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676B1 - A purif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aminated ground water - Google Patents

A purif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aminated ground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676B1
KR101202676B1 KR1020110039605A KR20110039605A KR101202676B1 KR 101202676 B1 KR101202676 B1 KR 101202676B1 KR 1020110039605 A KR1020110039605 A KR 1020110039605A KR 20110039605 A KR20110039605 A KR 20110039605A KR 101202676 B1 KR101202676 B1 KR 101202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water
air
treatment tank
contaminated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6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21669A (en
Inventor
이재현
Original Assignee
창원시
경남한일개발주식회사
이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시, 경남한일개발주식회사, 이재현 filed Critical 창원시
Priority to KR1020110039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676B1/en
Publication of KR20120121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6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6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2Hydrocarbons, e.g. oil
    • C02F2101/322Volatile compounds, e.g. benz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의 일정영역에 산기관을 포함하는 처리조; 상기 산기관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블로어; 및 상기 처리조에 지하수를 유입하기 위한 양수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산기관은 다수개의 미세 공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염된 지하수를 양수와 동시에 정화 처리한 후 정화된 배출수를 다시 지하로 유입시킴으로써 계속적으로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eatment tank including an diffuser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an inner space; An air blower for supplying air to the diffuser; And a pump for pumping groundwater into the treatment tank, wherein the diffuser includes a plurality of fine pores, and the method of purifying contaminated groundwater and pumping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simultaneously. Afterwards, the purified wastewater is introduced back into the basement, thereby continuing to purify.

Description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A purif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aminated ground water}{A purif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aminated ground water}

본 발명은 오염 지하수의 정화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휘발성유기화합물로 오염된 지하수가 처리조 내에 양수됨과 동시에 처리조 내에 에어를 공급하여 지하수에 용존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공기 중에 증발시킴으로써, 지하수 오염원인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는 양수포기법을 적용한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groundwater, and more particularly,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volatile organic compounds is pumped into a treatment tank and air is supplied to the treatment tank to evaporate volatile organic compounds dissolved in groundwa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a purification method using a pumping aeration method to remove volatile organic compounds, which are groundwater contamination sources.

지하수는 지하의 지층이나 암반 사이의 틈을 채우고 있거나 흐르는 물로 땅속 모든 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지표를 흐르던 물이 암석의 틈을 통하여 지하로 스며들어가 형성된다. 이때 각종 지표의 성분도 같이 침투되며, 오염물질이 함께 유입될 수 있다. Groundwater refers to all the water in the ground that fills or runs through the gaps between underground strata or rocks, and the surface water is formed by seeping through the gaps in the ground. At this time, the components of various indicators may also penetrate together, and contaminants may be introduced together.

특히, 최근에는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 및 오염물질의 무단방류, 지하수 관정 파괴 등으로 인해, 생활폐수나 공업용수 등이 지하수로 스며들어 그 오염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In particular, recently, due to industrial pollution, unauthorized discharge of pollutants, destruction of groundwater wells, and the like, domestic wastewater and industrial water are seeping into the groundwater, and the pollution cases are increasing.

문제는, 이러한 지하수의 오염이 해당 지역에 그치지 않고 수맥을 따라 흐르면서 깨끗한 주변 지하수 및 지하 저수지 역할을 하는 대수층까지 유입되어 광범위한 수질 오염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한번 오염된 대수층은 비오염 상태로의 복원이 거의 불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지표로까지 흘러나와 지표수를 오염시키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The problem is that this groundwater contamination not only stops in the area, but also flows along the water veins into the aquifers that act as clean surrounding groundwater and underground reservoirs, resulting in extensive water pollution. Once contaminated aquifers are almost impossible to restore to a non-contaminated state, they also have a vicious cycle of spilling over to the surface and polluting the surface water.

특히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일종으로 휘발성이 높고 불연성이며 기름에 대한 용해력이 높은 성질을 가지며, 금속관련 산업, 반도체 산업 등의 전자부품 제조시의 세척용제, 도료나 접착제 제작의 용매, 드라이클리닝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고휘발성, 저인화성의 유기용매 성분의 일종인 TCE(Trichloroethylene)에 의한 지하수 오염이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며, 지하수의 적정 수질기준을 초과하여 그 사용이 불가해짐에 따라 그 문제가 심각하다.Particularly, it is a kind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which has high volatility, incombustibility, and high solubility in oil.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cleaning solvent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metal-related industries and semiconductor industries, solvents for paints and adhesives, and dry cleaning.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TCE (Trichloroethylene), a kind of highly volatile and low flammable organic solvent component, is increasing year by year, and the problem is serious as its use is impossible because it exceeds the proper water quality standard of groundwater. .

TCE(Trichloroethylene)에 의한 지하수의 오염은, 처리과정에서의 부적절한 취급, 이를 포함한 슬러지의 불법 매립처분, 액상인 폐용제의 불법투기 등으로 발생하며, 점성이 낮고, 비중이 물보다 무겁기 때문에 투수성이 높은 지층으로 침투하기 쉽고, 지하수면에 도달하여 오염을 일으키고, 이러한 TCE가 음용수 수질 기준인 0.03mg/L 이상으로 지하수에 용해되어 있을 경우 지속적으로 음용시 암이나 스티븐스존스증후군 등과 같은 인체에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Groundwater contamination by TCE (Trichloroethylene) is caused by improper handling during treatment, illegal landfill disposal of sludge including this, illegal dumping of liquid waste solvents, and because of low viscosity and high specific gravity than water permeability It is easy to penetrate into the high strata and cause contamination by reaching the groundwater level, and when the TCE is dissolved in the groundwater above the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of 0.03mg / L, it is fatal to humans such as cancer or Stevens Jones syndrome when drinking continuously. May cause disease.

청정수자원인 지하수가 TCE로 오염된 경우 이러한 오염물질의 확산이동으로 인해 지하수 자원의 양은 지속적으로 감소되어 물부족 시대의 도래를 초래하며, 이로 인해 수질 개선을 통한 오염 지하수의 복원과 재활용이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If the groundwater, which is a clean water resource, is contaminated with TCE, the amount of groundwater resources is continuously reduced due to the diffusion and movement of these pollutants, which leads to the advent of a water shortage, which requires urgent restoration and recycling of contaminated groundwater through water quality improvement. Was done.

또한, 지표수의 용수 부족이나 저렴한 비용을 이유로 과다하게 남용하는 과정에서 폐공 처리는, 또 다른 지하수의 오염요인이 된다. 폐공된 지하수로 오염물질이 유입되어 지하수 전체를 오염시킬 가능성이 높기에, 이를 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aste air treatment is another contaminant of groundwater in the process of excessive abuse due to lack of water in the surface water or low cost. Contaminants are introduced into the closed groundwater, which is likely to contaminate the entire groundwater, so it is desirable to purify the groundwater.

또한 오염된 지하수를 양수하여 정화시킨 후, 이를 하천 등에 방류하였기 때문에 지하수의 활용도가 낮아지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was pumped and purified, and then discharged to rivers, the utilization of the groundwater is lowered, so an improvement is requi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된 지하수의 오염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오염된 지하수를 양수와 동시에 정화 처리한 후 정화된 배출수를 다시 지하로 유입시킴으로써 계속적으로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tamination of the above-mentioned groundwater, and to purify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at the same time as the amniotic fluid and then to purify the discharged effluent back into the basement so that the purification can be continued.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오염된 지하수의 오염원을 물리적인 방법으로 제거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지하수 오염 정화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pollutant source of contaminated groundwater by a physical method to enable more efficient groundwater pollution purification.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의 일정영역에 산기관을 포함하는 처리조; 상기 산기관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블로어; 및 상기 처리조에 지하수를 유입하기 위한 양수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산기관은 다수개의 미세 공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eatment tank including a diffuser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internal space; An air blower for supplying air to the diffuser; And a pumping pump for introducing groundwater into the treatment tank, wherein the diffuser provides a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fine por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기관은 상기 에어 블로어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수집하기 위한 에어 수집부, 상기 에어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에어를 기포 형태로 변환하여 방출하기 위한 에어 기포 방출부 및 상기 에어 수집부의 에어를 상기 에어 기포 방출부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기포 방출부의 상면, 측면 또는 저면에 상기 다수개의 미세 공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iffuser is an air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blower, an air bubble discharge unit for converting the air collected from the air collection unit into a bubble form and discharged and the air collection unit It comprises a connecting pipe for delivering air to the air bubble discharge portion, and provides a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plurality of fine pores on the top, side or bottom of the air bubble discharge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어 블로어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상기 산기관에 공급하기 위한 송풍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배관은 제1송풍배관, 제2송풍배관 및 제3송풍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블로어에 상기 제 1송풍배관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 1송풍배관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처리조 외측의 상부 높이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 1송풍배관의 타측은 제 2송풍배관의 일측과 이음되며, 상기 제 2송풍배관의 타측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의 제 3송풍배관의 일측과 이음되고, 상기 제 3 송풍배관의 타측은 상기 처리조 상부의 에어 배관 삽입구를 통해 상기 처리조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산기관의 에어 수집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lower pipe for supply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blower to the diffuser, wherein the blower pipe includes a first blower pipe, a second blower pipe, and a third blower pipe. One side of the first blower pipe is connected to an air blower, and the first blower pipe extends to an upper height outside the treatment tank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lower pipe is one side of the second blower pip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lower pip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hird blower pip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other side of the third blower pipe is through the air pipe insertion hol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Inserted in, it provides a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air collector of the diffus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처리조는 제 1차 처리조 또는 제 2차 처리조를 포함하며, 지하수의 오염 정도에 따라, 상기 제 1차 처리조 또는 제 2차 처리조를 단독 또는 그 이상으로 선택 적용하여 오염 지역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reatment tank includes a first treatment tank or a second treatment tank,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groundwater, the first treatment tank or the second treatment tank is selected or applied alone or more It provides a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polluted area.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처리조는, 상기 처리조 상부에 설치되는 오염 지하수 유입구 및 상기 오염 지하수 유입구의 하측에 위치하는 지하수 배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하수 배출구는 상기 처리조 상부로부터 측면 2/3 내지 3/4 지점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treatment tank further comprises a contaminated groundwater inlet installed above the treatment tank and a groundwater outlet located below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inlet, wherein the groundwater outlet is located at two-thirds from the top of the treatment tank. It provides a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at a height of three quarter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처리조는 제 1차 처리조 및 제 2차 처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차 처리조는 제 1지하수 배출구 및 제 2지하수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차 처리조는 제 3지하수 배출구 및 제 4지하수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차 처리조는 상기 제 1지하수 배출구 또는 상기 제 2지하수 배출구 중 어느 하나를 지하수 배출구로 사용하고, 상기 제 2차 처리조는 상기 제2차 처리조의 제 3지하수 배출구 또는 제 4지하수 배출구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차 처리조의 지하수 배출구와 연결하여 지하수 유입구로 사용하고, 상기 제 2차 처리조는 상기 2차 처리조의 제 1지하수 배출구 또는 제 2지하수 배출구 중 다른 하나를 2차 처리조의 지하수 배출구로 사용하는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tment tank includes a first treatment tank and a second treatment tank, the first treatment tank includes a first groundwater outlet and a second groundwater outlet, the second treatment tank is a third And a groundwater discharge port and a fourth groundwater discharge port, wherein the first treatment tank uses either the first groundwater discharge port or the second groundwater discharge port as the groundwater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treatment tank uses the second treatment tank. One of the third groundwater outlet or the fourth groundwater outlet is connected to the groundwater outlet of the first treatment tank and used as the groundwater inlet, and the second treatment tank is the first groundwater outlet or the second groundwater outlet of the secondary treatment tank. Provides a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device using the other of the groundwater outlet of the secondary treatment tank.

또한, 본 발명은 제 1관정으로부터 오염된 지하수를 양수하여 산기관을 포함하는 처리조에 유입시키는 단계: 에어 블로어를 통해 상기 산기관에 에어를 유입하는 단계; 상기 산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기포를 통해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정화된 지하수를 제 2관정에 유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염 지하수의 정화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umping the contaminated ground water from the first well flows into the treatment tank including the diffuser: introducing air into the diffuser through an air blower; Purifying the contaminated ground water through air bubbles generated from the diffuser; And it provides a method of purifying contaminated ground water comprising the step of introducing the purified ground water into a second wel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기관은 상기 에어 블로어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수집하기 위한 에어 수집부, 상기 에어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에어를 기포 형태로 변환하여 방출하기 위한 에어 기포 방출부 및 상기 에어 수집부의 에어를 상기 에어 기포 방출부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기포 방출부의 상면, 측면 또는 저면에 상기 다수개의 미세 공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지하수의 정화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iffuser is an air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blower, an air bubble discharge unit for converting the air collected from the air collection unit into a bubble form and discharged and the air collection unit It comprises a connecting pipe for delivering air to the air bubble discharge portion, and provides a method for purifying contaminated ground w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fine pores on the top, side or bottom of the air bubble discharge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처리조는 제1산기관을 포함하는 제1처리조 및 제2산기관을 포함하는 제2처리조를 포함하며, 상기 산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기포를 통해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정화된 오염수를 제 2관정에 유입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산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기포를 통해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하는 단계; 상기 제1산기관에 의해 정화된 지하수를 상기 제2산기관을 포함하는 제2처리조로 유입하는 단계; 에어 블로어를 통해 상기 제2산기관에 에어를 유입하는 단계; 상기 제2산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기포를 통해 상기 제1산기관에 의해 정화된 지하수를 정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산기관에 의해 정화된 지하수를 제 2관정에 유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염 지하수의 정화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treatment tank including a first treatment tank including a first acid engine and a second treatment tank including a second acid engine, and purifying contaminated groundwater through air bubbles generated from the acid engine. And introducing the purified contaminated water into the second well includes: purifying the contaminated ground water through air bubbles generated from the first acid pipe; Introducing the groundwater purified by the first acid engine into a second treatment tank including the second acid engine; Introducing air into the second diffuser through an air blower; Purifying the ground water purified by the first acid engine through air bubbles generated from the second acid engine; And introducing the groundwater purified by the second acid engine into the second well.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은, 오염된 지하수를 양수와 동시에 정화 처리한 후 정화된 배출수를 다시 지하로 유입시킴으로써 계속적으로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pu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continuously purifying by contaminating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at the same time as amniotic fluid and then flowing the purified wastewater back into the ground.

또한 처리장치를 1차 및 2차 장치로 구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지하수 오염 지역의 오염 정도에 따라 적절한 정화장치의 설비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treatment device into a primary and a secondary device so that an appropriate purification device can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pollution degree of the groundwater contaminated area more efficiently.

또한, 본 발명은 처리조 내 하부에 미세공기 발생장치인 산기관(Membrane disc type diffuser)을 설치하고 처리조 외부의 에어 블로어로부터 발생된 공기를 공기 관(Air pipe)을 통해 산기관(Membrane disc type diffuser)에 주입시키는데, 상기 공기 관을 에어 블로어로부터 지면과 수직하게 처리조의 높이까지 배치하고, 처리조 상단에서 'ㄷ' 자로 배관하여 다시 처리조 내부로 지면과 수직하게 침투시켜 처리조 내부의 산기관(Membrane disc type diffuser)과 연결시킴으로써 공기 관을 길게 배치하여 공기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diffuser (Membrane disc type diffuser) as a fine air generating devic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and the air generated from the air blower outside the treatment tank through the air pipe (Air pipe) (Membrane disc type air diffuser, and the air pipe is disposed from the air blower to the height of the treatment tank perpendicular to the ground, piped through the letter 'C' at the top of the treatment tank, and penetrated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into the treatment tank again. By connecting the diffuser (Membrane disc type diffuser), the air pipe is arranged long, and the air pressure can be adjusted.

또한, 본 발명은 오염된 지하수를 양수하여 처리하는 처리조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의 상단에 배출구를 두어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처리 한 지하수의 유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treatment tank for pumping and treating the contaminated ground wat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maintain the outflow amount of the ground water to clean the contaminated ground water by having a discharge port at the top of the treatment tank.

도 1은 일반적인 에어 스트리핑 장치에 의해 휘발성유기화합물로 오염된 지하수를 에어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정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제 1실시예에 따른 에어 스트리핑 장치를 포함하는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트리퍼 장치를 포함하는 오염 지하수 정화자치의 산기관을 도시한 입단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트리퍼 장치를 포함하는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의 산기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오염된 지하수가 정화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b는 오염된 지하수가 정화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오염정화 장치를 특정 오염지역에 설치 후, 오염원수에 대한 배출수의 농도 변화 및 처리효율 나타낸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오염정화 장치를 특정 오염지역에 설치 후, 오염원수에 대한 배출수의 농도 변화 및 처리효율 나타낸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오염원수에 대한 배출수의 1차 및 2차 처리에 의한 농도변화 및 처리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purification apparatus for removing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volatile organic compounds using air by a general air stripping apparatus.
Figure 2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apparatus including an air stri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iffuser of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self-government comprising an air strip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c is a plan view showing the diffuser of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air strip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purifying contaminated groundwa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 schematic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urifying contaminated groundwater.
5 is a table showing the concentration change and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discharged water to the source of pollution after installing the groundwater pollution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articular pollution area.
Figure 6 is a table showing the change in concentration and treatment efficiency of the discharged water to the polluted water after installing the groundwater pollution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pecific pollution area.
FIG. 7 is a graph showing concentration changes and treatment efficiencies of primary and secondary treatments of effluent water for pollutant wa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Quot; and / or "include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 RTI ID = 0.0 >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반적인 에어 스트리핑 장치에 의해 휘발성유기화합물로 오염된 지하수를 에어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정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purification apparatus for removing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volatile organic compounds using air by a general air stripping apparatus.

이 장치는 오염된 물이 흘러 에어 스트리퍼의 처리조 바닥에 흘러 내려오는 동안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지하수에 용존하는 오염원을 물에서 공기 중으로 증발시켜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제거되는 장치로서, 충진제를 채운 충전탑(packed tower) 또는 기타 수질정화가 가능한 처리조(tank) 및, 공기를 공급하는 폭기 장치(aeration tank)를 통해 이루어진다. This device is a device that supplies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removing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evaporating pollutants dissolved in groundwater from the air by supplying air while the contaminated water flows down to the bottom of the air stripper treatment tank. Packed towers or other water purification tanks and aeration tanks supplying air.

일반적인 에어 스트리핑 장치는 충전탑 위에서 오염된 물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분사노즐(spray nozzle)을 설치하고, 공기를 물의 흐름 방향에 역류하도록 송풍기(fan)을 설치하여, 정화된 물을 모을 수 있도록 충전탑의 바닥에 펌프를 설치한다. 보조장비로는 공기 예열기, 자동제어 장치, 배출가스 처리장치 등이 있다.In general, the air stripping device is equipped with a spray nozzle to spray contaminated water on a packed tower, and a fan to direct air back in the direction of water flow, so that the purified water can be collected. Install the pump at the bottom of the tower. Auxiliary equipment includes air preheater, automatic control device and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도 1을 참조한바, 먼저 오염된 지하수(101)는 양수펌프(102)에 의해 에어 스트리핑(100)의 처리조(104) 상부로 지하수 유입관(103)을 따라 이동되고, 처리조(104) 상부에 위치한 분사장치(105)에 의해 분사되어 처리조(104) 하부로 흐르게 된다.Referring to Figure 1, first contaminated ground water 101 is moved along the groundwater inlet pipe 103 to the upper treatment tank 104 of the air stripping 100 by the pump pump 102, the treatment tank 104 It is injected by the injection device 105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and flows down the treatment tank 104.

이때, 에어 스트리핑 처리조는 플라스틱, 스틸, 세라믹 등과 같은 내부 충진제(Packing Material)(106)로 채워져 있어 상기 처리조 상부에서 분사된 오염된 지하수는 이 충진제(106) 사이 공간을 통과하여 흐르게 되고, 동시에 처리조(104) 하부에 설치된 에어 블로어(107)에 의해 에어를 송풍하여 물의 오염된 오염원인 휘발성유기화합물이 공기와 함께 증발된다. At this time, the air stripping treatment tank is filled with internal packing material 106 such as plastic, steel, ceramic, etc., so that the contaminated ground water spray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flow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llers 106, and at the same time, Air is blown by the air blower 107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treatment tank 104, and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which is a contaminated source of water, is evaporated with the air.

다음으로 증발된 에어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은 내부 충진제(106)의 공간을 지나 처리조(104) 상부로 이동되고 처리조 상부에 수집된 에어 및 휘발성유기화합물(108)은 배관(109)을 따라 에어 처리장치(111)로 이동되어 처리 후 대기중으로 배출된다.The evaporated ai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re then passed through the space of the internal filler 106 to the top of the treatment tank 104 and the ai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108 collected on the top of the treatment tank are aired along the pipe 109. It is moved to the processing apparatus 111 and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after the treatment.

또한, 오염원이 정화된 배출수(101')는 처리조(104) 하부에 수집되어 지하수 배출관(110)을 따라 처리조 외부로 배출되고 하천 등으로 방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lutant discharged water 101 ′ may be collected under the treatment tank 104,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reatment tank along the groundwater discharge pipe 110, and discharged to a river or the like.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에어 스트리핑에 의한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는 쉽게 증발할 수 있는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이 대상인 경우 비교적 쉽게 지하수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으나, 스트리퍼 처리조 내부를 충진제로 채워야 하므로 유입할 수 있는 수량이 적어 오염된 지하수의 정화 효율이 떨어질 수 있어 처리기간이 많이 들고, 그에 따른 운용 및 유지를 위한 비용이 지속적으로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Groundwater purification device contaminated by general air stripping as described above can remove groundwater pollutants relatively easily when volatile organic compounds that can be easily evaporated, but the amount that can be introduced because the inside of the stripper treatment tank needs to be filled with fill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can be reduced so that the treatment period is high, and the costs for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are continuously required.

이하에서는, 발명에 따른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하기의 본 발명에 따른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은 상술한 일반적인 에어 스프리핑 방법의 일부분을 적용 및 변경하여 설계한 것으로, 일반적인 방법과 대비를 위해, "양수포기공법"으로 통칭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pu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other hand,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pu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by applying and modifying a part of the above-described general air sprinkling method, can be referred to collectively as "positive pore method" for contrast with the general method. have.

도 2a는 본 발명에 제 1실시예에 따른 에어 스트리핑 장치를 포함하는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Figure 2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apparatus including an air stri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에어 스트리핑 장치를 적용한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는, 오염된 지하수가 유입되어 정화하기 위한 처리조(205), 상기 처리조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블로어(107) 및 상기 처리조에 지하수를 유입하기 위한 양수펌프(10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A,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apparatus to which the air stri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treatment tank 205 for purifying contaminated groundwater by inflow and air for supplying air to the treatment tank. A blower 107 and a pump pump 102 for introducing the ground water into the treatment tank.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처리조(205)의 하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산기관(Membrane disc type diffuser)(20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산기관은 후술할 바와 같은 미세공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ffuser (Membrane disc type diffuser) 209 locat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205, wherein the diffuser is a micro-pores as will be described l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한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에어 스트리핑 장치를 적용한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는 상기 양수펌프를 통해 상기 처리조에 지하수를 유입하기 위한 지하수 유입관(103), 처리조에서 정화된 지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지하수 배출관(110) 및 상기 에어 블로어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상기 처리조에 공급하기 위한 송풍배관(2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apparatus to which the air stri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groundwater inflow pipe 103 for introducing the groundwater into the treatment tank through the pump pump to discharge the groundwater purified from the treatment tank. It may further include a blower pipe 208 for supplying the ground water discharge pipe 110 and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blower to the treatment tank.

또한, 상기 처리조(205) 상부에는 오염 지하수 유입구(201)가 설치되고, 상기 오염 지하수 유입구(201)의 하측에는 정화된 지하수 배출구(211, 211')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유출구(202~204)를 더 포함하여 배수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 contaminated groundwater inlet 201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205, and purified groundwater outlets 211 and 211 ′ may be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inlet 201. 202 to 204) may be further included to increase drainage efficiency.

이때, 상기 지하수 배출구(211, 211')는 상기 처리조 상부로부터 측면 2/3 내지 3/4 지점의 높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처리조에 투입되는 오염 지하수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ground water outlets 211 and 211 ′ may be installed at a height of 2/3 to 3/4 of the side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thereby maintaining a constant amount of contaminated groundwater introduced into the treatment tank. have.

다만, 지하수 유입구(201) 및 지하수 배출구(211, 211')의 위치를 제 1실시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지하수 유입구(201)의 높이를 지하수 배출구(211, 211')보다 높게 하여 정화처리 후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However, the position of the groundwater inlet 201 and the groundwater outlets 211 and 211 ′ is not limited to the first embodiment, which is purified by making the height of the groundwater inlet 201 higher than the groundwater outlets 211 and 211 ′. It is understood that it is for facilitating drainage after the treatment.

또한, 에어 블로어로부터 송풍되는 에어를 유입하는 에어 배관 삽입구(210)가 상기 처리조(205)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ir pipe insertion port 210 for introducing air blown from the air blower may be installed above the treatment tank 205.

한편, 에어 블로어(107)의 전력 공급 및 구동 제어를 위한 컨트롤 박스(206)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 블로어(107) 및 컨트롤 박스(206)는 보호시설(207)을 통하여 지면에 노출 혹은 매립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Meanwhile, a control box 206 for power supply and driving control of the air blower 107 may be mounted, and the air blower 107 and the control box 206 are exposed or exposed to the ground through the protection facility 207. It may be installed in a buried form.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지하수의 정화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오염된 지하수가 모이는 수맥의 두 곳에 관정을 뚫는다. 이때, 오염 농도가 높은 곳에 제 1관정을 설치하고, 상기 제 1관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염 농도가 낮거나 비오염 수맥에 제 2관정을 설치하는데, 제 1관정에서 제 2관정의 수맥은 연결되어 있으며, 관정 사이의 거리(l)는 일반적으로 100m 이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관정의 오염 지하수(101)는 양수펌프(102)에 의해 양수되어 지하수 유입관(103)을 따라 처리조의 지하수 유입구(201)로 처리조 내에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에어 블로어(107)로 송풍시킨 에어는 에어 송풍 배관(208)을 따라 처리조 내 하부에 설치된 산기관(Membrane disc type diffuser)(209)을 통해 유입되어 에어를 발생시키게 된다.Looking at the purification process of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wells are drilled in two places of water veins where contaminated groundwater is collected. In this case, the first well is installed in a high pollution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well is installed in a non-polluted vein with a relatively low pollution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first well, and the veins of the second well are connected in the first well. And the distance l between the wells is generally greater than 100 m. Next,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101 of the first well is pumped by the pump 102 and flows into the treatment tank along the groundwater inlet pipe 103 to the groundwater inlet 201 of the treatment tank. At the same time, the air blown by the air blower 107 is introduced through a diffuser (Membrane disc type diffuser) 209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along the air blowing pipe 208 to generate air.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에어 블로어(107)로부터 송풍된 에어를 미세 공기로 발생시켜주는 산기관(Membrane disc type diffuser)(209)을 처리조(205) 내의 하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diffuser (Membrane disc type diffuser) 209 for generating the air blown from the air blower 107 as fine air is inclu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205. It is done.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트리퍼 장치를 포함하는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의 산기관(209)을 도시한 입단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트리퍼 장치를 포함하는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의 산기관(209)을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2B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diffuser 209 of a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apparatus including an air strip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C is a diffuser of a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apparatus including an air strip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9 is a plan view.

도 2a,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한 바, 본 발명에 따른 산기관(Membrane disc type diffuser)(209)의 에어 발생 원리는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2a, 2b and 2c, the air generation principle of the diffuser (Membrane disc type diffuser) 209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기관(209)은 에어 송풍 배관으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수집하기 위한 에어 수집부(209b), 상기 에어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에어를 기포 형태로 변환하여 방출하기 위한 에어 기포 방출부(209a)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수집부의 에어를 상기 에어 기포 방출부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관(209c)을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2A to 2C, the diffuser 209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llecting unit 209b for collecting air supplied from an air blowing pipe, and foamed air collected from the air collecting unit. And an air bubble discharge portion 209a for converting the air bubbles into the air bubble discharge portion, and a connection pipe 209c for delivering air to the air bubble discharge portion.

이때, 상기 에어 기포 방출부(209a)는 에어를 기포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다수개의 미세공극(209d)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air bubble discharge portion 209a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pores 209d for converting air into a bubble shape.

보다 구체적으로, 에어 송풍 배관(208)으로부터 공급된 에어가 에어 수집부(209b)로 수집되고, 수집된 에어는 연결관(209c)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에어 기포 방출부(209a)의 미세공극(209d)을 통해 미세한 에어 기포들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에어 기포들이 처리조(205)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처리조(205) 내에 유입되어 있던 오염 지하수(101)에 용존해 있던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이 에어와 함께 증발하여 오염원의 농도가 감소하는 한편, 농도가 감소된 오염원은 기체형태로 에어와 함께 처리조(205) 상부의 에어 배출구(212)로 배출된다. More specifically,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blowing pipe 208 is collected to the air collecting unit 209b, the collected air moves along the connecting pipe 209c, so that the micro voids of the air bubble discharge unit 209a Fine air bubbles are generated through 209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air bubbles above the treatment tank 205, volatile organic compounds dissolved in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101 introduced into the treatment tank 205 evaporate with the air, thereby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Meanwhile, the pollutant with reduced concentration is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212 above the treatment tank 205 together with air in the form of gas.

이때, 에어 기포 방출부(209a)는 처리조(205)의 상부 방향으로 에어가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 기포 방출부의 상면에 다수개의 미세공극(209d)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에어 기포 방출부의 측면 또는 저면에도 다수의 미세공극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ir bubble discharge portion 209a preferably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pores 209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bubble discharge portion, so that air can be injec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reatment tank 205, but the drawings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micropores may also be included on the side or bottom of the air bubble emitter.

또한, 상기 에어 기포 방출부(209a)의 형상은 도 2b 내지 도 2c의 실시예와 같이 상면이 중심부로 갈수록 돌출되는 굴곡을 이루는 짧은 원기둥 형상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긴 원통형, 삼각기둥형, 사각기둥형, 육각기둥형 등의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에어 기포 방출부(209a)의 개수는 수집조(209b) 측면에 삽입되는 연결 배관(209c)의 개수를 달리하여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air bubble discharge portion 209a is not limited to the short cylindrical shape of the upper surface is curved as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as in the embodiment of Figures 2b to 2c, thus, a long cylindrical, triangular prism Various shapes such as a mold, a square column shape, a hexagonal column shape, and the like are possible, and the number of the air bubble discharge parts 209a may be installed by varying the number of connection pipes 209c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collection tank 209b. Can b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수포기공법에 따르면, 일반적인 에어 블로어(107)장치만으로 에어를 송풍해줄 때보다 더욱 미세한 입자로 변환된 에어를 다량 발생시켜 주므로, 오염된 지하수(101)과 접하는 에어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단시간에 높은 효율로 오염된 지하수에 용존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증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ositive pump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ir generated by the air blower 107 is converted to finer particles than the air blowing only by the general air blower only, the contact of the air in contact with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101 As the area is increased,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dissolved in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can be evaporated in a short time with high efficiency.

또한, 일반적인 에어 스트리핑 장치에 있어서, 처리조(104) 내부의 공간을 차지하던 충진제(Packing Material)를 사용하지 않고, 처리조(205) 내부의 공간을 확보하여 양수 처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general air stripping apparatus, the efficiency of pumping treatment can be increased by securing a space inside the treatment tank 205 without using a packing material that occupies the space inside the treatment tank 104.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으로 에어 블로어(107)를 처리조(205) 측면으로 직접 삽입하지 않고, 상기 에어 블로어(107)로 부터 송풍된 에어가, 제 1송풍배관(208a) 내지 제 3송풍배관(208c)을 거쳐 산기관(209)에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as a characteristic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blown from the air blower 107 without directly inserting the air blower 107 into the side surface of the treatment tank 205 is the first blow pipe 208a to the third. It is to be supplied to the diffuser 209 via the blow pipe 208c.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풍 배관(208)은 에어 블로어(107)에 제 1송풍배관(208a)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 1송풍배관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처리조(205) 외측의 상부 높이까지 연장되고, 제 1송풍배관(208a)의 타측은 'ㄷ'자 또는 'U'자 형상인 제 2송풍배관(208b)의 일측과 이음되며, 상기 제 2송풍배관(208b)의 타측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의 제 3송풍배관(208c)과 이음 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2A, the blower pipe 20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side of the first blower pipe 208a connected to the air blower 107, and the first blower pipe has a treatment tank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205 extends to an upper height out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lowing pipe 208a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blowing pipe 208b having a 'c' or 'U' shape, and the second blowing pipe ( The other side of 208b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o the third blower pipe 208c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또한, 상기 제 3송풍배관(208c)은 처리조(205) 상부의 에어 배관 삽입구(210)를 통해 처리조(205) 내부에 삽입되어, 산기관(209)의 에어 수집부(209b)까지 연결된다.In addition, the third blower pipe 208c is inserted into the treatment tank 205 through the air pipe insertion hole 210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205 and connected to the air collection part 209b of the diffuser 209. do.

한편, 에어 블로어(107)는 컨트롤 박스(206)를 조작하여 송풍능력을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blower 107 can control the blowing ability by operating the control box 206.

상기 송풍배관(208)은 제 1송풍배관(208a) 내지 제 3송풍배관(208c)을 연결하여 길게 배치함으로써, 송풍공간을 확보하여 에어의 송풍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산기관(209)에 별도의 전력공급이 없이 송풍배관(208)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만으로도, 송풍되는 에어의 분사 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blower pipe 208 is arranged by connecting the first blower pipe 208a to the third blower pipe 208c for a long time, so as to secure a blower space to adjust the blower pressure of the air, separate from the diffuser 209 Just by lengthening the length of the blower pipe 208 without the power supply of,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blown air.

이와 더불어, 상기 송풍배관(208)의 배치를 통해, 처리조(205) 내에 유입된 지하수의 수압으로 인하여, 산기관(209)의 에어 기포 방출부(209a)를 통하여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blower pipe 208, due to the water pressure of the groundwater introduced into the treatment tank 205,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flow back through the air bubble discharge portion 209a of the diffuser 209. Can be.

다음으로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정화 처리된 지하수는 처리조(205) 측면 상부에 위치한 배출구(211, 211')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Next, the groundwater in which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is purified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s 211 and 211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treatment tank 205.

상기 배출구(211, 211')를 통해 처리조(205)에서 정화된 배출수(101')는 초기 설치를 위해 파 놓았던 제 2관정으로 다시 유입시킬 수 있다.The discharged water 101 'purified from the treatment tank 205 through the outlets 211 and 211' may be introduced back into the second well that was dug for initial installation.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은, 제 1관정의 오염된 지하수(101)를 정화시킨 후, 그 배출수(101')를 하천 등에 방류하지 않고 다시 제 2관정의 지하로 유입시키고, 제 2관정의 지하수는 수맥을 따라 제 1관정에 유입되어 제 1관정의 지하수 오염농도를 희석시킴으로써 계속적으로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characteristic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fter purifying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101 of the first well, the discharged water 101 'is introduced again into the basement of the second well without discharge of the stream or the like. Groundwate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well along the water vein to dilute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concentration of the first well so that it can be continuously purified.

다만 본 발명을 정화된 배출수를 지하수 내에 다시 유입하여 오염된 지하수를 희석시키는 것만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정화된 지하수를 하천에 방류하거나, 부족한 수질 확보를 위해 처리조(205)에는 별도의 유출구(202~204)를 두어 종래와 같이 배출하는 방법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diluting the contaminated ground water by re-introducing the purified discharge water into the ground water, and discharges the purified ground water to the river, or separate outlets in the treatment tank 205 to secure insufficient water quality. 202 ~ 204) is also discharged as in the prior art.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수포기공법에 따르면, 정화된 지하수를 하천에 방류시켜 더 이상 지하수로서의 활용을 할 수 없었던 일반적인 에어 스트리핑 장치에 비해 지하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According to the pumping por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ified groundwater is discharged to the river has the advantage that the utilization of groundwater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general air stripping device that could not be utilized as groundwater anymore.

한편, 지하수의 오염농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에어 스트리핑에 의한 1차 처리조(205)만으로는 오염원인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2차 처리조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gion where the pollution concentration of groundwater is high, only the primary treatment tank 205 by air stripping may be difficult to remove volatile organic compounds as a source of pollution, so that a secondary treatment tank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즉, 에어 스트리핑 장치의 1차 처리조(205)에 의해 정화된 지하수는 배출기준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수질분석을 통해 배출수(101')의 오염 농도를 확인하여 배출해야 하는데, 오염물질이 기준 이상일 경우 2차 처리를 위한 2차 처리조(305)를 추가로 설치 후, 상기 2차 처리조로 1차 배출수를 이송하여 1차와 동일하게 2차 에어 스트리핑 처리 후 배출할 수 있다.That is, the groundwater purified by the primary treatment tank 205 of the air stripping apparatus should be discharged by checking the pollution concentration of the discharged water 101 'through water quality analysis to determine whether it meets the emission standard. In this case, after additionally installing a secondary treatment tank 305 for the secondary treatment, the primary wastewater can be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treatment tank and discharged after the secondary air stripping treatment in the same manner as the primary.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에어 스트리핑 장치를 포함하는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apparatus including an air stripp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에어 스트리핑 장치를 적용한 2차 정화장치(300)는, 도 2를 참조한 바, 상기 서술한 1차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200)의 구성과 처리과정이 거의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econdary purification apparatus 300 to which the air stripping apparatus is applied has a configuration and a treatment process of the above-described primary pollution groundwater purification apparatus 20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도 3을 참조한 바 1차 처리조(205)의 제 1지하수 배출구(211) 또는 제 2지하수 배출구(211') 중 하나와 2차 처리조(305)의 제 1지하수 배출구(311) 또는 제 2지하수 배출구(311') 중 하나를 연결관(214)을 삽입하여, 1차 처리된 정화수를 2차 처리조(305)로 이송할 수 있다.However, referring to FIG. 3, one of the first groundwater outlet 211 or the second groundwater outlet 211 ′ of the primary treatment tank 205 and the first groundwater outlet 311 of the secondary treatment tank 305 or One of the second ground water discharge ports 311 ′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214 to transfer the purified water to the secondary treatment tank 305.

이때, 2차 처리조(305)의 제 1지하수 배출구(311) 또는 제 2지하수 배출구(311') 중 하나는 유입구로 활용할 수 있고, 유입구로 활용하지 않은 제 1지하수 배출구(311) 또는 제 2지하수 배출구(311') 중 다른 하나는 정화된 2차 처리 정화된 지하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으로 활용할 수 있다. In this case, one of the first groundwater outlet 311 or the second groundwater outlet 311 ′ of the secondary treatment tank 305 may be used as an inlet, and the first groundwater outlet 311 or second which is not used as an inlet. The other one of the groundwater discharge ports 311 ′ may be used as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secondary treatment purified groundwater.

또한, 상술한 1차 오염 지하수 처리과정과 동일하게 2차 정화된 배출수는 2차 처리조의 제 1지하수 배출구(311)를 통해 배출되어 지하수 배출관(110)을 따라 제 2관정으로 유입되어, 오염된 지하수를 계속적으로 희석시킴으로써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ary purified waste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groundwater discharge port 311 of the secondary treatment tank and flows into the second well along the groundwater discharge pipe 110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primary pollution groundwater treatment process. Purification can be achieved by diluting the groundwater continuously.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오염된 지하수가 정화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4b는 오염된 지하수가 정화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지하수의 흐름은 화살표로 도시 하였다.4A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urifying contaminated ground wa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schematic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urifying contaminated ground water. Groundwater flow is shown by arrows.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지하수가 정화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4a to 4b, the process of purifying the contaminated ground wa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지하수가 오염된 지역의 오염 지하수의 TCE 오염농도 값을 고려한 수리지질학적 사전조사 후, 오염 지하수가 모이는 수맥의 두 곳을 지정하고, 각각 제 1관정 및 제 2관정을 설치한다(S1). First, after hydrogeological preliminary examination considering the TCE contamination concentration value of contaminated groundwater in the groundwater contaminated area, two places of water veins where contaminated groundwater collects are designated, and first and second wells are respectively installed (S1).

다음으로 오염 지하수(101)를 양수펌프(102)로 양수하여 지하수 유입관(103)을 따라 처리조 상부에 위치한 지하수 유입구(201)를 통해 1차 처리조(205)로 유입시킨다(S2). Next,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101 is pumped into the pump pump 102 and introduced into the primary treatment tank 205 through the groundwater inlet 201 located above the treatment tank along the groundwater inflow pipe 103 (S2).

계속해서 에어 블로어(107)로 에어를 송풍하면, 송풍된 에어는 송풍 배관(208)을 따라 1차 처리조(205) 내 하부에 설치된 산기관(209)에 유입된다(S3).Subsequently, when the air is blown by the air blower 107, the blown air flows into the diffuser 209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primary treatment tank 205 along the blowing pipe 208 (S3).

이와 같이 산기관(209)에 유입된 에어는, 미세한 기포로 변환되어 1차 처리조(205) 내에 분사되며(S4), 지하수에 용존해 있던 오염원인 휘발성유기화합물과 함께 기포로 증발되어 지하수가 정화되며, 증발된 에어는 상기 1차 처리조 상부의 에어 배출구(212)로 배출되어 공기중에 배출된다(S5).In this wa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iffuser 209 is converted into fine bubbles and injected into the primary treatment tank 205 (S4), and the groundwater is evaporated into the bubbles together with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that is the pollutant dissolved in the groundwater. Purified and the evaporated air is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212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rimary treatment tank is discharged in the air (S5).

다음으로 휘발성유기화합물이 1차적으로 정화 처리된 오염 지하수는, 1차 처리조(205)의 지하수 배출구(211')로 배출되어 2차 처리조(305)의 지하수 유입구(311')를 통해 2차 처리조(305) 내에 유입된다(S6).Next,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in which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is first purified is discharged to the groundwater outlet 211 ′ of the primary treatment tank 205, and the groundwater inlet 311 ′ of the secondary treatment tank 305 is discharged through the groundwater inlet 311 ′. It flows into the tea processing tank 305 (S6).

계속해서 2차 처리조(305)에 유입된 1차 정화된 오염 지하수는, S1 내지 S5의 동일한 과정을 거쳐 2차 처리조 내에서 2차 정화된다(S7).Subsequently, the first purified polluted groundwater introduced into the secondary treatment tank 305 is secondaryly purified in the secondary treatment tank through the same process of S1 to S5 (S7).

S1 내지 S5의 과정을 거처 오염원이 제거된 2차 처리된 지하수는, 2차 처리조(305)의 상부에 위치한 지하수 배출구(311)를 통해 초기 설치를 위해 파 놓았던 제 2관정으로 유입된다(S8).The secondary treated groundwater from which the pollutant is removed through the processes of S1 to S5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well that was dug for initial installation through the groundwater discharge port 311 located above the secondary treatment tank 305 (S8). ).

또한 오염원이 제거되어 지하 관정으로 재유입된 지하수는, 기존의 오염 지하수와 섞여 희석되므로 지하수의 오염 농도를 감소시킨다(S9). In addition, the groundwater re-introduced into the underground wells by removing the pollutants is diluted with the existing contaminated groundwater, thereby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S9).

다음으로 오염농도가 감소된 제 2관정의 지하수가 수맥을 따라 제 1관정으로 유입되어 제 1관정의 오염 농도도 희석시켜 주며, 오염 농도가 감소된 제 1관정의 지하수는 다시 양수되어 S1 내지 S9 과정을 반복하게 되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 1관정 및 제 2관정 뿐만 아니라, 오염된 지하수의 수맥을 따라 흐르는 주변 지하수맥까지 광범위하게 정화시킨다(S10). Next, the groundwater of the second well with reduced pollution concentration flows into the first well along the vein to dilute the polluted concentration of the first well, and the groundwater of the first well with reduced pollution concentration is pumped again and S1 to S9 The process is repeated, and 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wells, as well as the surrounding ground veins flowing along the veins of contaminated groundwater are extensively purified (S10).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점은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 처리한 배출수를 다시 지하로 유입시켜 오염된 지하수가 정화된 지하수를 통해 희석되어 지속적으로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하수의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n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ground water by allowing the contaminated ground water to be diluted through the purified ground water to be continuously purified by flowing the discharged water purified by the contaminated ground water back to the ground. Would have to.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오염정화 장치를 특정 오염지역에 설치 후, 오염원수에 대한 배출수의 TCE(Trichloroethylene) 농도 변화를 5일간 분석하고 그 효율을 나타낸 결과표이다.5 is a result table showing the efficiency of the TCE (Trichloroethylene) concentration change of the discharge water for 5 days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groundwater pollution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pecific pollution area.

수질환경보존법에서 정한 산업폐수의 배출규제에 의하면, 하천 방류수의 TCE 배출허용기준은, 용출액 1리터 당 0.3mg 이하이므로, 이를 반영하여 지하수 정화처리 장치를 설계해야 하며, 오염지역의 수리지질학적인 사전조사 후, 오염 지하수의 TCE 오염농도 값을 고려하여 1차 처리조 또는 2차 이상으로 처리조를 구성할 것인지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egulation of industrial wastewater discharge regulated by the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the TCE emission limit for river effluent is less than 0.3mg per liter of eluate, so the groundwater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should be designed to reflect this. After the investiga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apply whether the treatment tank is composed of the primary treatment tank or the secondary treatment tank in consideration of the TCE contamination concentration value of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도 5의 결과에 해당하는 본 시스템의 설계는, 1일 양수량 약 100m3의 경우 배출수 잔류오염농도를 0.3mg/L 미만으로 충족시킬 수 있도록 지하수 처리장치를 1개조로 구성하고, 설계기준을 반영한 본 실험의 소요자재로, 용량 2m3의 처리조, 처리수 1m3에 대한 송기량을 22.8m3/min로 한 2.55kw, 380V/3P, Max 3.2m3/min, Max 4,000mmAq 사양의 에어 블로어, 산기관(Membrane Disc Type Diffuser) 4개를 적용한 것이다.The design of this system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FIG. 5 is to configure the groundwater treatment device in one set so that the discharge water residual pollution concentration is less than 0.3 mg / L in the case of about 100m 3 of daily pumped water, and reflects the design criteria. to a desired material in this experiment, the amount of transmission of the processing tank capacity of 2m 3, treated 1m 3 to 22.8m 3 / min 2.55kw, 380V / 3P, Max 3.2m 3 / min, the air Specifications Max 4,000mmAq Four blower and diffuser (Membrane Disc Type Diffuser) are applied.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한바, 수질의 시료채취는 원수, 배출수, 그리고 처리조 내에서 0~3회 채취하였으며, TCE 분석결과 오염지하수의 원수에서 검출 농도가 1월 5일 15:30에 0.479mg/L, 1월 9일 15:00에 1.119 mg/L로 양수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검출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수의 평균 오염검출농도는 0.729 mg/L(최소0.479 mg/L~최대1.199 mg/L)이며, 처리 후 배출수의 평균 잔류오염검출농도는 0.091 mg/L(최소0.052~최대0.133 mg/L), 처리시스템의 평균효율은 87.2%(최소80.7%~최대90.5%)로 나타났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5, sampling of water quality was taken 0 to 3 times in the raw water, the discharged water, and the treatment tank. As a result of TCE analysis, the detected concentration in the raw water of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was 0.479 mg at 15:30 on January 5 / L, the detection concentra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pumping time to 1.119 mg / L at 15:00 on 9 January. The average contamination detection concentration of raw water is 0.729 mg / L (minimum 0.479 mg / L to maximum 1.199 mg / L), and the average residual contamination detection concentration of effluent after treatment is 0.091 mg / L (minimum 0.052 to 0.133 mg / L) The average efficiency of the treatment system was 87.2% (min 80.7% ~ max 90.5%).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오염정화 장치를 특정 오염지역에 설치 후, 오염원수에 대한 배출수의 TCE(Trichloroethylene) 농도 변화를 3일간 분석하고 그 효율을 나타낸 결과표이다.Figure 6 is a result table showing the efficiency of the three days after the change of the TCE (Trichloroethylene) concentration of the discharge water for the contaminated water after installing the groundwater pollution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설계조건에서와 마찬가지로, 지하수 오염지역의 수리지질학적인 사전조사 후 오염 지하수의 TCE 오염농도 값을 고려하여 1차 처리조 만을 단독으로 운영했을 시에 배출수 오염농도의 기준 초과가 예상됨에 따라, 1일 양수량 약 100m3의 경우 배출수 잔류오염농도를 0.3mg/L 미만으로 충족시킬 수 있도록 지하수 처리장치를 직렬로 2개조 설치하여 처리 시스템의 효율을 증대시켰다.As in the design conditions of FIG. 5, when the primary treatment tank alone is op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TCE contamination concentration value of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after hydrogeological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groundwater contaminated area, it is expected to exceed the standard of the effluent contamination concentration. , 1 day yangsuryang was increased efficiency of about 100m 3 of the drain water when the residual contamination levels the two modifications to the installation processing system for groundwater treatment devices in series to meet the less than 0.3mg / L.

또한, 설계기준을 반영한 본 실험의 소요자재는 도 5와 동일한 구성으로 2개조 적용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since the necessary materials of the present experiment reflecting the design criteria are applied to two sets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FIG. 5,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계속해서 도 6를 참조한 바, 상기와 같은 설계조건을 적용하여, 1일 양수량 100㎥로 오염 지하수를 양수했을 경우, 원수의 평균 오염검출농도는 1.237mg/L(최소0.874mg/L ~ 최대1.469mg/L)이며, 2차 처리 후 배출수(No.2)의 평균 잔류오염검출농도는 0.018mg/L(최소0.12mg/L ~ 최대0.021mg/L), 처리시스템의 평균효율(원수-N0.2)은 98.6%(최소98.5% ~ 최대98.9%)로 나타났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6, when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was pumped with 100m3 of pumped water per day by applying the above design conditions, the mean contamination detection concentration of raw water was 1.237mg / L (min. 0.874mg / L ~ 1.469) mg / L), and the average residual contamination detection concentration of the discharged water (No. 2) after the secondary treatment is 0.018 mg / L (min. 0.12 mg / L to max. 0.021 mg / L), and the average efficiency of the treatment system (raw water -N0). .2) was 98.6% (min. 98.5% ~ max. 98%).

도 5 및 도 6의 결과표를 참조하면, 처리시스템 1조를 운영한 결과 원수 오염검출농도의 평균값은 0.729mg/L, 배출수 잔류오염검출농도의 평균값은 0.019 mg/L로 오염원 처리효율이 87.2%로 나타났으나, 처리시스템 2조를 운영한 결과 원수오염검출농도의 평균값은 1.237mg/L, 2차 처리시스템에서의 잔류오염검출농도의 평균값이 0.017mg/L로 오염원 처리효율이 98.6%로 시스템 설계 효율에 따라 오염원의 제거가 약 99%까지 제거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Referring to the results table of FIG. 5 and FIG. 6, as a result of operating one set of treatment systems, the average value of the raw water contamination detection concentration was 0.729 mg / L,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residual water contamination detection concentration was 0.019 mg / L. However, as a result of operating two sets of treatment systems, the average value of raw water pollution detection concentration was 1.237mg / L, and the average value of residual pollution detection concentration in the secondary treatment system was 0.017mg / L, which was 98.6%. Depending on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design, up to 99% of the pollutants can be removed.

상기와 같이 지하수 오염지역의 오염검출농도에 따라, 1조 또는 2조 이상의 정화장치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depending on the pollution detection concentration of the groundwater contaminated area, one or two or more tanks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to remove the pollutant.

도 7은 도 5 및 도 6의 결과를 참조한바, 1일 양수량 100㎥일 때, 1차 및 2차 처리조의 구성 시에 오염원수의 검출농도에 대한 배출수의 잔류 오염검출농도를 예상한 그래프이다. FIG. 7 is a graph for estimating the residual contamination detection concentration of the discharged water with respect to the detection concentration of the source water when the primary and secondary treatment tanks are configured at a daily pumping amount of 100 m 3, referring to the results of FIGS. 5 and 6. .

도 7을 참조한바, '처리농도 1' 그래프를 보면, 오염원수의 검출농도가 2.46mg/L일 때, 1차 처리 배출수의 잔류 오염검출농도가 0.33mg/L로 기준치인 0.3mg/L를 초과한다. 그러므로 오염원수의 검출농도가 2.46mg/L를 초과하는 지역에는 단독 처리 시스템만으로는 오염원을 충분히 제거할 수 없으므로 2차 처리조를 함께 설치하여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taminated water is 2.46 mg / L, the residual contamination detection concentration of the primary treated effluent is 0.33 mg / L, which is a reference value of 0.3 mg / L. Exceed. Therefore, in areas where the detected concentration of contaminated water exceeds 2.46 mg / L, the contaminant cannot be sufficiently removed by a single treatment system alone, so a secondary treatment tank may be installed together to remove the contaminant.

계속해서 도 7의 '처리농도 2' 그래프를 참조한바, 오염원수의 검출농도가 2.46mg/L 이상 5.51mg/L 이하인 경우, 정화처리 시스템을 2개조로 설치하면, 오염원수 대비 배출수의 잔류 오염검출농도가 0.04mg/L 이상 0.09mg/L로 처리 효율은 98.5% 내지 98.3%, 모두 98% 이상의 처리효율을 만족시킬 수 있다. Subsequently, referring to the graph of 'treatment concentration 2' of FIG. 7, when the detected concentration of the contaminated water is 2.46 mg / L or more and 5.51 mg / L or less, if two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s are installed, the residual contamination of the discharged water compared to the contaminated water With a detection concentration of 0.04 mg / L or more and 0.09 mg / L, the treatment efficiency is 98.5% to 98.3%, all of which can satisfy the treatment efficiency of 98% or more.

상기와 같은 예상 값을 바탕으로 하여, 본 발명은 지하수 오염지역의 오염검출농도가 고농도인 경우 배출 기준치를 적용하여 1차 또는 2차 이상으로 알맞게 정화 장치를 구성 및 적용하여 오염원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Based on the expected value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remove the pollutant by constructing and applying a purification device appropriately for the first or second order by applying the emission standard value when the pollution detection concentration of the groundwater contaminated area is high. It can be effective.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에어 스트리핑 101: 오염지하수
101': 배출수 102: 양수펌프
103: 지하수 유입관 104: 처리조
105: 분사장치 106: 내부 충진제
107: 에어 블로어 108: 공기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109: 에어 배출관 110: 지하수 배출관
111: 에어 처리장치 200: 1차 정화장치
201: 지하수 유입구 202~204: 유출구
205: 1차 처리조 206: 컨트롤 박스
207: 보호시설 208: 송풍배관
209: 산기관 210: 에어 배관 삽입구
211, 211': 지하수 배출구 212: 에어 배출구
214: 연결관 300: 2차 정화장치
305: 2차 처리조 311, 311' 지하수 배출구
100: air stripping 101: contaminated groundwater
101 ': discharge water 102: pumping pump
103: groundwater inlet pipe 104: treatment tank
105: injector 106: internal filler
107: air blower 108: ai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109: air discharge pipe 110: groundwater discharge pipe
111: air treatment device 200: primary purification device
201: Groundwater inlet 202-204: Outlet
205: primary treatment tank 206: control box
207: Shelter 208: Ventilation piping
209: diffuser 210: air piping insertion port
211, 211 ': Groundwater outlet 212: Air outlet
214: connector 300: secondary purifier
305: 311, 311 'groundwater outlet for secondary treatment tank

Claims (10)

내부 공간의 일정영역에 산기관을 포함하는 처리조;
상기 산기관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블로어; 및
상기 처리조에 지하수를 유입하기 위한 양수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산기관은 다수개의 미세 공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처리조는 제 1차 처리조 및 제 2차 처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차 처리조는 제 1지하수 배출구 및 제 2지하수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차 처리조는 제 3지하수 배출구 및 제 4지하수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차 처리조는 상기 제 1지하수 배출구 또는 상기 제 2지하수 배출구 중 어느 하나를 지하수 배출구로 사용하고,
상기 제 2차 처리조는 상기 제2차 처리조의 제 3지하수 배출구 또는 제 4지하수 배출구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차 처리조의 지하수 배출구와 연결하여 지하수 유입구로 사용하고,
상기 제 2차 처리조는 상기 2차 처리조의 제 1지하수 배출구 또는 제 2지하수 배출구 중 다른 하나를 2차 처리조의 지하수 배출구로 사용하는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
A treatment tank including an diffuser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internal space;
An air blower for supplying air to the diffuser; And
A pump for pumping groundwater into the treatment tank;
The diffus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fine pores,
The treatment tank includes a first treatment tank and a second treatment tank,
The first treatment tank includes a first groundwater outlet and a second groundwater outlet, and the second treatment tank includes a third groundwater outlet and a fourth groundwater outlet,
The first treatment tank uses any one of the first groundwater discharge port or the second groundwater discharge port as the groundwater discharge port,
The second treatment tank is used as a groundwater inlet by connecting any one of the third groundwater outlet or the fourth groundwater outlet of the second treatment tank with the groundwater outlet of the first treatment tank,
The secondary treatment tank is a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the other of the first groundwater outlet or the second groundwater outlet of the secondary treatment tank as the groundwater outlet of the secondary treatment ta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관은 상기 에어 블로어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수집하기 위한 에어 수집부, 상기 에어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에어를 기포 형태로 변환하여 방출하기 위한 에어 기포 방출부 및 상기 에어 수집부의 에어를 상기 에어 기포 방출부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기포 방출부의 상면, 측면 또는 저면에 상기 다수개의 미세 공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ffuser may include an air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blower, an air bubble discharge unit for converting and discharging the air collected from the air collecting unit into a bubble form, and air of the air collecting unit. A connector for delivery to the discharge,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plurality of fine pores on the top, side or bottom of the air bubble dischar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블로어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상기 산기관에 공급하기 위한 송풍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배관은 제1송풍배관, 제2송풍배관 및 제3송풍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블로어에 상기 제 1송풍배관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 1송풍배관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처리조 외측의 상부 높이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 1송풍배관의 타측은 제 2송풍배관의 일측과 이음되며,
상기 제 2송풍배관의 타측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의 제 3송풍배관의 일측과 이음되고,
상기 제 3 송풍배관의 타측은 상기 처리조 상부의 에어 배관 삽입구를 통해 상기 처리조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산기관의 에어 수집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lower pipe for supply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blower to the diffuser, the blower pipe includes a first blower pipe, a second blower pipe and a third blower pipe,
One side of the first blower pipe is connected to the air blower, and the first blower pipe extends to an upper height outside the treatment tank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lower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blower pipe. Jointed with one side,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lower pip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hird blower pip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other side of the third blower pipe is inserted into the treatment tank through an air pipe insertion hol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and connected to an air collection unit of the diff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는 제 1차 처리조 또는 제 2차 처리조를 포함하며,
지하수의 오염 정도에 따라, 상기 제 1차 처리조 또는 제 2차 처리조를 단독 또는 그 이상으로 선택 적용하여 오염 지역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eatment tank includes a first treatment tank or a second treatment tank,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groundwater, the ground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polluted groundw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mary treatment tank or the secondary treatment tank is selected or applied alone or more and installed in the contaminated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는, 상기 처리조 상부에 설치되는 오염 지하수 유입구 및 상기 오염 지하수 유입구의 하측에 위치하는 지하수 배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하수 배출구는 상기 처리조 상부로부터 측면 2/3 내지 3/4 지점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지하수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eatment tank further includes a contaminated groundwater inlet installed above the treatment tank and a groundwater outlet located below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inlet.
The groundwater discharge port is contaminated ground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at a height of 2/3 to 3/4 points from the upper side of the treatment tank.
삭제delete 제 1관정으로부터 오염된 지하수를 양수하여 제1산기관을 포함하는 제 1차 처리조에 유입시키는 단계;
제1에어 블로어를 통해 상기 제1산기관에 에어를 유입하는 단계;
상기 제1산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기포를 통해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하는 단계;
상기 제1산기관에 의해 정화된 지하수를 제2산기관을 포함하는 제 2차 처리조에 유입하는 단계;
제2에어 블로어를 통해 상기 제2산기관에 에어를 유입하는 단계;
상기 제2산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기포를 통해 상기 제1산기관에 의해 정화된 지하수를 정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산기관에 의해 정화된 지하수를 제 2관정에 유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염 지하수의 정화방법.
Pumping contaminated ground water from the first well and introducing it into a first treatment tank including a first acid engine;
Introducing air into the first diffuser through a first air blower;
Purifying the contaminated ground water through air bubbles generated from the first acid engine;
Introducing groundwater purified by the first acid engine into a second treatment tank including a second acid engine;
Introducing air into the second acid engine through a second air blower;
Purifying the ground water purified by the first acid engine through air bubbles generated from the second acid engine; And
A method of purifying contaminated groundwater comprising introducing groundwater purified by the second mountain engine into a second wel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산기관 및 상기 제2산기관은 각각 상기 에어 블로어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수집하기 위한 에어 수집부, 상기 에어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에어를 기포 형태로 변환하여 방출하기 위한 에어 기포 방출부 및 상기 에어 수집부의 에어를 상기 에어 기포 방출부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기포 방출부의 상면, 측면 또는 저면에 다수개의 미세 공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지하수의 정화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acid engine and the second acid engine each includes an air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blower, an air bubble discharge unit for converting and discharging air collected from the air collecting unit into a bubble form; It includes a connecting pipe for delivering the air of the air collector to the air bubble discharge,
And a plurality of fine pores on the top, side, or bottom of the air bubble discharge portion.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관정은 오염 농도가 높은 곳이고, 상기 제 2관정은 상기 제 1관정에 비해 오염 농도가 낮거나, 비오염 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지하수 정화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rein the first well is a high pollution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well is polluted groundwater purif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lution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first well, or a non-contaminated area.
KR1020110039605A 2011-04-27 2011-04-27 A purif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aminated ground water KR1012026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605A KR101202676B1 (en) 2011-04-27 2011-04-27 A purif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aminated ground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605A KR101202676B1 (en) 2011-04-27 2011-04-27 A purif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aminated ground w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669A KR20120121669A (en) 2012-11-06
KR101202676B1 true KR101202676B1 (en) 2012-11-19

Family

ID=4750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605A KR101202676B1 (en) 2011-04-27 2011-04-27 A purif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aminated ground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67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756B1 (en) 2016-03-10 2016-11-17 효림산업주식회사 Remediation system of groundwater contaminants by pumping and treatment, oxidation treatment and reverse osmosis membra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424B1 (en) * 2016-07-22 2016-12-30 효림산업주식회사 Complex Purification System of Oil-polluted Underground Water by Physical and Biological
KR101691425B1 (en) * 2016-08-02 2016-12-30 효림산업주식회사 Complex Purification System of Oil-polluted Underground Water by Physical and Chemic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3574A (en) 1997-03-21 1998-10-06 Gunma Hoola Kk Organic waste water clean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3574A (en) 1997-03-21 1998-10-06 Gunma Hoola Kk Organic waste water cleaning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환경공학회.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 2004.11.(pp471-478)
한국지반공학회지. 제21권제12호. 2005.12.(pp45-5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756B1 (en) 2016-03-10 2016-11-17 효림산업주식회사 Remediation system of groundwater contaminants by pumping and treatment, oxidation treatment and reverse osmosis membr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669A (en)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12915B (en) Circulation well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pollutants in underground water
JP2660307B2 (en) Methods for in situ decontamination of underground soil and groundwater
CN103463937B (en) The volatility organic tail gas processing method of resourcebility and skid mobile device
CN204737749U (en) Volatile organic compounds pollutes normal position prosthetic devices of groundwater
KR20180112508A (en) In Situ Treatment Apparatus applying Pneumatic Fracturing and Forced Extraction for oil contaminated Soil
CN102815832B (en) Ozone-permeable reactive barrier repair system and method for groundwater repair by using the same
KR101202676B1 (en) A purif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aminated ground water
CN104138896A (en) In-situ pumping and injecting restoration device for polluted soil, restoring method and mounting method of restoration device
KR20180026359A (en) Method for Field soil stabilization and remediation of polluted soil by Extraction / filling method using PMI-system
JP5205010B2 (en) In-situ purification method for contaminated groundwater
KR101691425B1 (en) Complex Purification System of Oil-polluted Underground Water by Physical and Chemical
KR101691424B1 (en) Complex Purification System of Oil-polluted Underground Water by Physical and Biological
KR101933631B1 (en) System for remediating oil-polluted ground water and put remediated ground water
CN213613318U (en) Horizontal extraction gas injection well for biological ventilation
KR20160028071A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 water
JP2006326397A (en) System and method for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ground
CN104475442B (en) Volatile contaminant soil and groundwater remediation system
CN112661353A (en) Sled dress formula petroleum hydrocarbon pollutes prosthetic sewage treatment plant in place
TWM566206U (en) Hydraulic soil contamination flushing and remediation system
JP2006320842A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contaminated soil
CN211688570U (en) Underground water treatment device
CN210546992U (en) Pollute soil and groundwater and synthesize and administer device
KR100584881B1 (en) Non-powered natural circulation waste and sewage treatment device
CN220591102U (en) Integrated repair system for petroleum hydrocarbon contaminated soil and underground water
CN103011415B (en) Simple water treatment and recovery device for large-size wet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