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627B1 - Fob key of vehicles - Google Patents

Fob key of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627B1
KR101207627B1 KR1020110102523A KR20110102523A KR101207627B1 KR 101207627 B1 KR101207627 B1 KR 101207627B1 KR 1020110102523 A KR1020110102523 A KR 1020110102523A KR 20110102523 A KR20110102523 A KR 20110102523A KR 101207627 B1 KR101207627 B1 KR 101207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over
cover
lower cover
decor
fob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5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10102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6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6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PURPOSE: A fob key of a vehicle is provided to prevent work delays and losses of a side deco member during the repair and replacement of an internal component. CONSTITUTION: A bottom cover(20) is combined with a top cover. A side decoration member(30) is arranged between the top cover and the bottom cover and forms a part of an outer tube. The side decoration member comprises a position alignment terminal(33), a position fixing part(35), and a position coupling part(37). The position alignment terminal is placed on the top cover or the bottom cover.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fixing part is fixed by inserting a protruded coupling formed on the top cover or the bottom cover. The position coupling part is elastically combined with the top cover or the bottom cover.

Description

차량의 포브 키{FOB Key of vehicles}FOB Key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포브 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을 구성하는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의 분리시에도 이탈되지 않고, 제품의 외관을 수려하게 하는 차량의 포브 키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b key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b key of a vehicle that does not deviate even wh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constituting the product are separated, thereby enhancing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최근, 자동차 전자키의 보편화에 따라 운전자가 포브 키(FOB Key)와 같은 별도의 키 삽입이나 작동버튼을 누르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도어를 개폐하며, 나아가 상기 FOB Key가 실내에 있는지를 감지하여 실내에 있는 경우에 키 홈에 상기 FOB Key 삽입과정 없이 시동버튼을 누르는 등의 동작만으로 시동을 걸 수 있는 버튼시동 기술이 개발되었고, 이 버튼시동 기술은 향후 개발 차종의 중요한 트렌드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며 이에 따라 매우 각광받는 분야로 알려져 있다.Recently, according to the universalization of the electronic key of the car, the driver opens and closes the door from the outside without pressing a separate key such as a fob key or presses an operation button. In this case, a button start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hat can be started only by pressing the start button without inserting the above FOB Key into the key groove, and this button start technology will be positioned as an important trend in future models. Therefore, it is known as a very popular field.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락킹 또는 락킹을 해제시키기 위한 각 버튼부, 상기 차량의 트렁크 도어를 락킹을 해제시키기 위한 버튼부 등 복수개의 버튼부가 상부 커버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를 하측으로 눌림시키는 동작으로 작동시킨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fob key of the vehicle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 portions such as each button portion for locking or releasing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and a button portion for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trunk door of the vehicle to the outside of the upper cover. It is formed so that the user operates by pressing the button portion downward.

그리고, 상기 차량의 포브 키는, 상기 상부 커버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버튼부에 의한 눌림 동작과 연동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포브 키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인 배터리 등이 내장된다.In addition, the fob key of the vehicle is disposed under the upper cover to operate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fob key, which generate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in association with the pressing operation by the plurality of button parts therein. The battery, which is the driving source, is built in.

한편,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 사이에는 제품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금속 빛깔의 데코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may be coupled to the metal-colored deco member to make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beautiful.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는, 상기 데코 부재가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 사이의 틈새에 결합될 때, 단순히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가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의 결합으로 인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될 뿐이어서, 상기 배터리 등과 같은 내부 부품의 교체 작업으로 인하여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의 결합을 분리할 경우 상기 데코 부재가 외부로 이탈되어 망실될 우려가 있음은 물론 상기 데코 부재의 이탈로 인한 내부 부품의 교체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fob ke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simply located between the top cover and the bottom cover when the deco member is engaged in the gap between the top cover and the bottom cover, so that the top cover and the bottom cover of the It is only configured to be fixed by the coupling, when the coupling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due to the replacement operation of the internal parts such as the battery, there is a fear that the deco member may be detached to the outside and lost. There is a problem in that replacement work of the internal parts is delayed due to detachment of the member.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품의 내부부품의 수리 및 교체 등을 위하여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의 결합을 분리시킨 경우라도 데코 부재의 망실 또는 임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교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차량의 포브 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even if the separation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for the repair and replacement of the internal parts of the product, even if the replacement work by preventing the loss of the deco member or any detachme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b key of a vehicle that can shorten tim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에 결합되는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데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는,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 사이의 적어도 어느 한 군데에서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위치 정렬시키는 위치 정렬단과,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 사이의 적어도 다른 한 군데에서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삽입시켜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와,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 사이의 적어도 또 다른 한 군데에서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탄성결합되는 위치 결합부를 포함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b ke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over, a lower cover coupled to the upper cover, and a side deco memb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to form a part of an exterior. The side deco member may include a position alignment end configured to align at least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in at least one position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nd at least another one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 position fixing part for inserting and fixing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at any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t one location, and at least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t at least another location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It includes a position coupling portion elastically coupled to one.

여기서,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는, 상기 위치 고정부 및 상기 위치 결합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 사이의 제1측면에 배치되는 제1데코부와, 상기 위치 고정부 및 상기 위치 결합부 중 나머지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 사이의 제2측면에 배치되는 제2데코부와, 상기 위치 정렬단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데코부 및 상기 제2데코부의 동일방향 일단을 연결하는 제3데코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ide deco member, any one of the position fixing portion and the position engaging portion is formed, the first decor portion disposed on the first side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the position fixing portion and The other one of the position coupling portion is formed, a second decor portion disposed on the second side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nd at least one position alignment end is formed, the first decor portion and the The second decor may include a third decor for connecting one end in the same direction.

또한, 상기 제1데코부와, 상기 제2데코부 및 상기 제3데코부는 전체적으로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ecor portion, the second decor portion and the third decor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of the "C" shape as a whole.

또한, 상기 위치 정렬단은,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위치 정렬 홈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 형성된 삽입단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alignment end may be an insertion end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inserted and fix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a position alignment groove formed in any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또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결합 돌기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하로 관통되게 결합 홀이 형성된 홀 형성단일 수 있다.The position fixing part may be a hole forming end in which a coupling hole is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 a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위치 결합부는,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걸림 돌기에 수평방향으로 걸림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 형성된 후크단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coupling portion may be a hook end protruding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be cau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locking projection formed on any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또한, 상기 제1데코부 및 제2데코부에는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과 수평방향으로 걸림되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ecor portion and the second decor portion may be formed with at least on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revent the separation is cau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any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have.

또한, 상기 제3데코부는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의 일단부에 결합된 리어 데코부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decor portion may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by a rear decor portion coupled to one end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내부 부품의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하여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의 결합을 분리시킬 경우 데코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데코 부재의 망실을 방지함은 물론, 내부 부품의 교체 또는 수리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b key of the vehicle prevents the detachment of the deco member wh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order to replace or repair the internal part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for replacing or repairing internal par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b ke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b ke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ob key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b ke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b ke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FIG.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1)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미도시)와, 상기 상부 커버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커버와 함께 그 사이에 내부 부품을 내장하도록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커버(20)를 포함한다.The fob key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referenced in FIGS. 1 and 2, is coupled to an upper cover (not shown) and a lower part of the upper cover, together with the upper cover and an internal component therebetween. It includes a lower cover 20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to embed the.

상기 상부 커버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량의 각종 기능 동작부를 동작시키는 버튼부가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upper cover may include a button unit for operating various functional operation units of the vehicle.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20)의 테두리부 사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1)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데코 부재(30)가 배치된다.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30)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20)의 어느 하나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rim of the lower cover 20, a side deco member 30 forming a part of the exterior of the fob key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least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20 has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side deco member 30 is seated along one edg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20.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30)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1)의 전후좌우 면 중 전면 쪽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The side deco member 30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of the "C" shape as a whole, is formed so that the front sid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fob key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30)는,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20) 사이의 제1측면에 배치되는 제1데코부(30a)와,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20) 사이의 제2측면에 배치되는 제2데코부(30b)와, 상기 제1데코부(30a) 및 상기 제2데코부(30b)의 동일방향 일단(즉, 후단)을 연결하는 제3데코부(30c)를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side decor member 30 may include a first decor portion 30a disposed on a first side surface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20, and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20. A third decor that connects the second decor part 30b dispos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s 30a and the first one end (ie, the rear end) in the same direction of the second decor part 30b. The part 30c is included.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30)에는,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20) 중 적어도 어느 한 군데에서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20) 중 어느 하나에 위치를 정렬시키는 위치 정렬단(33)이 형성된다. In the side deco member 30, at least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20, a position alignment end 33 for aligning a position to any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20 is formed. .

또한,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30)에는,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20) 중 적어도 다른 한 군데에서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2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돌기(25)를 삽입시켜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35)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20 is inserted into the side deco member 30 by inserting a coupling protrusion 25 formed on any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20. The position fixing part 35 which fixes is formed.

그리고,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30)에는,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20) 중 적어도 또 다른 한 군데에서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20) 중 어느 하나에 탄성결합되는 위치 결합부(37)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ide deco member 30, the position coupling portion 37 which is elastically coupled to any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20 in at least another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20. Is formed.

여기서, 상기 위치 정렬단(33)과 상기 위치 고정부(35) 및 상기 위치 결합부(37)가 작용하는 부품은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20) 중 도면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20)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component in which the position alignment end 33, the position fixing part 35, and the position coupling part 37 act is the lower cover 20 as referred to in the drawing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20. Will be described.

또한, 상기 위치 정렬단(33)은 상기 제1데코부(30a) 내지 제3데코부(30c) 중 상기 제3데코부(30c)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위치 고정부(35)는 상기 제1데코부(30a) 내지 제3데코부(30c) 중 상기 제1데코부(30a)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며, 상기 위치 결합부(37)는 상기 제1데코부(30a) 내지 제3데코부(30c) 중 상기 제2데코부(30b)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여 이하 설명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alignment end 33 is to be formed in the third decoration portion 30c of the first decoration portion (30a) to the third decoration portion (30c), the position fixing portion 35 is It is to be formed in the first deco unit 30a of the first deco unit (30a) to the third deco unit (30c), the position coupling portion 37 is the first deco unit (30a) to the third deco It is demonstrated below as what is formed in the said 2nd deco part 30b among the part 30c.

상기 제3데코부(30c)에 형성된 상기 위치 정렬단(33)은, 상기 하부 커베에 형성된 위치 정렬 홈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 형성된 삽입단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정렬단(33)은 후술하는 리어 데코부(40)가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리어 데코부(40)의 반대방향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이 이격된 거리에 형성될 수 있다. The position alignment end 33 formed in the third decor part 30c may be an insertion end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inserted and fix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position alignment groove formed in the lower cover. Here, the position alignment stage 33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ar deco unit 40 to be described later is arranged, but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rear deco unit 40. Is formed to protrude to extend, at least two or more may be formed at a distance apart.

상기 위치 정렬단(3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1)에서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30)를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20) 사이에 결합시킬 때, 최초로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30)를 상기 하부 커버(20)에 위치 정렬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The position alignment end 33 is the first time when the side deco member 30 is coupl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20 in the fob key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0) to align the lower cover 20.

상기 위치 고정부(35)는, 상하로 관통되게 결합 홀이 형성된 홀 형성단으로써, 상기 위치 정렬단(33)에 의하여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30)의 위치가 정렬되면, 상기 하부 커버(2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돌기(25)의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데코부(30a)를 이동시켜 상기 결합돌기(25)를 결합 홀에 삽입시키는 동작으로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3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osition fixing part 35 is a hole forming end in which a coupling hole is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When the position of the side deco member 30 is aligned by the position alignment end 33, the lower cover 20 By moving the first deco portion (30a)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25 formed to protrude to the upper side of the side deco member 30 by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coupling protrusion 25 into the coupling hole Function to fix the position.

또한, 상기 위치 결합부(37)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 형성된 후크단으로써, 상기 하부 커버(20)에 형성된 걸림 돌기에 수평방향으로 걸림되도록 상기 제2데코부(30b)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탄성 걸림시켜 최종적으로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30)의 결합을 완성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coupling portion 37 is a hook end form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decor portion 30b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cau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locking projection formed on the lower cover 20. By moving and elastically engaging to finally complete the coupling of the side decor member 30.

이와 같이,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30)는, 상기 하부 커버(20)에 상기 위치 정렬단(33)에 의하여 1차적으로 결합 위치를 정렬시킨 다음, 상기 하부 커버(20)에 상기 위치 고정부(35)에 의하여 2차적으로 고정시키고, 마지막으로 상기 하부 커버(20)에 상기 위치 결합부(37)에 의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조립자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1)의 내부 부품 수리 및 교체자가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20)의 결합을 분리하더라도 임의로 상기 하부 커버(20)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ide deco member 30 aligns the coupling position to the lower cover 20 by the position alignment end 33. Repairing the internal parts of the assembler or the fob key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by second fixing and 35 and finally engaging the lower cover 20 by means of the position coupling part 37. Even if the replacer separates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20, the detachment from the lower cover 20 is prevented.

한편,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30) 중 상기 제1데코부(30a) 및 상기 제2데코부(30b)에는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20)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과 수평방향으로 걸림되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부(39)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deco part 30a and the second deco part 30b of the side deco member 30 are engag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any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20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least one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39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ormed to prevent the.

상기 제3데코부(30c)는,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20)의 후단부에 결합된 리어 데코부(4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차폐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third decor part 30c may be configured to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by a rear decor part 40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20.

한편,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고정부(35)가 수직방향으로 상기 결합돌기(25)를 삽입시키도록 이동시켜야 하고, 상기 위치 결합부(37)가 수평방향으로 상기 걸림돌기(27)에 걸림시키도록 이동시켜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탄성복원될 수 있는 탄성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ide decoration member 30 has to be moved so that the position fixing portion 35 to insert the engaging projection 25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coupling portion 37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ince the locking projection 27 must be moved so as to be locked, i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that can be elastically restored as a whol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결합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mbination of the fob key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30)의 후단부인 상기 제3데코부(30c)를 상기 하부 커버(20)의 후단부로 이동시켜 상기 위치 정렬 홈에 수평방향으로 상기 위치 정렬단(33)을 삽입시킴으로써 결합될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30)의 위치를 정렬시킨다.First, by moving the third decor portion 30c, which is the rear end of the side decor member 30, to the rear end of the lower cover 20, inserting the position alignment end 3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alignment groove. Align the position of the side deco member 30 to be combined.

다음으로,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30)의 측면부 중 하나인 상기 제1데코부(30a)의 상기 위치 고정부(35)를 약간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결합돌기(25)가 상기 결합 홀에 삽입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3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Next, the position fixing part 35 of the first deco part 30a, which is one of the side parts of the side deco member 30, is slightly moved upward, and then the coupling protrusion 25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The position of the side deco member 30 is fixed by moving and inser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마지막으로,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30)의 측면부 중 나머지 하나인 상기 제2데코부(30b)의 상기 위치 결합부(37)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즉,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돌기(27)에 후크단이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30)의 결합을 완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Finally, the position engaging portion 37 of the second deco portion 30b, which is one of the side portions of the side deco member 30, is mov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at 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 27) by hooking the hook end is to complete the coupling of the side deco member (30).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b ke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and it is natural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 포브 키 20: 하부 커버
21: 안착부 23: 위치 정렬 홈
25: 결합돌기 27: 걸림돌기
30: 사이드 데코 부재 30a: 제1데코부
30b: 제2데코부 30c: 제3데코부
33: 위치 정렬단 35: 위치 고정부
37: 위치 결합부 39: 이탈방지부
40: 리어 데코부

1: fob key 20: lower cover
21: seating portion 23: alignment groove
25: engaging projection 27: locking projection
30: side deco member 30a: first deco part
30b: second decor part 30c: third decor part
33: position alignment end 35: position fixing part
37: position coupling part 39: separation prevention part
40: rear decobu

Claims (8)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에 결합되는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데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는,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 사이의 적어도 어느 한 군데에서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위치 정렬시키는 위치 정렬단과;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 사이의 적어도 다른 한 군데에서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삽입시켜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와;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 사이의 적어도 또 다른 한 군데에서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탄성결합되는 위치 결합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포브 키.
An upper cover;
A lower cover coupled to the upper cover;
A side deco memb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to form a part of an exterior;
The side deco member,
A position alignment step of aligning the position with any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in at least one position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 position fixing part for inserting and fixing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at any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in at least one other position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nd a position engaging portion elastically coupled to either of the top cover and the bottom cover in at least another location between the top cover and the bottom co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데코 부재는,
상기 위치 고정부 및 상기 위치 결합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 사이의 제1측면에 배치되는 제1데코부와;
상기 위치 고정부 및 상기 위치 결합부 중 나머지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 사이의 제2측면에 배치되는 제2데코부와;
상기 위치 정렬단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데코부 및 상기 제2데코부의 동일방향 일단을 연결하는 제3데코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포브 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deco member,
Any one of the position fixing portion and the position coupling portion is formed, the first decor portion disposed on the first side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 second decor portion formed with a second one between the position fixing portion and the position coupling portion and dis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t least one position alignment stage is formed, and a fob key of a vehicle including a third decoration unit connecting one end in the same direction of the first decoration and the second decora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데코부와, 상기 제2데코부 및 상기 제3데코부는 전체적으로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차량의 포브 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ob key of the vehicle, wherein the first decor, the second decor and the third decor is formed to have an overall cross-section of the "c" shap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단은,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위치 정렬 홈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 형성된 삽입단인 차량의 포브 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position alignment stage,
A fob key of a vehicle, which is an insertion end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a positioning alignment groove formed in any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결합 돌기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하로 관통되게 결합 홀이 형성된 홀 형성단인 차량의 포브 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osition fixing portion comprises:
A fob key of a vehicle which is a hole forming end formed with a coupling hole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penetrates up and down to be inserted in a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합부는,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걸림 돌기에 수평방향으로 걸림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 형성된 후크단인 차량의 포브 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position coupling portion,
A fob key of a vehicle, the hook end being formed to protrude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caught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a locking protrusion formed in any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데코부 및 제2데코부에는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과 수평방향으로 걸림되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차량의 포브 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fob key of a vehicle having at least one release preventing portion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any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in the first decor portion and the second decor por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데코부는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의 일단부에 결합된 리어 데코부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차폐되는 차량의 포브 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nd a third deco part of the vehicle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by a rear decod part coupled to one end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KR1020110102523A 2011-10-07 2011-10-07 Fob key of vehicles KR1012076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523A KR101207627B1 (en) 2011-10-07 2011-10-07 Fob key of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523A KR101207627B1 (en) 2011-10-07 2011-10-07 Fob key of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627B1 true KR101207627B1 (en) 2012-12-03

Family

ID=4790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523A KR101207627B1 (en) 2011-10-07 2011-10-07 Fob key of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62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938B1 (en) * 2014-01-23 2015-03-16 주식회사 대동 FOB key of vehicles
KR20150104424A (en) * 2014-03-05 2015-09-15 주식회사 대동 Potable Remote Control Key assembly for vehicles
KR20160004173U (en) * 2015-05-28 2016-12-07 주식회사 서연전자 A FOB Key Assembly for Vehicles
KR200483540Y1 (en) * 2016-02-05 2017-05-26 주식회사 서연전자 Fob key of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9971A (en) 2009-02-19 2010-09-02 Denso Corp Electronic ke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9971A (en) 2009-02-19 2010-09-02 Denso Corp Electronic ke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938B1 (en) * 2014-01-23 2015-03-16 주식회사 대동 FOB key of vehicles
KR20150104424A (en) * 2014-03-05 2015-09-15 주식회사 대동 Potable Remote Control Key assembly for vehicles
KR101599762B1 (en) * 2014-03-05 2016-03-04 주식회사 서연전자 Potable Remote Control Key assembly for vehicles
KR20160004173U (en) * 2015-05-28 2016-12-07 주식회사 서연전자 A FOB Key Assembly for Vehicles
KR200485647Y1 (en) * 2015-05-28 2018-02-05 주식회사 서연전자 A FOB Key Assembly for Vehicles
KR200483540Y1 (en) * 2016-02-05 2017-05-26 주식회사 서연전자 Fob key of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627B1 (en) Fob key of vehicles
US10160414B2 (en) Bumper assembly method and apparatus
US20090183436A1 (en) Trim panel retention system
US9819123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wings displaceably mounted in surrounding portions of a support to facilitate alignment with a mating housing
CN103370222A (en) In-vehicle indoor illumination apparatus
CN112141016B (en) Switch mounting structure
US20130033824A1 (en) Display device cabinet
JP2007299803A (en) Shell of electric equipment
KR200476205Y1 (en) Sectional fixing apparatus for navigation
JP4782230B2 (en) Vehicle wiring harness and vehicle wiring method
KR200485647Y1 (en) A FOB Key Assembly for Vehicles
KR101583437B1 (en)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sole rear cover for automobile
KR101222742B1 (en) Fob key of vehicles
JP2006044589A (en) Coupling structure for interior component
CN214705249U (en) Shell structure of display device and automobile central control
JP6029527B2 (en) Case and cover connection structure
KR200483540Y1 (en) Fob key of vehicle
KR101172197B1 (en) Structure for mounting of trim for supporting airbag when airbag is unfolded of vehicle
KR101460226B1 (en) Apparatus for fixing reservoir body assembly of fuel pump module
KR101820139B1 (en) Junction box for vehicle
KR200483223Y1 (en) Fob key of Vehicles
KR100980946B1 (en) Lever assembly for shifting transmission gear
CN103802742A (en) Safety belt cover decorative board
JP6210078B2 (en) Keyboard device
KR20070053994A (en) Brand block and control block mounting structure for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