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489B1 -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의료정보 표준화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의료정보 표준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489B1
KR101205489B1 KR1020110048390A KR20110048390A KR101205489B1 KR 101205489 B1 KR101205489 B1 KR 101205489B1 KR 1020110048390 A KR1020110048390 A KR 1020110048390A KR 20110048390 A KR20110048390 A KR 20110048390A KR 101205489 B1 KR101205489 B1 KR 101205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biosignal
medic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진우
박상현
장호종
윤영규
강현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48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의료정보 표준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은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의료장비로부터 생체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생체신호 저장부; 상기 생체신호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디코딩하는 생체신호 분석부; 상기 생체신호 분석부가 디코딩한 데이터를 국제 표준형식에 맞게 변환하는 표준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디코딩된 생체신호 정보가 국제 표준형식에 맞게 변환되도록 상기 표준데이터 변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그로 인해 프로토콜이 다른 의료장비로부터 출력되는 생체신호를 통합 및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체신호 분석부가 의료장비로부터 수신한 생체신호 정보를 디코딩하며, 표준데이터 변환부가 디코딩한 데이터를 국제 표준형식에 맞게 변환함으로써, 프로토콜이 상이한 의료장비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종류가 다른 의료장비를 사용할 때에도 데이터의 호환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아울러, 환자의 생체신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환자정보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의료정보 표준화 방법{THE SYSTEM FOR STANDARDIZING MEDICAL INFORMA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의료정보 표준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심전도, 뇌파 및 혈압 등의 생체신호 정보를 측정하는 의료장비는 현재 각 제조사마다 고유한 프로토콜로 구성됨에 따라, 출력되는 정보의 형식이 상이하며 장비간 호환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장비마다 고유한 프로토콜로 생체신호 정보를 인코딩하고 전송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생체 신호 정보를 하나로 종합하여 관리하기가 어려웠다.
예를 들어, A사의 뇌파 측정장비가 뇌파 측정용 데이터를 해석하고 처리하는 프로토콜과 B사의 심전도 측정장비가 심전도 측정용 데이터를 해석하고 처리하는데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는 A사의 데이터와 B사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없었고, 각 프로토콜별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관리해야만 했다.
즉, 종래에는 종류가 다른 의료장비간의 유기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비용적인 문제가 야기되었고, 이를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해 인력과 시간이 필요 이상으로 요구된다는 단점이 존재했다.
따라서, 프로토콜이 상이한 각 의료장비를 통해 출력되는 생체신호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하여 처리할 수 있고 공유 및 관리할 수 있는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토콜이 다른 의료장비로부터 출력되는 생체신호를 통합 및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은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의료장비로부터 생체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생체신호 저장부; 상기 생체신호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디코딩하는 생체신호 분석부; 상기 생체신호 분석부가 디코딩한 데이터를 국제 표준형식에 맞게 변환하는 표준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디코딩된 생체신호 정보가 국제 표준형식에 맞게 변환되도록 상기 표준데이터 변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은 상기 생체신호 분석부가 디코딩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은 상기 생체신호 분석부는 생체신호 정보의 종류에 따른 디코딩 정보가 저장된 디코딩 데이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신호 분석부가 상기 디코딩 데이터부에 저장된 상기 디코딩 정보에 따라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분류하고 분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은 상기 디코딩 데이터부에 저장된 상기 디코딩 정보의 구성을 임의로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디코딩 데이터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은 상기 표준데이터 변환부에서 변환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 의료정보 표준화 방법은 수신부가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의료장비로부터 생체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생체신호 정보 수신 단계; 생체신호 분석부가 수신된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디코딩하는 생체신호 분석 단계; 및 표준데이터 변환부가 상기 생체신호 분석 단계에서 디코딩된 데이터를 국제 표준형식에 맞게 변환하는 표준데이터 변환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료정보 표준화 방법은 생체신호 저장부가 상기 생체신호 정보 수신 단계에서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생체신호 저장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신호 분석 단계에서 상기 생체신호 분석부는 생체신호 정보의 종류에 따른 디코딩 정보가 저장된 디코딩 데이터부를 통해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료정보 표준화 방법은 디코딩 데이터 입력부가 상기 디코딩 데이터부에 저장된 상기 디코딩 정보의 구성을 임의로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디코팅 데이터 입력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료정보 표준화 방법은 데이터베이스부가 상기 표준데이터 변환 단계에서 변환된 정보를 저장하는 표준데이터 저장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료정보 표준화 방법은 전송부가 상기 표준데이터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표준데이터 전송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생체신호 분석부가 의료장비로부터 수신한 생체신호 정보를 디코딩하며, 표준데이터 변환부가 디코딩한 데이터를 국제 표준형식에 맞게 변환함으로써, 프로토콜이 상이한 의료장비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종류가 다른 의료장비를 사용할 때에도 데이터의 호환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아울러, 환자의 생체신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환자정보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구성에 대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10)은 수신부(100), 생체신호 저장부(200), 생체신호 분석부(300), 표준데이터 변환부(400), 제어부(500), 데이터베이스부(600) 및 전송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대하여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수신부(100)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의료장비로부터 생체신호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측정되는 생체신호의 종류로는 심전도, 뇌파, 혈압 및 마취심도 등의 다양한 파형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00)는 생체신호 측정 장비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따라 USB 등의 유선통신 접속장치 또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통신 접속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생체신호 저장부(200)는 수신부(100)가 수신한 생체신호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저장매체이다.
생체신호 분석부(300)는 생체신호 저장부(200)에 저장된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디코딩하며, 디코딩이 완료된 데이터를 표준데이터 변환부(400)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즉, 생체신호 분석부(300)는 생체신호 저장부(200)가 생체신호를 저장함과 동시에, 저장된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디코딩할 수 있으므로, 생체신호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생체신호 분석부(300)는 데이터 저장부(310), 디코딩 데이터부(320) 및 디코딩 데이터 입력부(330)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저장부(310)는 생체신호 분석부(300)가 디코딩한 생체신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한다.
디코딩 데이터부(320)는 생체신호 정보의 종류에 따른 디코딩 정보가 저장된 저장매체이다. 통상적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의료장비의 제조사마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프로토콜이 상이하기 때문에, 프로토콜이 다른 생체신호 정보를 한 시스템에서 일괄적으로 분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러나, 디코딩 데이터부(320)에는 종류가 다른 다수의 프로토콜이 저장될 수 있으므로 다른 의료장비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받는 경우가 발생할지라도, 생체신호의 종류에 따른 디코딩이 가능하다.
디코딩 데이터 입력부(330)는 디코딩 데이터부(320)에 저장된 디코딩 정보의 구성을 임의로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뇌파 측정 의료장비를 사용해왔던 사용자가 추가적인 목적으로 심전도 측정 의료장비를 사용할 경우, 디코딩 데이터 입력부(330)를 통해 심전도 측정 의료장비의 프로토콜과 관련된 디코딩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표준데이터 변환부(400)는 디코딩한 데이터를 국제 표준형식인 의료분야 파형형식 코딩 규칙(Medical Waveform Format Encoding Rules, MFER)에 맞게 변환한다. 즉, 표준데이터 변환부(400)는 생체신호 분석부(300)가 디코딩한 데이터를 의료분야 파형형식 코딩 규칙에 규정된 사항에 따라 규격화하여 변경한다.
제어부(500)는 생체신호 분석부(300) 및 표준데이터 변환부(400)를 제어하여 생체신호 분석부(300)에 의해 디코딩된 생체신호 정보가 표준데이터 변환부(400)에 의해 국제 표준형식으로 변환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의료분야 파형형식 코딩 규칙은 다른 형태의 파형정보보다 파형정보의 구조가 간결하고 확장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뇌파, 심전도, 혈압 및 맥파 등의 다양한 의료 파형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의료분야 파형형식 코딩 규칙은 의료 영상표준(DICOM; Digital imaging communication in medicine) 및 텍스트 기반 의료정보 표준(HL7; Health level seven)과도 호환이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데이터베이스부(600)는 표준데이터 변환부(400)에서 변환된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부(600)에 저장된 의료정보는 전송부(700)에 의해 외부의 단말기 또는 서버 등으로 전송이 가능하다. 즉, 전송부(700)는 표준데이터 변환부(400)에서 변환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거나 의료진이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기 등의 통신기기로 일정 시간 단위로 전송함으로써 환자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한편, 표준데이터 변환부(400)에서 변환된 정보는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10)의 외부에 구비된 서버 또는 단말기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어 환자정보의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외부의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부(600)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외부 인터넷 등의 통신망과 연결되도록 통신망의 계층간 연결을 설정하는 라우터 등이 연결된 통상의 컴퓨터 서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법에 대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표준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1에 도시된 블록도 및 도2에 도시된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생체신호 정보 수신 단계<S201>
본 단계에서는 수신부(100)가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의료장비로부터 생체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예를 들어, 의료장비에 의해 측정된 환자의 심전도, 뇌파 및 혈압 등과 관련된 파형정보는 의료장비 내에 구비된 전송장치를 통해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10)의 수신부(100)로 송신되며, 수신부(100)는 송신된 생체신호 정보를 수신한다.
2. 생체신호 저장 단계<S202>
단계 S201에서 의료장비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 정보는 생체신호 저장부(200)에 저장된다. 한편, 저장이 완료된 생체신호 정보는 생체신호 분석부(300)의 요청에 따라, 생체신호 분석부(300)로 전송되어 디코딩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3. 디코딩 데이터 입력 판단 단계<S203>
본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디코딩 데이터부(320)에 저장된 정보 외의 디코딩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입력하거나 디코딩 데이터부(320)에 기저장된 정보를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메시지를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10) 상에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출력한다.
4. 디코딩 데이터 입력 단계<S204>
단계 S203에서 출력된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는 디코딩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디코딩 데이터부(320)에 기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던 의료장비 이외의 의료기기를 사용할 경우, 디코딩 데이터부(320)에는 상기 의료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생체신호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디코딩 데이터가 준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본 단계에서 사용자는 추가적인 디코딩 데이터를 디코딩 데이터부(320)에 입력할 수 있다.
5. 생체신호 분석 단계<S205>
본 단계에서는 생체신호 분석부(300)가 생체신호 저장부(200)에 저장된 생체신호 정보를 디코딩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디코딩 데이터부(320)에는 생체신호 정보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디코딩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생체신호 분석부(300)는 디코딩 데이터부(320)에 저장된 디코딩 정보를 로딩시켜 생체신호 정보를 분석한다.
한편, 단계 S204에서 디코딩 데이터부(320)에 신규한 디코딩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생체신호 분석부(300)는 추가된 디코딩 데이터를 반영하여 생체신호 정보를 분석한다.
아울러, 생체신호 분석부저장과 동시에 분석이 이루어지므로, 거의 실시간으로 진행된다.
저장하는 동시에 분석이 이루어지므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6. 표준데이터 변환 단계<S206>
본 단계에서는 단계 S205에서 디코딩이 완료된 데이터를 국제 표준형식인 의료분야 파형형식 코딩 규칙에 맞게 변환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즉, 표준데이터 변환부(400)는 생체신호 분석부(300)가 디코딩한 데이터를 의료분야 파형형식 코딩 규칙에 규정된 사항에 따라 규격화한다.
예를 들어, 표준데이터 변환부(400)는 단계 S205에서 디코딩된 데이터를 샘플링한다. 그 후, 표준데이터 변환부(400)는 샘플링을 통해 얻어진 이진수를 파형의 속성 값인 헤더(Header) 및 파형정보(Waveform)의 형태로 변환하며, 이때 변환된 헤더 및 파형정보는 다시 태그(Tag), 길이(Data length) 및 값(Value)의 구조로 부호화된다.
7. 표준데이터 저장 단계<S207>
단계 S206에서 변환된 TLV(Tag, Length, Value) 구조는 데이터베이스부(600)로 이동되어 저장된다. 한편, 본 단계에서 저장된 TLV 구조는 의료분야 파형형식 코딩 규칙이 내장된 정보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소정의 파형정보로 다시 변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변환된 파형정보를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8. 표준데이터 전송 단계<S208>
본 단계에서는 전송부(700)가 단계 S207에서 저장된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때, 외부의 단말기 또는 서버는 전송부(700)에 의해 실시간으로 표준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진행되므로, 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또한, 전송부(700)로부터 수신된 표준데이터는 서버 또는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으므로 환자정보 관리의 측면에서 유익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
100 : 수신부
200 : 생체신호 저장부
300 : 생체신호 분석부
310 : 데이터 저장부
320 : 디코딩 데이터부
330 : 디코딩 데이터 입력부
400 : 표준데이터 변환부
500 : 제어부
600 : 데이터베이스부
700 : 전송부

Claims (5)

  1.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의료장비로부터 생체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생체신호 저장부;
    상기 생체신호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디코딩하는 생체신호 분석부;
    상기 생체신호 분석부가 디코딩한 데이터를 국제 표준형식인 의료분야 파형형식 코딩 규칙(Medical Waveform Format Encoding Rules, MFER)에 따라 규격화하여 변환하는 표준데이터 변환부;
    상기 디코딩된 생체신호 정보가 상기 의료분야 파형형식 코딩 규칙에 따라 변환되도록 상기 표준데이터 변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의료분야 파형형식 코딩 규칙이 내장된 정보처리부; 를 포함하되,
    상기 생체신호 분석부는
    생체신호 정보의 종류에 따른 디코딩 정보가 저장된 디코딩 데이터부; 및
    상기 디코딩 데이터부에 저장된 상기 디코딩 정보의 구성을 임의로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디코딩 데이터 입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신호 분석부가 상기 디코딩 데이터부에 저장된 상기 디코딩 정보에 따라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분류하고 분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데이터 변환부에서 변환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
  5. 수신부가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의료장비로부터 생체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생체신호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생체신호 정보의 종류에 따른 디코딩 정보가 저장된 디코딩 데이터부에 저장된 정보 외의 디코딩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입력하거나 기저장된 정보를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디코딩 데이터 입력 판단 단계;
    상기 디코딩 데이터부에 추가적인 디코딩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상기 디코딩 데이터부에 기저장된 정보가 삭제되는 디코딩 데이터 입력 단계;
    생체신호 분석부가 수신된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디코딩하는 생체신호 분석 단계; 및
    표준데이터 변환부가 상기 생체신호 분석 단계에서 디코딩된 데이터를 국제 표준형식인 의료분야 파형형식 코딩 규칙(Medical Waveform Format Encoding Rules, MFER)에 따라 규격화하여 변환하는 표준데이터 변환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표준화 방법.
KR1020110048390A 2011-05-23 2011-05-23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의료정보 표준화 방법 KR101205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390A KR101205489B1 (ko) 2011-05-23 2011-05-23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의료정보 표준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390A KR101205489B1 (ko) 2011-05-23 2011-05-23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의료정보 표준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489B1 true KR101205489B1 (ko) 2012-11-27

Family

ID=47565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390A KR101205489B1 (ko) 2011-05-23 2011-05-23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의료정보 표준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4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9016A (ko) 2021-04-07 2022-10-14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다양한 형식의 심전도 데이터 이용가능한 딥러닝기반 예측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9016A (ko) 2021-04-07 2022-10-14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다양한 형식의 심전도 데이터 이용가능한 딥러닝기반 예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07196B2 (en) Dynamic medical object information base
RU2009114727A (ru) Мониторинг и сигнализация на основе интернет-протокола
CN103345832A (zh) 居民健康数据管理及共享平台系统
Trigo et al. Interoperability in digital electrocardiography: harmonization of ISO/IEEE x73-PHD and SCP-ECG
Jara et al. Communication protocol for enabling continuous monitoring of elderly people through near field communications
US7996186B2 (en) Measurement data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acquiring device, and system
KR101205489B1 (ko) 의료정보 표준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의료정보 표준화 방법
Sternly et al. A ubiquitous personal health record (uPHR) framework
Sagahyroo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arable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Sokullu et al. Wireless patient monitoring system
KR20120138313A (ko) 응급상황 알림방법 및 이를 이용한 u-헬스 장치
Deb et al. SkopEdge: A traffic-aware edge-based remote auscultation monitor
CN104873171A (zh) 一种医疗系统及医疗信息传输方法
CN103099608B (zh) 基于3g无线网络的远程家庭健康信息采集方法
KR20140019519A (ko) 근거리 무선개인통신망을 활용한 원격진단 보조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Led et al. Wearable electrocardiogram (ECG) recorder for a Mobile Point-of-Care based on recent interoperability standards
CN210575124U (zh) 一种多床位集中看护系统
KR101747859B1 (ko) 생체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060102997A (ko) 실시간 심전도 측정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N207883322U (zh) 一种手术用血管理系统
CN109700454B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290588B1 (ko) 비표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헬스기기의 신호를 표준 프로토콜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그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그리고 유비쿼터스 헬스 시스템
CN201867817U (zh) 健康管理辅助设备
KR101283659B1 (ko) 생체신호 부호화 변환장치
KR101129450B1 (ko) 중계 기기 및 그를 이용한 측정 데이터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