detecting the gas, in another embodiment may determine the urine by using the smell sensor. The water film forming unit 3200 may adjust the quantity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e small and large toilet determination unit 3700. That is, when the feces determination unit 3700 transmits a signal determined as feces, the meninge forming unit 3200 sends a large amount of water to the receiving unit 3100, and when it transmits a signal determined by urine, the meninge forming unit ( 3200 flows a small amount of water to the receiving portion 3100. As such, by varying the amount of water introduced according to the urine, it is possible to clean the receiving portion 3100 while saving water by reducing the amount of water used.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3000)의 작동 과정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변기(3000)는 사용자 감지부(3300)를 이용해 사용자의 변기(3000) 접근 여부를 감지한다(S5100). 감지 결과 사용자가 접근하지 않으면(No), 변기(3000)는 계속 대기한다. Operation of the toilet 3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The toilet 3000 detects whether the user approaches the toilet 3000 using the user detector 3300 (S5100). If the user does not approach the detected result (No), the toilet 3000 continues to wait.

감지 결과 사용자가 접근하면(Yes), 수막 형성부(3200)가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수용부(3100)로 유입시켜 수용부(3100) 내부 표면에 수막을 형성한다(S5200).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배설물이 물과 함께 수용부(3100)의 저면으로 흘러간다. 수막은 수용부(3100) 내부 표면에 배설물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향기 배출부(3600)는 방향 물질을 배출하여 화장실 실내를 향기롭게 한다. 수막을 형성하는 물의 양은 대소변 판단부(3700)에서 소변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적어지고, 대변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많아진다.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when the user approaches (Yes), the water film forming unit 3200 flows water from the water pipe into the receiving unit 3100 to form a water film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3100 (S5200). By forming a water film, feces flow with the water to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3100. The water film prevents feces from adher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3100. In addition, the fragrance discharge unit 3600 discharges the fragrance material to make the toilet interior fragrant. The amount of water forming the meninges decreases when the urine is determined by urine in the feces determination unit 3700, and increases when the stool is judged.

일단 사용자가 변기(3000)에 접근한 후에는, 사용자 감지부(3300)는 사용자가 변기(3000)로부터 멀어지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5300). Once the user approaches the toilet 3000, the user sensor 3300 detects whether the user is away from the toilet 3000 (S5300).

사용자가 변기(3000)로부터 멀어지지 않으면, 일정 무게가 될 때마다 차단막(3120)의 개폐를 반복하여 배설물을 임시 저장부(3400)로 흘려 보낸다(S5400). 예를 들어 일정 무게를 30g으로 설정한 경우 배설물과 물의 무게가 30g이 될 때마다 차단막(3120)을 개방하여 배설물을 임시 저장부(3400)로 흘려보내고 다시 닫힌다. When the user does not move away from the toilet 3000, the waste is repeatedly sent to the temporary storage unit 3400 by repeatedly opening and closing the blocking film 3120 whenever the weight becomes a predetermined weight (S5400). For example, if a certain weight is set to 30g, whenever the weight of excrement and water is 30g, the barrier 3120 is opened to send the excrement to the temporary storage unit 3400 and close again.

임시 저장부(3400)로 유입된 배설물은 잠시 저장되었다가 미리 설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마다 배출부(3500)에 의해 정화조로 배출된다(S5500). 따라서 사용자가 용변을 보는 중이라도 몇 번이고 임시 저장부(3400)에서 배설물이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조건은 임시 저장부(3400)에 수용된 배설물의 무게 또는 임시 저장부(3400)에 수용된 배설물의 부피 등이 될 수 있다. The excrement introduced into the temporary storage unit 3400 is stored for a while and discharged to the septic tank by the discharge unit 3500 whenever the preset condition is satisfied (S5500). Therefore, even when the user is viewing the toilet, feces may be discharged from the temporary storage unit 3400 several times. The preset condition may be the weight of excrement accommodat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3400 or the volume of excrement contain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3400.

사용자 감지부(3300)에서 사용자가 변기(3000)로부터 멀어지는 것이 감지되면(Yes), 변기(3000)는 사용자가 용변을 끝낸 것으로 판단하고, 수막 형성부(3200)는 수막 형성을 중단한다(S5600). When the user sensing unit 3300 detects that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toilet 3000 (Yes), the toilet 3000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finished the toilet, and the water film forming unit 3200 stops forming the membrane (S5600). ).

이 후 수막 형성부(3200)는 수용부(3100) 내부로 최종 세척을 위한 다량의 물을 유입시킨다(S5700). 이는 수용부(3100) 내부를 깨끗이 세척하여 배설물의 찌꺼기가 수용부(3100) 내부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reafter, the water film forming unit 3200 introduces a large amount of water for final washing into the receiving unit 3100 (S5700). This cleans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3100 and prevents the residue of the excrement remaining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3100.

수용부(3100) 내부의 최종 세척이 끝나면 배출부(3500)는 임시 저장부(3400)로 유입된 배설물을 최종 배출한다(S5800). 이 때 배출부(3500)는 임시 저장부(3400) 내부에 물이 고여 있지 않도록 임시 저장부(3400) 내부에 물을 남기지 않고 완전히 배출시킨다.After the final washing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3100, the discharge unit 3500 discharges the waste introduced into the temporary storage unit 3400 finally (S5800). At this time, the discharge part 3500 completely discharges water from the temporary storage part 3400 without leaving water in the temporary storage part 3400.

임시 저장부(3400)에서 배설물을 완전히 배출시킨 후, 변기(3000)는 다시 대기 상태가 되어 사용자 감지부(3300)가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한다(S5100).
After the excreta is completely discharged from the temporary storage unit 3400, the toilet 3000 is in a standby state again and the user sensor 3300 detects whether the user approaches (S5100).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0, 2000, 3000 : 변기 1100, 2100, 3100 : 수용부
1110, 2110, 3110 : 배출구 1120, 2120 : 차단막
1200, 2200, 3200 : 수막 형성부 1300, 2300, 3300 : 사용자 감지부
2400, 3400 : 임시 저장부 2500, 3500 : 배출부
3600 : 향기 배출부 3700 : 대소변 판단부
1000, 2000, 3000: Toilet 1100, 2100, 3100: Receiving part
1110, 2110, 3110: outlet 1120, 2120: barrier film
1200, 2200, 3200: water film forming unit 1300, 2300, 3300: user detection unit
2400, 3400: temporary storage 2500, 3500: discharge
3600: fragrance discharge unit 3700: faeces determination unit

Claims (7)

배설물을 수용하며 저면에 배설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에는 일정 무게 이상이 되면 개방되며 일정 무게 이하가 되면 닫히는 차단막이 설치된 수용부;
수도관과 직접 연결되어, 사용자가 사용하는 동안 상기 수용부의 내부 표면을 따라 물을 흘려 수막을 형성하는 수막 형성부;
대소변 여부를 감지하는 대소변 감지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서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며, 부피 감지 센서가 장착된 임시 저장부; 및
상기 임시 저장부에 수용된 배설물의 부피가 미리 설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임시 저장부의 배설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막 형성부는 상기 대소변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수막 형성에 사용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An outlet for accommodating excretion and discharging the excrement on a bottom thereof, the outlet being open when a predetermined weight is over a predetermined weight, and a receiving portion provided with a blocking film closed when the predetermined weigh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weight;
A water film forming unit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pipe and forms a water film by flowing water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during use by the user;
A fecal detector for detecting urine;
A temporary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outlet at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on unit and equipped with a volume sensor; And
And a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excrement of the temporary storage part when the volume of the excrement contained in the temporary storage part satisfies a preset condition.
And the water film forming unit adjusts an amount of water used to form a water film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urine detection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접근과 멀어짐을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막 형성부는 상기 사용자 감지부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후 사용자의 멀어짐이 감지될 때까지 상기 수용부의 내부 표면에 물을 흘려 수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user detector for detecting the user's approach and distance,
And the water film forming unit forms a water film by flowing wat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until the user sensing unit detects the user's approaching and detects the user's moving awa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진공 흡입 방식으로 배설물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charge unit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charging the excrement in a vacuum suction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084377A 2010-08-30 2010-08-30 Clean toilet capable of flushing excrement immediately during discharging KR1012128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377A KR101212882B1 (en) 2010-08-30 2010-08-30 Clean toilet capable of flushing excrement immediately during discharg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377A KR101212882B1 (en) 2010-08-30 2010-08-30 Clean toilet capable of flushing excrement immediately during discharg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556A KR20100101556A (en) 2010-09-17
KR101212882B1 true KR101212882B1 (en) 2012-12-14

Family

ID=43007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377A KR101212882B1 (en) 2010-08-30 2010-08-30 Clean toilet capable of flushing excrement immediately during discharg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88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464Y1 (en) * 1999-12-11 2000-05-01 이종인 water closet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ontrivance
KR200247253Y1 (en) * 2000-03-31 2001-10-31 주식회사 이세이브 Apparatus for water saving in a chamber po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464Y1 (en) * 1999-12-11 2000-05-01 이종인 water closet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ontrivance
KR200247253Y1 (en) * 2000-03-31 2001-10-31 주식회사 이세이브 Apparatus for water saving in a chamber p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556A (en) 201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566B1 (en) Water conserving urination system
CN107949276A (en) Modular bowl evacuation of pet device cleaning device
KR101410360B1 (en) Apparatus for bisexual urinal of toilet bowl cover type
KR102468558B1 (en) Feces and urine separation and discharge defecation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JP2024083576A (en) Western style toilet bowl device and toilet seat device
KR101059127B1 (en) Multi-Function Variable Dispenser
JP2007285070A (en) Vacuum type toilet device
JP4051404B2 (en) Solid-liquid separation flush water circulation toilet
JP4882410B2 (en) Toilet device
KR102251074B1 (en) Apparatus for washing toilet or toilet having the same
KR101212882B1 (en) Clean toilet capable of flushing excrement immediately during discharging
KR102468557B1 (en) A toilet cleaning device for pets to prevent the smell of defecation
KR200447310Y1 (en) Bidet with a bad smell-removing function
JPH10195960A (en) Suction device
KR100989201B1 (en) buried toilet bowl
JP6693038B2 (en)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bowl
KR20160033487A (en) Urinal for water saving and stink interception
US11149424B2 (en) Restroom system
KR20130014667A (en) An egg- type urinal with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urine flick controlled using a pedal
KR102209000B1 (en) Urinal
KR200469658Y1 (en) Apparatus for deodorizing of toilet bowl
KR200360710Y1 (en) Flush toilet with urine
JP5582492B2 (en) Toilet device
KR101122885B1 (en) Urinal cover
JP3191931U (en) Toilet seat guard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