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549B1 - 자연생태하천유지를 위한 하천정비용 취입보구조물 - Google Patents

자연생태하천유지를 위한 하천정비용 취입보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549B1
KR101210549B1 KR1020120089040A KR20120089040A KR101210549B1 KR 101210549 B1 KR101210549 B1 KR 101210549B1 KR 1020120089040 A KR1020120089040 A KR 1020120089040A KR 20120089040 A KR20120089040 A KR 20120089040A KR 101210549 B1 KR101210549 B1 KR 101210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dissolved oxygen
loess
lead screw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환
Original Assignee
(주)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일 filed Critical (주)천일
Priority to KR1020120089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용존산소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를 매개로 황토를 자동으로 살포함과 동시에 부유물은 별도의 수거함을 통해 수거할 수 있는 자연생태하천유지를 위한 하천정비용 취입보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가이드홈(111)을 갖추고서,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부유물(G)을 수거하고 수거된 부유물(G)은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수거함(120)을 갖춘 물막이구조물(100)과; 전체적으로 직사각형태를 이루되, 양단부가 수거함(120)을 향해 경사진 지지프레임(210)과, 지지프레임(210)에 설치되어 물은 통과시키고 부유물(G)은 차단하는 걸름망(220)과, 지지프레임(210)에 고정되어 하천의 수위변화에 따라 지지프레임(210)과 걸름망(220)이 승강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230)를 갖춘 망구조물(200)과;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311)을 갖추고서, 지지프레임(210)의 상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바(310)와, 가이드바(310)의 가이드홈(3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드스크류(320)와, 가이드바(310)의 가이드홈(31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리드스크류(320)에 나사산 결합되어 리드스크류(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송하는 이송블록(330)과, 리드스크류(320)의 일단에 설치되어 이송블록(330)이 리드스크류(320)를 따라 왕복이송되도록 리드스크류(3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강제구동하는 모터(340)를 갖춘 이송장치(300)와; 전체적으로 상광하협형태를 이루고, 내부에 황토가 수용되며, 이송블록(330)에 고정되는 호퍼(410)와, 다수의 구멍(421)을 갖추고서, 이송블록(330)에 설치되어 걸름망(210)에 걸러진 부유물(G)을 수거함(120)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안내판(420)을 갖춘 황토배출기구(400)와; 본체부(110)와 지지프레임(210) 사이에 설치되어 하천의 용존산소 농도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제어부(700)로 전달하는 용존산소감지센서(500)와; 호퍼(410)에 설치되고, 제어부(700)에 의해 동작제어되며, 호퍼(410)에 수용된 황토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진동을 가하는 진동자(600)와; 용존산소감지센서(500)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기설정된 값을 벗어날 경우 모터(340)와 진동자(60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물막이구조물과 망구조물, 이송장치, 황토배출기구, 용존산소감지센서, 진동자 및 제어부로 구성되어 하천의 용존산소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를 매개로 황토를 자동으로 살포함과 동시에 부유물은 별도의 수거함을 통해 수거되도록 해 줌으로서 자연생태하천을 깨끗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연생태하천유지를 위한 하천정비용 취입보구조물{Diversion Weir Structure For Ecological River Maintenance Capable Of Easily Filtering Floating Matter From River Water}
본 발명은 자연생태하천유지를 위한 하천정비용 취입보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지를 낀 하천에는 취입보와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여 일정량의 하천수를 저장하고, 이로부터 필요한 농수를 공급받고 있다.
그런데, 장마철과 같이 비가 많이 내리게 되면 부유물이 빗물에 씻겨 하천으로 유입되므로 하천을 청소하는데 막대한 시간과 인력을 투입해야 한다.
그리고, 하천이 너무 깊어 작업자가 들어가지 못할 경우에는 하천의 양안에 그물을 걸어 떠내려오는 부유물을 더 이상 아래로 못내려가게 한 다음 제거하는 작업을 하였으나, 하천이 양쪽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불편하였고, 그물에 걸린 부유물을 하천변으로 끌어와서 수거하기 위한 적업이 쉽지 않아 불편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673986호가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기술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수중보와, 부유물수집박스, 부유물거름망, 가이드판 및 덮개판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하천변을 부유하는 부유물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오늘날에는 산업의 발전과 인구의 증가로 인해 하천을 오염시키는 폐수 또는 오물 및 생활하수와 같은 오염물질들이 아무런 여과 없이 하천으로 유입되어 수질을 오염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그 주변에 서식하는 각종 생명체들이 사라지면서 생태계의 붕괴를 가져오고, 특히나 이를 농수로 활용함으로써 재배되는 농작물이 오염되어 사람들이 그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이러한 자연생태계의 붕괴는 수질의 자연정화 자체를 불가능하게 함으로 오염된 하천은 지속적으로 악화될 수밖에 없어 그 문제는 가히 심각한 수준이라 할 것이며, 이를 인공적으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복구비용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특히, 건기로 인해 비가 일정기간 내리지 않아 하천의 흐름이 없고 여기에 여름철 폭염까지 지속되면 하천의 수온이 급상승하게 되고, 남조류가 대량증식해 물이 녹색으로 물드는 녹조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녹조현상으로 인하여 하천에서는 심한 악취를 유발하게 되며,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는 산소의 공급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집단폐사하여 하천의 오염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으며, 현재는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취입보구조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지만 이 역시 미미한 수준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천의 용존산소를 실시간으로 감지(측정)하여 이를 매개로 황토를 자동으로 살포함과 동시에 부유물은 별도의 수거함을 통해 수거하여 하천을 깨끗하게 정비할 수 있는 자연생태하천유지를 위한 하천정비용 취입보구조물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가이드홈을 갖추고서,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부유물을 수거하고 수거된 부유물은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수거함을 갖춘 물막이구조물과;
전체적으로 직사각형태를 이루되, 양단부가 수거함을 향해 경사진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물은 통과시키고 부유물은 차단하는 걸름망과,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하천의 수위변화에 따라 지지프레임과 걸름망이 승강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를 갖춘 망구조물과;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갖추고서, 지지프레임의 상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바와, 가이드바의 가이드홈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드스크류와, 가이드바의 가이드홈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리드스크류에 나사산 결합되어 리드스크류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송하는 이송블록과, 리드스크류의 일단에 설치되어 이송블록이 리드스크류를 따라 왕복이송되도록 리드스크류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강제구동하는 모터를 갖춘 이송장치와;
전체적으로 상광하협형태를 이루고, 내부에 황토가 수용되며, 이송블록에 고정되는 호퍼와, 다수의 구멍을 갖추고서, 이송블록에 설치되어 걸름망에 걸러진 부유물을 수거함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안내판을 갖춘 황토배출기구와;
본체부와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하천의 용존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제어부로 전달하는 용존산소감지센서와;
호퍼에 설치되고,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며, 호퍼에 수용된 황토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진동을 가하는 진동자와;
용존산소감지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기설정된 값을 벗어날 경우 모터와 진동자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물막이구조물과 망구조물, 이송장치, 황토배출기구, 용존산소감지센서, 진동자 및 제어부로 구성되어 하천의 용존산소를 실시간으로 감지(측정)하여 이를 매개로 황토를 자동으로 살포함과 동시에 부유물은 별도의 수거함을 통해 수거되도록 해 줌으로서 자연생태하천이 깨끗하게 유지관리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생태하천유지를 위한 하천정비용 취입보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생태하천유지를 위한 하천정비용 취입보구조물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생태하천유지를 위한 하천정비용 취입보구조물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생태하천유지를 위한 하천정비용 취입보구조물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생태하천유지를 위한 하천정비용 취입보구조물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생태하천유지를 위한 하천정비용 취입보구조물의 다른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생태하천유지를 위한 하천정비용 취입보구조물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천정비용 취입보구조물은, 물막이구조물(100), 망구조물(200), 이송장치(300), 황토배출기구(400), 용존산소감지센서(500), 진동자(600), 제어부(700)로 구성되며, 하천의 용존산소를 실시간으로 감지(측정)하여 이를 매개로 황토를 자동으로 살포함과 동시에 부유물은 별도의 수거함을 통해 수거하여 자연생태하천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물막이구조물(100)은 본체부(110)와 수거함(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10)는 콘크리트재질로 이루어진 단위블록으로, 소하천에서 수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거대한 댐 대신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천에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본체부(110)는 일정한 높이로 축조되어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는데, 하천을 저수하고, 본체부(110)의 높이를 초과하게 되면 그 상면을 타고 넘어가도록 되어 있어 하천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일정 양의 물은 저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의 일면에는 한 쌍의 부력체(230)가 승강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0)의 가이드홈(111) 사이에는 이후에 설명될 용존산소감지센서(500)가 설치된다.
상기 수거함(120)은 본체부(110)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부유물(G)을 수거하고 수거된 부유물(G)은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함이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거함(120)의 후면에는 걸름망(121)이 설치되어 있어 하천의 물은 그대로 통과시키고, 부유물(G)은 걸러져 내부에 보관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수거함(120)의 상단부에는 별도의 커버(미도시)를 설치하여 제3자 및 관리자의 추락 및 외부로부터 쓰레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구조물(200)은 하천의 수위를 따라 승강하면서 하천을 떠다니는 부유물(G)이 물막이구조물(100)을 타고 넘어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지프레임(210)과 걸름망(220) 및 부력체(230)로 구성되어 부력체(230)를 매개로 본체부(1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1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태를 이루되, 양단부는 수거함(120)을 향해 경사진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상기 지지프레임(210)은 경(輕)하면서도 내식성 및 내구성이 큰 알루미늄,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티타늄과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름망(220)은 통상의 그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지프레임(210)에 설치되어 물은 통과시키고 부유물(G)은 차단(걸러내는)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걸름망(220)에는 숯과 같이 정화(정수)기능을 갖는 입자를 그물에 함침시켜 외부로부터 무분별하게 유입되는 기름과 같은 부유물이 흡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력체(230)는 부력발생이 용이한 스티로폼 또는 속이 빈 합성수지재질의 원통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지프레임(210)에 고정되어 하천의 수위변화에 따라 지지프레임(210)과 걸름망(220)이 승강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며, 이를 도 5와 같이 도시하였다.
통상, 상기 부력체(230)는 쉽게 부력이 발생할 수 있는 스티로폼 또는 속이 빈 원통을 부력체(230)로 사용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스티로폼 또는 속이 빈 원통의 외면에 금속재를 더 보강할 경우 부력체(230)가 외력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300)는 망구조물(200)에 설치되어 황토배출기구(400)를 직선왕복이송시키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가이드바(310)와 리드스크류(320), 이송블록(330) 및 모터(340)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바(310)는 지지프레임(210)의 상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는 이송블록(330)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31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310)의 양단에는 착탈가능한 커버가 설치된다.
상기 리드스크류(320)는 공지의 볼스크류(ball screw)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가이드바(310)의 가이드홈(3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송블록(330)은 가이드바(310)의 가이드홈(31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리드스크류(320)에 나사산 결합되며, 리드스크류(32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리드스크류(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송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이송블록(330)은 가이드바(3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데, 돌출된 선단면에는 이후에 설명될 황토배출기구(400)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340)는 공지의 서보모터(servo motor)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리드스크류(320)의 일단에 설치되어 이송블록(330)이 리드스크류(320)를 따라 왕복이송되도록 리드스크류(3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강제구동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모터(340)는 이후에 설명될 제어부(700)에 의해 동작제어된다.
상기 황토배출기구(400)는 내부에 수용된 황토를 하천으로 공급하면서 망구조물(200)에 걸러진 부유물(G)을 좌우로 안내하여 수거함(120)으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호퍼(410)와 안내판(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호퍼(410)는 황토와 같은 분립체를 저장 및 공급하는 공지의 기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이송블록(330)에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호퍼(410)는 전체적으로 상광하협형태를 갖는 각추 또는 원뿔형상으로 하부를 통해 내부에 수용된 황토가 배출된다.
특히, 상기 하부의 배출구에는 무분별한 황토의 배출을 제한하기 위하여 개폐커버(411)가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호퍼(410)에 수용된 황토는 미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응결력(凝結力)이 좋으며, 이로 인해 개폐커버(411)를 개방한다 하더라도 용이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호퍼(410)의 외면에는 다수의 진동자(600)가 설치되며, 진동자(600)를 매개로 호퍼(410)를 진동시켜 내부에 수용된 황토가 하천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참고로, 상기 호퍼(410)에 수용되는 황토는 대기의 산소가 하천에 잘 녹아들 수 있도록 산소를 차단하는 남조류를 포집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비록 황토를 하나의 실시 예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것도 적용실시 가능하다.
상기 안내판(420)는 이송블록(330)에 설치되어 걸름망(210)에 걸러진 부유물(G)이 수거함(120)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안내판(420)에는 다수의 구멍(42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물의 저항을 최소화시켜 하천을 용이하게 가로지를 수 있도록 하여 안내판(420)이 물의 저항에 의해 휘거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안내판(420)을 판 형태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 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용존산소감지센서(500)와 진동자(600) 및 제어부(700)를 설명한다.
상기 용존산소감지센서(500)는 하천의 용존산소(DO)를 감지(측정)하여 감지된 결과치(측정값)를 제어부(700)로 전달하는 공지의 기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부(110)와 지지프레임(21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용존산소감지센서(500)의 경우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성 및 용존산소를 감지(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진동자(600)는 공지의 바이브레이터로서, 호퍼(410)에 설치되어 제어부(700)에 동작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자(600)는 호퍼(410)에 수용된 황토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진동을 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용존산소감지센서(500)로부터 감지된 결과치(측정값)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감지된 결과치(측정값)가 기설정된 값을 벗어날 경우 모터(340)와 진동자(600)를 각각 동작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용존산소감지센서(500)는 하천의 물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용존산소(DO)를 지속적으로 감지(측정)하고, 감지된 결과치(측정값)는 제어부(700)로 전달되며, 제어부(700)는 용존산소감지센서(5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된 결과치(측정값)를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용존산소감지센서(500)에 의해 감지된 결과치(측정값)가 제어부(700)의 기설정된 값을 벗어날 경우 제어부(700)는 모터(340)와 진동자(600)를 동시에 동작시키게 되는데, 제어부(700)에 의해 모터(340)가 구동되면 리드스크류(320)는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리드스크류(320)에 나사산 결합된 이송블록(330)은 리드스크류(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이송블록(330)에 고정된 황토배출기구(400)는 이송블록(330)과 함께 자연스럽게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황토배출기구(400)의 호퍼(410)에 설치된 진동자(600)의 진동으로 인해 황토는 배출구를 통해 용이하게 하천으로 배출된다.
더군다나, 상기 호퍼(410)가 이동될 때에 이송블록(330)에 설치된 안내판(420) 역시 함께 이동되면서 망구조물(200)에 걸린 부유물(G)을 좌우로 이동시켜 수거함(120)으로 유도되도록 하며, 유도된 부유물(G)은 수거함(120)을 향해 경사진 지지프레임(210)의 양단부를 통해 용이하게 안내되어 수거함(120)으로 유입되므로 하천의 흐름 및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부유물(G)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제어부(700)는 설정상태에 따라 모터(340)를 구동시켜 이송블록(330)을 1회 왕복이송시키고 동작을 멈추도록 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수회 왕복이송 후 멈추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비가 오지 않는 건기가 지속되면 여름철 폭염 및 하천의 흐름이 없는 경우 저수되어 있는 하천의 수온이 급상승하게 되고, 남조류가 대량증식해 물이 녹색으로 물드는 녹조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로 인해 하천의 용존산소(DO)가 달라지는데, 이와 같은 용전산소(DO)를 용존산소감지센서(500)가 하천의 물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실시간으로 감지(측정)하게 되고, 감지된 결과치(측정값)를 제어부(700)로 전달되며, 제어부(700)는 용존산소감지센서(5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된 결과치(측정값)를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용존산소감지센서(500)에 의해 감지된 결과치(측정값)가 제어부(700)의 기설정된 값을 벗어날 경우 제어부(700)는 모터(340)와 진동자(600)를 동시에 동작시키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모터(340)가 구동되는데, 모터(340)의 구동에 의해 리드스크류(320)는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리드스크류(320)에 나사산 결합된 이송블록(330)은 리드스크류(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이송블록(330)에 고정된 황토배출기구(400)는 이송블록(330)과 함께 자연스럽게 이동된다.
특히, 상기 황토배출기구(400)의 호퍼(410)가 이동할 때에 진동자(600) 역시 함께 동작하게 되며, 진동자(600)의 진동으로 인해 황토는 개폐커버(411)를 통해 용이하게 하천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호퍼(410)가 이동될 때에 이송블록(330)에 설치된 안내판(420) 역시 함께 이동되는데, 이로 인해 망구조물(200)에 걸린 부유물(G)은 안내판(420)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며, 지지프레임(210)의 경사진 양단부로 유도되어 자연스럽게 수거함(120)에 수거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용을 통해 녹조현상을 해소하면서 하천의 흐름 및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부유물(G)을 원활하게 제거하여 자연생태하천이 보다 깨끗해 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물막이구조물 110: 본체부 120: 수거함
200: 망구조물 210: 지지프레임 220: 걸름망
230: 부력체 300: 이송장치 310: 가이드바
320: 리드스크류 330: 이송블록 340: 모터
400: 황토배출기구 410: 호퍼 420: 안내판
500: 용존산소감지센서 600: 진동자 700: 제어부
G: 부유물

Claims (1)

  1.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가이드홈(111)을 갖추고서,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부유물(G)을 수거하고 수거된 부유물(G)은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수거함(120)을 갖춘 물막이구조물(100)과;
    전체적으로 직사각형태를 이루되, 양단부가 수거함(120)을 향해 경사진 지지프레임(210)과, 지지프레임(210)에 설치되어 물은 통과시키고 부유물(G)은 차단하는 걸름망(220)과, 지지프레임(210)에 고정되어 하천의 수위변화에 따라 지지프레임(210)과 걸름망(220)이 승강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230)를 갖춘 망구조물(200)과;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311)을 갖추고서, 지지프레임(210)의 상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바(310)와, 가이드바(310)의 가이드홈(3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드스크류(320)와, 가이드바(310)의 가이드홈(31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리드스크류(320)에 나사산 결합되어 리드스크류(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송하는 이송블록(330)과, 리드스크류(320)의 일단에 설치되어 이송블록(330)이 리드스크류(320)를 따라 왕복이송되도록 리드스크류(3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강제구동하는 모터(340)를 갖춘 이송장치(300)와;
    전체적으로 상광하협형태를 이루고, 내부에 황토가 수용되며, 이송블록(330)에 고정되는 호퍼(410)와, 다수의 구멍(421)을 갖추고서, 이송블록(330)에 설치되어 걸름망(210)에 걸러진 부유물(G)을 수거함(120)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안내판(420)을 갖춘 황토배출기구(400)와;
    본체부(110)와 지지프레임(210) 사이에 설치되어 하천의 용존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제어부(700)로 전달하는 용존산소감지센서(500)와;
    호퍼(410)에 설치되고, 제어부(700)에 의해 동작제어되며, 호퍼(410)에 수용된 황토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진동을 가하는 진동자(600)와;
    용존산소감지센서(500)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기설정된 값을 벗어날 경우 모터(340)와 진동자(60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생태하천유지를 위한 하천정비용 취입보구조물.
KR1020120089040A 2012-08-14 2012-08-14 자연생태하천유지를 위한 하천정비용 취입보구조물 KR101210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040A KR101210549B1 (ko) 2012-08-14 2012-08-14 자연생태하천유지를 위한 하천정비용 취입보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040A KR101210549B1 (ko) 2012-08-14 2012-08-14 자연생태하천유지를 위한 하천정비용 취입보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0549B1 true KR101210549B1 (ko) 2012-12-11

Family

ID=47907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040A KR101210549B1 (ko) 2012-08-14 2012-08-14 자연생태하천유지를 위한 하천정비용 취입보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5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059B1 (ko) * 2021-03-02 2021-08-26 (주)단엔지니어링 하수처리장의 하수처리를 위한 부유물 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986B1 (ko) 2006-10-20 2007-01-25 (주)평화엔지니어링 하천의 부유쓰레기 포집 기능이 있는 수중보
JP2011510192A (ja) 2008-01-14 2011-03-31 チョ,ウル−チェ 生体活性化ブロック
KR101160924B1 (ko) 2010-08-19 2012-06-29 함명수 하수악취 처리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986B1 (ko) 2006-10-20 2007-01-25 (주)평화엔지니어링 하천의 부유쓰레기 포집 기능이 있는 수중보
JP2011510192A (ja) 2008-01-14 2011-03-31 チョ,ウル−チェ 生体活性化ブロック
KR101160924B1 (ko) 2010-08-19 2012-06-29 함명수 하수악취 처리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059B1 (ko) * 2021-03-02 2021-08-26 (주)단엔지니어링 하수처리장의 하수처리를 위한 부유물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556B1 (ko) 생태하천을 유지하기 위한 하천제방구조물
KR101709143B1 (ko) 수중 오염원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1243415B1 (ko) 빗물정화장치
KR101363853B1 (ko) 건축물용 우수 포집 및 재활용 시스템
CN107574803B (zh) 一种河湖水面漂浮物的收集装置
CN108012967B (zh) 大型休闲智能无害化水产养殖网箱
KR101479179B1 (ko) 수면의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부유물 제거장치 및 부유물 제거방법
KR101441852B1 (ko)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서 발생 되는 하천수와 빗물에 함유된 각종 쓰레기들과 협잡물들을 완벽하게 처리하여 저장하거나 깨끗하게 정수하는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 처리시스템
KR102007265B1 (ko) 수질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교량형 수위변동 채수장치
KR101210554B1 (ko) 친환경 생태조성을 위한 하천의 수질개선장치
KR200414264Y1 (ko) 빗물의 오염물질처리장치
CN1267611C (zh) 雨水收集和灌装系统
KR100511208B1 (ko) 재활용 및 홍수방지용 빗물저수조 시스템
KR101210549B1 (ko) 자연생태하천유지를 위한 하천정비용 취입보구조물
KR101005842B1 (ko) 하천환경정화기구
KR200407931Y1 (ko) 저수기능을 갖는 하천의 자연정화구조물
KR101574480B1 (ko)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주는 친환경 수질정화용 가동보 수문 시스템
KR20110131868A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210560B1 (ko) 생태복원을 위한 하천수질개선장치
KR100422406B1 (ko) 해저 폐기물 수거장치
KR20160060012A (ko) 하천수에 함유된 미립자성 오염물질들, 각종 쓰레기들 및 유체성 오염물질분자들을 완벽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수질 정화기 겸용 친환경 발전 시스템
KR101239408B1 (ko) 이물질제거구가 구비된 스크린 장치
KR20140032517A (ko) 하천수를 다단계로 저장하여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자연생태계를 살려내는 자연 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
US20200291630A1 (en) Stormwater channel and method for improving a stormwater channel ecosystem
KR20150136737A (ko)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서 하천으로 유입되는 각종 오염물질들과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켜 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하천수 정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