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144B1 - Smart-Phone Platform for Resolution Switching - Google Patents

Smart-Phone Platform for Resolution Switc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144B1
KR101209144B1 KR1020100110990A KR20100110990A KR101209144B1 KR 101209144 B1 KR101209144 B1 KR 101209144B1 KR 1020100110990 A KR1020100110990 A KR 1020100110990A KR 20100110990 A KR20100110990 A KR 20100110990A KR 101209144 B1 KR101209144 B1 KR 101209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isplay
display device
image
platform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9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49633A (en
Inventor
이창건
권오철
김강욱
위경수
한재화
박명곤
이두희
김종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10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144B1/en
Publication of KR20120049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6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1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상도가 저하되지 않으면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영상을 연동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의 플랫폼은 외부 디스플레이 검색을 위한 외부 디스플레이 검색부; 외부 디스플레이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하도록 스마트폰의 영상 해상도의 변환을 위한 해상도 전환 모듈; 단말기 영상 제어를 위한 서피스 매니징 라이브러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 신호 전송을 위한 제 1 프레임 버퍼; 및 단말기의 표시부에 영상 신호 전송을 위한 제 2 프레임 버퍼;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form of a smart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tform of a smartphone capable of interlocking an image with an external display device without degrading the resolution.
Platform of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display search unit for an external display search; A resolution switching module for converting the image resolution of the smartphone to correspond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retrieved by the external display search unit; A surface management library for controlling terminal video; A first frame buffer for transmitting a video signal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And a second frame buffer for transmitting a video signal to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Description

해상도 전환을 위한 스마트폰의 플랫폼{Smart-Phone Platform for Resolution Switching}Smart phone platform for resolution switching

본 발명은 해상도 전환을 위한 스마트폰의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의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form of a smartphone for switching resolu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tform of a smartphone capable of interworking a user interface of the smartphone with an external display device.

모바일 프로세서와 무선 인터넷 기술이 발전하면서 웹 서핑, 동영상 감상, 문서 편집 등의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보급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이렇듯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휴대하기가 간편하여 급속히 발달하고 있지만, 휴대를 위해 휴대폰의 화면 크기에 제약이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편의에 대해서는 한계를 갖는다.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processors and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smartphones are being used to perform various tasks such as surfing the web, watching videos, and editing documents. Smartphones are rapidly developing because they are easy to carry while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but there are limitations on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terfac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creen size of the mobile phone for carrying.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TV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마트폰을 연동하여 스마트폰의 화면을 전송하는 기술이 이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일반적인 기술은 단순히 TV-OUT 등을 통해서 스마트폰의 영상 신호를 그대로 전송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표시부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해상도 차이로 기인한 영상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기술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의 영상이 단순히 대화면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확대되기 때문에 소형화면에서 표시되는 것과는 상당히 품질이 저하된 영상이 표시된다. In order to improve this disadvantage, a technology of transmitting a screen of a smartphone by interlocking a display device such as a TV and a smartphone may be used. However, the general technology for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smartphone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simply transmits the image signal of the smartphone through TV-OUT, so that the image quality due to the difference in resolu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and the external display device is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of deterioration. That i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since the image of the smartphone is simply enlarged on the external display device of the large screen, the image which is considerably degraded from that displayed on the small screen is displayed.

또한, 이와 같이 종래의 방식으로 스마트폰의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경우에 스마트폰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현되는 영상은 동일하게 되고, 각각의 기기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모콘의 조작과 스마트폰의 조작이 별개로 수행되어야 한다.
In addition, when the image of the smartphone is displayed on the external display device in the conventional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expressed on the smartphone and the external display device becomes the same, and in order to operate each device,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of the external display device is performed. And the operation of the smartphone must be performed separate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해상도 저하가 없이 스마트폰의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플랫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necessity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to provide a platform of the smart phone that can interlock the image of the smart phone with an external display device without degrading the resolution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플랫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tform of a smartphone that can simplify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isplay device linked to the smartphon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의 플랫폼은 외부 디스플레이 검색을 위한 외부 디스플레이 검색부; 외부 디스플레이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하도록 스마트폰의 영상 해상도의 변환을 위한 해상도 전환 모듈; 단말기 영상 제어를 위한 서피스 매니징 라이브러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 신호 전송을 위한 제 1 프레임 버퍼; 및 단말기의 표시부에 영상 신호 전송을 위한 제 2 프레임 버퍼;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latform of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display search unit for external display search; A resolution switching module for converting the image resolution of the smartphone to correspond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retrieved by the external display search unit; A surface management library for controlling terminal video; A first frame buffer for transmitting a video signal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And a second frame buffer for transmitting a video signal to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외부 디스플레이 검색부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The external display searcher may search for an external display device using Wi-Fi.

제 1 프레임 버퍼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해상도를 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rame buffer may include a memory for image resolution of the external display device.

스마트폰의 플랫폼은 단말기의 영상 프레임의 제어를 위한 표시부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고, 제 2 프레임 버퍼는 표시부 컨트롤러로부터 영상 프레임을 전송받을 수 있다.The platform of the smartphone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mage frame of the terminal, and the second frame buffer may receive the image frame from the display controller.

표시부 컨트롤러는 단말기에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 프레임의 제어를 위한 리모콘 영상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controller may include a remote controller image frame for controlling the image frame displayed on the external display device in the terminal.

해상도 전환 모듈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해상도에 따라서 스마트폰에 의해 작동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전환할 수 있다.The resolution switching module may switch the resolution of the image operated by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image resolution of the external display device.

이러한 스마트폰의 플랫폼은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 모듈; 플랫폼 운영을 위한 커널; 하드웨어 추상 레이어; 및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플랫폼일 수 있다.The platform of such a smartphone includes an application layer module including an application; Kernel for platform operation; Hardware abstract layer; And it may be an Android-based platform including a;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의 플랫폼은 외부 디스플레이 검색을 위한 외부 디스플레이 검색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더블 버퍼링 방식에 대응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의 영상 프레임을 변환하는 영상 전환 버퍼;를 구비한다.
Platform of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xternal display search unit for the external display search; And an image conversion buffer that converts an image frame of an application to correspond to a double buffering scheme of the external display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에서 동적으로 해상도를 전환함으로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영상의 연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한 최상의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having the best resolution suitable for the display device can be provided when the image is interlocked with the external display device by dynamically changing the resolution in the smartphone.

또한, 스마트폰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동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고 수월한 디스플레이 조작이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image of the external display device can be controlled by using the smartphone in interworking with the smartphone and the external display device, display operation is more easily and easi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의 플랫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프레임 버퍼부의 동작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플랫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의 리모콘 활용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latform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a frame buffer unit.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latfor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utilization of the remote control of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general terms that are widely used at present, there are some terms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a specific case. In this case, the meaning described or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part of the invention The meaning must be grasp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상도 전환을 위한 스마트폰의 플랫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latform of a smartphone for switching reso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해상도 전환을 위한 스마트폰의 플랫폼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110)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 모듈(100), 라이브러리(Library, 200), 커널(Kernel, 400), 해상도 전환 모듈(500) 및 프레임 버퍼부(61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a platform of a smartphone for switching reso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pplication layer module 100 including a application 110, a library 200, a kernel 400, a resolution switch The module 500 and the frame buffer unit 610 are provided.

어플리케이션(110)은 스마트폰의 활용을 높이기 위한 응용프로그램 등을 통칭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장치의 플랫폼에서 바로 실행 가능한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과, 포팅 계층과 가상머신이 구비된 미들웨어를 통해 실행되는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110 may collectively refer to an application program for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smartphone. Such applications may include native applications that can be executed directly on the platform of the terminal device, and Android applications that are executed through middleware having a porting layer and a virtual machine.

라이브러리(20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것으로, 코어 클래스 라이브러리 및 네이티브 라이브러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brary 200 is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and may include a core class library and a native library.

커널은 플랫폼 운영을 위한 체제로 리눅스 기반의 커널일 수 있다. The kernel is a system for operating a platform and may be a Linux-based kernel.

하드웨어 추상 레이어(Hardware Abstraction Layer)는 추상 계층을 두어 상위 드라이버나 하위 네이티브 드라이버가 서로 독립적으로 개발된 하드웨어 드라이버일 수 있다. The hardware abstraction layer may be a hardware driver having an abstraction layer and an upper driver or a lower native driver develop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서피스 매니징 라이브러리(Surface Managing Library, 300)는 스마트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 제어를 위한 것으로, 드라이버에서 해상도 정보를 읽고 저장한다. 즉, 단말기의 부팅시 커널(400)에서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를 통해서 단말기 표시부의 해상도 정보를 읽고, 그 정보를 서피스 매니징 라이브러리(300)에 저장한다. The surface managing library 300 is for screen control of a smartphone user interface, and reads and stores resolution information from a driver. That is, upon booting of the terminal, the kernel 400 reads the resolu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isplay unit through the display driver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surface management library 300.

해상도 전환 모듈(500)은 스마트폰의 영상 해상도의 변환을 위한 것이다. 종래의 안드로이드는 단순히 서피스 매니징 라이브러리가 해상도 정보를 읽고 저장을 하는 것이어서, 해상도를 수정할 수 없었다. 본 발명에 의한 해상도 전환을 위한 스마트폰의 플랫폼의 해상도 전환 모듈(500)은 어플리케이션이 부팅될 때 값이 설정이 되는 서피스 매니징 라이브러리의 값을 바로 참조하지 않고 동적으로 해상도를 변화시킨다. 즉, 해상도 전환 모듈(500)은 일반적인 경우에는 서피스 매니징 라이브러리(300)의 값을 리턴하고,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환할 경우에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를 리턴한다.The resolution conversion module 500 is for converting the image resolution of the smartphone. In the conventional Android, the surface management library simply reads and stores the resolution information, so the resolution cannot be modified. The resolution switching module 500 of the platform of the smartphone for resolution swit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ynamically changes the resolution without directly referring to the value of the surface management library whose value is set when the application is booted. That is, the resolution conversion module 500 returns the value of the surface management library 300 in a general case, and the resolution of the external display device when the user interface is switched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외부 디스플레이 검색부(550)는 이처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전환하기 위해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색한다. 이처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색하는 것은 와이-파이(WiFi)를 이용할 수 있다. The external display search unit 550 searches for the external display device in order to switch the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Searching for an external display device as such may use Wi-Fi.

프레임 버퍼부(610)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및 제 2 프레임 버퍼(610,620)를 포함한다. 제 1 프레임 버퍼(61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프레임 버퍼(620)는 스마트폰의 표시부에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The frame buffer unit 610 transmits an image signal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frame buffers 610 and 620. The first frame buffer 610 is for transmitting an image signal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frame buffer 620 is for transmitting an image signal to a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이러한 프레임 버퍼부(610)를 이용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의 영상 데이터를 연동하는 것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2, interlocking of image data of an external display apparatus and a terminal using the frame buffer unit 610 is as follows.

제 1 프레임 버퍼(610)는 어플리케이션(110)을 통하여 해상도 정보를 수신받아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800)로 전송한다. 즉, 어플리케이션(110)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800)로 전송할 영역에 데이트를 기입한다. 제 2 프레임 버퍼(620)는 해상도 정보를 수신받아서 단말기의 표시부(170)로 전송한다. 즉, 단말기의 표시부(170)에 표시할 영역에 표시부 컨트롤러가 데이터를 기입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 버퍼부(610)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800)를 위한 제 1 프레임 버퍼(610), 단말기 표시부(170)를 위한 제 2 프레임 버퍼(620)로 구분함으로써 단말기 및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되는 화면을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구분함으로써 단말기의 영상을 대화면으로 전송하여도, 다른 영상 해상도를 갖는 영상이 출력되기 때문에 대화면에서도 영상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The first frame buffer 610 receives the resolution inform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110 and transmits the resolution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800. That is, the application 110 writes data in an area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800. The second frame buffer 620 receives the resolu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resolu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70 of the terminal. That is, the display controller writes data in the area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of the terminal. As such, the frame buffer unit 610 is divided into a first frame buffer 610 for the external display device 800 and a second frame buffer 620 for the terminal display unit 170 to be output to the terminal and the external display device. Screen can be distinguished. Thus, even if the image of the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big screen by dividing the image data transmitted to each video display device, since the image having a different video resolution is output, the image quality can be maintained even on the big screen.

그리고, 제 1 및 제 2 프레임 버퍼(610,620)의 메모리 할당 정도는 단말기의 표시부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를 기준으로 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단순히 영상의 해상도를 소형화면의 단말기 표시부로 할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외부 표시장치로 연동할 경우에는 대화면에서 해상도가 낮아서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영상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최대 프레임 버퍼 용량을 프레임 버퍼부(610)로 할당할 수 있다. The memory allocation degree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 buffers 610 and 620 may be used based on the resolution of the external display device instead of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Accordingly, when the resolution of the image is simply a terminal display unit of a small screen, when the user interface is interlocked with an external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put of an image whose display quality is degraded due to a low resolution on a large screen. For this purpose, the maximum frame buffer capacity provided by the terminal may be allocated to the frame buffer unit 61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버퍼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frame buffe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 버퍼링은 프레임 버퍼부(610)에서 수신한 영상 프레임을 변환하기 위한 영상 전환 버퍼(700)를 구비한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부(820)는 영상 전환 버퍼(700)에서 변환된 영상 프레임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된 외부 버퍼(810)의 제1 및 제2 버퍼(812,814)를 이용하여 더블 버퍼링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3, frame buffe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n image conversion buffer 700 for converting an image frame received by the frame buffer unit 610. The receiver 820 of the external display device receives the image frame converted by the image conversion buffer 700 and performs double buffering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buffers 812 and 814 of the external buffer 810 mounted on the display device. Perform.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퍼링 방법을 이용하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보다 용량이 작은 단말기 내부의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해상도의 한계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하여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큰 해상도로 전환이 가능하다. By using the buffe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use the memory inside the terminal having a smaller capacity than the external display device. In addition, since the resolution limit can be increased to correspond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switch to a larger resolu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환으로서 단말기의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할 경우에 단말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모컨으로 사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terminal is used as a remote controller of an external display device when an image of the terminal is interlocked with an external display device as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의 표시부(170)에 리모콘의 아이콘(190)을 표시하도록 하고 터치 패널의 표시부(170)를 이용하여 리모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의 표시부에 리모콘의 아이콘(190)을 표현하는 것은, 도 2에서 설명한 표시부 컨트롤러(150)를 이용하여 영상 표현을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n icon 190 of a remote controll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of the terminal, and a func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may be performed using the display unit 170 of the touch panel. As such, expressing the icon 190 of the remote controller on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may display an image using the display controller 15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이와 같이 단말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모콘으로 이용하는 방법은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화면을 단말기에 표시함으로써 스크롤잉 모드(Scrolling mode)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즉, 도 2에서 제 1 프레임 버퍼(610)를 통해서 외부 장치로 전송한 영상 메모리에서 일부를 복사하여 단말기 표시부에 표현함으로써, 표시부의 화면을 스크롤링 하는 방식으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As such, the method of using the terminal as a remote controller of the external display device may be implemented by using a scrolling mode by displaying a screen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on the terminal. That is, by copying a part of the image memory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first frame buffer 610 in FIG. 2 and expressing it on the terminal display, the external display device may be controlled by scroll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and corrections will be possible.

500 : 해상도 전환 모듈 600 : 프레임 버퍼부
150 : 표시부 컨트롤러 700 : 영상 전환 버퍼
500: resolution switching module 600: frame buffer unit
150: display unit controller 700: video switching buffer

Claims (9)

스마트폰 장치에 있어서,
해상도 전환을 위한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검색을 위한 외부 디스플레이 검색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하도록 스마트폰의 영상 해상도의 변환을 위한 해상도 전환 모듈;
단말기 영상 제어를 위한 서피스 매니징 라이브러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 신호 전송을 위한 제 1 프레임 버퍼; 및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에 영상 신호 전송을 위한 제 2 프레임 버퍼;를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폰 장치.
In a smartphone device,
Includes a platform for switching resolutions,
The platform comprises:
An external display search unit for searching an external display device;
A resolution switching module for converting the image resolution of the smartphone to correspond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retrieved by the external display search unit;
A surface management library for controlling terminal video;
A first frame buffer for transmitting an image signal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And
And a second frame buffer for transmitting an image signal to a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검색부는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ernal display search unit is a smart phon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using the Wi-Fi.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 버퍼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해상도를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frame buffer comprises a memory for the image resolution of the external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단말기의 영상 프레임의 제어를 위한 표시부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프레임 버퍼는 상기 표시부 컨트롤러로부터 영상 프레임을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latform further comprises a display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mage frame of the terminal, the second frame buffer is a smartphon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the image frame from the display controll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컨트롤러는 상기 단말기에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 프레임의 제어를 위한 리모콘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splay unit controller includes a remote control image frame for controlling the image frame displayed on the external display device on th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 전환 모듈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해상도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작동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solution switching module is a smartphon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witching the resolution of the image operated by the smartphone in accordance with the image resolution of the external display device.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 모듈;
플랫폼 운영을 위한 커널;
하드웨어 추상 레이어; 및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플랫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platform
An application layer module including an application;
Kernel for platform operation;
Hardware abstract layer; And
A smartphon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droid-based platform including a library.
스마트폰 장치에 있어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검색을 위한 외부 디스플레이 검색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더블 버퍼링 방식에 대응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의 영상 프레임을 변환하는 영상 전환 버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 모듈;
플랫폼 운영을 위한 커널;
하드웨어 추상 레이어;
단말기 영상 제어를 위한 서피스 매니징 라이브러리; 및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은 안드로이드 기반의 플랫폼인 것인 스마트폰 장치.
In a smartphone device,
An external display search unit for searching an external display device;
An image switching buffer converting an image frame of an application to correspond to a double buffering scheme of the external display device;
An application layer module including an application;
Kernel for platform operation;
Hardware abstract layer;
A surface management library for controlling terminal video; And
A platform including a library;
The platform is a smartphone device that is based on Android.
삭제delete
KR1020100110990A 2010-11-09 2010-11-09 Smart-Phone Platform for Resolution Switching KR1012091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990A KR101209144B1 (en) 2010-11-09 2010-11-09 Smart-Phone Platform for Resolution Switc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990A KR101209144B1 (en) 2010-11-09 2010-11-09 Smart-Phone Platform for Resolution Switc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633A KR20120049633A (en) 2012-05-17
KR101209144B1 true KR101209144B1 (en) 2012-12-10

Family

ID=4626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990A KR101209144B1 (en) 2010-11-09 2010-11-09 Smart-Phone Platform for Resolution Switc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14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045B1 (en) * 2012-09-28 2015-01-19 한빛 세마텍(주) Multi display device for smart phone
KR101718046B1 (en) 2015-09-30 201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erforming a dynamic resolution contro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633A (en)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9693B (en) Buffer optimization
US20220398059A1 (en) Multi-window display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CN109618206A (en) The method and display equipment at presentation user interface
WO2018161534A1 (en) Image display method, dual screen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non-volatile storage medium
EP2421254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3126583A (en) Prediction mode decoding method, encoding method, decoding apparatus, encod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160069443A (e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web application, user equipment for the same
CN105550002B (en) Interface display method based on system switching and intelligent terminal
KR102148001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display apparatus
CN111970549B (en) Menu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CN109196865A (en) A kind of data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CN107071561B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CN112437334A (en) Display device
CN112118400A (en) Display method of image on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N111899175A (en) Image convers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CN111954059A (en) Screen saver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KR101209144B1 (en) Smart-Phone Platform for Resolution Switching
CN113395600B (en) Interface switching method of display equipment and display equipment
CN114079819A (en) Content display method and display equipment
CN111818654A (en) Channel access method and display device
CN111078926A (en) Method for determining portrait thumbnail image and display equipment
WO2006104071A1 (en) Mobile terminal
KR101916437B1 (en) Mobile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12363683B (en) Method and display device for supporting multi-layer display by webpage application
CN111259639B (en) Self-adaptive adjustment method of table and display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