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281B1 -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 - Google Patents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281B1
KR101211281B1 KR1020127009909A KR20127009909A KR101211281B1 KR 101211281 B1 KR101211281 B1 KR 101211281B1 KR 1020127009909 A KR1020127009909 A KR 1020127009909A KR 20127009909 A KR20127009909 A KR 20127009909A KR 101211281 B1 KR101211281 B1 KR 101211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handpiece
inner diameter
treatment
spi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6875A (ko
Inventor
쿠니지 소마
Original Assignee
쿠니지 소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니지 소마 filed Critical 쿠니지 소마
Publication of KR20120056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1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in an angled handpie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4Supports for holding tooth drills in order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17Retention by friction only, e.g. using springs, resilient sleeves, tapers
    • B23B31/1173Retention by friction only, e.g. using springs, resilient sleeves, tapers usin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turning, boring or drilling
    • B23B2250/16Damping of vib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411Spring biased ja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411Spring biased jaws
    • Y10T279/17487Moving-cam actuator
    • Y10T279/17521Reciprocating cam slee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치료용 공구를 강고하게 파지하면서, 높은 진동 흡수성을 실현할 수 있는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를 제공한다.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스핀들(18)과, 스핀들(18)의 내부에 배설되어 그 스핀들(18)과 일체로 회전하는 코일 스프링(28)을 가지며, 스핀들(18)의 선단부터 코일 스프링(28)의 내부에 삽입된 치료용 공구를, 그 코일 스프링(28)의 파지부의 내경면으로 파지하는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28)은, 고유 진동수가 부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28)은, 그 중앙의 영역에 파지부(281)를 가지며, 그 파지부(281)의 내경은 다른 부위의 그것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THERAPEUTIC TOOL GRIPPING DEVICE FOR A HANDPIECE}
본 발명은, 의과 또는 치과에서 이용되는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를 파지하는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의과 또는 치과에서 이용되는 핸드피스는, 치료 목적, 치료 부위, 또는 치료 방법 등에 따라, 치료용 공구를 고속 회전시키는 것부터 왕복 운동이나 진동시키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그 치료용 공구의 종류도 많이 준비되어 있다. 이들의 치료용 공구는, 핸드피스의 파지 장치(chuck)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의과 치과용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를 파지하는 척 구조에서는, 치료용 공구를 어떠한 조건하에서도 강고하게 파지하는 성능과 내구성, 신뢰성이 요구된다. 또한, 핸드피스의 헤드부는, 치료 조작이 하기 쉽도록, 아주 소형일 필요가 있다. 또한, 의과 치과용 핸드피스에 빠뜨릴 수 없는 성능으로서, 내약품성, 오토클레이브에 대한 내성, 및 내식성도 고려되고 있다.
이 점,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60-90609호 공보에는, 코일 스프링형상의 교지체(twisting member)를 이용하여 치료용 공구를 파지하는 핸드피스의 척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 척 구조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코일 스프링형상의 교지체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 교지체를 감겨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비트는 것에 의해, 그 교지체의 내경을 벌려서, 치료용 공구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그 교지체의 복원력에 의해 치료용 공구를 파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핸드피스의 척 구조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의 작은 용적에 의해, 치료용 공구를 효과적으로 강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반면, 치료시에 치료용 공구에 의해 야기되는 진동이 그 코일 스프링에 전해지고, 공진(共振)하여 이상 진동을 유발하여 버리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코일 스프링의 교지체로서의 척력이 약해져서, 정확한 치료의 수행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치료용 공구가 핸드피스로부터 빠져나오는 것 같은 불안전한 상태에 이르는 일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소60-90609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소59-51846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실개소61-39520호 공보
상술한 종래의 척 구조는, 숙련자가 여러가지의 치료용 공구를 이용하여 치료하고 있는 도중에 그 치료용 공구에 의해 초래되는 다양한 진동이, 코일 스프링형상의 교지체에 전해진다. 이 교지체로서의 코일 스프링은 고유 진동수가 일정하기 때문에, 이러한 진동이 공진하여 증폭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이 경우, 교지체의 파지력 저하를 초래하여, 치료용 공구가 치료중에 슬립이나 크게 흔들림을 일으켜서, 의도한 치료를 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핸드피스로부터 그 치료용 공구가 빠져나가는 등의 불안전함이 있다. 이것은, 상술한 코일 스프링형상의 교지체를 이용한 척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로서 주력을 이루고 있는 원통형상의 탄성 스팬을 이용하는 척 구조에도 공통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핸드피스에 치료용 공구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또한 그 치료용 공구를 강고하게 파지하면서, 높은 진동 흡수성을 실현할 수 있는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의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의 내부에 배치되어 그 스핀들과 일체로 회전하는 코일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스핀들의 선단부터 상기 코일 스프링의 내부에 삽입된 치료용 공구를, 그 코일 스프링의 파지부의 내경면으로 파지하는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고유 진동수가 일정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의 발명은, 제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그 일부의 영역에 상기 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파지부의 내경은, 다른 영역의 내경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의 발명은, 제 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그 중앙의 영역에 상기 파지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의 발명은,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피치각이 일정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의 발명은,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의 후단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과의 사이에 설치된 가압 부재를 가지며, 상기 스핀들의 후단측부터 상기 가압 부재를 가압함에 의해, 상기 코일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압축 기구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의 내경은, 상기 압축 기구가 동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치료용 공구의 외경보다도 작고, 상기 압축 기구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치료용 공구의 외경보다도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6의 발명은, 제 5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내경부에는, 상기 압축 기구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치료용 공구의 외형면에 따른 면이 되는 연삭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7의 발명은, 제 5 또는 제 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그 일부의 영역에 상기 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파지부의 피치각은, 다른 영역의 피치각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8의 발명은, 제 5 내지 제 7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압축 기구가 동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의 발명에 의하면, 치료용 공구는, 고유 진동수가 일정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에 의해 파지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그 코일 스프링이 특정한 진동을 받아서 공진하여 버리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진동 흡수성능과 안정된 파지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제 2의 발명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의 파지부의 코일 내경이 다른 영역의 코일 내경보다도 작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그 파지부에 의해 치료용 공구를 강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코일 스프링은, 그 영역에 따라 코일 내경이 다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 정수를 유효하게 비선형으로 하여 고유 진동수를 일정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제 3의 발명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은, 그 중앙의 영역이 잘록해진 장고형(鼓型)의 형상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그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 정수를 유효하게 비선형으로 하여 고유 진동수를 일정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제 4의 발명에 의하면, 피치각이 일정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이 이용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그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 정수를 유효하게 비선형으로 하여 고유 진동수를 일정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면, 그 코일 스프링의 내경은 커진다. 제 5의 발명에 의하면, 압축 기구에 의해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면, 파지부의 내경이 일시적으로 치료용 공구의 외경보다도 커진다. 이 상태에서 그 치료용 공구를 코일 스프링 내에 삽입하고 압축을 개방하면, 파지부의 내경이 그 치료용 공구의 외경보다도 작아질려고 하여 그 치료용 공구가 아주 세게 조여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간이한 구성으로서 치료용 공구의 착탈을 할 수 있음과 함께, 강고한 파지력을 얻을 수 있다.
제 6의 발명에 의하면, 파지부의 내경부에는, 압축 기구에 의해 파지부를 압축시킨 경우에, 치료용 공구의 외형면에 따른 면이 되는 연삭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시와 통상시의 내경차를 상기 연삭면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용 공구를 보다 강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치료용 공구는 상기 연삭면의 에지부에 의해 체결되고 파지되기 때문에, 파지력을 더하게 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의 연삭면은, 파지부를 압축시킨 상태에서, 그 치료용 공구의 외형면을 따라서 형성되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의 내경의 제품 오차를 허용할 수 있다.
제 7의 발명에 의하면, 파지부의 피치각은 다른 영역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의 압축시에 있어서의 파지부의 내경의 확대량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제 8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코일 스프링에는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상기 코일 스프링의 피치각은 작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치료시에 치료용 공구로부터 입력된 진동이 코일 스프링에 전달되면, 그 코일 스프링이 진동에 의해 불규칙하게 밀착, 이반을 반복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고유 진동수를 현저하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진동 제어 작용에 의해 공진을 억제하여 스무스한 치료를 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이용되는 의과 치과용 핸드피스의 헤드부분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이용되는 의과 치과용 핸드피스에서, 푸시 버튼(32)이 가압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 1의 코일 스프링(28)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 2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에서 이용되는 코일 스프링(28)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원형으로 둘러싸여진 코일 스프링(28)의 파지부(281)의 일부를 축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몇가지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공통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의 형태 1.
[실시의 형태 1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이용되는 의과 치과용 핸드피스의 헤드부분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1의 의과 치과용 핸드피스는, 압축 공기의 공급을 받아서 회전 구동하는 에어 터빈식의 핸드피스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드피스의 헤드부(10)는, 헤드 하우징(12)을 구비하고 있다. 헤드 하우징(12)은, 핸드피스의 그립부(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고, 그 그립부의 내부를 통하여, 그 헤드 하우징(12) 내에 압축 공기가 도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압축 공기의 도입 및 배출에 관한 구조는, 본 발명의 주요부가 아니고, 또한 공지의 구조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헤드 하우징(12) 내에는, 카트리지(14)가 수납되어 있다. 카트리지(14)는, 헤드 하우징(12)에 나사결합(螺合)된 헤드캡(16)을 분리함에 의해, 간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카트리지(14)의 내부 구성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카트리지(14)는, 치료용 공구를 파지하기 위한 스핀들(18)을 구비하고 있다. 스핀들(18)의 외주 중앙부에는, 압축 공기에 의해 그 스핀들(18)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회전 날개(2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회전 날개(20)를 끼우고 스핀들(18)의 상부 및 하부가 되는 위치에는, 상기 스핀들(18)을 상기 카트리지(14)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볼베어링(24, 26)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스핀들(18)의 내부에는, 치료용 공구를 파지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28), 및 상기 코일 스프링(28)을 축방향으로 압축하기 위한 가압 부재(30)가 마련되고, 후단 고정 나사(181)에 의해 상기 스핀들(18) 내에 가압된 상태로 세트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8)은, 의과 치과용 핸드피스에 요구되는 내구성, 오토클레이브에 대한 내성, 내약품성, 내식성, 및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해, 고강도 스프링용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가압 부재(30)는, 일단에 마련된 고정부(301)가 그 코일 스프링(28)에 고정되고, 타단에 설치된 가압부(302)가 그 스핀들(18)의 후단 고정 나사(181)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또한 가압 부재(30)의 고정부(301)측에는, 치료용 공구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303)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8)은, 그 가압 부재(30)와 스핀들(18)의 단차부(182)의 사이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28)의 형상에 관해서는, 상세를 후술한다.
헤드캡(16)에는, 가압 부재(30)의 가압부(302)를 가압하기 위한 푸시 버튼(32)이 마련되어 있다. 푸시 버튼(32)은, 스프링(34)에 의해 그 가압 부재(30)의 가압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핸드피스에서, 치료용 공구를 착탈할 때에는, 푸시 버튼(32)이 가압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이용되는 의과 치과용 핸드피스에서, 푸시 버튼(32)이 가압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푸시 버튼(32)이 가압되면, 이에 수반하여 가압 부재(30)가 축방향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코일 스프링(28)은 소정량 압축되기 때문에, 그 코일 스프링(28)의 내경이 소정량 확대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핸드피스에서는, 이 특성을 이용하여 치료용 공구가 파지된다. 즉, 코일 스프링(28)의 치료용 공구 파지부는, 압축 전이 치료용 공구의 외경보다도 소경이고, 압축 후가 그것보다도 대경이 되는 코일 내경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치료용 공구 파지 구조에 의하면, 간이한 구성으로 치료용 공구를 강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이 특징적 구성]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특징적 구성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는, 코일 스프링(28)의 내경면으로 치료용 공구를 파지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파지 구조에 의하면, 스핀들(18) 내의 작은 스페이스에서 나선형상으로 구성된 유효 스팬을 이용하여 강고하게 치료용 공구를 파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의과 치과용 핸드피스는, 다양한 치료 부위 및 치료 형태에 응하여 여러가지의 치료용 공구가 이용된다. 이 때문에, 치료시에는, 치료용 공구 자신에 다양한 진동이 생기고, 이들이 코일 스프링(28)에 전달된다. 이들의 진동이 그 코일 스프링(28)의 고유 진동과 공진하여 버리면, 진폭의 급격한 증폭에 의해 진동 증대나 파지력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의 핸드피스에서는, 고유 진동수가 일정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고 있다.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 1의 코일 스프링(28)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중 (A)는, 코일 스프링(28)의 압축 전의 상태를, 도 3중 (B)는, 코일 스프링(28)의 압축 후의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28)은, 그 중앙부에 위치하는 파지부(281)의 코일 내경이 상단부(282) 및 하단부(283)의 그것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파지부(281)의 피치각은, 상단부(282) 및 하단부(283)의 그것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코일 스프링(28)을 이용하면, 이하의 효과를 이룬다. 즉, 코일 스프링(28)은, 파지부(281)의 코일 내경 및 피치각이, 상단부(282) 및 하단부(283)의 그들과 상위하다. 이 때문에, 그 코일 스프링(28)은, 스프링 정수가 비선형이 되고, 고유 진동수은 일정한 값을 갖지 않게 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28)이 특정한 진동수에 의해 공진하여 버리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치료용 공구를 강고하게 파지하면서, 높은 진동 흡수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숙련자가 적절하게 핸드피스를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안전성과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코일 스프링(28)은, 파지부(281)의 피치각이, 상단부(282) 및 하단부(283)의 그것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푸시 버튼(32)을 가압하여 그 코일 스프링(28)을 압축한 경우에, 그 파지부(281)의 내경을 보다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파지부(281)의 피치각은, 가능한 범위에서 최대의 피치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그 파지부(281)의 내경을 최대한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코일 스프링(28)은, 회전 구동시에 코일 내경이 죄어지는 방향이 되는 권취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의 형태의 핸드피스에서는, 우회전의 핸드피스에 대해, 왼쪽으로 감긴 코일 스프링(28)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회전 방향이 한 방향인 에어 터빈식의 핸드피스에서는 특히 유효하고, 이에 의해, 치료용 공구의 파지력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코일 스프링(28)에는,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상단부(282) 및 하단부(283)의 피치각은, 압축에 의해 작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치료시에 치료용 공구로부터 입력된 진동이 그 코일 스프링(28)에 전달되면, 상단부(282) 및 하단부(283)는, 이러한 진동에 의해 불규칙하게 밀착, 이반을 반복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고유 진동수를 현저하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진동 제어 작용에 의해 공진을 억제하여 원활한 치료를 행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상술한 실시의 형태 1에서는, 파지부(281)의 내경이, 상단부(282) 및 하단부(283)의 그것들과 다른 코일 스프링(28)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코일 스프링(28)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코일 스프링의 고유 진동수를 일정하지 않게 하기 위해, 코일 내경이 일정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으로서, 예를 들면, 원추형의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또한, 코일 내경이 중앙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커지는 술통형의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 1에서는, 파지부(281)의 피치각이, 상단부(282) 및 하단부(283)의 그들과 다른 코일 스프링(28)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코일 스프링(28)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코일 스프링의 고유 진동수를 부정으로 하기 위해, 코일 스프링의 피치각이 일정이 아닌 코일 스프링으로서, 피치각이 서서히 변화하고 있는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또한, 피치각이 단계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코일 스프링(28)의 파지부(28)로서 3번 감기 정도를 이용하고 있지만, 파지부(281)의 감는 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헤드부(10)의 유효 스팬과의 관계에서, 소정의 코일 내경의 변화량을 확보할 수 있는 감는 수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 1에서는, 푸시 버튼(32)을 가압하여 가압 부재(30)를 코일 스프링(28)의 압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파지부(281)의 내경을 확대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그 파지부의 내경을 확대시키는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코일 스프링(28)의 압축 동작에 더하여, 다시 그 코일 스프링(28)을 감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비트는 구성을 또한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파지부(281)의 내경을 더욱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의 형태 2.
[실시의 형태 2의 특징]
다음에,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해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 1의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에서는, 코일 스프링(28)을 압축시킨 때의 내경의 변화를 이용하여, 치료용 공구를 착탈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 1에서는, 파지부(281)의 피치각을 크게 함으로써, 코일 내경의 변화량을 크게 하여 파지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코일 스프링(28)에 사용되는 재료는 고탄성 재료이기 때문에, 그 특성상 코일링 가공 정밀도에 난점이 있다. 이 때문에, 코일 내경의 편차가 커짐에 의해, 치료용 공구의 파지 성능에 편차가 생겨 버리는 것이 우려된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코일 스프링(28)에 새로운 가공을 시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 2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에서 이용되는 코일 스프링(28)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28)은, 파지부(281)의 내경면에 연삭 가공이 시행되어 있다. 도 5는, 도 4에서 원형으로 둘러싸여진 코일 스프링(28)의 파지부(281)의 일부를 축방향에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5 중의 (A)는, 푸시 버튼(32)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의 코일 스프링을, 도 5 중의 (B)는, 푸시 버튼(32)이 가압된 상태의 코일 스프링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삭면(284)은, 내경면(285)의 일부 영역을 연삭하여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 중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삭면(284)은, 푸시 버튼(32)이 가압된 상태, 즉, 코일 스프링(28)이 압축된 상태에서, 그 코일 스프링(28)의 내경면(285)을 소정의 내경으로 연삭한 것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코일 스프링(28)에 의하면, 코일 내경의 정밀도 관리가 용이해진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용의 고탄성 재료는, 그 특성상 코일 내경의 편차가 커져 버린다. 이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코일 스프링(28)과 같이, 압축 상태에서 코일 내경을 소정의 코일 내경으로 연삭함으로써, 치료용 공구의 삽입시의 코일 내경의 정밀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또한 코일 스프링(28)이 휘기 쉬워진다.
또한, 푸시 버튼(32)의 가압이 해제되어, 코일 스프링(28)의 압축량이 변화하면, 그 코일 스프링(28)의 소선(素線)에 뒤틀림이 발생한다. 이 때,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삭면(284)의 에지부(286)가 비틀려서, 코일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나온다. 이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에 의하면, 삽입된 치료용 공구의 외형을 이러한 에지부(286)로 강고하게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5(B)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연삭면(284)의 에지부(286)가 코일 중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입됨에 의해, 코일 내경이 더욱 대경이 된다. 이 때문에, 연삭면(284)이 형성되지 않는 코일 스프링(28)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치료용 공구의 착탈시에 있어서의 코일 내경의 확대량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10 : 헤드부 12 : 헤드 하우징
14 : 카트리지 16 : 헤드캡
16 : 헤드캡 18 : 스핀들
181 : 후단 고정 나사 182 : 단차부
20 : 회전 날개 24, 26 : 볼베어링
28 : 코일 스프링 281 : 파지부
282 : 상단부 283 : 하단부
284 : 연삭면 285 : 내경면
286 : 능선부 30 : 가압 부재
301 : 고정부 302 : 가압부
303 : 삽입부 32 : 푸시 버튼
34 : 스프링

Claims (8)

  1.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핀들과 일체로 회전하는 코일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스핀들의 선단부터 상기 코일 스프링의 내부에 삽입된 치료용 공구를, 상기 코일 스프링의 파지부의 내경면으로 파지하는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고유 진동수가 일정하지 않으며,
    상기 스핀들의 후단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과의 사이에 배치된 가압 부재를 가지며, 상기 스핀들의 후단측부터 상기 가압 부재를 가압함에 의해, 상기 코일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압축 기구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의 내경은, 상기 압축 기구가 동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치료용 공구의 외경보다도 작고, 상기 압축 기구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치료용 공구의 외경보다도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부의 영역에 상기 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파지부의 내경은, 다른 영역의 내경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코일 스프링의 중앙의 영역에 상기 파지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피치각이 일정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내경부에는, 상기 압축 기구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치료용 공구의 외형면에 따른 면이 되는 연삭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부의 영역에 상기 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파지부의 피치각은, 다른 영역의 피치각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기구가 동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
KR1020127009909A 2009-10-27 2009-10-27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 KR101211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8388 WO2011052034A1 (ja) 2009-10-27 2009-10-27 ハンドピースの治療用工具把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875A KR20120056875A (ko) 2012-06-04
KR101211281B1 true KR101211281B1 (ko) 2012-12-11

Family

ID=4392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909A KR101211281B1 (ko) 2009-10-27 2009-10-27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53580A1 (ko)
EP (1) EP2494937B1 (ko)
JP (1) JP5003847B2 (ko)
KR (1) KR101211281B1 (ko)
CN (1) CN102596090B (ko)
WO (1) WO20110520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7756B2 (ja) * 2012-10-12 2016-12-21 株式会社タニタ 蔓巻バネ、コネクタ、電極及び電位計
DE102013102204A1 (de) * 2013-03-06 2014-09-11 Hans-Jürgen Türk Montage-Vorrichtung für Dentalbohrer
US11207054B2 (en) 2015-06-19 2021-12-28 Novasignal Corp. Transcranial doppler probe
CN105411687B (zh) * 2015-12-10 2018-07-24 佛山市德克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按压式牙科高速涡轮手机
CN105395260B (zh) * 2015-12-10 2018-07-24 佛山市德克医疗器械有限公司 用于按压式牙科高速涡轮手机的组装结构及芯轴组件
CN108778140A (zh) 2016-01-05 2018-11-09 神经系统分析公司 用于确定临床指征的系统和方法
US11589836B2 (en) 2016-01-05 2023-02-28 Novasignal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neurological conditions
JP2019500155A (ja) 2016-01-05 2019-01-10 ニューラル アナリ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一体型プローブ構造
WO2017189623A1 (en) * 2016-04-25 2017-11-02 Neural Analytics, Inc. Probe structure
JP7310551B2 (ja) * 2019-11-01 2023-07-19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ウォーム減速機、およびウォーム減速機の製造方法
KR102429250B1 (ko) 2019-12-23 2022-08-04 (주)세신정밀 치과 공구를 견고히 파지하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6896A (en) 1974-09-30 1976-07-03 Mosimann David Shikayoboorubanno dorirutoritsukesochi
JPS57128147A (en) 1980-12-22 1982-08-09 Micro Mega Sa Apparatus for fixing drill pit to head of air motor of dental handpiece
JPH1147156A (ja) 1997-05-09 1999-02-23 Yechiel Cohen 歯科用ハンドピースのために特に有用なクラン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078A (en) * 1889-10-29 George rehfuss
US610483A (en) * 1898-09-06 Charles p
US959530A (en) * 1904-11-30 1910-05-31 Meier G Hilpert Tool-retainer for air, electric, or mechanically-driven implements.
US1448987A (en) * 1919-11-26 1923-03-20 John D Spalding Chuck
US1552085A (en) * 1921-04-02 1925-09-01 Grip Nut Co Tool-holding chuck
US2105330A (en) * 1935-01-10 1938-01-11 Teletype Corp Tool holder
GB583608A (en) * 1945-03-06 1946-12-20 John Leonard Young Improvements relating to chucks
US2539610A (en) * 1947-04-05 1951-01-30 Western Electric Co Chuck for use with rotary tools
FR961921A (ko) * 1947-11-14 1950-05-25
US2564893A (en) * 1948-05-10 1951-08-21 Eugene V Gibbons Quick-detachable chuck
US2570570A (en) * 1949-08-22 1951-10-09 Lee Foundation For Nutritional Tool chuck
US2652270A (en) * 1949-11-18 1953-09-15 John A Jones Coupling
US2818264A (en) * 1956-01-09 1957-12-31 Leslie W Overstreet Gripping mechanism for use in expanding mandrels and contracting collets
US2936625A (en) * 1957-05-08 1960-05-17 George W Heiseler Self-tightening gripping device
US3967831A (en) * 1974-10-21 1976-07-06 Chang Ming Chao Spring coil holding device
EP0015659B1 (en) * 1979-02-16 1983-05-11 Syntex (U.S.A.) Inc. Dental instrument or adapter therefor having a lamp assembly suspension including vibration and thermal isolation means
JPS6090609A (ja) 1983-10-24 1985-05-21 Osada Denki Kogyo Kk スプリングチヤツク
US5826888A (en) * 1996-10-24 1998-10-27 Power Tool Holders Incorporated Quick release chuck device
CN2691511Y (zh) * 2003-11-03 2005-04-13 郑平 高速空气涡轮牙钻手机
EP1563800B1 (fr) * 2004-02-17 2008-02-13 Bien-Air Holding SA Pièce à main à usage dentaire ou chirurgical
JP4084818B2 (ja) * 2005-09-29 2008-04-30 株式会社ナカニシ 歯科用ハンドピース
JP5298509B2 (ja) * 2007-11-19 2013-09-25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6896A (en) 1974-09-30 1976-07-03 Mosimann David Shikayoboorubanno dorirutoritsukesochi
JPS57128147A (en) 1980-12-22 1982-08-09 Micro Mega Sa Apparatus for fixing drill pit to head of air motor of dental handpiece
JPH1147156A (ja) 1997-05-09 1999-02-23 Yechiel Cohen 歯科用ハンドピースのために特に有用なクラン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4937A4 (en) 2013-06-26
CN102596090A (zh) 2012-07-18
CN102596090B (zh) 2014-04-30
EP2494937A1 (en) 2012-09-05
KR20120056875A (ko) 2012-06-04
JP5003847B2 (ja) 2012-08-15
EP2494937B1 (en) 2015-08-19
WO2011052034A1 (ja) 2011-05-05
JPWO2011052034A1 (ja) 2013-03-14
US20120153580A1 (en)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281B1 (ko) 핸드피스의 치료용 공구 파지 장치
US5729904A (en) Wrenchless collect for surgical blade
KR101595597B1 (ko) 수술 핸드피스와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액세서리 샤프트의 대충 조정 또는 정밀 조정을 돕는 특징을 갖는 컷팅 액세서리
EP0490850A1 (en) Vibration insulated power tool handle
CN101367188A (zh) 动力工具
CN101443069A (zh) 导管手柄的自动锁紧装置
GB0704823D0 (en) Improved ultrasonic surgical tool
EP2538865A1 (en) Rotary endodontic file with frictional grip
US6190168B1 (en) Dental handpiece having improved bur release means
GB2065510A (en) Dental drill holders
WO2014205264A1 (en) Moving locking connector
AU2003292500A1 (en) A guide wire for use with a catheter
JP2010162216A (ja) 超音波処置装置
US3962791A (en) Stop for the shaft of a root-canal instrument
JP2005507303A (ja) トルク伝達連結組立体及び外科用機器
KR200458969Y1 (ko) 핸드피스의 버 고정 척 구조
CN104057414A (zh) 具有包括多边形内容纳装置和多边形外容纳装置的工具机容纳装置的手持式工具机
WO2004016393A1 (en) Chamfering tool
JP2004514513A (ja) 動力学的キイ
JP5187059B2 (ja) 電動工具
JP2010213634A (ja) 動力工具
JP3143187U (ja) 電動回転工具装着ビットへの連結離脱構造
EP1232731B1 (en) Dental handpiece having improved bur release means
CN214560563U (zh) 一种轴用卡环安装工具
CN214490456U (zh) 芯振动抑制部件及电动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