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363B1 -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363B1
KR101200363B1 KR1020100114156A KR20100114156A KR101200363B1 KR 101200363 B1 KR101200363 B1 KR 101200363B1 KR 1020100114156 A KR1020100114156 A KR 1020100114156A KR 20100114156 A KR20100114156 A KR 20100114156A KR 101200363 B1 KR101200363 B1 KR 101200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ower
case
pest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2832A (ko
Inventor
최종운
허지훈
Original Assignee
최종운
장영훈
최창영
함식
문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운, 장영훈, 최창영, 함식, 문종진 filed Critical 최종운
Priority to KR1020100114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363B1/ko
Publication of KR2012005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6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waves, fields or rays, e.g. sound waves, microwaves, electric waves, magnetic fields, light 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 교류 전원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해충이 싫어하는 파장대의 광을 발생시키는 해충 접근 방지 광과 살균 효과를 낼 수 있는 살균 광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방사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효과를 낼 수 있고, 식료품이나 오염 가능 제품 주변에 설치하여 신선도와 청결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소켓에 삽입 연결되는 전원 연결 단자, 내부 수용 공간을 가지되, 상기 전원 연결 단자를 삽입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부면의 중앙부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하부면은 개방되어 있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 수용 공간에 고정 배치되되, 상기 전원 연결 단자를 통해 인입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모듈,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 수용 공간 하측에 고정 배치되되, 상기 전원 변환모듈로부터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해충 접근 방지 광과 살균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모듈, 상기 제1 케이스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해충 접근 방지 광과 살균 광을 확산시키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insect approach and steriliz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 교류 전원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해충이 싫어하는 파장대의 광을 발생시키는 해충 접근 방지 광과 살균 효과를 낼 수 있는 살균 광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방사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효과를 낼 수 있고, 식료품이나 오염 가능 제품 주변에 설치하여 신선도와 청결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료품이나 오염 가능 제품은 신선도와 청결성이 제품의 품질 및 보존 기간을 늘릴 수 있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어시장과 같은 곳에 진열된 식료품이나 오염 가능 제품은 해충의 접근에 무방비 상태에 있다. 따라서, 어시장 등에 진열된 제품의 신선도는 보장될 수 없고, 수요자로 하여금 구매욕을 떨어뜨리고, 신선도에 관련된 불안요소는 증대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품의 신선도를 해치는 해충들을 제거하기 위한 각 종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해충 제거용 장치 중 하나는, 해충을 모은 후 죽이는 방식으로서, 조명등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한 후 죽이는 장치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장치는 조명등 안으로 죽어 있는 해충 때문에 조명등은 제대로 빛을 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청결,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으며 조명등 주위를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도 존재하게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 빛으로 해충을 유인하고 팬(FAN)을 사용해 해충을 잡아들이는 방식이 있다. 이와 같은 장치는 해충 유인용 램프, 팬 등 해충 흡입을 위한 큰 외형으로 제작 비용이 비교적 많이 들고, 구조가 복잡하여 장치 관리 측면에서도 불리한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해충 제거용 약품으로 해충을 죽이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은 해충 제거용 약품이 인체에도 해로울 뿐만 아니라, 주변에 진열된 식품관련 제품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는 단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기존 교류 전원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해충이 싫어하는 파장대의 광을 발생시키는 해충 접근 방지 광과 살균 효과를 낼 수 있는 살균 광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방사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효과를 낼 수 있고, 식료품이나 오염 가능 제품 주변에 설치하여 신선도와 청결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소켓에 삽입 연결되는 전원 연결 단자, 내부 수용 공간을 가지되, 상기 전원 연결 단자를 삽입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부면의 중앙부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하부면은 개방되어 있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 수용 공간에 고정 배치되되, 상기 전원 연결 단자를 통해 인입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모듈,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 수용 공간 하측에 고정 배치되되, 상기 전원 변환모듈로부터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해충 접근 방지 광과 살균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모듈, 상기 제1 케이스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해충 접근 방지 광과 살균 광을 확산시키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케이스는 방열공을 복수개 구비하거나, 바람에 의하여 회전력을 발생하기 위하여 측면 둘레부가 복수개의 날개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케이스의 측면 둘레부가 복수개의 날개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결합홀을 통하여 상기 전원 연결 단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 변환 모듈은 인입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전환하는 컨버터부, 상기 직류 전원을 상기 광원 모듈로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치부, 상기 광원 모듈이 해충 접근 방지 광 및(또는) 살균 광을 발생시키는 것을 선택하는 광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광원 모듈은 해충들의 접근을 방지하는 광 파장을 발생시키는 해충 접근 방지용 LED, 살균을 위한 UV 광 파장을 발생시키는 살균용 LE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해충 접근 방지용 LED에서 발생시키는 광의 파장은 580 ~ 650nm이고, 상기 살균용 LED에서 발생시키는 광의 파장은 315 ~ 4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 변환 모듈과 광원 모듈은 하나의 기판 상에 형성되되, 상기 기판의 배면에 상기 전원 변환 모듈이 형성되고, 상기 광이 방사되는 방향인 상기 기판의 상면에 상기 광원 모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광원 모듈에서 발생하는 광이 외부로 확산될 수 있도록 확산층이 표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에 의하면, 기존 교류 전원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해충이 싫어하는 파장대의 광을 발생시키는 해충 접근 방지 광과 살균 효과를 낼 수 있는 살균 광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방사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효과를 낼 수 있고, 식료품이나 오염 가능 제품 주변에 설치하여 신선도와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원으로서 LED를 사용하기 때문에 작은 외형으로 제작비가 적게 들고 소비 전력이 낮으며 긴 수명으로 교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해충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기존 장비와 달리, 소음 발생이 없고, 인체에 해로운 화학 성분이 없으므로 기존 해충 제거기 보다 나은 사용 환경을 제공하고 친환경적인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분해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100)는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소켓에 삽입 연결되는 전원 연결 단자(10), 상기 전원연결 단자(10)의 하단과 결합되는 제1 케이스(20), 상기 제1 케이스(20) 내부에 고정 배치되는 전원 변환 모듈(40)과 광원 모듈(50) 및 상기 제1 케이스(20)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케이스(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 연결단자(10)는 전원을 인입하는 구성요소로서 기존의 조명등과 같은 형식으로 동작하며, 220V AC 전원이 연결되는 소켓 타입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원 연결단자(10)는 기존의 백열등이 결합되는 소켓에 결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전원 연결단자(10)로 인입되는 교류 전원은 상기 전원 변환모듈(40)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 연결단자(10)와 상기 전원 변환 모듈(40)은 전기적으로 연결됨은 당연하다. 상기 전원 변환모듈(40)은 상기 제1 케이스(20)에 수용된다.
상기 제1 케이스(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수용공간(21)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20)는 내부 수용공간(21)을 가지되, 상기 전원 연결단자(10)를 삽입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홀(23)이 상부면에 형성되고, 하부면은 개방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케이스(20)는 내부 수용 공간을 가지되, 상기 전원 연결 단자(10)를 삽입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부면의 중앙부에 결합홀(23)이 형성되고, 하부면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내부 수용 공간(21)을 가지는 제1 케이스(20) 내부에는 상기 전원 변환모듈(40)과 광원 모듈(50)이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케이스(20)의 내부 수용 공간(21) 중, 중상측에 상기 전원 변환모듈(40)이 고정 배치되고 하측에 상기 광원 모듈(50)이 고정배치된다.
상기 제1 케이스(20)의 내부 수용 공간에 상기 전원 변환모듈(40) 및 광원 모듈(50)을 고정 배치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케이스(20)의 내부면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전원 변환모듈(40) 및 광원 모듈(50)을 삽입 고정하거나, 상기 제1 케이스(20)의 내부면에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전원 변환모듈(40) 및 광원 모듈(50)을 고정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변환모듈(40)은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20)의 내부 수용 공간에 고정 배치되되, 상기 전원 연결단자(10)를 통해 인입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변환된 전원은 상기 광원 모듈(50)에 공급된다. 상기 전원 변환 모듈(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20)의 내부 수용공간의 중상측 소정 위치인 "A" 지점에 고정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전원 변환모듈(40)에서 직류 전원으로 변환된 전원은 상기 광원 모듈(50)로 공급되어 광이 발생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전원 변환모듈(40)과 상기 광원 모듈(50)은 전기적으로 연결됨은 당연하다.
상기 광원 모듈(5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20)의 내부 수용 공간(21) 하측에 고정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광원 모듈(50)이 상기 제1 케이스(20)의 내부 수용 공간(21) 하측에 고정배치되는 이유는 상기 광원 모듈(50)에서 발생되는 광이 상기 제1 케이스(20)에 의하여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원 모듈(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20)의 내부 수용 공간(21) 하측인 "B" 지점에 고정배치된다.
상기 광원 모듈(50)은 LED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 변환모듈(40)로부터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해충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해충 접근 방지 광과 살균 효과를 낼 수 있는 살균 광을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광원 모듈(50)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확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광원 모듈(50)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케이스(20)의 하단에는 제2 케이스(30)가 연결된다. 즉, 상기 제2 케이스(30)는 상기 제1 케이스(2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해충 접근 방지 광과 살균 광을 확산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에 관련된 세부적인 특징들을 추가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 케이스(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변환모듈(40)과 광원 모듈(50)을 내부 수용공간(21)에 수용하고 있다. 상기 전원 변환모듈(40) 및 광원 모듈(50)은 모두 회로 기판 상에 각 종 전자소자들이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 열이 발생하고, 특히 상기 광원 모듈(50)은 LED 소자들이 실장되어 있어서 많은 열을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제1 케이스(20)의 내부 수용공간(21)에 차가운 공기를 주입시켜 상기 제1 케이스(20)의 내부 수용공간을 냉각시킬 필요가 있고, 냉각을 통한 상기 LED 소자의 발열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케이스(20)는 복수개의 방열공(25)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20)에는 방열공(25)이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제1 케이스(20)의 내부 수용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킬 필요가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방열공(25)이 제1 케이스(20)의 상부면에만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케이스(20)에는 상기 방열공(25)과 함께 또는 별도로 날개 구조체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케이스(20) 내부의 공기를 외부의 공기와 순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20)의 측면 둘레부는 바람에 의하여 회전력을 발생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날개(27)들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케이스(20)의 측면 둘레부에 형성된 날개(27)들은 바람에 의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측면 둘레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한쪽 방향으로 눕혀져서 연속해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 케이스(20)의 측면 둘레부가 복수개의 날개(27)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순하게 방열공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바람이 부는 경우 상기 측면 둘레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날개(27)들의 저항력에 의하여 일방으로 회전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제1 케이스(20)가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 즉, 상기 제1 케이스(20)는 상기 결합홀(23)을 통하여 상기 전원 연결 단자(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1 케이스(20)가 상기 전원 연결단자(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홀(23)에 소형의 베어링을 삽입한 후, 상기 전원 연결단자(10)에 상기 제1 케이스(20)를 결합하면, 상기 제1 케이스(20)는 상기 전원 연결단자(10)를 축으로 쉽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20)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전원 변환모듈(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연결단자(10)로부터 인입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광원부(50)에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전원 변환모듈(40)은 AC-DC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원 변환 모듈(40)은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 후, 상기 광원 모듈(50)에 상기 직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고, 아울러 상기 광원 모듈(50)의 LED를 그룹핑하여 발광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변환 모듈(40)은 컨버터부(41), 스위치부(43) 및 광 선택부(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버터부(41)는 상기 인입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 전환된 직류 전원은 상기 스위치부(43)에 제공된다.
상기 스위치부(43)가 온(ON)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직류 전원은 상기 광 선택부(45)로 공급되고, 상기 스위치부(43)가 오프(OFF)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직류 전원이 상기 광 선택부(45)로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다. 즉, 상기 스위치부(43)는 상기 직류 전원을 상기 광원 모듈(50)로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광 선택부(45)에서 최종적으로 상기 광원 모듈(50)로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결국 상기 스위치부(43)가 상기 직류 전원을 상기 광원 모듈(50)로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과 같다.
상기 광 선택부(45)는 상기 광원 모듈(50)이 해충 접근 방지 광 및 살균 광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것을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해충 접근 방지 광만을 발생시키는 것을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살균 광만을 발생시키는 것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광 선택부(45)를 통하여 상기 해충 접근 방지 광 및 살균 광 모두, 또는 해충 접근 방지 광 또는 살균 광만을 발생시키는 것을 선택하는 이유는 주변 환경 또는 계절 또는 날씨에 따라서 해충 접근 방지 광만을 발생시켜도 무방한 경우가 있을 수도 있고, 살균 광만을 발생시켜도 무방한 경우가 있을 수도 있으며, 두개의 광을 모두 발생시켜야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스위치부(43)와 상기 광 선택부(45)는 상기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조작버튼(수단)을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동작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부(43)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을 눌러서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변경할 수 있고, 상기 광 선택부(45)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 버튼을 눌러서 모든 광 또는 일부 광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다.상기와 같은 세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상기 전원 변환 모듈은 기판 상에 다양한 전자 소자를 실장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광 선택부(45)의 선택 사항에 따라 상기 광원 모듈(50)의 LED들이 동작되어 광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광원 모듈(50)은 해충들의 접근을 방지하는 광 파장을 발생시키는 해충 접근 방지용 LED와 살균을 위한 UV 광 파장을 발생시키는 살균용 LE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광원 모듈(50)은 LED를 통해 광을 발생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되, 해충들이 싫어하는 광파장대의 빛을 발산시키는 LED와 살균 효과가 있는 UV 광 파장대의 빛을 발산시키는 LED를 혼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광원 모듈(50)은 당연히 기판 상에 상기 해충 접근 방지용 LED와 살균용 LED를 실장하여 구성하고, 다양한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전원 변환 모듈(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광 선택부(45)의 선택 상태가 해충 접근 방지용 LED 및 살균용 LED 모두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이면, 해충 접근 방지 광 및 살균 광이 모두 발생되고, 해충 접근 방지용 LED에게만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이면 해충 접근 방지 광만 발생되며, 살균용 LED에게만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이면 살균 광만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광원 모듈(50)을 구성하는 해충 접근 방지용 LED에서 발생시키는 광의 파장은 580 ~ 650nm이고, 상기 살균용 LED에서 발생시키는 광의 파장은 315 ~ 4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상기와 같은 광원 모듈(50)과 상기 전원 변환 모듈(40)은 각각 별도의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상기 전원 변환 모듈(40)과 상기 광원 모듈(50)은 하나의 기판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변환 모듈(40)과 광원 모듈(50)은 하나의 기판 상에 형성되되, 상기 기판의 배면(상기 전원 연결 단자를 바라보고 있는 기판 면)에 상기 전원 변환 모듈(40)이 형성되고, 상기 광이 방사되는 방향인 상기 기판의 상면에 상기 광원 모듈(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기판에 상기 전원 변환 모듈(40)과 상기 광원 모듈(50)을 형성할 때에는 기판에 비아홀을 형성시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케이스(30)는 상기 광원 모듈(50)에서 발생되는 빛을 주변 특히 하부 방향 및 측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케이스(30)에는 광원 모듈(50)에서 발생하는 광이 외부로 확산될 수 있도록 확산층이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스(30)는 상기 제1 케이스(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고, 기존 백열등 소켓에 연결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전원 연결 단자 20 : 제1 케이스
21 : 내부 수용 공간 23 : 결합홀
25 : 방열공 27 : 날개
30 : 제2 케이스 40 : 전원 변환 모듈
50 : 광원 모듈

Claims (8)

  1.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소켓에 삽입 연결되는 전원 연결 단자;
    내부 수용 공간을 가지되, 상기 전원 연결 단자를 삽입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부면의 중앙부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하부면은 개방되어 있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 수용 공간에 고정 배치되되, 상기 전원 연결 단자를 통해 인입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모듈;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 수용 공간 하측에 고정 배치되되, 상기 전원 변환모듈로부터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해충 접근 방지 광과 살균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모듈;
    상기 제1 케이스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해충 접근 방지 광과 살균 광을 확산시키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방열공을 복수개 구비하거나, 바람에 의하여 회전력을 발생하기 위하여 측면 둘레부가 복수개의 날개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의 측면 둘레부가 복수개의 날개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결합홀을 통하여 상기 전원 연결 단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 변환 모듈은 인입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전환하는 컨버터부, 상기 직류 전원을 상기 광원 모듈로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치부, 상기 광원 모듈이 해충 접근 방지 광 및(또는) 살균 광을 발생시키는 것을 선택하는 광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은 해충들의 접근을 방지하는 광 파장을 발생시키는 해충 접근 방지용 LED, 살균을 위한 UV 광 파장을 발생시키는 살균용 LE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해충 접근 방지용 LED에서 발생시키는 광의 파장은 580 ~ 650nm이고, 상기 살균용 LED에서 발생시키는 광의 파장은 315 ~ 4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원 변환 모듈과 광원 모듈은 하나의 기판 상에 형성되되, 상기 기판의 배면에 상기 전원 변환 모듈이 형성되고, 상기 광이 방사되는 방향인 상기 기판의 상면에 상기 광원 모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광원 모듈에서 발생하는 광이 외부로 확산될 수 있도록 확산층이 표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
KR1020100114156A 2010-11-16 2010-11-16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 KR101200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156A KR101200363B1 (ko) 2010-11-16 2010-11-16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156A KR101200363B1 (ko) 2010-11-16 2010-11-16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832A KR20120052832A (ko) 2012-05-24
KR101200363B1 true KR101200363B1 (ko) 2012-11-12

Family

ID=4626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156A KR101200363B1 (ko) 2010-11-16 2010-11-16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3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4547B2 (en) * 2017-01-10 2024-01-09 Seoul Viosys Co., Ltd. Adhesive-type insect trap having a cover with a light refracting portion formed there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691B1 (ko) * 2015-02-25 2022-01-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방열 성능이 향상된 방폭등
KR200481935Y1 (ko) * 2016-04-22 2016-11-30 이창호 신발 탈취기
KR102172850B1 (ko) * 2018-11-29 2020-11-03 이찬용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856B1 (ko) 2006-06-01 2006-12-08 오명호 모기살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856B1 (ko) 2006-06-01 2006-12-08 오명호 모기살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4547B2 (en) * 2017-01-10 2024-01-09 Seoul Viosys Co., Ltd. Adhesive-type insect trap having a cover with a light refracting portion formed there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832A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5337B2 (en) Multifunction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apparatus
CN110402717B (zh) 具有灯的植物栽培器
ES2952696T3 (es) Dispositivo para atrapar insectos
ES2689137T3 (es) Dispositivo de trampa para insectos y método de uso
US7086756B2 (en) Lighting element using electronically activated light emitting elem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0188091B2 (en) Portable light and insect extermination device
US6709126B1 (en) LED nightlight
KR101200363B1 (ko)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
US11454361B2 (en) Automatically adjusting task light
CN104415384B (zh) 利用紫外线led的便携式杀菌装置
US20170295771A1 (en) Insect light trap with light transmissive glue board
KR101534100B1 (ko) 착탈식 엘이디 광원을 갖는 병 홀더 장치
KR20100077029A (ko) 발광 다이오드 나이트라이트를 구비한 디퓨저
KR20160007168A (ko) 빛과 향을 이용한 모기 퇴치기
US20160279437A1 (en) Led pa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ersonal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961730B1 (ko) 살균기능을 갖는 자유 조립식 평판형 led 등기구
KR101747388B1 (ko) Led 조명장치
KR20110126002A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지는 전기면도기
EP4164442A1 (en) Disinfecting device
CN212439459U (zh) 杀菌组件
KR102530017B1 (ko) 다목적 기능의 광원을 포함하는 회전형 조명
KR20200097851A (ko) 보관 장치
US20210393826A1 (en) Disinfecting device
CN214619216U (zh) 一种照明杀菌多用光源
KR200425134Y1 (ko) 탈착형 칫솔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