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734B1 - 액츄에이션 감지에 기반한 페어링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츄에이션 감지에 기반한 페어링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734B1
KR101205734B1 KR1020100127363A KR20100127363A KR101205734B1 KR 101205734 B1 KR101205734 B1 KR 101205734B1 KR 1020100127363 A KR1020100127363 A KR 1020100127363A KR 20100127363 A KR20100127363 A KR 20100127363A KR 101205734 B1 KR101205734 B1 KR 101205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ion
peripheral
pairing
central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6155A (ko
Inventor
박부식
최종찬
신대교
정용무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27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734B1/ko
Publication of KR2012006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액츄에이션 감지에 기반한 페어링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페어링 방법은, 제1 기기가 액츄에이션을 생성하고, 제2 기기에 의해 제1 기기의 액츄에이션이 감지되면 제1 기기와 상기 제2 기기가 페어링한다. 이에 의해, 주변에 위치하는 기기들 중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기기하고만 협업을 위한 페어링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액츄에이션 감지에 기반한 페어링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시스템{Method for paring according to sensing actuation and collabor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페어링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기기들이 협업을 위해 페어링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기 간의 협업을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몇 가지 절차가 필요하다.
① 주변에 협업이 가능한 기기 찾기
② 협업을 수행할 협업자 선정하기
③ 페어링 하기
④ 협업 하기
주변에 협업이 가능한 기기 중에서 실제로 협업을 수행할 협업자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협업하고자 하는 기기들을 서로 부딪혀 협업자로 선정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는, 기기에서 단순한 충격 여부만을 감지하는 방식인데, 이 방법으로는 주변에 협업을 의도하지 않은 다른 기기에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충격이 계속 가해지고 있다면, 의도하지 않은 기기와 협업이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 의도하지 않은 기기로 원치 않는 개인 정보가 전송될 수도 있어 문제이다.
또한, 위 방식에 의한 협업자 선정은 협업에 필요한 동작으로 사용자가 직접 실행해야 하는 수동 방식이라는 점에서, 불편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기에 내장된 센서와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기기의 위치를 유추하고, 특정 영역에 위치한 기기하고만 협업을 위한 페어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페어링 방법은, 제1 기기가 액츄에이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2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기기의 액츄에이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기기와 상기 제2 기기가 페어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기기의 액츄에이션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 기기와 상기 제2 기기는 페어링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제2 기기와 페어링을 희망하는 기기이고, 상기 페이링 단계는,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전송된 액츄에이션 감지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기기로부터 액츄에이션 감지 확인이 있으면,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와 페어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전송된 액츄에이션 감지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기기로부터 액츄에이션 미감지 확인이 있으면,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와 페어링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기는, 상기 제1 기기와 페어링을 희망하는 기기이고, 상기 액츄에이션 생성단계는, 상기 제2 기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기기가 액츄에이션을 생성하고, 상기 페어링단계는,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의 액츄에이션을 감지하면,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와 페어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의 액츄에이션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제2 기기는 상기 제1 기기와 페어링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협업 시스템은, 액츄에이션을 생성하는 제1 기기; 및 액츄에이션을 감지하는 제2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기기의 액츄에이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기기와 상기 제2 기기가 페어링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의 액츄에이션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제1 기기와 상기 제2 기기는 페어링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기에 내장된 센서와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기기의 위치를 유추하고, 특정 영역에 위치한 기기하고만 협업을 위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주변에 위치하는 기기들 중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기기하고만 협업을 위한 페어링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은 기기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개요
협업이란, 기기 정보 교환, 연락처 교환, 파일 송수신, 데이터 공유 등과 같이 2 이상의 기기들이 함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협업을 위해서는 2대 이상의 기기들이 서로를 협업자로 등록하는 페어링 절차가 전제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기기들 간에만 페어링되는 기술을 제안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위해, 기기들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고 있다고 상정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중심 기기(100-1)와 주변 기기들(100-21, 100-22)은 모두 통신가능 영역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중심 기기(100-1)는 주변 기기들(100-21, 100-22) 모두와 통신가능하다.
중심 기기(100-1)는 주변 기기들(100-21, 100-22) 모두와 페어링하여 협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통신가능 영역에 위치하는 기기들 중 액츄에이션 감지가능 영역 내에 존재하는 기기들에 대해서만 페어링하여 협업하는 것으로 상정하겠다.
일 예로, 중심 기기(100-1)는, 1) 액츄에이션 감지영역 내에 존재하여, 중심 기기(100-1)가 생성한 액츄에이션을 감지할 수 있는 주변 기기-1(100-21)과는 페어링하여 협업할 수 있지만, 2) 액츄에이션 감지영역 밖에 존재하여, 중심 기기(100-1)가 생성한 액츄에이션을 감지할 수 없는 주변 기기-2(100-22)와는 페어링하여 협업할 수 없는 것으로 상정한다.
다른 예로, 중심 기기(100-1)는, 1) 액츄에이션 감지영역 내에 존재하여 생성한 액츄에이션을 중심 기기(100-1)가 감지할 수 있는 주변 기기-1(100-21)과는 페어링하여 협업할 수 있지만, 2) 액츄에이션 감지영역 밖에 존재하여 생성한 액츄에이션을 중심 기기(100-1)가 감지할 수 없는 주변 기기-2(100-22)와는 페어링하여 협업할 수 없는 것으로 상정한다.
주변 기기가 액츄에이션 감지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밖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위해, 기기들에 구비된 액츄에이터(Actuator)와 센서(Sensor)를 이용하는데, 이하에서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2.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중심 기기가 센서를 구비한 주변 기기와 페어링
이하에서는, 중심 기기(100-1)가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고, 주변 기기들(100-21, 100-22)이 센서를 구비한 상황에서의 페어링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중심 기기(100-1)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어 특정 액츄에이션을 생성할 수 있으며, 주변 기기와 페어링을 희망하는 기기이다.
주변 기기들(100-21, 100-22)은 중심 기기(100-1)의 주변에 위치하는 기기들로, 주변 기기들(100-21, 100-22) 모두 중심 기기(100-1)와 통신가능한 영역에 존재한다. 하지만, 주변 기기-1(100-21)은 중심 기기(100-1)에서 생성되는 액츄에이션을 감지할 수 있을 정도로 중심 기기(100-1)에 인접하여 있는 반면, 주변 기기-2(100-22)는 중심 기기(100-1)와 다소 이격되어 있어 중심 기기(100-1)에서 생성되는 액츄에이션을 감지할 수 없음은,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중심 기기(100-1)와 페어링 대상이 되는 주변 기기는, 중심 기기(100-1)의 액츄에이션 감지가능 영역 내에 위치한 주변 기기, 즉 중심 기기(100-1)에 인접한 주변 기기인 주변 기기-1(100-21)이다.
이하에서, 중심 기기(100-1)가 주변 기기들(100-21, 100-22) 중 주변 기기-1(100-21)과 페어링하는 과정에 대해, 도 2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주변기기와 페어링을 희망하는 중심 기기(100-1)가 '페어링 희망 메세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S205).
중심 기기(100-1)와 통신가능한 영역 내에 있는 주변 기기들(100-21, 100-22)이 S205단계에서 브로드캐스트된 페어링 희망 메세지에 대한 응답 메세지를 중심 기기(100-1)로 전송한다(S210).
그러면, 중심 기기(100-1)는 응답 메세지를 전송한 주변 기기들(100-21, 100-22)을 주변 기기 목록에 추가한다(S215). S215단계에 의해, 주변 기기 목록에는 주변 기기-1(100-21)과 주변 기기-2(100-22) 모두가 수록된다.
이후, 중심 기기(100-1)는 액츄에이터를 '턴-온' 시켜 액츄에이션을 생성한다(S220).
그리고, 중심 기기(100-1)는 주변 기기 목록에 수록된 주변 기기들(100-21, 100-22)에 '액츄에이션 감지 문의 메세지'를 전송한다(S225).
본 실시예에서 주변 기기-1(100-21)은 센서를 통해 중심 기기(100-1)에서 생성되는 액츄에이션을 감지할 수 있을 정도로 중심 기기(100-1)에 인접하여 있는 반면, 주변 기기-2(100-22)는 중심 기기(100-1)와 다소 이격되어 있어 센서를 통해 중심 기기(100-1)에서 생성되는 액츄에이션을 감지할 수 없는 것으로, 상정한 바 있다.
따라서, S225단계에서의 '액츄에이션 감지 문의 메세지'에 대한 응답으로, 주변 기기-1(100-21)은 '액츄에이션 "감지" 메세지'를 중심 기기(100-1)로 전송하지만(S230), 주변 기기-2(100-22)는 '액츄에이션 "미감지" 메세지'를 중심 기기(100-1)로 전송하게 된다(S235).
그러면, 중심 기기(100-1)는 액츄에이터를 '턴-오프' 시켜 액츄에이션을 생성을 중지한다(S240).
그리고, 중심 기기(100-1)는 '액츄에이션 "감지" 메세지'를 전송한 주변 기기-1(100-21)만을 페어링 대상 목록에 수록한다(S245). 즉, '액츄에이션 "미감지" 메세지'를 전송한 주변 기기-2(100-22)는 페어링 대상 목록에 수록에 수록되지 않는다.
이후, 중심 기기(100-1)는 페어링 대상 목록에 수록된 주변 기기와 페어링한다(S250). 주변 기기-1(100-21)은 페어링 대상 목록에 수록되어 있으므로 S250단계에서 중심 기기(100-1)와 페어링되지만, 주변 기기-2(100-22)는 페어링 대상 목록에 수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S250단계에서 중심 기기(100-1)와 페어링되지 않는다.
이후, 중심 기기(100-1)는 S250단계에서 페어링된 주변 기기-1(100-21)과 협업하여, 사용자에게 협업 서비스를 제공한다(S255).
3. 센서를 구비한 중심 기기가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주변 기기와 페어링
이하에서는, 중심 기기(100-1)가 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주변 기기들(100-21, 100-22)이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상황에서의 페어링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중심 기기(100-1)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주변에서 생성되는 액츄에이션을 감지할 수 있으며, 주변 기기와 페어링을 희망하는 기기이다.
주변 기기들(100-21, 100-22)은 중심 기기(100-1)의 주변에 위치하는 기기들로, 주변 기기들(100-21, 100-22) 모두 중심 기기(100-1)와 통신가능한 영역에 존재한다. 하지만, 1) 주변 기기-1(100-21)은 중심 기기(100-1)에 인접하여 있어, 주변 기기-1(100-21)에서 생성된 액츄에이션은 중심 기기(100-1)가 감지할 수 있지만, 2) 주변 기기-2(100-22)는 중심 기기(100-1)와 다소 이격되어 있어, 주변 기기-2(100-22)에서 생성된 액츄에이션은 중심 기기(100-1)가 감지할 수 없음은, 도 1을 참조하면서 통해 설명한 바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중심 기기(100-1)와 페어링 대상이 되는 주변 기기는, 액츄에이션 감지가능 영역 내에 위치한 주변 기기, 즉 중심 기기(100-1)에 인접한 주변 기기인 주변 기기-1(100-21)이다.
이하에서, 중심 기기(100-1)가 주변 기기들(100-21, 100-22) 중 주변 기기-1(100-21)과 페어링하는 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주변기기와 페어링을 희망하는 중심 기기(100-1)가 '페어링 희망 메세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S305).
중심 기기(100-1)와 통신가능한 영역 내에 있는 주변 기기들(100-21, 100-22)이 S305단계에서 브로드캐스트된 페어링 희망 메세지에 대한 응답 메세지를 중심 기기(100-1)로 전송한다(S310).
그러면, 중심 기기(100-1)는 응답 메세지를 전송한 주변 기기들(100-21, 100-22)을 주변 기기 목록에 추가한다(S315). S315단계에 의해, 주변 기기 목록에는 주변 기기-1(100-21)과 주변 기기-2(100-22) 모두가 수록된다.
이후, 중심 기기(100-1)는 주변 기기 목록에 수록된 주변기기들 중 주변 기기-1(100-21)에게 '액츄에이션 생성 요청 메세지'를 전송한다(S320). S320단계에 대한 응답으로, 주변 기기-1(100-21)은 소정 시간 동안 액츄에이터를 '턴-온' 시켜 액츄에이션을 생성한다(S325).
주변 기기-1(100-21)은 중심 기기(100-1)에 인접하여 있으므로, 중심 기기(100-1)는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1(100-21)에서 생성된 액츄에이션을 감지할 수 있다(S330).
다음, 중심 기기(100-1)는 주변 기기 목록에 수록된 주변기기들 중 주변 기기-2(100-22)에게 '액츄에이션 생성 요청 메세지'를 전송한다(S335). S335단계에 대한 응답으로, 주변 기기-2(100-22)는 소정 시간 동안 액츄에이터를 '턴-온' 시켜 액츄에이션을 생성한다(S340).
주변 기기-2(100-22)는 중심 기기(100-1)에서 다소 이격되어 있으므로, 중심 기기(100-1)는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2(100-22)에서 생성된 액츄에이션을 감지할 수 없다(S345).
중심 기기(100-1)는 액츄에이션을 감지한 주변 기기-1(100-21)만을 페어링 대상 목록에 수록한다(S350). 즉, 액츄에이션을 감지하지 못한 주변 기기-2(100-22)는 페어링 대상 목록에 수록에 수록되지 않는다.
이후, 중심 기기(100-1)는 페어링 대상 목록에 수록된 주변 기기와 페어링한다(S355). 주변 기기-1(100-21)은 페어링 대상 목록에 수록되어 있으므로 S355단계에서 중심 기기(100-1)와 페어링되지만, 주변 기기-2(100-22)는 페어링 대상 목록에 수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S350단계에서 중심 기기(100-1)와 페어링되지 않는다.
이후, 중심 기기(100-1)는 S355단계에서 페어링된 주변 기기-1(100-21)과 협업하여, 사용자에게 협업 서비스를 제공한다(S360).
4. 액츄에이터와 센서를 모두 구비한 중심 기기가 주변 기기와 페어링
중심 기기가 액츄에이터와 센서를 모두 구비한 경우에는, 구비된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센서만 구비하고 있는 주변 기기와 페어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와 센서를 모두 구비한 중심 기기는,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액츄에이터만 구비하고 있는 주변 기기와 페어링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5. 구체적 응용
"2.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중심 기기가 센서를 구비한 주변 기기와 페어링"에서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중심 기기를 세탁기로, 센서를 구비한 주변 기기는 휴대 전화로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휴대 전화를 실수로 세탁물에 넣은 상태로 세탁기를 동작시키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중심 기기인 세탁기는 세탁 시작 전에, 도 2에 도시된 S205단계 내지 S215단계를 수행하여, 통신가능 영역에 있는 주변 기기 목록을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되는 주변 기기 목록에는 세탁통 내에 있는 휴대 전화는 물론 집안에 존재하는 다른 휴대 전화도 수록된다.
하지만, 세탁기는 S220단계를 통해 세탁통을 회전시키는 액츄에이션을 생성하고, S225단계 내지 S245단계를 수행하여, 세탁통 회전을 감지한 휴대 전화인, 세탁물에 있는 휴대 전화만을 감지한다.
이후, 세탁기는 S250단계와 S255단계를 통해 휴대 전화의 기기 정보를 알아내고, 이를 디스플레이에 시각 정보로 표시함과 동시에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세탁통에 넣어진 세탁물에서 휴대 전화를 제거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6. 기기 구성
이하에서는, 중심 기기(100-1)와 주변 기기들(100-21, 100-22)을 기기(100)로 통칭하고, 내부 구성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기기(100)는 기능 블럭(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및 액츄에이터(150)를 구비한다.
기능 블럭(110)은 기기(100)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기기(100)가 세탁기라면 기능 블럭(110)은 세탁 기능과 관련한 동작을 수행하고, 기기(100)가 휴대 전화라면 기능 블럭(110)은 전화 통화, SMS 및 각종 멀티 미디어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20)는 주변에 위치한 다른 기기들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전술한 메세지와 정보를 주고 받는다.
저장부(140)는 기기(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 전술한 페어링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 다른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저장한다.
액츄에이터(150)는 전술한 액츄에이션을 생성하는 소자이다. 제어부(130)는 기기(100) 본연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기능 블럭(110)을 제어하고, 전술한 페어링이 수행되도록 통신부(120)와 액츄에이터(150)를 제어한다.
도 5에 도시된 기기(100)는, 기능 블럭(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및 센서(160)를 구비한다.
센서(160)가 구비되어 있고 액츄에이터(150)가 구비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도 4에 도시된 기기(100)와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사항은 동일하다.
센서(160)는 주변의 다른 기기의 액츄에이터에서 생성된 액츄에이션을 감지하는 소자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기기(100)는, 기능 블럭(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액츄에이터(150) 및 센서(160)를 구비한다. 액츄에이터(150)와 센서(160)를 모두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기기들과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사항은 동일하다.
7. 변형예
위 실시예들에서, 중심 기기는 1개이고 주변 기기는 2개인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다. 중심 기기가 2개 이상인 경우는 물론, 주변 기기가 3개 이상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기기 100-1 : 중심 기기(110)
100-21, 100-22 : 주변 기기 110 : 기능 블럭
120 : 통신부 130 : 제어부
140 : 저장부 150 : 액츄에이터
160 : 센서

Claims (8)

  1. 제1 기기가 액츄에이터를 '턴-온' 시켜 액츄에이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2 기기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상기 제1 기기의 액츄에이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기기와 상기 제2 기기가 페어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제2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기기의 액츄에이션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 기기와 상기 제2 기기는 페어링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링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제2 기기와 페어링을 희망하는 기기이고,
    상기 페이링 단계는,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전송된 액츄에이션 감지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기기로부터 액츄에이션 감지 확인이 있으면,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와 페어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링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전송된 액츄에이션 감지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기기로부터 액츄에이션 미감지 확인이 있으면,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와 페어링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링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기는,
    상기 제1 기기와 페어링을 희망하는 기기이고,
    상기 액츄에이션 생성단계는,
    상기 제2 기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기기가 액츄에이션을 생성하고,
    상기 페어링단계는,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의 액츄에이션을 감지하면,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와 페어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링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의 액츄에이션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제2 기기는 상기 제1 기기와 페어링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링 방법.
  7. 액츄에이터를 '턴-온' 시켜 액츄에이션을 생성하는 제1 기기; 및
    센서를 이용하여 액츄에이션을 감지하는 제2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기의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제1 기기의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액츄에이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기기와 상기 제2 기기가 페어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의 액츄에이션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제1 기기와 상기 제2 기기는 페어링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시스템.
KR1020100127363A 2010-12-14 2010-12-14 액츄에이션 감지에 기반한 페어링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시스템 KR101205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363A KR101205734B1 (ko) 2010-12-14 2010-12-14 액츄에이션 감지에 기반한 페어링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363A KR101205734B1 (ko) 2010-12-14 2010-12-14 액츄에이션 감지에 기반한 페어링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155A KR20120066155A (ko) 2012-06-22
KR101205734B1 true KR101205734B1 (ko) 2012-11-28

Family

ID=4668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363A KR101205734B1 (ko) 2010-12-14 2010-12-14 액츄에이션 감지에 기반한 페어링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7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155A (ko) 201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7669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EP2738706B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screen lock
EP2863705B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operating a device as an access point
EP3397018B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987397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2427328B1 (ko) 사물 인터넷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AU2016422505B2 (en) Data sharing method and terminal
JP2015228663A (ja) コンテキストアウェアネス近接度ベースの、ワイヤレス通信接続の確立
JP5934104B2 (ja) 時間範囲を用いた位置情報提供方法
KR20140146954A (ko)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WO2018049886A1 (zh) 建立热点的方法及终端设备
US20190384241A1 (en) Electronic Apparatus Activation Contro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ctivation Control System, Electronic Apparatus Activ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7911818B (zh) 移动终端间数据传输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JP2018191297A (ja) ホーム画面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
KR20190116203A (ko) 화면잠금을 제어하는 방법 및 휴대 단말
CN201172748Y (zh) 具有蓝牙通信功能的洗衣机
CN104135776A (zh) 一种跨终端建立连接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101205734B1 (ko) 액츄에이션 감지에 기반한 페어링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시스템
WO2015051742A1 (zh) 一种设备之间自动实现无线连接的方法及设备
KR20150002215A (ko)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
EP2939088A1 (en) Responding to user input gestures
US996560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unlocking of portable terminal
KR20110110565A (ko) 단말 장치간 페어링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WO2016169151A1 (zh) 一种终端之间的连接方法及装置、存储介质
EP3542599B1 (en) Commissioning of one or more installed devices of a ligh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