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998B1 - 분할출력이 가능한 크레인 탑재형 자동인쇄장치 - Google Patents

분할출력이 가능한 크레인 탑재형 자동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998B1
KR101204998B1 KR1020100102128A KR20100102128A KR101204998B1 KR 101204998 B1 KR101204998 B1 KR 101204998B1 KR 1020100102128 A KR1020100102128 A KR 1020100102128A KR 20100102128 A KR20100102128 A KR 20100102128A KR 101204998 B1 KR101204998 B1 KR 101204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nozzle
main body
support frame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0612A (ko
Inventor
박정규
정윤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Priority to KR1020100102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998B1/ko
Publication of KR20120040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외벽에서와 같이 출력의 대상이 되는 인쇄 면이 상대적으로 넓을 경우, 이러한 인쇄 면을 임의 구간으로 구획하여 분할되게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큰 이미지를 실사와 같이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출력 작업중 기계적 결함 혹은 외부 환경에 의하여 인쇄 작업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부분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구간별 분할출력이 가능한 자동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절링크(110)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00); 및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수용되는 본체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200)은 양측 수직부재(230);와, 상기 양측 수직부재(230) 상간에 개재되어 이송노즐부(240)의 상하좌우 위치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노즐거치대(250);를 포함하며, 본체프레임(200), 노즐거치대(250), 이송노즐부(240)의 위치가 가변되면서 기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색상의 잉크가 분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할출력이 가능한 크레인 탑재형 자동인쇄장치{CRANE MOUNTED AUTO-PRINTER CAPABLE OF DEVISION PRINT}
본 발명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직접 컬러 화상을 인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인쇄장치에 관련된다.
상세하게는, 아파트 등의 외벽에서와 같이 출력의 대상이 되는 인쇄 면이 상대적으로 넓을 경우, 이러한 인쇄 면을 임의 구간으로 구획하여 분할되게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큰 이미지를 실사와 같이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출력 작업중 기계적 결함 혹은 외부 환경에 의하여 인쇄 작업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이미지 전체를 재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분할출력이 가능한 크레인 탑재형 자동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층 건물의 외벽에 페인트를 도색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옥상에서 곤도라 등을 이용하여 로프에 작업대를 상하 이동가능하게 매달아 놓고, 이러한 작업대에 작업자가 올라탄 상태로 직접 페인트 도색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작업자가 옥상에 고정시킨 밧줄을 타고 내려오면서 페인트 도색작업을 수행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도색작업은 작업자가 직접 건물 외벽의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해야만 하는바, 항상 낙상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바람이 다소 강하게 부는 날에는 사고의 위험성이 더욱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도색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해 도색작업이 더디어져 작업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산업재해의 위험성 이외에도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페인팅 작업의 특성상, 인건비가 불필요하게 가중되어 도장공사비의 상승 요인이 되어 왔다.
한편,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아파트 등의 건축물 외벽에 그림, 문자, 기호, 로고 등의 특별한 이미지를 그려 넣으려면 도안자가 아파트 벽면에 상기와 같은 동일한 수단과 방식을 통해 밑그림 표시를 하게 되고, 이후 페인트 기능공은 붓이나 페인트 롤러를 이용해 표시해 놓은 도안 문구를 그려서 넣게 된다.
이렇듯 건축물 외벽, 특히 고층 건물의 외벽 인쇄 처리 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자연스러움은 있겠으나 사실적 가치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며, 특히 대형 출력물에 의한 그림 및 문양, 사진 연출을 함에 있어서 이러한 하나의 대형 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함에 따라 출력 대상물의 크기가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전체 이미지가 큰 그림이나 문양, 사진들은 몇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서 짜맞추기 형태로 연출되고 있는바, 실사와 같은 이미지를 구현하기에는 표현의 한계성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원격조정으로 구현되는 자동화 기기를 사용하여 오차 없이 보다 정밀하고 빠르게 아파트 등의 건축물 외벽에 다양한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도록 하며, 사진 또는 그림, 기타 원하는 이미지나 글씨, 문구, 로고, 기호 등을 짧은 시간 안에 정교하고 사실적으로 처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대형 화상을 실사에 가깝도록 연속적으로 컬러 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동 및 설치가 가능한 구조를 구현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인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회절링크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수용되는 본체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은 양측 수직부재;와, 상기 양측 수직부재 상간에 개재되어 이송노즐부의 상하좌우 위치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노즐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프레임 및 노즐거치대, 이송노즐부의 위치가 가변되면서 기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색상의 잉크가 이송노즐부에 의해 분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 저면에는 환형돌부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환형돌부의 외주연으로 회전부재를 고정 장착시켜 모터와 축 결합된 치차에 치합되게 함으로써, 지지프레임 및 이에 수용된 본체프레임이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절링크 내측에는 크레인 붐대의 고정부재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동실린더의 로드가 고정 결합되게 하고, 상기 로드의 구동으로 회절링크를 밀거나 당김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 및 이에 수용된 본체프레임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가로축 선단부에 바퀴가 하나 이상 장착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거치대와 수직부재의 각 내부공간에 래크기어가 내설되고, 수직부재 외연부를 감쌀 수 있도록 보강앵글이 상기 노즐거치대 양단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보강앵글에 고정 설치된 모터 및 이에 축 결합된 피니언기어가 수직부재의 래크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시 노즐거치대를 상하 구동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노즐부는 잉크가 분사되는 분사구; 이미지가 시작되고 끝나는 영역에 빛을 발산시켜 모니터를 통해 위치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레이저센서; 및 대상표면의 굴절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화이버센서;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노즐부에는 피니언기어와 축 결합된 모터가 탑재되어 노즐거치대의 래크기어에 상기 피니언기어가 안내됨에 따라 노즐거치대 상에서 이송노즐부가 수평 방향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노즐부는 화이버센서의 측정값에 따른 래크 및 피니언기어의 치합 구동에 의해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은 각 모서리 지점에서 연장 형성되어 대상표면에 밀착되는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에는 대상표면의 수평 상태를 감지하는 수평유지센서;를 더 장착하여 측정값에 따라 고정대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수작업이 아닌 기기 장치로 인쇄 작업을 실시하게 됨으로써 산업재해의 발생을 적극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인건비의 부담이 줄어들고, 비교적 짧은 시간에 연속적인 출력이 가능해져 작업 시간과 능률 면에서 탁월한 이점이 있으며, 특히 센서에 의한 위치식별이 가능해져 보다 정교하고 사실적으로 대형 화상의 컬러 인쇄를 수행하는데 부족함이 없게 된다.
더불어, 출력의 대상이 되는 인쇄 면이 상대적으로 넓은 초대형 화상의 경우, 이러한 인쇄 면을 임의 구간으로 구획하여 분할되게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큰 이미지를 실사와 같이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출력 작업중 기계적 결함 혹은 외부 환경에 의하여 인쇄 작업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이미지 전체를 재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잉크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러한 자동인쇄장치를 크레인에 고정 장착하여 운용함으로써 조작 방식이 단조로워질 뿐만 아니라, 이동 및 설치에 있어서도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자동인쇄장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결합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본체프레임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인쇄장치가 전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음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인쇄장치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음을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노즐거치대가 상하 구동됨을 보인 작동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이송노즐부가 좌우 구동됨을 보인 작동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이송노즐부가 전후 구동됨을 보인 작동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고정대가 전후 구동됨을 보인 작동 예시도.
본 발명은 건축물, 특히 고층 건물의 외벽에 직접 컬러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자동인쇄장치에 관련되고, 출력의 대상이 되는 인쇄 면이 상대적으로 넓을 경우, 이러한 인쇄 면을 임의 구간으로 구획하여 분할되게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큰 이미지를 실사와 같이 표현할 수 있는 구간별 분할출력이 가능한 자동인쇄장치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자동인쇄장치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결합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인쇄장치는 크레인(10)의 붐대(30)와 고정 결합되도록 회절링크(110)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00); 및 지지프레임(100)에 수용되는 본체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도 2 및 3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프레임(200)을 수용할 수 있는 적정 크기로 마련되어 크레인(10)의 붐대(30)와 연결 구성된다. 지지프레임(100) 저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형상의 환형돌부(1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환형돌부(130)의 외주연으로 회전부재(1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20)는 통상의 평기어와 동일한 개념으로, 본 발명에서는 모터(2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동일하게 구동되는 치차(21)를 상기 회절링크(110) 일측에 고정 장착함으로써 회전부재(120) 및 치차(21)의 상호 치합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들이 치합된 상태에서 모터(20)가 구동되면, 구동되는 방향에 따라 치차(21)가 회전되면서 상기 치차(21)와 맞물림을 유지하던 회전부재(120)를 일정 속도로 움직이게 하고, 상기 회전부재(120)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환형돌부(130) 및 지지프레임(100)을 동일하게 구동하게 함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구속된 본체프레임(200) 또한 측 방향에 대해 위치가 변경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 7에 상세 도시하였다.
상기 회절링크(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0)과 붐대(3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 결합핀(140)에 의해 붐대(30) 단부에서 구속된다. 또한, 고정부재(40)를 수단으로 붐대(30) 상에서 고정된 구동실린더(50)의 로드(51)가 상기 회절링크(110) 내측에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로드(51)가 구동될 경우 회절링크(110)를 밀거나 당기는 결과를 초래하여 지지프레임(100) 및 이에 수용된 본체프레임(2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도 6에 상세 도시하였다.
상기 고정부재(4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측부에 구동실린더(270)가 부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실린더(270)의 로드는 지지프레임(100)의 저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지지프레임(100)이 전후방뿐만이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기울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실린더(270)의 로드 길이 조절에 따라 지지프레임(100) 및 이에 고정된 본체프레임(200)이 일체형으로 좌우 회동되면서 인쇄 면과의 수평 상태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에는 이러한 수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평계 및 상기 수평계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지지프레임(100)의 가로축 선단부에 바퀴(150)를 하나 이상 장착하여 대상표면(인쇄 면)에 상기 바퀴(150)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좌우 구동될 수 있게 하였는바, 이로써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안정적인 구동은 물론, 인쇄작업시 상공에서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본체프레임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본체프레임(200)은, 상단부에서 횡단 배치되는 크로스지지대(210);와, 크로스지지대(210)를 지지하는 양측 수직부재(230);와, 양측 수직부재(230) 상간에 개재되어 이송노즐부(240)의 상하좌우 위치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노즐거치대(250);와, 각 모서리 지점에서 연장 형성되어 대상표면에 밀착되는 고정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거치대(250)는 이송노즐부(240)를 탑재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노즐부의 자유로운 위치결정이 가능할 수 있게 하는 구성요소로, 양단에 보강앵글(251)이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상기 보강앵글(251)은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직부재(230)에 중첩되게 배치되고, 일측에 통공을 천공하여 모터(252)와 고정 결합된 피니언기어(253)가 앵글(251) 내부로 수용되게 한다(도 8 참조). 결과적으로, 전술한 피니언기어(253)는 수직부재(230) 내측 공간에 마련된 래크기어(231)와 치합되어 노즐거치대(250)의 상하 움직임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노즐거치대(250) 일측면에 또 다른 래크기어(254)를 장착하여 이송노즐부(240)의 좌우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이송노즐부(240)는 기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색상의 잉크가 분사되는 구성요소로, 종래의 것과 유사 내지 동일한 기술내용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피니언기어(256)와 축 결합된 모터(255)가 탑재되어 노즐거치대(250)의 래크기어(254)에 상기 피니언기어(256)가 안내되게 함으로써, 노즐거치대(250) 상에서 이송노즐부(240)가 수평 왕복이동될 수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거치대(250)의 외연부를 감쌀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밑판(242)이 형성되고, 상기 밑판(242)의 저면에서 피니언기어(256)가 진입되어 노즐거치대(250)의 래크기어(254)와 맞물리게 되는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노즐거치대(250)의 밑면(도면기준)은 관통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기어(256)가 이의 내부에서 수평 방향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송노즐부(240)가 노즐거치대(250) 상에서 좌우 방향(도 9 참조)뿐만이 아니라, 전후 방향(도 10 참조)에 대해서도 구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별도의 래크기어(244) 및 피니언기어(24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송노즐부(240)의 밑판(242) 상면에 래크기어(244)를 배치하고, 다수의 잉크가 탑재된 상판(241)을 밑판(242)에 끼움 결합하되, 상기 상판(241)의 일측면을 천공하여 모터(245)와 연계된 피니언기어(243)를 고정되게 함으로써, 이들의 치합 구동에 따라 상판(241)이 전후 구동된다.
이러한 이송노즐부(240)는 잉크가 분사되는 분사구(246); 이미지가 시작되고 끝나는 영역에 빛을 발산시켜 모니터(미도시함)를 통해 위치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레이저센서(247); 및 대상표면의 굴절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화이버센서(248);를 포함하여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센서(247)는 대형 이미지를 출력함에 있어서, 가상으로 구획된 공간의 시작점과 끝점을 파악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아파트 등의 외벽을 분할하여 분할된 각 지점으로 본 발명의 자동인쇄장치가 이동되면서 인쇄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바, 분할된 여러 개의 이미지를 연결하기 위하여 이미지의 시작과 끝을 레이저센서(247)로 확인한 후 인쇄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연속적인 이미지가 구현되어 실사와 같이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센서(247)에 의해 발산되는 빛이 이미지의 시작점 또는 끝점에 정확하게 일치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를 통해 파악하게 되고, 또한 이를 위해서 상기 이송노즐부(240)에는 소정의 카메라가 더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모니터로 전송됨에 따라 레이저 빛과 이미지의 일치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불일치할 경우 이송노즐부(240) 및 본체프레임(200)을 이동시키면서 이들이 정확히 일치되는 것을 확인한 다음, 분사구(246)를 통해 잉크가 분사되도록 하였다.
상기 화이버센서(248)는 인쇄 면의 굴곡을 파악하여 인쇄 면과 분사구(246)와의 거리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인쇄 면(아파트 등의 외벽)이 일부 돌출되거나 혹은 함몰되어 있을 경우, 이를 화이버센서(248)가 감지하여 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이송노즐부(240)의 상판(241)이 전후방으로 소폭 이동되면서 가장 이상적인 분사거리가 될 수 있도록 이송노즐부(240)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프레임(200)에는 각 모서리 지점에서 연장 형성되어 인쇄 면에 밀착되는 고정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260)에는 인쇄 면의 수평 상태를 감지하는 수평유지센서;를 더 장착하여 측정된 값에 따라 고정대(26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였다. 크로스지지대(210) 하측의 가로부재(220) 내부 공간에서 이러한 길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터(262)와 연결 구성된 피니언기어(263)를 상기 가로부재(220)에 수용시켜 고정대(260) 일면에 장착된 래크기어(261)와 치합되게 하는 구성이다(도 11 참조). 이로써, 상기 고정대(260)는 가로부재(220)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되거나 인입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동개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아파트 외벽에 대형 이미지를 인쇄하고자 할 경우, 우선 전체면을 가상의 구획된 공간으로 나누어 구획한 다음, 구획된 공간 하나하나에 본체프레임(200)이 위치되면서 순차적으로 이미지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본체프레임(200)의 상하 및 좌우 위치 결정은 크레인(10)의 붐대(30)를 조작함으로써 가능해지고, 붐대(30)를 상하좌우 이동시켜 본체프레임(200)을 원하는 구획 공간에 정확히 배치되게 하여 이송노즐부(240)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인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붐대(30)의 조작만으로 인쇄 면에 대한 본체프레임(200)의 알맞은 배치가 힘들 경우에는, 회전부재(120) 혹은 구동실린더(50,270)의 작동에 의하여 가장 이상적인 위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즉, 회전부재(120)를 모터(20)와 결합된 치차(21)로 회전시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본체프레임(200)을 회전되게 하면서 인쇄 면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은 물론, 경우에 따라 구동실린더(50)의 로드(51)를 이완시켜 회절링크(110)를 밀어 줌으로써 상기 본체프레임(200)이 전방으로 숙여지거나, 이와는 반대로 구동실린더(50)의 로드(51)를 수축시켜 회절링크(110)를 후방으로 당겨 줌으로써 상기 본체프레임(200)이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고정부재(40) 양 측면에 구비된 구동실린더(270)를 조작하여 본체프레임(200)의 좌우 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동방식에 의해, 상하좌우 각기 다른 위치에서 인쇄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도 가장 효율적이고 정밀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본체프레임(200)의 배치 상태를 구현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본체프레임(200) 상에서 이송노즐부(240)의 상하좌우 구동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다수의 래크기어 및 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를 구비하였다. 상기 이송노즐부(240)는 노즐거치대(250)에 안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물론, 수직부재(230)의 래크기어(231)와 맞물려 구동되는 피니언기어(253)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도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자동인쇄장치는 이미지의 연속적인 출력이 가능할 수 있도록 레이저센서(247)가 더 장착되어 소정의 모니터를 통해 레이저 빛이 이미지의 시작점과 끝점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면밀히 파악함으로써, 구획된 공간에서 그려지는 이미지가 서로 완벽하게 연결되어 실사에 가까운 대형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화이버센서(248)를 이송노즐부(240)에 적용하여 인쇄 면의 굴곡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러한 판단에 따라 상기 이송노즐부(240)가 전후방으로 이동되게 구성함으로써 분사구(246)와 인쇄 면과의 거리가 적절하게 유지되어 인쇄작업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인쇄장치는, 지지프레임(100)과 본체프레임(200)을 견고히 고정시켜 지지프레임(100) 상에서 본체프레임(200)을 운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들의 고정수단은 볼트 등의 결속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장치의 전체적인 작동 제어를 위한 컴퓨터 및 각종 컨트롤러 등을 적용함으로써, 기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본체프레임(200)은 물론, 이송노즐부(240)의 위치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원거리에서도 정확한 제어가 가능할 수 있도록 신호거리 확장기를 케이블로 연결하여 신호를 전달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크레인 20: 모터
30: 붐대 40: 고정부재
50: 구동실린더 51: 로드
100: 지지프레임 110: 회절링크
120: 회전부재 130: 환형돌부
140: 결합핀 150: 바퀴
200: 본체프레임 210: 크로스지지대
220: 가로부재 230: 수직부재
231: 래크기어 240: 이송노즐부
241: 상판 242: 하판
243: 피니언기어 244: 래크기어
245: 모터 246: 분사구
247: 레이저센서 248: 화이버센서
250: 노즐거치대 251: 보강앵글
252: 모터 253: 피니언기어
254: 래크기어 255: 모터
256: 피니언기어 260: 고정대
261: 래크기어 262: 모터
263: 피니언기어 270:구동실린더

Claims (10)

  1. 회절링크(110)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00); 및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수용되는 본체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200)은 양측 수직부재(230);와, 상기 양측 수직부재(230) 상간에 개재되어 이송노즐부(240)의 상하좌우 위치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노즐거치대(250);를 포함하며,
    본체프레임(200), 노즐거치대(250), 이송노즐부(240)의 위치가 가변되면서 기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색상의 잉크가 분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200)은 각 모서리 지점에서 연장 형성되어 대상표면에 밀착되는 고정대(26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260)에는 대상표면의 수평 상태를 감지하는 수평유지센서;를 더 장착하여 측정값에 따라 고정대(26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출력이 가능한 크레인 탑재형 자동인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0) 저면에는 환형돌부(130)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환형돌부(130)의 외주연으로 회전부재(120)를 고정 장착시켜 모터(20)와 축 결합된 치차(21)에 치합되게 함으로써, 지지프레임(100) 및 이에 수용된 본체프레임(200)이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분할출력이 가능한 크레인 탑재형 자동인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링크(110) 내측에는 크레인(10) 붐대(30)의 고정부재(40)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동실린더(50)의 로드(51)가 고정 결합되게 하고, 상기 로드(51)의 구동으로 회절링크(110)를 밀거나 당김에 따라 지지프레임(100) 및 이에 수용된 본체프레임(2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분할출력이 가능한 크레인 탑재형 자동인쇄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가로축 선단부에 바퀴(150)가 하나 이상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분할출력이 가능한 크레인 탑재형 자동인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거치대(250)의 내부공간에 래크기어(254)가 내설되고, 상기 수직부재(230)의 내부공간에 래크기어(231)가 내설되고, 수직부재(230) 외연부를 감쌀 수 있도록 보강앵글(251)이 상기 노즐거치대(250) 양단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보강앵글(251)에 고정 설치된 모터(252) 및 이에 축 결합된 피니언기어(253)가 수직부재(230)의 래크기어(231)와 치합되어 상기 모터(252)의 구동시 노즐거치대(250)를 상하 구동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출력이 가능한 크레인 탑재형 자동인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노즐부(240)는 잉크가 분사되는 분사구(246); 이미지가 시작되고 끝나는 영역에 빛을 발산시켜 모니터를 통해 위치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레이저센서(247); 및 대상표면의 굴절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화이버센서(248);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출력이 가능한 크레인 탑재형 자동인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노즐부(240)에는 피니언기어(256)와 축 결합된 모터(255)가 탑재되어 노즐거치대(250)의 래크기어(254)에 상기 피니언기어(256)가 안내됨에 따라 노즐거치대(250) 상에서 이송노즐부(240)가 수평 방향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분할출력이 가능한 크레인 탑재형 자동인쇄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노즐부(240)는 화이버센서(248)의 측정값에 따른 래크기어(244) 및 피니언기어(243)의 치합 구동에 의해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분할출력이 가능한 크레인 탑재형 자동인쇄장치.
  9. 삭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는 양쪽 측면에 구동실린더(270)가 부가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실린더(270)의 로드를 지지프레임(100)의 저면에서 고정되게 하여 로드의 구동에 따라 지지프레임(100) 및 이에 수용된 본체프레임(200)이 좌우측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출력이 가능한 크레인 탑재형 자동인쇄장치.
KR1020100102128A 2010-10-19 2010-10-19 분할출력이 가능한 크레인 탑재형 자동인쇄장치 KR101204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128A KR101204998B1 (ko) 2010-10-19 2010-10-19 분할출력이 가능한 크레인 탑재형 자동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128A KR101204998B1 (ko) 2010-10-19 2010-10-19 분할출력이 가능한 크레인 탑재형 자동인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612A KR20120040612A (ko) 2012-04-27
KR101204998B1 true KR101204998B1 (ko) 2013-01-30

Family

ID=4614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128A KR101204998B1 (ko) 2010-10-19 2010-10-19 분할출력이 가능한 크레인 탑재형 자동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9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6840A (zh) * 2016-03-31 2016-08-17 张义成 高楼外墙清洗、喷绘一体机
CN104185558B (zh) * 2013-03-04 2016-12-14 罗博特普润特株式会社 具有水平补偿装置的壁面印刷系统
KR20230003751A (ko) *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알피 실시간 비전 감지 모듈을 구비한 도장 로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625A (ko) * 2003-12-01 2004-02-11 김용채 벽면 자동 페인팅 장치
KR20080067822A (ko) * 2007-01-17 2008-07-22 최용성 크레인용 바스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625A (ko) * 2003-12-01 2004-02-11 김용채 벽면 자동 페인팅 장치
KR20080067822A (ko) * 2007-01-17 2008-07-22 최용성 크레인용 바스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85558B (zh) * 2013-03-04 2016-12-14 罗博特普润特株式会社 具有水平补偿装置的壁面印刷系统
CN105856840A (zh) * 2016-03-31 2016-08-17 张义成 高楼外墙清洗、喷绘一体机
KR20230003751A (ko) *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알피 실시간 비전 감지 모듈을 구비한 도장 로봇
KR102506910B1 (ko) 2021-06-30 2023-03-08 주식회사 알피 실시간 비전 감지 모듈을 구비한 도장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612A (ko) 201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800B1 (ko) 구간별 분할출력이 가능한 자동인쇄장치
CN104249456B (zh) 一种快速型彩色三维打印机
KR101204998B1 (ko) 분할출력이 가능한 크레인 탑재형 자동인쇄장치
CN103950202B (zh) 三维打印机
US20210107036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aintenance on object
EP2139697B1 (en) Computerized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graphics to surfaces
CN101830123B (zh) 手持式喷印机
BR102013005874A2 (pt) Sistema de aplicação gráfica
CN104842654B (zh) 一种环保便捷家居写真机
DE102012006371A1 (de) Verfahren zum Bedrucken eines Objekts
US20090100618A1 (en) Building exterior wall cleaning apparatus
CN108995359A (zh) 轮毂水转印设备
CN107804076B (zh) 一种喷墨打印系统及喷墨打印系统用自动纠偏方法
CN104760294B (zh) 一种3d扫描打印激光雕刻一体机
EP2707151B1 (en) Device to reproduce images or graphical patterns in general on surfaces, and corresponding method
KR20150112502A (ko) 자동인쇄장치
CN109318605A (zh) 建筑外立面智能化打印机器人及其打印方法
CN110696544B (zh) 一种美术绘画作品快速晾干装置
CN215399329U (zh) 一种测绘用无人机
JP6802721B2 (ja) 天井面への自動墨出し方法と自動墨出し用無人飛翔体
KR20100029162A (ko) 비젼장치를 이용한 프린팅장치 및 그 프린팅 방법
CN106172586A (zh) 一种多颜色立体蛋糕打印机
KR20100043880A (ko) 선박 외판 도장 장치
CN203543390U (zh) 一种喷墨打印装置
CN205416380U (zh) 一种自动卸料换料的3d打印机连续打印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