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148B1 -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전기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홈 서버 - Google Patents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전기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홈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148B1
KR101208148B1 KR1020100097747A KR20100097747A KR101208148B1 KR 101208148 B1 KR101208148 B1 KR 101208148B1 KR 1020100097747 A KR1020100097747 A KR 1020100097747A KR 20100097747 A KR20100097747 A KR 20100097747A KR 101208148 B1 KR101208148 B1 KR 101208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home appliance
argument
information
service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6073A (ko
Inventor
김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00097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148B1/ko
Publication of KR20120036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단말에 가전기기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홈 서버에 있어서,가전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가전기기들의 현재 상태정보를 분, 시, 일, 주, 월 및 년단위의 통계정보를 생성하는 통계정보 처리부, 가전기기들의 현재 상태정보, 고유정보 및 상기 통계정보 처리부에서 생성된 통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 단말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명령의 아규먼트(argument)를 분석하여 해당 가전기기들의 현재 상태정보를 추출하는 개방형 API부, 상기 개방형 API부에서 추출된 상기 상태정보를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서비스 요청명령에 따라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외부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홈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단말의 서비스 요청명령에 따라 홈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추출하는 개방형 API부를 포함한 홈 서버가 상기 추출된 상태정보를 외부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외부 단말은 인터넷상의 다양한 판단정보와 상기 제공된 상태정보를 매쉬업함으로서 해당 가전기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전기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홈 서버{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HOME APPLIANCE USING OPEN API AND HOME SERVER THEREOF}
본 발명은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전기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홈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홈 네트워크상의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웹에 연결된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은 인터넷상에서 수집한 정보와 상기 수신한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매쉬업(mash up)하여 원격에서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전기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홈 서버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보급에 따라 다양한 홈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이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다.
홈 서버는 가정 내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다양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다양한 홈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기능, 홈 오토메이션 및, 홈 가전 제어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상기 홈 서버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계량장치, TV, 비디오,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전자레지, 전자커텐, 보일러, 홈시어터 등 가정 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종래의 홈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는 집안에 설치된 홈 서버를 이용해 각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집안에 있을 때만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간적 제약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가정내에서 가전기기의 통합적인 관리와 제어를 할 수 있는 홈 서버의 기능을 벗어나서 외부에서 가정내 가전기기들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인터넷상에서 수집한 정보와 매쉬업하여 상기 가정내 가전기기들을 실질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홈 서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홈 네트워크상의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웹에 연결된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은 인터넷상에서 수집한 정보와 상기 수신한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매쉬업(mash up)하여 원격에서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전기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홈 서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홈 서버는 외부 단말에 가전기기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홈 서버에 있어서, 가전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가전기기들의 현재 상태정보를 분, 시, 일, 주, 월 및 년단위의 통계정보로 생성하는 통계정보 처리부, 가전기기들의 현재 상태정보, 고유정보 및 상기 통계정보 처리부에서 생성된 통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 단말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명령의 아규먼트(argument)를 분석하여 해당 가전기기들의 현재 상태정보를 추출하는 개방형 API부, 상기 개방형 API부에서 추출된 상기 상태정보를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서비스 요청명령에 따라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외부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수신한 외부 단말의 제어명령에 따라 홈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가전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개방형 API부에서 추출된 상태정보 및 외부 정보서버로부터 수신된 판단정보를 조합(mash up)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가전기기들의 상태정보는 가전기기들의 온/오프 상태, 전력소비량 등의 에너지 소비관련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개방형 API부는 외부 단말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명령을 분석하는 아규먼트 분석부, 상기 분석된 서비스 요청명령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의 상태정보 출력형태를 결정하는 출력타입 결정부, 상기 분석된 서비스 요청명령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추출하는 상태정보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상태정보를 통신부로 전송하는 상태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개방형 API부는 상기 아규먼트 분석부에서 서비스 요청명령의 분석결과 상기 서비스 요청명령이 제어명령이라고 인식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명령을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제어명령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전기기 정보 제공방법은 외부 단말로부터 서비스 요청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서비스 요청명령의 아규먼트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아규먼트에 따라 출력형태를 결정하는 단계, 분석된 아규먼트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상태정보를 처리하여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개방형 API부에서 추출된 상태정보 및 외부 정보서버로부터 수신된 판단정보를 조합(mash up)하여 생성된 외부 단말의 제어명령을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홈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분석된 상기 아규먼트에 따라 출력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는 원시 데이터 형식(XML)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갖는 페이지 형식의 출력타입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단말의 서비스 요청명령에 따라 홈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추출하는 개방형 API부를 포함한 홈 서버가 상기 추출된 상태정보를 외부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외부 단말은 인터넷상의 다양한 판단정보와 상기 제공된 상태정보를 매쉬업함으로서 해당 가전기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에서 가전기기에 접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웹형태로 서비스 개발이 가능하고, 사용자는 자기에게 맞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음으로 외부에서의 가전기기 제어에 있어 결국 소비자 중심의 서비스가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홈 네트워크의 공간도 소비자 선호도에 따라 서비스 구성이 가능한 열린공간으로서 패러다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홈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인터페이스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전기기 정보 제공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단말에서의 매쉬업을 통한 홈 네트워크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홈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홈 서버(1000)는 가전기기 인터페이스부(100), 저장부(200), 통계정보 처리부(300), 개방형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이하 API라 한다)부(400), 통신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가전기기 인터페이스부(100)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10)와 연동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제어부(6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가전기기 인터페이스부(100)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또는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를 활용하여 홈 네트워크상에 새로운 가전기기가 설치되거나 제거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저장부(200)는 제어부(6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0)는 홈 서버(1000)에 연결된 홈 네트워크상의 각종 가전기기(10)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기본정보(210), 상태정보(220) 및 통계정보(230)를 저장한다. 상기 기본정보(210)는 가전기기 제조시 설정된 고정된 정보로서 모델명, 제조사, 제조년월, 볼륨/온도 등 제어변수의 동작범위 및 네트워크 주소(IP) 등을 포함한다. 상기 상태정보(220)는 가전기기의 온/오프 상태, 동작시 전력소비량 및 특정이벤트 발생에 따른 정보이며, 특히 가전기기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에 대한 이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통계정보(230)는 통계정보 처리부(300)에서 수집된 가전기기의 상태정보(220)를 이용하여 분단위, 시간단위, 일단위, 주단위, 년단위로 통계처리된 정보이다.
통계정보 처리부(300)는 수집된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통계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집된 상태정보를 원시 데이터의 형태로 관리하는 것은 외부 단말의 상태정보 요청시마다 원시 데이터를 재처리함에 따른 데이터 처리속도가 지연된다. 따라서 상태정보의 원시 데이터를 상기 통계정보 처리부(300)에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가전기기의 소비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의미있는 통계정보로서 생성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주기적으로 통계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는 간편하게 통계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개방형 API부(400)는 외부 단말로부터 가전기기들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한 요청에 대하여 응답하기 위한 개방형 API부 모듈을 생성 및 관리한다. 외부 단말(700)이 홈 서버(1000)에 전송하는 서비스 요청명령은 http://homeserver/openapi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단말이 서비스 요청명령을 생성할 때 아규먼트(argument)를 추가하는 여부에 따라 개방형 API부(400)는 상기 서비스 요청명령이 상태정보요청인지 제어명령인지, 데이터 출력타입 및 접근 가전기기 등을 구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외부 단말이 홈 서버로 전송하는 서비스 요청명령이 http://homeserver/openaip?key=XX&device=XX&output=XX&from=XX&to=XX&play=XX일 경우 각 아규먼트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key 아규먼트는 외부 단말이 홈 서버에 정상적으로 로그인 하는 경우 인증키이다. device 아규먼트는 홈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기준정보를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 'total'을 삽입하며 각 가전기기별로 접근하고자 하는 경우 가전기기의 모델명을 입력한다. output 아규먼트는 정보 데이터만을 얻고자 하는 경우 'xml'을 삽입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페이지 형태로 데이터를 얻고자 하는 경우 'ui'를 삽입한다. from/to 아규먼트(데이터 조회용일 경우만 해당)는 데이터를 얻고자 할 때 특정 기간 범위를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기간 범위에 대한 입력이 없는 경우 홈 서버가 관리하는 기준에 따라 데이터를 리턴한다. play 아규먼트는 제어용으로 접근하는 경우 'control' 을 입력하고, 데이터 조회용으로 접근하는 경우 'data'를 삽입한다.
즉 개방형 API부(400)는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와 같은 서비스 요청명령을 처리할 수 있도록 각 아규먼트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결정한다. 또한 개방형 API부(400)는 아규먼트 분석결과 적절하지 않는 경우 에러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500)는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외부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 단말로부터 가전기기들의 서비스 요청명령(현재 상태정보 요청 또는 가전기기들의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개방형 API부(400)에서 추출된 응답 데이터(해당 가전기기들의 상태정보)를 외부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부(500)는 외부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외부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웹미들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단말이 홈 서버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외부 단말이 홈 서버의 IP 또는 URL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홈 서버는 인터넷 사업자(Internet Service Provider, 이하 ISP라 한다)를 통하여 네트워크 망에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ISP가 홈 서버에 URL(예를 들어 ISP 사업자 도메인 뒤에 홈 서버를 위한 URL 할당, http://homeserver.isp-url.com/homeA)를 할당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ISP가 할당한 URL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홈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인터페이스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방형 API부(400)는 아규먼트 분석부(410), 출력타입 결정부(420), 상태정보 추출부(430), 상태정보 전송부(440), 제어명령 처리부(450)를 포함한다.
상기 아규먼트 분석부(410)는 통신부(500)를 통하여 외부 단말로부터 서비스 요청명령(가전기기들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한 요청 또는 제어명령)을 수신받아 각 아규먼트를 분석하여 수신된 서비스 요청명령이 제어명령(control)인지 데이터 조회요청(data)인지, 요청된 가전기기가 무엇인지, 상태정보를 어떤 출력타입으로 전송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아규먼트 분석부(410)는 서비스 요청명령에서 play 아규먼트가 'control'일 경우, 제어명령으로 인식하고 서비스 요청명령을 제어명령 처리부(450)로 전송한다. 제어명령 처리부(450)는 홈 서버의 제어부(600)가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요청명령을 해당 프로토콜에 적합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명령을 전송받은 홈 서버(1000)의 제어부(600)는 해당 가전기기를 온/오프, 동작시간 설정, 온도 조절, 볼륨 조절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아규먼트 분석부(410)는 서비스 요청명령에서 play 아규먼트가 'data'일 경우, 해당 가전기기의 상태정보 요청으로 인식한다. 계속하여 개방형 API부(400)의 아규먼트 분석부(410)는 수신된 서비스 요청명령에서 device 아규먼트가 'total'일 경우, 개방형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가전기기들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한 것으로 인식한다. 한편 device 아규먼트가 특정 가전기기의 제품명(예를 들어 TV의 모델명 LG_Infinia_ABC123)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저장부의 기본정보에 상기 모델명이 저장되어 있음) 상기 특정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요청한 것으로 인식한다.
출력타입 결정부(420)는 상기 아규먼트 분석부(410)에서 서비스 요청명령의 output 아규먼트가 'xml'일 경우, 가전기기들의 상태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없이 원시 데이터 형식으로 해당 가전기기의 기본정보, 전력소비량에 상태정보 및 통계정보를 외부 단말에 데이터를 제공한다. 한편 서비스 요청명령의 output 아규먼트가 'ui'일 경우, 해당 가전기기의 기본정보, 전력소비량에 상태정보 및 통계정보의 추이를 표시한 그래프 형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형식으로 외부 단말에 제공한다. 또한 출력타입 결정부(420)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예를 들어 가전기기의 전원 온/오프, 동작 시간 설정, 볼륨조절, 온도 조절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외부 단말에서 특정 가전기기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외부 단말은 출력타입 결정부(420)에서 제공하는 원시 데이터 형식으로 해당 가전기기의 정보를 입력받아 외부 단말에서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에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타입 결정부(42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아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태정보 추출부(430)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정보(예를 들어 가전기기의 온/오프 상태, 전력소비량 등)에서 해당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추출한다. 상태정보 전송부(440)는 추출된 상태정보를 외부 단말에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부(5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개방형 API부(400)를 구비한 홈 서버(1000)는 누구나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접근 가능한 사용자 리스트를 저장부에 등록함으로서 홈서버는 사용자 접근 권한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핸드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또는 PC/노트북/태블릿 PC와 같은 IP 기반 인터넷망을 통하여 홈 서버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리스트를 등록하는 방법은 핸드폰 번호, 계정생성, 공인 인증서 및 아이핀(i-pin)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등록된 사용자 리스트에 있는 외부 단말이 홈 서버에 접근하는 경우, 홈 서버는 외부 단말에 인증키를 발급하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한 외부 단말은 서비스 요청명령을 생성시 key 아규먼트에 상기 인증키를 삽입함으로서 개방형 API부를 구비한 홈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홈 서버는 접속한 외부 단말의 로그 관리를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전기기 정보 제공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홈 서버(1000)는 ISP에 의하여 IP 또는 URL이 할당되어 있으며, 외부 단말은 홈 서버(1000)에 할당된 IP 또는 URL을 이용하여 홈 서버에 접속가능하다. 여기서 외부 단말(500)은 사용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홈 서버(1000)에 이미 접속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 단말(500)은 홈 서버(1000)에 홈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상태정보 요청 또는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명령을 전송한다(S30). 상기 서비스 요청명령을 수신한 홈 서버의 개방형 API부는 각 아규먼트를 분석하여 상기 요청이 제어명령(control)인지 데이터 조회요청(data)인지, 요청된 가전기기가 무엇인지, 상태정보를 어떤 출력타입으로 전송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31). 분석된 아규먼트(data)가 데이터 조회요청인 경우, 개방형 API부는 출력 타입을 결정하고(S32), 해당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저장부에서 추출한다(S33). 이후 상기 추출된 해당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외부 단말(50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형식으로 처리하여(S34) 상기 추출된 해당 가전기기의 상태정보(응답 데이터)를 외부 단말(700)로 전송한다(S35).
상기 해당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신받은 외부 단말(700)은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정보서버(예를 들어 기상청 서버 또는 인터넷 포탈)로부터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판단정보(여기서는 지역별/시간별 날씨 정보)를 수신받는다(S40). 즉 외부 단말(700)은 홈 서버(1000)로부터 수신한 해당 가전기기의 상태정보와 상기 정보서버로부터 수신받은 판단정보를 연계하여(매쉬업) 상기 판단 정보에 따라 가전기기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홈 서버(1000)로 전송한다(S36).
외부 단말(700)로부터 매쉬업에 의하여 생성된 제어명령을 수신한 홈 서버(1000)의 개방형 API부는 아규먼트(control)를 분석한다. 상기 홈 서버(1000)의 개방형 API부(400)부는 아규먼트 분석결과 제어명령임을 인식하고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형식으로 상기 제어명령의 변환을 수행한다(S38). 이후 홈 서버(1000)는 가전기기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의 제어를 수행한다(S39). 한편 상기 정보서버는 외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및 메신져일 수 있으며, 외부 단말은 상기 SNS 및 메신져를 통하여 수신된 제3자의 판단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와 매쉬업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외부 단말은 개방형 API부를 구비한 홈 서버로부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들의 상태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정보서버로부터 상기 가전기기들의 제어에 있어 고려할 판단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외부 단말은 상기 상태정보 및 판단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현재 상태에 있는 가전기기들을 판단정보에 근거하여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명령을 생성함으로써 간편하게 원격지에서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가전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단말에서의 매쉬업을 통한 홈 네트워크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외부 단말은 홈 서버의 URL을 설정한 후 홈 서버에 로그인하여 접근 권한을 획득한다(S41). 이후 외부 단말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해당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홈 서버에 요청하여 해당 가전기기의 현재 상태정보를 수신한다(S43). 이 후 외부 단말은 정보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판단정보와 홈 서버로부터 수신한 해당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매쉬업하여(S45) 매쉬업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명령을 생성한다(S47).
여기서 매쉬업에 대하여 살펴보면, 외부 단말은 수신한 해당 가전기기의 작동 상황 및 전력소비량 등이 정보서버로부터 수신한 시간별/지역별 날씨정보와 조합한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의 전원을 온/오프시킬것인지, 또는 냉/난방기의 온도를 업/다운 시킬것인지 등을 판단하여 이에 따른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수신된 상태정보 및 판단정보에 근거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직접 설정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외부 단말은 생성된 제어명령을 홈 서버로 전송한다(S49).
따라서 개방형 API부를 구비한 홈 서버를 통하여 외부 단말에서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으로 상기 외부 단말은 인터넷상의 다양한 판단정보와 상기 수신한 상태정보를 매쉬업함으로서 해당 가전기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가전기기 100 : 가전기기 인터페이스부
200 : 저장부 300 : 통계정보 처리부
400 : 개방형 API부 410 : 아규먼트 분석부
420 : 출력타입 결정부 430 : 상태정보 추출부
440 : 상태정보 전송부 450 : 제어명령 처리부
500 : 통신부 600 : 제어부
700 : 외부 단말 1000 : 홈 서버

Claims (8)

  1.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1 서비스 요청명령의 아규먼트(argument)를 분석하여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개방형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부;
    상기 추출된 상태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상태정보 및 외부 정보서버로부터의 판단정보를 조합(mash up)하여 생성되는 제2 서비스 요청명령이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제2 서비스 요청명령에 따라 홈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홈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API부는,
    상기 제1 서비스 요청명령에 포함되는 제1 아규먼트와, 상기 제2 서비스 요청명령에 포함되는 제2 아규먼트를 분석하는 아규먼트 분석부;
    상기 제1 아규먼트를 데이터 조회요청으로 분석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비스 요청명령에 의해 지정되는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상태정보 추출부; 및
    상기 제2 아규먼트를 제어명령으로 분석하는 경우, 상기 제2 서비스 요청명령을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시켜, 상기 변환된 제2 서비스 요청명령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에 대해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명령 처리부
    를 포함하는 홈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규먼트 분석부는,
    상기 제1 아규먼트 중 from 아규먼트와 to 아규먼트에 기간 범위가 삽입되면, 상기 제1 아규먼트를 데이터 조회요청으로 분석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아규먼트 중 play 아규먼트에 'data'가 삽입되면 상기 제1 아규먼트를 데이터 조회요청으로 분석하는, 홈 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규먼트 분석부는,
    상기 제2 아규먼트 중 play 아규먼트에 'control'이 삽입되면 상기 제2 아규먼트를 제어명령으로 분석하는, 홈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API부는,
    상기 상태정보로서,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온 상태, 오프 상태, 또는 전력소비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너지 소비관련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홈 서버.
  6.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외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1 서비스 요청명령의 아규먼트를 분석하여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상태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정보 및 외부 정보서버로부터의 판단정보를 조합하여 생성되는 제2 서비스 요청명령이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제2 서비스 요청명령에 따라 홈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전기기 정보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비스 요청명령에 포함되는 제1 아규먼트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규먼트를 데이터 조회요청으로 분석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비스 요청명령에 의해 지정되는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전기기 정보 제공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비스 요청명령에 포함되는 제2 아규먼트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아규먼트를 제어명령으로 분석하는 경우, 상기 제2 서비스 요청명령을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된 제2 서비스 요청명령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에 대해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전기기 정보 제공방법.
KR1020100097747A 2010-10-07 2010-10-07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전기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홈 서버 KR101208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747A KR101208148B1 (ko) 2010-10-07 2010-10-07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전기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홈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747A KR101208148B1 (ko) 2010-10-07 2010-10-07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전기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홈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073A KR20120036073A (ko) 2012-04-17
KR101208148B1 true KR101208148B1 (ko) 2012-12-04

Family

ID=46137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747A KR101208148B1 (ko) 2010-10-07 2010-10-07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전기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홈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1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9274A (ko) * 2012-12-18 2014-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에너지 소비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963B1 (ko) * 2006-12-27 2008-12-08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단말을 이용한 가정 자동화(homeautomation)제어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963B1 (ko) * 2006-12-27 2008-12-08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단말을 이용한 가정 자동화(homeautomation)제어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073A (ko) 201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8903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end-user defined policy management
US92255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and remote user interface client
US10454994B2 (en) Mapping an action to a specified device within a domain
KR100637080B1 (ko)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CN107003836B (zh) 用于所连接的消费者设备的灵活设备模板
KR101458368B1 (ko) 모바일단말의 중계서버 능동 접속을 이용한 통신로 개설방법
WO2022242024A1 (zh) 一种网络管理系统、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5049340A (zh) 一种基于即时通讯接入智能设备的方法和装置
US20180152313A1 (en) Box for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of devices
WO2020083988A1 (en) Household appliance data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household appliance
CN104991454A (zh) 一种基于微信的物联网安全远程控制系统
US9684938B2 (en) Methods for generating electronic appliance identifier and managing information by using electronic appliance identifier
KR101208148B1 (ko)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전기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홈 서버
US10812286B2 (en) Device scenario management
Steane et al. IOT status communication for home automation
US11792269B2 (en) Method for generating application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same
JP5721184B2 (ja) 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制御方法
EP3229162A1 (en) Access management for digital content
US20240146570A1 (en) Built-in cloud analytics support for smart home
KR100653084B1 (ko) 홈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 페이지 자동설정방법 및 이를적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US20240146569A1 (en) Cloud-native application runtime support for smart home sensor functions
KR101865822B1 (ko) 채널 시청 분석 데이터 실시간 시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Rahma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Demand Response Applications
KR20200041099A (ko) 스마트 홈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100648513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기기 연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