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897B1 -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 - Google Patents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897B1
KR101202897B1 KR1020080074574A KR20080074574A KR101202897B1 KR 101202897 B1 KR101202897 B1 KR 101202897B1 KR 1020080074574 A KR1020080074574 A KR 1020080074574A KR 20080074574 A KR20080074574 A KR 20080074574A KR 101202897 B1 KR101202897 B1 KR 101202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uel
shuttle
hole
shuttle val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068A (ko
Inventor
김주태
허광철
강상립
김동훈
김영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4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897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89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 F02M59/462Deliver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31Valve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valves, e.g. special valve member details, valve seat details, valve housing details
    • F02M63/005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31Valve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valves, e.g. special valve member details, valve seat details, valve housing details
    • F02M63/0054Check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는, 딜리버리 밸브 하우징, 딜리버리 밸브 커버 및 에어 밸브 니들을 포함하되, 연료 유입구 및 연료 분사구가 형성된 연료펌프 탑 커버에 설치되는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에 있어서, 전방에 상기 연료 유입구와 연료 분사구를 연결하는 연료 유로와, 내부에 상기 연료유로와 연결되는 셔틀밸브 수용 홀과, 후방이 개구되고 상기 셔틀밸브 수용 홀과 연결된 밸브시트 수용 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료펌프 탑 커버와 상기 딜리버리 밸브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셔틀밸브 케이스;와 내부에 후방이 개구된 밸브시트 삽입구와, 상기 밸브시트 삽입구와 연결되어 전방으로 관통된 셔틀밸브 관통공과, 외면에 상기 연료 유로와 상기 밸브시트 수용 홀을 연결하는 셔틀밸브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시트 수용 홀에 삽입되어 상기 연료 유로를 개폐하는 셔틀밸브;와, 내부에 후방이 개구된 리턴 스프링 수용 홀과, 상기 리턴 스프링 수용 홀과 연결되어 전방으로 관통된 체크밸브 삽입구가 형성되고, 외면은 단차지며, 전방은 상기 셔틀밸브 홈에 삽입되고 후방은 상기 밸브시트 수용 홀에 삽입되어 상기 셔틀밸브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하는 밸브시트;와 상기 체크밸브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체크밸브 삽입구를 개폐하고, 개방시 상기 연료가 상기 셔틀밸브 관통공을 통해 상기 리턴 스프링 수용 홀로 이동하도록 외면에 체크밸브 홈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 밸브 니들에 의해 전후 이동이 컨트롤 되어 상기 밸브시트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셔틀밸브를 전방으로 밀어내고, 상기 체크밸브를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상기 셔 틀밸브와 상기 체크밸브 사이에 설치되는 셔틀밸브 스프링; 및 상기 밸브시트를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상기 리턴 스프링 수용 홀에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짧은 시간에 고압의 연료를 분사하여 고른 분무가 가능하고, 압력강하를 빠르게 차단하여 분사밸브의 잔압을 높임으로써, 캐비테이션 현상을 최소화하여 연소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80074574
디젤엔진용 연료펌프, 연료펌프

Description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A delivery valve for a diesel engine}
본 발명은 2행정 디젤엔진용 연료 분사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셔틀밸브와 체크밸브를 이용하여 고압의 연료를 신속하게 분사하고, 고르게 분무시켜 연소효율을 증가시키며, 순간적인 압력강하를 차단하여 잔압을 높임으로써 캐비테이션을 방지하는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에 관한 것이다.
선박용 대형 2행정 디젤엔진은 일반적으로 실린더 하나 당 3개 이상의 연료 펌프 및 연료 분사밸브를 갖추고 있다.
기존의 연료펌프는 저 부하에서 연료분사 압력이 떨어짐에 따라 연소 효율이 떨어지고, 스모크 발생 및 연비가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발명에서는 연료 차단 기능이 있는 딜리버리 밸브를 사용하여 매 연료분사종료(cut-off)시간을 짧게 하여 펌프의 잔압(residual pressure)을 유지시키고, 저속 저 부하 조건에서 다수의 연료분사밸브 중 1개 또는 2개의 밸브로 연료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연료 분사압력을 상승시킴으로써 연소 효율을 향상시켰다.
하지만, 연료분사가 끝나는 시점에서 셔틀밸브가 압력강하를 미처 차단하지 못하여 잔압이 떨어지고, 이에 따른 캐비테이션이 발생하여 기기의 수명이 단축되 거나, 순간적인 고압의 연료로 인하여 에어밸브 니들이 미세하게 열림으로써 셔틀밸브가 열려 연료가 누출되기도 한다.
나아가, 압력이 낮은 연료를 분사함으로써, 고르지 못한 분무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연소효율이 떨어지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짧은 시간에 고압의 연료를 분사하여 고른 분무가 가능하고, 압력강하를 빠르게 차단하여 분사밸브의 잔압을 높임으로써 캐비테이션 현상을 최소화하며, 연소효율이 높아지는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딜리버리 밸브 하우징, 딜리버리 밸브 커버 및 에어 밸브 니들을 포함하되, 연료 유입구 및 연료 분사구가 형성된 연료펌프 탑 커버에 설치되는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에 있어서, 전방에 상기 연료 유입구와 연료 분사구를 연결하는 연료 유로와, 내부에 상기 연료유로와 연결되는 셔틀밸브 수용 홀과, 후방이 개구되고 상기 셔틀밸브 수용 홀과 연결된 밸브시트 수용 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료펌프 탑 커버와 상기 딜리버리 밸브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셔틀밸브 케이스;와 내부에 후방이 개구된 밸브시트 삽입구와, 상기 밸브시트 삽입구와 연결되어 전방으로 관통된 셔틀밸브 관통공과, 외면에 상기 연료 유로와 상기 밸브시트 수용 홀을 연결하는 셔틀밸브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시트 수용 홀에 삽입되어 상기 연료 유로를 개폐하는 셔틀밸브;와, 내부에 후방이 개구된 리턴 스프링 수용 홀과, 상기 리턴 스프링 수용 홀과 연결되어 전방으로 관통된 체크밸브 삽입구가 형성되고, 외면은 단차지며, 전방은 상기 셔틀밸브 홈에 삽입되고 후방은 상기 밸브시트 수용 홀에 삽입되어 상기 셔틀밸브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하는 밸브시트;와 상기 체크밸브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체크밸브 삽입구를 개폐하고, 개방시 상기 연료가 상기 셔틀밸브 관통공을 통해 상기 리턴 스프링 수용 홀로 이동하도록 외면에 체크밸브 홈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 밸브 니들에 의해 전후 이동이 컨트롤 되어 상기 밸브시트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셔틀밸브를 전방으로 밀어내고, 상기 체크밸브를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상기 셔틀밸브와 상기 체크밸브 사이에 설치되는 셔틀밸브 스프링; 및 상기 밸브시트를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상기 리턴 스프링 수용 홀에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는 더욱 높은 압력으로 인해 짧은 시간에 고압의 연료 분사가 가능하므로 좋은 분무(atomization)가 가능해지고 이에 따른 연소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료분사가 마무리되는 시점에는 연료의 압력이 강하되면서 캐비테이션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압력강하를 빠르게 차단하여 분사밸브의 잔압을 높이고, 이에 따른 캐비테이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연소효율을 더욱 증가시키며, 기기의 수명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분사시작 및 종료시간을 더욱 빠르게 함으로써, 잔압 상승 및 연료 누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딜리버리 밸브 하우징(15), 딜리버리 밸브 커버(19) 및 에 어 밸브 니들(16)을 포함하되, 연료 유입구(21) 및 연료 분사구(22)가 형성된 연료펌프 탑 커버(2)에 설치되는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에 있어서, 전방에 상기 연료 유입구(21)와 연료 분사구(22)를 연결하는 연료 유로(113)와, 내부에 상기 연료 유로(113)와 연결되는 셔틀밸브 수용 홀(112)과, 후방이 개구되고 상기 셔틀밸브 수용 홀(112)과 연결된 밸브시트 수용 홀(111)이 형성되며, 상기 연료펌프 탑 커버(2)와 상기 딜리버리 밸브 하우징(15) 사이에 설치되는 셔틀밸브 케이스(11);와 내부에 후방이 개구된 밸브시트 삽입구(121)와, 상기 밸브시트 삽입구(121)와 연결되어 전방으로 관통된 셔틀밸브 관통공(122)과, 외면에 상기 연료 유로(113)와 상기 밸브시트 수용 홀(111)을 연결하는 셔틀밸브 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시트 수용 홀(111)에 삽입되어 상기 연료 유로(113)를 개폐하는 셔틀밸브(12);와, 내부에 후방이 개구된 리턴 스프링 수용 홀(131)과, 상기 리턴 스프링 수용 홀(131)과 연결되어 전방으로 관통된 체크밸브 삽입구(132)가 형성되고, 외면은 단차지며, 전방은 상기 셔틀밸브 홈(123)에 삽입되고 후방은 상기 밸브시트 수용 홀(111)에 삽입되어 상기 셔틀밸브(12)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하는 밸브시트(13);와, 외면에 상기 연료가 상기 셔틀밸브 관통공(122)을 통해 상기 리턴 스프링 수용 홀(131)로 이동하도록 체크밸브 홈(141)이 형성되고, 상기 체크밸브 삽입구(132)에 삽입되어 상기 체크밸브 삽입구(132) 개폐 및 상기 밸브시트(13)의 전후 이동을 컨트롤하며, 상기 에어 밸브 니들(16)에 의해 전후 이동이 컨트롤 되는 체크밸브(14);와, 상기 셔틀밸브(12)를 전방으로 밀어내고, 상기 체크밸브(14)를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상기 셔틀밸브(12)와 상기 체크밸브(14) 사이에 설치되는 셔틀밸브 스프링(S1); 및 상기 밸브시트(13)를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상기 리턴 스프링 수용 홀(131)에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S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1)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연료 유입구(21) 및 연료 분사구(22)가 형성된 연료펌프 탑 커버(2)에 설치되는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1)는 셔틀밸브 케이스(11), 셔틀밸브(12), 밸브시트(13), 체크밸브(14), 셔틀밸브 스프링(S1), 리턴 스프링(S2), 딜리버리 밸브 하우징(15), 에어 밸브 니들(16), 에어 밸브 스프링 시트(17), 에어 밸브 가이드(18), 에어 밸브 스프링(S3) 및 딜리버리 밸브 커버(19)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료펌프 탑 커버(2), 딜리버리 밸브 하우징(15), 에어 밸브 스프링 시트(17), 에어 밸브 가이드(18), 에어 밸브 스프링(S3) 및 딜리버리 밸브 커버(19)는 공지된바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연료펌프 탑 커버(2)는 후방에 셔틀밸브(12) 하우징이 삽입되는 수용공간(23)이 형성되고, 수용공간(23)의 끝단에 연료가 유입되는 연료 유입구(21)가 전방으로 관통 형성되며, 수용공간(23)의 상면에 연료 유입구(21)로부터 유입된 연료를 인젝터(미도시)로 분사하는 연료 분사구(22)가 상단으로 관통 형성된다.
셔틀밸브 케이스(11)는, 대략 원통형으로 내부에 후방이 개구된 밸브시트 수 용 홀(111)이 형성되고, 밸브시트 수용 홀(111)과 연결되어 전방으로 셔틀밸브(12)가 삽입되는 셔틀밸브 수용 홀(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셔틀밸브 케이스(11)는 셔틀밸브 수용 홀(112)의 끝단에 연료펌프 탑 커버(2)의 연료 유입구(21)와 연료 분사구(22)를 연결하는 연료 유로(113)가 수평 및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며, 연료펌프 탑 커버(2)의 수용공간(23)에 삽입되어 후방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밸브시트 수용 홀(111)의 지름이 셔틀밸브 수용 홀(112)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셔틀밸브(12)는 대략 원통형으로, 후방이 개구되어 밸브시트(13)가 삽입되는 밸브시트 삽입구(121)가 형성되고, 밸브시트 삽입구(121)와 연결되어 전방으로 관통 형성된 셔틀밸브 관통공(122)이 형성되며, 셔틀밸브 수용 홀(112)에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하면서 연료 유로(113)를 개폐한다. 여기에, 셔틀밸브(12)의 외면에 셔틀밸브 케이스(11)의 상단에 형성된 연료유로(113)와 밸브시트 수용 홀(111)을 연결하는 셔틀밸브 홈(123)이 형성된다. 여기서, 밸브시트 삽입구(121)는 밸브시트(13)의 단차를 경계로 밸브시트(13)의 전방 길이보다 깊게 형성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밸브시트(13)는 대략 전방과 후방이 단차진 원통형으로, 후방이 개구된 리턴 스프링 수용 홀(131)이 형성되고, 리턴 스프링 수용 홀(131)과 연결되어 전방으로 관통 형성된 체크밸브 삽입구(132)가 형성되며, 전방은 밸브시트 삽입구(121)에 삽입되고 후방은 밸브시트 수용 홀(111)에 삽입된다. 여기서, 밸브시트(13)의 단차를 경계로 밸브시트(13)의 후방의 길이보다 밸브시트 수용 홀(111)이 더 깊게 형성된 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체크밸브(14)는 대략 전방이 확장된 원기둥형으로, 외면에는 밸브시트 삽입구(121)와 리턴 스프링 수용 홀(131)과 연결하는 체크밸브 홈(141)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체크밸브 삽입구(132)에 끼워져 체크밸브 삽입구(132)를 개폐한다.
셔틀밸브 스프링(S1)은 셔틀밸브(12)와 체크밸브(14) 사이에 설치되어 셔틀밸브(12)를 전방으로 밀어내고, 체크밸브(14)를 후방으로 밀어낸다. 이에 따라, 셔틀밸브(12)는 셔틀밸브 스프링(S1)에 의해서 평상시에 연료 유로(113)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한다.
리턴 스프링(S2)은 밸브시트(13)와 딜리버리 밸브 하우징(15) 사이 즉, 리턴 스프링 수용 홀(131)에 삽입 설치된다. 한편, 리턴 스프링(S2)은 셔틀밸브 스프링(S1)보다 탄성력이 작은 스프링을 사용하므로 밸브시트(13)는 후방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딜리버리 밸브 하우징(15)은 전방에 셔틀밸브 케이스(11)가 연료펌프 탑 커버(2)에 설치되고 돌출된 나머지 부분이 삽입되도록 수용부(151)가 형성되고, 후방에 에어 밸브 니들(16)이 삽입되는 안내 홈(152)이 형성된다. 여기에, 수용부(151)와 안내 홈(152) 사이를 관통하는 구멍(153)이 형성되고, 후방은 에어 밸브 스프링(S3)이 끼워지도록 단차져 형성된다.
에어 밸브 니들(16)은 대략 봉 형상으로, 전방은 구멍(153)에 삽입되도록 돌출부(161)가 형성되고, 딜리버리 밸브 하우징(15)의 안내 홈(152)에 끼워져 체크밸브(14)의 후방을 밀어 체크밸브(14)를 이동시킨다. 여기에, 에어 밸브 스프링 시 트(17)의 니들 삽입구(171)에 걸려 에어 밸브 스프링 시트(17)와 함께 이동하도록 에어 밸브 니들(16)의 후방에 스냅 링(162)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 밸브 니들(16)이 전진할 때, 에어 밸브 스프링 시트(17)도 함께 이동한다.
에어 밸브 스프링 시트(17)는 내부에 에어 밸브 니들(16)이 삽입되어 스냅 링(162)이 걸리도록 후방이 단차진 니들 삽입구(171)가 형성되고, 외측은 에어 밸브 스프링(S3)이 걸리도록 단차져 형성되어 에어 밸브 가이드(18)의 에어 밸브 스프링 시트 삽입 홀(181)에 끼워진다.
에어 밸브 가이드(18)는 대략 원통형으로, 에어 밸브 스프링 시트(17)가 삽입되도록 전방이 개구된 에어 밸브 스프링 시트 삽입 홀(181)이 형성되고, 딜리버리 밸브 커버(19)의 에어 밸브 가이드 삽입 홀(191)에 끼워져 에어 밸브 니들(16)을 이동시킨다.
에어 밸브 스프링(S3)은 딜리버리 밸브 하우징(15)과 에어 밸브 스프링 시트(17) 사이에 끼워져 평상시에 에어 밸브 니들(16) 및 에어 밸브 가이드(18)가 후방으로 밀착되도록 에어 밸브 스프링 시트(17)를 후방으로 밀어낸다.
딜리버리 밸브 커버(19)는, 내부에 에어 밸브 스프링 시트(17)가 삽입되도록 전방이 개구된 에어 밸브 가이드 삽입 홀(191)이 형성되고, 컨트롤 에어가 유입되도록 에어 밸브 가이드 삽입 홀(191)과 연결되어 후방으로 관통된 에어 유입구(192)가 형성된다. 그리고, 딜리버리 밸브 하우징(15)의 후방에 밀착시킨 후 볼트를 이용하여 딜리버리 밸브 하우징(15) 및 딜리버리 밸브 커버(19)를 연료펌프 탑 커버(2)에 고정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1)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연료펌프 탑 커버(2)의 연료 유입구(21)에 고압의 연료가 주입되면, 연료는 셔틀밸브(12)의 셔틀밸브 관통공(122)을 거쳐 밸브시트 삽입구(121) 전방에 모이게 된다.
나아가, 연료가 밸브시트 삽입구(121)를 가득 채우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의 압력은 셔틀밸브(12)의 전면과 밸브시트 삽입구(121)의 전면에 동시에 작용하게 된다. 하지만, 셔틀밸브(12)는 열리지 않고 차단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셔틀밸브 스프링(S1) 및 리턴 스프링(S2)의 탄성력과 밸브시트 삽입구(121)의 전면에 작용하는 압력(P1)의 합이 셔틀밸브(12)의 전면에 작용하는 연료의 압력보다 크기 때문에 셔틀밸브(12)는 열리지 않는다. 따라서, 셔틀밸브(12)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더욱 높은 압력의 연료가 필요하다.
여기서, 연료의 압력이 점점 증가하면, 셔틀밸브(12)가 이동하여 연료 유로(113)가 개방된다. 이는, 셔틀밸브(12)의 전면에 작용하는 압력 분포 면적이 밸브시트 삽입구(121)의 전면에 작용하는 압력 분포 면적보다 크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연료의 압력이 증가하면 연료의 압력은 셔틀밸브 스프링(S1) 및 리턴 스프링(S2)의 탄성력과 밸브시트 삽입구(121)의 전면에 작용하는 압력(P1)의 합보다 커지므로, 셔틀밸브(12)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연료 유로(113)는 개방된다. 이에 따라, 초기 연료 분사 시 더욱 높은 고압의 연료를 분사함으로써, 고른 분무가 가능해지고 이에 따른 연소효율이 상승한다.
한편, 연료가 분사된 이후에는 분사된 연료의 일부 압력(P2)이 되돌아오게 된다. 이때, 되돌아 오는 연료의 압력(P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밸브 홈(123)을 타고 셔틀밸브(12)와 셔틀밸브 케이스(11) 사이에 유입되어 셔틀밸브(12)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셔틀밸브(12)의 후방에 압력(P3)이 작용한다. 여기에, 셔틀밸브 스프링(S1) 및 리턴 스프링(S2)의 탄성력과 밸브시트 삽입구(121)의 전면에 작용하는 압력(P1)의 합이 더해져 분사 후에 셔틀밸브(12)는 더욱 신속하게 닫히게 된다. 이에 따라, 돌아오는 고압의 연료를 빠르게 차단하여 잔압(residual pressure)을 상승시키며, 나아가 연료분사계통 부품의 내구성과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캐비테이션(cavitation)을 방지한다.
여기서, 컨트롤 에어(Control air)가 딜리버리 밸브 커버(19)의 에어 유입구(192)를 통해 유입되면, 컨트롤 에어의 압력으로 인하여 에어 밸브 니들(16), 에어 밸브 스프링 시트(17) 및 에어 밸브 가이드(18)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즉, 에어 밸브 니들(16)의 돌출부(161)가 체크밸브(14)를 밀어내어 체크밸브(14)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고압의 연료가 셔틀밸브(12)로 유입되면, 연료는 체크밸브(14)에 형성된 체크밸브 홈(141)을 타고 밸브시트(13)의 뒷공간 즉, 리턴 스프링 수용 홀(131)에 모이게 된다. 나아가, 리턴 스프링 수용 홀(131)에 연료가 가득 메워지면 연료의 압력(P4)은 리턴 스프링 수용 홀(131)의 전면에 작용하여 밸브시트(13)를 전방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밸브시트(13)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셔틀밸브(12)와 밀착되어 셔틀밸브(12)가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즉, 셔틀밸브 스프링(S1) 및 리턴 스프 링(S2)의 탄성력과 밸브시트 삽입구(121)의 전면에 작용하는 압력(P1) 및 리턴 스프링 수용 홀(131)의 전면에 작용하는 압력(P4)의 합이 셔틀밸브(12)의 전면에 작용하는 연료의 압력과 평형을 이루기 때문에 셔틀밸브(12)는 열리지 않는다. 이에 따라, 고압의 연료가 작용하여도 셔틀밸브(12)는 열리지 않고 연료가 누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연료분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연료펌프 하나 당 여러 개의 연료분사밸브(미도시) 중, 선택적으로 분사를 차단하여 차단되지 않은 연료분사밸브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좋은 분무상태(atomization)를 통한 높은 연소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에 사용된 동일한 번호는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각 부품 간의 밀폐 및 기밀성은 공지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도의 "A"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 2; 연료펌프 탑 커버
21; 연료 유입구 22; 연료 분사구
23; 수용공간 11; 셔틀밸브 케이스
111; 밸브시트 수용 홀 112; 셔틀밸브 수용 홀
113; 연료 유로 12; 셔틀밸브
121; 밸브시트 삽입구 122; 셔틀밸브 관통공
123; 셔틀밸브 홈 13; 밸브시트
131; 리턴 스프링 수용 홀 132; 체크밸브 삽입구
14; 체크밸브 141; 체크밸브 홈
15; 딜리버리 밸브 하우징 151; 수용부
152; 안내 홈 153; 구멍
16; 에어 밸브 니들 161; 돌출부
162; 스냅 링 17; 에어 밸브 스프링 시트
171; 니들 삽입구 18; 에어 밸브 가이드
181; 에어 밸브 스프링 시트 삽입 홀
19; 딜리버리 밸브 커버 191; 에어 밸브 가이드 삽입 홀
192; 에어 유입구 S1; 셔틀밸브 스프링
S2; 리턴 스프링 S3; 에어 밸브 스프링

Claims (1)

  1. 딜리버리 밸브 하우징, 딜리버리 밸브 커버 및 에어 밸브 니들을 포함하되, 연료 유입구 및 연료 분사구가 형성된 연료펌프 탑 커버에 설치되는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에 있어서,
    전방에 상기 연료 유입구와 연료 분사구를 연결하는 연료 유로와, 내부에 상기 연료유로와 연결되는 셔틀밸브 수용 홀과, 후방이 개구되고 상기 셔틀밸브 수용 홀과 연결된 밸브시트 수용 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료펌프 탑 커버와 상기 딜리버리 밸브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셔틀밸브 케이스;
    내부에 후방이 개구된 밸브시트 삽입구와, 상기 밸브시트 삽입구와 연결되어 전방으로 관통된 셔틀밸브 관통공과, 외면에 상기 연료 유로와 상기 밸브시트 수용 홀을 연결하는 셔틀밸브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시트 수용 홀에 삽입되어 상기 연료 유로를 개폐하는 셔틀밸브;
    내부에 후방이 개구된 리턴 스프링 수용 홀과, 상기 리턴 스프링 수용 홀과 연결되어 전방으로 관통된 체크밸브 삽입구가 형성되고, 외면은 단차지며, 전방은 상기 셔틀밸브 홈에 삽입되고 후방은 상기 밸브시트 수용 홀에 삽입되어 상기 셔틀밸브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하는 밸브시트;
    상기 체크밸브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체크밸브 삽입구를 개폐하고, 개방시 상기 연료가 상기 셔틀밸브 관통공을 통해 상기 리턴 스프링 수용 홀로 이동하도록 외면에 체크밸브 홈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 밸브 니들에 의해 전후 이동이 컨트롤 되어 상기 밸브시트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하는 체크밸브;
    상기 셔틀밸브를 전방으로 밀어내고, 상기 체크밸브를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상기 셔틀밸브와 상기 체크밸브 사이에 설치되는 셔틀밸브 스프링; 및
    상기 밸브시트를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상기 리턴 스프링 수용 홀에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
KR1020080074574A 2008-07-30 2008-07-30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 Expired - Fee Related KR101202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574A KR101202897B1 (ko) 2008-07-30 2008-07-30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574A KR101202897B1 (ko) 2008-07-30 2008-07-30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068A KR20100013068A (ko) 2010-02-09
KR101202897B1 true KR101202897B1 (ko) 2012-11-19

Family

ID=42087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574A Expired - Fee Related KR101202897B1 (ko) 2008-07-30 2008-07-30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8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0693A (ja) 2000-08-28 2002-03-08 Nippon Soken Inc 燃料噴射装置の燃料吐出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0693A (ja) 2000-08-28 2002-03-08 Nippon Soken Inc 燃料噴射装置の燃料吐出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068A (ko) 2010-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0095A (en) Fuel-injection device
JP2012193748A (ja) 内燃機関用の燃料噴射弁の弁ニードルにおける絞り
US8434459B2 (en) Fuel injection system
US9394857B2 (en) Fuel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JP2005531713A (ja) 噴射率可変式の噴射ノズルと圧力増幅装置とを備えた蓄圧式噴射システム
ATE537352T1 (de) Kraftstoffeinspritzdüse
CN101297108B (zh) 适合于低粘性燃油的燃油喷射系统
KR101978012B1 (ko) 연료 분사 장치
KR20020074481A (ko) 분사 장치 및 유체 분사 방법
KR101857376B1 (ko) 자동차용 펌프 배열 및 시스템
WO2003008795A1 (en) Accumulating fuel injector
JP4437092B2 (ja) 圧力増幅装置と搬送量を減じられた低圧回路とを備えた燃料噴射装置
CN104114850A (zh) 燃料喷射系统
KR101202897B1 (ko)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
KR101205116B1 (ko) 디젤엔진용 연료 분사 밸브
KR101821228B1 (ko) 대형 2행정 자체점화 내연기관용 연료 밸브
KR101202929B1 (ko) 디젤엔진용 딜리버리 밸브
KR101202900B1 (ko) 대형 2행정 디젤엔진용 셔틀밸브
KR101930974B1 (ko) 연료 분사 유닛 및 시스템
KR101204127B1 (ko) 대형 2행정 디젤엔진용 셔틀밸브
US6908040B2 (en) Unit injector with stabilized pilot injection
KR20060028699A (ko) 귀환 레일 내의 압력 맥동이 감소된 연료 분사 시스템
US8201754B2 (en) Fluid injector with thermal load control
US6439201B1 (en) Fuel injector having dual flow rate capabilities and engine using same
KR100995730B1 (ko) 디젤엔진용 연료펌프의 셔틀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8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7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