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543B1 - An automatic reel for earphone - Google Patents

An automatic reel for ear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543B1
KR101200543B1 KR1020110099444A KR20110099444A KR101200543B1 KR 101200543 B1 KR101200543 B1 KR 101200543B1 KR 1020110099444 A KR1020110099444 A KR 1020110099444A KR 20110099444 A KR20110099444 A KR 20110099444A KR 101200543 B1 KR101200543 B1 KR 101200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terminal
winding
terminal fix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훈
Original Assignee
안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훈 filed Critical 안훈
Priority to KR1020110099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54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5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65H75/40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hand-held during u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PURPOSE: An automatic cord winder for an earphone is provided to prevent disconnection or tangles of an earphone cord by adopting a method in which an earphone cord is reeled based on an earphone terminal fixed to a terminal fixing part. CONSTITUTION: A terminal groove for inserting an earphone terminal is formed on one side of a terminal fixing part(20). A rotating part(30) is formed inside a case. The terminal fixing part is movably combined with one side of the rotating part. A first elastic member(40) provides rotational elastic force to the rotating part. A winding part(50) rotates with the rotating part while being an upper end portion of the rotating part. An earphone terminal fixed to the terminal fix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case with movement of the terminal fixing part. The rotating part is rotated by a first elastic member. The earphone cord connected to the earphone terminal is reeled in the winding part.

Description

이어폰 자동 줄감개{An automatic reel for earphone}An automatic reel for earphone

본 발명은 이어폰 자동 줄감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이어폰을 보관하기 위해 이어폰 단자를 단자 고정부에 꼽은 뒤 버튼을 누를 경우, 자동으로 이어폰 줄을 권취하여 보관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어폰 단자가 단자 고정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이어폰 자동 줄감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earphone reel, and in particular, when the user presses a button after inserting the earphone terminal into the terminal fixing part to store the earphone, the earphone string can be automatically wound to increase the ease of storage.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earphone relates to the earphone automatic bobbin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allowing the earphone terminal to be separated from the terminal fixing.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귀에 장착할 수 있게 소형으로 설계된 수화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어폰 리시버의 약칭이다. 이어폰은 휴대가 가능한 개인적인 음향기기와 함께 일반화되었다. 특히 근래에는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하여 이어폰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최근의 스마트 폰은 TV시청, 인터넷상의 각종 동영상 시청을 지원하고 있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게임이나 원하는 음악을 무료로 지원해주기 때문에, 이어폰의 사용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특히, 버스나 지하철 등의 공공장소에서 휴대폰을 사용할 때 이어폰을 많이 사용한다. 이어폰은 핸드폰으로 TV를 보는 경우, 핸드폰으로 음악을 듣는 경우, 핸드폰으로 통화를 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되는데, 프라이버시나 공공장소에서의 에티켓 유지 등을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In general, an earphone refers to a handset designed to be compactly mounted on an ear, and is an abbreviation of an earphone receiver. Earphones have become commonplace with portable personal audio equipment. In particular, the use of earphones is expand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smart phones. Recently, the smart phone supports watching TV and watching various videos on the Internet, and since the smart phone application supports games or desired music for free, the use of earphones is further expanded. In particular, earphones are often used when using mobile phones in public places such as buses and subways. Earphones are often used when watching TV on a cell phone, listening to music on a cell phone, or talking on a cell phone. They can also be used for privacy or to maintain etiquette in public places.

또한 최근에는, 라디오나 TV 수신, 동영상 시청, MP3 파일이나 벨소리 수신 작업을 하는 중에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통화 선택 스위치를 눌러 곧바로 통화 라인으로 연결하여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폰이 출시되면서, 이어폰 사용이 거의 필수화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이어폰은, 차량 운전 시 운전자가 휴대폰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이용되기도 한다.In recent years, when an external call is received while receiving a radio or TV, watching a video, receiving an MP3 file or a ringtone, an earphone is introduced that allows a user to make a phone call by directly connecting to a call line by pressing a call selection switch. The use of earphones is almost essential. In addition, such earphones may be used to allow a driver to easily use a mobile phone when driving a vehicle.

그러나 상기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어폰 줄을 보관하기가 마땅하지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주머니, 가방, 필통, 핸드백 등에 이어폰을 담아 보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이어폰을 다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보관 과정에서 이어폰 줄이 엉켜서 재사용이 번거로워 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경우 이어폰 줄의 단선 또는 이어폰 헤드의 이탈과 같은 고장이 발생될 수 있다.However, if the earphone is not used, the earphone string is not deemed to be stored, so the user keeps the earphone in a pocket, a bag, a pencil case, a handbag, and the like. At this time, if the user wants to use the earphone agai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arphone string is tangled in the storage process can be cumbersome reuse. In this case, a failure such as disconnection of the earphone string or detachment of the earphone head may occur.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이어폰을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는 케이스가 개발 및 판매되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이어폰 케이스는, 이어폰 줄을 감거나 뭉쳐 보관할 수 있는 주머니 형태에 불과하기 때문에, 기존의 문제점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ase has been developed and sold in the prior art to accommodate and carry the earphone. However, the conventional earphone case used in the related art has only a form of a pocket in which earphone strings can be wound or held together,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xisting problem cannot be solved properly.

따라서 회전스프링을 이용하여 이어폰 줄을 감는 케이스(등록실용신안 20-0170150호, 등록실용신안 20-0191754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07499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1-0000337호)가 개발되었으나, 이 경우 이어폰 줄의 중간 부분을 고정한 뒤 양측의 이어폰 줄을 감아 보관하는 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어폰 줄의 고정된 부분이 단선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이어폰 줄의 중간 부분에 항상 결합된 형태로 사용되어야 하므로, 이어폰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하락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a case for winding earphone strings using a rotating spring (registered utility model 20-0170150, registered utility model 20-0191754, registered utility model 20-0207499, and publish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0000337) was developed. In this case, since the middle portion of the earphone string is fixed and the structure of winding the earphone strings on both sides is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xed portion of the earphone string is likely to be disconnected. In addition, since the case should always be used in a form coupled to the middle of the earphone string, there is a problem that can greatly reduce the user's convenience in the process of using the earphon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어폰 단자가 고정될 수 있으며 이동 가능한 단자 고정부를 구비하고, 단자 고정부에 이어폰 단자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어폰 줄이 감겨 보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어폰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어폰 단자를 단자 고정부로부터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어 이어폰 사용의 편의성을 대폭 높일 수 있는 이어폰 자동 줄감개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earphone terminal can be fixed and provided with a movable terminal fixing portion, by allowing the earphone string to be stored in a state in which the earphone terminal is fixed to the terminal fix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ase of storage In addition, when the earphone is to be used, the earphone terminal can be used by separating the terminal from the terminal fixing part, thereby providing an automatic earphone reel which can greatly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earphone.

일 측면에 따른 이어폰 자동 줄감개는, 이어폰 줄을 감아 보관하는 줄감개에 있어서, 케이스; 이어폰 단자가 삽입 고정되기 위한 단자 홈이 일면에 형성되는 단자 고정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면에 상기 단자 고정부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원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회전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회전부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이어폰 줄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자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이어폰 단자가 상기 단자 고정부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된 뒤, 상기 회전부가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의하여 회전됨으로써, 상기 이어폰 단자에 연결된 상기 이어폰 줄이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도록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arphone automatic bobbin includes: a casing for winding and storing earphone strings; A terminal fixing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a terminal groove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earphone terminal; A rotating part provided inside the case, the terminal fixing part movably coupled to one side, and rotating in a circle;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ing a rotational elastic force to the rotating part; And a winding part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rotating part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part and winding the earphone string, wherein the earphone terminal fixed to the terminal fixing part is moved into the case by moving the terminal fixing part. After being inserted, the rotating unit is rotate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so that the earphone string connected to the earphone terminal is wound around the winding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 고정부에 이어폰 단자가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이어폰 단자가 슬라이딩 된 상태에서 이어폰 줄이 감길 수 있도록 하여, 이어폰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phone terminal is fixed to the terminal fixing portion, and the earphone string can be wound while the earphone terminal is in a sliding state, so that the earphone can be easily stor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 고정부에 고정된 이어폰 단자를 기준으로 이어폰 줄을 권취하는 방식을 채용하기 때문에, 이어폰 줄이 엉키거나 단선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arphone cord is wound on the basis of the earphone terminal fixed to the terminal fixing part, the earphone string can be completely prevented from being tangled or disconnec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어폰 단자가 단자 고정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이어폰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earphone, the earphone terminal can be separated from the terminal fixing, so that the earphone can be conveniently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자동 줄감개의 사시도.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자동 줄감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자동 줄감개에서 단자 고정부와 회전부의 고정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자동 줄감개에서 버튼부와 권취부의 고정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자동 줄감개의 작동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phone automatic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arphone automatic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fixing structure of the terminal fixing part and the rotating part in the earphone automatic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ixing structure of the button unit and the winding unit in the earphone automatic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earphone automatic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other element in the middle.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any component means that the component may be further inclu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자동 줄감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arphone automatic bob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자동 줄감개의 사시도이고,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자동 줄감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자동 줄감개에서 단자 고정부와 회전부의 고정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자동 줄감개에서 버튼부와 권취부의 고정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phone automatic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arphone automatic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showing the fixing structure of the terminal fixing part and the rotating part in the automatic bobbin. In addi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fixing structure of the button unit and the winding in the earphone automatic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자동 줄감개(1)는, 이어폰 줄(4)을 감아 보관하는 줄감개에 있어서, 케이스(10), 단자 고정부(20), 회전부(30), 제1 탄성부재(40), 권취부(50), 지지부(60)를 포함한다.1 and 2, the earphone automatic bobbin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 and a terminal fixing part 20 in a bobbin wound around the earphone string 4. ), The rotating unit 30, the first elastic member 40, the winding unit 50, and the support unit 60.

상기 케이스(10)는, 이어폰 줄(4)이 내부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10)는 반구 형태일 수 있으나, 물론 본 실시예가 상기 케이스(10)의 형태를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케이스(10)는 높이에 비하여 단면적의 지름이 작은 원기둥 형태이거나, 또는 육면체 형태 등일 수 있다.The case 10 allows the earphone string 4 to be stored therein. The case 10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of course, the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hape of the case 10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case 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maller cross-sectional diameter than a height, or a hexahedral shape.

이때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10)를 별도로 휴대하거나, 또는 휴대폰의 후면 등에 고정시켜서 상기 휴대폰에 사용될 수 있는 이어폰(2)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can carry the case 10 separately or fix the earphone 2 which can be used in the mobile phone by fixing it to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and the like.

상기 케이스(10)는,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탄성부재(40)로부터 상기 회전부(30)에 전달되는 회전 탄성력을 제어하는 버튼부(11)와, 상기 버튼부(1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10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button unit 11 to control the rotational elastic force transmitted from the first elastic member 40 to the rotating unit 30, and the elastic force to the button unit 11 It may include a second elastic member 12 to provide.

상기 버튼부(11)는, 상기 케이스(10)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1)를 누를 경우, 상기 회전부(30) 및 상기 권취부(50)가 상기 제1 탄성부재(40)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하여, 이어폰 줄(4)을 상기 권취부(50)에 권취시킬 수 있다.The button part 11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ase 10,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part 11, the rotating part 30 and the winding part 50 may be provided with the first elasticity. By being rotated by the member 40, the earphone string 4 may be wound around the winding part 50.

이때 상기 버튼부(11)에는, 하면에 돌출 또는 인입이 가능한 제1 회전고정 돌기(111)가 형성되고, 후술할 권취부(50)에는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11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회전고정 돌기(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111)와 상기 제2 회전고정 돌기(51)의 작동에 대해서는, 상기 권취부(50)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button portion 11,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111 that is protruding or retractable on the lower surface is formed, the winding portion 50 to be described later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111. The second rotation fixing protrusion 51 may be formed. Operation of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111 and the second rotation fixing protrusion 5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winding unit 50.

상기 제2 탄성부재(12)는, 상기 버튼부(11)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버튼부(11)를 편하게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버튼부(11)를 상기 케이스(10)로부터 돌출시킨다. 이때 상기 제2 탄성부재(12)는 스프링일 수 있고, 일단은 상기 버튼부(11)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권취부(50)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member 12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button portion 11 to protrude the button portion 11 from the case 10 so that the user can press the button portion 11 comfortably. . At this time, the second elastic member 12 may be a spring,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11 and the other end may be fixed to one surface of the winding unit 50.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단자 고정부(20)에 상기 이어폰 단자(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부(13)는, 회동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The case 10 may include a door part 13 that opens and closes one surface to allow the earphone terminal 3 to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 fixing part 20. In this case, the door part 13 may be opened or closed by a rotation method or a sliding method.

상기 단자 고정부(20)는, 이어폰 단자(3)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단자 고정부(20)는, 상기 회전부(3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면에 상기 이어폰 단자(3)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단자삽입 홈(2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terminal fixing part 20 fixes the earphone terminal 3. In this case, the terminal fixing part 20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rotating part 30, and a terminal insertion groove 21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to allow the earphone terminal 3 to be inserted and fixed.

즉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 단자(3)를 단자삽입 홈(21)에 삽입시키고, 상기 단자 고정부(20)를 슬라이딩 이동시킨 뒤, 상기 버튼부(11)를 눌러서 상기 제1 탄성부재(40)가 상기 회전부(30) 및 상기 권취부(50)에 회전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어폰 단자(3)에 연결된 상기 이어폰 줄(4)이 상기 권취부(50)에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user inserts the earphone terminal 3 into the terminal insertion groove 21, slides the terminal fixing part 20, and then presses the button part 11 so that the first elastic member 40 is closed. By providing a rotational elastic force to the rotating unit 30 and the winding unit 50, the earphone string 4 connected to the earphone terminal 3 can be wound around the winding unit 50.

상기 회전부(3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면에 상기 단자 고정부(2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원 회전한다. 상기 회전부(30)는 후술할 제1 탄성부재(40)에 의하여 회전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고, 회전 여부는 상기 버튼부(1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The rotating part 30 is provided inside the case 10, and the terminal fixing part 20 is movably coupled to one side thereof, and rotates in a circle. The rotating unit 30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ng elastic force by the first elastic member 40 to be described later, and whether or not the rotation may be controlled by the button unit 11.

상기 회전부(30)는, 상기 이어폰 단자(3)에 연결된 상기 이어폰 줄(4)이 상기 권취부(50)에 용이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31)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어폰 줄(4)은 상기 경사면(31)을 따라서 상기 권취부(50)에 감겨 보관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는 상기 이어폰 줄(4)에 집중적인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서, 상기 이어폰 줄(4)의 단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rotating unit 30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31 to allow the earphone string 4 connected to the earphone terminal 3 to be easily wound on the winding unit 50. Therefore, since the earphone string 4 may be stored and wound around the winding part 50 along the inclined surface 31, the present embodiment may prevent intensive pressure from being applied to the earphone string 4. Disconnection of the earphone string 4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상기 회전부(30)는, 상기 단자 고정부(20)가 결합되는 일측면에 선 형태의 슬라이딩 홈(또는 슬라이딩 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자 고정부(20)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슬라이딩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단자 고정부(20)가 슬라이딩 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슬라이딩 홈은 상기 단자 고정부(20)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30)에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단자 고정부(20)가 슬라이딩 될 수도 있다.The rotating part 30 may be formed with a linear sliding groove (or sliding hole) (not shown) on one side to which the terminal fixing part 20 is coupled, and the terminal fixing part 20 may include: A sliding protrusion (not show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groove, so that the terminal fixing part 20 is slid by moving the sliding protrusion along the sliding groove. In another embodiment, the slid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terminal fixing part 20, and the terminal fixing part 20 may be slid by forming the sliding protrusion in the rotating part 30.

이때 상기 슬라이딩 돌기는 상기 슬라이딩 홈과 마찬가지로 선 형태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삽입된 상태로 움직일 수 있는 일반적인 돌기 형태일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liding protrusion may be in the form of a line like the sliding groove, or may be in the form of a general protrusion that can move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단자 고정부(20)가 상기 회전부(30)에 고정되는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inciple of fixing the terminal fixing part 20 to the rotating part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30)는, 상기 단자 고정부(20)가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단자 고정부(2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단자 고정부(20)가 일 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단자 고정부(20)에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제3 탄성부재(32)와, 상기 회전부(30)의 일면 중 상기 단자 고정부(20)의 이동 경로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고정 홈(33)(또는 단자고정 홀)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rotation part 3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fixing part 20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fixing part 20 moves, and the terminal fixing part 20 is in one direction. At least one terminal form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terminal fixing part 20 and a third elastic member 32 which generates a repulsive force to the terminal fixing part 20 when moved to And a fixing groove 33 (or terminal fixing hole).

또한 상기 단자 고정부(20)는,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고정 홈(3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단자 고정부(2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단자고정 돌기(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자고정 홈(33)과 상기 단자고정 돌기(22)는 2개일 수 있고, 각각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fixing portion 20, at least one or more is formed at the bottom, the terminal fixing protrusion 22 to be fixed to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fixing portion 20 by being inserted into the terminal fixing groove (33). It may include. Specifically, the terminal fixing groove 33 and the terminal fixing protrusion 22 may be two, each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ize.

사용자가 단자 고정부(20)를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상기 제3 탄성부재(32)가 압착되면서, 상기 단자고정 홈(33)에 상기 단자고정 돌기(22)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단자 고정부(20)가 슬라이딩 되는 도중에는, 상기 단자고정 돌기(22)는 상단으로 이동하여 상기 단자 고정부(2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자 고정부(20)의 하단에는 상기 돌기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절개부(23)가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user slides the terminal fixing part 20, the terminal fixing protrusion 22 may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 fixing groove 33 while the third elastic member 32 is compressed. Of course, while the terminal fixing part 20 is sliding, the terminal fixing protrusion 22 may move to an upper en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fixing part 20. To this end, a cutout 23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terminal fixing part 2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protrusion.

이후 사용자가 상기 단자고정 돌기(22)(상기 단자고정 돌기(22) 중 상대적으로 큰 높이를 갖는 단자고정 돌기(22))를 가압하여 하나의 상기 단자고정 돌기(22)가 상기 단자고정 홈(33)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면, 상기 단자 고정부(20)는 상기 제3 탄성부재(32)에 의하여 밀려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단자 고정부(20)로부터 상기 이어폰 단자(3)를 용이하게 분리시켜서 상기 이어폰(2)을 사용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user presses the terminal fixing protrusion 22 (the terminal fixing protrusion 22 having a relatively high height among the terminal fixing protrusions 22) so that the one terminal fixing protrusion 22 has the terminal fixing groove ( 33, the terminal fixing part 20 is pushed out by the third elastic member 32.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earphone terminal 3 from the terminal fixing part 20 to use the earphone 2.

상기 제1 탄성부재(40)는, 상기 회전부(30)에 회전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탄성부재(40)는 코일 형태의 판 스프링일 수 있으며, 일단이 지지부(60)에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부(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재(40)는 상기 회전부(30)의 하단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30)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용 홈(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탄성부재(40)가 상기 회전부(30)에 회전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은, 상기 버튼부(11)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후술할 회전고정 돌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elastic member 40 provides a rotational elastic force to the rotating part 30. The first elastic member 40 may be a coil spring plate, one end is fixed to the support 60, the other end may be fixed to the rotating part (30). 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member 40 may be accommodat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part 30, the receiving part 34 is formed in the rotating part 30 to accommodate the first elastic member 40. Can be. In this case, the first elastic member 40 may provide a rotational elastic force to the rotation part 30, which may be controlled by the button part 11, and specifically, may be made by a rotation fixing protrusion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권취부(50)는, 상기 회전부(30)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30)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이어폰 줄(4)을 권취한다. 상기 권취부(50)는 상기 이어폰 줄(4)을 원활하게 권취하기 위하여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무게를 감량시키기 위해 속이 빈 형태일 수 있다.The winding unit 5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unit 3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ng unit 30, winding the earphone string (4). The winding unit 5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order to wind the earphone string 4 smoothly, and may be hollow in order to reduce weight.

상기 제1 탄성부재(40)의 회전 탄성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버튼부(11)에는 일면에 제1 회전고정 돌기(11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권취부(50)에는,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11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권취부(5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111)에 걸려서 상기 권취부(50)의 회전을 차단하는 제2 회전고정 돌기(51)가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control the rotational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40, the button portion 11 is provided with a first rotation fixing projection 111 on one surface. In addition, the winding part 5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111, and when the winding unit 5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111 is caught. A second rotation fixing protrusion 51 may be formed to block rotation of the winding part 50.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회전고정 돌기(51)는 상기 권취부(50)의 상단 내면에 형성될 수 있고, 일면은 경사면이고 타면은 평면인 형태를 가짐에 따라, 상기 권취부(5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111)가 상기 제2 회전고정 돌기(51)의 평면에 걸려 상기 권취부(50)의 회전이 차단되도록 하되, 상기 권취부(50)가 타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111)가 상기 제2 회전고정 돌기(51)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rotation fixing protrusion 5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winding part 50, the one surface is inclined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is a flat surface, the winding portion 50 is one direction When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jection 111 is caught in the plane of the second rotation fixing projection 51 to be rotated to the rotation of the winding unit 50 is blocked, the winding unit 50 in the other direction When rotated,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111 may be mov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rotation fixing protrusion 51.

이하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111)와 상기 제2 회전고정 돌기(51)의 작동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operations of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111 and the second rotation fixing protrusion 5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111)가 돌출되어 있을 경우, 상기 권취부(50)는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의 회전만이 가능하다. 이는 상기 권취부(50)로부터 상기 이어폰 줄(4)이 풀리는 방향일 수 있다. 물론 상기 권취부(50)는 상기 제1 탄성부재(40)에 의하여 회전 탄성력을 받기 때문에, 상기 이어폰 줄(4)은 쉽게 풀리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111 protrudes, the winding part 50 may rotate only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This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 earphone string 4 is released from the winding part 50. Of course, since the winding part 50 receives the rotational elastic force by the first elastic member 40, the earphone string 4 is not easily released.

반면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111)가 상기 제2 회전고정 돌기(51)의 평면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권취부(50)로부터 상기 이어폰 줄(4)이 감기는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상기 권취부(50)가 회전되지는 않는다. On the other hand, as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111 contacts the plane of the second rotation fixing protrusion 51, the winding in the clockwise direction is a direction in which the earphone string 4 is wound from the winding part 50. The mounting 50 is not rotated.

즉 상기 이어폰 줄(4)은 적당한 길이만 상기 권취부(50)에 권취될 수 있고, 제1 탄성부재(40)가 회전 탄성력을 계속 상기 권취부(50)에 공급하더라도, 상기 이어폰 줄(4)에 지나친 장력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어폰 줄(4)이 감길 때,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수 있는 이어폰 헤드(5)의 경우 상기 도어부(13)에 걸릴 수 있는데, 상기 제1 탄성부재(40)가 계속적으로 상기 권취부(50)를 회전시키고자 한다면 상기 이어폰 헤드(5)와 상기 이어폰 줄(4)의 연결 부분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는 제1 회전고정 돌기(111)와 제2 회전고정 돌기(51)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earphone string 4 may be wound around the winding unit 50 only with a proper length, and even if the first elastic member 40 continues to supply the rotating elastic force to the winding unit 50, the earphone string 4 Excessive tension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when the earphone string 4 is wound, the earphone head 5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user's ear may be caught by the door part 13,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40 is continuously wound up. I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earphone head 5 and the earphone string 4 is to be damaged if you want to rotate 50,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jection 111 and the second rotation fixing projection (51) By using the above risk can be prevented.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111)가 돌출되어 있을 경우에도 상기 권취부(5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1 탄성부재(40)가 상기 권취부(5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회전 탄성력을 발생시키므로, 상기 권취부(50)는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Even when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111 protrudes, the winding part 50 may be rotated counterclockwise. Of course, since the first elastic member 40 generates a rotational elastic force to rotate the winding 50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winding 50 may be fixed in a non-rotated state.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10)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는 상기 이어폰 헤드(5)를 상기 제1 탄성부재(40)의 회전 탄성력보다 강한 힘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권취부(50)는 회전 탄성력을 극복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이어폰 줄(4)이 상기 권취부(5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111)가 상기 제2 회전고정 돌기(51)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인입되어 상기 제2 회전고정 돌기(51)에 걸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pulls the earphone head 5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10 with a force stronger than the rotational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40, the winding unit 50 has a rotational elastic force. To overcome this and rotat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earphone string 4 may be discharged from the winding unit 50. This is because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111 slide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rotation fixing protrusion 51 and may not be caught by the second rotation fixing protrusion 51.

반면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111)가 인입되어 있을 경우, 상기 권취부(50)는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모두 가능하다. 이는 상기 이어폰 줄(4)의 권취 및 배출이 모두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111 is inserted, the winding unit 50 can be rotated in both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This means a state in which both the winding and the discharge of the earphone string 4 are possible.

다만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111)는, 사용자가 버튼부(11)를 눌렀을 때 인입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111)에는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1)가 눌릴 경우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111)가 인입되도록 하는 구조는, 일반적인 버튼 구조에서 채용될 수 있는 공지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owever,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111 may be retracted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unit 11. For this purpose,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111 may be provided with a spring. When the button unit 11 is pressed,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111 may be inserted into the structure, since a known structure that may be employed in a general button structure may be used,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111)가 인입된 경우 상기 권취부(50)는 상기 제1 탄성부재(40)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며, 이때 이어폰 줄(4)은 상기 권취부(50)에 감기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계속 버튼부(11)를 눌러서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111)가 인입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부(50)가 계속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어폰 줄(4)과 상기 이어폰 헤드(5)의 연결 부분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When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111 is retracted, the winding unit 50 is rotate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40, and the earphone string 4 is wound around the winding unit 50. do. If the user keeps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111 drawn in by pressing the button unit 11 continuously, as described above, as the winding unit 50 is continuously rotated, the earphone string 4 There is a fear th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earphone head 5 and the earphone are broken.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 헤드(5)를 잡고 상기 권취부(5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해 가면서, 상기 이어폰 줄(4)이 상기 권취부(50)에 적절하게 감겼을 때 상기 버튼부(11)에 가한 압력을 해제시켜서, 상기 권취부(50)의 회전을 차단시켜 상기 이어폰 줄(4)이 상기 권취부(50)에 원활하게 감겨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grasps the earphone head 5 and adjust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inding part 50, and the button part 11 when the earphone string 4 is properly wound on the winding part 50. By releas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rotation of the winding unit 50 can be blocked so that the earphone string 4 can be smoothly wound around the winding unit 50 and stored.

반면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 헤드(5)를 잡아당길 경우,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111)가 상기 제2 회전고정 돌기(51)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권취부(50)가 회전되므로, 사용자는 간편하게 상기 이어폰 줄(4)을 상기 권취부(50)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ulls the earphone head 5, the winding unit 50 is rotated in such a state that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111 does not contact the second rotation fixing protrusion 51. Easily discharge the earphone string 4 from the winding unit (50).

상기 지지부(60)는, 상기 회전부(30)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40)를 고정하며 상기 케이스(10)의 하면을 보호한다. 상기 지지부(60)는 평면 형태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케이스(1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반구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부(60)의 하면에는 휴대폰 등에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재(도시하지 않음) 또는 접착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6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part 30 to fix the first elastic member 40 and to protect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The support part 60 may have a flat shape or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ase 10. Alternatively,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60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not shown) or an adhesive member (not shown) that can be coupled to a mobile phon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자동 줄감개의 작동 상태도이다.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earphone r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어폰 단자(3)를 상기 단자 고정부(20)에 삽입할 수 있다(a). 이후 상기 이어폰 단자(3)가 삽입 고정된 상기 단자 고정부(20)는 슬라이딩 되어, 상기 이어폰 단자(3)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b).Referring to FIG. 5, a user may insert the earphone terminal 3 into the terminal fixing part 20 (a). Thereafter, the terminal fixing part 20 in which the earphone terminal 3 is inserted and fixed is slid, and the earphone terminal 3 may be inserted into the case 10 (b).

상기 이어폰 단자(3)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1)를 누르게 되면, 제1 회전고정 돌기(111)가 상기 버튼부(11)의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상기 제1 탄성부재(40)로부터 회전 탄성력을 받는 상기 권취부(5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어폰 단자(3)에 연결된 이어폰 줄(4)이 상기 회전부(30)의 경사면(31)을 따라 자연스럽게 상기 권취부(50)에 감기게 된다(c).When the earphone terminal 3 is located inside the case 10,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unit 11,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111 is drawn into the button unit 11. As it is, the winding 50 receives the rotational elastic force from the first elastic member 40 is rotated. Therefore, the earphone string 4 connected to the earphone terminal 3 is naturally wound along the inclined surface 31 of the rotating part 30 to the winding part 50 (c).

적정한 길이 만큼의 이어폰 줄(4)이 감겼다고 판단될 경우 사용자는 상기 버튼부(11)에 가한 압력을 해제할 수 있고, 이때 제1 회전고정 돌기(111)가 상기 버튼부(11)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2 회전고정 돌기(51)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부(50)는 상기 제1 탄성부재(40)로부터 회전 탄성력을 받더라도 더 이상 회전하지 않아, 상기 이어폰 줄(4)에 불필요한 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어폰 줄(4)에 연결된 이어폰 헤드(5)는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d).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arphone string 4 of the appropriate length is wound, the user can releas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portion 11, wherein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111 is removed from the button portion 11. By protruding, the second rotation fixing protrusion 51 is caught. Therefore, even when the winding part 50 receives the rotational elastic force from the first elastic member 40, it no longer rotates,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tension on the earphone string 4. In this case, the earphone head 5 connected to the earphone string 4 may protrude out of the case 10 (d).

즉 본 실시예는, 상기 단자 고정부(20)에 고정된 상기 이어폰 단자(3)가(a), 상기 단자 고정부(2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된 뒤(b), 상기 회전부(30)가 상기 제1 탄성부재(40)에 의하여 회전됨으로써(c), 상기 이어폰 단자(3)에 연결된 상기 이어폰 줄(4)이 상기 권취부(50)에 권취되도록 한다(d).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arphone terminal 3 fixed to the terminal fixing part 20 is inserted into the case 10 by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fixing part (a) and the terminal fixing part 20 ( b), the rotary unit 30 is rotate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40 (c), so that the earphone string 4 connected to the earphone terminal 3 is wound around the winding unit 50 (d).

따라서 사용자는 본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기 이어폰 줄(4)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상기 이어폰 줄(4)을 보관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어폰 줄(4)이 단선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store the earphone string 4 using the present embodiment, and can prevent the earphone string 4 from being disconnected in the process of storing the earphone string 4.

또한 사용자는 이어폰(2)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버튼부(11)를 누르고 상기 이어폰 헤드(5)를 잡아당겨서 상기 이어폰 줄(4)을 상기 권취부(50)로부터 배출시킨 뒤, 상기 이어폰 단자(3)를 상기 단자 고정부(20)로부터 분리시켜 용이하게 상기 이어폰(2)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earphone 2, the button unit 11 is pressed and the earphone head 5 is pulled to discharge the earphone string 4 from the winding unit 50, and then the earphone The earphone 2 may be easily used by separating the terminal 3 from the terminal fixing part 20.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1: 이어폰 자동 줄감개 10: 케이스
11: 버튼부 111: 제1 회전고정 돌기
12: 제2 탄성부재 13: 도어부
20: 단자 고정부 21: 단자삽입 홈
22: 단자고정 돌기 23: 절개부
30: 회전부 31: 경사면
32: 제3 탄성부재 33: 단자고정 홈
34: 수용 홈 40: 제1 탄성부재
50: 권취부 51: 제2 회전고정 돌기
60: 지지부 2: 이어폰
3: 이어폰 단자 4: 이어폰 줄
5: 이어폰 헤드
1: earphone automatic bobbin 10: case
11: button portion 111: first rotation fixing projection
12: second elastic member 13: door portion
20: terminal fixing part 21: terminal insertion groove
22: terminal fixing projection 23: incision
30: rotating part 31: inclined surface
32: third elastic member 33: terminal fixing groove
34: accommodating groove 40: first elastic member
50: winding-up part 51: second rotation fixing projection
60: support part 2: earphone
3: earphone jack 4: earphone line
5: earphone head

Claims (10)

이어폰 줄을 감아 보관하는 줄감개에 있어서,
케이스;
이어폰 단자가 삽입 고정되기 위한 단자 홈이 일면에 형성되는 단자 고정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면에 상기 단자 고정부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원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회전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회전부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이어폰 줄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자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이어폰 단자가 상기 단자 고정부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된 뒤, 상기 회전부가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의하여 회전됨으로써, 상기 이어폰 단자에 연결된 상기 이어폰 줄이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도록 하는 이어폰 자동 줄감개.
In the bobbin winding the earphone string wound,
case;
A terminal fixing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a terminal groove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earphone terminal;
A rotating part provided inside the case, the terminal fixing part movably coupled to one side, and rotating in a circle;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ing a rotational elastic force to the rotating part; An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part and rotates with the rotating part, including a winding unit for winding the earphone string,
After the earphone terminal fixed to the terminal fix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case by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fixing part, the rotating part is rotate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so that the earphone string connected to the earphone terminal is reduced. Automatic earphone bobbin to be wound around the win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탄성부재로부터 상기 회전부에 전달되는 회전 탄성력을 제어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자동 줄감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se,
A button unit provided on one surface and controlling a rotational elastic force transmitted from the first elastic member to the rotating unit; And
Earphone automatic bobbi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second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button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에는, 일면에 돌출 또는 인입이 가능한 제1 회전고정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권취부에는,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권취부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에 걸려서 상기 권취부의 회전을 차단하는 제2 회전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자동 줄감개.
The method of claim 2,
The button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capable of protruding or retracting on one surface,
The winding part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and when the winding par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 second rotation fixing protrusion may be caught by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to block rotation of the winding part. Earphone automatic bobbin, characterized in tha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고정 돌기는,
일면은 경사면이고 타면은 평면인 형태를 가짐에 따라, 상기 권취부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가 상기 제2 회전고정 돌기의 평면에 걸려 상기 권취부의 회전이 차단되도록 하되, 상기 권취부가 타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 회전고정 돌기가 상기 제2 회전고정 돌기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자동 줄감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rotation fixing projection,
As one surface has an inclined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has a flat shape, when the winding portion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first rotation fixing protrusion is caught on the plane of the second rotation fixing protrusion so that rotation of the winding portion is blocked. And the first rotating fixing protrusion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fixing protrusion when the winding part is rotated in another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코일 형태의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자동 줄감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elastic member,
Earphone automatic bobbi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sp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이어폰 단자에 연결된 상기 이어폰 줄이 상기 권취부에 용이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자동 줄감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unit,
The earphone string reel having an inclined surface to be easily wound around the earphone string connected to the earphon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단자 고정부가 결합되는 일측면에 선 형태의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단자 고정부가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자동 줄감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part is formed with a sliding groove of a linear shape on one side to which the terminal fixing portion is coupled,
The terminal fixing part has a sliding protrus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groove, and the earphone fixing bobbin,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fixing part can be slid by moving the sliding protrusion along the sliding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를 고정하며 상기 케이스의 하면을 보호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자동 줄감개.
The method of claim 1,
It is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part, the earphone automatic bobbi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for fixing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protects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단자 고정부가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단자 고정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단자고정부가 일 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단자 고정부에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제3 탄성부재; 및
상기 회전부의 일면 중 상기 단자 고정부의 이동 경로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고정 홈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 고정부는,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고정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단자 고정부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단자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자동 줄감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on unit includes:
A third elastic member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fixing part based on a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fixing part moves, and generating a repulsive force to the terminal fixing part when the terminal fixing part moves in one direction; And
At least one terminal fixing groove formed on a movement path of the terminal fixing part of one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The terminal fixing part, at least one or more is formed on the lower end, the earphone automatic bobbi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rminal fixing projection to be fixed to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fixing portion by being inserted into the terminal fixing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단자 고정부에 상기 이어폰 단자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자동 줄감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se,
Earphone automatic bobbi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oor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urface so that the earphon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fixing portion.
KR1020110099444A 2011-09-30 2011-09-30 An automatic reel for earphone KR1012005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444A KR101200543B1 (en) 2011-09-30 2011-09-30 An automatic reel for ear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444A KR101200543B1 (en) 2011-09-30 2011-09-30 An automatic reel for ear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543B1 true KR101200543B1 (en) 2012-11-15

Family

ID=4756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444A KR101200543B1 (en) 2011-09-30 2011-09-30 An automatic reel for ear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54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306Y1 (en) 2007-04-25 2009-02-05 이민수 Earphone case
KR101001510B1 (en) 2010-02-11 2010-12-14 최승철 Seperatable ear phone wire winding ro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306Y1 (en) 2007-04-25 2009-02-05 이민수 Earphone case
KR101001510B1 (en) 2010-02-11 2010-12-14 최승철 Seperatable ear phone wire winding ro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6369B2 (en) Retractable storage system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terminals
US9049782B2 (en) Mobile device case with retractor reel assembly for user-provided headphones
US8857691B2 (en) Cases and cover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11303985B2 (en) Electronic device
JP2008288960A (en) Suspender
US20150034752A1 (en) Dual self-winding retractable device for a wire of a headphone
US6847724B1 (en) Electronic device with storable earphone
KR101200543B1 (en) An automatic reel for earphone
KR100725628B1 (en) Wireless headset
KR200471111Y1 (en) Earphone-integrated mobile terminal case
JP4985125B2 (en) Winding device and suspension device using the winding device
KR200485875Y1 (en) Apparatus for reeling an ear-phone cable
US20130188820A1 (en) Retractable headset for mobile devices
JP2503866B2 (en) Wireless device with antenna / earphone
KR100809548B1 (en) Wireless headset
CN102293014A (en) Headset
KR20160025943A (en) cellular phone case having ear phone winding device
WO2006107274A1 (en) A headset with a windable microphone boom
KR20170029119A (en) Auto bobbin for earphone
KR100760341B1 (en) Sound instrument
KR200181930Y1 (en) Reel-type hand-free earphone set for use with portable phone
KR101479605B1 (en) eardog earphone
KR200441966Y1 (en) Bluetooth wireless headset for rotation type
KR200178343Y1 (en) Ear-mike set
KR100536399B1 (en) Mobile phone with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