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945B1 - Apparatus for storing air pressure energy by using hydraulic pressur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toring air pressure energy by using hydraulic press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945B1
KR101202945B1 KR1020110009304A KR20110009304A KR101202945B1 KR 101202945 B1 KR101202945 B1 KR 101202945B1 KR 1020110009304 A KR1020110009304 A KR 1020110009304A KR 20110009304 A KR20110009304 A KR 20110009304A KR 101202945 B1 KR101202945 B1 KR 101202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compressed air
ai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3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00137A (en
Inventor
이지남
Original Assignee
이지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남 filed Critical 이지남
Priority to PCT/KR2011/00117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108820A2/en
Publication of KR20110100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1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9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2Storage of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물과 압축공기가 저장되는 탱크; 일단은 상기 탱크의 개방된 바닥면을 통해 탱크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외부에 배치되어 압축공기를 탱크 내부로 공급하는 흡기관; 상기 탱크 내부의 압축공기를 상기 탱크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관; 및 상기 탱크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탱크를 바닥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는 일부 또는 전체가 수면 아래로 잠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탱크는 물의 수압과 부력이라는 자연원리를 이용하므로 공기를 압축할 때 발생하는 높은 열을 방지할 수 있고, 고압탱크 폭발 등의 위험요소를 수압을 이용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에너지 저장시설을 대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이들 고압상태의 압축공기를 대용량으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얻어진 압축공기를 발전시스템에 적용하여 전기와 같은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the bottom of the tank is open and the water and compressed air stored therein; One end is disposed inside the tank through the open bottom surface of the tank,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outside to supply compressed air to the tank; An exhaust pipe discharging the compressed air inside the tank to the outside of the tank; And a fixing member provided below the tank to fix the tank to the bottom, wherein the tank provides a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using hydraulic pressure, wherein a part or the whole of the tank is locked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nk for storing using compressed air uses the natural principle of water pressure and buoyancy to prevent high heat generated when compressing air, and the risk of explosion of high pressure tank, etc. It is possible to remove urea relatively easily by using water pressure, to make energy storage facilities large, and to store these high-pressure compressed air in large quantities, and to generate compressed air thus obtained. It is possible to apply it to other forms of energy, such as electricity.

Description

수압을 이용한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Apparatus for storing air pressure energy by using hydraulic pressure}Apparatus for storing air pressure energy by using hydraulic pressure}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에너지 저장 기술 중에 공기압 에너지를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속에 공기 저장용 탱크를 설치하여 기계적 에너지에 의해 생산된 압축공기를 수압을 이용하여 집합 저장시켜서 공기압 에너지 형태로 보관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수압을 이용한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pneumatic energy among various energy storage technologie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device for installing pneumatic energy in water to collectively store compressed air produced by mechanical energy using water pressure to form pneumatic energy. It relates to a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using a hydraulic pressure configured to be stored and used.

에너지의 급격한 수요에 따라 근래 들어 석탄, 석유 및 천연가스등의 화석연료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환경오염이 점차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에너지 효율이 높고 환경오염이 적은 다양한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Recently, the shortage of fossil fuels such as coal, oil, and natural gas has been intensified due to the rapid demand of energ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s gradually becoming a social problem. To solve these problems, various eco-friendly products with high energy efficiency and low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energy sources.

일반적으로 자연환경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방법으로서 수위차(水位差)를 이용하는 수력발전, 바람을 이용한 풍력발전,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태양열발전, 바다에서 발생하는 파도의 힘을 이용하는 파력발전등의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In general, as a method of obtaining energy using the natural environment, various methods such as hydro power generation using water level difference, wind power generation using wind, solar power generation using solar energy, and wave power generation using wave power generated from the sea, etc. There are ways.

이와 같은 발전방식에 있어서 상기 수력발전의 경우, 댐을 건설하여 풍족한 유량(流量)을 확보해야 하고, 낙하된 후의 물을 재사용하기 어려우며, 갈수기 및 결빙기에는 유수량이 적어 전력생산에 차질이 생기는 단점이 있다.In such a power generation method, in the case of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dam to secure abundant flow rate, it is difficult to reuse the water after the fall, and the low water flow rate in the low and dry seasons and the freezing period has a disadvantage in generating power. have.

또한, 풍력발전이나 태양열 발전도 수시로 변하는 자연현상 및 기상의 변화에 영향을 크게 받게 되고, 설치장소의 지형적 제한이 있으며, 원자력 발전과 화력발전은 환경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ind power and solar power are also greatly affected by natural phenomena and meteorological changes that change frequently, there is a geographical limitation of the installation site, nuclear power and thermal power generation has the disadvantage of emitting environmental pollutants.

한편, 콤프레셔(compressor) 또는 실린더(cylinder)와 같은 공기압축수단을 통해 생산되는 압축공기(壓縮空氣)는 발전시설이나 축전설비에 사용 가능한 에너지원으로서, 종래에는 이를 에너지 형태로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에 있었다.
On the other hand, compressed air produced through an air compression means such as a compressor or a cylinder is an energy source that can be used in power generation facilities or power storage facilities, and is conventionally used to store it in the form of energy. Since no device is provided, development of such a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is urgently nee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압축수단을 통해 생산된 압축공기의 저장이 가능한 수압을 이용한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and necessity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using a hydraulic pressure capable of storing the compressed air produced through the air compression mea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얻어진 압축공기를 발전시스템에 적용하여 전기와 같은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압을 이용한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using hydraulic pressure capable of converting the compressed air obtained as described above into a power generation system and converting it into another type of energy such as electricity.

본 발명은, 바닥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물과 압축공기가 저장되는 탱크(200); 일단은 상기 탱크의 개방된 바닥면을 통해 탱크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외부에 배치되어 압축공기를 탱크 내부로 공급하는 흡기관(210); 상기 탱크 내부의 압축공기를 상기 탱크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관(230); 및 상기 탱크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탱크를 바닥에 고정하는 고정부재(270);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는 일부 또는 전체가 수면 아래로 잠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tank 200 is the bottom surface is open and the water and compressed air is stored therein; One end is disposed inside the tank through the open bottom surface of the tank,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outside to supply compressed air to the tank; An exhaust pipe 230 configured to discharge the compressed air inside the tank to the outside of the tank; And a fixing member 270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tank to fix the tank to the bottom, wherein the tank is partially or entirely submerged below the water surface.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바닥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물과 압축공기가 저장되는 탱크(300); 일단은 상기 탱크의 개방된 바닥면을 통해 탱크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외부에 배치되어 압축공기를 탱크 내부로 공급하는 흡기관(310); 상기 탱크 내부의 압축공기를 상기 탱크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관(330);을 포함하고, 상기 탱크(300)는 물속에서 부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nk 300 is the bottom surface is opened and the water and compressed air is stored therein; One end is disposed in the tank through the open bottom surface of the tank, the other end is disposed outside to supply the compressed air into the tank 310; And an exhaust pipe 330 for discharging the compressed air inside the tank to the outside of the tank, wherein the tank 300 provides a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using hydraulic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loats in water.

상기 흡기관에는 흡기관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 1체크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관에는 배기관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체크밸브가 설치된다.
The intake pipe is provided with a first check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or closing the intake pipe, and the exhaust pipe is provided with a second check valve for preventing backflow of air moving through the exhaust pip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압을 이용한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using the water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콤프레셔 또는 실린더와 같은 공기압축수단을 통해 압축공기를 생산한 후 이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이들 고압상태의 압축공기를 대용량으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얻어진 압축공기를 발전시스템에 적용하여 전기와 같은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produce compressed air through air compression means such as compressors or cylinders, and then store it.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tore these high-pressure compressed air in large quantities. It is possible to convert it to other forms of energy, such as electricity.

또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탱크는 물의 수압과 부력이라는 자연원리를 이용하므로 공기를 압축할 때 발생하는 높은 열을 방지할 수 있고, 진공탱크나 고압탱크에는 폭발 등에 대비하여 엄격한 규격이 필요하지만 수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위험요소를 비교적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에너지 저장시설을 대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tank that stores the compressed air uses the natural principle of water pressure and buoyancy to prevent the high heat generated when air is compressed, and strict specifications are required for explosions in vacuum or high pressure tanks. However, the use of hydraulic pressure can eliminate these hazards relatively easily and make it possible to build large energy storage facilities.

또한, 갑자기 많은 양의 공기압을 사용하여 탱크 내부 압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경우에도 물의 수압에 의해서 적정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등의 유리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ous advantage such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proper pressure by the water pressure of water even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suddenly drops using a large amount of air press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 일부 구성의 측단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using water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3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of FIG.
4 to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using a water press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using water press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3은 상기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 일부 구성의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using a water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3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도 1 내지 도 3의 그림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는 댐이나 바다와 같은 수중(W)에 설치된다. 수중에 완전히 잠기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상측 일부는 물의 표면 위로 나오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탱크의 일부만 물속에 잠긴 모습을 도시하고 있고,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탱크 전체가 물속에 잠긴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를 보면, 공기를 저장하는 탱크(200), 탱크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관(210), 탱크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관(230), 등을 포함한다.1 to 3, the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using the water press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water (W), such as a dam or the sea. It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completely submerged in water, or the upper part may be installed to come out above the surface of the water. In FIG. 1, only a part of the tank is submerged in wa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n FIG. 2, the entire tank is submerged in wa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ank 200 for storing air, an intake pipe 210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tank, an exhaust pipe 230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of the tank, and the like. .

상기 탱크(2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만들거나 또는 원통형으로 만들 수도 있으며, 상기 탱크의 바닥면은 개방되어 물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된다. 상기 탱크의 하측에는 탱크를 바닥에 고정하는 고정부재(270)가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 등의 다양한 연결수단에 의해서 상기 탱크를 수중의 바닥에 고정한다.The tank 200 may be made into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may be opened so that water may freely flow in and out. A fixing member 270 for fixing the tank to the bottom is disposed under the tank, and the fixing member fixes the tank to the bottom of the water by various connecting means such as bolts.

상기 탱크의 측면에 상하로 흡기관(210)이 배치된다. 흡기관의 일단은 상기 탱크(200)의 아래쪽 물속에 배치된다. 즉, 상기 흡기관의 일단은 탱크의 개방된 하부를 지나서 탱크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도 2참조), 탱크의 하단 아래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도 3참조).The intake pipe 21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ank up and down. One end of the intake pipe is disposed in the water below the tank 200. That is, one end of the intake pipe may be disposed inside the tank past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tank (see FIG. 2), or may be disposed below the bottom of the tank (see FIG. 3).

다시 말하면, 도 2에서와 같이 흡기관의 일단이 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속에 위치하여, 상기 흡기관(210)의 일단에서 나온 공기는 자체 부력의 힘으로 위쪽으로 이동하여 탱크 속에 저장된다. 또는 도 3에서와 같이 흡기관의 일단이 탱크의 하단 바로 아래쪽에 배치된 경우에도 상기 흡기관(210)의 일단에서 나온 공기는 자체 부력의 힘으로 위쪽으로 이동하여 탱크 속에 저장된다. 그리고 흡기관(210)의 타단은 외부 공기 유입장치에 연결된다. 외부 공기 유입장치는 콤프레셔 또는 실린더로 구성되는 공기압축수단이다. 도 1에서는 상기 흡기관(210)이 두 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예시적인 그림이며 흡기관(210)은 필요에 따라 많은 수의 작은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2, one end of the intake pipe is located in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and the air from one end of the intake pipe 210 moves upward with its own buoyancy force and is stored in the tank. Alternatively, even when one end of the intake pipe is disposed just below the bottom of the tank as shown in FIG. 3, air from one end of the intake pipe 210 moves upward with its own buoyancy force and is stored in the tank. And the other end of the intake pipe 21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air inlet device. The external air inlet device is an air compression means consisting of a compressor or a cylinder. In FIG. 1, only two intake pipes 210 are shown, but this is an exemplary illustration and the intake pipe 210 may be formed in a large number of small pipes as necessary.

또한, 상기 흡기관(210)상에는 흡기관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 1체크밸브(215)가 설치되어 있고, 제 1체크밸브는 흡기관을 통해서 공기가 탱크 속으로 유입될 수는 있으나, 흡기관을 통해 탱크 내부 공기가 배출될 수는 없도록 된다. 탱크의 바닥면은 개방되어 있어서 물이 탱크의 외부와 내부로 자유롭게 소통하며 이동할 수 있고, 탱크 내에서 상측에 저장된 공기의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탱크 내부 물의 높이는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이렇게 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면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된다.In addition, a first check valve 215 is provided on the intake pipe 210 to selectively open or close the intake pipe. In the first check valve,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tank through the intake pipe. Therefore, the air in the tank cannot be discharged through the intake pipe. The bottom of the tank is open so that water can move freely in and out of the tank, and the height of the water inside the tank is lowered as the pressure of the air stored above is increased in the tank. A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side the tank moves up and down, the pressure is automatically adjusted.

또한, 상기 탱크(200)의 상측에는 탱크 내부의 압축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230)이 설치된다. 상기 배기관(230)의 일단은 상기 탱크의 상측을 관통하여 탱크(200)내에 삽입되고, 배기관(230)의 타단은 연결구(240)를 통해서 압축공기를 필요로 하는 외부 장치 즉, 발전기에 연결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등의 일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230)에는 배기관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체크밸브(235)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n exhaust pipe 230 for discharging the compressed air inside the tank is installed above the tank 200. One end of the exhaust pipe 230 is inserted into the tank 200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tank, the other end of the exhaust pipe 23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at requires compressed air through the connector 240, that is, a generator To generate electricity. In addition, a second check valve 235 is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230 to prevent backflow of air moving through the exhaust pipe.

그리고, 상기 탱크의 상측에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관(260)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압력조절관에는 탱크 내부 압력을 보여주는 압력게이지(265)가 설치된다.And, the upper side of the tank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e control pipe 260 that can adjust the pressure, the pressure control pipe is provided with a pressure gauge 265 show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ank.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콤프레셔, 실린더등과 같은 공기압축수단을 통해 압축공기가 생산되면, 상기 압축공기는 흡기관(210)을 통해 상기 탱크(200)의 내부로 유입된다.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탱크 내에서 부력에 의해 위로 상승하여 상기 탱크(200)의 상측 내부에 저장된다. 유입되는 공기가 증가함에 따라 축적되는 공기량이 늘어나고 압력이 높아지면서 탱크 내부의 수면은 아래로 내려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hen compressed air is produced through an air compression means such as a compressor or a cylinder, the compress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tank 200 through the intake pipe 21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tank rises upward by buoyancy in the tank and is stored in the upper side of the tank 200. As the incoming air increases, the amount of air that accumulates increases and the pressure rises, causing the water level inside the tank to go down.

이와 같이 하여 탱크(200) 내부에 압축공기가 완전히 충진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체크밸브(215)는 상기 흡기관(210)을 폐쇄시킨다. 탱크 내부의 공기는 아래쪽에 존재하는 물에 의해 수압을 받게 되며 일정한 고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is way, the first check valve 215 closes the intake pipe 210 in a state where the compressed air is completely filled in the tank 200. The air in the tank is subjected to water pressure by the water present at the bottom and maintains a constant high pressure.

이후, 탱크 내부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배기관(230)의 제 2체크밸브(235)가 열리고 탱크(200) 내부에 충진된 압축공기는 상기 배기관(2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와 같이 배출된 압축공기는 후공정에서 고압공기를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 장치로 유입될 수 있다. 또는, 일정한 압력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구동시켜 전기를 생산하거나 생산된 전기를 축전설비에 축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n, when it is necessary to use the compressed air stored in the tank, the second check valve 235 of the exhaust pipe 230 is opened and the compressed air filled in the tank 200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ipe 230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as described above may be introduced into various devices requiring high pressure air in a subsequent process. Alternatively, it may be possible to generate electricity by driving a generator using compressed air injected at a constant pressure, or to store the generated electricity in a power storage facility.

한편, 압축공기가 탱크(200)에 지속적으로 저장되면, 상기 탱크 내부의 압력이 점차 상승하게 되지만, 설정치 이상의 압력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압력조절관(260)를 통해 탱크 내부의 공기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켜서 탱크 내부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ompressed air is continuously stored in the tank 200,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is gradually increased, but when the pressure rises above the set value, the air inside the tank through the pressure control pipe 260 to the outside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keep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constant at all times by discharging it.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는 물속에서 바닥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물의 수면에 떠 있는 부유식으로 구성된다. 4 to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using the water press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fixed to the floor in the water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It is composed of floating.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는 댐이나 바다와 같은 수중에 설치되되, 물의 표면에 부유한 상태로 설치된다. 도 4에서는 탱크의 일부가 물속에 잠긴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를 보면, 공기를 저장하는 탱크(300), 탱크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관(310), 탱크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관(330) 등을 포함한다. Floating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water, such as a dam or the sea, it is installed in a floating state on the surface of the water. 4 shows a part of the tank submerged in water. The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ank 300 for storing air, an intake pipe 310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tank, an exhaust pipe 330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of the tank, and the like.

상기 탱크(3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만들거나 또는 원통형으로 만들 수도 있으며, 상기 탱크의 바닥면은 개방되어 물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는 물 위에서 부유하는(떠 있는) 형상이다. 다만, 탱크가 물 위에서 다른 장소로 떠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로프 등을 이용하여 특정위치에서 머무를 수 있도록 할 수는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탱크의 측면이나 바닥에 로프(미도시) 등 고정수단을 연결한 후 상기 로프를 도시되지 않은 고정지점에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The tank 300 may be made into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r cylindrical shap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may be opened so that water may freely flow in and out. The tank is then shaped to float on water.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tank from drifting to another place on the water, it may be possible to stay at a specific position by using a rope or the like. In other words, after connecting the fixing means such as a rope (not shown) to the side or bottom of the tank may be connected to the fixed point not shown.

상기 탱크의 측면에 상하로 흡기관(310)이 배치되되, 흡기관의 일단은 상기 탱크(300)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흡기관(310)의 타단은 외부 공기 유입장치에 연결된다. 상기 흡기관의 일단은 탱크의 개방된 하부를 지나서 탱크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도 4 참조), 탱크의 하단 아래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도 5 참조).Intake pipe 310 is disposed up and down on the side of the tank, one end of the intake pipe is disposed below the tank 300 and the other end of the intake pipe 31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air inlet. One end of the intake pipe may be disposed inside the tank past the open lower part of the tank (see FIG. 4), or may be disposed below the bottom of the tank (see FIG. 5).

외부 공기 유입장치는 콤프레셔 또는 실린더로 구성되는 공기압축수단이다. 도 4에서는 상기 흡기관(310)이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예시적인 그림이며 흡기관(310)은 필요에 따라 많은 수의 작은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external air inlet device is an air compression means consisting of a compressor or a cylinder. In FIG. 4, only one intake pipe 310 is shown, but this is an exemplary illustration and the intake pipe 310 may be formed in a large number of small pipes as necessary.

또한, 상기 흡기관(310)상에는 흡기관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 1체크밸브(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제 1체크밸브는 흡기관을 통해서 공기가 탱크 속으로 유입될 수는 있으나, 흡기관을 통해 탱크 내부 공기가 배출될 수는 없도록 된다. 탱크의 바닥면은 개방되어 있어서 물이 탱크의 외부와 내부로 자유롭게 소통하며 이동할 수 있고, 탱크 내에서 상측에 저장된 공기의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탱크 내부 물의 높이는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이렇게 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면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된다.In addition, a first check valve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intake pipe 310 to selectively open or close the intake pipe, and the first check valve may allow air to flow into the tank through the intake pipe. However, the air in the tank cannot be discharged through the intake pipe. The bottom of the tank is open so that water can move freely in and out of the tank, and the height of the water inside the tank is lowered as the pressure of the air stored above is increased in the tank. A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side the tank moves up and down, the pressure is automatically adjusted.

또한, 상기 탱크(300)의 상측에는 탱크 내부의 압축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330)이 설치된다. 상기 배기관(330)의 일단은 상기 탱크의 상측을 관통하여 탱크(300)내에 삽입되고, 배기관(330)의 타단은 압축공기를 필요로 하는 외부 장치 즉, 발전기에 연결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등의 일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330)에는 배기관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체크밸브(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n exhaust pipe 330 for discharging the compressed air inside the tank is installed above the tank 300. One end of the exhaust pipe 330 is inserted into the tank 300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tank, and the other end of the exhaust pipe 33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at requires compressed air, that is, a generator to produce electricity. I can work. In addition, a second check valve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330 to prevent backflow of air moving through the exhaust pipe.

그리고, 상기 탱크의 상측에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관(360)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압력조절관에는 탱크 내부 압력을 보여주는 압력게이지(365)가 설치된다.And, the upper side of the tank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e control tube 360 to adjust the pressure, the pressure control tube is provided with a pressure gauge 365 show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ank.

본 제2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는, 탱크가 수중의 바닥에 고정되지 않고 물속에서 떠있는(부유하는) 구성만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요소는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그 밖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생략하도록 한다.The floating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only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tank is not fixed to the bottom of the water but floats (floating) in water, and other components are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refore, other detailed contents will be omitted to avoid duplicate explanation.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는,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는 탱크 하단부의 물속에 설치된다. 흡입구에서 나온 공기는 물속에서 나오면 공기방울은 부력에 의해서 상부로 떠올라 탱크의 상측에 저장되고 계속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탱크 내의 공기압력이 높아지면 탱크 내에 있는 물을 아래로 밀어내게 되고 공기압에 따라 탱크 내부의 수위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새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는 물속에서 공급되므로 탱크 내의 높은 공기압을 차단하여 공기압력과는 관계없이 탱크 하부의 깊이에 따른 수압의 영향만을 받게 되므로 공기의 압력이 낮은 저압이라도 비교적 쉽게 탱크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In the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inlet por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s installed in the water of the tank bottom. When the air from the inlet comes out of the water, the air bubble rises up by buoyancy and is stored above the tank. If the air pressure in the tank is increased by the continuously flowing air, the water in the tank is pushed down. The water level inside the tank moves up and down. Since the newly introduced compressed air is supplied from the water, it blocks the high air pressure in the tank, so it is only affected by the water pressure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tank regardless of the air pressure. Therefore, even if the air pressure is low, it is relatively easy to supply air into the tank. Can b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압축공기를 이용한 이러한 에너지 저장시설은 친환경 에너지인 자연의 풍력과 수력을 활용하고 비교적 간단한 시설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압축공기를 생산해서 저장탱크에 주입, 저장하고 이를 활용하여 선풍기나 에어콘 용도로 공기가 필요한 곳에 이송관을 통해 직접 공급하거나 발전기를 구동시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최근 세계 각국의 친환경 정책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 보급이 확산되면서 전력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해 전력에너지 저장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여러가지 저장기술 중 압축공기를 이용한 압축공기 저장기술이 현실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탱크 속에 저장된 압축공기는 수압과 부력에 의해 일정하고 높은 압력으로 상승하여 저장되며, 저장된 압축공기를 다량 사용하여 공기량이 줄어들더라도 수압과 부력의 작용으로 탱크 속의 공기 압력은 적절히 유지되고 필요시 외부에서 계속하여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압축공기 저장기술은 압축공기의 집합과 압력상승, 일정한 압력 유지 및 저장기능을 모두 충족시키는 복합적이고 다목적인 에너지 저장기술이며, 본 기술로 인해서 자연에 버려졌던 무한량의 자연에너지원들이 모두 환경을 훼손함이 없이 쉽게 에너지로 이용될 수 있어서 친환경적인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using the water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modifications can be made.

This energy storage facility using compressed air has the advantage of using natural wind power and hydropower, which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and can produce energy with a relatively simple facility.It produces compressed air, injects it into a storage tank, stores it, and utilizes it. For air conditioning, electricity can be produced by directly supplying air through a transfer pipe or driving a generator.
With the spread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n accordance with the eco-friendly policies of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power energy storage technology is required for stable supply and demand of electricity. Compressed air storage technology using compressed air is evaluated as the most effective technology among various storage technologies. It is becoming.
The compressed air stored in the tank rises and is stored at a constant and high pressure by the hydraulic pressure and buoyancy, and even though the amount of compressed air is reduced by using a large amount of stored compressed air, the air pressure in the tank is properly maintained by the action of the hydraulic pressure and buoyancy, You can continue to introduce air.
Therefore, compressed air storage technology is a complex and multi-purpose energy storage technology that satisfies both the collection of compressed air, pressure rise, constant pressure retention and storage function. It can be easily used as energy without damaging and can produce eco-friendly renewable energy.

Claims (4)

물이 바닥면을 통해 내외로 유동할 수 있도록 바닥면이 개방된 상태로 수중에 배치되어 압축공기가 대량 저장되는 탱크(200);
일단은 상기 탱크의 아래쪽 물속에 배치되고 타단은 외부에 배치되어, 콤퓨레서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생산된 압축공기를 상기 탱크 하부로 공급하는 복수의 흡기관(210);
상기 탱크 내부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탱크 외부로 배출하도록 탱크 상부에 구비된 배기관(230); 및
상기 탱크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탱크를 바닥에 고정하는 고정부재(270);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관에 의해 탱크 하부로 공급된 공기는 부력에 의해 부상하여 탱크 내부에 저장되고, 계속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탱크 내부의 공기압력은 증가하면서 팽창되어 탱크 내부의 물을 탱크 하부로 밀어내면서 대량으로 저장되고, 필요시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배기관을 통해서 배출시키면 탱크 하부로 밀려나갔던 물이 부력에 의해 다시 탱크 내부로 유입되면서 저장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배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며, 상기 복수의 흡기관과 배기관은 상기 탱크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는 물이 존재하고 있어서 상기 흡기관과 배기관은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
A tank 200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opened in water so that water flows in and out through the bottom surface, in which a large amount of compressed air is stored;
A plurality of intake pipes 210 having one end disposed in the lower water of the tank and the other end disposed outside,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produced by using a compressor or a cylinder to the lower part of the tank;
An exhaust pipe 230 disposed above the tank to discharge the compressed air stored in the tank to the outside of the tank; And
It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tank, th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tank to the bottom;
The air su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tank by the intake pipe is floated by buoyancy and stored in the tank, and the air pressure inside the tank is expanded while the air continuously supplied increases and pushes the water in the tank to the lower part of the tank. When the compressed air stored in the tank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ipe if necessary, the water pushed out to the bottom of the tank flows back into the tank by buoyancy and the pressure of the stored compressed air is kept constant. Produces electricity, wherein the plurality of intake pipes and exhaust pipes are disposed at the lower and upper ends of the tank, respectively, there is water between them so that the intake pipes and exhaust pipes can be used without being influenced by each other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using hydraulic pressure.
물이 바닥면을 통해 내외로 유동할 수 있도록 바닥면이 개방된 상태로 수중에 배치되어 압축공기가 대량 저장되는 탱크(300);
일단은 상기 탱크의 아래쪽 물속에 배치되고 타단은 외부에 배치되어, 콤퓨레서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생산된 압축공기를 탱크 하부로 공급하는 복수의 흡기관(310);
상기 탱크 내부의 압축공기를 상기 탱크 외부로 배출하도록 탱크 상부에 구비된 배기관(330); 및
상기 탱크(300)의 측면이나 바닥에 연결되어 상기 탱크가 다른 장소로 떠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300)는 물속에서 부유하고,
상기 복수의 흡기관(310)에 의해 탱크 하부로 공급된 공기는 부력에 의해 부상하여 탱크 내부에 저장되고, 계속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탱크 내부의 공기압력은 증가하면서 팽창되어 탱크 내부의 물을 탱크 하부로 밀어내면서 대량으로 저장되고, 필요시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배기관을 통해 배출시키면 탱크 하부로 밀려나갔던 물이 부력에 의해 다시 탱크 내부로 유입되면서 저장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배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며, 상기 복수의 흡기관과 배기관은 상기 탱크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는 물이 존재하고 있어서 상기 흡기관과 배기관은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
A tank 300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opened in water so that water can flow in and out through the bottom surface, in which a large amount of compressed air is stored;
A plurality of intake pipes 310 having one end disposed in the lower water of the tank and the other end disposed outside,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produced using a compressor or a cylinder to the lower part of the tank;
An exhaust pipe 330 provided on the tank to discharge the compressed air inside the tank to the outside of the tank; And
Is connected to the side or bottom of the tank 300 includes a rope to prevent the tank from floating to another place,
The tank 300 is suspended in water,
The air su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tank by the plurality of intake pipes 310 is floated by buoyancy and stored in the tank, and the air pressure inside the tank is expanded while the ai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expand the water in the tank. When the compressed air is stored in large quantities while being pushed to the bottom, and the stored compress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ipe, water pushed out to the lower part of the tank is introduced into the tank by buoyancy and discharged while maintaining the pressure of the stored compressed air. Electricity is generated by compressed air, and the plurality of intake pipes and exhaust pipes are disposed at the lower and upper ends of the tank, respectively, and water exists between them, so that the intake pipes and the exhaust pipes are not affected by each other.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using water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possibl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기관에는, 흡기관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 1체크밸브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콤퓨레서나 실린더는 전기, 조류, 조력, 파력 등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직접 생산해서 탱크 내부에 공급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lurality of intake pipes are provided with first check valves for selectively opening or closing the intake pipes, respectively.
The compressor or cylinder is a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using a hydraulic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by using the kinetic energy, such as electricity, tidal current, tidal wave, wave pressure to produce the compressed air directly supplied to the tank.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에는, 배기관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공기압 에너지 저장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xhaust pipe, the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using a hydraulic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heck valve for preventing the air flowing through the exhaust pipe is installed.
KR1020110009304A 2010-03-03 2011-01-31 Apparatus for storing air pressure energy by using hydraulic pressure KR1012029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1178 WO2011108820A2 (en) 2010-03-03 2011-02-23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using water pres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839 2010-03-03
KR20100018839 2010-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137A KR20110100137A (en) 2011-09-09
KR101202945B1 true KR101202945B1 (en) 2012-11-19

Family

ID=4495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304A KR101202945B1 (en) 2010-03-03 2011-01-31 Apparatus for storing air pressure energy by using hydraulic press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9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797B1 (en) * 2013-09-30 2020-03-05 한국전력공사 Wave power generation apparatus
KR102429989B1 (en) * 2021-02-16 2022-08-05 이노스텍 주식회사 Submerged energy stora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137A (en) 201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3256716T3 (en) HYDROPNEUMATIC ENERGY STORAGE SYSTEM
CN101806273B (en) Tide power generation device
KR20110021086A (en) Apparatus for using waves energy
CN105888933A (en) Array type wave energy electricity generating system
CN104454357A (en) Wind energy and wave energy combined electricity generation device
NZ565291A (en) Power generation using immersed vessel(s) using off-peak electricity for pumping out water from vessel and to generate electricity via turbine during peak demand to feed to grid
CN203702448U (en) Tide-driven compressed gas power-generating device
CN102011676A (en) Vacuum pumping storage scale power generation system engineering
KR101202945B1 (en) Apparatus for storing air pressure energy by using hydraulic pressure
CN113107749A (en) Movable wave energy storage generator
CN201215062Y (en) Hydraulic generating system utilizing buoyance
Chenari et al. Wave energy systems: An overview of different wave energy converters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improvements
WO2015174726A1 (en) Energy storage apparatus using power generation turbine and compressed gas by pump
KR101242506B1 (en) Tension leg platform having stationary buoyance holding by tendon and movable buoyance
RU2732359C1 (en) Tidal hpp
KR101560506B1 (en) Submerged floating energy storage using under water hydraulic pressure
WO2006076756A1 (en) Wave energy extraction system
KR101851459B1 (en) land mounted type compressed air storage device
WO2011108820A2 (en) Pneumatic energy storage device using water pressure
US11560871B2 (en) Wave power utiliz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wave power utilization device
KR20130026797A (en) Hydro power generator system using water wheel and buoyancy
KR20050108668A (en) Hydro power
RU2710135C1 (en) Tidal hpp
JPH05321817A (en) Heavy floatation power generation method
CN102116245A (en)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electricity and extracting oil at sea through wave ener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