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362B1 - 링크를 이용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링크를 이용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362B1
KR101210362B1 KR1020050126365A KR20050126365A KR101210362B1 KR 101210362 B1 KR101210362 B1 KR 101210362B1 KR 1020050126365 A KR1020050126365 A KR 1020050126365A KR 20050126365 A KR20050126365 A KR 20050126365A KR 101210362 B1 KR101210362 B1 KR 101210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haracter
communication terminal
search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5682A (ko
Inventor
이승업
조영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6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362B1/ko
Publication of KR20070065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퍼링크를 이용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문장 중 특정 문자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드부; 및 상기 선택된 문자를 이용하여 대응된 하이퍼링크 기능을 수행하는 하이퍼링크 기능 처리부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검색 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가 텍스트를 표시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과정; 상기 표시된 텍스트 중 특정 문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그 문자가 숫자인지를 확인하는 제2 과정; 상기 문자가 숫자인 경우 숫자대응 하이퍼링크 기능을 수행하는 제3 과정; 및 상기 문자가 숫자가 아닌 경우 문자대응 하이퍼링크 기능을 수행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별도로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고 화면에 표시된 문장중 선택된 문자를 이용한다. 또한 화면에 표시된 문장에 포함된 전화번호의 경우 저장 및 발신이 용이하다. 즉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장점이 있다.
하이퍼링크, 검색, 문자 선택, 발신

Description

링크를 이용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FUNCTION USING LINK}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검색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
도 3은 도 2의 링크 기능 수행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
도 4는 도 3의 숫자대응 링크 기능 수행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
도 5는 도 3의 문자대응 링크 기능 수행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가 수신된 문자를 편집하고자 할 경우의 화면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가 숫자대응 링크 기능을 수행할 경우의 화면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
도 8a 내지 도 8i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가 문자대응 링크 기능을 수행할 경우의 화면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링크를 이용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용 통신 서비스 폰(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hone), IMT-2000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등과 같이, 휴대가 가능하여 이동하면서 통신 서비스(예컨대,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 교환 등)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개발 초기에는 통화나 문자 등을 교환하기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메모리(이하, '이동통신단말기 메모리'라 칭함)에는 상기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들(예컨대, 시스템 구동 제어를 위한 구동 프로그램,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들, 전화번호부, 주소록, 단문 메시지 등)만이 저장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동 통신 기술 및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데이터 통신 속도가 크게 향상되었고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망이 구축되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메모리 용량 증가로 인하여 이동통신단말기 내에 다양한 정보들을 대량으로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동통신단말기 내에 저장된 정보들은 대응된 기능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그 정보들은 서로 공유되지 않고, 이를 검색/관리하는 방법도 각 기능 자체에서만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인명정보는 전화번호부 기능을 이용해 관리하고 일정정보는 스케줄 또는 달력 기능을 이용해 관리하고 간단한 메모 등은 메모 기능을 이용해 관리할 뿐 그 저장된 정보들이 서로 연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기능 이용 도중 관련된 다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현재 이용하고 있는 기능을 종료하고 다른 기능을 실행시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한 후 다시 원래 기능을 실행시켜야만 했다. 예를 들어 수신메시지 확인 중에 사전 검색을 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수신메시지 확인 기능을 종료하고 사전 검색을 수행한 후 다시 수신메시지 확인 기능을 수행하여야 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데이터의 저장 및 검색과 관련하여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는 반면, 그 기능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은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지 않고 다양한 기능만을 제공하였다. 이로 인해 그 사용자들은 여러 기능들을 수행시키며 정보를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만 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들에게 편리한 검색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링크를 이용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링크를 이용하여 검색된 결과를 이용한 발신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문장 중 특정 문자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드부; 및 상기 선택된 문자를 이용하여 대응된 링크 기능을 수행하는 링크 기능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링크 기능 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문자에 대한 문자인식 결과 상기 선택된 문자가 숫자인 경우 숫자 대응 링크 기능인 통화 연결 및 전화번호 저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가 숫자가 아닌 경우 문자 대응 링크 기능인 사전검색, 지식검색 및 주소록 검색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 기능 처리부는 상기 사전 검색을 위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에 저장된 내부 사전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접속 가능한 웹 사전 중 어느 하나를 검색하고, 상기 내부 사전이 저장된 위치 정보 및 상기 웹 사전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 기능 처리부는 상기 지식검색을 위한 지식검색 사이트 정보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검색 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가 텍스트를 표시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과정; 상기 표시된 텍스트 중 특정 문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그 문자가 숫자인지를 확인하는 제2 과정; 상기 문자가 숫자인 경우 숫자대응 링크 기능을 수행하는 제3 과정; 및 상기 문자가 숫자가 아닌 경우 문자대응 링크 기능을 수행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1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기능, 즉, 수신메시지 확인, 일정관리, 메모관리 및 인터넷 검색 결과 문서 확인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중인지를 확인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과정은 상기 선택된 문자에 대한 문자인식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 과정은 통화연결 및 전화번호 저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 과정은 사전검색, 지식검색 및 주소록 검색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이 때 첨부한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키패드부(110), 메모리부(120), 링크기능 처리부(130), 무선통신부(140), 마이크부(150), 스피커부(160), 디스플레이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키패드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키패드부(110)는 링크 기능 수행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키패드부(110)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표시된 문장 중 링크 기능을 수행할 문자의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키패드부(110)는 키 버튼 및 터치 패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메모리부(12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들(예컨대, 시스템 구동 제어를 위한 구동 프로그램,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들, 전화번호부, 주소록, 단문메시지 등)을 저장한다.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를 받아 링크 기능을 수행한다. 즉,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제어부(180)를 통해 링크 기능을 수행할 문자(예컨대, 한글/영자 또는 숫자)의 선택 정보가 전달되면 그 문자를 이용한 링크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제어부(180)를 통해 숫자가 전달되면 숫자대응 링크 기능(예컨대, 통화 연결, 전화번호 저장 등)을 수행하고, 제어부(180)를 통해 숫자가 아닌 문자(예컨대, 한글 또는 영문자)가 전달되면 문자대응 링크 기능(예컨대, 사전검색, 지식검색 및 주소록 검색 등)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40)는 무선망을 통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140)는 무선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한다. 특히 무선통신부(14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거하여 링크 기능을 이용한 무선 통신(예컨대, 통화 연결, 인터넷 접속 등)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부(150)는 주변의 음향신호(예컨대, 사용자의 목소리 등)를 수집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하고, 스피커부(160)는 제어부(180)의 제어를 받아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제어부(180)의 제어를 받아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70)는 링크 기능 수행 결과를 디스플레이함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80)는 키패드부(110)를 통해 입력된 신호 또는 메모리부(120)에 기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된 문장 중 특정 문자의 선택 정보에 의거하여 링크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키패드부(110)를 통해 문자의 선택정보가 전달되면 그 선택된 문자를 링크 기능 처리부(130)로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검색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즉,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검색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기 위해 먼저 디스플레이부(170)에 텍스트가 표시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0).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이동통신단말기(100)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기능을 수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수신메시지 확인, 일정 관리, 메모 관리 및 인터넷 검색 결과 문서 확인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단(S100) 결과 디스플레이부(170)에 텍스트가 표시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텍스트 중 특정 문자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가 편집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편집 기능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70)가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신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화면 좌측 하단에 '메뉴'버튼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그 '메뉴'버튼을 선택하면 현재 상태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들(예컨대, 편집, 저장, 삭제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사용자는 도 6b에 예시된 '메뉴'로부터 '편집'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 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가 편집 기능을 선택하면(S200) 제어부(180)는 문자 선택을 대기한다(S300). 즉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된 텍스트 중 특정 문자의 선택을 기다린다. 이 때 사용자는 키패드부(110)를 조작하여 링크 기능 수행을 위한 문자를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이해 사용자는 방향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문자의 시작 부분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특별한 키(예컨대, 확인 키 등)를 눌러 해당 문자를 하이라이트할 수 있도록 초기화한 후 다시 방향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어 또는 번호를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문자가 선택되면(S500) 제어부(180)는 그 선택된 문자를 하이퍼 링크 처리부(130)로 전달하여 하이퍼 링크 처리부(130)가 그 문자에 대응된 링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S600). 상기 링크 기능 수행 과정(S600)에 대한 구체적인 처리 과정은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링크 기능 수행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로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링크 기능 수행 과정(S600)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80)를 통해 사용자의 문자 선택 정보를 전달받은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문자 인식을 수행하고(S610) 그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문자가 숫자인가를 확인한다(S630). 상기 확인(S630) 결과 선택된 문자가 숫자이면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숫자대응 링크 기능을 수행하고(S650), 그렇지 않으면, 즉 선택된 문자가 숫자가 아닌 영자 또는 한글이면,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문자대응 링크 기능을 수행한다(S670). 이 때 상기 숫자 및 문자에 대응한 링크 기능 수행 과정들(S650, S670) 각각에 대한 구체적인 처리 과정의 예가 도 4 및 도 5에 예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숫자대응 링크 기능 수행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3의 문자대응 링크 기능 수행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고,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가 숫자대응 링크 기능을 수행할 경우의 화면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8a 내지 도 8i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가 문자대응 링크 기능을 수행할 경우의 화면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도 4 및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숫자대응 링크 기능 수행 과정(S650)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도 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신메시지 확인 창에서 숫자('02-123-7777')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180)를 통해 그 숫자 정보를 전달받은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사용자에게 숫자대응 링크 기능(예컨대, 통화연결 및 전화번호 저장 등)선택을 요청한다(S651). 이를 위해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디스플레이부(170)에 숫자대응 링크 기능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함이 바람직하다. 도 7b는 숫자대응 링크 기능 선택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경우의 화면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방향키의 이동 또는 대응된 숫자키의 입력에 의거하여 원하는 링크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링크 기능을 선택하면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선택된 링크 기능을 확인한다(S652). 사용자가 '통화 연결'을 선택한 경우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디스플레이부(170)에 통화요청 화면을 표시하고(S656), 상기 인식된 숫자를 착신번호로 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S657) 후 그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658). 이를 위해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제어부(180)를 통해 무선 통신부(140)로 전달하고, 무선 통신부(140)가 그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상기 과정(S656)에서 통화요청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경우의 화면 예가 도 7c에 예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확인(S652) 결과 사용자가 '전화번호 저장'을 선택한 경우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디스플레이부(170)에 전화번호 저장화면을 표시한다(S653). 그리고 사용자가 전화번호 저장조건을 선택하면(S654), 제어부(180)는 선택된 전화번호 저장조건에 의거하여 인식된 숫자를 메모리(120)에 저장한다(S655). 즉 메모리(12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 해당 전화번호를 추가한다. 이 때, '전화번호 저장조건'은 전화번호 저장대상(예컨대, 이름 등), 전화번호 종류(예컨대, 핸드폰, 집, 회사 등) 등 전화번호 저장시에 확인하는 모든 정보들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도 7d는 상기 과정(S653)에서 전화번호 저장화면이 표시된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d를 참고하면 상기 인식된 숫자를 새로운 연락처로 등록할 것인지, 기존에 등록된 이름에 추가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전화번호 저장 윈도우가 화면 중앙에 디스플레이된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도 5 및 도 8a 내지 도 8i를 참조하면 문자대응 링크 기능 수행 과정(S670)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도 8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신메시지 확인 창에서 문자('차남')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180)를 통해 그 문자 정보를 전달받은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사용자에게 문자대응 링크 기능(예컨대, 사전검색, 지식검색 및 주소록 검색 등)선택을 요청한다(S671). 이를 위해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디스플레이부(170)에 문자대응 링크 기능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함이 바람직하다. 도 8b는 문자대응 링크 기능 선택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경우의 화면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방향키의 이동 또는 대응된 숫자키의 입력에 의거하여 원하는 링크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링크 기능을 선택하면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선택된 링크 기능을 확인한다(S672). 사용자가 '사전검색'을 선택한 경우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인식된 문자를 이용하여 사전검색을 수행한 후(S679)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한다(S680). 상기 과정(S679)에서 검색 대상이 되는 사전은 이동통신단말기(100) 내부 메모리(예컨대,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사전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접속 가능한 웹 사전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사전 연결 정보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사전이 내부 사전인 경우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그 사전이 저장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전이 웹 사전인 경우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그 접속 정보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사전 연결 정보는 메모리부(120)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사전이 웹 사전인 경우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해당 웹 사전에 접속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여야 한다. 도 8c는 상기와 같은 사전 검색 결과가 디스플레이부(170)에 디스플레이된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전 검색 결과는 학습을 위해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70)에 사전 검색 결과 처리 방법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함이 바람직하다. 도 8d는 사전 검색 결과 처리 방법 선택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8d는 도 8c의 화면 좌측 하단에 표시된 메뉴 버튼을 선택한 경우의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사용자는 방향키의 이동 또는 대응된 숫자키의 입력에 의거하여 원하는 작업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숫자키 '1'을 입력하거나 방향키를 이동하여 '저장'기능을 선택하여 검색 결과의 저장을 요청한 경우(S681) 제어부(180)는 상기 검색 결과를 메모리부(120)에 저장한다(S682).
한편 상기 확인(S672) 결과 사용자가 '지식검색'을 선택한 경우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지식검색을 위한 기본사이트(예컨대, 네이버, 구글, 야후 등)가 저장되었는지를 확인한다(S673). 만약 상기 기본사이트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사용자에게 지식검색 사이트 선택을 요청한다(S674). 이를 위해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디스플레이부(170)에 지식검색 사이트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함이 바람직하다. 도 8e는 지식검색 사이트 선택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경우의 화면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방향키의 이동 또는 대응된 숫자키의 입력에 의거하여 원하는 링크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메뉴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지식 검색 사이트를 선택하면(S675)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그 사이트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달하여 해당 지식 검색 사이트로 접속한다(S676). 만약 상기 확인(S673) 결과 지식 검색을 위한 기본 사이트가 저장된 경우 상기 과정(S676)에서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상기 저장된 지식 검색 사이트 로 접속한다. 도 8f는 상기 과정(S676)에서 지식검색 사이트로 접속 중임을 나타내기 위한 화면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지식 검색 사이트로의 접속이 완료되면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인식된 문자를 이용하여 지식 검색을 수행한 후(S677)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S678).
이 경우에도 '사전 검색'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요청에 의거하여 지식검색 결과를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주소록 검색'을 선택한 경우 링크 기능 처리부(130)는 인식된 문자를 이용하여 메모리부(120)에 기 저장된 주소록 검색을 수행한 후(S683)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한다(S684).
도 8g는 사용자가 주소록 검색을 위해 수신 메시지 내용 중 '인명(즉, 홍길동)'을 선택한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h 및 도 8i는 주소록 검색 결과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 때, 도 8h는 수신메시지 확인 화면을 삭제하고 주소록 검색 결과를 표시한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도 8i는 수신메시지 확인 화면 위에 주소록 검색 결과를 팝업창으로 띄운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내에 저장된 문서 또는 전화번호부 및 웹 사이트의 검색시 사용자가 별도로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고 화면에 표시된 문장 중 선택된 문자를 이용한다. 또한 화면에 표시된 문장에 포함된 전화번호의 경우 저장 및 발신이 용이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문장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일부(단어 또는 숫자)를 이용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예컨대, 검색, 발신, 전화번호 저장 등)의 입력 인자로 사용함으로써 해당 애플리케이션 수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2)

  1.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문장 중 특정 문자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드부;
    상기 선택된 문자에 대한 문자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문자 인식의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선택된 문자가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선택된 문자가 숫자이면 숫자대응 링크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선택된 문자가 숫자가 아니면 문자대응 링크 기능을 수행하는 링크 기능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능 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문자가 숫자인 경우 통화 연결 및 전화번호 저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능 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문자가 숫자인 경우 숫자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능 처리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 저장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선택된 문자가 숫자인 경우 숫자를 전화번호로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능 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문자가 숫자가 아닌 경우 사전검색, 지식검색 및 주소록 검색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능 처리부는
    상기 사전 검색을 위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에 저장된 내부 사전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접속 가능한 웹 사전 중 어느 하나를 검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능 처리부는
    상기 내부 사전이 저장된 위치 정보 및 상기 웹 사전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사전이 저장된 위치 정보 및 상기 웹 사전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능 처리부는
    상기 지식검색을 위한 지식검색 사이트 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검색을 위한 지식검색 사이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2.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가 텍스트를 표시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과정;
    상기 표시된 텍스트 중 특정 문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문자에 대한 문자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문자 인식의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선택된 문자가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2 과정;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선택된 문자가 숫자인 경우 숫자대응 링크 기능을 수행하는 제3 과정;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선택된 문자가 숫자가 아닌 경우 문자대응 링크 기능을 수행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기능을 수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수신메시지 확인, 일정관리, 메모관리 및 인터넷 검색 결과 문서 확인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중인지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통화연결 및 전화번호 저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상기 선택된 문자가 숫자인 경우 숫자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 저장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선택된 문자가 숫자인 경우 숫자를 전화번호로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과정은
    사전검색, 지식검색 및 주소록 검색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과정은
    상기 사전 검색을 위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에 저장된 내부 사전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접속 가능한 웹 사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과정은
    기 저장된 내부 사전의 위치 정보 및 웹 사전에 대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사전 검색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과정은
    기 저장된 지식검색 사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지식 검색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KR1020050126365A 2005-12-20 2005-12-20 링크를 이용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210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365A KR101210362B1 (ko) 2005-12-20 2005-12-20 링크를 이용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365A KR101210362B1 (ko) 2005-12-20 2005-12-20 링크를 이용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682A KR20070065682A (ko) 2007-06-25
KR101210362B1 true KR101210362B1 (ko) 2012-12-11

Family

ID=38364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365A KR101210362B1 (ko) 2005-12-20 2005-12-20 링크를 이용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3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636B1 (ko) * 2008-01-29 2015-07-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주소록 검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통신 장치
KR101038087B1 (ko) * 2009-11-30 2011-06-0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하이퍼텍스트 제공 방법
KR101425819B1 (ko) * 2009-11-30 2014-08-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문자열 기반 연동서비스 지원 사용자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WO2013187595A1 (ko) * 2012-06-12 2013-12-19 (주)앤드웍스 이동통신 단말기용 관련정보 제공장치 및 관련정보 공유 시스템
KR101307578B1 (ko) * 2012-07-18 2013-09-12 티더블유모바일 주식회사 검색 기능이 부여된 대표전화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7187A (ja) 2004-03-18 2005-09-29 Nec Corp リンク情報付加装置及びリンク情報付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7187A (ja) 2004-03-18 2005-09-29 Nec Corp リンク情報付加装置及びリンク情報付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682A (ko) 2007-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5592B2 (ja) ユーザの語およびユーザのアクションのコンテクストによる予測
US83354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selection in a portable device
KR101224421B1 (ko) 바이트-바이-바이트 비교를 사용한 오브젝트의 검색 및제공
JP2012507199A (ja) 移動通信装置による文脈検索
JP2005080094A (ja) 通信装置及びその用件通知方法
JP2010511217A (ja) 単語予測
KR101210362B1 (ko) 링크를 이용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5031550B2 (ja) 携帯端末
US200200761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 sensitive text recognition
JP4497418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相手選択発信方法
JP3321088B2 (ja) 通信機能付き情報機器
US20120220275A1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JP481971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07132578A1 (ja) 施設検索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200800429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input mode in portable terminal
KR100312232B1 (ko) 터치스크린패널을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구비하는 디지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방법
JP4313013B2 (ja) 携帯端末装置、その情報処理方法及び、その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493515B2 (ja) 携帯端末装置、情報検索方法およ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US8108796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device
JP2011198070A (ja) 名刺&メモ情報連携管理装置、名刺&メモ情報連携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53664A (ja) 識別マーク登録方法、電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352468B2 (en) Top search hits based on learned user preferences
KR101198169B1 (ko) 인터넷 접속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인터넷접속정보 표시방법
JP2002183126A (ja) 仮名漢字変換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辞書サーバ装置
KR100568495B1 (ko) 휴대용 전자 장치 및 휴대용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