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002B1 - 리필용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리필용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002B1
KR101205002B1 KR1020110017285A KR20110017285A KR101205002B1 KR 101205002 B1 KR101205002 B1 KR 101205002B1 KR 1020110017285 A KR1020110017285 A KR 1020110017285A KR 20110017285 A KR20110017285 A KR 20110017285A KR 101205002 B1 KR101205002 B1 KR 101205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refill
case
circumferential surface
refil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823A (ko
Inventor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찬
Priority to KR1020110017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002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2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리필용 화장품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리필용 화장품 용기는, 상단부에 제1 나사산이 마련되며 하단부에 제2 나사산이 마련되는 중공 원통 형상의 연결 바디; 연결 바디의 상측을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제1 나사산에 나사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제3 나사산이 하단부에 형성되는 캡; 및 연결 바디의 하측을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제2 나사산에 나사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제4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부에 액체 또는 젤 상의 화장재료가 내장되고 화장재료의 소진시 교체될 수 있도록 연결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는 리필케이스를 포함하되, 리필케이스의 제4 나사산은, 연결 바디로부터 캡을 분리하는 경우 리필케이스가 연결 바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3 나사산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재료가 내장되는 리필케이스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리필용 화장품 용기{Cosmetics container capable of refill}
본 발명은 리필용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재료가 내장되는 리필케이스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여성들이 자신의 얼굴을 아름답게 가꾸는데 사용되는 화장품은 화장품 용기에 내장되어 판매되는데, 화장품 용기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액체 또는 젤 상의 화장품(이하 '화장재료'라 한다)이 내장되는 화장품 통과, 화장품 통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이에 화장재료의 반복 사용에 따라 화장품 통에 내장된 화장재료가 모두 소진되면 소비자는 화장품 용기 전체를 버리고 새로운 화장품 용기를 구매하여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내장된 화장재료가 동일한 경우에도 일회용으로만 생산, 판매되므로, 소비자에게 화장품 용기 자체의 비용을 부담시키며 버려진 화장품 용기의 재활용이 용이하지 않음에 따라 산업 폐기물의 양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에 따라 최근에는 화장재료가 내장된 화장품 통만을 교체하도록 마련된 리필용 화장품 용기가 개발된 바 있으나 화장품 통을 교체하는 방법이 까다롭고 디자인 측면에서도 외관이 유려하지 못함에 따라 그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화장재료가 내장되는 화장품 통의 교체를 간편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디자인의 측면에서도 심미감을 향상시킴으로써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재료가 내장되는 리필케이스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단부에 제1 나사산이 마련되며 하단부에 제2 나사산이 마련되는 중공 원통 형상의 연결 바디; 상기 연결 바디의 상측을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나사산에 나사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제3 나사산이 하단부에 형성되는 캡; 및 상기 연결 바디의 하측을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나사산에 나사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제4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부에 액체 또는 젤 상의 화장재료가 내장되고 상기 화장재료의 소진시 교체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는 리필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리필케이스의 상기 제4 나사산은, 상기 연결 바디로부터 상기 캡을 분리하는 경우 상기 리필케이스가 상기 연결 바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3 나사산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3 나사산 및 상기 제4 나사산은 각각, 상기 연결 바디를 고정하고 상기 캡 또는 상기 리필케이스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연결 바디에 대한 결합상태가 해제되는 오른나사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는,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중앙 부분이 함몰되게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곡면을 이루는 외주면을 갖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상단부로부터 돌출연장되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그립부의 하단부로부터 돌출연장되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2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는, 상기 그립부 상단의 지름이 상기 제1 체결부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그립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1 단턱; 및 상기 그립부 하단의 지름이 상기 제2 체결부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그립부 및 상기 제2 체결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2 단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필케이스는, 상기 화장재료가 내장되는 케이스 바디; 상기 케이스 바디의 하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 바디의 하측을 밀폐하는 플랜지부; 상기 제4 나사산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및 상기 리필케이스는 각각, 상기 연결 바디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체 외주면이 일정한 곡면을 이루도록 상기 그립부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곡면 형상의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필케이스의 외주면에는 광고 선전을 위한 문구가 프린트되는 프린팅부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 바디는, 상기 프린팅부를 외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글래스 또는 PC(Polycarbonate)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바디는, 상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리필케이스의 상측 접촉됨으로써 상기 리필케이스의 삽입 깊이를 결정하며 상기 리필케이스의 상측에 오물이 묻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바디의 내주면에는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언더컷이 형성되며, 상기 리필케이스는, 상기 언더컷의 형성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언더컷에 삽입 체결되는 탄성 재질의 패킹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더컷은 상기 연결 바디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패킹부재는, 삽입방향의 제한이 없이 상기 언더컷에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리필케이스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체로 마련되는 패킹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재료가 내장되며 화장재료의 소진시 교체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리필케이스와, 리필케이스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리필케이스 및 캡을 연결하는 연결 바디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필용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리필용 화장품 용기의 연결 바디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리필용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리필용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리필용 화장품 용기의 연결 바디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리필용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100)는 중공 원통 형상의 연결 바디(110)와, 연결 바디(110)의 상측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캡(130)과, 연결 바디(110)의 내측에 수용되며 화장재료 소진시 교체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리필케이스(150)를 포함한다.
연결 바디(110)는 캡(130) 및 리필케이스(150)를 상호 연결하는 중공 원통 형상의 구성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그립부(111)와, 그립부(111)의 상단부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제1 체결부(112)와, 그립부(111)의 하단부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제2 체결부(113)와, 그립부(111) 및 제1 체결부(112) 사이에 마련되는 제1 단턱(114)과, 그립부(111) 및 제2 체결부(113) 사이에 마련되는 제2 단턱(115)과, 리필케이스(150)의 삽입 깊이를 결정하도록 내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걸림턱(116)과, 내주면 둘레를 따라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언더컷(117)을 포함한다.
그립부(111)는 화장재료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그립부(11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 및 하단부가 돌출되고 중앙 부분이 함몰되도록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일정한 곡면을 이루는 외주면을 가진다.
이러한 그립부(111) 외주면의 형상에 따라 사용자는 간편하게 리필용 화장품 용기(100)를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130) 또는 리필케이스(150)를 개폐하는 경우에도 손이 미끄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캡(130) 또는 리필케이스(15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가 도모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립부(111) 외주면의 형상은 후술하는 캡(130) 및 리필케이스(150)의 형상과 함께 리필용 화장품 용기(100) 전체 외주면이 부드러운 곡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자인 측면에서도 심미감을 고취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제1 체결부(112)는 그립부(111)의 상단부로부터 돌출 연장되되 외주면을 따라 캡(130)에 형성된 제3 나사산(130a)에 대응되는 제1 나사산(112a)이 형성되어 캡(130)이 나사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또한, 제1 체결부(112)는 그립부(111)의 상단부로부터 그대로 돌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제1 단턱(114)에 의해 그립부(111)의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제1 체결부(112)의 형성위치를 특별하게 하는 것은 연결 바디(110)에 캡(130)이 연결된 경우 연결 바디(110)의 외주면 및 캡(130)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가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본 실시예의 리필용 화장품 용기(100)의 주 소비자층이 여성임을 고려하여 리필용 화장품 용기(100)가 외관상 유려한 곡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용기(100) 자체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구매의욕을 고취시키며, 사용자의 제품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1 체결부(112)의 형성위치를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하게 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체결부(112)는 그립부(111)의 상단부로부터 직접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2 체결부(113)는 그립부(111)의 하단부로부터 돌출 연장되되 외주면을 따라 리필케이스(150)에 형성된 제4 나사산(153a)에 대응되는 제2 나사산(113a)이 형성되어 리필케이스(150)가 나사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또한, 제2 체결부(113)는 그립부(111)의 하단부로부터 그대로 돌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제2 단턱(115)에 의해 그립부(111)의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제2 체결부(113)의 형성위치를 특별하게 한 이유는 전술한 제1 체결부(112)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체결부(113)가 그립부(111)의 하단부로부터 직접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1 단턱(114)은 원형 단면형상을 갖는 그립부(111) 상단의 지름이 원형 단면형상을 갖는 제1 체결부(112)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그립부(111) 및 제1 체결부(112)의 사이에 마련되는 구성이며, 제2 단턱(115)은 원형 단면형상을 갖는 그립부(111) 하단의 지름이 원형 단면형상을 갖는 제2 체결부(113)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그립부(111) 및 제2 체결부(113)의 사이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제1 단턱(114) 및 제2 단턱(115)에 의해 제1 체결부(112) 및 제2 체결부(113)는 그립부(111)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후 돌출 연장되며, 이에 따라 연결 바디(110), 캡(130) 및 리필케이스(150)가 서로 연결되면 리필용 화장품 용기(100)의 외주면 전체가 일정한 곡면을 이루게 됨으로써 리필용 화장품 용기(100)의 심미감을 고취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걸림턱(11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바디(110)의 상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구성이다.
걸림턱(116)은 리필케이스(150)가 연결 바디(110)에 삽입되는 경우 그 삽입 깊이를 결정함과 동시에 연결 바디(110)로부터 캡(130)을 분리하고 리필케이스(150)에 내장된 화장재료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과정에서 리필케이스(150)의 상측에 오물이 묻는 것을 방지한다.
즉, 리필케이스(150)는 걸림턱(116)이 형성된 부분까지 연결 바디(110)의 내측에 수용되는바 사용자가 간편하게 리필케이스(150)를 교체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화장재료를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 연결 바디(110)로부터 캡(130)을 분리시킨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리필케이스(150)의 상단부에 먼지 등의 오물이 묻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막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걸림턱(116)은 사용자가 화장재료를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리필케이스(150)의 두께에 대응될 정도의 폭으로 연결 바디(110)로부터 돌출 연장된다.
언더컷(117)은 연결 바디(110)의 내주면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구성이다. 언더컷(117)은 연결 바디(11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언더컷(117)에는 후술하는 리필케이스(150)의 패킹부재(155)가 삽입 고정되며, 이에 따라 연결 바디(110)와 리필케이스(15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바디(110)는 투명성이 높은 글래스 또는 PC(Polycarbonate) 재질로 마련되어 그 내부에 수용되는 리필케이스(150)가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연결 바디(110)의 재질을 투명성이 높은 재질로 하는 것은 리필케이스(150)의 프린팅부(154)가 연결 바디(110)를 통해 은은하게 비춰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캡(130)은 연결 바디(110)의 상측을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리필케이스(150)는 화장재료가 내장된 상태에서 은박지 또는 별도의 뚜껑(미도시)을 덮음으로써 밀폐되어 판매되는데, 사용자는 리필케이스(150)를 구매한 뒤 이를 제거하고 연결 바디(110)에 결합시킴으로써 화장재료의 리필을 마치게 된다.
이에 화장재료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연결 바디(110)로부터 캡(130)을 분리시켜 이를 사용하게 되며, 사용이 완료되면 연결 바디(110)에 캡(130)을 결합함으로써 화장재료에 오물이 묻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듯 본 실시예의 리필용 화장품 용기(100)는 매우 빈번하게 캡(130)을 열거나 닫는 과정을 반복하여 사용되므로 캡(130)을 간편하게 여닫을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캡(130)은 연결 바디(110)의 제1 체결부(112)에 형성된 제1 나사산(112a)에 나사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제3 나사산(130a)이 하단부에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캡(130)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반적인 나사결합 타입의 용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캡(13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연결 바디(110)로부터 분리되며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연결 바디(110)에 결합되도록 오른나사 방향으로 형성된 제3 나사산(130a)을 갖는다.
이와 함께, 캡(130)의 외주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바디(110)의 외주면과 서로 연결되는 곡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됨으로써 리필용 화장품 용기(100) 전체의 심미감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리필케이스(150)는 연결 바디(110)의 하측을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내부에 액체 또는 젤 상의 화장재료가 내장되고 화장재료의 소진시 다른 리필케이스(150)로 교체될 수 있도록 연결 바디(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이다.
리필케이스(150)는 내부에 화장재료가 내장되는 케이스 바디(151)와, 케이스 바디(151)의 하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케이스 바디(151)의 하측을 밀폐하는 플랜지부(152)와, 연결 바디(110)의 제2 체결부(113)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케이스 바디(151)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플랜지부(152)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153)와, 외주면에 광고 선전 문구가 프린트되는 프린팅부(154)와, 외주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패킹부재(155)를 포함한다.
케이스 바디(151)는 내부에 화장재료가 내장되는 중공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케이스 바디(151)는 연결 바디(110)의 내측 중공 부분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도록 연결 바디(110)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의 지름을 갖도록 마련되며, 그 상측은 화장재료가 내장된 상태에서 은박지 또는 별도의 캡으로 밀폐되고 하측은 후술하는 플랜지부(152)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준비된다.
플랜지부(152)는 케이스 바디(151)의 하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며 케이스 바디(151)와 일체로 마련되어 그 하측을 밀폐하는 구성이다.
플랜지부(152)의 외주면은 연결 바디(110)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곡면 형상을 가짐으로써 캡(130)과 함께 리필용 화장품 용기(100) 전체가 부드러운 곡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고정부(153)는 케이스 바디(151)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플랜지부(152)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이다. 고정부(153)는 플랜지부(152)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연결 바디(110)의 제2 나사산(113a)에 나사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제4 나사산(153a)이 형성된다.
특히, 제4 나사산(153a)은 제3 나사산(130a)과 동일한 방향, 즉 오른나사 방향으로 형성되어 연결 바디(110)로부터 캡(130)을 분리하는 경우 리필케이스(150)가 이와 함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화장재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연결 바디(110)의 그립부(111) 또는 리필케이스(150)의 플랜지부(1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파지한 상태에서 캡(130)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만약 제3 나사산(130a)과 제4 나사산(153a)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플랜지부(152)를 파지한 상태에서 캡(130)을 회전시킬 시 연결 바디(110)로부터 캡(130)이 분리되는 것과 동시에 리필케이스(150)도 분리될 가능성이 생기게 된다.
사용자의 의도는 캡(130) 만을 분리함으로써 화장재료를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었는데 이와 같이 리필케이스(150)도 동시에 분리된다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3 나사산(130a)과 제4 나사산(153a)을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리필케이스(150)가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4 나사산(153a)은 제3 나사산(130a)과 마찬가지로 리필케이스(15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연결 바디(110)로부터 분리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연결 바디(110)에 결합되도록 오른나사 방향으로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3 나사산(130a) 및 제4 나사산(153a)은 모두 왼나사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프린팅부(154)는 리필케이스(150)의 일측 외주면에 마련되어 각종 광고 선전 문구가 프린트되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에는 그 화장품을 생산, 판매하는 제조 업체의 브랜드명이 프린트되는데, 이러한 브랜드명은 화장품 용기의 외주면에 그대로 프린트되므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주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각종 오물이 묻기 쉬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화장품 용기의 외주면에 브랜드명을 그대로 프린트하는 경우 오랜 기간에 걸쳐 화장품을 사용하게 되면 프린트된 브랜드명이 마모되어 가독성이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광고 선전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리필용 화장품 용기(100)는 리필케이스(150)의 외주면에 브랜드명 등의 광고 선전 문구가 프린트되는 프린팅부(154)를 마련하고, 리필케이스(150)의 외부를 덮는 연결 바디(110)의 재질을 투명성이 높은 글래스 또는 PC(Polycarbonate) 재질로 마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프린팅부(154)에 프린트된 광고 선전 문구는 연결 바디(110)에 은은하게 비춰지게 되므로, 프린팅부(154)에 오물이 묻는 문제점을 방지함과 동시에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프린팅부(154)에 광고 선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패킹부재(155)는 연결 바디(110)의 언더컷(117) 형성위치에 대응되는 리필케이스(150)의 하측 외주면에 마련되어 언더컷(117)에 삽입됨으로써 연결 바디(110)와 리필케이스(150)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구성이다.
패킹부재(155)는 탄성을 갖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를 사용하여 리필케이스(15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또한 리필케이스(15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체로 마련된다.
이처럼 패킹부재(155)를 일체로 마련하는 이유는 언더컷(117)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의 제한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사용자가 임의의 방향으로 연결 바디(110)에 리필케이스(150)를 끼우더라도 패킹부재(155)는 언더컷(117)에 삽입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가 도모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연결 바디(110)에 리필케이스(150)를 연결하면 제2 나사산(113a)과 제4 나사산(153a)이 나사결합되는 과정 중에서는 패킹부재(155)가 눌린 상태로 유지되다가 언더컷(117)에 삽입되는 순간 원상태로 복원됨으로써 리필케이스(150)가 연결 바디(110)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패킹부재(155)는 리필케이스(15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돌기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언더컷(117) 또한 연결 바디(11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홈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미도시).
본 실시예의 리필용 화장품 용기(100)는 화장재료가 내장되며 화장재료의 소진시 교체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리필케이스(150)와, 리필케이스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리필케이스(150) 및 캡(130)을 연결하는 연결 바디(11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리필용 화장품 용기 110 : 연결 바디
111 : 그립부 112 : 제1 체결부
113 : 제2 체결부 114 : 제1 단턱
115 : 제2 단턱 116 : 걸림턱
117 : 언더컷 130 : 캡
150 : 리필케이스 151 : 케이스 바디
152 : 플랜지부 153 : 고정부
154 : 프린팅부 155 : 패킹부재

Claims (10)

  1. 상단부에 제1 나사산이 마련되며 하단부에 제2 나사산이 마련되는 중공 원통 형상의 연결 바디;
    상기 연결 바디의 상측을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나사산에 나사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제3 나사산이 하단부에 형성되는 캡; 및
    상기 연결 바디의 하측을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나사산에 나사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제4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부에 액체 또는 젤 상의 화장재료가 내장되고 상기 화장재료의 소진시 교체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는 리필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리필케이스의 상기 제4 나사산은,
    상기 연결 바디로부터 상기 캡을 분리하는 경우 상기 리필케이스가 상기 연결 바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3 나사산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나사산 및 상기 제4 나사산은 각각,
    상기 연결 바디를 고정하고 상기 캡 또는 상기 리필케이스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연결 바디에 대한 결합상태가 해제되는 오른나사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디는,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중앙 부분이 함몰되게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곡면을 이루는 외주면을 갖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상단부로부터 돌출연장되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그립부의 하단부로부터 돌출연장되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2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디는,
    상기 그립부 상단의 지름이 상기 제1 체결부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그립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1 단턱; 및
    상기 그립부 하단의 지름이 상기 제2 체결부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그립부 및 상기 제2 체결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2 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케이스는,
    상기 화장재료가 내장되는 케이스 바디;
    상기 케이스 바디의 하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 바디의 하측을 밀폐하는 플랜지부;
    상기 제4 나사산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및 상기 리필케이스는 각각,
    상기 연결 바디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체 외주면이 일정한 곡면을 이루도록 상기 그립부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곡면 형상의 외주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케이스의 외주면에는 광고 선전을 위한 문구가 프린트되는 프린팅부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 바디는, 상기 프린팅부를 외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글래스 또는 PC(Polycarbonate)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디는,
    상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리필케이스의 상측 접촉됨으로써 상기 리필케이스의 삽입 깊이를 결정하며 상기 리필케이스의 상측에 오물이 묻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디의 내주면에는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언더컷이 형성되며,
    상기 리필케이스는, 상기 언더컷의 형성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언더컷에 삽입 체결되는 탄성 재질의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은 상기 연결 바디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패킹부재는, 삽입방향의 제한이 없이 상기 언더컷에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리필케이스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체로 마련되는 패킹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KR1020110017285A 2011-02-25 2011-02-25 리필용 화장품 용기 KR101205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285A KR101205002B1 (ko) 2011-02-25 2011-02-25 리필용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285A KR101205002B1 (ko) 2011-02-25 2011-02-25 리필용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823A KR20120097823A (ko) 2012-09-05
KR101205002B1 true KR101205002B1 (ko) 2012-11-26

Family

ID=4710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285A KR101205002B1 (ko) 2011-02-25 2011-02-25 리필용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0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575B1 (ko) 2014-04-11 2014-08-01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리필용 화장품 캡슐
KR102107180B1 (ko) 2020-02-06 2020-05-28 주식회사 창신 푸시 타입 화장품 용기
KR102158608B1 (ko) 2020-02-06 2020-09-22 주식회사 창신 화장품 리필 용기
KR102293225B1 (ko) 2020-11-18 2021-08-25 주식회사 창신 펌프조립체의 결합력이 우수한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361B1 (ko) * 2016-08-19 2018-07-26 펌텍코리아(주) 구조가 단순하고 화장료 충전 공정이 개선된 콤팩트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059Y1 (ko) 2002-12-27 2003-06-11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파우더 파운데이션 내장형 화장용 브러시 케이스
WO2010081210A2 (en) 2009-01-15 2010-07-22 Victor Esteve Packaging element with a hermetically sealed dosing mechanism for semi-solid produc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059Y1 (ko) 2002-12-27 2003-06-11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파우더 파운데이션 내장형 화장용 브러시 케이스
WO2010081210A2 (en) 2009-01-15 2010-07-22 Victor Esteve Packaging element with a hermetically sealed dosing mechanism for semi-solid produc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575B1 (ko) 2014-04-11 2014-08-01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리필용 화장품 캡슐
KR102107180B1 (ko) 2020-02-06 2020-05-28 주식회사 창신 푸시 타입 화장품 용기
KR102158608B1 (ko) 2020-02-06 2020-09-22 주식회사 창신 화장품 리필 용기
KR102293225B1 (ko) 2020-11-18 2021-08-25 주식회사 창신 펌프조립체의 결합력이 우수한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823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002B1 (ko) 리필용 화장품 용기
USD588913S1 (en) Cosmetic container cap
CN103987630B (zh) 包装的口腔护理器具
USD563238S1 (en) Composite fragrance bottle
US8434955B2 (en) Cosmetic unit
JP3134864U (ja) デュアルタイプリフィル容器
JP2010500245A (ja) 関連詰め替えユニットを有する液体ディスペンサー
US20110139646A1 (en) Package with Internal Sensory Elements
KR200460285Y1 (ko) 화장품용 콤팩트 케이스
JP2019534218A (ja) 多目的エコキャップ
US20210387777A1 (en) Cosmetic bottle
KR20150031572A (ko) 리필 가능한 화장품용기
USD909880S1 (en) Perfume container
US20070131694A1 (en) Unique-shaped container lid
USD528009S1 (en) Combined perfume bottle with cap
US7125187B2 (en) Closure system for a container
USD504070S1 (en) Bottle
USD726026S1 (en) Liquid dispenser
CN105819089A (zh) 带有化妆用具的瓶盖
JP2004106939A (ja) 二重容器
JP5270785B1 (ja) 容器
USD442478S1 (en) Cream and deodorant dispenser container
JP2023530317A (ja) ボタンの分離構造を有する化粧品容器
CN204713631U (zh) 一种新型包装瓶
KR200476704Y1 (ko) 분리형 파우더용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