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400B1 - Apparatus for removing adulteration attached to screen part automatically and discharging the removed adulteration automaticall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ving adulteration attached to screen part automatically and discharging the removed adulteration automatical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400B1
KR101205400B1 KR1020100108736A KR20100108736A KR101205400B1 KR 101205400 B1 KR101205400 B1 KR 101205400B1 KR 1020100108736 A KR1020100108736 A KR 1020100108736A KR 20100108736 A KR20100108736 A KR 20100108736A KR 101205400 B1 KR101205400 B1 KR 101205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screen
treatment tank
supply pipe
contami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7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47069A (en
Inventor
김성윤
Original Assignee
유네코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네코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네코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8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400B1/en
Publication of KR20120047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0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4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는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고, 처리조의 하부 및 스크린부의 하부에 침전 및 포집되거나 쌓인 협잡물을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유지관리가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Mechanism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remove the debris attached to the screen por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discharge the debris sedimented and collected or accumul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en portion to the outside maintenance of the device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Description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의 제거와 제거된 협잡물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협잡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adulteration attached to screen part automatically and discharging the removed adulteration automatically}Applicator for removing adulteration attached to screen part automatically and discharging the removed adulteration automatically}

본 발명은 협잡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고, 제거된 협잡물 및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협잡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more specifically, to automatically remove impurities attached to the screen part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raw water, and automatically removing the impurities caught by the removed impurities and the screen pa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which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일반적으로, 분뇨, 하수, 축산 폐수 등과 같은 원수에는 토사, 각종 씨앗, 금속, 목재, 종이, 플라스틱, 모발, 동물의 털, 짚, 기타 유?무기성 고형분 등(이하, '협잡물'이라 함)이 포함되어 있는데, 원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원수로부터 협잡물을 제거해야 한다. Generally, raw water such as manure, sewage, and livestock wastewater includes soil, various seeds, metals, wood, paper, plastics, hair, animal hair, straw, and other organic and inorganic soli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rude'). This includes, in order to treat the raw water, you need to remove the impurities from the raw water.

원수로부터 상기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원수가 스크린부를 통과하도록 하여 협잡물을 걸러낸다. 도 1은 이러한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보여준다. 상기 장치(10)는 펌프(P)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원수를 처리조(2)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원수가 처리조(2)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린부(4)를 통과한 후 후단으로 출수되도록 함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은 스크린부(4)에 의해 걸러지고 물은 스크린부(4)를 통과하여 후단으로 출수되도록 한다. 이 때, 원수는 처리조(2)의 상부로 유입된 후 하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수되기 때문에 원수는 처리조(2)의 상부에서 하부로 흐른다. 도면의 참조부호 6은 처리조(2)로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을 나타내고 7은 처리조(2)로부터 원수가 출수되는 출수관을 나타낸다. To remove the contaminants from the raw water, the raw water passes through the screen portion to filter out the contaminants. 1 shows an apparatus for removing such contaminants. The apparatus 10 sucks raw water into the treatment tank 2 using the suction force of the pump P, and after the sucked raw water passes through the screen portion 4 installed in the treatment tank 2, By allowing the water to be discharged into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aw water is filtered by the screen portion 4 and the water is passed through the screen portion 4 to be discharged to the rear end. At this time, since the raw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2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 portion, the raw water flow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2 to the lower portion. Reference numeral 6 in the drawing denotes an inflow pipe through which raw water flows into the treatment tank 2, and 7 denotes an outlet pipe through which raw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treatment tank 2.

상기 스크린부(4)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은 스크린부(4)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중력에 의해서 스크린부(4)의 내부 바닥(4a)에 침전된다. 이러한 협잡물은 주기적으로 제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처리조(2)의 덮개(3)를 열고 스크린부(4)를 바깥으로 들어낸 후, 스크린부(4)를 청소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장치(10)는 유지관리가 어렵고 청소작업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The contaminants filtered by the screen portion 4 remain attached to the screen portion 4 or are deposited on the inner bottom 4a of the screen portion 4 by gravity. Such contaminants should be removed periodically. For this purpose, the cover 3 of the treatment tank 2 should be opened, the screen 4 should be lifted out, and the screen 4 should be cleaned. Therefore, the apparatus 10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nd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to clean.

한편, 원수 중에는 인(P)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인(P)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원수에 응집제를 혼합해야 한다. 따라서, 응집제를 원수에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phosphorus (P) is often contained in raw water, in order to remove phosphorus (P), a coagulant must be mixed with raw water.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mixing the flocculant into the raw wa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스크린부에 의해서 걸러진 협잡물을 자동적으로 제거, 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관리가 편리한 협잡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which can automatically remove and discharge the impurities caught by the screen unit, thereby simplifying maintenan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수에 응집제를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which can effectively mix flocculant in raw wat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수에 응집제를 주입한 후, 급속교반과 완속교반 및 정류상태의 흐름이 순차적으로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플록이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협잡물 제거와 상기 플록형성을 하나의 장치가 수행할 수 있음에도 그 크기가 컴팩트하고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하지 않은, 협잡물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removing contaminants that allows floc to be effectively formed by injecting a flocculant into raw water and then causing rapid stirring, slow stirring, and flow of a steady stat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n object to provide a compact removal device that is compact in size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ower source, even though a single device can perform the removal of impurities and the floc 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한, 협잡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hardly occurs, easy to manufacture, and low in manufacturing cos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는, 처리조;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부; 및, 상기 원수를 스크린부의 내부로 공급하는 원수공급관;을 포함한다. 원수공급관을 통해서 유입된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은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지고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는 스크린부를 통과한 후 처리조의 상부를 통해서 배출되며,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은 아래로 유동된 후 스크린부의 하부에 설치된 협잡물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tment tank; A screen unit installed inside the treatment tank to filter out impurities contained in raw water; And a raw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raw water into the screen unit. Th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raw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aw water supply pipe are filtered by the screen part, and the raw water from which the impurities are removed is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treatment tank after the screen is removed. It is selectiv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ust discharge pip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unit.

상기 협잡물 제거장치는 처리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처리조의 하부 바닥에 침전된 오염물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오염물 배출관을 구비할 수도 있다.The contaminant removal device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and may include a contaminant discharge pipe for selectively discharging contaminants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to the outside.

상기 원수공급관은 처리조의 하부를 관통하여 스크린부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그 끝단과 마주보는 곳에 바운딩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스크린부는 상기 바운딩판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체로 설치된다. 이로써 원수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된 원수는 바운딩판에 부딪친 후 아래로 유동하면서 원형 또는 원호 형상의 흐름을 형성하여 협잡물은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지고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도 상기 흐름에 의해서 스크린부로부터 분리된다.The raw water supply pipe is installed to exten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to the inside of the screen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unding plate is installed at the end facing the end. At this time, the screen unit is integrally installed along the edge of the bounding plate. As a result, the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raw water supply pipe hits the bounding plate and flows downward to form a circular or arc-shaped flow, so that the impurities are filtered out by the screen portion, and the impurities attached to the screen portion are separated from the screen portion by the flow. .

상기 원수공급관의 끝단과 마주보는 바운딩판의 아랫면은 중앙에서부터 테두리를 향하여 하향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surface of the bounding plate facing the end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is preferably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im from the center.

상기 협잡물 제거장치는 스크린부의 하부에 설치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센서는 스크린부의 내부에 포집되거나 쌓인 협잡물의 양에 따라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에 따라 협잡물 배출관에 개재된 밸브의 개폐가 조절되도록 한다. The debris removal device may include a sensor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en unit, the sensor is to measure the pressure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the trapped or accumulated in the interior of the screen portio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interposed in the discharge pipe according to the measured pressure Allow it to be adjusted.

나아가, 상기 스크린부는 타공판 및 스트레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공판에는 소정 크기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며, 원수의 흐름에 의해서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진다. 이 때, 스트레나는 상기 타공판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트레나에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다. 제2 관통홀은 제1 관통홀 보다 그 크기가 작다. 원수가 제2 관통홀과 제1 관통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스크린부의 외부로 유동되는 동안에 협잡물이 걸러진다.Further, the screen portion may be composed of a perforated plate and a strainer. The perforated plate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has a rigidity that is not deformed by the flow of raw water. At this time, the strainer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erforated plate, the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trainer. The second through hole is smaller in size than the first through hole. The impurities are filtered while the raw water flow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first through hole sequentially and flows out of the screen portion.

한편, 상기 협잡물 제거장치는 원수공급관으로 유동하는 원수에 응집제를 주입하고 이를 혼합하기 위한 응집제 혼합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응집제 혼합수단은, 원수 공급관의 경로상에 개재된 응집제 혼합용관; 및, 소정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고 응집제 혼합용관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응집제 혼합용관의 유로 단면적을 변화시키는 버플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더불어, 상기 응집제 혼합용관의 일측에는 응집제를 주입하기 위한 응집제 주입부재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응집제 혼합용관으로 유동하는 원수는 상기 주입부재를 통해 주입된 응집제와 상기 통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급속하게 교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aminant removal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coagulant mixing means for injecting a coagulant into the raw water flowing in the raw water supply pipe and mixing it. The flocculant mixing means, the flocculant mixing pipe interposed on the path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And a baffl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sized through hole and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ithin the coagulant mixing tube to change a flow passag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agulant mixing tube. In addition, one side of the coagulant mixing tube is provided with a coagulant injection member for injecting a coagulant. Accordingly,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coagulant mixing tube can be rapidly stirr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coagulant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memb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협잡물 제거방법은, (a) 처리조와,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부 및, 스크린부의 내부로 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을 구비하는 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b) 원수공급관을 통하여 원수가 스크린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단계; (c) 스크린부의 내부에서 원수의 흐름에 따라 원수에 포함된 상기 협잡물이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지도록 하고, 걸러진 협잡물은 아래로 유동하여 스크린부의 하부에 쌓이도록 하며, 스크린부를 통과한 원수는 처리조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d) 스크린부의 하부에 연결된 협잡물 배출관을 개방하여 스크린부의 하부에 쌓인 협잡물은 협잡물 배출관에 개재된 밸브를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comprising: (a) a treatment tank, a screen unit installed inside the treatment tank to filter out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aw water, and an apparatus for supplying the raw water to the screen unit. Preparing a; (b) allowing raw water to flow into the screen portion through the raw water supply pipe; (c)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aw water are filtered by the screen part according to the flow of raw water in the screen part, and the filtered contaminants flow downward to be accumul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screen part, and the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screen part is Discharging through the top; And (d) opening the contaminant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creen part so that the contaminant accumulated on the lower part of the screen par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opening a valve interposed in the contaminant discharge pipe.

상기 협잡물 제거방법은 처리조의 하부 바닥에 침전된 오염물을 오염물 배출관에 개재된 밸브를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method for removing the contaminants may include discharging contaminants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opening a valve interposed in the contaminant discharge pipe.

상기 스크린부의 상단에는 바운딩판이 설치되며, 이 경우에, 상기 (c) 단계는 원수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된 원수가 바운딩판에 부딪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부의 내부에서 원형 또는 원호형상의 원수 흐름이 발생되고, 상기 흐름에 따라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지도록 하며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도 스크린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A bounding plate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creen part. In this case, in step (c), the raw water flowing from the raw water supply pipe collides with the bounding plate to generate a circular or arc-shaped raw water flow in the screen part. As a flow, th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raw water are filtered out by the screen portion, and the impurities attached to the screen portion are also separated from the screen portion.

상기 (b) 단계는 원수공급관의 경로상에 개재된 응집제 혼합용관에 응집제를 주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주입은 상기 응집제와 원수의 혼합을 촉진하기 위해서 유로단면적을 변화시키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ep (b) may include injecting a coagulant into the coagulant mixing tube interposed on the path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wherein the injection is made in a state in which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is changed to promote mixing of the coagulant and the raw water. desirable.

상기 원수공급관은 처리조의 하부를 관통하여 스크린부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부를 통과하여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는 처리조의 상부로 유동된 후 외부로 배출되되, 상기 유동은 정류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aw water supply pipe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low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to extend into the screen portion, and the raw water from which the contaminants are removed through the screen por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flow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but the flow is in a rectified state. desirable.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The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을 자동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부로부터 제거된 협잡물과, 스크린부의 하부(또는 바닥)에 포집되거나 쌓인 협잡물 및, 처리조의 하부(또는 바닥)에 침전된 오염물을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관리가 편리하고 유지비용이 작게 소요된다. First,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move the impurities attached to the screen portion. In addition, the debris removed from the screen portion, the debris collected or accumulated in the bottom (or bottom) of the screen portion, and the contaminants deposited on the bottom (or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by maintaining It is convenient and the maintenance cost is small.

둘째, 원수에 응집제를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완속교반 또는 혼화조 등의 후속공정과 연계하여 응집반응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Second, the flocculant can be effectively mixed with the raw water. Accordingly, the coagulation reaction can be further promoted in connection with subsequent processes such as slow stirring or mixing tank.

셋째, 원수에 응집제를 주입한 후, 급속교반과 완속교반 및 정류상태의 흐름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플록이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Third, after the flocculant is injected into the raw water, the floc can be effectively formed by the rapid stirring, the slow stirring, and the flow of the steady state.

넷째, 원수로부터의 협잡물 제거 및 플록형성을 하나의 장치가 수행할 수 있음에도 그 크기가 컴팩트하고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하지 않다. Fourth, although a single device can perform the removal of contaminants from the raw water and flocculation, the size is compact and no separate power source is required.

다섯째, 그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하다.Fifth, the structure is simple, almost no failure occurs, easy to manufacture, and low production cos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의 주요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의 주요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2의 스크린부에 구비된 타공판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도 2의 스크린부에 구비된 스트레나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도 2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의 주요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도 7의 협잡물 제거장치에 구비된 응집제 혼합수단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응집제 혼합수단에 구비된 버플 플레이트 및 연결바를 보여주는 사시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debri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for removing a contamina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4 is a plan view showing a perforated plate provided in the screen portion of 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rainer provided in the screen unit of FIG. 2;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2.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contaminan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occulant mixing means provided in the contaminant removing device of FIG.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ffle plate and connecting bar provided in the flocculant mixing means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은 원수를 처리조의 하부를 관통하여 스크린부의 내부로 연장된 원수공급관을 통해 공급하고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는 처리조의 상부에 개재된 유출관을 통해 배출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스크린부의 내부에서 원수가 유동하는 동안에 협잡물은 스크린부에 의해서 걸러지고(포집되고) 물은 스크린부의 외부로 출수된다. 이 때, 원수의 상기 유동에 의해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이 제거되어 스크린부의 하부(바닥)에 쌓이게 되는데, 이렇게 쌓인 협잡물은 협잡물 배출관을 통해서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협잡물 배출관에 개재된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협잡물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w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raw water supply pipe extending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and into the screen portion, and the raw water from which the contaminants are remove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ipe inter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Accordingly, while the raw water flows inside the screen portion, contaminants are filtered out (captured) by the screen portion and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creen portion. At this time, the impurities attached to the screen part are removed by the flow of raw water and accumulated at the bottom (bottom) of the screen part, and the accumulated impurities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through the junk discharge pipe. That is, by opening the valve interposed in the contaminant discharge pipe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의 주요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a contamina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협잡물 제거장치(100)는 처리조(10)와, 처리조(10)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린부(20) 및, 스크린부(20)의 내부로 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ebris removing apparatus 100 includes a treatment tank 10, a screen unit 20 installed inside the treatment tank 10, and a raw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screen unit 20 ( 30).

처리조(10)는 원통형상을 가지는데, 그 내부에는 원수가 수용되고 스크린부(2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처리조(10)에는 원수공급관(30), 유출관(11) 및, 오염물 배출관(12)이 각각 연결된다. The treatment tank 10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raw water is received and has an inner space in which the screen unit 20 is installed. The raw water supply pipe 30, the outflow pipe 11, and the pollutant discharge pipe 12 are connected to the treatment tank 10, respectively.

유출관(11)은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가 배출되는 관으로서, 처리조(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flow pipe 11 is a pipe through which raw water from which contaminants have been removed is preferably disposed above the treatment tank 10.

오염물 배출관(12)은 처리조의 하부(또는 바닥)에 침전된 오염물이 배출되는 관으로서, 처리조(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오염물 배출관(12)에는 밸브(13), 바람직하게는 전동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13)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된다. 상기 오염물은 스크린부(20)를 통과한 원수에 포함된 오염물로서, 중력에 의해서 처리조(10)의 바닥에 침전된 물질을 뜻한다.The pollutant discharge pipe 12 is a pipe through which contaminants precipitated at the bottom (or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are discharged and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10. The contaminant discharge pipe 12 is provided with a valve 13, preferably an electric valve, and the valve 13 is opened or closed manually or automatically. The contaminants ar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screen unit 20 and refer to materials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10 by gravity.

한편, 오염물 배출관(12)을 통하여 오염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처리조(10)의 바닥은 오염물 배출관(12)을 향하여 하향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contaminants through the contaminant discharge pipe 12,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10 is preferably formed to form a downward slope toward the contaminant discharge pipe 12.

스크린부(20)는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해서 처리조(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부(20)는 지지부재(28)에 의해서 그 바닥(23)이 처리조(1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28)는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부(20)와 연결된 바닥(23)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상기 바닥(23)과 처리조(10)의 바닥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오염물이 오염물 배출관(12)으로 유동될 수 있다. The screen unit 20 is installed inside the treatment tank 10 to filter out contaminants contained in raw water. The screen portion 20 is preferably installed so that the bottom 23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10 by the support member 28. The support member 28 is a member which i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support the bottom 23 connected to the screen 20, and contaminants are contaminat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23 and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10. It may flow to the discharge pipe (12).

스크린부(20)의 하부, 바람직하게는 스크린부(20)의 바닥(23)에는 협잡물 배출관(24)이 연결된다. 상기 바닥(23)에 포집되거나 쌓인 협잡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바닥(23)은 협잡물 배출관(24)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aminant discharge pipe 24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en portion 20, preferably the bottom 23 of the screen portion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23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ontaminant discharge pipe 24 so that the contaminants collected or accumulated on the bottom 23 can be easily discharged.

그리고, 원수공급관(30)에는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P) 및 밸브(32)가 마련되며, 원수공급관(30)은 처리조(10) 하부를 관통하여 스크린부(20)의 내부로 연장된 후 상측으로 굴곡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수공급관(30)의 끝단이 바운딩판(40)을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aw water supply pipe 30 is provided with a pump (P) and a valve 32 for supplying raw water, the raw water supply pipe 30 extends into the screen portion 20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10. It is preferably installed so as to bend upward. That is, the end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30 is preferably installed to face the bounding plate 40.

한편, 협잡물 배출관(24)에는 협잡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밸브(29), 바람직하게는 전동 밸브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29)는 센서(14)의 신호에 따라 개폐될 수도 있는데, 센서(14)는 스크린부(20)의 내부에 포집되거나 하부 바닥에 쌓인 협잡물의 양에 따라 압력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상기 신호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밸브(29)를 개방하여 협잡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aminant discharge pipe 24 is provided with a valve 29, preferably an electric valv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contaminant. The valve 29 may be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sensor 14, the sensor 14 detects the pressure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contaminants trapped in the screen portion 20 or accumulated in the lower floor to detect the signal. When the signal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ler opens the valve 29 to discharge the contaminants to the outside.

협잡물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해서 포집되거나 쌓인 협잡물의 양에 따라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14)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협잡물의 높이나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런 센서는 시중에서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In order to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contaminants, a sensor 14 for detecting pressure depending on the amount of trapped or accumulated condensate may be used, but a sensor for detecting the height or concentration of the contaminant may be used. Since these sensors are readily available on the market,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here.

한편, 스크린부(20)의 상단에는 바운딩판(40)이 설치될 수 있다. 바운딩판(40)은 원수공급관(30)의 끝단과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스크린부(20)는 바운딩판(4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체로 설치된다. Meanwhile, the bounding plate 40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creen unit 20. The bounding plate 40 is installed to face the end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30, and the screen unit 20 is integrally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unding plate 40.

바운딩판(40)은 그 아랫면이 중앙에서부터 테두리를 향하여 하향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운딩판(40)의 아랫면은 '⌒'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바운딩판(40)에 부딪친 원수가 원형 또는 원호 형상의 흐름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2에서 점선으로된 화살표는 스크린부(20) 내부에서의 상기 흐름을 나타낸다.The bounding plate 40 preferably has an inclined bottom surface from the center toward the rim.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unding plate 40 preferably has a '⌒' shape, so that the raw water that strikes the bounding plate 40 forms a circular or arc-shaped flow. The dotted arrows in FIG. 2 indicate the flow within the screen portion 20.

상기 펌프(P)의 구동에 따라 원수공급관(30)으로부터 유입된 원수는 바운딩판(40)에 부딪친 후 아래로 유동(반류수력)하면서 원형 또는 원호 형상의 흐름을 형성하는데, 상기 흐름에 따라 협잡물이 스크린부(20)에 의해 걸러지고(포집되고) 스크린부(20)에 부착되어 있던 협잡물도 스크린부(20)로부터 분리되어 스크린부(20)의 하부 바닥(23)에 쌓이게 된다. The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raw water supply pipe 30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pump (P) hits the bounding plate 40 and flows down (reflux hydraulic pressure) to form a circular or circular arc-shaped flow. The contaminants that are filtered out (collected) by the screen unit 20 and attached to the screen unit 20 are also separated from the screen unit 20 and are accumulated on the lower bottom 23 of the screen unit 20.

바람직하게, 스크린부(20)는 타공판(21) 및, 타공판(21)의 내면에 밀착 상태로 설치된 스트레나(25)를 포함한다. 원통형상으로 말은 타공판(21) 내측에 스크레나(25)를 내접 밀착한 다음, 상하 및 양 끝단을 용접하거나 볼트(27) 등으로 체결하여 스크린부(20)를 만든다. Preferably, the screen unit 20 includes a perforated plate 21 and a strainer 25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erforated plate 21. In a cylindrical shape, the inner surface of the perforated plate 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creamer 25, and then the upper and lower and both ends are welded or fastened with a bolt 27 or the like to form the screen portion 20.

상기 타공판(21)은 원수의 흐름에 의해서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진 판으로서, 타공판(21)에는 소정 크기 예를 들어, 직경 10mm 정도의 제1 관통홀(22)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The perforated plate 21 is a plate that is rigid enough not to be deformed by the flow of raw water, and the perforated plate 21 has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2 having a predetermined size, for example, about 10 mm in diameter. .

스트레나(25)는 제2 관통홀(26)이 복수 개 형성된 메쉬망이다. 제2 관통홀(26)은 제1 관통홀(22) 보다 작은 크기 예를 들어, 직경 40㎛~250㎛를 가진다. 원수가 제2 관통홀(26)과 제1 관통홀(2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동안에 제2 관통홀(26) 보다 큰 협잡물은 스크린부(20)에 의해 걸러진다. The strainer 25 is a mesh net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26 are formed. The second through hole 26 has a size smaller than the first through hole 22, for example, 40 μm to 250 μm in diameter. While the raw water passe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6 and the first through hole 22 sequentially, a contaminant larger than the second through hole 26 is filtered by the screen unit 20.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의 주요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contaminant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200)는 처리조(110)와, 처리조(110)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린부(120)와, 스크린부(120)의 내부로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130) 및, 원수공급관(130)의 경로상에 개재된 응집제 혼합용관(151)에 응집제를 주입하고 이를 혼합하기 위한 응집제 혼합수단(150)을 구비한다. 도 7의 참조부호 중에서 도 2 내지 도 6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pparatus 200 includes a treatment tank 110, a screen unit 120 installed inside the treatment tank 110, and a raw water supply pipe 130 for supplying raw water into the screen unit 120. And a coagulant mixing means 150 for injecting a coagulant into the coagulant mixing tube 151 interposed on the path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130 and mixing the coagulant. Among the reference numerals of FIG. 7, the same elements as those of FIGS. 2 to 6 denote the same components having the same role.

상기 장치(200)는 응집제를 주입하고 이를 혼합하기 위한 응집제 혼합수단(150)이 구비되며, 제1 실시예에 비하여 처리조(110)의 직경 및 높이는 크고 스크린부(120)의 높이는 낮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응집제 혼합수단(150)에 의해서 급속교반된 혼합수(원수와 응집제가 혼합된 것)는 스크린부(120)의 내부에서 완속교반된 후 스크린부(120)로부터 출수된 다음, 처리조(110)의 상부에 개재된 유출관(11)쪽으로 정류상태로 흐르면서 플록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급속교반, 완속교반 및 정류상태의 흐름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면 플록이 효과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정이 하나의 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지면서도 장치가 컴팩트하다는 장점을 가진다.The apparatus 200 is provided with a flocculant mixing means 150 for injecting and mixing the flocculant, the diameter and height of the treatment tank 110 and the height of the screen unit 120 is low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Has Accordingly, the mixed water (mixed with the raw water and the coagulant) rapidly stirred by the coagulant mixing means 150 is slowly stirred inside the screen unit 120 and then discharged from the screen unit 120, and then the treatment tank ( The floc is formed while flowing in a rectified state toward the outlet pipe 11 interpos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110. As such, when the rapid stirring, the slow stirring, and the flow of the rectified state are sequentially performed, flocs may be effectively generate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device is compact while this process is accomplished by one device.

처리조(110)는 원통형상을 가지는데, 그 내부에는 혼합수가 수용되고 스크린부(12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처리조(110)에는 원수공급관(130), 유출관(11) 및, 오염물 배출관(12)이 각각 연결된다. The treatment tank 11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mixed space is accommodated therein and has an inner space in which the screen unit 120 is installed. The raw water supply pipe 130, the outflow pipe 11, and the pollutant discharge pipe 12 are connected to the treatment tank 110, respectively.

유출관(11)은 협잡물이 제거된 혼합수가 배출되는 관이고, 오염물 배출관(12)은 혼합수에 포함되었다가 침전된 오염물이 배출되는 관이다. 유출관(11)은 제1 실시예의 유출관(11)과 동일하고 오염물 배출관(12)은 제1 실시예의 오염물 배출관(12)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outflow pipe 11 is a pipe through which the mixed water from which the contaminants have been removed is discharged, and the contaminant discharge pipe 12 is a pipe through which the contaminants deposited in the mixed water are discharged. The outflow pipe 11 is the same as the outflow pipe 11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contaminant discharge pipe 12 is the same as the contaminant discharge pipe 12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스크린부(120)는 혼합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해서 처리조(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부(120)의 하부, 바람직하게는 바닥(23)에는 협잡물을 배출하는 협잡물 배출관(24)이 설치된다. 상기 바닥(23)은 협잡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협잡물 배출관(24)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creen unit 120 is installed inside the treatment tank 110 to filter out contaminants included in the mixed water. The lower part, preferably the bottom 23 of the screen unit 120 is provided with a contaminant discharge pipe 24 for discharging the contaminant. The bottom 23 is preferably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ontaminant discharge pipe 24 so that the contaminants can be easily discharged.

한편, 협잡물 배출관(24)에는 밸브(29)가 설치되는데, 상기 밸브(29)가 센서(14)에 의해서 개폐되는 과정은 제1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다. On the other hand, a valve 29 is installed in the contaminant discharge pipe 24,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29 by the sensor 14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부(120)는 제1 실시예의 스크린부(20)에 비하여 그 높이는 낮고 직경은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부(120)는 비교적 큰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스크린부(120)의 내부에서는 수류가 완만하여 완속교반이 이루어지고 외부(즉, 바운딩판(40)의 상측 및 스크린부(120)의 외측방향)에서는 혼합수가 정류상태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스크린부(120)의 내부에서는 완만한 완속교반이 이루어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portion 120 is lower in height and relatively larger in diameter than the screen portion 20 in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the screen unit 120 has a relatively large internal space is formed, so that the flow of water is gentle in the interior of the screen unit 120 is a slow stirring and the outside (that is, the upper side and the screen portion of the bounding plate 40) In the outer direction of 120), the mixed water flows in the rectified state. In addition, a gentle slow stirring is performed inside the screen unit 120.

여기서, 상기 정류상태는 급속한 흐름의 변화가 없고 완만하게 흘러가는 유체의 흐름을 의미하며, 완속교반은 응집제 혼합수단(150)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급속교반에 비하여 비교적 완만하게 이루어지는 교반을 의미한다.Here, the rectified state refers to the flow of the fluid flowing smoothly without a rapid change of the flow, slow stirring means a relatively gentle stirring compared to the rapid stirring made in the flocculant mixing means 150.

상기 스크린부(120)의 상단에는 바운딩판(4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운딩판(40)의 구조는 제1 실시예의 바운딩판(40)과 동일하다. 펌프(P)의 구동에 따라 원수공급관(130) 및 응집제 혼합수단(150)을 통해 유입된 혼합수는 바운딩판(40)에 부딪친 후 아래로 유동(반류수력)하면서 원형 또는 원호(圓弧) 형상의 흐름을 형성하는데, 상기 흐름에 따라 협잡물이 스크린부(120)에 의해 걸러지고(포집되고) 스크린부(120)에 부착되어 있던 협잡물도 스크린부(120)로부터 분리되어 바닥(23)에 쌓이게 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bounding plate 40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creen unit 120. The structure of the bounding plate 40 is the same as that of the bounding plate 40 of the first embodiment. As the pump P is driven, the mix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aw water supply pipe 130 and the flocculant mixing means 150 hits the bounding plate 40 and then flows down (reflux hydraulic pressure) while being circular or circular. It forms a flow of shape, in which the contaminants are filtered (collected) by the screen unit 120 and the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screen unit 120 are also separated from the screen unit 120 to the bottom 23. Will accumulate.

바람직하게, 스크린부(120)는 타공판(21) 및, 타공판(21)의 내면에 밀착상태로 설치된 스트레나(25)를 포함한다. 원통형상으로 말은 타공판(21) 및 스트레나(25)는 제1 실시예의 타공판(21) 및 스트레나(25)와 그 구조가 동일하다. Preferably, the screen unit 120 includes a perforated plate 21 and a strainer 25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erforated plate 21. The cylindrically perforated plate 21 and the strainer 25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perforated plate 21 and the strainer 25 of the first embodiment.

원수공급관(130) 및 응집제 혼합수단(150)을 통해 원수가 스크린부(120)의 내부로 유입되며, 원수공급관(130)은 처리조(110)의 하부를 관통하여 스크린부(120)의 내부로 연장된 후 그 끝단이 위쪽을 향하도록 굴곡된다. 따라서, 원수공급관(130)의 끝단으로부터 유입된 혼합수는 바운딩판(40)에 부딪친 후 아래로 유동하면서 원형 또는 원호 형상의 흐름을 형성하고, 상기 흐름에 따라 협잡물이 스크린부(120)에 의해 걸러지고(포집되고) 스크린부(120)에 부착되어 있던 협잡물도 스크린부(120)로부터 분리되어 바닥(23)에 쌓이게 된다. Raw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screen unit 120 through the raw water supply pipe 130 and the flocculant mixing means 150, and the raw water supply pipe 130 penetrates the low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110 to form the interior of the screen unit 120. After extending, the ends are bent upwards. Therefore, the mixed water introduced from the end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130 hits the bounding plate 40 and flows down to form a circular or circular arc-shaped flow, and the contaminants are formed by the screen unit 120 according to the flow. The contaminants that were filtered (collected) and attached to the screen portion 120 are also separated from the screen portion 120 and are accumulated on the bottom 23.

한편, 응집제 혼합수단(150)은 응집제 혼합용관(151)과, 응집제 혼합용관(151)의 내부에 설치된 버플 플레이트(155)를 포함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원수에 포함된 인(P)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응집제를 원수에 혼합하여 플록을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 응집제는 원수에 용존 상태로 존재하는 인을 응집시켜서 플록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그 종류와 구성 성분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고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물질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agulant mixing means 150 includes a coagulant mixing tube 151 and a baffle plate 155 provided inside the coagulant mixing tube 151. As is known, in order to remove phosphorus (P) contained in raw water, flocculants must be mixed with raw water to form flocs. The flocculant forms flocs by agglomerating phosphorus present in the raw water and its kind and components are already widely known and commercially available.

응집제 혼합용관(151)은 원수공급관(130)의 경로상에 개재된다. 따라서, 원수공급관(130)으로 유동하는 원수는 응집제 혼합용관(151)을 거쳐 원수 공급관(130)의 끝단을 통해 스크린부(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바람직하게, 응집제 혼합용관(151)에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해서 응집제가 주입된다. The flocculant mixing pipe 151 is interposed on the path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130. Therefore,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raw water supply pipe 130 is introduced into the screen unit 120 through the end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130 through the flocculant mixing pipe 151. Preferably, an inlet is formed in the coagulant mixing tube 151 and a coagulant is injected through the inlet.

버플 플레이트(155)는 응집제 혼합용관(151)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설치된다. 버플 플레이트(155)에는 소정 크기의 통공(156)이 형성된다. 응집제 혼합용관(151)의 내부를 흐르던 원수와 응집제는 통공(156)을 통과하기 때문에 유로 단면적의 차에 따른 유속차가 급격하게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응집제 혼합용관(151)의 내부에는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은 흐름이 형성되어 급속교반이 이루어져서 응집제와 원수의 혼합이 촉진된다.A plurality of baffle plates 155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side the coagulant mixing pipe 151. The baffle plate 155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56 of a predetermined size. Since the raw water and the coagulant flowing through the coagulant mixing tube 151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56, the flow rate difference is changed drastically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agulant mixture, so that the inside of the coagulant mixing tube 151 is indicated by a dotted arrow. As the flow is formed, rapid stirring is performed to promote mixing of flocculant and raw water.

복수 개의 버플 플레이트(155)는 연결용 바(157)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용 바(157)는 버플 플레이트(155)의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에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버플 플레이트(155)를 서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버플 플레이트(155)의 외측 가장자리가 응집제 혼합용관(151)의 내부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연결용 바(157)가 복수 개의 버플 플레이트(155)를 서로 연결하기 때문에 응집제 혼합용관(151)의 내부에 설치하기가 편리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baffle plates 15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bar 157. The connecting bar 157 is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at the outer edge of the baffle plate 155 to connect the plurality of baffle plates 155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outer edge of the baffle plate 155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agulant mixing tube 151.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ng bar 157 connects the plurality of baffle plates 155 to each other, it is convenient to install the inside of the coagulant mixing tube 151.

바람직하게, 상기 주입구에는 주입부재(153)가 설치된다. 상기 주입부재(153)는 응집제 혼합용관(151)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되, 그 끝단이 원수의 흐름 방향과는 반대방향 즉, 상류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주입부재(153)의 끝단이 상류측으로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응집제와 원수의 혼합이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Preferably, the injection hole is provided with an injection member 153. The injection member 153 is installed to extend into the inside of the flocculant mixing tube 151, the end of which is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raw water, that is, upstream. Since the end of the injection member 153 is bent upstream, mixing of the flocculant and the raw water can be made more effective.

그러면, 상기 장치(2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의 장치(100)가 작동되는 과정은 상기 장치(200)의 작동과정을 참조하면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장치(100)의 작동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Next, an operation process of the apparatus 200 will be described. Since the operation of the device 100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y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device 200, a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device 100 will be omitted.

먼저, 밸브(32)를 개방하고 펌프(P)를 작동시켜 원수를 공급하며, 주입부재(153)를 통해서 응집제를 응집제 혼합용관(151)에 주입한다. 원수와 응집제는 처리조(110) 쪽으로 흘러가면서 혼합되는데, 이러한 혼합은 유로 단면적이 급격하게 변하기 때문에 더욱 촉진된다. 즉, 응집제 혼합용관(151)에는 복수 개의 버플 플레이트(155)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원수와 응집제가 버플 플레이트(155)를 통과하는 동안에 유로 단면적의 차에 따른 유속차가 급격하게 변화하여 급속교반이 이루어진다. First, the valve 32 is opened, the pump P is operated to supply raw water, and the coagulant is injected into the coagulant mixing tube 151 through the injection member 153. The raw water and the flocculant are mixed while flowing toward the treatment tank 110, and this mixing is further promoted because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changes drastically. That is, since the plurality of baffle plates 155 are provided in the coagulant mixture pipe 151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flow rate difference is rapidly change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while the raw water and the coagulant pass through the baffle plate 155. Stirring is done.

상기 급속교반이 이루어진 혼합수는 원수공급관(130)의 끝단을 통하여 스크린부(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스크린부(120)의 내부로 유입된 혼합수는 바운딩판(40)에 부딪친 후 원형 또는 원호 형상의 흐름을 형성하면서 아래로 유동하고, 이에 따라 혼합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스크린부(120)에 의해서 걸러지고 스크린부(120)에 부착되어 있던 협잡물도 스크린부(120)로부터 분리된다. 스크린부(120)로부터 분리된 협잡물은 중력에 의해서 아래로 유동하여 스크린부(120)의 하부 바닥(23)에 쌓이게 된다. 동시에, 스크린부(120)의 내부에서는 상기 흐름에 의해 완속교반이 이루어진다.The mixed water in which the rapid stirring is performed is introduced into the screen unit 120 through the end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130. The mixed water introduced into the screen unit 120 flows downward while hitting the bounding plate 40 to form a circular or arc-shaped flow, so that the contaminants included in the mixed water flow into the screen unit 120. By-products that are filtered out and attached to the screen unit 120 are also separated from the screen unit 120. The contaminants separated from the screen unit 120 flow down by gravity and are accumulated on the bottom bottom 23 of the screen unit 120. At the same time, slow stirring is performed by the flow inside the screen unit 120.

스크린부(120)의 하부에 설치된 센서(14)는 스크린부(120)의 내부에 포집되거나 하부 바닥(23)에 쌓인 협잡물의 양에 따라 압력을 측정한다. 상기 압력이 소정 기준치를 넘어서면 센서(14)가 제어부(미도시)에 그 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는 밸브(29)를 개방하여 협잡물을 외부로 배출한다.The sensor 14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en unit 120 measures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ntaminants collected in the screen unit 120 or accumulated on the lower bottom 23. When the pressure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sensor 14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ler (not shown), and the controller opens the valve 29 to discharge the contaminants to the outside.

한편, 스크린부(120)로부터 출수된 혼합수는 처리조(110)의 상부에 개재된 유출관(11)을 향해서 정류상태의 흐름을 형성하면서 유동된 후 유출관(1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혼합수에 포함된 인(P)은 플록으로 응집되는데, 정류상태의 흐름은 상기 응집을 촉진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ixed water withdrawn from the screen unit 120 flows while forming a flow of rectified toward the outlet pipe 11 inter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11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pipe (11). do. As described above, phosphorus (P) contained in the mixed water is aggregated into a floc, and the rectified flow promotes the aggregation.

덧붙여, 스크린부(120)를 통과한 혼합수 중에 포함된 오염물 중의 일부는 중력에 의해서 처리조(110)의 바닥에 침전되는데, 상기 침전된 오염물은 오염물 배출관(1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는, 침전된 오염물의 양에 따라 상기 오염물 배출관(12)에 개재된 밸브(13)를 주기적으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하여 실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some of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mixed water passing through the screen unit 120 is precipitated at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110 by gravity, and the precipitated contaminants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taminant discharge pipe 12. have. This may be performed by automatically opening or closing the valve 13 interposed in the pollutant discharge pipe 12 periodically or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pollutant precipitated.

10, 110 : 처리조 20, 120 : 스크린부
30, 130 : 원수공급관 40 : 바운딩판
150 : 응집제 혼합수단 100, 200 : 협잡물 제거 장치
10, 110: treatment tank 20, 120: screen portion
30, 130: raw water supply pipe 40: bounding plate
150: flocculant mixing means 100, 200: dust removal device

Claims (6)

처리조;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부; 및
상기 원수를 스크린부의 내부로 공급하는 원수공급관;을 포함하고,
원수공급관을 통해서 유입된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은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지고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는 스크린부를 통과한 후 처리조에 개재된 유출관을 통해 배출되며,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은 아래로 유동된 후 스크린부의 하부에 설치된 협잡물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되고,
원수공급관은 스크린부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그 끝단과 마주보는 곳에 바운딩판이 설치되며, 스크린부는 바운딩판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체로 설치되고,
원수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된 원수는 바운딩판에 부딪친 후 아래로 유동하면서 원형 또는 원호 형상의 흐름을 형성하여 협잡물은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지고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도 상기 흐름에 의해서 스크린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Treatment tank;
A screen unit installed inside the treatment tank to filter out impurities contained in raw water; And
Includes; raw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raw water into the screen portion,
Th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raw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aw water supply pipe are filtered by the screen part, and the raw water from which the impurities are remove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flow pipe interposed in the treatment tank after passing through the screen part. And then selectiv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ste discharge pip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en,
Raw water supply pipe is installed to extend into the inside of the screen portion and bounding plate is installed where it faces the end, the screen portion is integrally installed along the edge of the bounding plate,
The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raw water supply pipe flows downward after hitting the bounding plate and forms a circular or arc-shaped flow so that the impurities are filtered out by the screen portion and the impurities attached to the screen portion are separated from the screen portion by the flow. A dust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108736A 2010-11-03 2010-11-03 Apparatus for removing adulteration attached to screen part automatically and discharging the removed adulteration automatically KR1012054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736A KR101205400B1 (en) 2010-11-03 2010-11-03 Apparatus for removing adulteration attached to screen part automatically and discharging the removed adulteration automatical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736A KR101205400B1 (en) 2010-11-03 2010-11-03 Apparatus for removing adulteration attached to screen part automatically and discharging the removed adulteration automatical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069A KR20120047069A (en) 2012-05-11
KR101205400B1 true KR101205400B1 (en) 2012-11-27

Family

ID=4626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736A KR101205400B1 (en) 2010-11-03 2010-11-03 Apparatus for removing adulteration attached to screen part automatically and discharging the removed adulteration automatical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40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679B1 (en) * 2014-07-10 2015-03-10 대한민국 Ash and solid concentrator in biofilter system for waste water treatment in fish far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508B1 (en) * 2015-12-21 2016-07-08 에코이앤오주식회사 Apparatus for waste-water reuse using advanced oxidation proces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6112A (en) 1996-11-28 1998-06-16 Riyuubi:Kk Sewage filtering and purifying device for fish breeding
KR100877309B1 (en) 2008-03-07 2009-01-07 주식회사 대금지오웰 Cyclone settling apparatus and wheel washing machine utilizing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6112A (en) 1996-11-28 1998-06-16 Riyuubi:Kk Sewage filtering and purifying device for fish breeding
KR100877309B1 (en) 2008-03-07 2009-01-07 주식회사 대금지오웰 Cyclone settling apparatus and wheel washing machine utilizing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679B1 (en) * 2014-07-10 2015-03-10 대한민국 Ash and solid concentrator in biofilter system for waste water treatment in fish far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069A (en)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1481B2 (en) Water treatment device and water treatment device filter medium cleaning method
KR101188143B1 (en) Trainer establishment structure for waterworks piping
WO2011001819A1 (en) Water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filtration material layer for water treatment device
JP4765045B2 (en) Solid-liquid separation device and solid-liquid separation system
KR101318263B1 (en) A precipitator for a nursery to cycle filtration
KR101205400B1 (en) Apparatus for removing adulteration attached to screen part automatically and discharging the removed adulteration automatically
KR101651081B1 (en) Water treatment system
KR200400258Y1 (en) Sludge moisture separator for sewage purifying
CN205528127U (en) Plant retrencies formula sewage treatment plant
CN105597398B (en) A kind of particle filtering processing unit of sewage disposal device
KR101185811B1 (en) Solid removal system by multi-whirl combined with degassing function
JP3175010B2 (en) Solid-liquid separation device
CN205653266U (en) Seat shape filter screen formula sewage treatment ware
KR20150006585A (en) A Sludge turnkey treatment system for a basin
KR101642928B1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KR20090028134A (en) Solid-liquid separation machin of rotary drum type
KR100457657B1 (en) Device for enriching and underlying of sludge
KR100979530B1 (en) Sewage purification apparatus
KR101799745B1 (en) Spiral Aerated Grit and FOG Remover System
KR100707828B1 (en) An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Plant Fluid and the Remains of Soil Inside
KR200225625Y1 (en) Filtration apparatus for dirty water
CN205549789U (en) A carousel filtering pond for high concentration suspended solid sewage filtration treatment
CN209092891U (en) A kind of environment-protecting comprehensive sewage filter device
CN215667451U (en) Emergency landfill leachate treatment device
WO2014180481A1 (en) A biological purif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cleaning individual filtering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