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851B1 - 재료의 잔류응력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재료의 잔류응력 평가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6851B1 KR101206851B1 KR1020100044042A KR20100044042A KR101206851B1 KR 101206851 B1 KR101206851 B1 KR 101206851B1 KR 1020100044042 A KR1020100044042 A KR 1020100044042A KR 20100044042 A KR20100044042 A KR 20100044042A KR 101206851 B1 KR101206851 B1 KR 1012068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idual stress
- indentation
- axis
- curvature
- equi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6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5482 strain hard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ONOETXJSWQNOL-UHFFFAOYSA-N tungsten carbide Chemical compound [W+]#[C-] UONOETXJSWQNO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41 X-ray diff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1 dimension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87 quadratic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48—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performing impressions under impulsive load by indentors, e.g. falling ball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47—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measuring forces due to residual stress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42—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performing impressions under a steady load by indentors, e.g. sphere, pyrami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76—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 G01N2203/0078—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using indentation
- G01N2203/008—Residual indentation measureme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02—Control of the test
- G01N2203/0212—Theories, calcul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재료의 잔류응력 평가 방법은 재료에 양축등가로 발생되는 잔류응력(σ R)을 평가하기 위한 재료의 잔류응력 평가 방법으로서, 복수의 재료 각각의 물성치와의 관계를 회귀하여 상기 잔류응력(σ R)이 없는 상태의 곡률계수(C o)를 계산하는 단계, 압입 하중-변위곡선으로부터 상기 잔류응력(σ R)에 따른 곡률계수(C)를 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각각의 물성치, 상기 잔류응력(σ R)이 없는 상태의 곡률계수(C o), 그리고 상기 잔류응력(σ R)에 따른 곡률계수(C)를 이용하여 상기 잔류응력(σ R)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흔의 측정 없이 재료 물성치와 압입 하중-변위곡선만을 통해 압입 잔류응력을 측정할 수 있어, 사용성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압입 잔류응력의 방향 및 비를 이용하여, 양축등가 잔류응력 뿐 아니라 양축부등가 잔류응력도 평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종래의 잔류응력 평가이론에 있어서 압입형상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인장 잔류응력의 경우와 형상인자를 도입한 압축 잔류응력의 경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자기유사성을 갖는 원뿔형 압입자에 대한 압입형상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Knoop 압입자를 이용한 1/4 크기의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전체 모재를 약 90000개의 절점과 70000개의 8절점 요소들로 구성한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3D-Full 모델과 3D-1/4 모델의 압입 하중-변위곡선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항복강도(σ o) 400MPa, 영률(E) 200GPa, 그리고 변형경화지수(n) 10인 재료에 대하여 압입자를 기준 위치각 0°부터 90°까지 30°간격으로 각각 압입하며 도시한 압입 하중-변위곡선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의 잔류응력 평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 회귀과정에서의 입력값에 따른 사상함수 곡선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다양한 물성치에 대한 실제 잔류응력과 예측 잔류응력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유한요소해석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변형경화지수와 항복변형률에 대한 C o와 재료물성치의 관계 및 이러한 관계에 대한 회귀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마름모 형상의 Knoop 압입자에서의 순수전단응력 상태의 압입 하중-변위곡선과 무잔류응력 상태의 압입 하중-변위곡선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다양한 물성치의 일축잔류응력 상태에서 실제 잔류응력과 예측 잔류응력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오차의 최종 목표값을 0.1%로 하여 예측한 잔류응력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잔류응력 평가를 위한 시험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각 시편에 대한 압입으로 얻은 하중-변위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굽힘시편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9는 지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0은 시편의 표면에서 측정한 무응력 상태에서의 압입 하중-변위곡선을 시험시편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Knoop 압입시험으로부터 표면에서 구한 응력값과 스트레인 게이지 변형률에서 재료 영률을 이용해 환산된 응력값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2는 h d를 고려한 잔류응력의 예측값과 스트레인 게이지 변형률에서 재료 영률을 이용해 환산된 응력값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Claims (17)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재료에 양축부등가로 발생되는 각축의 잔류응력 사이의 잔류응력 비(α)가 알려진 경우 재료에 양축부등가로 발생되는 각축의 잔류응력(σ R1, σ R2)을 평가하기 위한 재료의 잔류응력 평가 방법으로서,
복수의 재료 각각의 물성치와의 관계를 회귀하여 상기 각축의 잔류응력(σ R1, σ R2)이 없는 상태의 곡률계수(C o)를 계산하는 단계,
압입 하중-변위곡선으로부터 상기 각축의 잔류응력(σ R1, σ R2)에 따른 곡률계수( Bi C 0 °, Bi C 90 °)를 구하고 상기 각축의 잔류응력(σ R1, σ R2)에 따른 곡률계수( Bi C 0 °, Bi C 90 °)를 양축등가 상태의 곡률계수( Equi C 1, Equi C 2)로 각각 가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각각의 물성치, 상기 각축의 잔류응력(σ R1, σ R2)이 없는 상태의 곡률계수(C o), 그리고 상기 양축등가 상태의 곡률계수( Equi C 1, Equi C 2)를 이용한 반복 계산을 통해 상기 각축의 잔류응력(σ R1, σ R2)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료의 잔류응력 평가 방법. - 제9항에서,
상기 각각의 물성치는 상기 복수의 재료 각각에 있어서의 항복강도(σ o), 영률(E), 그리고 변형경화지수(n)를 포함하고,
상기 항복강도(σ o)는 상기 영률(E)과 항복변형률(ε o)의 곱인 재료의 잔류응력 평가 방법. - 제10항에서,
상기 각축의 잔류응력(σ R1, σ R2)이 없는 상태의 곡률계수(C o)는 상기 복수의 재료 각각에 대한 제1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상기 변형경화지수(n) 및 상기 항복변형률(ε o)과의 관계를 회귀하여 구하고,
상기 제1 유한요소해석은 누프(Knoop) 압입자를 이용한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통하여 수행되는 재료의 잔류응력 평가 방법. - 제11항 또는 제12항에서,
상기 각축의 잔류응력(σ R1, σ R2)에 따른 곡률계수( Bi C 0°, Bi C 90°)는 상기 복수의 재료 각각에 대한 제2 유한요소해석으로 도출된 상기 압입 하중-변위곡선에 대하여 다음 식을 통해 구하고,
[식]
(여기서, P θ 는 압입 최대하중, θ는 0° 또는 90°, h t는 압입깊이, ΔP는 상기 압입 최대하중의 변화량, ΔC는 상기 각축의 잔류응력(σ R1, σ R2)에 따른 곡률계수( Bi C 0 °, Bi C 90 °)의 변화량이다.)
상기 제2 유한요소해석은 누프(Knoop) 압입자를 이용한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통하여 수행되는 재료의 잔류응력 평가 방법. - 제13항에서,
상기 압입깊이(h t)는 압입자의 선단에 존재하는 선단반경(R)으로 인한 추가 압입깊이(h d)를 포함하는 재료의 잔류응력 평가 방법. - 제15항에서,
상기 각축의 잔류응력(σ R1, σ R2)을 구하는 단계는
알려진 상기 잔류응력 비(α)와 구해진 상기 각축의 잔류응력(σ R1, σ R2)에 의한 잔류응력 비(σ R 1/σ R 2)의 차이인 미소편차(ΔC)가 미리 정해진 범위보다 큰 경우, 상기 양축등가 상태의 곡률계수( Equi C 1, Equi C 2)를 갱신하는 단계, 그리고
갱신된 상기 양축등가 상태의 곡률계수( Equi C 1, Equi C 2)를 통해 상기 각축의 잔류응력(σ R1, σ R2)을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료의 잔류응력 평가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4042A KR101206851B1 (ko) | 2010-05-11 | 2010-05-11 | 재료의 잔류응력 평가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4042A KR101206851B1 (ko) | 2010-05-11 | 2010-05-11 | 재료의 잔류응력 평가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4574A KR20110124574A (ko) | 2011-11-17 |
KR101206851B1 true KR101206851B1 (ko) | 2012-11-30 |
Family
ID=4539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4042A Active KR101206851B1 (ko) | 2010-05-11 | 2010-05-11 | 재료의 잔류응력 평가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685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439206A (zh) * | 2013-09-13 | 2013-12-11 | 徐州工程学院 | 基于微压痕法的韧性块体材料微小区域残余应力测试方法 |
KR20180119480A (ko) * | 2017-04-25 | 2018-11-02 | 더 보잉 컴파니 | 경화된 복합 부품에 대한 잔류 스트레인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
EP4257944A4 (en) * | 2020-12-08 | 2024-07-31 | JFE Steel Corporation | Method for calculating residual stres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1938B1 (ko) * | 2013-01-31 | 2014-12-11 | (주)프론틱스 | 계장화 압입 시험을 이용한 잔류응력 평가 방법 및 주응력 평가 방법 |
CN103207034B (zh) * | 2013-03-12 | 2015-02-18 | 清华大学 | 一种微机电系统桥膜结构残余应力的测试方法 |
CN104198313A (zh) * | 2014-09-11 | 2014-12-10 | 浙江工业大学 | 一种基于仪器化压入技术的残余应力检测方法 |
KR102096307B1 (ko) * | 2020-01-20 | 2020-04-03 | (주)스마트 제어계측 | 바크하우젠 측정방법의 비례교정방법 |
KR102400918B1 (ko) * | 2020-01-20 | 2022-05-24 |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 초고압 처리장치용 압력용기의 초기 응력 산출방법 |
KR102381896B1 (ko) * | 2020-08-10 | 2022-03-31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압흔을 이용한 물성 획득방법 및 물성 획득 시스템 |
CN112179541B (zh) * | 2020-09-02 | 2021-07-16 | 大连理工大学 | 一种基于变形反推的初始残余应力调整方法 |
CN112903163B (zh) * | 2021-01-20 | 2021-09-14 | 西南交通大学 | 一种基于偏应力等效的材料残余应力测定方法 |
CN113484175B (zh) * | 2021-07-01 | 2022-09-06 | 重庆齿轮箱有限责任公司 | 一种基于形貌测量的材料力学性能分析方法 |
CN115879279B (zh) * | 2022-11-18 | 2024-03-08 | 上海交通大学 | 换流变有载分接开关应力薄弱点分析方法及系统 |
CN115855342B (zh) * | 2022-12-21 | 2025-04-01 | 浙江工业大学 | 一种无需参考试样检测任意残余应力的仪器化球压入方法 |
CN116147818B (zh) * | 2023-03-22 | 2025-03-18 | 成都微力特斯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柱平面压入技术的残余应力测试方法 |
-
2010
- 2010-05-11 KR KR1020100044042A patent/KR101206851B1/ko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논문.2007.08 |
논문.2009.09 |
보고서.2006.11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439206A (zh) * | 2013-09-13 | 2013-12-11 | 徐州工程学院 | 基于微压痕法的韧性块体材料微小区域残余应力测试方法 |
CN103439206B (zh) * | 2013-09-13 | 2015-03-25 | 徐州工程学院 | 基于微压痕法的韧性块体材料微小区域残余应力测试方法 |
KR20180119480A (ko) * | 2017-04-25 | 2018-11-02 | 더 보잉 컴파니 | 경화된 복합 부품에 대한 잔류 스트레인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
KR102623477B1 (ko) | 2017-04-25 | 2024-01-09 | 더 보잉 컴파니 | 경화된 복합 부품에 대한 잔류 스트레인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
EP4257944A4 (en) * | 2020-12-08 | 2024-07-31 | JFE Steel Corporation | Method for calculating residual stres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4574A (ko) | 2011-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06851B1 (ko) | 재료의 잔류응력 평가 방법 | |
KR100418700B1 (ko) | 유한요소해에 기초한 물성평가 구형 압입시험기 | |
Yang et al. | A stiffness degradation model for graphite/epoxy laminates | |
Cooreman et al. | Identification of mechanical material behavior through inverse modeling and DIC | |
Moharrami et al. | Developing a method in measuring residual stress on steel alloys by instrumented indentation technique | |
Arsene et al. | A new approach to measuring transverse properties of structural tubing by a ring test—experimental investigation | |
Li et al. | Effects of machine stiffness on the loading–displacement curve during spherical nano-indentation | |
KR101169393B1 (ko) | 고무 물성 평가 방법 | |
Sjöberg et al. | Experimental characterisation of the evolution of triaxiality stress state for sheet metal materials | |
Arpin-Pont et al. | Strain gauge measurement uncertainties on hydraulic turbine runner blade | |
Witzgall et al. | A novel approach to incorporating previous fatigue damage into a failure model for short-fibre reinforced plastics | |
Akatsu et al. | Representative indentation elastic modulus evaluated by unloading of nanoindentation made with a point sharp indenter | |
Zuccarello et al. | Numerical-experimental method for the analysis of residual stresses in cold-expanded holes | |
Gruber | Accurate data reduction for the uniaxial compression test | |
Meng et al. | Evaluation method of uniaxial residual stress in metallic materials by spherical indentation | |
Yosibash | Failure criteria for brittle elastic materials | |
Matache et al. | Determination of a methodology for formulating constituent models of high entropy alloys | |
Cagliero et al. | Influence of Vickers Indenter Tip Geometry on the Macro-indentation Properties of γ-TiAl Alloys | |
Shevchenko et al. | Elastoplastic deformation of elements of an isotropic solid along paths of small curvature: Constitutive equations incorporating the stress mode | |
HENRIQUES et al. | On the inverse identification of sheet metal mechanical behaviour using a heterogeneous Arcan virtual experiment | |
Kolokhov | Applying Ultrasound Detection Devices to Examine Pгореrties of Concrete Structures | |
Sarzosa et al. | Experimental valid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fracture parameters J and CTOD for SE (B) and SE (T) specimens during ductile crack growth | |
Borri-Brunetto et al. | Stiffening effect of bolt-on transducers on strain measurements | |
Khanna et al. | A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Crack Tip Opening Loads Based on Strip Yield Modeling of a Propagating Crack | |
Fernandez-Zelaia et al. | Validation of Material Models for Machining Simulation Using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Deformed Chi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