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127B1 - Sensitive illuminating apparatus with intelligent sensor - Google Patents

Sensitive illuminating apparatus with intelligent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127B1
KR101208127B1 KR1020100066121A KR20100066121A KR101208127B1 KR 101208127 B1 KR101208127 B1 KR 101208127B1 KR 1020100066121 A KR1020100066121 A KR 1020100066121A KR 20100066121 A KR20100066121 A KR 20100066121A KR 101208127 B1 KR101208127 B1 KR 101208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light source
illuminance
analyz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5607A (en
Inventor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필
Priority to KR1020100066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127B1/en
Publication of KR20120005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6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1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도플러 방식에 의해 사람이 근접거리 범위 내에 진입하거나 이탈하면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면서 근접거리 범위 내에서는 거리비에 따라 광원의 조도를 점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접근하는 피사체를 감지하는 센싱유닛과, 전원의 공급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광원과, 센싱유닛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광원의 점등 및 소등, 조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센싱유닛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파동을 발생시키는 송신기와, 송신기에 발생된 파동이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면 이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수신기에서 수신된 파동을 근거로 상기 피사체의 접근거리를 판단하는 애널라이저를 구비하며, 제어기는 상기 애널라이저가 판단한 피사체의 접근거리에 따라 광원의 조도를 실시간 점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otional lighting device using an intelligent sensor, and automatically turns on or off when a person enters or leaves a close range by a Doppler method using microwaves, while illuminating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distance ratio within the close range. It can be adjusted gradual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for sensing an approaching subject, a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by supplying pow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lighting, turning off, and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a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The sensing unit includes a transmitter for generating a wave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wave generated by the transmitter when it is reflected from the subject, and an analyzer for determining an approach distance of the subject based on the wave received at the receiver.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gradually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subject determined by the analyzer.

Description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SENSITIVE ILLUMINATING APPARATUS WITH INTELLIGENT SENSOR}Emotional lighting device using intelligent sensor {SENSITIVE ILLUMINATING APPARATUS WITH INTELLIGENT SENSOR}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도플러 방식에 의해 사람이 근접거리 범위 내에 진입하거나 이탈할 때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면서 근접거리 범위 내에서는 거리비에 따라 광원의 조도를 점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특수목적으로의 활용이 용이하고 갑작스러운 소등으로 인한 불편함이 없으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and in particular, when a person enters or leaves the proximity range by using a microwave Doppler method,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is gradu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distance ratio within the proximity ran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otional lighting device using an intelligent sensor that can be easily used for a special purpose and has no inconvenience due to sudden light off, and can save energy.

일반적으로, 전시장, 아파트, 주택, 빌딩 등의 복도, 통로, 현관, 계단, 화장실 등 사람이 활동하는 다양한 구역에는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한 자동 조명등이 설치된다.In general, in various areas in which people are active, such as corridors, aisles, entrances, stairs, bathrooms, exhibition halls, apartments, houses, buildings, and the like, automatic lightings are installed to detect and automatically turn on people.

이같은 조명등과 관련하여, 20세기 이후 자원의 고갈과 환경오염 등이 국제적으로 문제가 되면서 에너지 절약이 모든 분야에서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는 실정에 따라, 조명 분야에서도 과거 밝기의 확보를 위한 기능적인 측면에서 질적인 측면으로 초점이 달라지면서, 질적 향상과 더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 다각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중에는 조명제어시스템으로 인한 에너지 절감기술이 크게 주목받고 있으며, 광센서에 의한 조명시스템의 점소등이나 조광제어, 각 공간의 거주감지 센서를 통한 조명시스템의 점소등 등의 센서기술이 점차 중요시되고 보급화되고 있다.With regard to such lighting, as the depletion of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have become an international problem since the 20th century, energy saving has become the focus of attention in all fields. As the focus shifts from qualitative to qualitative aspects, ways to save energy as well as improve quality are being studied. During this research, energy saving technology due to lighting control system is receiving much attention, and sensor technology such as lighting of lighting system by light sensor, lighting control, lighting of lighting system through residence sensor in each space is increasingly important. And become popular.

센서를 이용한 조명등은 다양한 분야 및 공간에 적용되어지고 있다. 계단, 현관, 가로등, 주차장, 실내공간 등에 적용되고 있지만 에너지 절감을 위해 센서가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공간에서는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감지센서와 타이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Lighting lamps have been applied to various fields and spaces. Although it is applied to stairs, entrances, street lamps, parking lots, and indoor spaces, most of the spaces where sensors are used to save energy include a sensor and a timer to automatically turn on by detecting a person's approach.

상기 감지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람의 접근이 감지되면 전등을 자동으로 점등시키기 위한 것으로 광센서, 열감지 센서, 적외선 감지 센서, 근접센서 등이 있으며, 상기 타이머는 감지센서에 의해 점등된 조명등을 일정시간 이후 소등하기 위한 것으로 점등시간의 조절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detection sensor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turn on a light when a person's approach is detected, and includes a light sensor, a heat detection sensor, an infrared detection sensor, a proximity sensor, and the timer. It is to turn off after a certain time, and the lighting time can be adjusted.

한편, 이러한 조명등은 최근 좀 더 발전된 형태로 개량되어 감지센서와 타이머 외에도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제품도 출시되어 있다. 이처럼 조도센서가 포함되면 주변의 조도에 따라 조명등을 자동으로 점등 및 소등하는 기능이 추가로 포함된다. 즉, 조도센서는 주변 조도가 그 설정값보다 어두운 경우 조명등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감지센서와 타이머에 의한 점등 및 소등이 가능하도록 하고, 설정값보다 밝으면 조명등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점등 및 소등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돕는다. On the other hand, these lamps have been recently improved to a more advanced form, in addition to a sensor and a timer, including a light sensor has been released. As such, when the illumination sensor is included, a function of automatically lighting and turning off the lamp according to the ambient light is additionally included. That is, the illuminance sensor enables the lighting and turning off by the sensor and the timer when the ambient illuminance is darker than the setting value. When the illuminance sensor is brighter than the setting value, the illuminating sensor cuts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lighting and turns on and off. Make this impossible. This helps to prevent unnecessary loss of power.

하지만, 종래의 조명등은 전술된 것처럼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 동안만 점등되는 관계로 갑작스런 소등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시야가 차단되는 것은 물론, 만일 그 후에도 해당 위치에 계속 머물게 되는 경우 손을 흔들거나 몸을 움직여서 센서가 재차 감지토록 하여 조명등을 점등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lighting is turned on only for the time set in the timer as described above, the field of view is temporarily blocked due to a sudden turn off, and if the sensor stays at the position even after that, the sensor can be shaken or moved by moving the sensor.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turn on the lamp again so that it was detected again.

또한, 종래의 조명등이 갖는 가장 큰 문제는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범위가 일정범위로까지 한정되지 못하고 불필요한 범위로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점등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biggest problem with a conventional lamp is that the sensor can detect the unnecessary range because it is not limited to a certain range but affects an unnecessary range.

더욱이, 사람의 거리비에 따른 조도의 조절 없이 최대 조도로만 획일적인 점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의 원인이 되었다.Moreover, since uniform lighting is made only at the maximum illuminance without adjusting the illuminance according to the distance ratio of the person, it causes unnecessary energy wast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파동을 송수신하는 도플러 방식에 의해 사람이 근접거리 범위 내에 진입하면 자동으로 점등하고 거리비에 따라 광원의 조도를 점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enter a person within a close range by a Doppler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aves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such as microwav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otional lighting device using an intelligent sensor that lights and gradually adjusts illuminance of a light source according to a distance rati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는, 접근하는 피사체를 감지하는 센싱유닛과, 전원의 공급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광원과, 상기 센싱유닛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의 점등 및 소등, 조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센싱유닛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파동을 발생시키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에 발생된 파동이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면 이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된 파동을 근거로 상기 피사체의 접근거리를 판단하는 애널라이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애널라이저가 판단한 상기 피사체의 접근거리에 따라 광원의 조도를 실시간 점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intelligent sensor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an approaching subject, a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by the supply of power, and in the sens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lighting, turning off, and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detected signal, wherein the sensing unit includes a transmitter for generating a wave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and a wave generated by the transmitter when it is reflected from a subject. And an analyzer for determining an approaching distance of the subject based on the wave received from the receiver,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gradually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approaching distance of the subject determined by the analyz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features.

여기서, 상기 송신기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transmitter may be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microwave.

또한, 상기 애널라이저는 피사체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의 투과율, 흡수율 및 반사율에 의하여 상기 피사체의 종류와 접근거리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기가 피사체의 종류에 따라 광원의 점등 및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alyzer determines the type and approach distance of the subject based on the transmittance, absorption and reflectance of the microwave to the subject, so that the controller can adjust the lighting and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ubject. can do.

또한, 상기 애널라이저는 피사체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의 투과율, 흡수율 및 반사율을 파악하여 상기 피사체가 사람인지 여부와 접근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기가 사람인 경우에만 광원의 점등 및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alyzer detects the transmittance, absorption and reflectance of the microwave to the subject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is a person and the approaching distance, and to control the lighting and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only when the controller is a human. You can do

또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의 주파수 대역은 24.05GHz 내지 24.25Ghz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equency band of the microwav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24.05GHz to 24.25Ghz.

또한, 상기 송신기는 24.05GHz 내지 24.25Ghz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것에 더해, 10Ghz 대의 마이크로웨이브와 30Ghz 대의 마이크로웨이브를 복합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tter may generate a microwave in the 24.05GHz to 24.25Ghz frequency band, in addition to the 10Ghz microwave and 30Ghz microwave in combination.

또한, 상기 송신기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mitt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ultrasonic waves.

또한, 상기 송신기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tter may be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magnetic field.

본 발명에 의한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는 도플러 방식에 의해 광원 또는 설정된 지점으로부터 떨어진 피사체의 거리비에 따라 최적의 조도를 점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intelligent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gradually adjust the optimum illuminance according to the distance ratio of the light source or the subject away from the set point by the Doppler method using microwaves.

또한, 본 발명은 피사체의 종류를 구분하여, 그 종류와 거리비에 따라 조도를 조절함으로써 피사체 종류에 최적화된 감성 조명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otional illumination optimized for the type of the subject is possible by classifying the type of the subject and adjusting the illuminance according to the type and the distance ratio.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용이하게 조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조명등의 용도로뿐만 아니라 전시물이 전시된 전시장, 음식 조리대, 학습을 위한 공간인 공부방 및 독서실, 스텐드 등 특수목적의 장소나 기구에 더욱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illumination as described above, not only for the use of general lighting, but also for special purpose places and apparatuses such as exhibition halls, food countertops, study rooms and reading rooms, stands for exhibitions. More useful.

또한, 본 발명은 실내에서뿐만 아니라 야간경관 등의 외부조명 즉, 가로등, 보안등을 비롯하여 높이 1m 내외의 낮은 폴 조명인 볼라드 등에도 적극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tively used not only indoors, but also external lights such as nightscapes, street lamps, security lamps, bollards, etc., which are low pole lights of about 1m in height.

또한, 본 발명은 광원이 점등되더라도 획일적으로 조도를 최대한도로 높이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에 효과적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energy saving because it does not uniformly increase the illuminance to the maximum even when the light source is turned on.

또한, 본 발명은 피사체를 감지하기 위해 다른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웨이브를 복합적으로 발생시키는 구성에 의해 비, 진동, 휴대전화 등 방해요인들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애널라이저가 피사체에 대한 감지효율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nfiguration of generating microwaves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in order to detect the subject to minimize the effects of disturbance factors such as rain, vibration, mobile phones, etc. while the analyzer has a high level of detection efficiency for the subject I can keep i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의 조도 조절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6 내지 도 8은 다양환 환경에 적용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state of use of the emotional lighting device using an intelligent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otional lighting device using an intelligent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illumination control function of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d is a series of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variety of ring environment.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state diagram using the emotional lighting device using an intelligent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원(120)과 함께 설치된 센싱유닛(110)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를 송수신하는 도플러 방식에 의해 접근하는 피사체(P)가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거리비에 따라 조도를 점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subject (P) is a person approaching by the Doppler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icrowaves by the sensing unit 110 installed with the light source 120 and the illuminance according to the distance ratio It is configured to adjust gradually.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는 사람이 근접거리 범위 내에 진입하거나 이탈하면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근접거리 범위 내에서는 접근한 피사체(P)가 사람인 경우 그 거리비에 따라 광원(120)의 조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갑작스러운 소등으로 인한 불편함이나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피사체(P)가 사람인 경우를 주로 염두하여 설명되지만, 자동차 등 사람이 아닌 경우에도 조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a result, the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intelligent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turn on or off when a person enters or leaves the proximity range, in addition to the distance when the subject P is within the proximity range. By adjusting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120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rain it is possible to prevent inconvenience or waste of energy due to sudden light off.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scription will be mainly made in the case where the subject P is a human, but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illumination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even when the subject P is not a huma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intelligent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의 조도 조절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otional lighting device using an intelligent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illumination control function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apparatus by.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는 접근하는 피사체(P)를 감지하는 센싱유닛(110)과, 전원의 공급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광원(120)과, 상기 센싱유닛(110)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120)의 점등 및 소등, 조도를 제어하는 제어기(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ensing unit 110 for detecting the approaching object (P), the light source 120 for emitting light by the supply of power, and in the sensing unit 110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ed signal is made of a controller 130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and turning off,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 source 120.

여기서, 상기 센싱유닛(110)과 제어기(130)는 접근하는 피사체(P)가 사람인지를 판단하고, 접근 거리에 따라 단계적으로 조도를 조절하는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아래에서는 이들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Here, the sensing unit 110 and the controller 130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P is approaching a person, and perform a key function of adjusting illuminance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approaching distance. The explanation is centered.

먼저, 상기 센싱유닛(11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접근하는 피사체(P)를 감지하기 위하여, 도 2를 참조할 수 있듯이 특정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송신기(111)와, 상기 송신기(111)에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가 피사체(P)로부터 반사되면 이를 수신하는 수신기(112)와, 상기 수신기(112)에서 수신된 파동을 근거로 상기 피사체(P)가 사람인지 여부와 접근거리를 판단하는 애널라이저(11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First, the sensing unit 110, as described above, to detect the approaching object (P), as shown in Figure 2, the transmitter 111 for generating a microwave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and the transmitter 111 When the microwave generated in the reflected wave from the subject P is reflected, the receiver 112 receives the microwave and determines whether the subject P is a person or an approaching distance based on the wave received from the receiver 112. It is provided with an analyzer 113.

여기서, 상기 송신기(111)는 기본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주기적으로 발진하는 신호발생부와, 상기 신호발생부에서 발진된 신호를 적정수준으로 증폭하는 주파수증폭부와 상기 주파수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안테나부를 포함한다. Here, the transmitter 111 basically transmits a signal generator for periodically oscillating the microwave, a frequency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to an appropriate level, and a signal amplified by the frequency amplifier. And a transmitting antenna unit.

상기 송신기(111)가 발생시키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주파수 대역은 마이크로웨이브 영역 중 K-band라 불리는 18.0GHz 내지 26.5Ghz 영역 내의 24.05 내지 24.25GHz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K-band 영역의 주파수에 속하는 24.05 내지 24.25GHz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웨이브는 12mm 정도의 긴 파장에 속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비용 대비 효율이 좋으며 신호의 처리 능률이 높은 장점이 있다. The frequency band of the microwave generated by the transmitter 111 is most preferably 24.05 to 24.25 GHz in the 18.0 GHz to 26.5 Ghz region called K-band of the microwave region. Microwaves in the 24.05 to 24.25 GHz frequency band belonging to a frequency in the K-band region are relatively cost-effective and have high signal processing efficiency because they belong to a long wavelength of about 12 mm.

참고로 마이크로웨이브의 경우 아래 표 1을 참조할 수 있는 것처럼 K-band, 외에도 L-band, S-band, G-band, C-band, J-band, H-band, X-band, M-band, P-band, N-band, Ku-band, R-band에 속한 다양한 주파수 대역으로 분류된다. For microwave, K-band, L-band, S-band, G-band, C-band, J-band, H-band, X-band, M- as shown in Table 1 below. It is classified into various frequency bands belonging to band, P-band, N-band, Ku-band, and R-band.

Radio wavesRadio waves Frequency rangeFrequency range
(Ghz)(Ghz)
Wavelenghth rangeWavelenghth range
(mm)(mm)
L-bandL-band 1.00 - 2.601.00-2.60 299.7 - 115.3299.7-115.3 S-bandS-band 2.60 - 3.952.60-3.95 115.3 - 75.9115.3-75.9 G-bandG-band 3.95 - 5.853.95-5.85 75.9 - 51.275.9-51.2 C-bandC-band 4.90 - 7.054.90-7.05 61.2 - 42.561.2-42.5 J-bandJ-band 5.30 - 8.205.30-8.20 56.5 - 36.556.5-36.5 H-bandH-band 7.05 - 10.007.05-10.00 42.5 - 30.042.5-30.0 X-bandX-band 8.20 - 12.408.20-12.40 36.5 - 24.236.5-24.2 M-bandM-band 10.00 - 15.0010.00-15.00 30.0 - 20.0 30.0-20.0 P-bandP-band 12.40 - 18.0012.40-18.00 24.2 - 16.724.2-16.7 N-bandN-band 15.00 - 22.0015.00-22.00 20.0 - 13.620.0-13.6 Ku-bandKu-band 15.30 - 18.0015.30-18.00 19.6 - 16.719.6-16.7 K-bandK-band 18.00 - 26.5018.00-26.50 16.7 - 11.316.7-11.3 L-bandL-band 26.5 - 40.0026.5-40.00 11.3 - 7.511.3-7.5

하지만, 본 발명에서 주로 사용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주파수 대역인 24.05 내지 24.25GHz 대역이 갖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주변 기기의 방해를 받는 경우 감지효과가 떨어지거나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예컨대, 국내에서 광대역 무선접속 서비스를 위해 허가된 주파수 대역은 24 내지 27Ghz으로 본 발명이 최적의 주파수 대역으로 염두하고 있는 24.05 내지 24.25Ghz와 겹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설치된 장소가 광대역 무선접속 서비스가 시행되는 지역이거나, 동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가 본 발명의 감지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감지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야기되는 것이다.However, despite the advantages of the 24.05 to 24.25 GHz band, which is a frequency band of the microwave main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eripheral device using the same frequency band is disturbed, a problem occurs that the sensing effect is reduced or obsolete. . For example, a frequency band permitted for broadband wireless access service in Korea is 24 to 27 Ghz, which overlaps with 24.05 to 24.25 Ghz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idered as an optimal frequency band. Therefore, if the plac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s the area where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service is implemented or the device providing the same service is located within the detection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the sensing effect is caused.

이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송신기(111)는 K-band에 속하는 24.05 내지 24.25GHz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웨이브와 함께 다른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웨이브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24.05 내지 24.25GHz 주파수 대역이 속하는 20Ghz 대의 마이크로웨이브와 차이가 있는 10Ghz 대의 마이크로웨이브와 30Ghz 대의 마이크로웨이브를 동시에 발생시키기 위해 송신기(111)에는 각 주파수 대역별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하여 송신할 수 있는 신호발생부와, 주파수증폭부와 송신안테나부가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In order to overcome such a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er 111 is configured to generate microwaves in other frequency bands together with microwaves in the 24.05 to 24.25 GHz frequency bands belonging to the K-band. That is, in order to simultaneously generate 10Ghz microwaves and 30Ghz microwaves, which are different from 20Ghz microwaves belonging to the 24.05 to 24.25GHz frequency bands, the transmitter 111 can oscillate and transmit microwaves for each frequency band. A signal generator, a frequency amplifier and a transmission antenna are additionally provided.

이같이 상기 송신기(111)가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경우 비, 진동, 휴대전화 등 방해요인들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애널라이저(113)가 피사체(P)에 대한 감지효율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the transmitter 111 generates microwaves in various frequency bands, the analyzer 113 maintains a high detection efficiency for the subject P while minimizing the influence of disturbance factors such as rain, vibration, and cellular phones. It becomes possible.

한편, 상기 센싱유닛(110)의 구성요소인 애널라이저(113)는 수신기(112)에서 수신된 마이크로웨이브를 근거로 접근하는 피사체(P)가 사람인지 여부와 접근거리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애널라이저(113)는 상기 송신기(111)에서 발생시킨 마이크로웨이브와 상기 피사체(P)로부터 반사되어 수신기(112)에 수신된 마이크로웨이브를 비교하여 피사체(P)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의 투과율, 흡수율 및 반사율을 파악한다. 상기 피사체(P)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의 투과율, 흡수율 및 반사율을 취득하여 파악하게 되면 이를 근거로 하고 피사체(P)가 사람인지 여부가 결정된다. 이에 대해 아래 표 2를 참조로 살펴보면, 피사체(P)가 사람인 경우 투과는 없고 반사 및 흡수는 일부 이루어진다. Meanwhile, the analyzer 113, which is a component of the sensing unit 1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ubject P approaching is a person based on the microwaves received from the receiver 112 and whether the approach distance is the same. To this end, the analyzer 113 compares the microwaves generated by the transmitter 111 with the microwaves reflected from the subject P and received by the receiver 112 to transmit a microwave transmittance to the subject P, Know the absorbance and reflectance. When the transmittance, absorption and reflectance of the microwave with respect to the subject P are acquired and understood, it is determined based on this and whether the subject P is a human is determined. Referring to Table 2 below, when the subject P is a human, there is no transmission and some reflection and absorption are performed.

물질matter 투과Permeation 반사, 흡수Reflection, absorption 금속metal 투과 없음No penetration 완전 반사Fully reflective water 투과 없음No penetration 완전 흡수Completely absorbed 사람Person 투과 없음No penetration 일부 반사Some reflection 얼음ice 낮은 투과Low penetration 일부 반사Some reflection 나무tree 투과Permeation 미량 반사Microreflection 셀룰러(Cellular) 물질Cellular material 전부 투과Full penetration 반사 없음No reflection

또한, 상기 애널라이저(113)에 의한 피사체(P)의 거리 측정은 일반에 알려진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를 적용하며, 감지영역에서 피사체(P)로 인한 마이크로웨이브의 밀도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피사체(P)의 접근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distance measurement of the subject P by the analyzer 113 applies a Doppler effect, which is known in general, and detects the density change of the microwave caused by the subject P in the detection area in real time. The approaching distance of (P) can be measured.

상기 제어기(130)는 센싱유닛(110)의 송신기(111), 수신기(112), 애널라이저(113)는 물론 광원(120)과 연결되며, 이들을 제어하게 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피사체(P)가 사람으로 판명되면 점등 및 소등과 아울러 광원(120)의 조도를 적정수준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controller 130 is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111, the receiver 112, the analyzer 113 of the sensing unit 110, as well as the light source 120, and controls them. As a result, when the subject P is turned out to be a person, it plays a role of controlling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120 to a proper level as well as lighting and turning off.

이같은 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어기(130)는 상기 애널라이저(113)로부터 실시간으로 정보를 받는다. 이를 통해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대적으로 원거리인 1차 근접범위 내에 진입한 피사체(P)가 사람인 경우 즉시 가장 약한 수준의 조도로 광원(120)을 점등한다. In order to perform this ultimate role, the controller 130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analyzer 113 in real time. Through this, as shown in FIG. 3, when the subject P who enters the relatively far primary proximity range is a person, the light source 120 is immediately turned on with the weakest level of illumination.

이후, 상기 피사체(P)가 광원(120) 혹은 설정된 지점에 더 가까이 접근할수록 광원(120)의 조도를 높여주며, 상기 피사체(P)가 상대적으로 근거리인 2차 근접범위에 진입하면 광원(120)의 조도를 최대로 높여준다. Afterwards, the closer the subject P approaches the light source 120 or the set point, the higher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120. When the subject P enters a relatively near-second secondary range, the light source 120 increases. ) To maximize the illuminance.

이후, 상기 피사체(P)가 2차 근접범위를 벗어나 1차 근접범위에 진입하면 광원(120) 혹은 설정된 지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거리비에 따라 광원(120)의 조도를 점진적으로 낮춰준다. 이후 피사체(P)가 최종적으로 1차 근접범위마저 벗어나게 되면 광원(120)을 소등한다. Subsequently, when the subject P enters the first proximity range out of the second proximity range,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120 is gradually lowered according to the distance ratio as it moves away from the light source 120 or the set point. Thereafter, when the subject P finally goes out of the first proximity range, the light source 120 is turned off.

이처럼 사람으로 판명된 피사체(P)의 거리비에 따라 광원(120)의 조도가 실시간으로 조절되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사람이 거주하는 아파트, 주택, 빌딩 등의 복도, 통로, 현관, 계단, 부엌, 화장실 등은 물론이고, 전시물이 전시된 전시장, 음식 조리대, 학습을 위한 공간인 공부방 및 독서실, 스텐드 등 특수목적의 장소나 기구에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야간경관 등의 외부조명 즉, 가로등 및 보안등을 비롯하여 높이 1m 내외의 낮은 폴 조명인 볼라드 등 다양한 조명 공간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llumin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120 is adjus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distance ratio of the subject P, which is found to be a person, has corridors, passages, porches, stairs, In addition to the kitchen and toilet, it can be more useful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exhibition halls, food countertops, study rooms, reading rooms, and stands for learning. In addition, it can be actively used in various lighting spaces, such as bollards, such as low-light lighting around 1m high, such as night lights, such as street lights and security lights.

예컨대, 전시물이 전시된 전시장의 경우, 관람객과 전시물과의 거리에 따라 광원(120)의 조도를 조절하게 되면 전시물이 광원(120)의 높은 조도에 노출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빛의 노출에 상당히 취약한 지류 등의 유물이나 고가의 작품들을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으며, 에너지 절감도 이룰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exhibition hall where the exhibits are displayed, if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12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viewer and the exhibit, the exposure time of the exhibit may be greatly reduced since the exposure time may be greatly reduced. It can effectively preserve valuable artifacts such as tributaries and expensive works, and save energ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의 작동과정은 도 4에 잘 예시되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센싱유닛(110)의 감지범위 영역에서 피사체(P)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사람인지 여부를 애널라이저(113)가 판단하여 광원(120)을 점등하게 되고, 이후 다시 한번 피사체(P)의 거리가 얼마인지를 애널라이저(113)가 판단하여 광원(120)의 조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well illustrated in FIG. Referring to FIG. 4, when the movement of the subject P is detected in the sensing range region of the sensing unit 110, the analyzer 113 determines whether the person is a person and turns on the light source 120. The analyzer 113 determines how much the distance P is, and adjusts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120 step by step.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의 동작순서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intelligent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5a to 5d is a series of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a는 센싱유닛(110)의 감지영역인 1차 근접범위까지 피사체(P)가 진입하지 않는 초기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같은 초기상태에서는 센싱유닛(110)은 상시 구동되면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고 있지만 광원(120)은 대기상태에 있다. First, FIG. 5A illustrates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subject P does not enter the first proximal range, which is the sensing area of the sensing unit 110. In such an initial state, the sensing unit 110 is always driven to generate microwaves. Light source 120 is in a standby state.

이후, 도 5b와 같이 피사체(P)가 1차 근접범위에 진입하게 되면 센싱유닛(110)의 송신기(111)에서 발생시킨 마이크로웨이브가 진입한 피사체(P)에 충돌한 후 반사되어 수신기(112)에 수신된다. 이때 애널라이저(113)는 피사체(P)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의 투과율, 흡수율 및 반사율을 파악하여 피사체(P)가 사람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이를 제어기(130)에 보고한다. 그러면 제어기(130)는 접근한 피사체(P)가 사람인 경우 즉시 광원(120)을 최소 조도로 점등시킨다. Subsequently, when the subject P enters the first proximal range as shown in FIG. 5B, the microwave generated by the transmitter 111 of the sensing unit 110 collides with the subject P and enters the receiver 112. Is received). At this time, the analyzer 113 determines whether the subject P is a human by grasping the transmittance, absorption and reflectance of the microwave to the subject P and reports it to the controller 130. Then, the controller 130 immediately turns on the light source 120 with the minimum illuminance when the approaching object P is a human.

이후, 도 5c와 같이 1차 근접범위 내에서 피사체(P)의 접근거리가 점차 가까워질수록 제어기(130)는 광원(120)의 조도를 거리비에 따라 단계적으로 높여준다. 이를 위해 상기 애널라이저(113)는 감지영역인 1차 근접범위에서 피사체(P)로 인한 마이크로웨이브의 밀도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피사체(P)의 접근거리를 측정하며, 이를 제어기(130)에 보고하면 상기 제어기(130)는 그 거리비에 따라 광원(120)의 조도를 조절한다. Subsequently, as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subject P gradually approaches within the first proximity range as shown in FIG. 5C, the controller 130 increases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120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distance ratio. To this end, the analyzer 113 detects in real time the density change of the microwave due to the subject P in the first proximal range, which is a detection area, and measures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subject P, and reports it to the controller 130. The controller 130 adjusts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120 according to the distance ratio.

이후, 도 5d와 같이 피사체(P)의 접근거리가 더욱 가까워져 2차 근접범위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제어기(130)는 광원(120)의 조도를 최대로 높여준다. 그리고 상기 2차 근접범위 내에서는 피사체(P)의 접근거리와 관계없이 광원(120)의 조도를 최대로 유지한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D, when the approaching distance of the subject P is closer to enter the secondary proximity range, the controller 130 increases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120 to the maximum. Within the second proximity range,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120 is maintained to the maximum regardless of the approaching distance of the subject P. FIG.

이후, 상기 피사체(P)가 2차 근접범위를 벗어나 1차 근접범위에 진입하면 광원(120) 혹은 설정된 지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거리비에 따라 광원(120)의 조도를 점진적으로 낮춰준다. 이후 피사체(P)가 최종적으로 1차 근접범위마저 벗어나게 되면 제어기(130)에 의해 광원(120)을 소등한다.
Subsequently, when the subject P enters the first proximity range out of the second proximity range,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120 is gradually lowered according to the distance ratio as it moves away from the light source 120 or the set point. Then, when the subject P finally goes out of the first proximity range, the light source 120 is turned off by the controller 130.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앞서 전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는 이에 대한 일부 사례를 소개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다양환 환경에 적용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various environments, and some examples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6 to 8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variety of ring environment.

먼저, 도 6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가 전시관 또는 박물관, 주방용으로 적용된 예이다. 이 경우는 피사체(P)가 사람이고, 피사체(P)를 안내할 수 있도록 적절한 조도를 유지하는 동시에 전시물(주방인 경우 주방용품이나 싱크대 등 특정 지점)까지도 함께 조사해주어야 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센싱유닛(110)이 피사체(P)를 감지하면 점진적으로 광원(120)의 조도를 높이다가 피사체(P)가 전시물에 근접하여 관람할 때는 전시물을 관람하기에 적당한 수준의 조도를 유지한다. First, FIG. 6 is an example in which th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exhibition hall, a museum, or a kitchen. In this case, the subject (P) is a person, while maintaining the appropriate illumination to guide the subject (P) and at the same time to examine the exhibits (specific items such as kitchen utensils or sinks in the kitchen). Therefore, when the sensing unit 110 detects the subject P,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120 is gradually increased, and when the subject P is viewed close to the exhibit, the illumination unit maintains the illuminance at an appropriate level.

도 7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가 가로등 또는 보행등으로 적용된 예이다. 이 경우는 피사체(P)가 사람이 될 수도 있고, 자동차가 될 수도 있다. 센싱유닛(110)에 의한 넓은 범위의 감지와 더불어 광원(120)에 의한 보다 넓은 범위의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처음에는 광원의 조도가 안전을 위한 최저조도로 낮게 유지되다가 피사체(P)가 접근하면 광원(120)의 조도가 서서히 높은 수준으로 점등된다. 7 is an example in which th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treet lamp or a walking light. In this case, the subject P may be a person or a car. In addition to a wide range of detection by the sensing unit 110, a wider range of irradiation by the light source 120 should be made. At first, when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is kept at a low minimum for safety, the subject P approaches.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120 is gradually turned on to a high level.

도 8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가 독서실 등의 학습공간용으로 적용된 예이다. 이 경우는 피사체(P)가 사람이고, 센싱유닛(110)이 피사체(P)의 접근을 감지하면 점진적으로 광원(120)의 조도를 높이다가 최종적으로는 피사체(P)가 책을 읽기 적당한 수준의 조도를 유지한다. 8 is an example in which th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or a learning space such as a reading room. In this case, when the subject P is a human, and the sensing unit 110 detects the approach of the subject P,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120 is gradually increased, and finally, the subject P reads a suitable level. Maintain illuminance.

한편, 앞선 실시예를 변형시켜 마이크로웨이브를 대신하여 차선책으로 초음파나 자기장을 활용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이같이 마이크로웨이브 대신에 초음파나 자기장을 사용하는 경우 그 구성은 유사할 수 있으나 주변상황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피사체가 사람인지 여부와 움직임을 정밀하게 파악하는데 따른 효과 및 신뢰도는 상당히 떨어지는 편이다.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sider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bove embodiment is modified to utilize ultrasonic waves or a magnetic field as the next best alternative to the microwave. In the case of using ultrasonic waves or magnetic fields instead of microwaves, the composition may be similar, but the effects and reliability of accurately determining whether a subject is a person and a movement are considerably reduced because they are affected by the surrounding situa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110 : 센싱유닛 111 : 송신기
112 : 수신기 113 : 애널라이저
120 : 광원 130 : 제어기
110: sensing unit 111: transmitter
112: receiver 113: analyzer
120: light source 130: controller

Claims (9)

접근하는 피사체를 감지하는 센싱유닛과, 전원의 공급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광원과, 상기 센싱유닛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의 점등 및 소등, 조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유닛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파동을 발생시키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에 발생된 파동이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면 이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된 파동을 근거로 상기 피사체의 접근거리를 판단하는 애널라이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애널라이저가 판단한 상기 피사체의 접근거리에 따라 광원의 조도를 실시간 점진적으로 조절하되,
상기 송신기는 주파수 대역이 24.05GHz 내지 24.25Ghz인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고, 이에 더해 10Ghz 대의 마이크로웨이브와 30Ghz 대의 마이크로웨이브를 복합적으로 발생시키며, 상기 애널라이저는 피사체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의 투과율, 흡수율 및 반사율에 의하여 상기 피사체가 사람인지 여부와 접근거리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기로 하여금 사람인 경우에만 광원의 점등 및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n approaching subject, a light source emitting light by supplying pow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lighting, turning off, and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a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The apparatus includes a transmitter for generating waves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a receiver for receiving a wave generated by the transmitter when it is reflected from a subject, and an analyzer for determining an approach distance of the subject based on the wave received by the receiver. And, the controller gradually adjusts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subject determined by the analyzer,
The transmitter generates a microwave having a frequency band of 24.05 GHz to 24.25 Ghz, and in addition, generates a microwave of 10 Ghz and a 30 Ghz microwave, and the analyzer is configured to transmit, absorb and reflectance of microwaves to a subject.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using an intelligent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by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is a person and the approaching distance, so that the controller can adjust the lighting and illuminance of the light source only when the subjec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066121A 2010-07-09 2010-07-09 Sensitive illuminating apparatus with intelligent sensor KR1012081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121A KR101208127B1 (en) 2010-07-09 2010-07-09 Sensitive illuminating apparatus with intelligent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121A KR101208127B1 (en) 2010-07-09 2010-07-09 Sensitive illuminating apparatus with intelligent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607A KR20120005607A (en) 2012-01-17
KR101208127B1 true KR101208127B1 (en) 2012-12-05

Family

ID=4561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121A KR101208127B1 (en) 2010-07-09 2010-07-09 Sensitive illuminating apparatus with intelligent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12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198B1 (en) 2018-01-02 2019-07-01 주식회사 브레인틀 User activity support system based on sensory stimulation
KR20190088102A (en) 2018-01-02 2019-07-26 신영진 Sense stimulation device
WO2021034019A1 (en) * 2019-08-21 2021-02-25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adjusting output power of signal by using millimeter wav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167B1 (en) * 2007-01-13 2008-06-27 김형국 Security device for computer moni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167B1 (en) * 2007-01-13 2008-06-27 김형국 Security device for computer moni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198B1 (en) 2018-01-02 2019-07-01 주식회사 브레인틀 User activity support system based on sensory stimulation
KR20190088102A (en) 2018-01-02 2019-07-26 신영진 Sense stimulation device
WO2021034019A1 (en) * 2019-08-21 2021-02-25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adjusting output power of signal by using millimeter wav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607A (en) 201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585907B (en) Determining suitability of a network node for RF-based presence and/or location detection
US8519883B2 (en)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a PIR sensor or a doppler radar sensor disposed within a light fixture
CN102239747B (en) Methods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devices
CN111278199A (en) Lamp brightness control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KR102138502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an antenna unit for sensing human
WO2011151772A1 (en) Configuration unit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presence detection sensor
KR101208127B1 (en) Sensitive illuminating apparatus with intelligent sensor
CN105911871A (en) Intelligent household positioning control method based on bluetooth technology
CN113396563A (en) Determining network routes to avoid nodes with RF-based presence and/or location detection functionality
CN111148323B (en) Intelligent building illuminating lamp light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target perception
US10487998B2 (en) Motion sensor based lighting fixture operation
CN106707244A (en) Regional microwave induction detection method and microwave inductor
WO2016103394A1 (en) State detection system, air-conditioning control system and state detection method
KR200382647Y1 (en) The Object Sensing Unit Using Micro Motion Detector
US7902508B2 (en) Selectable field motion detector
JP2005301355A (en) Crime prevention device and luminaire
JPH10125477A (en) Lighting control device
US20200137858A1 (en) An occupancy sensor for use in a lighting system and method
KR20050102617A (en) Human body sensing lamp with wireless distributed control
CN115606203A (en) Configuration module for configuring network devices of a radio frequency sensing network
CN110401584B (en) Low-power-consumption people number detection device and method, and low-power-consumption switch electric appliance system and method
CN106714418B (en) A kind of infrared acquisition inductive switch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lamps and lanterns
CN105258037A (en) Intelligent illuminating system
CN108055668B (en) Millimeter wave indoor passive coverage method
KR20160044240A (en) A wireless lighting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