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290B1 -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 - Google Patents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290B1
KR101211290B1 KR1020120112985A KR20120112985A KR101211290B1 KR 101211290 B1 KR101211290 B1 KR 101211290B1 KR 1020120112985 A KR1020120112985 A KR 1020120112985A KR 20120112985 A KR20120112985 A KR 20120112985A KR 101211290 B1 KR101211290 B1 KR 101211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ard
signal
ground
boar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451A (ko
Inventor
김호용
박철근
이승철
오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20112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290B1/ko
Publication of KR20120118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 H01Q3/3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with variable phase-shif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내부에 집적화된 경사각 조정 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경사각 조정 유닛은 입력된 RF 신호와 직류 전원 중 상기 RF 신호를 위상 가변기로 전송하는 RF 보드부 및 상기 RF 보드부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제 1 DC 보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RF 보드부로 입력된 RF 신호와 상기 직류 전원 중 상기 직류 전원만이 상기 제 1 DC 보드부로 전달된다.

Description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UNIT FOR ADJUSTING AN INCLINED ANGLE USED IN AN ANTENNA}
본 발명은 안테나 내부에 집적화된 경사각 조정 유닛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는 RF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특정 방향으로 빔을 출력하는 소자로서, 빔의 방향이 가변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빔의 방향을 가변시키는 과정을 경사각 조정 과정이라 하며, 경사각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경사각 제어 유닛이다.
현재, 안테나, 특히 기지국 안테나의 경사각을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관리자는 상기 안테나가 설치된 위치로 올라가서 경사각 조정 유닛을 상기 안테나에 연결한 후 상기 안테나의 경사각을 조정하여야 했다. 또한, 상기 안테나의 경사각이 조정된 후에는 상기 경사각 조정 유닛을 분리 및 회수하여야만 했다. 이러한 과정들은 관리자로 하여금 많은 불편을 야기시켰다.
본 발명은 안테나의 경사각을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안테나의 내부에 집적화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호 변조 왜곡(PIMD)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RF 보드와 DC 보드부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는 구조로 구현된 경사각 조정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은 입력된 RF 신호와 직류 전원 중 상기 RF 신호를 위상 가변기로 전송하는 RF 보드부; 상기 RF 보드부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제 1 DC 보드부; 및 상기 RF 보드부와 상기 제 1 DC 보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RF 신호를 차단하는 RF 신호 차단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RF 보드부로 입력된 RF 신호와 상기 직류 전원 중 상기 직류 전원만이 상기 제 1 DC 보드부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은 입력된 RF 신호와 직류 전원 중 상기 RF 신호를 위상 가변기로 전송하는 RF 보드부; 제 1 DC 보드부; 및 상기 RF 보드부와 상기 제 1 DC 보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RF 신호를 차단하는 RF 신호 차단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RF 보드부로 입력된 RF 신호와 상기 직류 전원 중 상기 직류 전원만이 상기 제 1 DC 보드부로 전달되고, 상기 RF 보드부의 일면에는 제 1 접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DC 보드부의 일면에는 제 2 접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지와 상기 제 2 접지는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은 입력된 RF 신호와 직류 전원 중 상기 RF 신호를 위상 가변기로 전송하는 RF 보드부; 상기 RF 보드부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제 1 DC 보드부; 상기 RF 신호를 차단하는 RF 신호 차단부; 및 제 2 DC 보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RF 보드부로 입력된 RF 신호와 상기 직류 전원 중 상기 직류 전원만이 상기 제 1 DC 보드부로 전달되며, 상기 RF 신호 차단부는 상기 RF 신호부와 상기 제 2 DC 보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DC 보드부는 상기 RF 신호 차단부를 통하여 전달된 직류 전원을 상기 제 1 보드부로 제공하며, 상기 RF 신호부, 상기 제 1 DC 보드부 및 상기 제 2 보드부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 2 DC 보드부는 서지 전류로부터 상기 경사각 조정 유닛을 보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은 입력된 RF 신호와 직류 전원 중 상기 RF 신호를 위상 가변기로 전송하는 RF 보드부; 제 1 DC 보드부; 상기 RF 신호를 차단하는 RF 신호 차단부; 및 제 2 DC 보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RF 보드부로 입력된 RF 신호와 상기 직류 전원 중 상기 직류 전원만이 상기 제 1 DC 보드부로 전달되고, 상기 RF 보드부의 일면에는 제 1 접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DC 보드부의 일면에는 제 2 접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지와 상기 제 2 접지는 물리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RF 신호 차단부는 상기 RF 신호부와 상기 제 2 DC 보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DC 보드부는 상기 RF 신호 차단부를 통하여 전달된 직류 전원을 상기 제 1 보드부로 제공하며, 상기 제 2 DC 보드부의 일면에는 제 3 접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지, 상기 제 2 접지 및 상기 제 3 접지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 2 DC 보드부는 서지 전류로부터 상기 경사각 조정 유닛을 보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각 조정 유닛이 안테나에 집적화되어 구현되므로, 상기 안테나의 경사각을 조정하기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사각 조정 유닛에 포함된 RF 보드와 DC 보드부가 물리적으로 분리되므로, 상기 안테나의 PIMD 특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사각 조정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사각 조정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경사각 조정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경사각 조정 유닛의 RF-DC 격리도 특성을 표시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경사각 조정 유닛의 PIMD 특성을 표시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경사각 조정 유닛의 RF-DC 격리도 특성을 표시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경사각 조정 유닛의 PIMD 특성을 표시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RF 보드부와 DC 보드부가 분리되지 않은 경사각 조정 유닛의 RF-DC 격리도 특성을 표시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RF 보드부와 DC 보드부가 분리되지 않은 경사각 조정 유닛의 PIMD 특성을 표시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안테나, 특히 기지국용 안테나는 경사각 조정 유닛(100), 전동기(102), 위상 가변기(104) 및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106)를 포함한다.
경사각 조정 유닛(100)은 상기 안테나로부터 출력되는 빔의 틸팅(tilting), 즉 경사각을 조정하는 유닛으로서, 반사판(미도시)의 일면에 형성되고 소정 직류 전원(DC)을 전동기(102)로 인가하여 전동기(102)의 구동을 제어한다.
전동기(102)는 경사각 조정 유닛(100)으로부터 인가된 직류 전원에 응답하여 구동하며, 특히 전동기(102)의 회전 속도 또는 회전력이 상기 직류 전원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기(102)의 회전축이 샤프트(미도시)를 통하여 위상 가변기(104)에 연결된다.
위상 가변기(104)는 전동기(102)의 구동에 따라 복사 소자들(106)로 인가되는 RF 신호들의 위상을 가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동기(102)의 회전 속도가 변화되면 위상 가변기(104)의 암(미도시)의 위치가 가변되며, 그 결과 복사 소자들(106)로 제공되는 RF 신호들의 위상들이 가변된다. 결과적으로, 복사 소자들(106)로부터 출력되는 빔의 방향이 변화되며, 즉 상기 안테나의 경사각이 가변된다.
정리하면, 경사각 조정 유닛(100)은 전동기(102)를 제어하여 위상 가변기(104)의 위상 가변 정도를 조정하며, 상기 안테나의 경사각은 상기 조정된 위상 가변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관리자는 외부에서 경사각 조정 유닛(100)을 제어하는 방법을 통하여 안테나의 경사각을 원하는 각도로 가변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안테나의 경사각 가변은 컴퓨터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는 반사판을 포함하며, 복사 소자들(106)은 상기 반사판의 상면에 배열되고, 경사각 조정 유닛(100) 및 위상 가변기(104)는 상기 반사판의 배면에 배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사각 조정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사각 조정 유닛(100)은 RF 보드부(200), RF 신호 차단부(216) 및 DC 보드부(202)를 포함한다.
RF 보드부(2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RF 신호를 위상 가변기(104)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RF 보드부(200)의 RF 기판의 상면에는 도전체들인 연결부들(210 및 212) 및 DC 차단부(214)가 형성되며, 상기 RF 기판의 배면에는 접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케이블(240)을 통하여 입력된 RF 신호는 제 1 연결부(210), DC 차단부(214), 제 2 연결부(212) 및 제 2 케이블(242)을 통하여 위상 가변기(104)로 전달된다.
다만, DC 차단부(214)가 bias-T로서 DC는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제 1 케이블(240)을 통하여 RF 신호 및 DC가 입력되더라도 RF 신호만이 제 2 케이블(242)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DC 차단부(214)는 캐패시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RF 신호 차단부(216)는 RF 보드부(200) 및 DC 보드부(202) 사이에 연결되며, RF 신호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케이블(240)을 통하여 입력된 RF 신호와 DC는 제 1 연결부(210)를 통하여 RF 신호 차단부(216)로 입력되며, 입력된 RF 신호와 DC 중 RF 신호는 RF 신호 차단부(216)에 의해 차단되고 DC만이 DC 보드부(202)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 신호 차단부(216)는 인덕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DC 보드부(202)는 위상 가변기(104)를 구동시키는 전동기, 예를 들어 모터를 구동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제 1 서지 전류 보호부(220), 모뎀(222), DC 경로부(224), 유입전류 보호부(226), 조정부(228), 제 2 서지 전류 보호부(230), 릴레이 블록부(232), 제어부(234), EEPROM(236) 및 모터 구동부(2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서지 전류 보호부(220)는 번개 등으로 인한 서지 전류를 차단하여 DC 보드부(202)의 소자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서지 전류 보호부(220)는 서지 전류가 제 1 연결부(210) 및 RF 신호 차단부(216)를 통하여 입력될 경우 상기 서지 전류를 차단한다.
제 1 서지 전류 보호부(220)로 입력된 DC는 모뎀(220) 및 DC 경로부(224)로 분기된다.
DC 경로부(224)는 DC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유입 전류 보호부(226)는 경사각 조정 유닛(100)의 전원이 온(On)될 때 초기에 발생될 수 있는 고전압으로부터 DC 보드부(202)의 소자들을 보호한다.
DC 경로부(224)로부터 유입 전류 보호부(226)로 입력된 DC는 조정부(228)로 제공된다.
조정부(228)는 제어부(234)의 제어하에 모터 구동부(238)의 구동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DC의 크기를 조정하여 모터 구동부(238)의 회전 속도, 회전력 등을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조정부(228)의 제어에 따라 위상 가변기(104)의 위상 가변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DC 보드부(202)의 배면에는 접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정리하면, 제 1 케이블(240)을 통하여 RF 신호와 DC가 입력되고, 상기 RF 신호는 제 2 케이블(242)을 통하여 위상 가변기(104)로 전달되며, 상기 DC는 DC 보드부(202)로 전달되어 모터 구동부(238)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RF 신호는 위상 가변기(104)를 통하여 복사 소자들로 전달되되, 상기 복사 소자들로 전달되는 RF 신호의 위상은 모터 구동부(238)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DC는 제 2 서지 전류 보호부(230), 릴레이 블록부(232) 및 제어부(234)를 통하여 모터 구동부(238)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제 1 케이블(240)을 통하여 RF 신호만이 입력된다. 즉, 2개의 DC 중 하나만이 DC 보드부(202)로 공급된다.
이하, 경사각 조정 유닛(100)의 물리적 구조를 살펴보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보드부(200)와 DC 보드부(202)는 물리적으로 분리되며, 예를 들어 격벽으로 상호 차단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RF 보드부(200)의 접지와 DC 보드부(202)의 접지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경사각 조정 유닛(100)은 전원을 사용하는 능동 소자를 많이 이용하며, 위상 가변기(104) 등과 같은 수동 소자와 함께 안테나에 집적된다. 이와 같이 능동 소자와 수동 소자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는 안테나의 특성 중 상호 변조 왜곡(Passive Intermodulation, PIMD) 특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경사각 조정 유닛(100)을 안테나에 집적화하기 위해서는 PIMD 특성을 고려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안테나는 PIMD 특성을 고려하여 경사각 조정 유닛(100)을 집적화시키되, 경사각 조정 유닛(100)에 포함된 RF 보드부(200)와 DC 보드부(202)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RF 보드부(200)와 DC 보드부(202)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면 RF 소자들과 DC 소자들이 하나의 보드에 사용되는 경우보다 PIMD 특성이 우수하며, 이는 첨부된 실험 그래프들에서 증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사각 조정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사각 조정 유닛(100)은 RF 보드부(300), 제 1 DC 보드부(302), 제 2 보드부(304) 및 RF 신호 차단부(320)를 포함한다.
DC 보드부(202)가 하나로 이루어졌던 제 1 실시예에서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DC 보드부(302) 및 제 2 DC 보드부(304)로 분리된다. 결과적으로, RF 보드부(300)의 배면에 형성된 접지, 제 1 DC 보드부(302)의 배면에 형성된 접지 및 제 2 DC 보드부(304)의 배면에 형성된 접지가 각기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제 1 DC 보드부(302)는 제 1 서지 전류 보호부(322)만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보드부(304)는 나머지 DC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F 신호 차단부(320)는 RF 보드부(300)의 제 1 연결부(310)와 제 1 DC 보드부(30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정리하면, RF 보드부(300), 제 1 DC 보드부(302) 및 제 2 DC 보드부(304)가 서로간에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사각 조정 유닛(100)의 PIMD 특성이 제 1 실시예의 경사각 조정 유닛(100)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제 실험 결과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위에서는, 제 1 DC 보드부(302)가 제 1 서지 전류 보호부(32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 1 서지 전류 보호부(322)가 아닌 다른 DC 소자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경사각 조정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사각 조정 유닛(100)은 RF 보드부(400), DC 보드부(402) 및 RF 신호 차단부(416)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DC 보드부(402)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하나의 DC 보드부로 이루어지나, 제 1 서지 전류 보호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 경우, RF 신호 차단부(402)는 RF 보드부(400)의 제 1 연결부(410)와 DC 경로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를 정리하면, RF 보드부와 DC 보드부는 PIMD 특성 개선을 위하여 물리적으로 분리되며, 바람직하게는 DC 보드부는 2개 이상으로 다시 분리된다. 전기적인 관점에서는, RF 보드부의 접지와 DC 보드부의 접지가 분리된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의 경사각 조정 유닛들(100)의 격리도 특성 및 PIMD 특성을 살펴보겠다.
도 5는 도 2의 경사각 조정 유닛의 RF-DC 격리도 특성을 표시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경사각 조정 유닛의 PIMD 특성을 표시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경사각 조정 유닛의 RF-DC 격리도 특성을 표시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3의 경사각 조정 유닛의 PIMD 특성을 표시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RF 보드부와 DC 보드부가 분리되지 않은 경사각 조정 유닛의 RF-DC 격리도 특성을 표시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RF 보드부와 DC 보드부가 분리되지 않은 경사각 조정 유닛의 PIMD 특성을 표시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RF-DC 격리도를 살펴보면, RF 보드부와 DC 보드부가 분리되지 않은 경사각 조정 유닛(이하, "제 1 경사각 조정 유닛"이라 함)의 격리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20㏈이며, 도 2의 경사각 조정 유닛(100, 이하 " 제 2 경사각 조정 유닛"이라 함)의 격리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30㏈이며, 도 3의 경사각 조정 유닛(100, 이하 "제 3 경사각 조정 유닛"이라 함)의 격리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60㏈이다. 즉, 제 3 경사각 조정 유닛, 제 2 경사각 조정 유닛 및 제 1 경사각 조정 유닛의 순서로 격리도가 우수하다. 이것은 상기 제 3 경사각 조정 유닛에서는 3개의 보드들이 서로간에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 2 경사각 조정 유닛에서는 2개의 보드들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경사각 조정 유닛은 하나의 보드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PIMD 특성을 살펴보면, 상기 제 1 경사각 조정 유닛의 PIMD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57㏈이고, 상기 제 2 경사각 조정 유닛의 PIMD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85㏈이며, 상기 제 3 경사각 조정 유닛의 PIMD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12㏈이다. 즉, 상기 제 3 경사각 조정 유닛, 상기 제 2 경사각 조정 유닛 및 상기 제 1 경사각 조정 유닛의 순서로 PIMD 특성이 우수하다. 즉, 경사각 조정 유닛의 격리도가 우수하면 PIMD 특성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경사각 조정 유닛은 RF 보드와 DC 보드부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며, 특히 DC 보드부를 복수의 보드들로 물리적으로 분리시켜서 PIMD 특성을 개선시킨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경사각 조정 유닛 102 : 전동기
104 : 위상 가변기 106 : 복사 소자
200 : RF 보드부 202 : DC 보드부
210 : 제 1 연결부 212 : 제 2 연결부
214 : DC 차단부 216 : RF 신호 차단부
220 : 제 1 서지 전류 보호부 222 : 모뎀
224 : DC 경로부 226 : 유입 전류 보호부
228 : 조정부 230 : 제 2 서지 전류 보호부
232 : 릴레이 블록부 234 : 제어부
236 : EEPROM 238 : 모터 구동부
240 : 제 1 케이블 242 : 제 2 케이블
300 : RF 보드부 302 : 제 1 DC 보드부
304 : 제 2 DC 보드부 400 : RF 보드부
402 : DC 보드부

Claims (9)

  1. 입력된 RF 신호와 직류 전원 중 상기 RF 신호를 위상 가변기로 전송하는 RF 보드부;
    상기 RF 보드부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제 1 DC 보드부; 및
    상기 RF 보드부와 상기 제 1 DC 보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RF 신호를 차단하는 RF 신호 차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RF 보드부로 입력된 RF 신호와 상기 직류 전원 중 상기 직류 전원만이 상기 제 1 DC 보드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DC 보드부는,
    서지 전류로부터 상기 제 1 DC 보드부를 보호하는 서지 전류 보호부;
    과전압으로부터 상기 제 1 DC 보드부의 소자들을 보호하는 유입 전류 보호부;
    상기 유입 전류 보호부와 연결되는 조정부; 및
    상기 조정부와 연결된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직류 전원은 상기 RF 신호 차단부, 상기 서지 전류 보호부 및 상기 조정부를 통하여 상기 모터 구동부로 전달되며, 상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직류 전원에 따라 상기 위상 가변기를 구동하는 전동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보드부는,
    RF 기판;
    상기 RF 기판의 일면 위에 형성되며, 제 1 케이블이 연결되는 도전체인 제 1 연결부;
    상기 제 1 RF 기판의 일면 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연결부와 분리된 상태로 제 2 케이블이 연결되는 도전체인 제 2 연결부;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 사이에서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DC 차단부; 및
    상기 RF 기판 중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연결부가 형성된 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접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보드부의 일면에는 제 1 접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DC 보드부의 일면에는 제 2 접지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접지 및 상기 제 2 접지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
  5. 입력된 RF 신호와 직류 전원 중 상기 RF 신호를 위상 가변기로 전송하는 RF 보드부;
    제 1 DC 보드부; 및
    상기 RF 보드부와 상기 제 1 DC 보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RF 신호를 차단하는 RF 신호 차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RF 보드부로 입력된 RF 신호와 상기 직류 전원 중 상기 직류 전원만이 상기 제 1 DC 보드부로 전달되고, 상기 RF 보드부의 일면에는 제 1 접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DC 보드부의 일면에는 제 2 접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지와 상기 제 2 접지는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DC 보드부는,
    서지 전류로부터 상기 제 1 DC 보드부를 보호하는 서지 전류 보호부;
    과전압으로부터 상기 제 1 DC 보드부의 소자들을 보호하는 유입 전류 보호부;
    상기 유입 전류 보호부와 연결되는 조정부; 및
    상기 조정부와 연결된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직류 전원은 상기 RF 신호 차단부, 상기 서지 전류 보호부 및 상기 조정부를 통하여 상기 모터 구동부로 전달되고, 상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직류 전원에 따라 상기 위상 가변기를 구동하는 전동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부는,
    RF 기판;
    상기 RF 기판의 일면 위에 형성되며, 제 1 케이블이 연결되는 도전체인 제 1 연결부;
    상기 제 1 RF 기판의 일면 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연결부와 분리된 상태로 제 2 케이블이 연결되는 도전체인 제 2 연결부;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 사이에서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DC 차단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RF 기판 중 상기 제 1 접지가 형성된 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
  8.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에 있어서,
    입력된 RF 신호와 직류 전원 중 상기 RF 신호를 위상 가변기로 전송하는 RF 보드부;
    상기 RF 보드부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제 1 DC 보드부;
    상기 RF 신호를 차단하는 RF 신호 차단부; 및
    제 2 DC 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RF 보드부로 입력된 RF 신호와 상기 직류 전원 중 상기 직류 전원만이 상기 제 1 DC 보드부로 전달되며, 상기 RF 신호 차단부는 상기 RF 신호부와 상기 제 2 DC 보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DC 보드부는 상기 RF 신호 차단부를 통하여 전달된 직류 전원을 상기 제 1 보드부로 제공하며, 상기 RF 신호부, 상기 제 1 DC 보드부 및 상기 제 2 보드부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 2 DC 보드부는 서지 전류로부터 상기 경사각 조정 유닛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
  9.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에 있어서,
    입력된 RF 신호와 직류 전원 중 상기 RF 신호를 위상 가변기로 전송하는 RF 보드부;
    제 1 DC 보드부;
    상기 RF 신호를 차단하는 RF 신호 차단부; 및
    제 2 DC 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RF 보드부로 입력된 RF 신호와 상기 직류 전원 중 상기 직류 전원만이 상기 제 1 DC 보드부로 전달되고, 상기 RF 보드부의 일면에는 제 1 접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DC 보드부의 일면에는 제 2 접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지와 상기 제 2 접지는 물리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RF 신호 차단부는 상기 RF 신호부와 상기 제 2 DC 보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DC 보드부는 상기 RF 신호 차단부를 통하여 전달된 직류 전원을 상기 제 1 보드부로 제공하며, 상기 제 2 DC 보드부의 일면에는 제 3 접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지, 상기 제 2 접지 및 상기 제 3 접지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 2 DC 보드부는 서지 전류로부터 상기 경사각 조정 유닛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
KR1020120112985A 2012-10-11 2012-10-11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 KR101211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985A KR101211290B1 (ko) 2012-10-11 2012-10-11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985A KR101211290B1 (ko) 2012-10-11 2012-10-11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112A Division KR20120039413A (ko) 2010-10-15 2010-10-15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451A KR20120118451A (ko) 2012-10-26
KR101211290B1 true KR101211290B1 (ko) 2012-12-11

Family

ID=47285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985A KR101211290B1 (ko) 2012-10-11 2012-10-11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2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197Y1 (ko) 2002-11-27 2003-03-29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 타워 탑 증폭기가 탑재된 빔틸트안테나
KR100582548B1 (ko) 2004-12-20 2006-05-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강유전체 박막을 이용한 pbg 구조의 위상 변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197Y1 (ko) 2002-11-27 2003-03-29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 타워 탑 증폭기가 탑재된 빔틸트안테나
KR100582548B1 (ko) 2004-12-20 2006-05-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강유전체 박막을 이용한 pbg 구조의 위상 변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451A (ko) 201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7274B2 (en) Reconfigurable mobile phone bulit-in antenna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CN107799909A (zh)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无线通信装置
CA2587569C (en) An antenna arrangement and a method relating thereto
JP6335808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アレーアンテナ装置
US11201401B2 (en) Current surge protection circuits for base station antennas having remote electronic tilt capability and related methods
CN107968671A (zh) 天线组件、终端设备及改善天线辐射指标的方法
CN111384585B (zh) 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控制方法
CN102263328A (zh) 一种多频天线远程控制设备及多频天线系统
EP1528620A1 (en) Diversity antenna in a notebook device
CN108173000A (zh)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无线通信装置
WO2008124027A1 (en) Dual stagger off settable azimuth beam width controlled antenna for wireless network
US11450956B2 (en) Antenna phase shifter with integrated DC-block
KR101211290B1 (ko)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
US87668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horizontal beam of omni-directions antenna
KR20120039413A (ko) 안테나에 사용되는 경사각 조정 유닛
KR20190023614A (ko) 위상 시프터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KR20190036231A (ko) 위상 시프터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CA2987099C (en) Electrical tilt apparatus, antenna, and electrical tilt method
KR101211348B1 (ko) 바이어스-티 및 이를 사용하는 경사각 조정 유닛
JP2717264B2 (ja) フェーズド・アレイ・アンテナ
KR20120039416A (ko) 바이어스-티 및 이를 사용하는 경사각 조정 유닛
CN113161747A (zh) 一种覆盖自适应波宽可调射灯天线
AU2006327964B2 (en) Phased array antenna
SE513054C2 (sv) Förfarande och arrangemang för att förbättra nolldjup
US6023249A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