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740B1 - Handphone case having self-generating function - Google Patents

Handphone case having self-generat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740B1
KR101208740B1 KR1020120023856A KR20120023856A KR101208740B1 KR 101208740 B1 KR101208740 B1 KR 101208740B1 KR 1020120023856 A KR1020120023856 A KR 1020120023856A KR 20120023856 A KR20120023856 A KR 20120023856A KR 101208740 B1 KR101208740 B1 KR 101208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haracter
mobile phone
unit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우철
Original Assignee
정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철 filed Critical 정우철
Priority to KR1020120023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7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7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terminal case including a nonutility generation function is provided to express the individuality of a user by forming the case as various kinds of a character shape. CONSTITUTION: A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unit(121~123) supports a main body(111). A main body supporting unit(131) is inserted into the inside main body or is projected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a portable terminal(200), a character unit(140) outputs light, sound, or images. The character unit or the main body supporting unit comprises a head, a hand, a leg, an arm, a wheel, or a wing. The head, the hand, the leg, the arm, the wheel, or the wing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Description

자가발전이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HANDPHONE CASE HAVING SELF-GENERATING FUNCTION}Mobile phone case which can generate electricity {HANDPHONE CASE HAVING SELF-GENERATING FUNCTION}

본 발명은 자가발전이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관이 자동차 또는 비행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캐릭터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핸드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ase capable of self-power genera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ase in which the appearance is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characters such as a car or an airplane.

일반적으로, 핸드폰 케이스는 휴대폰을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의 침투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목적과 함께, 사용자의 개성표현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섬유나 가죽재질의 포켓형태로 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경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로 사출 성형된 제품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In general, the mobile phone case is used as a means for expressing the personality of the user, with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mobile phone from external shocks or foreign matters intrusion, and was conventionally manufactured in the form of pockets made of fiber or leather. There is a trend in the injection molded products in the same form as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phone using a hard or soft synthetic resin.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드폰 케이스는 사용자의 개성표현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그 용도가 육면체로 형성된 핸드폰을 커버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그 형태는 매우 제한적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ell phone case is used as a means for expressing the individuality of the user, but since its use is to cover a cell phone formed of a hexahedron, the form is very limited.

따라서, 사용자는 핸드폰 케이스의 색상 또는 핸드폰 케이스의 외관에 부착되는 스티커 등을 통해서만 자신의 개성을 살리고 있다. Therefore, the user makes use of his / her personality only through the color of the mobile phone case or a sticker attached to the exterior of the mobile phone case.

또한, 핸드폰 케이스는 단순히 케이싱의 기능만을 할 뿐, 그 이상의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the cell phone case is merely a function of the casing, there is a limit that can not provide more complex function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가발전을 통한 충전이 가능하고, 자동차, 비행기, 인형, 로보트, 동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캐릭터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charge through the self-power, and is provided with a mobile phone case capable of self-power, consisting of various kinds of character shapes such as cars, airplanes, dolls, robots, animals and the like. It is technical problem to do.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는, 개방되어 있는 상단면을 통해 핸드폰이 수납되는 본체; 어느 하나의 캐릭터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캐릭터부; 상기 캐릭터와 함께 상기 캐릭터의 특징을 형상화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면 또는 측면에 장착되는 본체 지지부; 및 상기 캐릭터부의 각 구성요소들 또는 상기 핸드폰에서 요구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캐릭터의 형상과 관련하여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캐릭터부에 장착되는 캐릭터의 머리, 캐릭터의 다리, 캐릭터의 팔, 캐릭터의 다리, 캐릭터의 바퀴 중 어느 하나를 회전 운동 동작시키거나, 수평 운동 동작시키거나, 누름 동작시키거나, 수직방향 운동 동작시키거나,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캐릭터부에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를 당김 동작 시킴으로써 전원이 충전될 수 있는 소형 발전기로 구성된다.Cell phone case capable of self-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body is accommodated through the open top surface; A character unit having any one character shape and mounted to any one of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A main body support part mounted on a lower surface or a side of the main body to shape a feature of the character together with the character;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by the components of the character unit or the mobile phone,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head of a character mounted on the main body or the character unit in relation to the shape of the character, One of the character's leg, the character's arm, the character's leg, and the character's wheel can be rotated, moved horizontally, pressed, or moved vertically, or the body or the character unit. It consists of a small generator that can be recharged by pulling the installed wire.

본 발명은 자동차, 비행기, 인형, 로보트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캐릭터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개성을 잘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various kinds of character shapes, such as cars, airplanes, dolls, robots, etc.,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express his personality we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에 핸드폰이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의 핸드폰 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의 핸드폰 지지부에 핸드폰이 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의 캐릭터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의 하단면의 저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의 또 다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의 전원공급부에 전원을 충전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phone is mounted on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phone support of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mobile phone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support portion of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acter portion of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is another exemplary view of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harging power to a power supply unit of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에 핸드폰이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의 핸드폰 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의 핸드폰 지지부에 핸드폰이 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의 캐릭터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의 하단면의 저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phone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phone support of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phone is mounted on a mobile phone support unit,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haracter unit of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ottom surface of a bottom surface of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n.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는 자동차, 비행기, 인형, 로보트, 동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캐릭터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자동차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핸드폰 케이스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형상으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의 특징들은, 자동차 이외의 캐릭터 형상을 가진 핸드폰 케이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Cell phone cas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character shapes, such as cars, airplanes, dolls, robots, animals. However,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a cellular phone case configured in the shape of an automobi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refore, the features of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vehicle can be equally applied to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character shape other than the car.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되어 있는 상단면을 통해 핸드폰(200)이 수납되는 본체(111), 하단면에 장착되어 있다가 개방되어 있는 상단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핸드폰을 지지하기 위한 핸드폰 지지부(121, 122, 123), 어느 하나의 캐릭터 형상을 하고 있으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캐릭터부(140) 및 캐릭터와 함께 캐릭터의 특징을 형상화할 수 있도록 본체의 하단면 또는 측면에 장착되는 본체 지지부(1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Cell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as shown in Figure 1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11, the lower surface is received while the mobile phone 200 is opened through the open upper surface Mobile phone support (121, 122, 123) for protruding in the upper surface direction to support the mobile phone,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 along with the character portion 140 and the character is mounted on any one of the sides of the main body and the charact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in body support 131 mounted to the bottom or side of the main body to shape the feature.

우선, 본체(111)는 핸드폰(200)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스피커(220)와 마이크(230)를 포함하고 있는 핸드폰의 외관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면이 개방되어 있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각 모서리는 핸드폰의 모서리의 형태를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main body 111 has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mobile phone 200 is accommodated, and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phone including the speaker 220 and the microphone 230. 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main body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top surface. However, each corner may be rounded along the shape of the corner of the mobile phone.

본체(111)의 하단면으로부터 상단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네 개의 측면들 중, 핸드폰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측면들에는, 핸드폰이 거치될 수 있도록 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두 개의 측면들에 형성되어 있는 홈(11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200)의 측면이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Of the four side surfaces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in the top surface direction, the grooves 112 are formed on two sides fac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bile phone so that the mobile phone can be mounted. As shown in FIG. 3, the sid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200 may be inserted and mounted in the groove 112 formed at the two side surfaces.

본체(111)의 측면들 중 핸드폰의 인터페이스단자(210)와 대응되는 측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홀(113)이 형성되어 있다. 핸드폰의 인터페이스단자(210)는 전원공급 또는 데이터송수신을 위해 핸드폰(200)에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an interface hole 113 is formed at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terminal 210 of the mobile phone. The interface terminal 210 of the mobile phone is formed in the mobile phone 200 for power supply 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본체(111)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핸드폰의 이어폰잭 삽입홀과 대응되는 이어폰잭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ain body 111 may have an earphone jack inser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earphone jack insertion hole of the mobile phone.

다음, 핸드폰 지지부(121, 122, 123)는 본체(111)의 하단면에 장착되어 있다가, 개방되어 있는 상단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핸드폰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핸드폰 지지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끝단이 핸드폰의 하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핸드폰 지지부홈(120)에 구속된 상태에서 핸드폰 지지부홈(1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이동바(122), 제1이동바의 타측 끝단에서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2이동바(121) 및 타측 끝단은 제2이동바(121)와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 끝단은 핸드폰 지지부홈(120)에 구속된 상태에서 핸드폰 지지부홈(1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3이동바(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Next, the mobile phone supporters 121, 122, and 123 ar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and protrude in the open top surface direction to support the mobile phone. To this end,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obile phone supporter may be moved along the mobile phone supporter groove 120 in a state where one end is restrained by the mobile phone supporter groove 12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bile phone. The first moving bar 122 formed so that the second moving bar 12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moving bar through the hinge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bar 121 and the hinge The e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moving bar 123 formed to be moved along the mobile phone support groove 120 in a state constrained by the mobile phone support groove 120.

핸드폰 지지부홈(120)은 본체(111)의 하단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핸드폰 지지부홈(120)은 제1이동바 내지 제3이동바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Cell phone support groove 12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11, as shown in Figure 1 and 2, may be formed in the cross (+) shape. However, the cell phone support groove 12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moving bar to the third moving bar.

핸드폰 지지부홈(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면 상에서, 하단면의 평면과 저면이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단면 중 제2이동바(121)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평면과 저면이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본체(111)의 하단면의 저면에서, 제1이동바 내지 제3이동바 중 어느 하나를 본체(111)의 개방된 상단면 방향으로 밀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바 내지 제3이동바(121 내지 123)가 사다리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본체(111)의 하단면의 저면에서, 제2이동바를 본체(111)의 개방된 상단면 방향으로 밀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바 내지 제3이동바(121 내지 123)가 사다리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mobile phone supporter groove 12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such that the plan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penetrate therethrough, and the plane of the bottom surface of which the second moving bar 121 is formed. And the bottom may be formed to penetrate. In the former case, when any one of the first moving bar to the third moving bar is pushed toward the open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at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as shown in FIG. The first moving bar to the third moving bar 121 to 123 may protrude in the form of a ladder. In the latter case, when the second moving bar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open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at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as shown in FIG. 2, the first moving bar to the third moving bar ( 121 to 123 may protrude in the form of a ladder.

핸드폰 지지부홈(120)의 측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제1이동바(121)와 제3이동바(123)의 일측 끝단에는 걸림홈(124)과 체결되는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124)에 삽입된 걸림턱은 외부로부터 큰 힘이 작용되지 않는 이상, 걸림홈(12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가 제1이동바(121)와 제3이동바(123)를 자신이 원하는 기울기로 맞춘 상태에서 걸림턱이 걸림홈(124)에 삽입되도록 하면, 다시 사용자가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걸림턱은 걸림홈(124)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핸드폰(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이동바(123) 및 홈(112)에 의해 핸드폰 케이스(100)에 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 locking groove 124 is formed at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support groove 120. At one end of the first moving bar 121 and the third moving bar 123, a locking jaw (not shown) that is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 124 is formed. The locking jaw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24 is not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124 unless a large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at is, when the user adjusts the first movement bar 121 and the third movement bar 123 to the desired inclination in the state where the locking jaw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24, unless the user applies the force again, The locking jaw is not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124. In this state, the mobile phone 200 may be mounted on the mobile phone case 100 by the third moving bar 123 and the groove 112, as shown in FIG. 3.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200)이 본체의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핸드폰 케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200)이 핸드폰 케이스에 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user may use the cell phone case while the cell phone 200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main body, or the cell phone 200 may be mounted on the cell phone case as shown in FIG. 2. .

다음, 본체 지지부(131)는 캐릭터부를 형성하는 캐릭터와 함께 캐릭터의 특징을 형상화할 수 있도록 본체의 하단면 또는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Next, the main body support 131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r the side of the main body to shap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 together with the character forming the character portion.

본체 지지부(131)는 캐릭터부(140)를 구성하는 캐릭터의 종류에 따라, 바퀴가 될 수도 있으며, 다리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의 종류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인 경우, 본체 지지부(131)는 자동차의 바퀴가 될 수 있다. 또한, 캐릭터의 종류가 비행기인 경우, 본체 지지부(131)는 비행기의 바퀴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캐릭터의 종류가 거북이와 같은 동물인 경우, 본체 지지부(131)는 거북이의 다리가 될 수도 있다. The main body support 131 may be wheels or legs according to the type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character unit 140. For example, when the type of character is a car as shown in FIG. 1, the body support 131 may be a wheel of a car. In addition, when the type of character is an airplane, the main body support 131 may be a wheel of an airplane. In addition, when the type of character is an animal such as a turtle, the main body support 131 may be a leg of a turtle.

본체 지지부(131)는 바퀴 또는 다리로 형성되어, 본체(111)를 지면과 일정 간격을 갖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본체 지지부(131)를 이용하여 본체를 지면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핸드폰을 수납하는 기능 이외에도, 사용자가 장난감 대용으로 가지고 놀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The main body support part 131 is formed of a wheel or a leg to perform a function of allowing the main body 111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The user may move the main body on the ground using the main body support 131.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eature that the user can play with a toy as well as a function of storing a mobile phone.

상기와 같은 기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본체 지지부(131)는 회전이 가능한 바퀴로 구성되거나, 이동이 가능한 다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 지지부(131)는 미도시된 구동부(모터)에 의해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order to maximize th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support 131 may be composed of a wheel that can rotate, or may be composed of a movable leg. In addition, the body support 131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or movable by a driver (motor) not shown.

본체 지지부(131)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바퀴 또는 다리 이외에도, 캐릭터부를 구성하는 캐릭터의 특징을 부각시킬 수 있는 별도의 구성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부(140)를 구성하는 캐릭터가 비행기인 경우, 본체의 측면에는 비행기 날개가 돌출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비행기 날개는 본체의 측면에서 장착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본체의 저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것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wheels or legs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support unit 131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component that can highligh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 constituting the character unit. For example, when the character constituting the character unit 140 is an airplane, an airplane wing may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In this case, the airplane wing may be mount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but may also protrude to the side in a state where it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상기한 바와 같은 본체 지지부(1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200)이 핸드폰 케이스(100)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면 등에 위치해 있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200)이 핸드폰 케이스(100)에 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아무런 불편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가 핸드폰을 핸드폰 케이스에 수납시킨 상태에서 이동하며 이용할 경우, 본체 지지부(131)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즉, 외부로 돌출된 바퀴, 다리 또는 날개 등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support 131 is located in the ground or the like in the state in which the mobile phone 200 is stored in the mobile phone case 100 as shown in FIG. 1, or the mobile phone 200 as shown in FIG. 2. If it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case 100, no inconvenience to the user. However, when the user moves while using the cell phone in the cell phone case, the main body support 131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That is, wheels, legs, or wings that protrude outwards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체 지지부(131)는, 본체(131)의 하단면 또는 측면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하단면 또는 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o prevent this, the main body support part 131 may be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r the side of the main body 131, or may be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r the side surface.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지지부(131)가 바퀴인 경우, 바퀴는 본체의 하단면의 저면에 형성된 본체 지지부홈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고, 바퀴의 축(미도시)은 본체 지지부홈 내부의 걸림턱(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바퀴는 회전될 수 있다. 하단면의 저면에는 바퀴(본체 지지부)를 덮을 수 있도록 본체 지지부 커버(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본체 지지부 커버(132)에 형성되어 있는 개폐부(133)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본체 지지부 커버(132)가 본체 지지부(바퀴)(131)를 덮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when the main body support 131 is a wheel, the wheel may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support groov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wheel may be mounted. It may be mounted on a locking jaw (not shown) inside the body support groove, in which case, the wheel may be rotated. A main body support cover 132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to cover the wheel (main body support), and the user moves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133 formed on the main body support cover 132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o support the main body support. The cover 132 may cover the main body support (wheel) 131.

본체 지지부(바퀴)(131)는, 본체의 하단면의 저면에 형성된 본체 지지부홈에 장착되어 회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체 지지부 커버(132)를 본체 지지부(131) 방향으로 밀면, 본체 지지부(바퀴)(131)는 본체 지지부 커버(132)에 의해 본체 지지부홈의 내부로 삽입된다.The main body support part (wheel) 131 is mounted to the main body support part groove formed in the bottom face of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an be rotated, and is supported by the spring. Therefore, when the user pushes the main body support cover 132 in the main body support 131 direction, the main body support (wheel) 131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support groove by the main body support cover 132.

본체 지지부 지지부 커버(132)가 본체 지지부(131)를 완전히 덮으면, 본체의 하단면에는 어떠한 구성요소도 돌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When the main body support part cover 132 completely covers the main body support part 131, no component is protrud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본체의 하단면의 저면에는 개폐홈(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폐홈(134)에는 본체 지지부 커버(13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개폐돌기(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로 본체 지지부 커버(132)를 열지 않는 이상, 개폐홈(134)과 개폐돌기(미도시)에 의해, 본체 지지부 커버(132)는 열리지 않는다. 이로 인해, 본체 지지부(바퀴)(131)는 본체의 하단면으로 돌출되지 않는다.Opening and closing groove 134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opening and closing groove (134)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closing protrusion (not show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support cover 132. Therefore, unless the user arbitrarily opens the main body support cover 132, the main body support cover 132 is not open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groove 134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rotrusion (not shown). For this reason, the main body support part (wheel) 131 does not protrude to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본체 지지부가 다양한 캐릭터의 다리인 경우도 상기한 바와 같은 원리에 의해 본체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main body support is a leg of various characters, the main body may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by the same principle a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본체 지지부가 비행기의 날개인 경우, 날개는 본체의 하단면의 저면에 회전축을 이용하여 장착될 수 있으며, 측면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사용자가 날개를 접고하 할 경우, 사용자는 날개를 본체의 하단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본체의 하단면의 내부에 날개를 회전축으로 고정시킨 후, 본체의 하단면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날개를 펼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날개의 사용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날개를 하단면의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하단면의 내부라 함은, 판 형상을 하고 있는 하단면 자체의 내부일 수도 있으며,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핸드폰이 삽입되는 내부 공간일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main body support is a wing of an airplane, the wing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using a rotating shaft, and may be extended in the lateral direction. When the user folds the wings, the user can move the wings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Alternatively, the blade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with the rotational axis, and then the wings may be extend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t this time, when the use of the wing is not desired, the wing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Herein, the inside of the bottom surface may be the inside of the bottom surface itself having a plate shape, or may be an interior space into which the mobile phone is inserted as mentioned above.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본 발명은 본체 지지부(131)가 본체의 표면 또는 측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을 간편하게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the present invention by preventing the main body support 131 does not protrude to the surface or side of the main body.

마지막으로, 캐릭터부(140)는 사용자가 자신의 개성을 살릴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캐릭터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단순히 외부 형태에만 특징이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캐릭터부(140)는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Lastly, the character unit 140 is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characters so that the user can use his or her personality, and is not merely characteristic of the external form. That is, the character unit 140 may include various functions.

이를 위해 캐릭터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51), 저장부(152), 입력부(153), 출력부(154)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s illustrated in FIG. 4, the character unit 140 may include an interface 151, a storage unit 152, an input unit 153, an output unit 154, and a controller (not shown). .

첫째, 인터페이스(151)는 외부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핸드폰(200)과 무선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가 될 수도 있고,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단자가 될 수도 있으며, 컴퓨터 또는 핸드폰으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전송받기 위한 유선통신부가 될 수도 있다.First, the interface 151 is for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s. For example, the interface 151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cellular phone 200 wirelessly, and may be a power supply terminal for receiving power. It may be, or may be a wir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various data from a computer or a mobile phone.

인터페이스(151)가 무선통신부로 구성된 경우, 인터페이스(151)는 핸드폰으로부터 착신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과 함께 이용되는 핸드폰(200)에는, 핸드폰의 무선통신부가 인터페이스(15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앱(App)(이하, 간단히 '통신앱'이라 함)이 실행되고 있어야한다. When the interface 151 is configur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interface 151 may receive an incoming signal from a mobile phone. To this end, the mobile phone 200 us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running an app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app') that allow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mobile phone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face 151. do.

일예로서, 통신앱은 핸드폰으로 전화통신을 위한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착신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핸드폰의 무선통신부(적외선 통신 또는 RF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무선통신을 지원하는 구성요소)를 통해 인터페이스(151)로 전송한다. 인터페이스(151)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캐릭터의 눈, 코, 입, 귀 등을 통해 제어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app receives an incoming signal for a telephone communication to a mobile phone, the communication app transmits a control signal indicating that the incoming signal is receiv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component support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infrared communication or RF communication) of the mobile phone. To the interface 151.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151, the controller may inform the user that the control signal has been received through the eyes, nose, mouth, and ears of the character.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200)이 핸드폰 케이스(100)에 거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다른 일을 하고 있을 것이며, 이 경우, 핸드폰을 무음으로 하였거나 진동으로 한 경우, 착신신호를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캐릭터의 눈, 코, 입, 귀, 헤드라이트 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램프(141)로 이용하여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가 자동차인 경우, 램프(141)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가 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ure 3, when the mobile phone 200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case 100, the user will be doing different things, in this case, if the mobile phone is silent or vibrated, incoming signal You may not be aware of i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generate light using components such as a character's eyes, nose, mouth, ears, headlights, etc. as the lamp 141. As shown in FIG. 3, when the character is a car, the lamp 141 may be a headlight of the car.

또 다른 방법으로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캐릭터의 눈, 코, 입, 귀, 공기통로를 스피커(143)로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멜로디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가 자동차인 경우, 스피커(143)는 자동차의 공기통로인 덕트가 될 수 있다.As another method, 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ler may output various kinds of melodies using the eyes, nose, mouth, ears, and air passages of the character as the speaker 143. 1 and 3, when the character is a car, the speaker 143 may be a duct that is an air passage of the car.

즉,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151)를 통해 핸드폰(200)과 통신을 수행하여, 핸드폰으로 착신신호가 수신된 경우, 램프(141)와 스피커(143)를 통해 착신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빛 또는 멜로디로 사용자에게 통지해 줄 수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phone 200 through the interface 151, and when the incoming signal is received by the mobile phone, the incoming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lamp 141 and the speaker 143, light or melody Can be notified to the user.

인터페이스(151)가 유선통신부(144)로 구성된 경우, 인터페이스(151, 144)는 핸드폰 또는 컴퓨터와 연결되어, 음악파일을 전송받을 수 있으며, 전송되어온 음악파일은 저장부(152)에 저장될 수 있다.When the interface 151 is configured as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144, the interfaces 151 and 144 may be connected to a mobile phone or a computer to receive a music file, and the transferred music fil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2. have.

이 경우, 사용자는 캐릭터부(140)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을 이용하여, 음악파일을 재생시킬 수 있으며, 재생된 음악은 스피커(143)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음악파일의 선곡 및 확인을 위해, 캐릭터부(140)의 외관에 구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142)가 이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2)는 캐릭터를 구성하는 눈, 코, 입, 귀, 전면창 또는 추가적인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가 자동차인 경우, 디스플레이(142)는 자동차의 전면창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play a music file using a butt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haracter unit 140, and the reproduced music may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143. In this case, the display 142 configured in the appearance of the character unit 140 may be used to select and confirm the music file. The display 142 may be an eye, a nose, a mouth, an ear, a front window, or an additional configuration constituting the character. 1 and 3, when the character is a car, the display 142 may be a front window of the car.

둘째, 저장부(15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드폰 또는 컴퓨터로부터 전송되어온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econd, the storage unit 152 stores a variety of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mobile phone or a computer as described above.

셋째, 입력부(153)는 사용자가 캐릭터부(14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캐릭터부(140)의 외관에 장착되어 있는 버튼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형태의 입력부(153)는 캐릭터를 구성하는 눈, 코, 입, 귀, 전면창, 헤드라이트, 공기통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Third, the input unit 153 is for allowing the user to control the character unit 140 and may be a button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character unit 140. The button-type input unit 153 may use at least one of an eye, a nose, a mouth, an ear, a front window, a headlight, and an air passage constituting a character.

넷째, 출력부(154)는 빛, 소리 또는 이미지를 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릭터의 구성요소들(헤드라이트(141), 공기통로(143), 전면창(142))을 이용하여, 램프(141), 스피커(143) 또는 디스플레이(1420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Fourth, the output unit 154 is for outputting light, sound or image, and as described above, the components of the character (headlight 141, air passage 143, front window 142) In this case, the lamp 141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lamp 141, a speaker 143, or a display 1420.

다섯째, 제어부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Fifth, the controller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above components.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캐릭터부의 각 구성요소들 또는 상기 핸드폰에서 요구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도 8에 도시된 도면부호 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캐릭터의 형상과 관련하여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캐릭터부에 장착되는 캐릭터의 머리, 캐릭터의 다리, 캐릭터의 팔, 캐릭터의 다리, 캐릭터의 바퀴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캐릭터부에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를 당기는 동작에 의해 전원이 충전될 수 있는 소형 발전기로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reference numeral 190 shown in Figure 8) for supplying the power required by the components of the character unit or the mobile phone. The power supply unit rotates any one of the head of the character, the leg of the character, the arm of the character, the leg of the character, the wheel of the character mounted on the main body or the character unit in relation to the shape of the character, or It may be configured as a small generator that can be charged with power by the operation of pulling the wire attached to the body or the character portion.

즉, 본 발명은 캐릭터의 다리나 목 등을 이용하거나 또는 케이스 내부에 테잎이나 와이어로 구동되는 소형 발전기로 구성된 전원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필요시에는 폰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수동후레쉬처럼 손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하거나 또는 와이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 연결된 소형 발전기는, 버튼 또는 와이어를 구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릭터의 바퀴, 캐릭터 머리, 팔, 다리의 축에 소형 발전기를 장착시킴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회전시키면 핸드폰 전원이 발전되어 충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의 회전운동 뿐만 아니라 웜과 웜기어를 이용한 사용자의 수직 또는 수평방향의 직선운동, 스위치에 의한 사용자의 누름운동, 와이어에 의한 사용자의 당김운동 등에 의해서도 최종적으로는 발전기의 회전운동으로 별도의 기어박스에 의해 변환되어 발전이 가능하도록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젠더식이나 별도의 충전선에 의해 충전되는 방식도 적용가능하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charge the phone battery if necessary, by using a leg or neck of the character, or by providing a power supply consisting of a small generator driven by a tape or wire inside the case.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utton or a wire which can be driven by hand like a manual flash, and the small generator connected thereto may be charged by an operation of driving a button or a wir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a small generator on the axis of the wheel, character head, arms, legs of the character, by rotating the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may be a mobile phone power generation to be charged. At this time, not only the user's rotational movement but also the user's vertical or horizontal linear movement using worm and worm gear, the user's pressing movement by switch, the user's pulling movement by wire, etc. It can be applied to generate power by being converted by gear box. In addition, a method of charging by a gender type or a separate charging line is also applicable.

상기한 바와 같은 전원공급부의 사용예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power supply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의 또 다른 예시도들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구성들 및 그 기능은 도 6 및 도 7에도 적용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의 특징적인 내용들만이 설명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의 전원공급부에 전원을 충전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6 and 7 are still another exemplary view of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also be applied to FIGS. 6 and 7, and only the features of FIGS. 6 and 7 are described below. 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harging power to a power supply unit of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은 본체 지지부(131)가,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 지지부홀(136)을 본체 내부에서 본체 외부로 관통하는 체결부(137)에 의해, 본체의 측면 외부에 장착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the main body support part 131 is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by a fastening part 137 penetrating the main body support part hole 136 formed in the side of the main body from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mounted externally.

즉, 캐릭터부(140)가 자동차인 경우, 본체 지지부(131)는 바퀴형태로 형성되어, 본체의 측면에 체결부(137)를 통해 장착될 수 있으며, 체결부(137)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haracter unit 140 is a car, the main body support unit 131 is formed in a wheel shape, and can be mount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fastening unit 137, and rotates using the fastening unit 137 as the rotation axis. Can be.

사용자는 평상시에는 본체 지지부(131)를 도 6과 같은 형태로 이용할 수 있으며, 장시간 야외에서 핸드폰을 휴대하고 다녀야할 경우에는, 본체 지지부(131)와 체결부(137)를 본체로부터 분리시킬 수도 있다.The user may use the main body support 131 in the form as shown in FIG. 6, and when the user needs to carry the mobile phone outdoors for a long time, the main body support 131 and the fastening part 137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

본 발명은 캐릭터부(140)와 본체를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부 체결부(138)를 이용하여, 캐릭터부(140)를 본체(111)에 탈부착시킬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unit 140 and the main body may be integrally formed, but as shown in FIG. 6, the character unit 140 may be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11 using the character unit fastening unit 138. It may be.

사용자는 장시간 핸드폰을 휴대하고 다녀야할 경우에는, 본체 지지부(131)와 마찬가지로, 캐릭터부 체결부(138)를 본체로부터 제거시킴으로써, 캐릭터부(140)를 본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When the user needs to carry the mobile phone for a long time, the character part 140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by removing the character part fastening part 138 from the main body similarly to the main body support part 131.

다음,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은 캐릭터부(140)가 거북이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본체의 형태 역시 거북이의 형상을 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도 1 또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본체(111)는 캐릭터부(140)의 형상과 상관없이,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본체(111)의 형상을 캐릭터부(14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시킬 수도 있다. Next,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7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acter portion 140 is in the shape of a turtle, and the shape of the body is also in the shape of a turtle. That is, the main body 111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or FIG. 6 is formed in a box shape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character part 140, but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shape of the main body 111 as the character part 140. It may also be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따라서, 캐릭터부(140)가 자동차인 경우, 본체의 외형 역시 자동차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캐릭터부가 비행기인 경우, 본체의 외형 역시 비행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11)는 박스 형태의 기본이 되는 본체프레임 및 캐릭터부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본체프레임에 탈부착되는 탈부착부로 구성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character unit 140 is a car, the appearance of the main body may also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vehicle, and when the character portion is an airplane, the appearance of the main body may also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airplane. In this case, the main body 111 may be composed of a main body frame that is the basic form of the box shape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haracter part, and a detachable part detachable to the main body frame.

본체(111)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북이 형태로 형성된 경우, 본체 지지부(131)는 거북이의 다리가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main body 111 is formed in a turtle shape, the main body support part 131 may be a leg of a turtle.

본 발명은 거북이의 다리 형태로 구성되는 본체 지지부(131)가 다양한 각도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체 지지부(131)는 (b)에 도시된 본체 지지부(131a)와 같은 형태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 지지부(131)는 유니버셜조인트와 같은 장치로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각도 및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otated at various angles the body support 131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urtle leg. For example, the main body support 131 as shown in (a) of FIG. 7 may be rotated in the same form as the main body support 131a shown in (b). In this case, the main body support 131 is composed of a device such as a universal joint, it can be rotated at various angles and directions.

즉, 본 발명은 도 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체 지지부(131)를 본체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지지부(131)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켜, 사용자가 본 발명을 휴대하고 다닐 때에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That is, as described in FIG. 5,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vent the main body support 131 from protruding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s shown in FIG. 7, by rotating the main body support 131 at various angles, The user may not feel uncomfortable even when carrying the present invention.

다음, 도 8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전원공급부(소형발전기)(190)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특히, 핸드폰 케이스의 전원공급부(190)에 전원을 충전시키는 다양한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8의 (a)에는 본체 지지부(131)인 바퀴를 회전시킴으로써, 바퀴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는 전원공급부(190)를 충전시키는 방법,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있는 축과 연결된 회전 드럼에 감겨있는 와이어(191)를 잡아당기는 방법에 의해 전원공급부를 충전시키는 방법 및 자동차 캐릭터의 라이트를 이용하여 형성된 버튼(192)을 눌러줌으로써 전원공급부(190)를 충전시키는 방법들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의 (b)에는 거북이 캐릭터의 다리(131)를 회전시키거나, 거북이 캐릭터의 머리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원공급부(190)를 충전시키는 방법, 와이어(191)가 거북이의 입으로 나오도록 하여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방법에 의해 전원공급부를 충전시키는 방법 및 거북이 캐릭터의 머리를 버튼으로 이용하여 버튼을 화살표 방향으로 눌러줌으로써 전원공급부를 충전시키는 방법들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전원공급부(190)를 충전시킬 수 있다.
Next, FIG. 8 shows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power supply unit (small generator) 190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FIG. 8 illustrates various methods of charg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190 of the mobile phone case. That is, in Figure 8 (a) by rotating the wheel, which is the main body support 131, a method for charging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wheel, wound on a rotating drum connected to the shaf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he method of charging the power supply unit by pulling a wire 191 and a method of charging the power supply unit 190 by pressing a button 192 formed using a light of a car character are illustrated. In addition, FIG. 8B illustrates a method of charging the power supply unit 190 by rotating the turtle character's leg 131 or rotating the turtle character's head, so that the wire 191 comes out of the turtle's mouth. A method of charging the power supply unit by pulling a wire and a method of charging the power supply unit by pressing a button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using a turtle character's head as a button are illustrated.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rge the power supply 190 using a variety of methods in addition to the method shown in FIG.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summarized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은 자동차, 인형, 동물, 비행기 등 다양한 종류의 캐릭터 형태로 구성된 캐릭터부(14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개성을 살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haracter unit 140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characters, such as a car, a doll, an animal, and an airplane, so that the user can make use of his personality.

둘째, 본 발명은 핸드폰 지지부(121, 122, 123)와 홈(112)을 이용하여, 핸드폰을 거치시킬 수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can mount the mobile phone using the mobile phone support (121, 122, 123) and the groove (112).

셋째, 본 발명은 바퀴 또는 다리 등으로 구성된 본체 지지부(131)를 통해 본체가 지면으로부터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핸드폰 케이스를 장남감과 같이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body to be freely moved from the ground through the body support 131 consisting of wheels or legs, it is possible to use the mobile phone case as a toy.

넷째, 본 발명은 바퀴, 다리 또는 날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본체 지지부(131)를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본 발명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so that the user can simply use the present invention by preventing the body support 131, which may be composed of wheels, legs or wings do not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body.

다섯째, 본 발명은 캐릭터부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음성, 빛 또는 이미지를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개성을 살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Fifth, the present invention can output various kinds of voices, lights or images through the character unit, so that the user can utilize his persona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과 연결될 수 있는 악세사리로 이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lf-powered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n accessory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개방된 상단면을 덮을 수 있는 뚜껑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뚜껑 역시 본체부와 관련된 캐릭터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d that can cover the open top surface of the body, such a lid may also be composed of a character associated with the body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핸드폰의 디스플레이 캐릭터부의 캐릭터에 맞는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앱을 통해 본 발명의 제조자 등에 의해 판매되는 이미지 등을 다운로드 받은 후, 본 발명에 핸드폰을 장착할 경우, 해당 이미지 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utput so that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of the display character portion of the mobile phone. That is, after the user has downloaded an image sold by the manufacturer of the present invention, etc. through the app, when the user mounts the mobile phone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output the corresponding image.

또한, 상기 설명 중, 개폐홈(13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하단면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으로서, 특히, 본체 지지부 커버(132)에 의해 커버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본체 지지부 커버(132)는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opening and closing groove 134 is a groov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as shown in FIG. 5, and is particularly formed at the position covered by the main body support cover 132. . That is, the main body support cover 132 may be recipro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한편, 본체 지지부 커버(132)의 내측면(본체부의 저면과 닿는 면)에는 개폐홈(134)에 삽입될 수 있는 개폐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 지지부 커버(132)가 개폐홈(134)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 즉, 본체 지지부(바퀴)를 커버하는 경우, 개폐돌기가 개폐홈(134)에 체결됨으로써, 본체 지지부 커버(132)가 쉽게 열려지지 않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surface (surface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f the main body support cover 132 is form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protrusion (not show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closing groove 134. Therefore, when the main body support part cover 132 covers the part in which the opening / closing groove 134 is formed, that is, the main body support part (wheel), the opening / closing protrusion is fastened to the opening / closing groove 134, whereby the main body support part cover 132 is provided. Will not open easily.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체 또는 캐릭터부에는 도면 부호 113 및 144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홈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들은 핸드폰의 안테나, 음성단자, 스피커단자, 배터리연결단자, 충전단자로 활용할 수 있으며, 홈 뿐만 아니라 본체 지지부인 캐릭터의 팔, 다리 등에도 상기한 단자들이 형성되어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various types of grooves such as 113 and 144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main body or the character portion. These grooves may be utilized as an antenna, a voice terminal, a speaker terminal, a battery connection terminal and a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and the above terminals may be formed and applied to not only the groove but also the arms and legs of the character that is the main body support.

또한, 도 2에 도시된 핸드폰 지지부(121, 122, 123)는, 도 2에 도시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 즉, 핸드폰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의 하단면의 저면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본체(111)를 지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부의 형상이 곰과 같은 인형인 경우, 핸드폰 지지부를 본체의 하단면의 저면 방향(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으로 돌출시켜, 본체 자체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전체적인 형상은 곰 형태의 캐릭터가 앉아 있는 형태로 보여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phone support parts 121, 122, and 123 shown in FIG. 2 protru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shown in FIG. 2, that is, in the bottom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on which the mobile phone support part is formed. 111 may be supported. For example, when the shape of the character part is a doll such as a bear, the mobile phone support part may protrude in the bottom direction (direction shown in FIG. 5)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main body itself. In this case, the overall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in the form of sitting bear character.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 뿐만 아니라 핸드폰을 포함한 PDA, 아이패드, 카메라, 각종 디스플레이 기기 등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케이스인 악세사리로도 활용될 수 있다.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tilized as an accessory which is a case of a multimedia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as well as a PDA, an iPad, a camera, various display devices, and the lik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핸드폰 케이스 111 : 본체
121, 122, 123 : 핸드폰 지지부 131 : 본체 지지부
140 : 캐릭터부
100: Cell Phone Case 111: Body
121, 122, 123: mobile phone support 131: main body support
140: character part

Claims (12)

개방되어 있는 상단면을 통해 핸드폰이 수납되는 본체;
어느 하나의 캐릭터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캐릭터부;
상기 캐릭터와 함께 상기 캐릭터의 특징을 형상화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면 또는 측면에 장착되는 본체 지지부;
상기 본체의 하단면에 장착되어 있다가, 개방되어 있는 상기 상단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핸드폰을 지지하기 위한 핸드폰 지지부; 및
상기 캐릭터부의 각 구성요소들 또는 상기 핸드폰에서 요구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캐릭터의 형상과 관련하여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캐릭터부에 장착되는 캐릭터의 머리, 캐릭터의 다리, 캐릭터의 팔, 캐릭터의 다리, 캐릭터의 바퀴 중 어느 하나를 회전 동작시키거나, 수평방향 운동 동작시키거나, 누름 동작시키거나, 수직방향 운동 동작시키거나,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캐릭터부에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를 당김 동작 시킴으로써 전원이 충전될 수 있는 소형 발전기로 구성되고,
상기 핸드폰 지지부는, 상기 상단면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상기 본체의 저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캐릭터부는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된 경우, 빛, 소리,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고,
상기 캐릭터부 또는 상기 본체 지지부를 구성하는, 머리, 손, 다리, 팔, 바퀴, 날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
A main body in which the mobile phone is received through an open top surface;
A character unit having any one character shape and mounted to any one of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A main body support part mounted on a lower surface or a side of the main body to shape a feature of the character together with the character;
A mobile phone support part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protruding in an open top direction to support the mobile phone; And
Include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the power required by the components of the character unit or the mobile phone,
The power supply unit rotates or horizontally rotates any one of the head of the character, the leg of the character, the arm of the character, the leg of the character, and the wheel of the character mounted on the main body or the character unit in relation to the shape of the character. It is composed of a small generator that can be charged power by directional movement operation, pressing operation, vertical movement operation or by pulling the wire attached to the main body or the character portion,
The mobile phone support portion, protrudes in the bottom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direction to support the main body,
The main body support portion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or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he character unit outputs at least one of light, sound, image 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phone,
At least one of the head, hands, legs, arms, wheels, and wings constituting the character unit or the main body support is self-powered 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e to the main body.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핸드폰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핸드폰이 거치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 of the main body is a mobile phone case that can be self-powered,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mobile phone is supported on the mobile phone sup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지지부는,
상기 캐릭터부를 형성하는 캐릭터의 다리, 바퀴, 날개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support portion,
Cell phone case that can be self-powered,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legs, wheels, wings of the character forming the character por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지지부는 바퀴이고,
상기 바퀴는, 상기 본체의 하단면의 저면에 형성된 본체 지지부홈에 장착되어 회전될 수 있고,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바퀴는, 상기 하단면에 장착되어 있는 본체 지지부 커버에 의해 상기 본체 지지부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커버되거나, 또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support is a wheel,
The wheel is mounted on the main body support groov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n be rotated, is supported by a spring,
The wheel is a mobile phone case capable of self-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is inserted in the main body support groove by the main body support cover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r rotatably mount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부는,
상기 본체에 장착 또는 거치되는 핸드폰과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빛을 출력하기 위한 램프,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있는 출력부;
사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어온 데이터를 포함한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racter unit,
An interface capable of perform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phone mounted or mounted on the main body;
An output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lamp for outputting light,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and a display for outputting an imag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user;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including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face; And
Self-powered mobile phone cas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부는,
상기 본체에 탈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racter unit,
Self-powered 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e to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지지부는 유니버셜조인트로 구성되어, 다양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support portion is a universal joint, a self-powered 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rotated at various angle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발전이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악세사리로 이용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바퀴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어서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충전되거나,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있는 축과 연결된 회전 드럼에 감겨있는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방법에 의해 충전되거나,
상기 캐릭터부를 구성하는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self-powered mobile phone case is used as an accessory of the multimedia device,
The power supply unit,
It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wheel is fill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Charged by pulling a wire wound on a rotating drum connected to a shaf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or
A self-powered 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being charged by pressing the button constituting the character portion.
KR1020120023856A 2012-03-08 2012-03-08 Handphone case having self-generating function KR1012087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856A KR101208740B1 (en) 2012-03-08 2012-03-08 Handphone case having self-generat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856A KR101208740B1 (en) 2012-03-08 2012-03-08 Handphone case having self-generat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740B1 true KR101208740B1 (en) 2012-12-11

Family

ID=47906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856A KR101208740B1 (en) 2012-03-08 2012-03-08 Handphone case having self-generat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740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595Y1 (en) 2012-12-05 2014-01-10 (주)성업상사 Smartphone Doll Case combines storage space
KR101354696B1 (en) * 2013-07-31 2014-01-27 김미원 Smart phone case
WO2015076496A1 (en) * 2013-11-22 2015-05-28 (주)하이소닉 Cover for portable terminal with moving character
KR101554109B1 (en) 2014-08-21 2015-09-18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otective case for mobile combines wireless charging and self-power generation
KR101875217B1 (en) * 2016-01-29 2018-07-05 김도희 Case for Mobile Phone with Detachable Wireless Earphones
CN108527309A (en) * 2018-05-25 2018-09-14 中国计量大学 Mobile robot and its mechanism, system
KR102057062B1 (en) * 2018-06-21 2019-12-18 지동철 The smartphone case with self-generated function
KR20200070025A (en) 2018-12-08 2020-06-17 남광식 Cell phone case with infinite tra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0195A (en) 2009-07-01 2010-05-13 Proceed:Kk Case for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0195A (en) 2009-07-01 2010-05-13 Proceed:Kk Case for mobile terminal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595Y1 (en) 2012-12-05 2014-01-10 (주)성업상사 Smartphone Doll Case combines storage space
KR101354696B1 (en) * 2013-07-31 2014-01-27 김미원 Smart phone case
WO2015016447A1 (en) * 2013-07-31 2015-02-05 Kim Mi Won Smartphone case
WO2015076496A1 (en) * 2013-11-22 2015-05-28 (주)하이소닉 Cover for portable terminal with moving character
KR101554109B1 (en) 2014-08-21 2015-09-18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otective case for mobile combines wireless charging and self-power generation
KR101875217B1 (en) * 2016-01-29 2018-07-05 김도희 Case for Mobile Phone with Detachable Wireless Earphones
CN108527309A (en) * 2018-05-25 2018-09-14 中国计量大学 Mobile robot and its mechanism, system
KR102057062B1 (en) * 2018-06-21 2019-12-18 지동철 The smartphone case with self-generated function
KR20200070025A (en) 2018-12-08 2020-06-17 남광식 Cell phone case with infinite tr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740B1 (en) Handphone case having self-generating function
JP2019510524A (en) Robot with changeable characteristics
US20190231045A1 (en) Interactive animate luggage
CN207518812U (en) Charging bluetooth earphone seat
CN218917943U (en) Intelligent wearable device based on combination of overturn watch and earphone
KR101875217B1 (en) Case for Mobile Phone with Detachable Wireless Earphones
CN204180114U (en) A kind of self-charging finger ring mobile phone of built-in miniature projecting apparatus
KR100977404B1 (en) A portable charger
CN204795485U (en) Waterproof bluetooth speaker
CN215529269U (en) Voice prompt function wireless Bluetooth earphone flip storage box that charges
CN203842301U (en) Movable Bluetooth-playing toy
KR20110109668A (en) A case structure for handphone
CN109361980B (en) Earphone box
CN219919117U (en) Bluetooth earphone charging device
KR101418709B1 (en) Question answering doll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CN207820189U (en) Male earner wireless sound box
KR200483250Y1 (en) Necklace type wireless earphone apparatus
CN201690588U (en) Novel sound box
CN206587400U (en) Electronic yo-yo
CN207024637U (en) Lint electronic toy joystick can be filled
JP3085460U (en) Hands-free device using a doll
CN103986812A (en) Helmet type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KR102595853B1 (en) Robot device including elastic covering
CN215530807U (en) Wireless pet amusing device
KR102130765B1 (en) Accessory for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