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196B1 - 조명 기구 - Google Patents

조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196B1
KR101201196B1 KR1020110058246A KR20110058246A KR101201196B1 KR 101201196 B1 KR101201196 B1 KR 101201196B1 KR 1020110058246 A KR1020110058246 A KR 1020110058246A KR 20110058246 A KR20110058246 A KR 20110058246A KR 101201196 B1 KR101201196 B1 KR 101201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unit
light emitting
hin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희경
박준석
Original Assignee
박준석
구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석, 구희경 filed Critical 박준석
Priority to KR1020110058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9Outdoor lighting of gard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혹은 정원이나 공원 등 야외에 설치되는 조명 기구로써, 다수의 램프가 장착되며, 양측면에 힌지가 구비된 조명부; 상기 힌지가 끼워져 이를 중심으로 조명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양측 지지대를 구비하되, 이 양측 지지대의 단부를 연결하는 안착판으로 이루어진 축수대; 상기 축수대가 안착되며, 내부에는 조명이 가능하도록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지상 혹은 천정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판이 구비되어 공원이나 정원의 실외는 물론 실내 천장에 매달려 조명을 가능케 하는 베이스부; 상기 조명부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야간에 보행자 혹은 운전자가 조명 기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부;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Description

조명 기구{lighting fixtures}
본 발명은 조명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원, 정원은 물론 실내 조명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발광부를 구비하여 야간에 안전한 주행 및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명 기구에 관한 것이다.
백열등으로부터 시작된 조명은 근래 형광등, LED 램프에 이르기까지 무수한 발전을 거듭해 왔다.
일반적으로 조명이라 함은 실내 조명을 의미하였으나, 최근에는 산업 발전과 더불어 정원, 공원 등에서 이루어지는 직접 조명, 상점이나 사무실, 학교에서 이용되는 반직접조명, 혹은 거실, 안방 등 일반 가정에서 쓰이는 반 간접 조명, 방송용 등으로 사용되는 특수 조명 등으로 세분화되고, 조명 기구 역시 그에 알맞도록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특허 제689067호는 공원에 설치되어 식재 보호구에 선택에 따라 회전되는 조명등을 설치하여 공원 등에 식재되는 식재수에서 다양한 분위기를 갖도록 함은 물론, 식재수들이 설치되는 공원 분위기를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공원용 경관 조명 기구이다.
이러한 조명 기구는 식재를 감쌀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부면에는 일측에 끼움홈을 갖는 요홈이 형성되고, 그 끼움홈에는 단부의 축 상에 구동롤러를 갖는 모터가 설치되며,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에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상단부에 자유회전되는 롤러가 설치되는 이탈방지구가 나사결합되는 상부고정체와; 식재를 감쌀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고정체의 저면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바가 설치되는 하부고정체와; 상기 상부고정체 상부의 요홈에 끼워지게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른 구동롤러의 회전에 따라 이탈방지구 상단부의 롤러 하부에서 회전되며, 상부면에는 복수 개의 발광전구가 설치되는 회전판;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상기한 실시 예 이외에도 근래 개발된 조명 기구는 다양한 기능과 모양을 가지고, 직 간접 조명에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실시 예는 물론 종래 많은 조명 기구는 어떠한 특정 장소에서만 사용되는 문제가 있다. 즉 공원이나 정원에 사용되는 조명은 실내 조명등으로 사용할 수 없고, 반대로 실내 조명등은 야외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실 예와 같이 야외에 설치되는 조명 기구의 경우 불이 꺼져 있을 때 보행자가 부딪쳐 부상을 당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조명이 꺼져 있는 경우 바닥에 설치된 조명 기구는 발에 걸린 우려가 있어 부상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경우 운전자가 식별하기 하기 어려워 추돌 위험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천장 및 바닥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조명은 물론, 실외 조명 기구로 사용될 수 있는 다기능 조명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외 조명 시, 조명이 꺼진 야간에서 운전자 혹은 보행자가 조명 기구가 설치된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조명부에 발광부를 구비하여 차량의 추돌 사고 및 보행자가 부딪치는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램프가 설치된 조명부를 회동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내 혹은 실외 어떠한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조명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실내 혹은 정원이나 공원의 야외에 설치되는 조명 기구로써, 내측에 다수의 램프가 장착되며, 양 측면에 힌지가 구비된 조명부; 상기 힌지가 끼워져 이를 중심으로 조명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축수대를 구비하고, 이 축수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안착판으로 이루어진 조절대; 상면에 상기 조절대가 안착 고정되고, 내부에는 조명이 가능하도록 전원 공급부가 구비되며, 하단부에는 지상 혹은 천정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판이 구비되어 공원이나 정원의 실외는 물론 실내 조명을 가능케 하는 지지부; 상기 조명부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야간에 보행자 혹은 운전자가 조명 기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부;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첫째, 조절대를 구비하여 조명이 이루어지는 조명부의 조명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조명 기구는 정원이나, 공원 혹은 도로 등 실외에 설치되어 직간접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체육관이나 일반 가정 혹은 공장의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 조명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조명 기구는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보행자 혹은 운전자가 설치된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여 추돌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넷째, 본 발명의 조명 기구는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고, 외관이 미려하여 제품의 고급화를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의 일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상기 다른 실시 예의 요부를 확대한 일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의 사시도 및 일측면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의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조명 기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조명 기구(10)는 조명이 이루어지는 조명부(12)와, 이 조명부의 조명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대(20)와,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발광부(30)와, 이들을 실내 혹은 실외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40)로 구성된다.
조명부 (12)
먼저, 조명부(12)는 첨부된 도면과 같이, 원형 혹은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사각 형태로 구성되며, 내측에 다수의 램프(14)가 장착된다.
상기 램프(14)는 LED 혹은 할로겐 혹은 백열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에는 LED 램프가 사용된다.
상기 조명부(12)의 외측면은 요부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이는 LED 램프의 설치 시 방열을 위한 것이다. 또한, 조명부(12)의 외측면에는 일체로 혹은 끼움에 의해 조립되는 힌지(22)가 구비된 구성이다.
조절대 (20)
상기 조절대(20)는 축수대(24)와 안착판(26)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축수대(24)는 대략 삼각 형태로 상단부에 상기 조명부에 일체로 혹은 끼워 맞춤으로 구비된 힌지(22)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하단부는 안착판(26)으로 연결된 구성이다.
다시 말해, 상기 조절대(20)는 양측으로 세워진 축수대(24)의 하단을 안착판(26)으로 연결한 "∪"형태이다.
발광부 (30)
발광부(30)는 조명부(12)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특히 조명이 꺼진 야간에 운전자 및 보행자가 조명 기구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하여 추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으로, 접착식과 도포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접착식은 발광 물질이 함유된 시트 지를 조명부의 크기에 맞게 절단하여 접착하는 방식이고, 도포식은 스프레이 방식으로 발광 물질을 조명부(12)의 외측면에 직접 도포하는 방식이다.
한편, 상기 발광부(30)는 형광 물질 혹은 반사 물질로 구성되며, 이들이 시트지에 혹은 조명부에 직접 도포되는 구성이다.
지지부 (40)
상기 지지부(40)는 박스 형태로 내부에 램프(14)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 등으로 이루어진 전원 공급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면에 상기 조절대(2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케이블 접속구(42)가 구비되어, 이중 하나는 조명부(14)의 배면에 구비된 접속구(16)와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하고, 다른 하는 메인 전기와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부(40)의 외측면 하단에는 고정판(44)이 구비되어 실외 바닥은 물론 천장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고정판(44)은 지지부(4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안쪽에 장공(46)이 구비되어 이 장공에 보울트 혹은 리벳을 끼워 바닥 혹은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같이, 본 발명의 조명 기구는 실내외 바닥과, 천정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도 1, 2와 같이 조명부(12)를 상부로 향하게 하고, 지지부(40)를 바닥에 놓아 사용하거나 혹은 조명부(12)을 하부로 향하게 하고 지지부(40)를 천장 혹은 기둥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명부(12)는 힌지(22)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조명 각도가 조절되며, 발광부(30)는 특히 야간에 조명 꺼졌을 때 발광하여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 설치 위치를 인식시켜 추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 운행은 물론 부상의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 예의 조명 기구(100)는 사각 형태로 베이스부(200)의 내측에 조명부(500)가 구비되고, 이 조명부(500)에 발광부(300)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발광부(300)는 시트지 형태로 이 시트지는 발광 물질이 함유되고, 내측에 접착제가 구비되어 조명부의 크기에 알맞게 절단하여 접착하는 방식이다.
조명부(5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400)는 도 6과 같이 힌지(414) 끼워지는 양측판(412)과 이 측판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안착대(410)와, 클립 형태로 이루어져 조절 보울트(424)를 조이면 측판이 내측으로 밀리면서 간격이 좁아져 힌지를 고정하는 탄성대(420)로 구성된다.
물론 탄성대(420)는 상기 베이스부(20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실시 예 또한 발광부(300)를 구비하여 야간에 식별이 가능하고, 탄성대와 안착대를 이용하여 실내외에 바닥은 물론 천장, 기둥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발명이다.
10 : 조명 기구 12 : 조명부
14 : 램프 20 : 조절대
30 : 발광부 40 : 지지부
42 : 접속구 44 : 고정판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베이스부의 안쪽에 사각의 조명부를 구비하고, 이 조명부의 외측면에 발광부를 구비하되, 이 발광부는 발광 물질이 구비된 시트지로 구성되어 접착되고, 베이스부의 상면에 조명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대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대는 힌지가 끼워지는 양측판과 이 측판의 하단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안착대와, 상기 양측판 사이에 위치하여 힌지가 관통하는 것으로 측판과 연결되며, 클립 형태로 이루어져 조절 보울트를 조이면 측판이 내측으로 밀리면서 간격이 좁아져 힌지를 고정하는 탄성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대의 안착대는 실내외 바닥 및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되, 탄성대는 베이스부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구.
KR1020110058246A 2011-06-16 2011-06-16 조명 기구 KR101201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246A KR101201196B1 (ko) 2011-06-16 2011-06-16 조명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246A KR101201196B1 (ko) 2011-06-16 2011-06-16 조명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1196B1 true KR101201196B1 (ko) 2012-11-15

Family

ID=4756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246A KR101201196B1 (ko) 2011-06-16 2011-06-16 조명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1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857A (ko) 2020-01-09 2021-07-19 황순화 조명타워에 설치된 조명등의 조명각도를 조절하는 장치
KR102370329B1 (ko) * 2020-11-24 2022-03-04 (주)큐엘 조명광고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746B1 (ko) 2010-02-17 2010-12-02 에스피반도체통신 주식회사 조사각 변동이 가능한 led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746B1 (ko) 2010-02-17 2010-12-02 에스피반도체통신 주식회사 조사각 변동이 가능한 led조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857A (ko) 2020-01-09 2021-07-19 황순화 조명타워에 설치된 조명등의 조명각도를 조절하는 장치
KR102370329B1 (ko) * 2020-11-24 2022-03-04 (주)큐엘 조명광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6008B2 (en) Recessed light fixture
US10711991B2 (en) LED lighting fixture
WO2008109088A3 (en) Light emitting diode (led) based lighting systems
US9689564B2 (en) System to allocate luminance
KR100992555B1 (ko) 조명기구의 조사각도 조절장치
KR101425014B1 (ko) 설치 각도의 가변이 가능한 엘이디 직착등
KR20110088584A (ko) 다기능 공급 구성요소
KR200459374Y1 (ko) 조명기구의 지지용 브라켓
US20110286204A1 (en) Universal Ceiling Fan Uplight Kit
KR101201196B1 (ko) 조명 기구
KR101506492B1 (ko) 터널등용 하우징
KR200439900Y1 (ko) 야외 계단 및 난간 내부에 결합되는 조명등 고정장치
CN206786621U (zh) 一种导光火焰灯
KR102117358B1 (ko) 경관조명장치
KR101070884B1 (ko) 엘이디 조명장치 구조물
KR20110059146A (ko) Led 조명용 고조도 반사갓
KR100689067B1 (ko) 공원용 경관조명등
CN210921102U (zh) 一种可调发光区域的led壁灯
US8794784B1 (en) Recessed can lampshade accessory
US11598502B1 (en) Lamp platform assembly
US9814116B2 (en) LED lamp with integral control receptacle
CN205424713U (zh) 一种led户外灯
KR20110000321U (ko) 조명등 고정볼트
KR20120001918U (ko) 천정 매립형 엘이디 조명기구
CN217153988U (zh) 一种可任意调节方向的吸顶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