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396B1 - 휴대 인터넷에서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 측정기능을 갖는중계기 및 이에 따른 신호세기 측정방법과 이를 이용한휴대 단말기의 위치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인터넷에서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 측정기능을 갖는중계기 및 이에 따른 신호세기 측정방법과 이를 이용한휴대 단말기의 위치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396B1
KR101212396B1 KR1020060059868A KR20060059868A KR101212396B1 KR 101212396 B1 KR101212396 B1 KR 101212396B1 KR 1020060059868 A KR1020060059868 A KR 1020060059868A KR 20060059868 A KR20060059868 A KR 20060059868A KR 101212396 B1 KR101212396 B1 KR 101212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repeater
signal strength
gateway serv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423A (ko
Inventor
이종식
정은철
김주헌
이성춘
박세준
류규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059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396B1/ko
Publication of KR20080001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 측정기능을 갖는 중계기 및 이에 따른 신호세기 측정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계기에서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중계기의 셀반경 내에 위치하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 측정기능을 갖는 중계기 및 이에 따른 신호세기 측정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측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게이트웨이 서버와 기지국을 거쳐 휴대 단말기로 전달되는 다운링크 신호와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기지국을 거쳐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로 전달되는 업링크 신호를 처리하는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부반송파 전송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처리하여 위치측정이 요청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다운링크 신호처리 수단;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부반송파 전송시간에 송출된 업링크 신호를 추출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값을 계산하는 업링크 신호처리 수단; 상기 다운링크 신호처리 수단에서 추출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상기 업링크 신호처리 수단에서 계산된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값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평균 전력값을 측정하는 신호세기 측정수단; 및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의 휴대 단말기 신호세기 측정요청에 의해 상기 신호세기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평균 전력값을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60059868
휴대 인터넷, 신호세기 측정장치, 위치기반 서비스, 중계기, 위치측정, 휴대 단말기, LBS 서버, 게이트웨이 서버

Description

휴대 인터넷에서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 측정기능을 갖는 중계기 및 이에 따른 신호세기 측정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측정방법{Repeater for detecting the signal strength of a mobile in WiBro and method therefor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mobile's location}
도 1은 종래의 휴대 인터넷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에서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 측정기능을 갖는 중계기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에서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 측정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에서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 측정기능을 갖는 중계기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측정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LBS서버 20; 게이트웨이 서버
30; 기지국 40; 중계기
50; 휴대 단말기
본 발명은 휴대 인터넷에서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 측정기능을 갖는 중계기 및 이에 따른 신호세기 측정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인터넷의 중계기에서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중계기의 셀반경 내에 위치하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휴대 인터넷에서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 측정기능을 갖는 중계기 및 이에 따른 신호세기 측정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인터넷 서비스[예를 들어, 와이브로(WiBro; Wide Broadband)]는 실내의 유선 초고속인터넷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외의 정지 및 이동환경에서도 고속으로 인터넷에 접속, 필요 정보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서비스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휴대 인터넷 서비스[예를 들어, 와이브로(WiBro; Wide Broadband)]나 와이브로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휴대 인터넷 서비스는 기존의 유무선 콘텐츠와 인터넷의 다양한 서비스가 결합되어 IP 기반의 다양한 네트워크 게임,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IP 기반 멀티캐스팅 서비스[예를 들어, 고화질 주문형 비디오(VOD), 실시간 방송 등]를 제공한다.
상기 휴대 인터넷 서비스는 TTA 규격(TTAS.KO-06.0082 2.3GHz 휴대 인터넷 표준)과 IEEE 802.16 표준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하, 종래의 휴대 인터넷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 인터넷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 인터넷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는 LBS서버(10), 게이트웨이 서버(20), 기지국(30), 중계기(repeater, 40~42), 제1 휴대 단말기(50), 제2 휴대 단말기(60)를 이용하여 제공된다.
종래의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상기 LBS서버(10)가 휴대 단말기의 위치측정을 요청하면,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20)는 휴대 단말기의 식별정보[즉, MAC 주소, IP 주소, CID 정보(Connection ID) 등]와 상기 휴대 단말기와 연동된 기지국(30) 식별정보(BSID; Base Staion ID)를 제공받아 기지국(30) 셀반경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휴대 단말기(50, 60)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특히, 상기 기지국(30)은 셀의 섹터화(sectorization)로 인해 기지국 식별정보를 섹터단위로 할당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휴대 단말기(50, 60)의 위치정보를 섹터에 따라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인터넷은 기지국(30)의 음영지역 해소 및 관할영역(coverage) 확대를 위해 중계기(40~42)가 사용된다.
종래의 위치 기반 서비스는 상기 중계기(40~42)를 사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즉, 제2 휴대 단말기(60)는 섹터 B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별되지만, 중계기(40)의 관할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 휴대 단말기(50)는 상기 중계기(40) 가 연결되어 있는 섹터에 따라 식별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기(40)가 섹터 A에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휴대 단말기(50)는 섹터 C에 위치하더라도 섹터 A에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된다.
따라서 종래의 위치 기반 서비스는 기지국에 중계기가 연결될 경우에 기지국 위치정보 이상의 정밀도로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휴대 인터넷의 중계기에서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중계기의 셀반경 내에 위치하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휴대 인터넷에서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 측정기능을 갖는 중계기 및 이에 따른 신호세기 측정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게이트웨이 서버와 기지국을 거쳐 휴대 단말기로 전달되는 다운링크 신호와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기지국을 거쳐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로 전달되는 업링크 신호를 처리하는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부반송파 전송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처리하여 위치측정이 요청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다운링크 신호처리 수단;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부반송파 전송시간에 송출된 업링크 신호를 추출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값을 계산하는 업링크 신호처리 수단; 상기 다운링크 신호처리 수단에서 추출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상기 업링크 신호처리 수단에서 계산된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값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평균 전력값을 측정하는 신호세기 측정수단; 및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의 휴대 단말기 신호세기 측정요청에 의해 상기 신호세기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평균 전력값을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계기에서의 신호세기 측정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위치측정이 요청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부반송파 전송시간 정보가 포함된 다운링크 신호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부반송파 전송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전송한 업링크 신호를 추출하여 부반송파의 고속 푸리에 변환값을 계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상기 부반송파의 고속 푸리에 변환값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평균 전력값을 계산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위치측정을 요청받는 게이트웨이 서버와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서 기지국을 거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기까지 형성된 휴대 인터넷에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가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측정이 요청받으면, 상기 휴대 단말기와 IP 통신을 성립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식별정보와 휴대 단말기 식별정보를 제공받는 제 1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가 상기 중계기로 휴대 단말기 식별정보가 포함된 신호세기 측정을 요청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부반송파 전송시간 정보가 포함된 다운링크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출하여 업링크 신호를 지속적으로 전송받는 제 2 단계; 상기 중계기가 상기 다운링크 신호에서 휴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에서 부반송파 전송시간에 따라 추출된 부반송파의 고속 푸리에 변환값을 이용하여 업링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제 3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가 상기 중계기로부터 업링크 신호의 세기 측정값을 전송받으면, 상기 중계기의 관할영역 내에 상기 휴대 단말기로 판단되는 최적 임계치를 초과하는 신호세기 측정값에서 최대 신호세기 측정값을 확인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가 상기 최대 신호세기 측정값을 전송한 상기 중계기를 판단하여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로 통보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인터넷은 종래의 휴대 인터넷과 동일하므로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상기 휴대 인터넷의 섹터는 고려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도 1의 중계기(40)는 광중계기를 예로 설명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1에서 제1 휴대 단말기(50)와 제2 휴대 단말기(60)를 구분하지 않고 제1 및 제2 휴대 단말기(50,60)를 휴대 단말기(50)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50)는 와이브로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즉,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동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에서 휴대 단말기(50)의 신호세기 측정기능을 갖는 중계기(40)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먼저, 상기 중계기(40)는 통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신호의 흐름에 따라 간략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중계기(40)는 통상의 기능(즉, 중계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인 광변환부(100), DAC(Digital-Analog Converter, 101), 상향주파수변환/증폭부(102), ADC(Analog-Digital Converter, 103), 하향주파수변환/증폭부(104)를 포함한다.
광변환부(100)는 도 1의 기지국(30)에서 인가된 광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DAC(101)는 상기 광변환부(100)에서 인가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향주파수변환/증폭부(102)는 DAC(101)가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상향 주파수로 변환 및 증폭시켜 안테나를 통해 도 1의 휴대 단말기(50)로 전송한다.
역방향으로, 하향주파수변환/증폭부(104)는 상기 휴대 단말기(50)가 송출한 신호를 하향 주파수로 변환 및 증폭시켜 ADC(103)로 전달한다. ADC(103)는 상기 하향주파수변환/증폭부(104)에서 인가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광변환부(100)는 상기 ADC(103)로부터 인가된 디지털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30)으로 인가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50)의 신호세기 측정기능을 갖는 중계기(40)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40)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중계기(40)는 종래의 광중계기에 휴대 단말기(50)의 신호세기 측정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들이 추가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중계기(40)는 광변환부(100)의 송수신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종래의 중계기에 미치는 성능 열화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중계기(40)는 게이트웨이 서버(20)로부터 휴대 단말기(50)의 신호세기 측정이 요청됨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중계기(40)는 게이트웨이 서버(20)로부터 기지국(30)과 자신(40)을 거쳐 휴대 단말기(50)에게 지속적인 송출명령을 하는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50)는 기지국(30)에 지속적인 데이터 할당을 요청하여 업링크 신호를 송출한다.
특히, 게이트웨이 서버(20)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UL-MAP(Up Link-MAP) 정보에서 업링크 신호의 부반송파(sub-carrier) 전송시간을 미리 지정함으로써, 중계기(40)가 미리 지정된 부반송파 전송시간에 휴대 단말기(50)의 해당 업링크 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중계기(40)는 자신의 관할영역 내에 다수의 휴대 단말기가 있더라도 신호세기를 측정하려는 상기 휴대 단말기(50)를 미리 정해진 부반송파의 전송시간에 따라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에서 휴대 단말기(50)의 신호세기 측정기능을 갖는 중계기(40)는, 제1 고속 푸리에 변환부(Fast Fourier Transform, 105), 제2 고속 푸리에 변환부(106), 복조부(demodulator, 107), 신호세기 측정부(108) 및 제어부(109)를 포함한다.
제1 고속 푸리에 변환부(105)는 기지국(30)에서 휴대 단말기(50)로 전송되는 다운링크(down-link)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복조부(107)로 전달한다.
제2 고속 푸리에 변환부(106)는 휴대 단말기(50)에서 기지국(30)으로 전송되는 업링크(up-link)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신호세기 측정부(108)로 전달한다. 특히, 상기 제2 고속 푸리에 변환부(106)는 업링크 신호에 대하여 복조를 수행하여 심볼당 각 부반송파의 고속 푸리에 변환값을 신호세기 측정부(108)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속 푸리에 변환부(105)와 제2 고속 푸리에 변환부(106)는 통상의 고속 푸리에 변환에 따라 신호를 처리하므로, 고속 푸리에 변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복조부(107)는 제1 고속 푸리에 변환부(105)에서 고속 푸리에 변환된 다운링크 신호를 복조하여 신호세기 측정부(108)로 전달한다. 즉, 상기 복조부(107)는 다운링크 신호의 데이터 영역이 아닌 상위 심볼의 UL-MAP 영역을 복조함으로써, LBS서버(10)에서 위치측정이 요청된 휴대 단말기(50)의 CID 정보에 할당된 UL-MAP 정보를 신호세기 측정부(108)로 전달한다.
신호세기 측정부(108)는 제2 고속 푸리에 변환부(106)에서 전달된 부반송파의 고속 푸리에 변환값과 복조부(107)에서 전달된 UL-MAP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50)에 할당된 UP-MAP 영역에 대한 고속 푸리에 변환값만을 추출하여 휴대 단말기(50)의 신호세기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신호세기 측정부(108)는 휴대 단말기(50)의 송출하는 신호의 평균 전력값을 측정함으로써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상기 신호세기 측정부(108)는 다수개의 프레임에 걸쳐서 송출하는 신호의 평균 전력값을 측정하여 신호세기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신호세기 측정부(108)는 기지국(30) 부스터(booster)에 의해 휴대 단말기(50)가 송출하는 신호의 전력을 순간적으로 올리도록 조절되면 이를 이용해 평균 전력값을 측정하여 신호세기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제어부(109)는 제1 고속 푸리에 변환부(105), 제2 고속 푸리에 변환부(106), 복조부(107), 신호세기 측정부(108)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9)는 게이트웨이 서버(20)와 IP 망을 통해 통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9)는 게이트웨이 서버(20)로부터 휴대 단말기(50)의 위치측정이 요청되면서 제공되는 CID 정보를 이용하여 신호세기 측정부(108)에서 측정된 해당 휴대 단말기(50)의 신호세기값과 상기 CID 정보를 게이트웨이 서버(20)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에서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 측정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중계기(40)는 게이트웨이 서버(20)로부터 위치측정이 요청된 휴대 단말기(50)의 CID 정보가 입력된다(S150).
이때, 상기 중계기(40)는 다운링크 신호에서 상기 입력된 CID 정보에 할당된 업링크 데이터 영역 정보를 추출한다(S151). 이와 동시에, 상기 중계기(40)는 업링크 신호에서 부반송파를 신호처리 즉, 고속 푸리에 변환한 결과값을 계산한다(S152).
그런 후, 상기 중계기(40)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 영역 정보에 해당하는 부반송파의 신호처리값만을 추출한다(S153). 이때, 상기 중계기(40)는 추출된 부반송파의 신호처리값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평균 전력값을 계산한다(S154).
한편, 상기 중계기(40)는 계산된 휴대 단말기의 평균 전력값을 CID 정보와 함께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측정을 요청한 게이트웨이 서버(20)로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에서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 측정기능을 갖는 중계기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측정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순서도이다.
도 4에서 기지국(30)은 다수의 중계기(40~42)와 연결되어 있는데, 편의상 도 1의 중계기(40)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먼저, 게이트웨이 서버(20)는 LBS 서버(10)로부터 휴대 단말기(50)의 위치측정이 요청되면, 기지국(30)과 휴대 단말기(50)가 IP 통신이 성립되도록 한다(S200). 여기서, 상기 기지국(30)과 휴대 단말기(50)가 공지의 휴대 인터넷 방식에 따라 접속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게이트웨이 서버(20)는 상기 휴대 단말기(50)의 MAC 주소, 상기 휴대 단말기(50)에 할당된 IP 주소, 상기 휴대 단말기(50)의 CID 정보, 상기 휴대 단말기(50)와 연동된 기지국(30)의 식별정보(즉, BSID)를 획득한다(S201).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20)는 기지국(30)과 연결된 중계기(40)에 상기 휴대 단말기(50)의 CID 정보를 전송하면서 신호세기 측정을 요청한다(S202).
이와 동시에,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20)는 휴대 단말기(50)로 더미 데이 터(dummy data)의 지속적인 송출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50)가 지속적으로 기지국(30)에 데이터 할당 요청하여 지속적인 업링크 신호를 송출하도록 한다(S203). 이때, 상기 더미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50)의 MAC 주소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중계기(40)는 상기 휴대 단말기(50)의 업링크 신호와 다운링크 신호를 이용하여 업링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S204). 이후, 상기 중계기(40)는 상기 휴대 단말기(50)의 CID 정보와 함께 신호세기 측정값을 게이트웨이 서버(20)로 전달한다(S205).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20)는 다수의 중계기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50)의 CID 정보와 함께 신호세기 측정값을 수집 및 확인한다(S206). 이때,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20)는 수집한 상기 신호세기 측정값 중에서 미리 정해놓은 최적 임계치를 초과하면서 최대 신호세기 측정값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최적 임계치는 휴대 단말기(50)가 중계기 관할영역(coverage) 내에 있을 경우로 판단될 수 있는 신호세기 측정값이다.
이후,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20)는 최대신호 측정값을 전송한 중계기(40)를 판단하여 해당 LBS 서버로 상기 중계기(40)를 통보한다. 이를 통해, 상기 LBS 서버는 휴대 단말기(50)가 중계기(40) 관할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 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위치정보의 정확도를 기지국 셀반경에서 기지국 섹터와 중계기까지로 높여 더 좋은 품질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게이트웨이 서버와 기지국을 거쳐 휴대 단말기로 전달되는 다운링크 신호와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기지국을 거쳐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로 전달되는 업링크 신호를 처리하는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부반송파 전송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처리하여 위치측정이 요청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다운링크 신호처리 수단;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부반송파 전송시간에 송출된 업링크 신호를 추출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값을 계산하는 업링크 신호처리 수단;
    상기 다운링크 신호처리 수단에서 추출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상기 업링크 신호처리 수단에서 계산된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값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평균 전력값을 측정하는 신호세기 측정수단; 및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의 휴대 단말기 신호세기 측정요청에 의해 상기 신호세기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평균 전력값을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제공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중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세기 측정수단은,
    다수개의 프레임에 걸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평균 전력값을 측정하는, 중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UL-MAP(Up Link-MAP) 정보에 부반송파의 전송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
  4. 중계기에서의 신호세기 측정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위치측정이 요청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부반송파 전송시간 정보가 포함된 다운링크 신호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부반송파 전송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전송한 업링크 신호를 추출하여 부반송파의 고속 푸리에 변환값을 계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상기 부반송파의 고속 푸리에 변환값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평균 전력값을 계산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중계기에서의 신호세기 측정방법.
  5.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위치측정을 요청받는 게이트웨이 서버와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서 기지국을 거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기까지 형성된 휴대 인터넷에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가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측정이 요청받으면, 상기 휴대 단말기와 IP 통신을 성립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식별정보와 휴대 단말기 식별정보를 제공받는 제 1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가 상기 중계기로 휴대 단말기 식별정보가 포함된 신호세기 측정을 요청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부반송파 전송시간 정보가 포함된 다운링크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출하여 업링크 신호를 지속적으로 전송받는 제 2 단계;
    상기 중계기가 상기 다운링크 신호에서 휴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에서 부반송파 전송시간에 따라 추출된 부반송파의 고속 푸리에 변환값을 이용하여 업링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제 3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가 상기 중계기로부터 업링크 신호의 세기 측정값을 전송받으면, 상기 중계기의 관할영역 내에 상기 휴대 단말기로 판단되는 최적 임계치를 초과하는 신호세기 측정값에서 최대 신호세기 측정값을 확인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가 상기 최대 신호세기 측정값을 전송한 상기 중계기를 판단하여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로 통보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측정방법.
  6. 삭제
KR1020060059868A 2006-06-29 2006-06-29 휴대 인터넷에서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 측정기능을 갖는중계기 및 이에 따른 신호세기 측정방법과 이를 이용한휴대 단말기의 위치 측정방법 KR101212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868A KR101212396B1 (ko) 2006-06-29 2006-06-29 휴대 인터넷에서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 측정기능을 갖는중계기 및 이에 따른 신호세기 측정방법과 이를 이용한휴대 단말기의 위치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868A KR101212396B1 (ko) 2006-06-29 2006-06-29 휴대 인터넷에서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 측정기능을 갖는중계기 및 이에 따른 신호세기 측정방법과 이를 이용한휴대 단말기의 위치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423A KR20080001423A (ko) 2008-01-03
KR101212396B1 true KR101212396B1 (ko) 2012-12-13

Family

ID=3921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868A KR101212396B1 (ko) 2006-06-29 2006-06-29 휴대 인터넷에서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 측정기능을 갖는중계기 및 이에 따른 신호세기 측정방법과 이를 이용한휴대 단말기의 위치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3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456A (ko) * 2014-10-17 2016-04-27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무선 랜 성능 향상을 위한 통신 중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659B1 (ko) 2008-12-30 2013-11-12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무선 통신 상향 링크 통신 방법
KR102189725B1 (ko) * 2018-11-30 2020-12-14 주식회사 쏠리드 중계기 및 그 성능 열화 분석 방법
KR102155478B1 (ko) * 2019-07-19 2020-09-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광중계기의 셀 부하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155477B1 (ko) * 2019-07-26 2020-09-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광중계기의 자동 이득 제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456A (ko) * 2014-10-17 2016-04-27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무선 랜 성능 향상을 위한 통신 중계 시스템
KR101627082B1 (ko) 2014-10-17 2016-06-03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무선 랜 성능 향상을 위한 통신 중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423A (ko) 200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29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이중 방식을 사용하는 중계국의 네트워크 진입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1925832B (zh) 支持在内结构覆盖系统中的用户定位的方法
KR101638842B1 (ko) 펨토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 오버 방법 및 장치
US73665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 access point into a wireless network
KR100663529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시스템 및방법
KR101212396B1 (ko) 휴대 인터넷에서 휴대 단말기의 신호세기 측정기능을 갖는중계기 및 이에 따른 신호세기 측정방법과 이를 이용한휴대 단말기의 위치 측정방법
US80459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of mobile operating through a repeater
US20040121749A1 (en) System throughput enhancement using an intelligent channel association in the environment of multiple access channels
WO2014123103A1 (ja) 距離推定方法、送信電力制御方法、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
KR20100005374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절차와 그에 따른펨토 기지국의 송신기 파워 제어 방법 및 장치
EP1901487B1 (en) Method of acquiring uplink synchronization for mobile wimax system analyzer
US20100144355A1 (en) Terminal, method for handover thereof and supporting method for handover of base station
US20130053080A1 (en) Dynamic allocation of spectrum sensing resources in a cognitive radio network
KR101537212B1 (ko) 셀의 무선 커버리지 구역 내의 이동국의 측위 방법 및 시스템과 이 시스템을 구현하는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
MX2007000185A (es) Reporte mejorado de sitio en red inalambrica ieee 802.11.
KR20130050718A (ko) 기상 데이터를 토대로 하는 채널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US8514811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230432A1 (en) Portable internet terminal,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of portable internet terminal and repeater using the method
US201001829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using base station identifier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819500B (zh) 小区选择方法、终端、基站及通讯设备
KR2007006140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트래픽 용량 측정 장치 및방법
US83313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handover delay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931165A2 (en)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services in WiMAX network
KR20100090540A (ko)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레인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90043696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피어 투 피어 통신 지원 장치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