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701B1 - Combination structure of elevator switch - Google Patents

Combination structure of elevator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701B1
KR101208701B1 KR1020100096528A KR20100096528A KR101208701B1 KR 101208701 B1 KR101208701 B1 KR 101208701B1 KR 1020100096528 A KR1020100096528 A KR 1020100096528A KR 20100096528 A KR20100096528 A KR 20100096528A KR 101208701 B1 KR101208701 B1 KR 101208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pressing plate
emitting cell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5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35050A (en
Inventor
오부현
Original Assignee
(주)이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엘에스 filed Critical (주)이엘에스
Priority to KR1020100096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701B1/en
Publication of KR20120035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0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7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발광다이오드에서 각기 다른 색상으로 발산되는 빛이 서로 혼합되지 않게 하여 고유 색상의 빛이 각각 명확히 구분되어 표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에 가이드링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누름판이 구비되는 외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텍트스위치 및 발광다이오드가 집적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상에 구비되는 리턴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누름판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회로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발광셀과, 상기 회로기판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발광셀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프레임은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 둘레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발광셀의 빛이 상기 가이드링으로 발산되도록 하고, 일측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제2발광셀이 삽입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어 제2발광셀의 빛이 상기 누름판으로 발산되되, 상기 내부프레임의 관통구 사이에는 상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교량형의 덮개가 형성되어 상기 제2발광셀의 빛이 사방으로 퍼지게 하여 누름판의 전체로 균일하게 빛이 표출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한 결합구조로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돌출부와 관통구가 형성된 내부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의해 제1발광셀과 제2발광셀에서 발산되는 각기 다른 색상의 빛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1발광셀과 제2발광셀에서 발산되는 고유 색상의 빛이 누름판과 가이드링을 통해 명확히 구분되어 표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누름판과 가이드링에서 명확히 구분되는 빛의 색상을 통해 상기 누름판에 표시되는 문자를 선명하게 부각시켜 문자의 식별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of an elevator switch, and a coupling structure of an elevator switch is disclosed so that light emitted in different colors from a light emitting diode is not mixed with each other so that light having a unique color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and displayed.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ring is provided with a guide ring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pressing plat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ring,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frame and the Tact switch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is integrated In a coupling structure of an elevator switch comprising a circuit board and an inner frame elastically supported by a return spring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the light emitting diode is an edge of the circuit board. And a plurality of first light emitting cells dispos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wherein the inner frame is spaced apart from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fram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light is to be emitted by the guide ring, and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downward on one side,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protrusion to insert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so that the light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is emitted to the pressing plate, and a bridge-type cover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upward between the through holes of the inner frame. The technical gis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is spread out in all directions so that the light is uniformly expressed throughout the pressing plate.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by the above-described coupling structure may prevent the light of different colors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cell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from being mixed with each other by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inner frame having the protrusion and the through hole. In this way, light of a unique color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cell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is clearly distinguished and expressed through the pressing plate and the guide ring.
In addition, through the color of the light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pressing plate and the guide ring,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pressing plate can be clearly highlighted to further improve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acters, and the appearance of the elevator switch can be more beautifully maintained. .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ELEVATOR SWITCH}Combination structure of elevator switch {COMBINATION STRUCTURE OF ELEVATOR SWITCH}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조작의 편의성과 제품의 미려감 및 버튼의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of the elevator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upling structure of the elevator switch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elevator operation and the beauty of the product and the readability of the button.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 건물이나 아파트 또는 산업현장 등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화물을 상/하방으로 운반하는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elevators are installed in high-rise buildings, apartments, or industrial sites, and are widely used as a means of transporting people or cargo up and down.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의 내부에는 조작반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조작반에는 엘리베이터의 승하강 조작을 위한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다.To this end, an operation panel is provided inside the elevator, and the operation panel is provided with a switch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elevator.

이러한 스위치는 엘리베이터 조작의 편의성과 제품의 미려감 및 가독성 향상 등을 위해 다양한 구조의 엘리베이터 스위치가 당업자에 의해 제안된바 있으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2002년 05월 18일자로 실용신안출원된 '제20-2002-0015196호, 엘리베이터용 버튼'에 대해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These switches have been propo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levator elevators of various structures for the convenience of elevator opera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beauty and readability of the product, and the utility model application filed on May 18, 2002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 20-2002-0015196, Buttons for Elevator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버튼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button for a conventional elevator.

도 1을 참조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버튼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버튼용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스위치(21)와 LED 램프(22)가 각각 장착되고, 케이스(10)의 전방에는 반투명 재질의 작동구(30)가 결합되어 스프링(32)으로 탄력 지지되며, 작동구(30)의 전면 결합홈(31)에는 눌름부재(40)가 삽입 고정된 통상의 버튼(1)에 있어서, 상기 눌름부재(40)는 금속판재를 프레싱하여 그 후방이 개방된 케이싱으로 형성되고, 눌름부재(40)의 전면에는 표면처리에 의하여 숫자나 기호를 이루는 표시부(41)가 형성되어 그 내부에는 무수한 통공(42)들이 뚫려지며, 눌름부재(40)의 내부에는 반투명 수지로 이루어진 지지판(50)이 삽입 고정됨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In the conventional elevator button referring to FIG. 1, a switch 21 and an LED lamp 22 are respectively mounted in a button case 10 installed in an elevator, and a translucent material is operated in front of the case 10. Sphere 30 is coupled and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32, in the conventional button (1) in which the pressing member 40 is fixed to the front coupling groove 31 of the operating tool 30, the pressing member 40 is formed of a casing in which the back of the metal plate is pressed to open, the front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40 is formed with a display portion 41 to form a number or symbol by the surface treatment, there are countless through-holes 42 ) Is drilled, the support member 50 made of a translucent resin is inserted into the pressing member 40 is fixed to the technical point.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버튼은, 도 1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눌름부재(40)를 눌러주면 작동구(30)가 이동되면서 그 후방의 가압구(33)가 스위치(21)를 눌러주어 엘리베이터의 콘트롤부에 신호를 인가함과 동시에 스위치(21) 주변에 위치한 LED 램프(22)들이 점등된다.In the conventional elevator butt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pressing the pressing member 40, as shown in Figure 1 (b) when the operating port 30 is moved while the pressing port 33 of the rear switch ( 21 is pressed to apply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of the elevator and at the same time the LED lamps 22 located around the switch 21 are turned on.

따라서 LED 램프(22)의 불빛이 반투명한 작동구(30)와 지지판(50)을 투과하여 눌름부재(40)에 뚫려진 통공(42)들을 통해 발산되므로 표시부(41)의 숫자나 기호를 선명하게 부각시켜 사용자들이 명확하게 표시부(41)를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버튼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고, 표시부(41)의 식별력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light of the LED lamp 22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lucent operating port 30 and the support plate 50 through the through holes 42 drilled in the pressing member 40, so that the number or symbol of the display unit 41 is clear. In addition, the user can clearly identify the display unit 41 as well as maintain the appearance of the overall button beautifully, and can enhance the discriminating power of the display unit 41.

이때 LED 램프(22)의 불빛은 반투명한 케이스(10)의 가이드링(12)을 통해 밝은 빛의 테두리를 형성함에 따라 버튼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고, 표시부(41)의 식별력을 더욱 높여줄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light of the LED lamp 22 can maintain the appearance of the button more beautifully by forming the edge of the bright light through the guide ring 12 of the translucent case 10, the identification of the display portion 41 further You can increase it.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버튼은, 눌름부재(40)의 표시부(41)에서 표출되는 빛과 상기 케이스(10)의 가이드링(12)에서 표출되는 빛이 기판(20)상에 형성된 단일의 LED 램프(22)들을 통해 상기한 두 부분 모두 같은 색상의 빛만 표출되는 단조로움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button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ortion 41 of the pressing member 40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guide ring 12 of the case 10 are formed on the substrate 20. Through the single LED lamps 22 there was a monotony that only the same color of light appeared in both parts.

그리고 기판(20)상에 서로 다른 색상의 LED 램프 그룹을 서로 이격되게 배치한다고 하더라도 소형의 기판(20)상에서 LED 램프들은 서로 근접되어 있어 각기 다르게 발산되는 빛이 서로 혼합되므로 LED 램프 고유의 색상을 표출하지 못함은 물론이고, 각 LED 램프의 고유한 색상의 빛이 상기 표시부(41)와 가이드링(12)에서 명확히 구분되어 표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Even though LED lamp groups of different colors are disposed on the substrate 2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LED lamps on the small substrate 20 are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so that different colors of divergent light are mixed with each other. Of cour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ght of the unique color of each LED lamp is not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display unit 41 and the guide ring 12.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LED 그룹이 기판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각기 다른 색상으로 발산되는 빛이 서로 혼합되지 않게 하여 고유 색상의 빛이 각각 명확히 구분되어 표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LED groups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ubstrate so that the light emitted in different colors are not mixed with each other, the light of the unique color can be clearly expressed separately. It is to provide a coupling structure of the elevator switch.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가이드링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누름판이 구비되는 외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텍트스위치 및 발광다이오드가 집적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상에 구비되는 리턴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누름판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회로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발광셀과, 상기 회로기판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발광셀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프레임은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 둘레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발광셀의 빛이 상기 가이드링으로 발산되도록 하고, 일측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에는 제2발광셀이 삽입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2발광셀의 빛이 상기 누름판으로 발산되되, 상기 내부프레임의 관통구 사이에는 상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교량형의 덮개가 형성되어 상기 제2발광셀의 빛이 사방으로 퍼지게 하여 누름판의 전체로 균일하게 빛이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frame is provided with a guide ring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pressing plat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ring,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frame and the text switch and In a coupling structure of an elevator switch comprising a circuit board on which a light emitting diode is integrated and an inner frame elastically supported by a return spring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and in close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the light emitting diode is And a plurality of first light emitting cells disposed at an edge of the circuit board, and a plurality of second light emitting cells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wherein the inner frame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frame. The light of the first light emitting cell is to be emitted by the guide ring, one side downward The exit portion is formed, but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protrusion so that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is inserted so that the light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is emitted to the pressing plate, and the bridg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upwards between the through holes of the inner frame. The cover is formed so that the light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is spread in all directions, the light is uniformly expressed throughout the pressing plate.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누름판의 하부에는 일정 길이의 지지다리가 복수개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다리의 끝단에는 후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후크돌기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상방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 plurality of support legs of a predetermined length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late, a hook protrus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ort leg, and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frame restricts upward movement of the hook protrus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step is formed.

삭제delete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구조로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돌출부와 관통구가 형성된 내부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의해 제1발광셀과 제2발광셀에서 발산되는 각기 다른 색상의 빛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1발광셀과 제2발광셀에서 발산되는 고유 색상의 빛이 누름판과 가이드링을 통해 명확히 구분되어 표출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by the above-described coupling structure prevents the light of different colors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cell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from being mixed with each other by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inner frame in which the protrusion and the through hole are formed. Through this, light of a unique color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cell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is clearly distinguished and expressed through the pressing plate and the guide ring.

또한 상기 누름판과 가이드링에서 명확히 구분되는 빛의 색상을 통해 상기 누름판에 표시되는 문자를 선명하게 부각시켜 문자의 식별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color of the light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pressing plate and the guide ring,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pressing plate can be clearly highlighted to further improve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acters, and the appearance of the elevator switch can be more beautifully maintained. .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버튼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측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button for a conventional elevato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vator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elevator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elevator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elevator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to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in terms of meaning and concept.

또한,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specific matters such as a specific circuit elem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vator switch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elevator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n elevator switch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측단면도이다.Figure 5 is an explode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elevator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은, 상부에 가이드링(200)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링(200)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누름판(100)이 구비되는 외부프레임(300)과, 상기 외부프레임(300)의 하부에 결합되며 텍트스위치(920) 및 발광다이오드(940)가 집적되는 회로기판(900)과, 상기 회로기판(900)상에 구비되는 리턴스프링(80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누름판(100)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내부프레임(500)과, 상기 내부프레임(500)의 하부에 결합되어 가압에 의해 텍트스위치(920)와 접촉되는 엑츄에이터(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uter ring 300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late 100 is coupled to the upper guide plate 200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ring 200, and the outer frame The circuit board 9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300 and the Tact switch 920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940 is integrated,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return spring 800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900 An inner frame 500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100 and an actuator 70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frame 500 and in contact with the text switch 920 by pressing.

여기서 상기 발광다이오드(940)는 상기 회로기판(9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발광셀(940a)과, 상기 회로기판(90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발광셀(940b)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light emitting diodes 9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light emitting cells 940a disposed at the edge of the circuit board 900 and a plurality of second light emitting cells 940b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ircuit board 900. It is preferable that it consists of.

이러한 발광다이오드(940)의 배치 구조에 따라서, 상기 내부프레임(500)은 상기 외부프레임(300)의 내측 둘레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발광셀(940a)의 빛이 상기 가이드링(200)을 통해 발산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940, the inner frame 50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frame 3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light of the first light emitting cell 940a is guided by the guide ring 200. Divergence).

그리고, 상기 내부프레임(500)의 일측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부(520)가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부(520)에는 상기 제2발광셀(940b)이 삽입되도록 관통구(522)가 형성되어져, 상기 제2발광셀(940b)의 빛이 상기 누름판(100)을 통해 발산되도록 한다.In addition, a protruding portion 520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inner frame 500, and a through hole 522 is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520 so that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940b is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portion 520. The light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940b is emitted through the pressing plate 100.

이와 같은 결합구조의 본 발명은, 돌출부(520)와 관통구(522)가 형성된 내부프레임(500)의 결합구조에 의해 제1발광셀(940a)과 제2발광셀(940b)에서 발산되는 각기 다른 색상의 빛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1발광셀(940a)과 제2발광셀(940b)에서 발산되는 고유 색상의 빛이 누름판(100)과 가이드링(200)을 통해 명확히 구분되어 표출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coupling structure, the first light emitting cell 940a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940b are respectively emitted by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inner frame 500 in which the protrusion 520 and the through hole 522 are formed. Light of different colors may be prevented from being mixed with each other, and thus light having a unique color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cell 940a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940b is pressed down by the pressing plate 100 and the guide ring 200. It is clearly distinguished through the effect.

또한 상기 누름판(100)과 가이드링(200)에서 명확히 구분되는 빛의 색상을 통해 상기 누름판(100)에 표시되는 문자를 선명하게 부각시켜 문자의 식별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rough the color of the light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pressing plate 100 and the guide ring 200,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pressing plate 100 can be clearly highlighted to further improve the recognition power of the characters and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elevator switch. You can keep it more beautiful.

즉, 상술한 바에 따르면, 스위치 구조체 표면상의 각 발광부위별로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이 표출될 수 있도록 하며, 각 부위별로 텍트스위치(920)의 ON/OFF 상태에 따라 점등 및 소등을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게 되는데, 이에 따라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응하여 여러 발광효과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스위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above, light of different colors may be displayed for each light emitting part on the surface of the switch structure, and the lighting and the light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ON / OFF state of the text switch 920 for each par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ly an elevator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luminous effects in response to the needs of various customers.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외부프레임(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First, the outer frame 300 will be described.

상기 외부프레임(300)은 각종 부품의 결합 및 안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구조로서, 상부에는 가이드링(200)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링(200)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누름판(100)이 구비된다.The outer frame 300 is a structure formed to facilitate the coupling and mounting of various components, the upper ring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late 100 is coupled to the guide ring 200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ring 200. do.

상기 가이드링(200)은 누름판(100)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누름판(100)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 내측면에는 하방걸림턱(2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누름판(100)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여 외압에 의해 과도한 압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guide ring 200 supports the pressing plate 100 and simultaneously guides the pressing plate 100 to move up and down, and a lower locking jaw 220 is formed on an inner side thereof, which is the pressing plate ( This is to prevent the transfer of excessive pressure by external pressure by limiting the downward movement of 100).

그리고 상기 누름판(100)은 엘리베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기계적인 신호인 외력을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외부에는 숫자, 기호, 점자 등이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표기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링(200)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sing plate 100 directly transmits an external force, which is a mechanical signal for operating an elevator, and numbers, symbols, braille, and the like may be marked on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choic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It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ring 200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여기서 상기 누름판(100)의 하부에는 일정 길이의 지지다리(120)가 복수개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다리(120)의 끝단에는 후크돌기(1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후크돌기(122)는 외부프레임(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방걸림턱(320)에 의해 상방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누름판(10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late 1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0 of a predetermined length, it is preferable that the hook protrusion 12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ort leg 120, the hook protrusion 122 The upward movement is limited by the upper locking jaw 32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frame 300 to prevent the pressing plate 100 is separated from the outside.

다음으로 회로기판(9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circuit board 900 will be described.

상기 회로기판(900)은 엘리베이터의 조작을 위한 각종 전장부품이 집적되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일측에는 텍트스위치(920)가 장착되고, 상기 텍트스위치(920)의 주변에는 저항과 콘덴서 및 외부에 빛을 표출시키는 발광다이오드(940) 등이 장착된다.The circuit board 900 is integrated with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fo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Looking at this in detail, a tact switch 920 is mounted on one side, and a resistor, a condenser, and an external device are disposed around the tact switch 920. A light emitting diode 940 or the like for emitting light is mounted.

여기서 상기 텍트스위치(920)는 후술할 엑츄에이터(700)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기계적인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엘리베이터가 작동되도록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text switch 920 converts a mechan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s pressed by the actuator 7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ransmits a signal to operate the elevator.

특히 상기 발광다이오드(9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9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발광셀(940a)과, 상기 회로기판(90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발광셀(940b)로 구성되는데, 후술할 내부프레임(500)의 형상과 결합구조에 의해 가이드링(200)과 누름판(100)에 표출되는 빛이 명확히 구분되어 식별력을 더욱 향상되고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particular, the light emitting diode 94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light emitting cells 940a disposed at the edge of the circuit board 900 and a plurality of second light emitting cell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ircuit board 900. 940b, the light displayed on the guide ring 200 and the pressing plate 100 is clearly distinguished by the shape and coupling structure of the inner frame 500 to be described later to further improve identification and maintain a more beautiful appearance. It will be possible.

다음으로 내부프레임(5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internal frame 500 will be described.

상기 내부프레임(500)은 회로기판(900)상에 구비되는 리턴스프링(80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누름판(100)의 하부면에 밀착되는데, 상기 누름판(10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의 내부프레임(500)은 상기 리턴스프링(80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회로기판(900) 상에서 일정 간극을 두고 떠 있게 되고, 상기 누름판(100)에 압력이 가해질 때의 내부프레임(500)은 상기 리턴스프링(800)에 의해 완충되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inner frame 50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return spring 800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90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100, when the pressure is not applied to the pressing plate 100. The inner frame 500 is supported by the return spring 800 and floats with a predetermined gap on the circuit board 900.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pressing plate 100, the inner frame 500 returns the return. The buffer is moved by the spring 800 to move downward.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프레임(500)의 일측면에는 돌출부(520)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520)에는 회로기판(900)상의 제2발광셀(940b)이 삽입되도록 관통구(522)가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 520 is formed downward on one side of the inner frame 500, and the through hole 522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520 to insert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940b on the circuit board 900. ) Is formed.

여기서 상기 돌출부(520)의 상부에는 바깥 가장자리면을 따라 삽입돌기(56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삽입돌기(560)는 누름판(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삽입홈(140)에 밀착 삽입되어 제2발광셀(540b)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기 누름판(100)과 내부프레임(500)의 접촉면을 통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n insertion protrusion 560 is form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protrusion 520,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560 is clos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4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100.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540b is prevented from leaking through the contact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100 and the inner frame 500.

또한 상기 내부프레임(500)의 돌출부(520) 하부에는 관통구(522)의 외주연을 따라 밀착돌기(58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밀착돌기(580)는 회로기판(900)상에 밀착되어 제2발광셀(540b)에서 발산되는 빛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a contact protrusion 580 is preferably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522 under the protrusion 520 of the inner frame 500. The contact protrusion 580 is formed on the circuit board 900.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540b is prevented from leaking.

그리고 상기 내부프레임(500)의 관통구(522) 사이에는 상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교량형의 덮개(5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관통구(522)를 지나 한 곳으로만 집중되는 제2발광셀(540b)의 빛을 상기 교량형의 덮개(540)를 통해 사방으로 퍼지게 하여 누름판(100) 전체에 균일한 빛이 표출되도록 한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bridge-shaped cover 540 is formed between the through holes 522 of the inner frame 5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upward, and is concentrated only in one place through the through holes 522. The light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540b is spread out in all directions through the cover 540 of the bridge type so that uniform light is displayed on the entire pressing plate 100.

다음으로 엑츄에이터(7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actuator 700 will be described.

상기 엑츄에이터(700)는 상술한 내부프레임(500)의 하부에 안착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서, 누름판(100)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내부프레임(500)과 연동하여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회로기판(900)상의 텍트스위치(920)와 접촉하게 된다.The actuator 700 is to be seated o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frame 500 as described above, and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pressing plate 100, the actuator 700 moves downward in association with the inner frame 500 so as to move on the circuit board 900. In contact with the text switch 920.

여기서 상기 엑츄에이터(700)는 얇은 두께의 박막 형태로 형성되어 상술한 내부프레임(500)의 하부에 안착 또는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내부프레임(500)의 하부에는 상기 엑츄에이터(700)의 안착 또는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요홈(59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actuator 700 is formed in a thin film form having a thin thickness to be seated o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frame 500. At this time,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frame 500 is seated or coupled to the actuator 700. It is preferable that grooves 590 are forme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 예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엑츄에이터(700)는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방으로 뻗은 4개의 단부가 상기 내부프레임(500)의 하부에 형성된 요홈(590)에 안착 또는 결합되고, 엑츄에이터(700)의 중앙부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로기판상의 텍트스위치(920)와 접촉하게 된다.
As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tuator 700 has a cross shape and four end portions extending in all directions are seated or coupled to the groove 59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frame 500, and the actuator 700. )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tact switch 920 on the circuit board.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발광셀(940a)과 제2발광셀(940b)에서 발산되는 각기 다른 색상의 빛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제1발광셀(940a)과 제2발광셀(940b)에서 발산되는 고유 색상의 빛이 누름판(100)과 가이드링(200)을 통해 명확히 구분되어 표출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제안하고 있으며,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작동원리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에 해당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ght of different colors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cell 940a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940b is prevented from being mixed with each other, and thereby the first light emitting cell 940a. ) And a combination structure of an elevator switch so that light of a unique color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940b is clearly distinguished and expressed through the pressing plate 100 and the guide ring 200, and an operation principle of the elevator switch Sinc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 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hat the claims that follow may be better understood. It should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bove-described concepts and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mmediately as a basis for designing or modifying other shapes for carrying out similar objects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 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라면 하기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only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be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100: 누름판 120: 지지다리
122: 후크돌기 140: 삽입홈
200: 가이드링 220: 하방걸림턱
300: 외부프레임 320: 상방걸림턱
500: 내부프레임 520: 돌출부
522: 관통구 540: 덮개
560: 삽입돌기 580: 밀착돌기
590: 요홈 700: 엑츄에이터
800: 리턴스프링 900: 회로기판
920: 엑츄에이터 940a: 제1발광셀
940b: 제2발광셀
100: pressing plate 120: support leg
122: hook projection 140: insertion groove
200: guide ring 220: lower locking jaw
300: outer frame 320: upper locking jaw
500: internal frame 520: protrusion
522: through hole 540: cover
560: insertion protrusion 580: contact protrusion
590: groove 700: actuator
800: return spring 900: circuit board
920: actuator 940a: first light emitting cell
940b: second light emitting cell

Claims (3)

상부에 가이드링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누름판이 구비되는 외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텍트스위치 및 발광다이오드가 집적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상에 구비되는 리턴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누름판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회로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발광셀과, 상기 회로기판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발광셀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프레임은,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 둘레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발광셀의 빛이 상기 가이드링으로 발산되도록 하고, 일측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제2발광셀이 삽입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어, 제2발광셀의 빛이 상기 누름판으로 발산되되,
상기 내부프레임의 관통구 사이에는,
상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교량형의 덮개가 형성되어, 상기 제2발광셀의 빛이 사방으로 퍼지게 하여 누름판의 전체로 균일하게 빛이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An outer frame having a guide ring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and having a pressing plate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ring, a circuit boar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frame and integrated with a tact switch and a light emitting diode, and on the circuit board I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elevator switch comprising an inner frame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return spring provided in the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The light emitting diode,
A plurality of first light emitting cells disposed at an edge of the circuit board and a plurality of second light emitting cells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The inner frame,
It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frame so that the light of the first light emitting cell is diverted by the guide ring, and a protrusion is formed downward on one sid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penetrates the protrusion. Sphere is formed, the light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is emitted to the pressing plate,
Between the through holes of the inner frame,
The bridge-type cover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upwards, and the light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cell spreads in all directions so that the light is uniformly expressed throughout the pressing pl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의 하부에는 일정 길이의 지지다리가 복수개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다리의 끝단에는 후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후크돌기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상방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The method of claim 1,
A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legs of a predetermined length, a hook protrus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ort le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elevator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locking jaw is formed below the outer frame to limit the upward movement of the hook projection.
삭제delete
KR1020100096528A 2010-10-04 2010-10-04 Combination structure of elevator switch KR1012087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528A KR101208701B1 (en) 2010-10-04 2010-10-04 Combination structure of elevator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528A KR101208701B1 (en) 2010-10-04 2010-10-04 Combination structure of elevator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050A KR20120035050A (en) 2012-04-13
KR101208701B1 true KR101208701B1 (en) 2012-12-06

Family

ID=4613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528A KR101208701B1 (en) 2010-10-04 2010-10-04 Combination structure of elevator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70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8768A (en) 2002-04-18 2003-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Double illumination type touch button device
JP2006126735A (en) * 2004-11-01 2006-05-18 Toshiba Elevator Co Ltd Display mechanism and push-button swit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8768A (en) 2002-04-18 2003-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Double illumination type touch button device
JP2006126735A (en) * 2004-11-01 2006-05-18 Toshiba Elevator Co Ltd Display mechanism and push-button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050A (en) 201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7850B2 (en) Illuminated switch
TWI221145B (en) Operating button device
US9324517B2 (en) Switch actuator having light guiding features
TW201608587A (en) Pressing type switch
WO2016095724A1 (en) Luminous keyboard switch
CN205692737U (en) keyboard and mechanical keyboard
JP4779169B1 (en) Button lighting structure, electronic equipment
KR101208701B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elevator switch
US9746168B1 (en) Light-emitting touch buttons
CN215496495U (en) Key structure with light guide function
CN204792566U (en) Button on noiseless luminous mechanical keyboard
US8242397B2 (en) Illuminated push switch
US10274179B1 (en) Flashing ornament apparatus
CN211907300U (en) Combined luminous keycap and keyboard
KR20050054204A (en) Controller assembly
CN210348823U (en) Early education device
CN220376034U (en) Elevator button with progress bar
CN217015288U (en) Novel light-emit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chessboard
KR100795180B1 (en) Indicator device for a fire extinguisher position
JP3073890U (en) Illuminated keyboard
CN106531512B (en) Push-button switch
KR200223291Y1 (en) Optical Nude Color Convex Keyboard
KR200350549Y1 (en) Cover for lighting
JP6408335B2 (en) Back-lighting type lighting device
KR200284123Y1 (en) a button of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