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483B1 - 가구 및 이를 이용한 식탁세트 - Google Patents

가구 및 이를 이용한 식탁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483B1
KR101208483B1 KR1020090095156A KR20090095156A KR101208483B1 KR 101208483 B1 KR101208483 B1 KR 101208483B1 KR 1020090095156 A KR1020090095156 A KR 1020090095156A KR 20090095156 A KR20090095156 A KR 20090095156A KR 101208483 B1 KR101208483 B1 KR 101208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top plate
furniture
fram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631A (ko
Inventor
고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to KR1020090095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483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Landscapes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생활하는데 사용되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바닥에 소정 높이로 설치된 마루; 상기 마루 상에 구비된 제1상판부 및, 상기 마루 옆에 놓이도록 상기 제1상판부에 잇대어 구비된 제2상판부를 포함하는 상판; 상기 바닥과 상기 마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상판 사이에 설치되는 상판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및 이를 이용하는 식탁세트를 제시한다.
가구, 식탁, 좌식, 입식, 마루

Description

가구 및 이를 이용한 식탁세트{Furniture and table s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생활하는데 사용되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나 실외에서 수납, 장식, 휴식, 편의성 등을 목적으로 생활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즉, 수납을 위한 가구로는 옷장, 신발장, 서랍장 등이 있으며, 휴식을 위한 가구로는 쇼파, 의자, 침대 등이 있고, 편의성을 위한 가구로는 식탁, 조리대, 싱크대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가구는 대부분이 서양문물이 유입되면서 좌식생활양식에서 생활하기 편리한 입식생활양식으로 바뀌거나 새로 만들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 식탁이나 책상이 있다.
그런데, 입식생활양식은 건장한 성인이나 현대인한테는 비교적 편리함을 주지만, 노약자나 전통방식의 교육을 받거나 고수하는 사람들은 오히려 서서 생활하거나 의자에 앉는 입식생활양식을 불편하게 느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입식생활양식 및 좌식생활양식이 병용될 수 있는 가구 및 이를 이용하는 식탁세트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닥에 소정 높이로 설치된 마루; 상기 마루 상에 구비된 제1상판부 및, 상기 마루 옆에 놓이도록 상기 제1상판부에 잇대어 구비된 제2상판부를 포함하는 상판; 상기 바닥과 상기 마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상판 사이에 설치되는 상판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를 제시한다.
상기 마루는 마루 본체 및, 상기 마루 본체와 바닥과의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마루 본체에 설치된 복수개의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루는 마루 본체 및, 상기 마루 본체보다 강성체로 형성되며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마루 본체를 지지하는 마루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루 프레임은 철제로 형성되고, 상기 마루 본체는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루 본체는 하나 또는 2이상의 마루 프레임과 조합될 수 있다.
상기 마루는 상기 마루 프레임과 바닥과의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마루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개의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루 프레임은 상기 마루 본체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루 본체는 상기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마루 본체와 상기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마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부는 상기 마루 프레임에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판 지지대는 상기 상판과 상기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입식부 지지대 및, 상기 상판과 상기 마루 사이에 설치되는 좌식부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상판의 일부가 마루 상에 놓이도록 구성함으로써, 좌식생활양식과 입식생활양식이 병용될 수 있다.
또한 상판의 일부가 마루 상에 놓이도록 구성함으로써, 신체적 조건 등에 상관없이 무리의 모든 구성원이 함께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에 의해 마루의 수평유지 및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마루가 마루 본체와 마루 프레임으로 분리 구성됨에 따라서,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마루 본체는 미관을 강조한 소재로 형성하고 마루 프레임은 강성을 강조한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미관 및 강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마감부를 포함함으로써 마루의 하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미관을 보다 보다 수려하게 할 수 있고, 높이조절부에 의한 높이조절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마감부를 자력에 의해 설치함으로써, 마감부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마감부의 결합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바 미관상 유리하며, 마감부가 마루 본체 또는 마루 프레임과 이격된 상태로도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구의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2)는 바닥(1)에 소정 높이로 설치된 마루(10)와, 마루(10) 상에 구비된 제1상판부(22) 및 마루(10) 옆에 놓이도록 제1상판부(22)에 잇대어 구비된 제2상판부(24)를 포함하는 상판(20)과, 바닥(1)과 마루(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판(20) 사이에 설치되는 상판 지지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가구(2)는 마루(10)에서 올라가서 상판(20)을 사용하거나, 바닥(1)에서 상판(20)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가구(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0)을 입식생활양식에 맞는 높이로 설치하여, 마루(10)에 올라 앉아서 제1상판부(22)를 사용하거나, 바닥(1)에 서거나 의자(3)를 놓아서 제2상판부(24)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구(2)는 좌식생활문화와 입식생활문화가 병용된 생활이 가능토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가구(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0)의 제2상판부(24) 주위에 의자(3)를 놓아둠으로써 입식과 좌식 겸용 식탁용도로 유리하며, 또는 조리대나 싱크대 또는 수납장과 겸용된 식탁용도 즉 아일랜드식 식탁으로 유리하다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가구(2)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서재가구(2)를 비롯하여 다양한 용도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구(2)는 상판(20)의 제1상판부(22)와 제2상판부(24)의 높이가 같더라도 상판(20)의 제1상판부(22)와 바닥(1) 사이의 높이보다 상판(20)의 제2상판부(24)와 마루(10) 사이의 높이가 더 낮기 때문에 어른과 유아 등 신체적 조건 등이 다른 무리가 모두 함께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판(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판부(22)와 제2상판부(24)가 하나의 패널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상판부(22)와 제2상판부(24)가 재질이나 형상, 크기 등의 요인에 따라 분리되어 제작된 후 일체로 조립될 수도 있다.
또한 상판(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판부(22)와 제2상판부(24)가 바닥(1)으로부터 동일한 높이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제1상판부(22)와 제2상판부(24)의 바닥(1)으로부터의 높이가 서로 상이한 실시 예도 가능하다.
또한 상판(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구(2)의 용도 등에 따라서 상판(20) 위에 조리대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판 지지대(30)는 상판(2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면 구조, 설치위치 등이 무방하다. 다만, 상판 지지대(30)는 상판(20)의 제1상판부(22) 및 제2상판부(24)가 모두 균등하게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판(20)과 마루(10) 사이에 설치되는 제1상판부 지지대(32) 및, 상판(20)과 바닥(1) 사이에 설치되는 제2상판부 지지대(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상판부 지지대(32), 제2상판부 지지대(34)는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랜드 식탁구조처럼 박스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기둥 등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2)의 마루(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마루(10)는 여러가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마루(1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재에 의해 통자로 형성되는 것보다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 본체(100)와, 마루 본체(100)보다 강성체로 형성되며 바닥(1)에 설치되어 마루 본체(100)를 지지하는 마루 프레임(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마루(10)가 마루 본체(100)와 마루 프레임(110)으로 분리 구성됨에 따라서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강성체의 마루 프레임(110)에 의해 마루(10)를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루 본체(100)를 미관을 고려하여 목재를 비롯한 다양한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마루 본체(100)는 자연친화적인 소재인 목재로 형성되며, 마루 프레임(110)은 강성 비용 등을 고려하여 철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루 본체(100)는 통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패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후자의 경우 마루 본체(100)는 상면을 이루는 상면 패널 및, 측면을 이루는 2이상의 측면 패널의 조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마루 프레임(110)은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는 물론, 이외에도 여러가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루(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마루 본체(100)에 하나의 마루 프레임(110)이 조합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10)는 하나의 마루 본체(100)에 2이상의 마루 프레임(110)과 조합된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2이상의 마루 프레임(110)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마루 본체(100)하고만 조립될 수도 있고, 서로 조립될 수도 있다.
한편, 마루 본체(100)에 의해 마루 프레임(110)이 은닉될 수 있도록, 마루 프레임(110)이 마루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마루 본체(100)는 바닥(1)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마루 본체(100)와 바닥(1) 사이에 설치되는 마감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마감부(120)를 탈부착함으로써 마루(10)의 하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오염된 마감부(120)만 용이하고 간소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루 프레임(110) 및 마루 본체(100)를 바닥(1)에 설치하고 마감부(120)를 조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마루(10)의 수평을 맞추거나 다른 요구 사항에 의해서 마루(10)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마감부(120)를 조립할 수 있다.
마감부(120)는 마루 본체(100)와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루 본체(100)와 상이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마감부(120)는 마루 프레임(110) 또는 마루 본체(100)에 조립될 수 있는데, 미관상 마루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마감부(120)는 스크류 등에 의해 마루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 프레임(110)에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자력에 의해 마감부(120)를 조립함으로써, 마감부(120)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마루 프레임(110)과의 결합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바 미관상 유리하고 자력만 충분히 형성된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120)가 마루 프레임(110)에 직접 닿지 않아도 되므로 마루(10) 설계가 보다 용이하다.
이때, 마루 프레임(110)과 마감부(120)의 소재에 따라 자석(122)이 여러가지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 프레임(110)이 자석(122)이 붙을 수 있는 소재인 경우 마감부(120)의 내측면에만 자석(122)이 부착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마루 프레임(110)에 자석(122)이 부착되고 마감부(120)가 자석(122)이 붙을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마루 프레임(110)과 마감부(120) 양쪽에 모두 자석(122)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마루(10)는 수평유지나 높낮이 조절을 위해, 복수개의 높이 조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13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 프레임(1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10)가 마루 본체(100)만으로 구성된 경우 마루 본체(10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높이 조절부(130)는 싱크대나 세탁기 등에 많이 사용되는 바와 같은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130)는 일 예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 본체(100) 또는 마루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나사홈(132A)이 형성된 바디(132)와, 바디(132)의 나사홈(132A)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134A)를 갖는 캡(1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캡(134)을 조이면 캡(134)의 볼트부(134A)가 바디(132)의 나사홈(132A)에 삽입됨으로써 높이가 낮아지고, 캡(134)을 풀면 캡(134)의 볼트부(134A)가 바디(132)이 나사홈(132A)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높이가 높아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마루(10)는 여러가지로 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 예로써 먼저 높이 조절부(130)가 설치된 마루 프레임(110)과 마루 본체(100)를 조립한 후 시공장소에 설치하고, 높이 조절부(130)에 의해 마루(10)의 높이를 맞춘 후 마감부(12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구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구의 마루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구의 마루 일부를 절개 및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의 마루 높이조절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가구의 마루 프레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가구의 마루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주요부 조립된 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가구 10; 마루
20; 상판 30; 상판 지지대
100; 마루 본체 110; 마루 프레임
120; 마감부 130; 높이 조절부

Claims (11)

  1. 바닥에 소정 높이로 설치된 마루와, 상기 마루 상에 구비된 제1상판부 및 상기 마루 옆에 놓이도록 상기 제1상판부에 잇대어 구비된 제2상판부를 포함하는 상판과, 상기 바닥과 상기 마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상판 사이에 설치되는 상판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마루는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마루 본체 및, 상기 마루 본체와 분리 구성되어 상기 마루 본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마루보다 강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마루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마루 프레임과, 상기 마루 프레임과 바닥과의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마루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개의 높이 조절부와, 상기 마루 본체와 상기 바닥 사이에 탈부착 가능토록 설치되는 마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세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루 프레임은 철제로 형성되고, 상기 마루 본체는 목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세트.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는 상기 마루 프레임에 자력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세트.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판 지지대는 상기 상판과 상기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입식부 지지대 및, 상기 상판과 상기 마루 사이에 설치되는 좌식부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세트.
  11. 삭제
KR1020090095156A 2009-10-07 2009-10-07 가구 및 이를 이용한 식탁세트 KR101208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156A KR101208483B1 (ko) 2009-10-07 2009-10-07 가구 및 이를 이용한 식탁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156A KR101208483B1 (ko) 2009-10-07 2009-10-07 가구 및 이를 이용한 식탁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631A KR20110037631A (ko) 2011-04-13
KR101208483B1 true KR101208483B1 (ko) 2012-12-05

Family

ID=44045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156A KR101208483B1 (ko) 2009-10-07 2009-10-07 가구 및 이를 이용한 식탁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4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631A (ko)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271B2 (en) Modular furniture system
KR200461779Y1 (ko) 시스템 가구용 선반받침대
KR101208483B1 (ko) 가구 및 이를 이용한 식탁세트
CN204812698U (zh) 一种茶几
US6685287B1 (en) Combination corner hutch and dining table
US20130152833A1 (en) Adjustable desk
CN205682846U (zh) 一种具有电脑桌的沙发躺椅
CN201683388U (zh) 多功能组合家具
CN202436547U (zh) 一种组合陶瓷橱柜
CN205658602U (zh) 多功能三联座胶合板柜椅
US1933074A (en) Wood and metal furniture construction
CN211048874U (zh) 一种家用可调节式座椅
GB2523982A (en) Fusion of sofa, table, bed and technology
KR101136977B1 (ko) 다목적 조립형 가구
CN205457271U (zh) 一种多功能书桌沙发组合柜床
KR200377719Y1 (ko) 침대와 옷장을 일체로 구비한 조합형 책상
CN105795773A (zh) 一种具有电脑桌的沙发躺椅
KR101246283B1 (ko) 길이조절 및 분리 조립이 가능한 책걸상
CN106419207B (zh) 一种可一拆为四的多用途家具
CN202131785U (zh) 一种榻榻米和室房
KR20090006879U (ko) 이동식 서랍장
CN204260266U (zh) 一种框架椅
RU151836U1 (ru) Боковая стенка мебельного изделия
KR200335952Y1 (ko) 디자인 가변형 소파
KR20200038155A (ko) 가변형 모듈 소파 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