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443B1 - 정션박스 및 그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 Google Patents

정션박스 및 그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443B1
KR101203443B1 KR1020100040437A KR20100040437A KR101203443B1 KR 101203443 B1 KR101203443 B1 KR 101203443B1 KR 1020100040437 A KR1020100040437 A KR 1020100040437A KR 20100040437 A KR20100040437 A KR 20100040437A KR 101203443 B1 KR101203443 B1 KR 101203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in body
junction box
ribbon
fl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1033A (ko
Inventor
김성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라파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라파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라파크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040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443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6Electric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special 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two or more PV modules, e.g. electrical module-to-module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정션박스 및 그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은, 리본(ribbon)을 구비하는 모듈 본체; 및 본체부와, 본체부에 마련되어 리본과 용접되는 터미널(terminal)과, 터미널과 인접된 위치의 본체부에 마련되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태양광 모듈의 출력량 측정을 위한 전기적인 측정 포인트를 형성하는 한 쌍의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addition flashing terminal)을 구비하는 정션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광 모듈의 출력 등급을 측정하기 위한 플래싱(flashing) 공정을 종래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광 모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정션박스 및 그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Junction box and solar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션박스 및 그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모듈의 출력 등급을 측정하기 위한 플래싱(flashing) 공정을 종래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광 모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션박스 및 그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화학에너지의 고갈 및 화학에너지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근자에 들어서는 대체에너지의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Photo Voltaic)이다. 태양광 발전이라 함은 태양에너지(태양열 또는 태양광)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일련의 기술이다.
기본 원리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p-n 접합 반도체로 구성된 태양 전지(solar cell)에 태양광이 조사되면 광 에너지에 의한 전자, 정공 쌍이 생겨나고, 전자와 양공이 이동하여 n층과 p층을 가로질러 전류가 흐르게 되는 광기전력 효과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함으로써 외부에 접속된 부하에 전류가 흐르는 결과를 이용한다.
이처럼 무한정, 무공해의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태양광 모듈(solar battery module)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동일하지는 않지만 LCD 공정 또는 반도체 공정과 마찬가지로 한 장의 태양광 모듈이 생산되기 위해서는 다수의 장치 또는 시스템을 거쳐야 한다.
태양광 모듈의 생산 공정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우선 대략 정사각 혹은 직사각 형태의 다수의 셀(cell)이 공급되면, 다수의 셀을 몇 개씩 일렬로 배열한다. 다음, 일렬 배치된 다수의 셀(cell)을 양극(+) 및 음극(-)을 고려하면서 인접된 것끼리 다수의 셀 커넥터 리본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묶음 단위의 스트링으로 만들고, 이 스트링을 판면 방향으로 여러 개 배열한 후 스트링들의 일측으로 노출된 셀 커넥터 리본들을 다수의 스트링 커넥터 리본으로 연결하여 모든 셀들이 통전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스트링 어셈블리를 제작한다.
그런 다음, 유리기판의 상면으로 방수막을 위한 제1 에바 시트(E.V.A sheet), 스트링 어셈블리, 제2 에바 시트, 그리고 백 시트(back sheet)를 차례로 배치하고 라미네이팅하여 태양전지판을 제작한다. 이후에, 태양전지판의 외곽에 프레임을 조립하여 모듈 본체를 만들고, 모듈 본체의 외부로 일정 길이만큼 노출된 다수의 노출 리본과 전기 커넥터로서의 정션박스(junction box)의 단자들을 상호간 해당하는 것끼리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정션박스를 조립함으로써 하나의 태양광 모듈이 완성된다.
간략하게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태양광 모듈이 생산되기 까지는 수많은 공정들, 즉 해당 공정을 수행하는 다수의 장치 또는 시스템을 거쳐야 한다.
이처럼 다양하고 복잡한 장치 또는 시스템, 그리고 이들을 아우르는 설비를 갖추어야만 비로소 태양광 모듈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 산업이 차세대 산업으로서 중요하다고 인정되는 것에 반하여 쉽게 접근하거나 투자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보면, 태양광 모듈을 생산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또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 활동이 지속될 뿐 태양광 모듈 생산 설비의 각종 장치 또는 시스템에 대해 공지된 기술은 많지 않다.
한편, 전술한 태양광 모듈 생산 공정을 끝낸 후에는 조립된 태양광 모듈의 출력 등급, 예컨대 태양광 모듈을 100 와트(w), 200 와트(w) 등으로 분류하는 플래싱(flashing) 공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플래싱 공정은 조립된 태양광 모듈의 모듈 본체에 장착된 정션박스와 별도의 출력량측정장치를 연결하여 모듈 본체에서 출력되는 출력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정션박스와 출력량측정장치를 연결시키는 과정이 다소 번거롭거나 불편하여 전반적으로 플래싱 공정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됨에 따라 태양광 모듈의 전반적인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 모듈의 출력 등급을 측정하기 위한 플래싱(flashing) 공정을 종래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광 모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션박스 및 그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태양광 모듈의 모듈 본체에 마련되는 리본(ribbon)과 용접되는 터미널(terminal); 및 상기 터미널과 인접된 위치의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의 출력량 측정을 위한 전기적인 측정 포인트를 형성하는 한 쌍의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addition flashing termina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과 상기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은 상기 본체부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 영역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부 영역에는 상기 터미널과 상기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을 둘러싸면서 상기 본체부의 판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쉴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과 상기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은 상기 쉴드의 내부에 상호간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측은 상기 쉴드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쉴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어디션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는 전선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어디션 커넥터와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일부 구간이 벤딩(절곡)된 벤딩 터미널일 수 있다.
상기 벤딩 터미널은, 상기 리본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로구간부; 상기 가로구간부의 단부에서 상기 가로구간부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로 벤딩되는 벤딩구간부; 및 상기 벤딩구간부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가로구간부보다는 상기 리본에 더 근접되어 상기 리본과 용접되는 용접구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접구간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리본과 용접될 용접비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핸들링용 파지부; 및 상기 핸들링용 파지부의 주변에 마련되는 가이드용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리본(ribbon)을 구비하는 모듈 본체; 및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리본과 용접되는 터미널(terminal)과, 상기 터미널과 인접된 위치의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의 출력량 측정을 위한 전기적인 측정 포인트를 형성하는 한 쌍의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addition flashing terminal)을 구비하는 정션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과 상기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은 상기 본체부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 영역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정션박스는, 상기 관통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터미널과 상기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을 둘러싸면서 상기 본체부의 판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션박스는, 일측은 상기 쉴드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쉴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어디션 커넥터; 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마련되고 전선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어디션 커넥터와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일부 구간이 벤딩(절곡)된 벤딩 터미널일 수 있다.
상기 벤딩 터미널은, 상기 리본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로구간부; 상기 가로구간부의 단부에서 상기 가로구간부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로 벤딩되는 벤딩구간부; 및 상기 벤딩구간부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가로구간부보다는 상기 리본에 더 근접되어 상기 리본과 용접되는 용접구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접구간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리본과 용접될 용접비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정션박스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핸들링용 파지부; 및 상기 핸들링용 파지부의 주변에 마련되는 가이드용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 모듈의 출력 등급을 측정하기 위한 플래싱(flashing) 공정을 종래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광 모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이 생산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각각 라미네이팅 공정 전후의 태양전지판에 대한 단면 구조도이다.
도 3은 태양광 모듈의 모듈 본체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4는 정션박스의 벤딩 터미널이 용접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정션박스의 정면 사시도, 배면 사시도 및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도 8은 정션박스가 조립된 태양광 모듈 다수개가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태양광 모듈의 출력량을 측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이 생산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의 (a) 및 (b)는 각각 라미네이팅 공정 전후의 태양전지판에 대한 단면 구조도이며, 도 3은 태양광 모듈의 모듈 본체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4는 정션박스의 벤딩 터미널이 용접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정션박스의 정면 사시도, 배면 사시도 및 사용상태 평면도이고, 도 8은 정션박스가 조립된 태양광 모듈 다수개가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9는 태양광 모듈의 출력량을 측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태양광 모듈(1, 도 9 참조)의 생산 공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태양광 모듈(1, 도 9 참조)이란 도 1 내지 도 3의 모듈 본체(20)와 모듈 본체(20)에 조립되는 정션박스(100)를 포함한다.
우선, 도 1의 (a)와 같이 대략 정사각 혹은 직사각 형태의 셀(2, cell)을 도 1의 (b)와 같이 10개씩 일렬로 배열하고 일렬로 배열된 셀(2)들을 양극(+) 및 음극(-)을 고려하면서 인접된 것끼리 다수의 셀 커넥터 리본(3)으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묶음 단위의 스트링(4)을 만든다.
그런 다음, 도 1의 (c)와 같이 스트링(4)들을 판면 방향으로 6개 배열한 후, 스트링(4)들의 일측으로 노출된 셀 커넥터 리본(3)들을 다수의 스트링 커넥터 리본(5)으로 연결하여 60개의 셀(2)들이 상호 통전되도록 한 스트링 어셈블리(6)를 만든다.
다음, 도 2의 (a)처럼 유리기판(10)의 상면으로 방수막을 위한 제1 에바 시트(11, E.V.A sheet), 스트링 어셈블리(6), 제2 에바 시트(12), 그리고 백 시트(13, back sheet)를 차례로 배치하고, 라미네이팅하여 도 2의 (b)처럼 태양전지판(8)을 제작한다.
그런 다음에, 도 2의 (b)처럼 제1 및 제2 에바 시트(11,12)의 일부가 태양전지판(8)의 측면으로 흘러내린 에바 시트 더미(8a, E.V.A sheet dummy)를 트리밍(trimming)한 후 최종적으로 태양전지판(8)의 외곽에 도 1 및 도 3처럼 프레임(7)을 조립함으로써 하나의 모듈 본체(20)가 완성된다.
모듈 본체(20)가 완성된 후에는 모듈 본체(20)에 정션박스(100)를 조립함으로써 하나의 태양광 모듈(1, 도 9 참조)이 완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모듈 본체(20)에 총 60개의 셀(2)이 사용되며, 도 1의 (b)와 같이 스트링(4)의 제조 시 셀 커넥터 리본(3)은 3줄이 사용되고, 도 1의 (c)와 같이 스트링 어셈블리(6)의 제조 시 스트링 커넥터 리본(5)은 다른 길이로서 총 7개 사용되고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 제조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시된 모듈 본체(20)의 형상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즉 셀(2)의 개수 및 사이즈, 중앙 및 스트링 커넥터 리본(3,5)의 개수 및 사이즈 등은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처럼 태양전지판(8)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스트링 어셈블리(6)의 스트링 커넥터 리본(5)들 중에서 일부는 제2 에바 시트(12) 및 백 시트(13)에 형성되는 홀(12a, 13a, 도 4 참조)을 통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리본이 다수 개(본 실시예의 경우는 4개임) 노출된다. 이를 노출 리본(9)이라 하는데, 이러한 노출 리본(9)들은 정션박스(100, junction box)의 조립 공정 시 정션박스(100)의 후술될 벤딩 터미널(130)들과 해당하는 것끼리 전기적으로 연결(용접)된다. 여기서, 노출 리본(9)이란 스트링 커넥터 리본(5)의 일부이다.
이처럼 모듈 본체(20)의 노출 리본(9)들과 정션박스(100)의 벤딩 터미널(13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정션박스(100)까지 조립된 태양광 모듈의 출력량을 측정하는 플래싱(flashing) 공정까지 원활하게 진행되면 태양광 모듈(1)의 제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태양광 모듈(1)의 제조를 위해, 모듈 본체(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션박스(100)의 구조에 대해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의 정션박스(100)는 종래의 정션박스(미도시)와 달리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150)을 구비함으로써 후술할 출력량측정장치(T)와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여 플래싱 공정을 종래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종래와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실시예의 정션박스(100)는,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에 마련되고 태양광 모듈(1)의 모듈 본체(20)에 마련되는 스트링 커넥터 리본(5)의 일부로서의 노출 리본(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벤딩 터미널(130)과, 벤딩 터미널(130)과 마찬가지로 본체부(110)에 마련되고 벤딩 터미널(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듈 본체(20)의 출력량을 측정하기 위한 한 쌍의 측정 포인트를 형성하는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150)을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상체의 플레이트의 형태로 마련되며, 그 중앙 영역에는 관통부(110a, 도 5 및 도 6 참조)가 형성된다. 다수의 벤딩 터미널(130)과 한 쌍의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150)은 관통부(110a) 영역에 마련된다.
관통부(110a) 영역에는 다수의 벤딩 터미널(130)과 한 쌍의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150)을 둘러싸는 벽 형태의 쉴드(111)가 더 마련된다. 추후 플래싱 공정이 완료되고 나면 쉴드(111)의 내부는 실링재로 충전된다.
다수의 벤딩 터미널(130)과 한 쌍의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150)은 상호 전기적으로 통전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이들을 통전시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전극(e)이 마련되고, 전극(e)과 전극(e)의 사이에는 전극(e)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다이오드(d)가 마련된다.
벤딩 터미널(130)과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1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쉴드(111)의 내측에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평상 시 쉴드(111)로부터 보호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벤딩 터미널(130)과 용접될 노출 리본(9)이 4개 마련되기 때문에 벤딩 터미널(130)도 노출 리본(9)과 마찬가지로 4개가 마련된다. 그리고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150)은 모듈 본체(20)의 출력량을 측정할 수 있는 출력량측정장치(T)와 연결되므로 음극과 양극이 될 수 있는 두 개가 한 쌍으로 마련된다.
한편, 정션박스(100)에는 쉴드(111)의 측면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한 쌍의 어디션 커넥터(113a, 113b)가 더 마련된다. 어디션 커넥터(113a, 113b)의 일측은 쉴드(111)의 내측에 배치되어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쉴드(111)의 외측에 배치된다.
어디션 커넥터(113)는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150)과 마찬가지로 두 개의 어디션 커넥터(113)가 마련되어 양극의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150)과 연결되는 것은 양극 어디션 커넥터(113a)가 되고, 음극의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150)과 연결되는 것은 음극 어디션 커넥터(113b)가 된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모듈(1)은 비교적 대지 면적이 넓은 장소에 적게는 수십개에서 많게는 수백 개가 설치된다. 이처럼 다수의 태양광 모듈(1)이 설치되면 각각의 태양광 모듈(1)이 저장하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기 위해 다수의 태양광 모듈(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때 각각의 태양광 모듈(1)을 연결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 어디션 커넥터(113)이다.
본체부(110)의 양측에는 상호 대칭되도록 한 쌍의 단자(115)가 더 마련된다. 각각의 단자(115)에는 전선(117a)이 연결되어 있고 전선(117a)의 단부에는 어디션 커넥터(115)와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플러그(117b)가 마련된다.
전술하였듯이, 다수의 태양광 모듈(1)은 어디션 커넥터(113)에 의해서 연결되는데,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체부(110)의 단자(115)에 연결된 전선(117a)과 커넥터 플러그(117b)가 어디션 커넥터(113)에 연결되는 것이다.
본체부(11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류를 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다이오드(d)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110)에 마련되는 상호 대칭되는 한 쌍의 단자(115)는 음극단자(115b)와 양극단자(115a)가 된다.
따라서 도 8처럼 하나의 태양광 모듈(1)에서 음극단자(115b)에 연결된 전선(117a)과 커넥터 플러그(117b)는 이웃된 다른 하나의 태양광 모듈(미도시)의 어디션 커넥터(115) 중 양극 어디션 커넥터(113a)와 결합되고, 하나의 태양광 모듈(1)에서 양극단자(115a)에 연결된 전선(117a)과 커넥터 플러그(117b)는 이웃된 다른 하나의 태양광 모듈(미도시)의 어디션 커넥터(115) 중 음극 어디션 커넥터(113b)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다수의 태양광 모듈(1)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의 태양광 모듈(1)이 정션박스(100)의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마지막 태양광 모듈의 정션박스(100)에 구비된 음극과 양극의 전선(117a) 및 커넥터 플러그(117b)는 태양광 모듈(1)이 저장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전기발전기(G)에 연결된다.
한편, 정션박스(100)에 마련되는 벤딩 터미널(13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벤딩 터미널(130)은 일측이 쉴드(111)에 연결되어 모듈 본체(20)의 노출 리본(9)과 평행한 가로구간부(131)와, 가로구간부(131)가 쉴드(111)와 연결되는 측에서 반대되는 측으로 연장되되 모듈 본체(20)를 향해 벤딩(절곡)되는 벤딩구간부(133)와, 벤딩구간부(133)로부터 연장되되 가로구간부(131)보다 노출 리본(9)에 더 근접되고 추후 노출 리본(9)과 용접되는 용접구간부(135)를 포함한다.
종래기술의 경우, 정션박스(미도시)에 마련되는 터미널은 모듈 본체(20)의 표면과 교차되는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와 용접될 노출 리본 또한 같은 방향으로 절곡시키기 위한 선행 작업이 필요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종래의 구조와는 완전히 다른 위와 같은 새로운 구조, 즉 벤딩 터미널(130)이 가로구간부(131), 벤딩구간부(133) 및 용접구간부(135)를 포함하는 새로운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처럼 모듈 본체(20) 쪽의 노출 리본(9)을 미리 절곡시켜 놓아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선행 작업이 전혀 필요치 않다. 즉 종래처럼 노출 리본을 절곡시키지 않더라도 정션박스(100)를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듈 본체(20)를 구성하는 제2 에바 시트(12)와 백 시트(13)에는 노출 리본(9)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홀(12a, 13a)이 형성되고, 이 홀(12a, 13a)을 통해서 벤딩 터미널(130)의 용접구간부(135)가 노출 리본(9)과 용접된다.
따라서 정션박스(100)가 모듈 본체(20)에 위치될 때는, 벤딩 터미널(130)의 용접구간부(135)가 제2 에바 시트(12)와 백 시트(13)에 형성된 홀(12a, 13a)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홀(12a, 13a)과 마주하는 용접구간부(135)의 일측면에는 벤딩 터미널(130)의 용접구간부(135)를 노출 리본(9)과 용접할 수 있는 용접비드(135a)가 미리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가압용접기가 도 4의 (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용접구간부(135)를 열가압하는 행위만으로 용접비드(135a)를 녹여 용접구간부(135)와 노출 리본(9)을 용접시킬 수 있다.
한편, 본체부(110)에는 돌출 형성된 쉴드(111)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며 쉴드(111)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는 핸들링 파지부(118)와, 핸들링 파지부(118)와 마찬가지로 쉴드(111)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며 본체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용 홀(119)이 마련된다.
핸들링 파지부(118)는 모듈 본체(20)에 정션박스(100)를 조립할 때, 별도로 제작된 정션박스(100)를 모듈 본체(20) 상(上)에 옮기기 위해 로봇이 파지하는 부분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가이드용 홀(119)은 모듈 본체(20)에 조립되는 정션박스(100)를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정션박스(100)를 모듈 본체(20)에 조립할 때에는 모듈 본체(20)에 정션박스(100)가 조립되는 면이 상측을 향하지만, 정션박스(100)가 조립된 후 태양광 모듈을 설치할 때에는 정션박스(100)가 조립된 면이 하측을 향하도록 하여 태양광 모듈(1)을 설치하기 때문에 정션박스(100)가 모듈 본체(20)와 분리될 수 있으므로 가이드용 홀(119)을 통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부재를 이용하여 정션박스(100)를 모듈 본체(20)에 완전하게 고정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100)를 모듈 본체(20)에 조립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정션박스(100)를 모듈 본체(20)의 유리기판(10)이 마련된 면과 반대되는 면에 배치한다. 모듈 본체(20)와는 별도로 제작되는 정션박스(100)를 모듈 본체(20) 상(上)으로 옮길 때에는 정션박스(100)에 마련된 핸들링 파지부(118)를 이용하여 이동시킨다. 이때는 도 4의 (a)처럼 노출 리본(9)이 확인되는 홀(12a, 13a)의 상측에 정션박스(100)의 벤딩 터미널(130)의 용접구간부(135)가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용접구간부(135)는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정션박스(100)를 정위치에 배치시키기만 하면 용접구간부(135)가 노출 리본(9)에 근접된다.
이 상태에서 도 4의 (a)의 화살표 방향으로 열가압하면 유연한 재질의 용접구간부(135)가 휘어지면서 홀(12a, 13a)을 통해 노출 리본(9)으로 향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용접구간부(135)에 미리 마련된 용접 비드(135a)가 녹으면서 용접구간부(135)와 노출 리본(9)이 상호 용접될 수 있게 된다(도 4의 (b) 참조).
벤딩 터미널(130)과 노출 리본(9)이 용접되면 정션박스(100)를 모듈 본체(20)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수행되는데 정션박스(100)의 본체부(110)에 마련된 가이드용 홀(199)을 통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부재를 이용하여 모듈 본체(20)에 고정시킨다.
정션박스(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정션박스(100)까지 조립되어 완성된 태양광 모듈(1)의 출력량을 측정하는 플래싱 공정이 진행된다.
플래싱 공정의 진행을 위해, 도 9처럼 별도의 출력량측정장치(T)를 마련하고 출력량측정장치(T)를 정션박스(100)의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150)과 연결시킨다.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150)은 두 개가 마련되어 있어 각각 음극과 양극을 띄고 있으므로 정션박스(100)는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150)을 통해 출력량을 측정할 수 있고, 출력량 측정이 완료되면 태양광 모듈(1)은 등급별로 분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광 모듈(1)의 출력 등급을 측정하기 위한 플래싱 공정을 종래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광 모듈(1)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태양광 모듈 20: 모듈 본체
100: 정션박스 110: 본체부
111: 쉴드 113: 어디션 커넥터
115: 단자 117a: 전선
117b: 커넥터 플러그 118: 파지부
119: 가이드용 홀 130: 벤딩 터미널
131: 가로구간부 133: 벤딩구간부
135: 용접구간부 135a: 용접비드
150: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

Claims (16)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태양광 모듈의 모듈 본체에 마련되는 리본(ribbon)과 용접되는 터미널(terminal); 및
    상기 터미널과 인접된 위치의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의 출력량 측정을 위한 전기적인 측정 포인트를 형성하는 한 쌍의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addition flashing terminal)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은 일부 구간이 벤딩(절곡)된 벤딩 터미널이며,
    상기 벤딩 터미널은,
    상기 리본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로구간부;
    상기 가로구간부의 단부에서 상기 가로구간부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로 벤딩되는 벤딩구간부; 및
    상기 벤딩구간부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가로구간부보다는 상기 리본에 더 근접되어 상기 리본과 용접되는 용접구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과 상기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은 상기 본체부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관통부 영역에는 상기 터미널과 상기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을 둘러싸면서 상기 본체부의 판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쉴드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과 상기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은 상기 쉴드의 내부에 상호간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쉴드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쉴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어디션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는 전선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어디션 커넥터와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구간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리본과 용접될 용접비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핸들링용 파지부; 및
    상기 핸들링용 파지부의 주변에 마련되는 가이드용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10. 리본(ribbon)을 구비하는 모듈 본체; 및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리본과 용접되는 터미널(terminal)과, 상기 터미널과 인접된 위치의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태양광 모듈의 출력량 측정을 위한 전기적인 측정 포인트를 형성하는 한 쌍의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addition flashing terminal)을 구비하는 정션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정션박스의 상기 터미널은 일부 구간이 벤딩(절곡)된 벤딩 터미널이며,
    상기 벤딩 터미널은,
    상기 리본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로구간부;
    상기 가로구간부의 단부에서 상기 가로구간부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로 벤딩되는 벤딩구간부; 및
    상기 벤딩구간부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가로구간부보다는 상기 리본에 더 근접되어 상기 리본과 용접되는 용접구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과 상기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은 상기 본체부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정션박스는, 상기 관통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터미널과 상기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을 둘러싸면서 상기 본체부의 판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박스는,
    일측은 상기 쉴드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어디션 플래싱 터미널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쉴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어디션 커넥터; 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마련되고 전선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어디션 커넥터와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13. 삭제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구간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리본과 용접될 용접비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박스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핸들링용 파지부; 및
    상기 핸들링용 파지부의 주변에 마련되는 가이드용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KR1020100040437A 2010-04-30 2010-04-30 정션박스 및 그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KR101203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437A KR101203443B1 (ko) 2010-04-30 2010-04-30 정션박스 및 그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437A KR101203443B1 (ko) 2010-04-30 2010-04-30 정션박스 및 그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033A KR20110121033A (ko) 2011-11-07
KR101203443B1 true KR101203443B1 (ko) 2012-11-21

Family

ID=4539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437A KR101203443B1 (ko) 2010-04-30 2010-04-30 정션박스 및 그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4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2971B (zh) * 2014-11-13 2016-09-07 苏州润阳光伏科技有限公司 具有优化功能的光伏组件接线盒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0146A (ja) * 2007-06-27 2009-01-15 Kyocera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0146A (ja) * 2007-06-27 2009-01-15 Kyocera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033A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110B1 (ko) 태양광 모듈의 정션박스 연결장치
TWI631720B (zh) 太陽能電池組件
US20180309013A1 (en) Single-cell encapsulation and flexible-format module architecture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US10707363B2 (en) Assembly for housing wire elements
US20090183762A1 (en) Low-voltage tracking solar concentrator
KR20200030093A (ko) 안정화된 슁글된 태양 전지 스트링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90133B1 (ko) 태양광 패널의 발전용 전지와 같은 전기 활성 패널의 전기 활성 전지의 외부 전기 접속용 장치
KR101256648B1 (ko)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외장재
TWI472045B (zh) 橋接太陽能電池及太陽能發電系統
KR101156491B1 (ko) 정션박스 및 그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KR101222483B1 (ko) 정션박스 및 그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JP2005183660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172469B1 (ko) 분리형 태양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4461838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203443B1 (ko) 정션박스 및 그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TWI478361B (zh) 太陽能電池模組
CN113140647A (zh) 异质结太阳能电池片、光伏组件及制造方法
GB2564123A (en) Multi-purpose off-grid PV module design
KR101103540B1 (ko) 태양광 모듈용 코너 키 및 그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KR101305849B1 (ko) 태양전지 모듈
KR200489603Y1 (ko) 태양전지모듈
KR101182580B1 (ko) 정션박스 및 그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KR101132234B1 (ko) 정션박스 및 그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CN103730519A (zh) 一种柔性薄膜太阳能电池组件及其制作方法
KR101088045B1 (ko) 태양광 모듈 생산 설비용 정션 박스 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