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204B1 - 음료 리필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료 리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204B1
KR101206204B1 KR1020110075585A KR20110075585A KR101206204B1 KR 101206204 B1 KR101206204 B1 KR 101206204B1 KR 1020110075585 A KR1020110075585 A KR 1020110075585A KR 20110075585 A KR20110075585 A KR 20110075585A KR 101206204 B1 KR101206204 B1 KR 101206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up
information
refill
dr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환
전형준
홍진국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5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7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infu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16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 sensor or an interface to a sensor
    • G06K19/071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 sensor or an interface to a sensor the sensor being capable of sensing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history or pres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1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 G06K7/103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e.g. configurations including means to resolve inter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음료 리필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음료컵의 바닥면에 부착된 무선인식(RFID) 태그로부터 음료컵 정보를 읽어, 중앙 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 제어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음료컵에 대하여 음료의 리필을 수행하는 리필 장치와, 상기 리필 장치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상기 음료컵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음료컵에 대한 음료의 리필을 허용할지 여부와 관련한 제어신호를 상기 리필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중앙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 리필 시스템{BEVERAGE REFILL SYSTEM}
본 발명은 음료 리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인식(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라 함)을 이용한 음료 리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ID 기술이란,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을 말한다. 여기에는 RFID 태그와, RFID 리더가 필요하다.
RFID 태그는 안테나와 집적회로로 이루어지는데, 집적회로 안에 정보를 기록하고 안테나를 통해 RFID 리더에 정보를 송신한다. 이 정보는 RFID 태그가 부착된 대상을 식별하는데 이용된다.
한편, 패스트푸드점 등에서는, 고객이 음료를 구매하면, 종업원이 음료컵에 음료를 담아주고, 고객이 해당 음료의 리필을 원하는 경우에는 이를 받아 음료컵에 다시 음료를 채워주는 리필 시스템이 운용된다.
그러나, 동일한 상표의 패스트푸드점에서는 동일한 모양의 컵을 사용하므로, 고객이 제공한 리필용 음료컵이 해당 패스트푸드점에서 구매한 것인지, 판별이 불가능하고, 해당 패스트푸드점에서 구매한 경우라도, 당일이 아닌 다른 날 구매한 것인 경우에는 이에 대한 판별이 불가하므로, 종업원은 음료의 리필을 거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객의 입장에서도, 음료컵을 종업원에게 제공하고, 종업원이 음료컵에 음료를 리필하는 시스템에서는,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음료컵에 RFID 태그를 부착하고, RFID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리필가능한 음료컵인지를 판단하여, 고객에게 음료를 제공하기 위한 음료 리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음료 리필 시스템은, 음료컵의 바닥면에 부착된 무선인식(RFID) 태그로부터 음료컵 정보를 읽어, 중앙 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 제어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음료컵에 대하여 음료의 리필을 수행하는 리필 장치; 및 상기 리필 장치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상기 음료컵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음료컵에 대한 음료의 리필을 허용할지 여부와 관련한 제어신호를 상기 리필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중앙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리필 장치는, 상기 중앙 제어장치와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음료컵의 바닥면에 부착된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음료컵 정보를 수신하는 복수의 근거리 무선통신(NFC) RFID 안테나; 상기 음료컵에 음료를 주입하는 복수의 주입부; 및 상기 중앙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가 수신하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주입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음료컵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할 정보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NFC RFID 안테나는, 상기 복수의 주입부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음료컵 정보는, 상기 음료컵의 판매위치, 판매일자, 리필가능 일자, 리필가능 횟수, 사용횟수, 및 최근 리필시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 리필 장치는, 음료컵의 바닥면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음료컵 정보를 수신하는 복수의 NFC RFID 안테나; 상기 음료컵에 음료를 주입하는 복수의 주입부; 및 상기 음료컵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음료컵에 대한 음료의 리필을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주입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음료컵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료컵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할 정보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NFC RFID 안테나는, 상기 복수의 주입부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음료컵 정보는, 상기 음료컵의 판매위치, 판매일자, 리필가능 일자, 리필가능 횟수, 사용횟수, 및 최근 리필시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RFID를 이용하여 음료의 리필가능한지 여부를 간단하게 확인하도록 하는 효과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ID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음료의 리필을 하도록 함으로써, 판매자의 입장에서도 리필에 요구되는 인력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음료의 리필을 판매자의 대면없이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리필 시스템의 일실시예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필 장치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리필 장치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하 일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입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음료컵 받침대의 일실시예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음료컵의 일예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음료컵의 바닥면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리필 시스템의 일실시예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리필 장치(1)와 중앙 제어장치(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리필 장치(1)는, 추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RFID를 이용하여 중앙 제어장치(2)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음료컵을 지정된 위치에 배치하여, 음료의 리필이 가능함을 중앙 제어장치(2)가 무선통신을 통해 승인한 경우에, 사용자의 음료컵에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필 장치(1)와 중앙 제어장치(2)는 무선통신을 통해 접속하며,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Wi-Fi)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의 리필 장치(1)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리필 장치(1)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하 일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필 장치(1)는, 제어부(10), 통신부(20), 주입부(30),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이하, 'NFC'라 함) RFID 안테나부(40) 및 디스플레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20)는, 중앙 제어장치(2)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0)는, 중앙 제어장치(2)와의 통신방식에 따라 그 구성이 가변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통신부(20)는,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가 NFC 안테나부(40) 상부에 놓은 음료컵(70)의 정보를 제어부(10)로부터 수신하여 중앙 제어장치(2)로 전송하고, 해당 음료컵 정보를 확인한 중앙 제어장치(2)가 음료의 리필을 허용 또는 불가할 것인지에 대하여 제어부(10)로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를 위하여, 중앙 제어장치(2) 역시, 리필 장치(1)의 통신부(20)와 마찬가지의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주입부(30)는, 음료컵(70)에 음료 또는 얼음을 제공한다. 도 4는 도 3의 주입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조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주입부(30)는, 음료주입부(31) 및 얼음주입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4개의 주입부 중, 어느 하나는 얼음주입부이고, 나머지는 음료주입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하다.
사용자가 음료컵(70)을 받침대(50) 상부의 NFC RFID 안테나(40)에 위치시키면, 제어부(10)는 NFC RFID 안테나(40)로부터 수신하는 음료컵(70)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한다. 음료컵(70)은 추후 설명하겠지만, 그 바닥면에 해당 음료컵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RFID 태그(71) 외에,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여, 해당 음료컵(70)의 온도와 관련한 정보를 NFC RFID 안테나(40)를 통해 수신한 제어부(10)가 이를 중앙 제어장치(2)에 전송할 수 있다.
음료컵(70)의 온도와 관련한 정보를 수신한 중앙 제어장치(2)는, 해당 음료컵(70)이 냉각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해당 제어신호를 제어부(10)로 전송한다. 제어부(10)는, 주입부(30)의 얼음주입부(32)가 얼음을 음료컵(70)에 제공하도록 주입부(3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NFC RFID 안테나부(40)는, 음료컵(70)의 바닥에 부착된 RFID 태그(71)로부터 음료컵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NFC RFID 기술은, 일정 구역(ZONE)에서만 인식 및 방사가 가능한 통신체계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900㎒ 대역의 NFC 기술에 비해 전자기장의 간섭이 적어, 최근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기술이다. 다만, 본 발명의 근거리 통신기술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의 발전에 의해 다른 근거리 통신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NFC RFID 안테나부(40)는, 리필 장치(1)의 음료컵 받침대(50)의 상부에, 주입부(30)의 개수와 일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주입부(30)와 NFC RFID의 안테나(40)의 개수가 4개가 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도 5는 도 3의 음료컵 받침대(50)의 일실시예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필 장치(1)의 음료컵 받침대(50)는, 그 상부에 NFC RFID 안테나(41~44)가 각각 배치되며, 그 크기 및 배치는, 주입부(30)의 위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NFC RFID 안테나(41~44)는, 주입부(30)의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음료컵 받침대(50)는 NFC RFID 안테나(41~44)의 주위를 따라서, 배수구(51)를 설치하여, 음료가 넘치는 경우에도, NFC RFID 안테나(41~44) 위에 머무르는 일 없이, 바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음료컵의 일예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음료컵의 바닥면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음료컵(70)은, 그 바닥면에 RFID 태그(71)를 부착하는 것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도시된 RFID 태그(71)외에, 센서부(도시되지 않음)가 부착될 수도 있다.
RFID 태그(71)는, 부착된 음료컵(70)의 형태, 크기, 판매된 위치, 판매일자, 리필가능 일자, 리필가능 횟수, 사용횟수, 및 최근 리필시간 등의 음료컵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도 2 및 디스플레이부(60)는,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음료컵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RFID 태그(71)에 저장된 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시각화와 관련한 프로세스는, 제어부(10)가 제공하거나, 또는 중앙 제어장치(2)가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부(10)는, NFC RFID 안테나(40)가 수신한 음료컵(70)의 정보를 통신부(20)를 통해 중앙 제어장치(2)로 전송하고, 음료컵(70)의 정보를 바탕으로, 중앙 제어장치(2)가 음료의 리필을 허용하거나, 불허하거나 하는 신호를 전송하여 통신부(20)가 이를 수신하면, 주입부(30)가 음료 또는 얼음을 음료컵(70)에 주입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해당 음료컵(70)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60)가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중앙 제어장치(2)를 따로 구비하여, 음료컵(70)의 정보를 바탕으로 리필의 허용/불허, 얼음의 주입여부를 중앙 제어장치(2)가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판단을 제어부(10)가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통신부(20)는 요구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리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해보기로 한다. 우선, 음료컵(70)과 관련된 정보를 중앙 제어장치(2)가 수신하여, 제어부(10)로 주입부(30)의 동자신호를 전송하는 것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기로 하자.
사용자는 먼저, RFID 태그(71)가 부착된 음료컵(70)을 구입한다. 음료컵(70)의 구입시에, 해당 음료컵(70)의 정보가 RFID 태그(71)에 저장된다. RFID 태그(71)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에 대해서는, RFID 태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판매자는 음료컵(70)에 음료를 주입한 후 음료컵(70)을 제공하거나, 또는 음료컵(70)만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접 리필 장치(1)에 가서 음료를 주입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음료컵(70)에 담긴 음료를 모두 음용한 이후에, 도 3과 같은 리필 장치(1)의 NFC RFID 안테나(40) 중 어느 하나에 음료컵(70)을 위치시킨다.
NFC RFID 안테나(40)는 RFID 태그(71)로부터 음료컵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10)에 제공한다. 제어부(10)는 통신부(20)를 통해 해당 음료컵 정보를 중앙 제어장치(2)에 전송한다. 음료컵 정보는 음료컵(70)의 형태, 크기, 온도(이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부에 의해 측정되는 것임), 판매된 위치, 판매일자, 리필가능 일자, 리필가능 횟수, 사용횟수, 및 최근 리필시간을 포함한다.
중앙 제어장치(2)는 내부의 통신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해당 음료컵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를 분석하여, 리필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부(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해당 음료컵(70)이 당일 구입된 것이 아니라면, 리필을 불허하는 신호를 제어부(10)로 전송한다. 불허의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0)는, 해당 신호를 분석하여, 주입부(30)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60)가 리필이 불허됨을 그 이유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예를 들어, 해당 음료컵(70)이 이미 리필이 허용된 횟수(리필가능 횟수)를 넘어서서 음료를 리필한 경우에는, 리필을 불허하는 신호를 제어부(10)로 전송한다. 불허의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0)는, 해당 신호를 분석하여, 주입부(30)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60)가 리필이 불허됨을 그 이유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예를 들어, 해당 음료컵 정보를 분석하여 리필이 허용되는 경우에는, 중앙 제어장치(2)는 리필을 허용하는 신호를 제어부(10)로 전송한다. 이때, 음료컵 정보 중 온도를 확인하여, 얼음주입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함께 제어부(10)로 전송한다. 제어부(10)는 리필을 허용하되, 얼음이 남아 있어 얼음주입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음료주입부(31)만이 동작하도록 주입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리필을 허용하되, 음료컵(70)의 온도가 높아 얼음주입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음료주입부(31)와 얼음주입부(32)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주입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양자의 경우 모두에, 디스플레이부(60)가 음료컵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본 발명의 제어부(10)는, 중앙 제어장치(2)로 음료컵 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음료컵 정보를 스스로 분석하여 리필 장치(1)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통신부(20)의 동작은 요구되지 않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문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사용자는 먼저, RFID 태그(71)가 부착된 음료컵(70)을 구입한다. 음료컵(70)의 구입시에, 해당 음료컵(70)의 정보가 RFID 태그(71)에 저장된다. RFID 태그(71)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판매자는 음료컵(70)에 음료를 주입한 후 음료컵(70)을 제공하거나, 또는 음료컵(70)만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접 리필 장치(1)에 가서 음료를 주입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음료컵(70)에 담긴 음료를 모두 음용한 이후에, 도 3과 같은 리필 장치(1)의 NFC RFID 안테나(40) 중 어느 하나에 음료컵(70)을 위치시킨다.
NFC RFID 안테나(40)는 RFID 태그(71)로부터 음료컵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10)에 제공한다. 음료컵 정보는 음료컵(70)의 형태, 크기, 온도(이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부에 의해 측정되는 것임), 판매된 위치, 판매일자, 리필가능 일자, 리필가능 횟수, 사용횟수, 및 최근 리필시간을 포함한다.
제어부(10)는 NFC RFID 안테나(40)로부터 수신한 음료컵 정보를 분석하여, 리필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해당 음료컵(70)이 당일 구입된 것이 아니라면, 주입부(30)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60)가 리필이 불허됨을 그 이유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예를 들어, 해당 음료컵(70)이 이미 리필이 허용된 횟수(리필가능 횟수)를 넘어서서 음료를 리필한 경우에는, 주입부(30)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60)가 리필이 불허됨을 그 이유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예를 들어, 해당 음료컵 정보를 분석하여 리필이 허용되는 경우에는, 음료컵 정보 중 온도를 확인하여, 얼음주입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함께 분석한다. 제어부(10)는 리필을 허용하되, 얼음이 남아 있어 얼음주입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음료주입부(31)만이 동작하도록 주입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리필을 허용하되, 음료컵(70)의 온도가 높아 얼음주입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음료주입부(31)와 얼음주입부(32)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주입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양자의 경우 모두에, 디스플레이부(60)가 음료컵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리필 장치 2: 중앙 제어장치
10: 제어부 20: 통신부
30: 주입부 31: 음료주입부
32: 얼음주입부 40: NFC RFID 안테나부
50: 음료컵 받침대 60: 디스플레이부
70: 음료컵 71: RFID 태그

Claims (9)

  1. 음료컵의 바닥면에 부착된 무선인식(RFID) 태그로부터 음료컵 정보를 읽고, 상기 음료컵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로부터 상기 음료컵의 온도를 수신하여, 상기 음료컵 정보 및 온도를 중앙 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 제어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음료컵에 대하여 음료의 리필 및 얼음의 주입을 수행하는 리필 장치; 및
    상기 리필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상기 음료컵 정보 및 온도를 분석하여, 상기 음료컵에 대한 음료의 리필 및 얼음의 주입을 허용할지 여부와 관련한 제어신호를 상기 리필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중앙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음료 리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 장치는,
    상기 중앙 제어장치와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음료컵의 바닥면에 부착된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음료컵 정보를 수신하는 복수의 근거리 무선통신(NFC) RFID 안테나;
    성가 음료컵의 온도를 측정하는 상기 센서;
    상기 음료컵에 음료 또는 얼음을 주입하는 복수의 주입부; 및
    상기 중앙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가 수신하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주입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료 리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상기 음료컵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할 정보를 제어하는 음료 리필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NFC RFID 안테나는, 상기 복수의 주입부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음료 리필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컵 정보는, 상기 음료컵의 판매위치, 판매일자, 리필가능 일자, 리필가능 횟수, 사용횟수, 및 최근 리필시간을 포함하는 음료 리필 시스템.
  6. 음료컵의 바닥면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음료컵 정보를 수신하는 복수의 NFC RFID 안테나;
    상기 음료컵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음료컵에 음료 또는 얼음을 주입하는 복수의 주입부; 및
    상기 음료컵 정보 및 온도를 분석하여, 상기 음료컵에 대한 음료의 리필 및 얼음의 주입을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주입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료 리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상기 음료컵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료컵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할 정보를 제어하는 음료 리필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NFC RFID 안테나는, 상기 복수의 주입부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음료 리필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컵 정보는, 상기 음료컵의 판매위치, 판매일자, 리필가능 일자, 리필가능 횟수, 사용횟수, 및 최근 리필시간을 포함하는 음료 리필 장치.
KR1020110075585A 2011-07-29 2011-07-29 음료 리필 시스템 KR101206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585A KR101206204B1 (ko) 2011-07-29 2011-07-29 음료 리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585A KR101206204B1 (ko) 2011-07-29 2011-07-29 음료 리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6204B1 true KR101206204B1 (ko) 2012-11-28

Family

ID=4756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585A KR101206204B1 (ko) 2011-07-29 2011-07-29 음료 리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2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0532A (zh) * 2019-03-18 2019-05-10 四川智饮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引导幼儿园学生健康饮水的设备及方法
KR102171840B1 (ko) * 2020-07-17 2020-10-29 김한빛 사용자 인식을 통한 자원절약형 음료판매 시스템
WO2021207323A1 (en) * 2020-04-08 2021-10-14 The Coca-Cola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refillable packages filled at a bottling facil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8755A1 (en) 2008-10-30 2010-05-06 Zack Fuerstenberg Beverage Holder Having a Chip Unit for Performing Payment Transactions
US20100125362A1 (en) 2008-11-20 2010-05-20 Disney Enterprises, Inc. Self-service beverage and snack dispensing using identity-based access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8755A1 (en) 2008-10-30 2010-05-06 Zack Fuerstenberg Beverage Holder Having a Chip Unit for Performing Payment Transactions
US20100125362A1 (en) 2008-11-20 2010-05-20 Disney Enterprises, Inc. Self-service beverage and snack dispensing using identity-based access contro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0532A (zh) * 2019-03-18 2019-05-10 四川智饮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引导幼儿园学生健康饮水的设备及方法
WO2021207323A1 (en) * 2020-04-08 2021-10-14 The Coca-Cola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refillable packages filled at a bottling facility
KR102171840B1 (ko) * 2020-07-17 2020-10-29 김한빛 사용자 인식을 통한 자원절약형 음료판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95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cessing, controlling and purchasing a product through a dispenser
US10267667B2 (en) Sensor device configuration
US9004320B2 (en) Pour spout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dispensing liquid from a container
US11462071B2 (en) System and method to purchase from a vending machine by using a mobile phone
US10964153B2 (en) Sales system, sales terminal, user terminal, and program
CN106233320B (zh) 自助式产品分配器
US20170066639A1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US20160096717A1 (en) Wireless control system for dispensing beverages from a bottle
KR101020180B1 (ko) 장보기 지원 장치 및 방법
US20150106196A1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improved user experience in a fuel dispensing environment
US10591345B2 (en) Sensor device configuration
US10155651B2 (en)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dispensing liquids from a container
CN104902434B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101206204B1 (ko) 음료 리필 시스템
US9022257B2 (en) Spout with a valve for dispensing liquor from a bottle
US11247891B1 (en) Connected and automated liquid dispensing attachment
US20190112174A1 (en) Beverage Dispenser With Beverage Dispensing Containers And Method For Illuminating The Active Container
KR20140040370A (ko)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
KR101511293B1 (ko) 셀프 맥주판매 장치 및 방법
US11708211B2 (en)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dispensing liquids from a container
JP5991154B2 (ja) 自動販売機の通信装置
US11544697B2 (en) Low cost control pour
JP6467229B2 (ja) 飲料課金装置
KR20150054303A (ko) 음식점의 음료판매 관리 시스템
KR101631643B1 (ko) 자동판매기 전력 효율 측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