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216B1 - 초파리를 이용한 실내 대기 유해물질의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초파리를 이용한 실내 대기 유해물질의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216B1
KR101202216B1 KR20100084686A KR20100084686A KR101202216B1 KR 101202216 B1 KR101202216 B1 KR 101202216B1 KR 20100084686 A KR20100084686 A KR 20100084686A KR 20100084686 A KR20100084686 A KR 20100084686A KR 101202216 B1 KR101202216 B1 KR 101202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xicity
mutant
indoor air
drosophila
exp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84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0820A (ko
Inventor
최진희
정연두
송경석
전태수
엄현정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00084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216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21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Immu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Abstract

초파리를 이용한 실내 대기 유해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적은 비용과 쉬운 테크닉으로 실내 대기를 오염시키는 유해화학물질의 독성을 간편하게 스크리닝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파리를 이용한 실내 대기 유해물질의 검출 방법 {Detection method of toxicity from indoor air pollutants using Drosophila melanogaster}
본 발명은 초파리 Drosophila melanogaster를 이용하여 실내대기의 환경 독성을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질 또는 토양 환경 모니터링에는 생물의 반응 (독성)을 이용한 바이오 모니터링이 화학적 모니터링 (화학분석)과 함께 수행된다. 즉, 바이오 모니터링을 스크리닝 기법으로 사용한 후 화학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Isidori et al., 2003, Bandow et al., 2009).
실제로 물고기 (D. rerio, O. latipes), 물벼룩 (D. magna), 저서생물 (C.riparius), 지렁이 (E.fetida, E. andrea), 선충 (C.elegans) 등 다양한 생물들이 수서 및 토양 환경질 평가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 발광성 박테리아, 조개류, 물벼룩, 물고기, 조류 등이 생물경보장치로 개발되어 원격 온라인 모니터링 장치로 이미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독일-bbe Daphnia Toximeter, 국내-물벼룩 생물경보장치(Daphnia Toximonitor)).
이에 대하여, 아토피, 비염 등 이른바 새집증후군으로 알려진 환경성 질환의 급격한 증가로 실내공간에 대한 위해성 연구가 시급함에도 불구하고, 실내유해화학물질의 모니터링은 거의 전적으로 화학 분석에만 의존해왔으며, 수용체에 대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이다. 더욱이, 이를 손쉽게 스크리닝할 수 있는 평가 생물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종래 화학물질의 독성을 스크리닝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microarray를 들 수 있다. microarray는 특정 화학물질에 반응하는 유전자 발현을 대량으로 분석하는 기술로서, 독성 평가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를 화학 물질이나 환경 샘플의 초기 독성 스크리닝에 사용하기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방법은 실험적으로 복잡한 테크닉이 요구되며, 재현성이 자주 떨어져 많은 반복 실험이 요구되어, 결과적으로는 의미있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microarray를 통하여 특정 화학물질에 의해 발현이 증가 또는 감소되는 유전자, 즉,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 (De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들의 기능이 밝혀져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대량의 데이터를 얻었다 하더라도, 독성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 의미있는 데이터는 매우 제한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microarray는 차세대 대체 독성 시험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 시점에서는 환경 독성 평가에 널리 적용하기에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microarray를 이용한 유해화학물질의 독성 스크리닝 방법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초파리 돌연변이체를 이용하여 잠재적 실내 대기의 유해화학물질의 독성을 쉽게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내 대기의 환경 독성 진단방법에 있어서, 초파리 돌연변이체를 지표 생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초파리 야생주 및 돌연변이체의 성충을 밀폐 노출용기에 넣는 단계;
상기 노출용기에 휘발성 유해화학물질을 주입하여 밀폐시키는 단계; 및
12~72시간 후 야생주와 돌연변이체의 반응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대기의 환경 독성 진단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에 의하여 선별된 실내 대기의 유해물질의 스크리닝용 돌연변이체를 제시할 수 있다.
현대인들은 일상 생활에서 다양한 종류의 화학물질에 여러 가지 경로로 노출되고 있다. 유해한 화학물질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화학물질의 독성을 평가를 통해 유해한 화학물질의 사용을 제한하여 한다. 그러나, 독성평가를 위한 동물 실험에는 막대한 비용과 많은 시간이 걸리며, 많은 동물의 희생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대체생물을 이용한 독성 시험법이 전세계적으로 권장되고 있다. 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시험법은 포유동물 실험과는 달리 경제적이고 신속하고 대량으로 독성 시험을 실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초파리는 짧은 생활주기와 쉬운 배양 방법, 그리고 인간의 유전자와 높은 상동성을 지니고 있으며, 다양한 돌연변이체를 이용할 수 있어, 인간의 질병 및 생명 현상을 연구하는데 적절한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환경 모니터링의 목적으로는 매우 제한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실내 대기의 질을 평가하는 목적으로는 전혀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에 초파리를 실내 유해화학물질의 모니터링 생물로 개발한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특정 유전자의 기능이 손실되어 있는 돌연변이체를 독성 스크리닝 방법에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초파리를 이용한 실내 대기의 독성 진단방법은, microarray와 비교하여 적은 비용과 쉬운 테크닉으로 실내대기의 유해화학물질의 독성을 스크리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테플론 처리된 마개가 있는 유리병을 이용한 휘발성 유해물질의 노출과정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흡입독성 노출 시험을 위한 모식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흡입독성 노출 시험을 위한 케이지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독성 노출시험을 위한 흡입독성챔버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4a는 테프론 용기에 야생종과 돌연변이체(Dsor1 , hsp23 , bsk , p53 , p38b)를 넣고 벤젠에 24시간 노출시킨 후 생존율과 운동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b는 테프론 용기에 야생종과 돌연변이체(Dsor1 , hsp23 , bsk , p53 , p38b)를 넣고 톨루엔에 24시간 노출시킨 후 생존율과 운동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실내 대기 유해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있어서, 초파리 돌연변이체를 지표 생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초파리 돌연변이체 성충을 밀폐용기를 이용하여 유해 물질에 기상 노출시킨 후, 야생주와의 반응을 비교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내 대기의 환경 독성 진단방법은
초파리 야생주 및 돌연변이체의 성충을 노출 용기에 넣는 단계;
상기 노출 용기에 휘발성 유해화학물질을 주입하여 밀폐시키는 단계; 및
12~72시간 후 야생주와 돌연변이체의 반응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파리 돌연변이체는 상기 초파리 돌연변이체는 열충격 단백질, 외래물질대사(xenobiotic metabolism), 산화적 스트레스, 스트레스 관련 시그널링 또는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기능이 상실된 것을 포함한다.
특히,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 기능이 상실되어 있는 변이주는 독성 반응의 민감도를 향상시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안에 각종 유해 물질에 대한 (예비)스크리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 기능이 상실되어 있는 변이주는 유전적 조작을 통해 직접 제작할 수도 있고, 표 1에 나타낸 알려진 변이주를 입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Gene Mutant Stock number*
Heat Shock Protein Hsp60 Hsp60 RA75 Bl# 4689
Hsp70Ab P{EPgy2}Hsp70Ab EY01148 Bl# 15327
Hsp70Ba Hsp70Ba 304 Bl# 8845
Hsp23 P{ GT1 }Hsp23 BG01483 Bl# 12542
Xenobiotic Cyp6d5 Mi { ET1 }Cyp6d5 MB09381 rdx MB09381 Bl# 26475
Cyp4e2 P{ EPgy2 }Cyp4e2 EY09295 Bl# 17553
Cyp12a4 PBac { WH }Cyp12a4 f00523 Bl# 18342
GstD1 P{ EP }GstD1 G15553 Bl# 26926
GstS1 P{ wHy }GstS1 DG19302 Bl# 21680
GstE1 PBac { RB }GstE1 e00657 Bl# 17876
MAPK signaling rl rl 1 Bl# 386
bsk bsk 1 Ky# 106832
p38b p{ SUPor -P}p38b KG01337 Bl# 14364
Dsor1 Dsor1 S -1221 Bl# 8496
Oxidative stress Cat Cat n1 Bl# 4014
Sod Sod n1 Bl# 24492
Sod2 Sod2 Δ02 Bl# 27643
Immune response Rel Rel E20 Bl# 9457
imd PBac { WH }imd f02746 Bl# 18583
Apoptosis p53 p53 11 -1B-1 Bl# 6816
상기 노출 용기를 이용하여 유해 물질에 초파리를 기상 노출시키는 공정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노출 용기로는 테플론 코팅된 마개를 가지는 용기나, 흡입독성 챔버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밀폐가 가능하다면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테플론 코팅된 마개를 가지는 용기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누출 방지 및 외부 오염물질에 의한 오염을 막는데 유용하다.
흡입독성 챔버는 대기 노출에 의한 생물의 영향을 모사할 수 있는 가장 과학적인 장치로서, 현재까지는 마우스와 랫트 등 포유동물의 흡입 독성 실험에만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초파리에 적용한 것으로, 시험 실시 전 유기용제 분사장치를 통하여 흡입 독성 챔버 내로 분사된 농도를 측정하여 흡입 독성 챔버 내의 화학물질의 농도를 확인하고 정확성을 확보한 후 실험을 실시하게 되므로 보다 정확한 농도에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유해 화학물질의 일회 주입 후 반응성을 보는 것이 아니라 시간당 10여회의 환기를 통해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노출시간에 따른 화학물질의 농도 변화없이 일정한 노출이 가능하며 노출 시간의 증감이 자유롭다.
상기 유해 화학물질은 실내 대기를 오염시킬 수 있는 물질로, 벤젠, 톨루엔 및 포름알데히드를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진단방법에서는 상기 노출 단계에 이어 야생주와 돌연변이체의 반응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돌연변이체와 야생주의 대상 실내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반응을 생존율 (survival)과 운동성 (movement: 대조군에 비하여 움직임이 느려짐)을 지표로 하여 평가하여 특정 실내 유해화학물질의 그룹에 야생주보다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돌연변이체를 선별한다.
이 과정을 통해서 선별된 돌연변이체는 특정 실내 유해화학물질 그룹의 독성을 민감하게 스크리닝하는데 응용할 수 있으며, 그 물질의 독성 기전 연구를 할 수 있는 기반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원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테플론 코팅된 마개를 가진 용기(1.17ml)에 일반 배지가 들어있는 초파리용 vial에 야생주(Bloomington. Drosophila Stock Center에서 구입)와 선정된 돌연변이체(Dsor1 , hsp23 , bsk , p53 , p38b; Bloomington. Drosophila Stock Center에서 구입, 표 1 참조)를 넣고 눈이 가는 망으로 마감한다. 상기 노출용기에 돌연변이체 (mutant strains)를 야생주 (wildtype)를 넣은 상태에서 휘발성 실내유해화학물질인 벤젠 또는 톨루엔을 액상으로 각각 5㎕ 넣은 후 신속하게 마개를 닫아 외부로의 화학물질의 누출을 최소화한다. 초파리의 배양 조건과 동일한 20℃ 온도에서 24시간 배양시킨다. 참고로, 실내에서 검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의 농도는 실내환경과 위치 및 용도에 따라 다르다. 신축건물의 실내환경 권고기준의 경우 벤젠 30㎍/㎥, 톨루엔 1000㎍/㎥, 포름알데하이드 120㎍/㎥이다. 본 실험에서는 노출용기의 밀폐성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농도로 처리하여 사용하였다(표 2 참조).
상기 노출용기 내의 휘발성 물질 (벤젠, 톨루엔)의 거동을 Thermal Desorption Gas Chromatograph Mass Spectrometer (TDS-GC-MSD)로 분석하여 72시간까지 노출 초기 농도가 감소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표 2 참조).
상기 TDS-GC-MSD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료에서 방산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를 gesrstel TA tube에 흡착시킨 후 열탈착시켜 GC에 주입하여 분석한다. 시료의 혼합물을 GC의 컬럼으로부터 분리한 후 이를 on-line으로 질량분석기에 도입하여 GC분석이 가능한 혼합물 중의 개개 화합물에 대한 질량스펙트럼을 얻는다.
TDS-GC-MSD 분석에 의한 벤젠, 톨루엔의 시간에 따른 농도 측정값
비중 순도 희석액 투입량(㎕) 농도 계산값
(㎍/㎥)
시간에 따른 측정값(㎍/㎥)
24h 72h
Benzene 0.879 0.9999 5 3995 4260 4101
Toluene 0.865 0.9900 5 3893 4946 5080
실시예 2:
흡입독성 시험은 호흡기를 통하여 흡입된 물질들의 생체작용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발생장치로 유발시킨 gas, dust, mist, smoke, fine particle, nanoparticle 등을 전신노출의 방법을 통해서 시험을 수행한다. 모든 시험과정은 GLP 시험으로 실시하고 있다. 흡입독성 시험시 노출 물질의 발생은 liquid pump와 liquid 유량계로 구성된 유기용제 자동분사장치를 이용하며(도 2), 시험물질의 농도 조절은 liquid 유량계의 유량을 조절하여 설정 농도를 맞춘다.
노출 챔버 내의 시험물질에 대한 농도 분석은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manual of analytical methods (NMAM) No. 1501 'Hydrocarbons, Aromatic'의 방법을 이용하여 노출 챔버 내 시험물질에 대한 농도(ppm)를 분석한다.
일반 배지가 들어있는 초파리용 vial에 야생주와 선정된 돌연변이체를 넣고 눈이 가는 망으로 마감하여 준비하고(도 1 참조), 준비된 바이알을 흡입독성 챔버에 넣을 cage에 넣었다(도 3 참조). 흡입 독성 챔버에 초파리(야생주 및 돌연변이체 Dsor1 , hsp23 , bsk , p53 , p38b)를 넣고 72시간 일정한 농도(벤젠 : 0.1, 0.5, 1 ppm; 톨루엔 : 1, 5, 10 ppm)로 벤젠 또는 톨루엔에 연속 노출시켰다(도 4 참조).
실시예 3:
야생주와 돌연변이체의 알을 모아 초파리 배지에서 3일간 배양하여 3기의 유충이 되도록 배양하였다. 3기 유충을 군당 각 10마리씩 무처리군(10% sucrose에 노출)과 처리군(10% sucrose+은나노 0.5ppm에 노출)으로 하여 sucrose 및/또는 은나노 처리 24시간 후 생존율을 관찰하고 생존한 유충을 초파리 배지로 옮겨 7~8일 후 성충화율을 관찰하였다. 상기 은나노는 Sigma-Aldrich사의 Cat. # 484059, 99%, <150nm size의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도 4a 및 4b는 테프론 용기에 야생종과 돌연변이체(Dsor1 , hsp23 , bsk , p53 , p38b)를 넣고 벤젠과 톨루엔에 24시간 노출시킨 후 생존율과 운동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그래프에서 유해물질에 노출된 초파리의 생존율과 운동성의 측면에서 50%가 영향을 받은 농도를 EC50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야생종에 비하여 EC50이 작은 hsp23 , p53 돌연변이체가 벤젠 및 톨루엔에 민감하게 반응한 것을 알 수 있다. 벤젠의 경우 야생종의 EC50은 1.46×106㎍/㎥이고, 민감하게 반응한 hsp23 돌연변이체 EC50은 0.94×106㎍/㎥, p53 돌연변이체 EC50은 0.96×106㎍/㎥으로 야생주에 비하여 EC50이 낮은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톨루엔의 경우 야생종의 EC50은 3.01×106㎍/㎥이고, 민감하게 반응한 hsp23 돌연변이체 EC50은 2.18×106㎍/㎥, p53 돌연변이체 EC50은 1.85×106㎍/㎥으로 야생주에 비하여 EC50이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야생종 및 돌연변이체 유충을 은나노에 노출하여 생존율 및 성충화율을 비교한 실험에서는 Dsor1 , hsp23 , bsk , p53 , p38b 모두 야생종에 비해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표 3 참조). 야생종에서 처리군의 경우 생존율 99%, 성충화율 79%를 나타냈으며, MAPK signaling 관련된 Dsor1 돌연변이체는 생존율 74%, 성충화율 53%, bsk 돌연변이체는 생존율 96%, 성충화율 88%, 특히 p38b 돌연변이체는 생존율 88%, 성충화율 41%로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Heat shock protein 관련 hsp23 돌연변이체는 생존율 88%, 성충화율 64%, hsp 83 돌연변이체는 생존율 86%, 성충화율 54%로 야생주보다 낮은 생존율과 성충화율을 나타내었으며, Apoptosis 관련 p53 돌연변이체의 경우 생존율 80%, 성충화율 56%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초파리
돌연변이주
Endpoint 처리
무처리군 AgNP(0.5ppm)
S7
(야생주)
생존율
(Survival)
1.00(±0.00) 0.99(±0.08)
성충화율
(Emergence)
0.88(±0.08) 0.77(±0.05)
Dsor1
(MAPK signaling)
생존율
(Survival)
1.00(±0.03) 0.74(±0.04)*
성충화율
(Emergence)
0.81(±0.03) 0.53(±0.09)
bsk
(MAPK signaling)
생존율
(Survival)
1.00(±0.00) 0.96(±0.07)
성충화율
(Emergence)
0.95(±0.05) 0.88(±0.11)
p38b
(MAPK signaling)
생존율
(Survival)
1.00(±0.04) 0.88(±0.04)
성충화율
(Emergence)
0.92(±0.05) 0.41(±0.08)*
rl
(MAPK signaling)
생존율
(Survival)
1.00(±0.00) 0.90(±0.10)
성충화율
(Emergence)
1.00(±0.00) 0.87(±0.13)
cat
(Oxidative stress)
생존율
(Survival)
1.00(±0.04) 0.93(±0.10)
성충화율
(Emergence)
0.92(±0.07) 0.75(±0.08)*
Hsp23
(Heat shock protein)
생존율
(Survival)
1.00(±0.00) 0.88(±0.01)*
성충화율
(Emergence)
0.87(±0.03) 0.64(±0.09)
Hsp83
(Heat shock protein)
생존율
(Survival)
1.00(±0.03) 0.86(±0.06)
성충화율
(Emergence)
0.86(±0.05) 0.54(±0.08)*
yl
(vitellogenin receptor)
생존율
(Survival)
1.00(±0.00) 0.98(±0.03)
성충화율
(Emergence)
1.00(±0.00) 0.74(±0.12)
p53
(Apoptosis)
생존율
(Survival)
1.00(±0.00) 0.80(±0.09)*
성충화율
(Emergence)
0.90(±0.03) 0.56(±0.06)*
(AgNP: Ag nanoparticle)
이러한 결과는 초파리 돌연변이체의 반응 민감도 실험은 벤젠이나 톨루엔 등 실내 대기 유해화학물질뿐만 아니라 다른 화학물질의 독성을 모니터링 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 첨부된 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초파리 야생주 및 돌연변이체의 성충을 노출 용기에 넣는 단계;
    상기 노출 용기에 실내 대기 유해물질을 주입하여 밀폐시키는 단계; 및
    12~72시간 후 야생주와 돌연변이체의 반응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대기의 환경 독성 진단방법.
  6. 초파리 야생주 및 돌연변이체의 성충을 노출 용기에 넣는 단계;
    상기 노출 용기에 실내 대기 유해물질을 주입하여 밀폐시키는 단계;
    12~72시간 후 야생주와 돌연변이체의 반응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 대기 유해물질에 대하여 상기 야생주보다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돌연변이체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선별된 실내 대기 유해물질의 스크리닝용 초파리 돌연변이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초파리 돌연변이체는 Dsor1 , hsp23 , bsk , p53 또는 p38b 돌연변이체인 초파리 돌연변이체.
KR20100084686A 2010-08-31 2010-08-31 초파리를 이용한 실내 대기 유해물질의 검출 방법 KR101202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4686A KR101202216B1 (ko) 2010-08-31 2010-08-31 초파리를 이용한 실내 대기 유해물질의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4686A KR101202216B1 (ko) 2010-08-31 2010-08-31 초파리를 이용한 실내 대기 유해물질의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820A KR20120020820A (ko) 2012-03-08
KR101202216B1 true KR101202216B1 (ko) 2012-11-16

Family

ID=4612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84686A KR101202216B1 (ko) 2010-08-31 2010-08-31 초파리를 이용한 실내 대기 유해물질의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7630A (ko) 2022-05-10 2023-11-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전자 조작 초파리를 이용한 냄새 감지 장치 및 이를 냄새 감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34822C2 (ru) * 2012-12-21 2014-12-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Физико-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оценки фармакологических и токсикологических свойств веществ - радио-, токсикопротекторов и радио-, токсикосенсибилизаторов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760B1 (ko) 1992-03-18 2000-06-01 김효근 광섬유가 부착된 소형 생물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독성 탐지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760B1 (ko) 1992-03-18 2000-06-01 김효근 광섬유가 부착된 소형 생물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독성 탐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7630A (ko) 2022-05-10 2023-11-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전자 조작 초파리를 이용한 냄새 감지 장치 및 이를 냄새 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820A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zulczyński et al.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chemical sensors employed for detec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outdoor and indoor air
Stitzel et al. Artificial noses
Ohura et al. Chlorinate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the atmosphere: seasonal levels, gas-particle partitioning, and origin
Luider et al. Influence of natural organic matter source on copper speciation as demonstrated by Cu binding to fish gills, by ion selective electrode, and by DGT gel sampler
Ryhl-Svendsen et al. Acetic acid and formic acid concentrations in the museum environment measured by SPME-GC/MS
Yang et al. Adsorption, oxidation, and bioaccessibility of As (III) in soils
de Lacy Costello et al. The development of a sensor system for the early detection of soft rot in stored potato tubers
US11988662B2 (en) Methods for detecting and quantifying gas species analytes using differential gas species diffusion
Joblin et al. Detection of moulds by volatile organic compounds: Application to heritage conservation
Angeletti et al. Terrestrial gastropods (Helix spp) as sentinels of primary DNA damage for biomonitoring purposes: a validation study
CN110487868B (zh) 一种基于光电化学传感器检测毒死蜱的方法
Fuśnik et al. A review of gas measurement set-ups
KR101202216B1 (ko) 초파리를 이용한 실내 대기 유해물질의 검출 방법
Zheng et al. Wireless plant stresses monitoring with a wearable chemiresistor gas sensor at room temperature
Wilman et al. Mercury fractionation-problems in method application
Man et al. An assessment of sensing technologies for the detection of clandestine methamphetamine drug laboratories
Ryan et al. Monitoring space shuttle Air for selected contaminants using an electronic nose
WO2016144249A1 (en) Method for passive or active sampling of particles and gas phase components in a fluid flow
de Lacy Costello et al. The characteristics of novel low-cost sensors for volatile biomarker detection
Raeside et al. Determination of in situ polychlorinated biphenyl elimination rate coefficients in the freshwater mussel biomonitor Elliptio complanata deployed in the huron–erie corridor, southeast Michigan, USA, and southwest Ontario, Canada
Shuying et al. Residue determination of plant activator benzo‐1, 2, 3‐thiadiazole‐7‐carboxylic acid 2‐benzoyloxyethyl ester in water, soil, and vegetable by gas chromatography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Gospodarek et al. The Effect of Soil Pollution by Oil Derivatives on Harpalus rufipes Deg.(Coleoptera, Carabidae).
Bains A spectroscopically interrogated flow-through type toxicity biosensor
Otrisal et al. New approaches regarding the protection forces’ health against the effects of some toxic substances
Moore et al. Geological and inorganic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