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409B1 - Customer Equity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Customer Equity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409B1
KR101205409B1 KR1020110017733A KR20110017733A KR101205409B1 KR 101205409 B1 KR101205409 B1 KR 101205409B1 KR 1020110017733 A KR1020110017733 A KR 1020110017733A KR 20110017733 A KR20110017733 A KR 20110017733A KR 101205409 B1 KR101205409 B1 KR 101205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brand
asset
purch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7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은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7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4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4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 customer asset measurement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consider relations between customers by measuring customer assets and a CLV(Customer Lifetime Value) through customer evaluation information for a customer asset driver. CONSTITUTION: A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input unit(200) inputs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A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calculating unit(500) calculates a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for purchasing a brand by using a customer asset evaluation score. A CLV calculating unit(600) calculates a CLV by using the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a company sales information, and the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Reference numerals] (200)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input unit; (300) Customer asset evaluation score input unit; (400) Company selling information input unit; (500)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calculating unit; (510) Effective value calculating unit; (520) Selection probability calculating unit; (530) Transition matrix calculating unit; (600) Customer lifetime value calculating unit; (700) Customer asset calculating unit

Description

고객자산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Customer Equity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Customer Equity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고객자산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소셜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고객자산 드라이버에 대한 고객평가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자산을 측정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tomer asset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customer assets using customer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customer asset driver including a social network driver.

지속가능하고 효율적인 브랜드 성장을 PROFITABLE PRODUCT MANAGEMENT관점에서 볼 때 전체매출에서 미미한 부분을 차지하는 구색맞춤 상품들은 제거해야 할 대상으로만 인식되었다. 반면 CUSTOMER EQUITY MANAGEMENT 측면에서는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부분이 적을 지라도 제품을 찾는 고객이 있다면 주의 깊게 관리해야 할 대상이다. Rust et al.(2004)의 고객자산 드라이버 시스템은 이러한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특정 고객이 구매 브랜드를 선택할 확률을 효용이론을 활용하여 추정하였다. 이 개별 브랜드 구매확률을 전이행렬로 변환하여 특정 브랜드의 미래 현금흐름 가치를 추정하는데 확률변수로 계산하였다. In terms of PROFITABLE PRODUCT MANAGEMENT, sustainable assorted brand growth was recognized as an object to be eliminated.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cus- tomer equity management, even if a small portion of the total sales is found, it is an object to be carefully managed if there are customers looking for products. Based on this paradigm, Rust et al. (2004) 's customer asset driver system estimates the probability that a particular customer chooses a purchasing brand using utility theory. Probability variables are used to estimate the future cash flows of a specific brand by converting the probability of purchasing the individual brand into a transition matrix.

이 이론에는 효용이론, 마르코프체인 모델, 순현재가치 모델 등이 적용되었는데, 궁극적으로 개별 브랜드의 미래현금흐름가치를 계산하고, 이 가치에 미치는 드라이버(가치, 브랜드, 관계 자산)의 영향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경쟁브랜드간의 비교와 관리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In this theory, utility theory, Markov chain model, and net present value model are applied. Ultimately, the future cash flow value of individual brands is calculated, and the influence of drivers (value, brand, related assets) on the value is analyzed. This provides a comparison between competitive brands and administrative implications.

Rust의 모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고객자산 드라이버들로 고객들이 기업이 제공하는 가치 자산, 브랜드 자산, 관계 자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치자산은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객관적인 평가를 반영하고, 브랜드 자산은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주관적인 견해를 반영하며, 관계자산은 기업과 소비자들 간에서 발생하는 관계의 강도를 소비자의 시각에서 평가한 자산가치이다. 이 모델은 2000년 Driving customer equity라는 저서를 통해 먼저 발표 되었으며, 2004년 Journal of marketing에 Return on marketing의 제목으로 발표되었다. 이러한 소비자 시각의 가치들을 효용이론에 대입하여 소비자들은 주요 경쟁브랜드 각각에 대한 드라이버를 평가하게 되며 이를 효용모델에 대입하여 각 브랜드의 효용가치, 즉 구매가능성을 나타내게 된다. The most important part of Rust's model is customer asset drivers, which consist of value assets, brand assets, and relationship assets that customers provide. Value assets reflect consumers 'objective evaluation of the products or services provided by a company, brand assets reflect consumers' subjective views on the products or services provided by a company, and related assets arise between companies and consumers. It is the value of an asset that is assessed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This model was first published in 2000 in the book Driving Customer Equity, and was published in 2004 in the Journal of Marketing under the title Return on marketing. By substituting these values into the utility theory, consumers evaluate the drivers for each of the major competitive brands, and they substitute the utility model to represent the utility value of each brand.

효용이론은 경제 및 경영 전 분야에 걸쳐 널리 사용되는 이론으로 개인의 주관적 견해를 확률적으로 계산해내는 방식으로 Rust는 소비자의 주관적 견해를 확률적인 수치로 나타내기 위해 효용모델을 활용하였다. Utility theory is a theory widely used in all areas of economics and management. It uses the utility model to represent consumer's subjective views in stochastic numbers.

종래연구에서 도입한 세 개의 드라이버, 즉, 가치, 브랜드, 관계 자산은 비록 소비자의 관점에서 측정했다고 할 수 있으나, 드라이버의 본질적인 문제는 기업들로부터 시작하고 있다. 각각의 드라이버들이 고객에 의한 평가로 점수가 매겨지지만, 드라이버에 대한 평가는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의해 직접적으로 개선이 가능한 부분들로만 구성되어있다. 예를 들어 기업의 가치자산에 대한 평가는 제품 또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항목으로 소비자들에게 질문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항목의 점수는 기업의 제품 또는 서비스 품질 노력 여하에 따라 직접적인 반응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브랜드 자산, 관계 자산 역시 이와 같은 성질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Rust의 모델은 고객자산의 개념을 브랜드 관점에서 관리할 수 있는 영역으로 제한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객자산 모델은 기업에서 측정과 통제가 가능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가능하지만 소비자들간 또는 소비자와 기업간에서 일어나는 내재적인 요인들을 설명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다. 예를 들어 사회적 상호작용이 소비자의 브랜드 선택에 미치는 영향은 이 모델에서는 설명하지를 못한다.  Although the three drivers introduced in the previous studies, value, brand, and related assets, can be measured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the intrinsic problem of drivers begins with companies. Each driver is scored by a customer evaluation, but the driver evaluation consists of only those parts that can be directly improved by the company's marketing activities. For example, an assessment of a company's value assets is a question about the quality of the product or service, and the score of this item can be a direct response, depending on the company's product or service quality efforts. Similarly, brand assets and related assets are made up of questions of this nature. In other words, Rust's model restricts the concept of customer assets to areas that can be managed from a brand perspective. The customer asset model can explain the measurable and controllable parts of a firm, but it is rather insufficient to explain the intrinsic factors that occur between consumers or between consumers and firms. For example, the impact of social interaction on consumer brand choice is beyond the scope of this model.

더욱이 소비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수단들이 점점 더 다양해짐에 따라 소비자들은 브랜드를 선택함에 있어 기존의 드라이버 외에도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In addition, as communication methods available to consumers become more diverse, consumers have a problem in selecting a brand that i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drivers.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으로부터 제공받은 소셜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고객자산 드라이버에 대한 고객평가정보를 이용하여 고객평생가치와 고객자산을 측정함으로써, 기업과 고객 사이의 관계 뿐만 아니라 고객들 간의 관계를 고려하는 고객 지향적인 고객자산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the customer lifetime value and customer assets by using the customer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customer asset driver including the social network driver provided from the customer, To provide a customer-oriented customer asset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that consider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stomer and the customer bu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stomer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구매 브랜드, 평균 구매 금액, 구매 빈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구매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고객구매정보 입력부; 가치 자산 드라이버, 브랜드 자산 드라이버, 관계 자산 드라이버, 소셜 네트워크 드라이버로 구성되는 고객자산 드라이버에 대한 고객평가점수를 입력받기 위한 고객자산 드라이버 평가점수 입력부; 할인율, 전체 고객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기업판매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기업판매정보 입력부; 상기 고객자산 드라이버 평가점수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자산 드라이버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브랜드를 구매할 확률행렬원소를 산출하기 위한 구매확률행렬원소 산출부; 상기 고객구매정보, 상기 기업판매정보 및 상기 구매확률행렬원소를 이용하여 고객평생가치를 산출하는 고객평생가치 산출부; 및 상기 고객평생가치를 전체 고객의 수를 곱하여 고객자산을 산출하는 고객자산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자산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purchase brand, average purchase price, purchase frequency; A customer asset driver evaluation score input unit for receiving a customer evaluation score for the customer asset driver including a value asset driver, a brand asset driver, a relationship asset driver, and a social network driver; A corporate sales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corporate sale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discount rate and total number of customers; A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probability matrix element for purchasing a brand using the customer asset driver evaluation score received from the customer asset driver evaluation score input module; A customer lifetime value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customer lifetime value using the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the company sales information, and the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And a customer asset calculating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 customer asset by multiplying the customer lifetime value by the total number of customers.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드라이버는 구전 요소와 브랜드-자아 일치성 요소를 포함한다. Advantageously, said social network driver comprises a word of mouth element and a brand-ego identity elem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전 요소는 브랜드를 사용한 이후에 대한 평가로서의 구전의도와 고객의 구매시 타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구전 효과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브랜드-자아 일치성 요소는 인지적 일치성, 감정적 일치성, 평가적 일치성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word of mouth element includes word of mouth intention as an evaluation of after using the brand and a word of mouth effect item that is influenced by others in the purchase of the customer, and the brand-self-identity element includes cognitive consistency, emotional consistency And evaluative consistency.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객평생가치 산출부는 아래의 식에 의해서 개별 고객(i)과 브랜드(j)에 대한 고객평생가치(Customer Lifetime Value: CLVij)를 산출한다.Preferably, the customer lifetime valu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a Customer Lifetime Value (CLV ij ) for individual customers (i) and brands (j) by the following equation.

<식><Expression>

Figure 112011014371945-pat00001
Figure 112011014371945-pat00001

여기서, Tij는 고객 i가 특정 기간동안 구매한 횟수, dj는 브랜드 j의 할인율, fi는 일정 기간동안 고객 i의 평균 구매 횟수(예: 년간 단위), Vijt는 고객 i가 t시점에서 동안 j브랜드를 구매할 수량, πijt는 고객 i의 t시점에서 j브랜드 구매단위당 기대이익, Bijt는 t시점에 고객 i의 브랜드 j 구매확률행렬원소, t/fi는 구매 시점에 따라 할인되는 것을 의미한다.Where T ij is the number of purchases made by the customer i during a specific period, d j is the discount rate of the brand j, f i is the average number of purchases of the customer i over a period of time (for example, in years), and V ijt is the time at which the customer i Π ijt is the expected profit per j brand purchase unit at time t of customer i, B ijt is the brand j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of customer i at time t, and t / fi is discounted according to the time of purchase. Means that.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객자산 산출부는 브랜드 전체 고객에 대한 고객평생가치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고객자산을 산출한다.Preferably, the customer asset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customer asset using the average value of the customer lifetime value for all customers of the brand.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매확률행렬원소 산출부는 고객자산 드라이버 평가점수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자산 드라이버 평가점수를 효용 모델에 적용하여 드라이버에 따른 고객의 각 브랜드에 대한 효용가치를 산출하는 효용가치 산출부; 상기 효용가치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고객의 각 브랜드에 대한 효용가치를 전체 브랜드의 효용가치와 비교하여 각 브랜드에 대한 선택확률을 산출하는 선택확률 산출부; 및 상기 선택확률 산출부에서 산출된 각 브랜드에 대한 선택확률에 마르코프 체인 모델을 적용하여 고객의 각 브랜드 이동 형태에 관한 전이행렬을 산출하는 전이행렬 산출부를 포함한다.Advantageously, the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calculating unit calculates the utility value for each brand of the customer according to the driver by applying the customer asset driver evaluation score received from the customer asset driver evaluation score input module to the utility model. ; A selection probability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selection probability for each brand by comparing the utility value of each brand of the customer calculated by the utility value calculation unit with the utility value of all brands; And a transition matrix calculation unit configured to apply a Markov chain model to a selection probability for each brand calculated by the selection probability calculation unit to calculate a transition matrix for each type of brand movement of the customer.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매확률행렬원소 산출부는 상기 가치 자산 드라이버, 브랜드 자산 드라이버, 관계 자산 드라이버, 소셜 네트워크 드라이버의 상대적 영향력을 결정하는 주성분 계수를 산출하는 주성분 분석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calculation unit further comprises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nit for calculating a principal component coefficient for deter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value asset driver, brand asset driver, relationship asset driver, social network driver.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고객자산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고객자산 측정 방법에 있어서, 구매 브랜드, 평균 구매 금액, 구매 빈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구매정보를 입력받는 고객구매정보 입력단계; 가치 자산부, 브랜드 자산부, 관계 자산부, 소셜 네트워크부로 구성되는 고객 자산부에 대한 고객평가점수를 입력받는 고객자산 평가점수 입력단계; 할인율, 전체 고객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기업판매정보를 입력받는 기업판매정보 입력단계; 상기 고객자산 평가점수를 입력받는 단계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자산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브랜드를 구매할 확률행렬원소를 산출하는 구매확률행렬원소 산출단계; 상기 고객구매정보, 상기 기업판매정보 및 상기 구매확률을 이용하여 고객평생가치를 산출하는 고객평생가치 산출단계; 및 상기 고객평생가치를 전체 고객의 수를 곱하여 고객자산을 산출하는 고객자산 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자산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ustomer asset measurement method using a customer asset measurement system, comprising: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input step of receiving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purchase brand, an average purchase amount, and a purchase frequency; A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input step of receiving a customer valuation score for the customer asset unit including a value asset unit, a brand asset unit, a relationship asset unit, and a social network unit; A corporate sales information input step of receiving corporate sale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count rate and the total number of customers; A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probability matrix element for purchasing a brand using the received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from the step of receiving the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Calculating a customer lifetime value using the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the company sales information, and the purchase probability; And a customer asset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customer asset by multiplying the customer lifetime value by the total number of customers.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부는 구전 요소와 브랜드-자아 일치성 요소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social network portion includes a word of mouth element and a brand-ego identity elem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전 요소는 브랜드를 사용한 이후에 대한 평가로서의 구전의도와 고객의 구매시 타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구전 효과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브랜드-자아 일치성 요소는 인지적 일치성, 감정적 일치성, 평가적 일치성을 포함한다. Preferably, the word of mouth element includes word of mouth intention as an evaluation of after using the brand and a word of mouth effect item that is influenced by others in the purchase of the customer, and the brand-self-identity element includes cognitive consistency, emotional consistency And evaluative consistency.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객평생가치 산출단계는 아래의 식에 의해서 개별 고객(i)과 브랜드(j)에 대한 고객평생가치(Customer Lifetime Value: CLVij)를 산출한다.Preferably, the step of calculating the customer lifetime value calculates a Customer Lifetime Value (CLV ij ) for each customer (i) and the brand (j) by the following equation.

<식> <Expression>

Figure 112011014371945-pat00002
Figure 112011014371945-pat00002

여기서, Tij는 고객 i가 특정 기간동안 구매한 횟수, dj는 브랜드 j의 할인율, fi는 일정 기간동안 고객 i의 평균 구매 횟수(예: 년간 단위), Vijt는 고객 i가 t시점에서 동안 j브랜드를 구매할 수량, πijt는 고객 i의 t시점에서 j브랜드 구매단위당 기대이익, Bijt는 t시점에 고객 i의 브랜드 j 구매확률행렬원소, t/fi는 구매 시점에 따라 할인되는 것을 의미한다.Where T ij is the number of purchases made by the customer i during a specific period, d j is the discount rate of the brand j, f i is the average number of purchases of the customer i over a period of time (for example, in years), and V ijt is the time at which the customer i Π ijt is the expected profit per j brand purchase unit at time t of customer i, B ijt is the brand j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of customer i at time t, and t / fi is discounted according to the time of purchase. Means that.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객자산 산출단계에서는 브랜드 전체 고객에 대한 고객평생가치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고객자산을 산출한다.Preferably, in the customer asset calculation step, the customer asset is calculated using an average value of the customer lifetime values for all the customers of the brand.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매확률행렬원소 산출단계는 고객자산 평가점수를 입력받는 단계에서 입력받은 고객자산 평가점수를 효용 모델에 적용하여 드라이버에 따른 고객의 각 브랜드에 대한 효용가치를 산출하는 효용가치 산출단계; 상기 효용가치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고객의 각 브랜드에 대한 효용가치를 전체 브랜드의 효용가치와 비교하여 각 브랜드에 대한 선택 확률을 산출하는 선택확률 산출단계; 및 상기 선택확률 산출부에서 산출된 각 브랜드에 대한 선택 확률에 마르코프 체인 모델을 적용하여 고객의 각 브랜드 이동 형태에 관한 전이행렬을 산출하는 전이행렬 산출단계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calculating step calculates the utility value for calculating the utility value for each brand of the customer according to the driver by applying the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received in the step of receiving the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to the utility model step; A selection probability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selection probability for each brand by comparing the utility value of each brand of the customer calculated in the utility value calculation step with the utility value of all brands; And a transition matrix calculating step of applying a Markov chain model to a selection probability for each brand calculated by the selection probability calculator to calculate a transition matrix for each type of brand movement of the customer.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매확률행렬원소 산출단계는 상기 가치 자산부, 브랜드 자산부, 관계 자산부, 소셜 네트워크부의 상대적 영향력을 결정하는 주성분 계수를 산출하는 주성분 분석단계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purchasing probability matrix element calculating step further includes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tep of calculating a principal component coefficient for determining a relative influence of the value asset, brand asset, relationship asset, social network portion.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전술한 고객자산 측정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capable of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measuring customer assets by a computer.

전술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고객자산 측정 시스템 및 고객자산 측정 방법은 종래의 고객자산 드라이버 모델의 한계점인 기업 지향적인 브랜드-소비자 관계 구조를 보완하고, 기업 또는 브랜드보다는 고객 지향적인 요인들을 적용함으로써, 다변적인 고객-브랜드 관계를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고객자산 모델로 측정할 수 있다. 즉, 브랜드 지향적인 관점의 자산가치가 설명하지 못하는 고객지향적인 요인 추가함으로써 가변적인 시장구조에 대한 설명력을 높일 수 있다. 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ustomer asset measuring system and the customer asset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lement the enterprise-oriented brand-consumer relationship structure, which is a limitation of the conventional customer asset driver model, and apply customer-oriented factors rather than companies or brands. By doing so, the multilateral customer-brand relationship can be measured by a realistic and realistic customer asset model.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 market structure by adding customer-oriented factors that the asset value of the brand-oriented view cannot explai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객자산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고객자산을 마케팅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종래의 전사적 자원관리 또는 고객관계관리와 같은 관리 위주의 마케팅 시스템에서 벗어나 기업에게 새로운 고객을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을 찾는데 필요한 전략적 도구를 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applying the customer asset measurement system and the customer asset measured by the method to the marke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a new customer to the company away from the conventional management-oriented marketing system such as enterprise-wide resource management or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And the strategic tools needed to find new growth engin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자산 측정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자산 측정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도2의 구매확률행렬원소 산출단계의 상세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customer asset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easuring customer ass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calculating step of FIG.

특정 실시예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여러 설명을 제공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specific embodiments provides several descriptions of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below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자산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verall customer asset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자산 측정 시스템(100)은 고객구매정보 입력부(200), 고객자산 평가점수 입력부(300), 기업판매정보 입력부(400), 구매확률행렬원소 산출부(500), 고객평생가치 산출부(600), 및 고객자산 산출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1, the customer asset measur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input unit 200, a customer asset evaluation score input unit 300, a company sales information input unit 400, and a purchase probability matrix. An element calculator 500, a customer lifetime value calculator 600, and a customer asset calculator 700 are included.

여기서, 상기 고객구매정보 입력부(200)는 최근 구매 브랜드, 경쟁 브랜드의 구매확률, 평균 구매 금액, 구매 빈도 등을 포함하는 고객구매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Here, the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input unit 200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including a recent purchase brand, a purchase probability of a competitive brand, an average purchase amount, a purchase frequency, and the like.

이때, 상기 최근 구매 브랜드의 경우 브랜드 카테고리 내에서 최근 구매 브랜드를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정된 경쟁 브랜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쟁 브랜드의 구매확률은 해당 산업에 일정 개수의 경쟁브랜드가 있다면 각각의 브랜드에 대한 구매 확률을 100 %가 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균구매금액은 카테고리 내 제품 1회 구매시의 평균 지출 금액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 빈도는 연간 카테고리 내 제품의 구매 빈도로 정의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cently purchased brand may select a recently purchased brand within a brand category. Preferably it is possible to select from the designated competition brands. In addition, the purchase probability of the competitive brand may indicate that the purchase probability for each brand is 100% if there is a certain number of competitive brands in the corresponding industry. In addition, the average purchase amount may be defined as the average amount of expenditure when purchasing a product in a category once. In addition, the purchase frequency may be defined as a purchase frequency of products in an annual category.

여기서, 고객자산 평가점수 입력부(300)는 가치 자산부, 브랜드 자산부, 관계 자산부, 및 소셜 네트워크부로 구성되는 고객자산부에 대한 고객자산 평가점수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브랜드 자산부는 품질과 가격을 측정요소로서 포함하고, 상기 브랜드 자산부는 해당 브랜드의 인지도, 이미지 등을 측정요소서 포함하고, 관계 자산부는 고객 대우, 특별 프로그램들을 보유하는 지를 측정요소로서 포함하고, 또한 소셜 네트워크부는 구전효과, 구전의도, 브랜드-자아 일치성(인지적, 감정적, 평가적 일치성)을 측정요소로서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input unit 300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a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for the customer asset unit composed of a value asset unit, a brand asset unit, a related asset unit, and a social network unit. In this case, the brand asset part includes quality and price as measurement elements, the brand asset part includes recognition, image, etc. of the brand as a measurement element, and the related asset part includes customer treatment and special programs as measurement elements. In addition, the social network unit may include word-of-mouth effect, word-of-mouth intention, and brand-ego correspondence (cognitive, emotional, and evaluative correspondence) as measurement elements.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소비자 지향적 고객자산부를 구성하는 가치 자산, 브랜드 자산, 관계 자산, 및 소셜 네트워크 자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value assets, brand assets, relationship assets, and social network assets constituting the consumer-oriented customer asset unit appli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가치 자산1) Value Asset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기업의 가치 자산은 소비자들이 그 기업의 물건이 얼마나 믿을만 한가, 어느정도의 품질을 갖고 있는가, 상품이 제 값을 하는가를 평가하게 된다. 가치자산은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비교적 객관적인 소비자의 인지된 의견을 반영하는 것으로 기업의 제품 또는 서비스 역량에 의해 인지되는 일방적인 자산이라 할 수 있다.
A company's value assets, perceived by consumers, measure how reliable they are, how high the quality is, and what the goods are worth. A value asset reflects a relatively objective consumer's perceived opinion of a product or service and is a unilateral asset recognized by the company's product or service capabilities.

2) 브랜드 자산 2) brand assets

소비자들이 브랜드를 어떠한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는가, 이 브랜드의 이미지가 내 취향에 맞는가 등을 평가함으로써 제품 또는 서비스에 부가된 가치를 의미한다. 브랜드 자산은 기업의 가치 자산과 더불어 소비자 인지, 브랜드 확장 등 현대 시장경제에서 무형가치로써 금전적인 자산가치로 평가되고 있다.
It means the value added to a product or service by evaluating how the image is perceived by consumers and whether the image of the brand suits my taste. Brand assets are valued as monetary asset values as intangible values in the modern market economy, including corporate value assets, consumer awareness, and brand expansion.

3) 관계 자산3) relationship assets

기업이 소비자들에게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고객접점에서 발생하는 관계에 대한 가치를 소비자들이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한 평가척도이다. 주로 대면에 의한 관계의 질을 평가하게 되며, 소비자들은 기업이 나에게 어떠한 관계혜택을 부여하는지, 특별한 대우를 부여하는지에 대한 인지를 평가하게 된다.It is a measure of how consumers perceive the value of the relationships that occur at customer contacts as a company provides products or services to consumers. Mainly, the quality of the face-to-face relationship is assessed, and consumers are assessing whether the company gives me a relationship benefit or special treatment.

이상의 고객자산부들은 각각의 특성에 따라 상호보완적인 구도를 형성하며 고객자산의 형성에 영향을 준다. 하지만 고객자산 연구 이전에도 이들 자산가치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며, 특히 브랜드 자산이 갖고 있는 성질을 인위적으로 구분하였다는 지적을 많이 받고 있다. Aaker는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를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로열티, 지각된 품질, 브랜드 연상 이미지 네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여기서 브랜드 로열티는 고객자산에서 관계자산에 해당되며, 지각된 품질은 가치 자산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유사한 성질의 요인들의 혼란에도 불구하고 고객자산에서 이들 관계를 구분하고 있는 이유는 브랜드 자산은 오직 브랜드로 인한 요인들로써 이들을 평가하는 반면, 고객자산 모델에서는 보다 다이내믹한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각 장치들 간의 관계를 구분하고 소비자와 브랜드간의 관계를 통한 자산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산물이라 할 수 있다. The above client asset divisions form complementary structur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the formation of customer assets. However, many researches on the value of these assets have been conducted before the customer asset research, and many have been criticized for artificially distinguishing the characteristics of brand assets. Aaker divides the brand equity component into four levels: brand awareness, brand loyalty, perceived quality, and brand association. Here brand royalties are related assets in customer assets and perceived quality is value assets. Despite the confusion of similarly similar factors, the reason for distinguishing these relationships in customer assets is that brand assets are valued only by brand factors, while in the customer asset model each device is used to explain more dynamic relationships. It is a product to distingu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o evaluate the value of asset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하지만 이러한 고객자산의 고객-브랜드간 관계를 자산가치로 표현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고객자산은 소비자들 간에서 발생하는 요인들에 대한 설명이 다소 미흡하다. 이러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첫째, 초기 모델로써 개념적인 프레임워크로써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초기 고객자산 모델은 기업의 장기적인 브랜드 관리측면과 브랜드-소비자 관계를 위한 통합적인 관리체계를 구성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따라서 동태적인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전략적인 측면의 관리체계로써의 시스템 역할은 배제되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온라인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였다. 이는 당연한 결과로써 2000년대 중후반 이후 온라인 환경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났으며, 특히 소셜 매체의 영향력이 크게 증대하였다. 이는 모델 개발 당시에는 전혀 상상할 수 없는 환경적인 변화이며, 향후 이와 같은 급격한 시장환경 변화는 언제 어떻게 예고 될 지 예상하기 힘들다.However, despite the efforts to express the customer-brand relationship of customer assets in terms of asset value, the customer assets have little explanation for factors that occur among consumers. This can be explained in two ways, first, because it was developed as a conceptual framework as an initial model. The initial customer asset model was developed to form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the long-term brand management aspects of the company and the brand-consumer relationship.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role of the system as a strategic management system due to the dynamic market environment change is excluded. Second, it could not reflect the drastic change in the online environment. This is a natural result. Since the mid-late 2000s, there has been a drastic change in the online environment, especially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This is an environmental change unimaginable at the time of model development, and it is difficult to predict how and when such rapid market changes will be predicted in the future.

마케팅 이론과 이를 활용한 전략적 방안들이 정태적인 수준에서 머무르지 않고, 이론과 실제간 호혜적인 효과를 이뤄내기 위해서는 최근 시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그리고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에 대한 시점을 이론적인 측면에 통합시킬 필요가 있다. 선행 연구의 체계적인 고객자산 모델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고객 지향적인 글로벌 고객자산 모델을 새롭게 제시하는 것은 다이내믹한 마케팅 모델을 제시하여 보다 실질적인 이론적 근간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Marketing theory and its strategic methods do not remain static, but integrate theoretical and point-of-view views of what is happening in the market and what can happen in the future to achieve a reciprocal effect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 need to. Despite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atic customer asset model of the previous study, the new customer-oriented global customer asset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s to provide a more realistic theoretical basis by presenting a dynamic marketing model.

4) 소셜 네트워크 자산4) social network assets

소비자 지향적인 고객자산 측면에서 볼 때, 소셜이라는 개념은 상당한 이론적인 분쟁에도 불구하고 경제, 사회, 심리, 경영 등의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소셜, 즉, 제 분야에서 나타나는 사회적인 측면은 하나의 정의를 내리기도 어렵거니와 계량적인 접근방식에서도 혼선이 발생한다. In terms of consumer-oriented customer assets, the concept of social i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the fields of economy, society, psychology and management, despite considerable theoretical disputes. Social, that is, social aspects in my field, is hard to define, but confusion arises in the quantitative approach.

사전적인 측면의 사회(Society,社會)는 정치, 문화 제도적으로 독자성을 지닌 공통의 관심과 신념, 이해에 기반한 2인 이상의 개인적 집합, 결사체이다. 소규모의 가족에서부터 직장과 학교, 전체사회 및 그 일부인 정치?경제?시민?노동?문화사회 등을 지칭한다. A society in a dictionary is a group of two or more individuals and associations based on common interests, beliefs, and understandings that are independent of the political and cultural institutions. It refers to small families, workplaces and schools, the whole society, and part of it, political, economic, civil, labor, and cultural societies.

사회적 네트워크 개념에 대한 관심은 myspace, facebook과 같은 소셜 미디어나 yahoo, google등과 같은 인터넷 기업이 사회적 관계망 구축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증대되기 시작했다. 사회적 네트워크는 전혀 새로운 개념이 아니다. 앞으로 다루고자 하는 구전의도, 소비자 자아 일치성과 같은 개념은 닷컴 이전의 시대부터 사회적인 현상을 설명하는데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기업이 제품 또는 제품 정보를 확산시키는데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 경로가 다양해짐에 따라 사회적 네트워크 개념이 각광받기 시작했다. 전통적인 매스 커뮤니케이션에 의한 기업-소비자간 경로는 소비자간의 소비정보를 교류하는 활동인 구전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그 영역이 대폭 축소되었다. 뿐만 아니라 소셜 커뮤니케이션 경로를 활용하여 소비자들간의 정보 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소비자들이 활동하는 사회적 집단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과거에는 지역 내에서 오프라인 활동에 의한 사회적 집단에 소속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정보통신의 발달은 사회적 집단의 영역을 온라인을 통해 기하급수적으로 범위를 확산시킬 뿐만 아니라, 소속되는 집단의 유형과 숫자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즉, 소비자들은 온라인을 통해 소셜의 단위를 새롭게 재구성하고 이를 소비의 영역으로 확대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심리학적, 기호학적인 측면의 브랜드-자아간의 일치에 관한 단편적인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 들어서는 사회적 네트워크 측면의 브랜드-자아 일치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Interest in the concept of social networks began to grow as social media such as myspace and facebook, and Internet companies such as yahoo and google actively set up social networks. Social networks are nothing new. Concepts such as word of mouth intention and consumer self-congruity have been used to explain social phenomena since the pre-com dot-com period. However, as the communication paths that companies use to spread their products or product information have diversified, the concept of social networks has begun to emerge. The business-to-consumer path by traditional mass communication has been greatly reduced by oral communication, the activity of exchanging consumption information between consumers. In addition, as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consumers through the use of social communication channels, the area of social groups in which consumers operate is expanding. For example, in the past, local communities were often limited to belonging to social groups by offline activities, but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ot only spreads the range of social groups exponentially online but also belongs to the groups. The types and numbers of are also becoming diverse. In other words, consumers are reconstructing social units online and expanding them into areas of consumption. Accordingly, a lot of fragmentary studies on brand-ego coordination of psychological and semiotic aspects have been conducted. Recently, the importance of brand-self coordination of social networks has been increasing.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셜의 범위를 전체 사회 측면인 개인의 집합체로 정의하고, 개인과 개인 또는 개인과 집단의 관계에 의해 발생하는 무형적인 가치를 소셜 네트워크 자산이라 정의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social is defined as an aggregate of individuals, which is an entire social aspect, and the intangible value gener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individuals or groups is defined as social network assets.

네트워크란 대상들의 집합이며, 이것들 간을 연결시켜주는 교점(노드:node)이라 할 수 있다. Newman(2003)은 네트워크를 사회적, 정보적, 기술적, 생물학적인 측면으로 분류하였다. 그는 소셜 네트워크를 유사한 접촉이나 상호작용 유형을 가진 사람들 또는 집단들이고 정의하였다. 사람들은 소셜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서로 담론들을 교환하는 연결고리를 만들어내는데, 이는 곧 정보 네트워크를 만들어낸다(Dwyer 2007). 즉, 소셜 네트워크는 단순히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 사이에서 정보와 같은 실질적인 동인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구전(word-of-mouth)와 브랜드-자아 일치성이다. A network is a collection of objects and can be called a node that connects them. Newman (2003) categorized networks into social, informational, technical and biological aspects. He defined social networks as people or groups with similar types of contacts or interactions. People form social networks and create links that exchange discourses with each other, which in turn creates an information network (Dwyer 2007). In other words, social networks do not simply exist, but actual drivers such as information are created among people. A good example is word-of-mouth and brand-ego identity.

구전은 소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개인들간에서 만들어지는 아주 큰 영향력은 지닌 가치로써, 온라인의 영향으로 인해 네트워크의 범위가 넓어지고 영향력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연결고리를 나타내는 네트워크의 의미에서는 경로를 개인간에 메시지 이동을 관찰함으로써 가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소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개인들간에서 발생하는 가치가 구전에 의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The word of mouth is a value that has a great influence that is created between the individuals who make up the social network, and the influence of online has widened the scope of the network and its influence. In the sense of the network representing the link, the value can be grasped by observing the movement of messages between individuals along the path. In other words, the value that occurs between the individuals who make up social networks is being expressed by the word of mouth.

브랜드-자아 일치성의 네트워크의 연결고리가 구전과는 차별된다. 사회적 정체성 이론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그들과 브랜드간의 이미지를 동일화시킴으로써 브랜드-자아 일치성을 만들어낸다. 즉, 브랜드를 구매함으로써 브랜드와 개인간의 정체성이 전달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은 그들의 이미지와 사회 집단과 연결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다시 말해 소비자들은 사회적 집단과 연결하는 수단으로 브랜드와 자아를 동일시 시키며, 역으로의 의미도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The linkage of the network of brand-ego identity is distinct from word of mouth. According to the theory of social identity, consumers create brand-ego coherence by identifying the image between them and the brand. In other words, by purchasing a brand, the identity between the brand and the individual is transmitted. In addition, consumers tend to connect with their images and social groups. In other words, consumers identify brand and self as a means of connecting with social groups, and vice versa.

(1) 구전 요소(1) Oral Elements

구전(word of mouth)은 특정조직에 대한 사람들의 신념과 기대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고객의사결정의 중요 정보원 가운데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구전은 “조직이나 제품의 특성에 관한 고객들 간의 비공식적인 의사소통”으로 정의되고 있다. 이러한 구전의 대표적인 특성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보면, 먼저 구전은 용어 그 자체가 함축하고 있는바 그대로 구두를 매개로 한 언어적 의사소통이다. 바로 이런 점에서 구전은 서신, 메모 등의 기록 에 의한 의사소통이나 몸짓, 얼굴표정 등의 비언어적 의사소통과는 차이가 난다. 둘째, 구전은 주로 비공식성을 띤다. 구전은 때때로 공식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대부분 친구나 친척 등과 같은 친밀한 사람들 사이에서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진다. 셋째, 구전의 주체(발신자)는 특정 대상물에 대한 직간접적인 경험이 있는 과거고객이거나 또는 현재고객이며, 그 객체(수신자)는 이용가능성이 있는 미래고객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마지막으로 구전에 담겨져 있는 메시지는 특정조직의 특성이나 서비스 및 제품 등에 관한 호불호의 평가적 내용이 주를 이룬다. 한편, 행위의도란 행위로 이어질 명확한 가능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전의도란 특정조직의 특성이나 서비스 및 제품 등에 대한 평가적 의사(주로 호불호와 관련된 의사)를 구두를 통해 타인들에게 비공식적으로 전달할 가능성으로 정의해 볼 수 있다.The word of mouth is one of the important sources of information in customer decision making because it can affect people's beliefs and expectations of a particular organization. In general, word of mouth is defined as "informal communication between customer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an organization or product." To present concretely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oral text, the oral text is verbal communication as the term itself implies. It is in this sense that word-of-mouth differs from non-verbal communication such as written correspondence, memos, and gestures. Second, word of mouth is mostly informal. Word-of-mouth is sometimes official, but it is mostly informal among intimate people, such as friends and relatives. Third, the oral subject (sender) is either a past or present customer who has direct or indirect experience with a particular object, and the object (receiver) is most likely a future customer with availability. Finally, the messages contained in the oral text mainly consist of the evaluation of the dissatisfaction of the specific organization's characteristics, services and products. On the other hand, the intention to act means a clear possibility to lead to the act. Therefore, oral intention can be defined as the possibility of informally conveying an evaluative intention (mainly related to dissatisfaction) about a specific organization's characteristics, services and products, orally to others.

더욱이 온라인 구전은 인터넷 상에서 전자우편이나 텍스트를 통해 소비자 간에 제품 및 서비스와 관련된 직간접 경험 또는 정보를 자유로이 주고받는 비공식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커뮤니케이션 행위 또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소비자들이 자유롭게 자신의 경험이나 의견을 올리는 사용 후기 정보가 대표적인 온라인 구전의 유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Moreover, online word of mouth is an informal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act or process that allows the free and indirect experience or information related to products and services to be communicated between consumers via e-mail or text on the Internet. Recently, testimonial information, in which consumers freely share their experiences and opinions, has become a representative type of online word of mouth.

사용 후기 정보는 방향성에 따라 긍정적인 정보와 부정적인 정보로 구분된다. 최근 들어 긍정적인 구정 정보와 부정적인 구전 정보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까지 진행되었다. 구전 방향성 연구는 일관된 결과를 제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소비자의 긍정적인 구전보다는 부정적인 구전이 소비자의 의사결정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와 이와 반대인 연구 두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반된 결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구전에 영향을 주는 다른 변인을 함께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즉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구전의 설득적인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 개인적인 특성에 의한 조절효과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Testimonial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positive information and negativ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Recentl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effects of positive Chinese New Year and negative Chinese New Year information on consumers. Oral directionality studies do not provide consistent results, but research is conducted in two directions, negative and negative, affecting consumers' decision-making rather than positive ones. To understand these conflicting resul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other variables that affect online word of mouth. In other words, the persuasive effect of the word of mouth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moderating effect by consumer personal characteristics.

소비자에 대한 구전 효과는 정보의 방향에 따라 수신 상태와 발신 상태로 구분하여 측정 할 수 있다. 일반적인 구매의사결정 과정에 따라 살펴보면 소비자의 실제 구매행위가 일어나기 이전에 정보탐색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소비자는 객관적인 제품 또는 서비스 정보 이외에도 준거집단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소비자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로써 구전효과가 발생한다. 실제 구매 행동이 이루어진 뒤 소비자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하게 된다. 이때의 평가는 자신의 차기 제품 또는 서비스 구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나, 이는 타인의 구매행동에 있어 정보 탐색 과정에 영향을 미쳐 소비자의 태도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는 구전효과에 영향을 받는 존재임과 동시에 타인에게 영향을 주는 양방향성을 띄게 된다.The word-of-mouth effect on the consumer can be measured by dividing the receiving state and the sending stat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purchasing decision making process, the information search process is performed before the actual purchase behavior of the consumer occurs. In this case, the consumer is affected by the reference group in addition to the objective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In other words, word-of-mouth effect occurs as an effect on consumer's decision making. After the actual buying behavior, the consumer evaluates the product or service. At this time, the evaluation has the most influence on the purchase of the next product or service, but it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changes the attitude of consumers by affecting the information search process in the purchasing behavior of others. As a result, consumers are influenced by word of mouth and at the same time have a two-way effect on others.

구전효과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의 흐름을 살펴봐도 구전효과는 양방향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브랜드를 사용한 이후 이에 대한 평가로써의 구전은 구전의도(word-of-mouth intention) 또는 구전행동(word-of-mouth behavior)으로 일컬어지며 소비자 행동 모델에서는 선행요인에 따른 종속변수에 해당된다. 한편 소비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때 타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구전은 구전 효과(effect of word-of-mouth)라 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flow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word of mouth effect, it can be seen that word of mouth effect is bidirectional. After using the brand, word of mouth as an evaluation of the word is referred to as word-of-mouth intention or word-of-mouth behavior and is a dependent variable according to the preceding factors in the consumer behavior model. On the other hand, the word of mouth influenced by others when a consumer purchases a product or service may be called an effect of word-of-mouth.

이와 같이 소비자 행동에서 병발적인 특징을 갖고 있는 구전은 실제 소비자 행동 모델 연구에서는 구전효과와 구전의도가 동시에 발생한다. 고객자산은 소비자의 미래 가치를 현재로 환산한 값으로써 현재의 구매 행동뿐만 아니라 미래의 구매행동까지에 대한 예측을 위한 모델이다. 따라서 고객자산부로써 소비자의 현재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전효과와 개별 소비자 자신 또는 다른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 구전의도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uch word-of-mouth that has concomitant characteristics in consumer behavior occurs simultaneously in word-of-mouth effect and word-of-mouth intention in the study of consumer behavior models. The customer asset is the value of the future value of the consumer and is a model for forecasting not only the current purchase behavior but also the future purchase behavior.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measure the word-of-mouth effect that affects the current buying behavior of consumers and the word-of-mouth intention that affects each individual or other consumers.

(2) 브랜드-자아 일치성 요소(2) brand-ego identity factor

자아 이미지는 개인이 자기 자신을 객체 또는 하나의 대상으로 여겨 갖게 되는 자기 자신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의 총체이다. 즉, 자아이미지는 실제로 여러 개의 자아가 통합적인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정과 직장을 동시에 가진 여성 소비자를 보면 아이에 대한 어머니로서의 자아이미지 뿐만 아니라 아내로서, 주부로서, 직장의 상사이자 동료로서, 며느리로서, 친구, 이웃 등의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여러 가지 역할 수행을 하며 각기 다른 자아이미지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자아이미지는 별개의 것이 아니라, 개인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 통합적인 자아를 구축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들에 대해 자아이미지를 모든 특성들이 유기적 연관성을 지닌 하나의 통합된 의미로 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자아이미지는 전체적인 동시에 상호작용적인 양면성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자아이미지는 소비자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구매의사 결정 변수로써 자신의 자아이미지를 반영하는 제품이나 브랜드를 선호하여 제품과 브랜드 선택에 영향을 미치지만 소비자가 선택하는 제품과 브랜드는 소비상황에서 소비자의 자아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친다. 사람들은 흔히 타인이 소비 또는 사용하는 제품 혹은 브랜드를 보고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자아이미지 이론의 이러한 확장은 상징적 상호주의라고도 불려진다. Self-image is the sum of thoughts and feelings about one's own self that the individual considers himself to be an object or an object. In other words, the self image actually builds an integrated image of several egos. For example, a female consumer who has both a home and a job shows not only a self-image as a mother to a child but also a wife, a housewife, a boss and a co-worker, a daughter-in-law, a member of a community such as a friend and a neighbor. It can have different self images. Each self image is not separate but builds an integrated self that forms the overall image of the individual. For these properties, self-image can be implied in one unified sense, in which all properties are organically related. Therefore, self-image can be said to have two-sided, both interactive and interactive. In addition, various self-images influence the selection of products and brands by preferring products or brands that reflect their self-image as purchasing decision-making variables in the consumer purchasing decision-making process. It also affects your self-image. Because people often look at the products or brands that others consume or use, they tend to think that someone is a person. This extension of self-image theory is also called symbolic reciprocity.

상징적 상호주의에 입각하여 제품과 브랜드를 선택하는 경우 그 제품과 브랜드는 객관적인 실체로써가 아니라 주관적인 상징물로써 구매된다. 그리고 소비자는 그 제품과 브랜드가 어떤 실용적 기능을 갖는가 보다는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가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된다. 따라서 자아에 대한 개념은 다차원적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자아란 스스로의 내부적 판단과 사회적 영향을 동시에 또는 따로 받기도 하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소비상황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화될 수도 있는 존재임을 알 수 있다. 자아이미지는 사회 환경과의 연계성을 설명할 수 있는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실제적 개인자아이미지, 이상적 개인자아이미지, 실제적 사회자아이미지, 이상적 사회자아이미지로 구분된다. When a product and a brand are selected based on symbolic reciprocity, the product and brand are purchased not as an objective entity but as a subjective symbol. And consumers are more concerned about what they mean than what practical functions they have. Therefore, the concept of self can be understood from a multidimensional point of view, and the self can be said to have its own internal judgment and social influence at the same time or separately.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ntity may change dynamically depending on the social consumption situation. The self image is divided into actual individual self image, ideal individual self image, actual social self image, and ideal social self image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that can explain the connection with the social environment.

실제적 개인자아이미지는 개인이 자신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이고, 이상적 개인자아이미지는 자신이 가지기를 원하는 이미지이다. 실제적 사회자아이미지는 다른 사람들에 의해서 개인이 어떻게 보이는가에 대한 신념을 의미하고, 이상적 사회자아이미지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 가지기를 바라는 이미지이다. 자아일치성은 소비자와 자아와 브랜드간의 이미지 조화과정으로 설명되는데 브랜드-자아이미지의 조화정도가 클수록, 소비자는 특정 브랜드와 관계를 오래 유지할 가능성이 커진다.The actual individual self image is the image that the individual has about himself, and the ideal individual self image is the image he wants to have. The actual social self-image means the belief in how an individual looks by others, and the ideal social self-image is the image that others want to have about themselves. Self-congruity is explained by the process of harmonizing the image between the consumer, the self and the brand. The greater the degree of harmony between the brand and the self image, the more likely the consumer is to maintain a relationship with a specific brand.

실제적 개인자아이미지와 실제적 사회자아이미지는 소비자 자신 또는 타인이 자신을 어떻게 보는가와 관련된 자신의 지각이다. 소비자는 피드백 과정을 통해 자아를 입증하는 행동을 하여 자아이미지를 유지하려고 한다. 따라서 실제적 개인자아이미지와 실제적 사회자아이미지가 브랜드 이미지와 어울리면 그 브랜드의 사용은 자아입증에 기여하는 것이다. Real self-image and real social self-image are the perceptions of how the consumer himself or others see themselves. The consumer tries to maintain self-image by acting to prove self through feedback process. Therefore, if the actual individual self image and the actual social self image match with the brand image, the use of the brand contributes to self-validation.

사회적 자아 이론에서는 정체성을 인지적, 평가적, 감정적인 요소로 구분한다. 즉, 사회적인 관점에서 브랜드-자아 일치성은 소비자가 브랜드와의 소속감에 대해 인지하고, 느끼고 가치를 부여하는 심리적인 상태를 말한다. 소비자가 인지하게 되는 이러한 심리적인 상태는 브랜드의 존재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것이지만, 브랜드와의 동질감은 사회속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자신과 투영되어지고자 하는 자신을 나타내기 위한 수단을 말한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브랜드가 제공하는 유형적, 무형적 가치 외에도 이 제품이 얼마만큼 나를 반영하는가를 고려하여 구매한다. 즉 브랜드 지향적인 자산과는 차원이 다른 소비자와 브랜드간의 심리적인 관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브랜드-자아 일치성은 인지적인(얼마나 브랜드와 개인의 아이덴티티가 일치하는지), 감정적인(브랜드가 개인적으로 또는 사회적으로 나에게 가치있는지), 평가적인(브랜드와 관계를 맺음으로써 얻게 되는 혜택) 일치성으로 측정할 수 있다.
Social self-theory divides identity into cognitive, evaluative and emotional factors. In other words, from a social point of view, brand-ego coherence refers to a psychological state in which consumers perceive, feel, and add value to the brand. This psychological state that consumers perceive is caused by the existence of the brand, but homogeneity with the brand is a means to express oneself and one who wishes to be projected in society. Therefore, when purchasing a product or service, consumers buy in consideration of how much the product reflects me in addition to the tangible and intangible values that the brand provides. In other words, it is a psych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which is different from brand-oriented assets. So brand-ego coherence matches cognitive (how brand and individual identities match), emotional (brand is personally or socially valuable to me), and evaluative (benefit from connecting with a brand) Can be measured by sex.

여기서, 상기 기업판매정보 입력부(400)는 기업의 브랜드별 할인율, 브랜드 카테고리 내의 전체 고객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기업판매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Here, the corporate sales information input unit 400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corporate sale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discount rate for each brand of a company and the total number of customers in a brand category.

상기 고객구매정보 입력부(200), 고객자산 평가점수 입력부(300), 기업판매정보 입력부(400)는 인터넷을 통하여 개별 고객 단말 및 기업 단말에 연결되고, 고객자산 측정을 위해서 특별히 제공되는 홈페이지, 게시판 등을 이용하거나, 블로그, 미니홈피, 온라인 카페 등을 통한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형성하거나, myspace, facebook, twitter 등과 같은 SNS를 통하여 온라인 상에서 불특정 다수인과 소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방법 등으로 고객 및 기업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표 1에서는 상기 고객구매정보 입력부(200), 고객자산 평가점수 입력부(300), 기업판매정보 입력부(400)를 통하여 수집되는 정보를 정리하고 있다.The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input unit 200,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input unit 300, corporate sales information input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individual customer terminal and the enterprise terminal via the Internet, the homepage, bulletin board specifically provided for measuring customer assets Information from customers and companies, or by forming a community network through blogs, mini homepages, online cafes, or social networks with unspecified people online through social media such as myspace, facebook, twitter, etc. Can be input. Table 1 summarizes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input unit 200,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input unit 300, corporate sales information input unit 400.

구분division 항목Item 측정도구Measuring tool 수집대상Collection 고객구매정보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최근 구매 브랜드 Recently purchased brand 브랜드 카테고리 내 최근 구매 브랜드(지정된 경쟁브랜드 중 선택)Recently purchased brands in a brand category (choose from the specified competition) 고객customer 경쟁 브랜드의 구매 확률Probability of Competitive Brand 해당 산업에 5개의 경쟁브랜드가 있다면, 각각의 브랜드에 대한 구매확률을 100%가 되도록 표시If there are five competing brands in the industry, indicate the probability of purchasing 100% for each brand 평균 구매 금액Average purchase amount 카테고리 내 제품 1회구매시의 평균 지출 금액Average amount spent on a single purchase of a product in a category 구매 빈도Purchase frequency 연간 카테고리 내 제품의 구매 빈도Frequency of purchases of products in categories per year 고객자산
평가점수
Customer Asset
Score
가치 자산부Value Asset Division 품질, 가격Quality, price
브랜드 자산부Brand asset department 인지도, 이미지Awareness, image 관계 자산부Relationship asset department 고객 대우, 특별 프로그램Customer treatment, special program 소셜 네트워크부Social Network Department 구전효과, 구전의도, 브랜드-자아 일치성(인지적, 감정적, 평가적 일치성)Oral Effect, Oral Intention, Brand-Self Congruence (Cognitive, Emotional, Evaluative Congruence) 기업판매정보Company Sales Information 할인율discount rate 브랜드별 할인율Discount rate by brand 기업Enterprise 전체 고객 수 Total number of customers 브랜 카테고리 내 전체 고객 수 Total number of customers in brand category

여기서, 상기 구매확률행렬원소 산출부(500)는 상기 고객자산 평가점수 입력부(300)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자산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브랜드를 구매할 구매확률행렬원소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구매확률행렬원소 산출부(500)는 상기 고객자산 평가점수 입력부(300)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자산 평가점수를 효용 모델에 적용하여 고객의 각 브랜드에 대한 효용가치를 산출하는 효용가치 산출부(510), 상기 효용가치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고객의 각 브랜드에 대한 효용가치를 전체 브랜드의 효용가치와 비교하여 각 브랜드에 대한 선택확률을 산출하는 선택확률 산출부(520); 및 상기 선택확률 산출부에서 산출된 각 브랜드에 대한 선택확률에 마르코프 체인 모델을 적용하여 고객의 각 브랜드 이동 형태에 관한 전이행렬을 산출하는 전이행렬 산출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calculating unit 500 performs a function of calculating a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for purchasing a brand using the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received from the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input unit 300. Meanwhile, the purchase probability matrix calculating unit 500 applies a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received from the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input unit 300 to a utility model to calculate a utility value for each brand of the customer. A selection probability calculation unit 520 for calculating a selection probability for each brand by comparing the utility value of each brand of the customer calculated by the utility value calculation unit with the utility value of all brands; And a transition matrix calculator 530 for applying a Markov chain model to the selection probability for each brand calculated by the selection probability calculator to calculate a transition matrix for each brand movement type of the customer.

구매확률행렬원소를 유도하기 위해 먼저 소비자 설문으로부터 얻은 고객자산 평가점수를 효용 모델에 적용하여 개인의 각 브랜드에 대한 효용가치를 구한다. 이렇게 산출된 개별 고객의 브랜드별 효용가치를 전체 브랜드의 효용가치와 비교하여 개별 선택확률을 얻을 수 있다.In order to derive the purchasing probability matrix element, the customer's asset valuation score obtained from the consumer survey is first applied to the utility model to find the utility value for each individual brand. The individual selection probability can be obtained by comparing the utility value of each customer's brand with the utility value of all brands.

이 선택확률은 다시 마르코프 체인 모형을 통해 고객의 각 브랜드 이동 모형을 확률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마르코프 체인 모형은 전이확률을 이용하여 t-1시점에서 t시점 그리고 t+1시점으로 이동할 때의 확률값의 변화를 통계적으로 검증해준다. 즉, 개별 고객의 과거 브랜드 구매확률과 현재 구매확률의 전이 형태를 설명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마르코프 체인 모형을 통해 산출된 개별 고객의 각 브랜드별 구매확률행렬원소를 고객평생가치 모델에 적용한다.
This selection probability can be stochastically calculated for each brand movement model of the customer through the Markov chain model. The Markov chain model uses the transition probability to statistically verify the change in probability value from the time t-1 to the time t and the time t + 1.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 transition form of the past purchase probability of the individual customer and the current purchase probability. Finally, the probabilities of purchasing probabilities for each brand of each customer, calculated through the Markov chain model, are applied to the customer lifetime value model.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소비자 지향적 고객자산 드라이버에 대한 고객자산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구매확률행렬원소를 산출하는 방법론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ology for calculating a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by using a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for a consumer-oriented customer asset driver appli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5) 효용 모델5) Utility Model

개별 고객의 고객 자산 드라이버에 대한 점수를 산정하기 위해 효용이론을 도입하였다. 효용 모델에는 각각의 드라이버 점수뿐만 아니라 브랜드 관성을 포함시켰다. Utility theory was introduced to score individual customer drivers of customer assets. The utility model included brand inertia as well as individual driver scores.

위의 모델을 구체화하면, Uijk 는 최근에 브랜드 j를 구매한 고객 i의 k브랜드에 대한 효용을 나타낸다. 여기서 더미변수인 LASTijk는 j=k일 때 1이며, 그렇지 않으면 O이다. X는 드라이버의 행벡터이다. 여기서 효용 모델은 다음 수식과 같다. Incorporating the above model, U ijk represents the utility of brand k of customer i who recently purchased brand j. Here, the dummy variable LAST ijk is 1 when j = k, and O otherwise. X is the row vector of the driver. The utility model i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1014371945-pat00003
Figure 112011014371945-pat00003

여기서, Uijk = 최근에 j브랜드를 구매한 i고객에 대한 k브랜드의 효용, β0k = inertia에 대한 로짓 회귀 계수, βik = 드라이버에 대한 로짓 회귀 계수의 행벡터, εik = 잔차항을 의미한다. Here, U ijk = utility of k brand for i-customer who recently purchased j brand, β 0k = logit regression coefficient for inertia, β ik = row vector of logit regression coefficient for driver, ε ik = residual term. .

개별 수준의 효용은 개별 수준의 전이행렬을 도출한다. 전이행렬의 각 행은 최근 구매한 브랜드에 의해 가정되며, 따라서 각 행은 각각 다른 효용을 나타낸다. 즉, 첫번째 열은 첫번째 브랜드가 가장 최근에 구매되었음을 가정하며, 두번째 열은 두번째 브랜드가 가장 최근에 구매되었음을 가정한다. 브랜드 관성의 효과가 재구매하였을 때만 나타나기 때문에, 각 행의 효용을 서로 다른 결과를 보인다.The utility of individual levels leads to transition matrices of individual levels. Each row of the transition matrix is assumed by a recently purchased brand, so each row represents a different utility. That is, the first column assumes that the first brand was most recently purchased, and the second column assumes that the second brand was most recently purchased. Since the effects of brand inertia appear only when they are repurchased, the utility of each row gives different results.

다항 로짓 모델과 동시에 고객 i의 선택확률 모델은 다음과 같다.At the same time as the polynomial logit model, the choice probability model for customer i is

Pijk = Pr[individual i chooses brand k*, given that brand j was most P ijk = Pr [individual i chooses brand k * , given that brand j was most

recently chosen]      recently chosen]

Figure 112011014371945-pat00004

Figure 112011014371945-pat00004

개인수준의 효용모델의 결과는 개인수준의 브랜드 전이행렬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개인수준의 고객평생가치를 유도할 수 있다.The results of the utility model at the individual level can lead to the lifetime value of the customer at the individual level because it creates an individual-level brand transition matrix.

6) 전이 행렬 모델6) Transition Matrix Model

이 모델에서 전이행렬을 사용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고객이동모형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평생고객가치를 계산하는데 있어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이 고객과의 관계를 정의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에서는 브랜드와 고객의 관계를 계약상황으로 간주하여, 계약적 상황 또는 비계약적 상황으로 구분한다. 계약적 상황은 개별 고객이 특정 브랜드와 관계를 유지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종료시점까지의 고객유지확률을 모델에 적용시킨다. 여기서 고객과의 관계는 한번 파기되면 재계약 상황이 없기 때문에, 이탈 고객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The most fundamental reason for using transition matrices in this model is to maintain the customer mobility model. The first consideration in calculating lifetime customer value is to define the relationship with the customer. In the preceding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nd customer is regarded as a contract situation, and classified into contractual or non-contractual situation. The contractual situation applies the probability of customer retention to the model from the time an individual customer begins to maintain a relationship with a particular brand and continues from the end.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lost customer does not come back because the relationship with the customer is not once renewed.

반면 비계약 상황은 고객의 생존확률을 모델에 적용한다. 고객은 브랜드와의 관계를 종료하는 대신 구매확률로써 생존의 상태로 남게 된다. 전이확률을 통한 마르코프 체인 모델은 고객의 유지, 이탈, 재획득에 대한 모델로써, 특정 브랜드에 대한 구매확률뿐만 아니라, 경쟁 관계의 브랜드간의 이동에 대한 요소를 모델에 포함시키기 때문에, 비계약적인 상황의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구현할 수 있다. Non-contract situations, on the other hand, apply the survival probability of the customer to the model. Instead of end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brand, the customer remains alive as a probability of purchase. The Markov Chain Model through Transition Probability is a model for customer retention, churn, and reacquisition, which is a non-contractual situation because it includes not only the probability of purchase for a particular brand, but also the factors that move between competing brands. To implement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Bit 는 1ⅹJ 행벡터이며, Bijt 는 고객i가 t시점에 구매시 브랜드 j를 구매할 구매확률행렬원소이다. B it is the 1ⅹJ row vector, and B ijt is the probabilities matrix for purchasing the brand j when the customer i makes a purchase at time t.

Bit 는 1ⅹJ 행벡터이며, Bijt 는 고객i가 t시점에 구매시 브랜드 j를 구매할 확률행렬원소이다. B it is the 1ⅹJ row vector, and B ijt is the probability matrix element where the customer i buys the brand j at the time t.

Figure 112011014371945-pat00005

Figure 112011014371945-pat00005

7) 주성분 분석 모델7)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odel

소비자들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지는 변수를 고객자산 드라이버의 차원으로 감소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주성분 분석에 투입되는 독립변수는 고객자산 드라이버와 LAST변수이다. 이 외에도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는 이유는 첫째, 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 문제를 차단하기 위해서이다. 둘째, 주성분 분석을 통해 산출되는 계수는 독립변수의 계수로 측정이 가능하다.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s needed to reduce the variables obtained through surveys from consumers to the dimension of customer asset drivers. The independent variables involved i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re the customer asset driver and the LAST variable. In additio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s carried out firstly to block the problem of multicollinearity between variables. Second, coefficients calculated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an be measured as coefficients of independent variables.

이 모델에서는 고객생애가치를 측정할 때 시장 내 브랜드간의 경쟁요인을 측정하고 있다. 이 경쟁요인은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드라이버 즉, 가치자산, 브랜드자산, 관계자산, 소셜 네트워크 자산의의 상대적 영향력으로 구성되며, 경쟁브랜드의 선택확률을 결정짓는 계수의 역할을 하게 된다. This model measures competitive factors between brands in the market when measuring customer lifetime value. This competitive factor consists of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drivers perceived by consumers, namely, value assets, brand assets, related assets and social network assets, and serves as a factor in determining the selection probability of a competitive brand.

주성분 분석을 위한 독립변수로는 드라이버 변수들과 LAST변수이다. 벡터 Xijk는 개별 고객 i의 이전 j 브랜드 구매와 차기 k브랜드 구매의 조합으로 나타난다. Xijk의 주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varimax회전을 시키고, 이로 인해 변수간의 차원 구분과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Fijk는 회전된 요인행렬을 나타낸다. 즉 Fijk는 F가치자산, F브랜드자산, F가치자산, F소셜네트워크자산으로 조합된 벡터이다. Independent variables fo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re driver variables and LAST variables. The vector X ijk is represen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previous j-brand purchase and the next k-brand purchase of the individual customer i. Rotate the varimax to extract the principal component of X ijk , which can be used as a tool for dividing dimensions and making decisions. F ijk represents the rotated factor matrix. In other words, F ijk is a combination of F value assets , F brand assets , F value assets , and F social network assets .

효용모델을 회전된 성분차원에서 계산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When the utility model is calculated in the rotated component dimension, it can be expressed as follows.

Figure 112011014371945-pat00006
Figure 112011014371945-pat00006

여기서, γ는 계수 벡터이다.
Is the coefficient vector.

여기서, 상기 고객평생가치 산출부(600)는 상기 고객구매정보, 상기 기업판매정보 및 상기 구매확률행렬원소를 이용하여 고객평생가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Here, the customer lifetime value calculator 600 calculates a customer lifetime value using the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the company sales information, and the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고객자산 모델은 기업의 현재 또는 잠재 소비자들이 기업에 가져다주는 미래 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환산한다. 먼저 개별 고객수준에서 고객평생가치를 전체 고객의 수만큼 곱하여 고객자산을 얻을 수 있다. 이때 개별 고객(i)과 브랜드(j)에 대한 고객평생가치(Customer Lifetime Value: CLVij)는 아래의 식에 의해서 산출된다.The customer asset model translates the future cash flows that a company's current or potential consumers bring to the company at its present value. Firstly, customer asset value can be obtained by multiplying customer lifetime value by the total number of customers at the individual customer level. At this time, the Customer Lifetime Value (CLV ij ) for each customer (i) and brand (j)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1014371945-pat00007
Figure 112011014371945-pat00007

여기서, Tij는 고객 i가 특정 기간동안 구매한 횟수, dj는 브랜드 j의 할인율, fi는 일정 기간동안 고객 i의 평균 구매 횟수(예: 년간 단위), Vijt는 고객 i가 t시점에서 동안 j브랜드를 구매할 수량, πijt는 고객 i의 t시점에서 j브랜드 구매단위당 기대이익, Bijt는 t시점에 고객 I의 브랜드 j 구매확률행렬원소, t/fi는 구매 시점에 따라 할인되는 것을 의미한다.
Where T ij is the number of purchases made by the customer i during a specific period, d j is the discount rate of the brand j, f i is the average number of purchases of the customer i over a period of time (for example, in years), and V ijt is the time at which the customer i Π ijt is the expected profit per j-brand purchasing unit at time t of customer i, B ijt is the brand j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of customer I at time t, and t / fi is discounted according to the time of purchase. Means that.

여기서, 상기 고객자산 산출부(700)은 상기 고객평생가치를 이용하여 고객자산을 기능을 수행한다. 개별고객 수준의 고객평생가치를 전체 고객의 수 만큼 곱하면 고객자산(Customer Equity: CE)이 산출된다. Here, the customer asset calculator 700 functions the customer asset using the customer lifetime value. The customer lifetime value at the individual customer level is multiplied by the total number of customers, yielding Customer Equity (CE).

Figure 112011014371945-pat00008
Figure 112011014371945-pat00008

위의 수식과 같이 고객자산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개별 고객수준의 고객평생가치를 먼저 구해야 한다. 여기서 고객평생가치는 브랜드 전체 고객에 대한 개별 수준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기업이 고객 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출하는 고객생애가치는 각각의 고객에 대한 가치를 개별적으로 산출하여 CRM 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고객자산을 알고자 하는 것이 최종 목적이므로 고객평생가치의 평균값만으로 충분하다.
In order to calculate customer assets as shown in the above formula, customer lifetime value at the individual customer level should be calculated first. Here, customer lifetime value represents the average value of individual levels for all customers of a brand. In general, the customer life value calculated by using the customer data is calculated as the data for each customer by individually calculating the value of each customer, but in this study, the final purpose is to know the customer's customer assets. The average value of customer lifetime value is sufficient.

도 2는 본 발명의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자산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easuring customer ass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고객자산 평가점수 입력부(300)를 통하여 가치 자산부, 브랜드 자산부, 관계 자산부, 소셜 네트워크부로 구성되는 고객자산부에 대한 고객자산 평가점수를 입력받는다(S200).In addition, the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input unit 300 receives a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for the customer asset unit consisting of a value asset unit, brand asset unit, relationship asset unit, social network unit (S200).

또한, 고객자산 드라이버 평가점수 입력부(300)를 통하여 가치 자산 드라이버, 브랜드 자산 드라이버, 관계 자산 드라이버, 소셜 네트워크 드라이버로 구성되는 고객자산 드라이버에 대한 고객평가점수를 입력받는다(S200).In addition, the customer asset driver evaluation score input unit 300 receives a customer evaluation score for the customer asset driver composed of a value asset driver, a brand asset driver, a relationship asset driver, and a social network driver (S200).

다음으로 상기 고객자산 평가점수 입력부(300)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자산 드라이버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브랜드를 구매할 구매확률행렬원소를 산출한다(S400).Next, the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for purchasing the brand is calculated using the customer asset driver evaluation score received from the customer asset evaluation score input unit 300 (S400).

다음으로 상기 고객자산 드라이버 평가점수 입력부(300)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자산 드라이버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브랜드를 구매할 확률행렬원소를 산출한다(S400).Next, a probability matrix element for purchasing a brand is calculated using the customer asset driver evaluation score received from the customer asset driver evaluation score input unit 300 (S400).

이후에, 상기 고객구매정보 입력부(200)으로 입력된 고객구매정보, 상기 기업판매정보 입력부(400)로 입력된 기업판매정보 및 상기 구매확률행렬원소 산출부(500)에 의해 산출된 구매확률행렬원소를 이용하여 고객평생가치를 산출한다(S500).Subsequently, the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input to the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input unit 200, the company sales information input to the company sales information input unit 400, and the purchase probability matrix calculated by the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calculation unit 500. Using the elements to calculate the customer lifetime value (S500).

마지막으로, 상기 고객평생가치 산출부(500)에서 산출된 개별 고객의 고객평생가치를 전체 고객의 수를 곱하여 고객자산을 산출한다(S600).
Finally, the customer lifetime value of the individual customer calculated by the customer lifetime value calculation unit 500 is multiplied by the total number of customers to calculate a customer asset (S600).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고객자산 평가점수 입력부(300)으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자산 평가점수를 효용 모델에 적용하여 고객의 각 브랜드에 대한 효용가치를 산출하는 효용가치 산출한다(S410). Referring to FIG. 3, first, a utility value for calculating a utility value for each brand of a customer is calculated by applying a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received from the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input unit 300 to a utility model (S410).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고객자산 드라이버 평가점수 입력부(300)으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자산 드라이버 평가점수를 효용 모델에 적용하여 드라이버에 따른 고객의 각 브랜드에 대한 효용가치를 산출하는 효용가치 산출한다(S410). Referring to FIG. 3, first, a utility value for calculating a utility value for each brand of a customer according to a driver is calculated by applying the customer asset driver evaluation score received from the customer asset driver evaluation score input unit 300 to a utility model. S410).

이후에, 상기 효용가치 산출부(510)에서 산출된 고객의 각 브랜드에 대한 효용가치를 전체 브랜드의 효용가치와 비교하여 각 브랜드에 대한 선택 확률을 산출한다(S420).Thereafter, the utility value for each brand of the customer calculated by the utility value calculator 510 is compared with the utility value of all the brands to calculate a selection probability for each brand (S420).

다음으로, 상기 선택확률 산출부(520)에서 산출된 각 브랜드에 대한 선택 확률에 마르코프 체인 모델을 적용하여 고객의 각 브랜드 이동 형태에 관한 전이행렬을 산출한다(S430).
Next, by applying the Markov chain model to the selection probability for each brand calculated by the selection probability calculator 520, a transition matrix for each type of brand movement of the customer is calculated (S43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객자산 측정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컴퓨터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ustomer asset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by a computer through a program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stored and executed as distributed readable code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via a computer communication network.

100 : 고객자산 측정 시스템
200: 고객구매정보 입력부
300 : 고객자산 평가점수 입력부
400 : 기업판매정보 입력부
500 : 구매확률행렬원소 산출부
510 : 효용가치 산출부
520 : 선택확률 산출부
530 : 전이행렬 산출부
600 : 고객평생가치 산출부
700 : 고객자산 산출부
100: Customer Asset Measurement System
200: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input unit
300: customer valuation score input unit
400: corporate sales information input unit
500: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calculation unit
510: utility value calculation unit
520: selection probability calculator
530: transition matrix calculation unit
600: Customer Lifetime Value Calculator
700: Customer Asset Calculator

100 : 고객자산 측정 시스템
200: 고객구매정보 입력부
300 : 고객자산 드라이버 평가점수 입력부
400 : 기업판매정보 입력부
500 : 구매확률행렬원소 산출부
510 : 효용가치 산출부
520 : 선택확률 산출부
530 : 전이행렬 산출부
600 : 고객평생가치 산출부
700 : 고객자산 산출부
100: Customer Asset Measurement System
200: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input unit
300: customer asset driver evaluation score input unit
400: corporate sales information input unit
500: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calculation unit
510: utility value calculation unit
520: selection probability calculator
530: transition matrix calculation unit
600: Customer Lifetime Value Calculator
700: Customer Asset Calculator

Claims (15)

구매 브랜드, 평균 구매 금액, 구매 빈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구매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고객구매정보 입력부;
가치 자산부, 브랜드 자산부, 관계 자산부, 소셜 네트워크부로 구성되는 고객 자산부에 대한 고객자산 평가점수를 입력받기 위한 고객자산 평가점수 입력부;
할인율, 전체 고객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기업판매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기업판매정보 입력부;
상기 고객자산 평가점수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고객자산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브랜드를 구매할 구매확률행렬원소를 산출하기 위한 구매확률행렬원소 산출부;
상기 고객구매정보, 기업판매정보 및 구매확률행렬원소를 이용하여 고객평생가치를 산출하는 고객평생가치 산출부; 및
상기 고객평생가치를 상기 전체 고객수와 곱하여 고객자산을 산출하는 고객자산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자산 측정 시스템.
A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purchase brand, an average purchase amount, and a purchase frequency;
A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input unit for receiving a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for the customer asset unit including a value asset unit, a brand asset unit, a relationship asset unit, and a social network unit;
A corporate sales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corporate sale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discount rate and total number of customers;
A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for purchasing a brand using the customer asset evaluation score received from the customer asset evaluation score input unit;
A customer lifetime value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customer lifetime value using the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company sales information, and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s; And
And a customer asset calculating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 customer asset by multiplying the customer lifetime value by the total number of custome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부는 구전 요소와 브랜드-자아 일치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자산 측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ocial network unit customer property measur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ord-of-mouth element and brand-ego identity elemen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전 요소는 브랜드를 사용한 이후에 대한 평가로서의 구전의도 항목과 고객의 구매시 타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구전효과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브랜드-자아 일치성 요소는 인지적 일치성, 감정적 일치성, 평가적 일치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자산 측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word of mouth element includes a word of intention item as an evaluation of the after use of the brand and a word of mouth effect item that is influenced by others when the customer purchases the word of mouth,
Wherein said brand-ego identity component comprises cognitive consistency, emotional consistency, and valuation consistenc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평생가치 산출부는 아래의 식에 의해서 개별 고객(i)과 브랜드(j)에 대한 상기 고객평생가치(Customer Lifetime Value: CLVij)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자산 측정 시스템.
<식>
Figure 112012038683173-pat00009

여기서,
Tij는 고객 i가 특정 기간동안 구매한 횟수,
dj는 브랜드 j의 할인율,
fi는 일정 기간동안 고객 i의 평균 구매 횟수(예: 년간 단위),
Vijt는 고객 i가 t시점에서 동안 j브랜드를 구매할 수량,
πijt는 고객 i의 t시점에서 j브랜드 구매단위당 기대이익,
Bijt는 t시점에 고객 I의 브랜드 j 구매확률행렬원소,
t/fi는 구매 시점에 따라 할인되는 것을 의미함.
The method of claim 1,
The customer lifetime value calculator calculates the Customer Lifetime Value (CLV ij ) for individual customers (i) and brands (j) by the following equation.
<Expression>
Figure 112012038683173-pat00009

here,
T ij is the number of purchases made by customer i over a specified period of time,
d j is the discount rate of brand j,
f i is the average number of purchases (i.e. yearly) of customer i over a period of time,
V ijt is the quantity to purchase the j brand while the customer i is at time t,
π ijt is the expected profit per unit of brand j purchased at time t of customer i,
B ijt is the brand j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of customer I at time t,
t / fi means discounted at the time of purchas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자산 산출부는 브랜드 전체 고객에 대한 개별 수준의 평균값인 상기 고객평생가치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자산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자산 측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ustomer asset calculating unit calculates the customer asset using the customer lifetime value which is an average value of individual levels for all the customers of the bra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확률행렬원소 산출부는
상기 고객자산 평가점수를 효용 모델에 적용하여 고객의 각 브랜드에 대한 효용가치를 산출하는 효용가치 산출부;
상기 고객의 각 브랜드에 대한 효용가치를 전체 브랜드의 효용가치와 비교하여 상기 각 브랜드에 대한 선택확률을 산출하는 선택확률 산출부; 및
상기 선택확률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각 브랜드에 대한 선택확률에 마르코프 체인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고객의 각 브랜드 이동 형태에 관한 전이행렬을 산출하는 전이행렬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자산 측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calculating unit
A utility value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utility value for each brand of a customer by applying the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to a utility model;
A selection probability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selection probability for each brand by comparing the utility value of each brand of the customer with the utility value of all brands; And
And a transition matrix calculator configured to apply a Markov chain model to the selection probability for each brand calculated by the selection probability calculator to calculate a transition matrix for each type of brand movement of the customer.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확률행렬원소 산출부는
상기 가치 자산부, 브랜드 자산부, 관계 자산부, 소셜 네트워크부의 상대적 영향력을 결정하는 주성분 계수를 산출하는 주성분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자산 측정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calculating unit
And a principal component analyzer configured to calculate principal component coefficients for determining relative influences of the value asset, the brand asset, the relationship asset, and the social network.
고객자산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고객자산 측정 방법에 있어서,
고객구매정보 입력부가 구매 브랜드, 평균 구매 금액, 구매 빈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구매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고객자산 평가점수 입력부가 가치 자산부, 브랜드 자산부, 관계 자산부, 소셜 네트워크부로 구성되는 고객 자산부에 대한 고객자산 평가점수를 입력받는 단계;
기업판매정보 입력부가 할인율, 전체 고객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기업판매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구매확률행렬원소 산출부가 상기 고객자산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브랜드를 구매할 구매확률행렬원소를 산출하는 단계;
고객평생가치 산출부가 상기 고객구매정보, 기업판매정보 및 구매확률행렬원소를 이용하여 고객평생가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고객자산 산출부가 상기 고객평생가치를 상기 전체 고객수와 곱하여 고객자산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자산 측정 방법.
In the customer asset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customer asset measurement system,
Receiving, by the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input unit,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purchase brand, an average purchase amount, and a purchase frequency;
Receiving, by the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input unit, a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for the customer asset unit consisting of a value asset unit, a brand asset unit, a relationship asset unit, and a social network unit;
Receiving, by the corporate sales information input unit, corporate sale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discount rate and the total number of customers;
Calculating, by a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calculating unit, a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for purchasing a brand using the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Calculating a customer lifetime value using the customer lifetime value calculation unit using the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corporate sales information, and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s; And
And a customer asset calculator calculates a customer asset by multiplying the customer lifetime value by the total number of customer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드라이버는 구전 요소와 브랜드-자아 일치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자산 측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nd wherein the social network driver comprises a word of mouth element and a brand-ego identity elemen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전 요소는 브랜드를 사용한 이후에 대한 평가로서의 구전의도 항목과 고객의 구매시 타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구전효과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브랜드-자아 일치성 요소는 인지적 일치성, 감정적 일치성, 평가적 일치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자산 측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word of mouth element includes a word of intention item as an evaluation of the after use of the brand and a word of mouth effect item that is influenced by others when the customer purchases the word of mouth,
Wherein the brand-ego consistency factor comprises cognitive consistency, emotional consistency, and valuation consistency.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평생가치 산출부는 아래의 식에 의해서 개별 고객(i)과 브랜드(j)에 대한 고객평생가치(Customer Lifetime Value: CLVij)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자산 측정 방법.
<식>
Figure 112012038683173-pat00010

여기서,
Tij는 고객 i가 특정 기간동안 구매한 횟수,
dj는 브랜드 j의 할인율,
fi는 일정 기간동안 고객 i의 평균 구매 횟수(예: 년간 단위),
Vijt는 고객 i가 t시점에서 동안 j브랜드를 구매할 수량,
πijt는 고객 i의 t시점에서 j브랜드 구매단위당 기대이익,
Bijt는 t시점에 고객 I의 브랜드 j 구매확률행렬원소,
t/fi는 구매 시점에 따라 할인되는 것을 의미함.
The method of claim 8,
The customer lifetime value calculator calculates a customer lifetime value (CLV ij ) for each customer (i) and brand (j)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Expression>
Figure 112012038683173-pat00010

here,
T ij is the number of purchases made by customer i over a specified period of time,
d j is the discount rate of brand j,
f i is the average number of purchases (i.e. yearly) of customer i over a period of time,
V ijt is the quantity to purchase the j brand while the customer i is at time t,
π ijt is the expected profit per unit of brand j purchased at time t of customer i,
B ijt is the brand j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of customer I at time t,
t / fi means discounted at the time of purchas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자산 산출부는 브랜드 전체 고객에 대한 개별 수준의 평균값인 상기 고객평생가치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자산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자산 측정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ustomer asset calculator calculates the customer asset using the customer lifetime value, which is an average value of individual levels of all the customers of the bran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확률행렬원소 산출부내 기구비된,
효용가치 산출부가 상기 고객자산 평가점수를 효용 모델에 적용하여 고객의 각 브랜드에 대한 효용가치를 산출하는 단계;
선택확률 산출부가 상기 고객의 각 브랜드에 대한 효용가치를 전체 브랜드의 효용가치와 비교하여 상기 각 브랜드에 대한 선택 확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전이행렬 산출부가 상기 각 브랜드에 대한 선택확률에 마르코프 체인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고객의 각 브랜드 이동 형태에 관한 전이행렬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자산 측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Mechanism cost in the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by a utility value calculation unit, the utility value for each brand of the customer by applying the customer asset valuation score to the utility model;
Calculating, by a selection probability calculating unit, a selection probability for each brand by comparing the utility value of each brand of the customer with the utility value of all brands; And
And a transition matrix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a transition matrix for each type of brand movement of the customer by applying a Markov chain model to the selection probability of each brand.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확률행렬원소 산출부 내 기구비된,
주성분 분석부가 상기 가치 자산부, 브랜드 자산부, 관계 자산부, 소셜 네트워크부의 상대적 영향력을 결정하는 주성분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객자산 측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apparatus cost in the purchase probability matrix element calculation unit,
And a principal component analyzing unit calculating a principal component coefficient for determining a relative influence of the value asset unit, the brand asset unit, the relationship asset unit, and the social network unit.
제 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고객자산 측정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measuring a customer ass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4.
KR1020110017733A 2011-02-28 2011-02-28 Customer Equity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12054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733A KR101205409B1 (en) 2011-02-28 2011-02-28 Customer Equity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733A KR101205409B1 (en) 2011-02-28 2011-02-28 Customer Equity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409B1 true KR101205409B1 (en) 2012-11-27

Family

ID=47565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733A KR101205409B1 (en) 2011-02-28 2011-02-28 Customer Equity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40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499A (en) * 2013-02-28 2014-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multimedia commerce ser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499A (en) * 2013-02-28 2014-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multimedia commerce service
KR102186242B1 (en) * 2013-02-28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multimedia commerce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linillo et al. Analyz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factors on customer engagement and its impact on loyalty behaviors toward social commerce websites
Wa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customer behaviour: The mediating role of corporate image and customer satisfaction
Matute et al. The influence of EWOM characteristics on online repurchase intention: Mediating roles of trust and perceived usefulness
Amaro et al. Travelers’ use of social media: A clustering approach
Hamid et al. Behavioral intention to order food and beverage items using e-commerce during COVID-19: an integration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with trust
Tzou et al. Exploring the emotional, aesthetic, and ergonomic facets of innovative product on fashi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Lee et al. Analyzing key determinants of online repurchase intentions
Lobschat et al. Why social currency becomes a key driver of a firm's brand equity–insights from the automotive industry
Fu Tsang et al. Measuring e-service quality for online travel agencies
O’cass et al. An e-retailing assessment of perceived website-service innovativeness: Implications for website quality evaluations, trust, loyalty and word of mouth
Yang et al. The importance of customer participation for high-contact services: evidence from a real estate agency
Romero et al. Be a part of it: promoting WOM, eWOM, and content creation through customer identification
Suhan et al. Exploring the sustainable effect of mediational role of brand commitment and brand trust on brand loyalty: an empirical study
Jang et al. The effects of relationship benefit on relationship quality and store loyalty from convergence environments—NPS analysis and moderating effects
Wu et al. Effects of customer heterogeneity on participation performance in virtual brand community: A two-stage semiparametric approach
Shih Contagion effects of electronic commerce diffusion: Perspective from network analysis of industrial structure
Hoang et al. THE EFFECTS OF CONSUMER-GENERATED MEDIA ON VIETNAMESE TRAVELERS’ DECISION MAKING-MEDIATION ANALYSIS OF PERCEIVED CREDIBILITY AND TRUST
Kavak et al. Identification of adopter categories for online banking in Turkey
Garcia-De los Salmones et al. The role of brand utilities: Application to buying intention of fair trade products
KR101205409B1 (en) Customer Equity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Khokhar et al. The effect of perceived financial risk on purchase intention in Pakistan
CETINĂ et al. EXPLORING CONSUMER ENGAGEMENT IN AN E-SETTING: A QUALITATIVE RESEARCH OF MARKETING EXECUTIVES.
Chen-Hung et al. The cause and effects of word of mouth from consumer intention and behavior perspectives: A SEM model approach
Kumar et al. Factors identification: a model of unplanned multi-generational consumers' electronic purchasing decision
Shtudiner et al. Did I Make the Right Decision? Attributes That Influence People'S Choice Of City Of Resid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