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696B1 - Door-lock security apparatus - Google Patents

Door-lock securit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696B1
KR101199696B1 KR1020050113641A KR20050113641A KR101199696B1 KR 101199696 B1 KR101199696 B1 KR 101199696B1 KR 1020050113641 A KR1020050113641 A KR 1020050113641A KR 20050113641 A KR20050113641 A KR 20050113641A KR 101199696 B1 KR101199696 B1 KR 101199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d bar
locking unit
locking
cabin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6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55202A (en
Inventor
연제성
김성규
홍순욱
박세훈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50113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696B1/en
Publication of KR20070055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2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6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잠금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넷본체(20)에 도어(26)가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도어(26)의 이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캐비넷본체(20)에 형성된 록킹홈(24,24')에 선단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며 일측에 걸이턱(36')이 구비되는 로드바아(36)와, 상기 로드바아(26)의 걸이턱(36')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이편(32)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26)의 이면에 설치되는 록킹유니트(30)와, 상기 록킹유니트(30)의 동작을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상기 도어(26)의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사용자조작부와, 상기 걸이턱(36')에 인접한 로드바아(36)의 내부에 형성된 안착홈(38)에 안착되어 외부에서 삽입된 공구에 의한 상기 걸이턱(36')의 절삭을 차단하는 볼(3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잠금 안전장치에 의하면 탈취자가 도어를 관통하여 통공을 형성하여 로드바아를 손상시키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도어의 잠금상태가 비정상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26 is installed in the cabinet body 20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thus the door 26 is opened and closed. The door 26 is movable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6 and installed in the cabinet body 20. A tip is selectively seated in the formed locking grooves 24 and 24 'and a rod bar 36 having a hooking jaw 36' at one side thereof and a hooking jaw 36 'of the rod bar 26 selectively. The locking unit 30 is provided to be hooked and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6 and exposed to the front of the door 26 to allow a user to operate the locking unit 30. Blocks the cutting of the hook jaw 36 'by a user inserted into the outside by being installed in a user operation unit and a mounting groove 38 formed in the rod bar 36 adjacent to the hook jaw 36'. The ball 39 is configured to include. According to the door lock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prevent the deodorizer penetrating through the door to damage the rod bar to prevent the door lock state from being released abnormally. have.

도어, 잠금, 볼, 안전 Door, lock, ball, safety

Description

도어잠금 안전장치{Door-lock security apparatus}Door-lock security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잠금장치를 구비한 금고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afe having a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잠금장치를 구비한 금고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평면도.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afe having a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 기술에서 도어가 잠금해제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Figure 3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door unlocked state in the prior art.

도 4는 종래 기술에서 외부에서 침입한 공구에 의해 로드바아의 걸이턱이 절삭되는 것을 보인 작업상태도.Figure 4 is a working state showing that the hook bar of the rod bar is cut by a tool invading from the outside in the prior art.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잠금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캐비넷본체와 도어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binet body and the door is adopt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oor lock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록킹유니트와 로드바아가 서로 걸어지는 부분의 구성을 보인 확대도.Figure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unit and the rod bar is hooked to each other to constitut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보조로드바아와 주변 구성을 보인 확대도.Figure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econdary rod bar and the peripheral configuration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외부에서 침입한 공구에 의한 걸이턱의 절삭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Figure 8 is a working state showing the cutting process of the hanger by the tool intruded from the outsid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캐비넷본체 22: 사이드프레임20: cabinet body 22: side frame

24,24': 록킹홈 26: 도어24,24 ': Locking groove 26: Door

28: 힌지 30: 록킹유니트28: hinge 30: locking unit

32: 걸이편 34: 다이얼록32: hanger 34: dial lock

36: 로드바아 36': 걸이턱36: Road Bar 36 ': Hanging Chin

38: 안착홈 39: 볼38: seating groove 39: ball

40: 차폐판 42: 핸들40: shield plate 42: handle

44: 회전축 46: 연동레버44: rotation axis 46: interlocking lever

50: 보조로드바아 52: 스프링50: auxiliary rod bar 52: spring

본 발명은 도어잠금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고와 같이 도어의 잠금상태가 중요한 부분에서 도어잠금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한 도어잠금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safet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lock safety device having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door lock state is abnormally destroyed in the important part of the door lock state, such as a safe.

금고, 금융자동화기기 등과 같이, 경제적 가치가 있는 현금, 수표 등이 보관되는 것에서는 그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본체에 도어가 보다 견고하게 잠금되어야 내부공간에 있는 현금 등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금고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In the case where cash, checks, etc., which have economic value, are stored, such as safes and automatic teller machines, the doors should be locked more securely to the cabinet body forming the interior space so that the cash in the interior space can be stored more securely.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fe is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잠금장치가 구비된 금고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캐비넷본체(1)의 내부에는 내부공간(3)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3)은 현금 등을 보관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캐비넷본체(1)의 전면 일측 단부에는 사이드프레임(5)이 설치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5)은 상기 캐비넷본체(1)의 일부이다. 상기 사이드프레임(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로드바아(12,18)가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록킹홈(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홈(7)은 로드바아(12,18)의 갯수에 따라 그 갯수가 달라진다.1 and 2 show the configuration of a safe provided with a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is, the interior space 3 is formed inside the cabinet body 1. The internal space 3 is a part for storing cash or the like. A side frame 5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body 1. The side frame 5 is a part of the cabinet body 1. The side frame 5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7 in which the rod bars 12 and 18 to be described below are selectively engaged. The number of the locking grooves 7 vari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rod bars 12 and 18.

상기 캐비넷본체(1)의 전면에는 도어(9)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9)는 상기 내부공간(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이다. 상기 도어(9)는 상기 캐비넷본체(1)의 전면 일단부에 힌지(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9)는 상기 힌지(9')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내부공간(3)을 개폐한다.The front door 9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cabinet body 1. The door 9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internal space 3. The door 9 is rotatably installed by a hinge 9 'at one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body 1. The door 9 is rotated about the hinge 9 'to open and close the internal space 3.

상기 도어(9)에는 상기 도어(9)가 상기 캐비넷본체(1)에 잠금되도록 하는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도어(9)의 내면에는 록킹유니트(10)가 구비된다. 상기 록킹유니트(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록킹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록킹유니트(10)에는 걸이편(10')이 입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걸이편(10')은 상기 록킹유니트(10)가 조작됨에 의해 입출된다.The door 9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to lock the door 9 to the cabinet body (1). That is, the locking unit 10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9. The locking unit 10 performs an operation for locking by a user's manipulation. The locking unit 10 is installed so that the hook piece 10 'is input and output. The hook piece 10 'is entered into and out of the lock unit 10 by operating.

상기 록킹유니트(10)의 조작은 상기 도어(9)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된 다이얼록(11)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다이얼록(11)은 그 회전방향과 회전정도 등이 미리 설정된 값으로 수행됨에 의해 록킹유니트(10)의 걸이편(10')이 조작되게 한다.The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10 is performed by the dial lock 11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door 9. The dial lock 11 allows the hook piece 10 'of the locking unit 10 to be manipulated by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dial lock 11 being preset values.

상기 도어(9)의 이면에는 상기 도어(9)와 캐비넷본체(1)를 서로 체결되게 하는 로드바아(12)가 구비된다. 상기 로드바아(12)는 상기 도어(9)의 이면에 설치된 브라켓가이드(14)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라켓홀더(15)에 설치된다. 상기 로드바아(12)에는 상기 걸이편(10')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이턱(12')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2')은 상기 걸이편(10')이 록킹유니트(10)에서 빠져나오면, 이에 걸어져 로드바아(12)가 상기 록킹홈(7)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한다.The rear surface of the door 9 is provided with a rod bar 12 for fastening the door 9 and the cabinet body 1 to each other. The rod bar 12 is installed in the bracket holder 15 which is movably supported by the bracket guide 14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9. The rod bar 12 is formed with a hooking jaw 1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piece 10'. The hooking jaw 12 'is engaged when the hook piece 10' is pulled out of the locking unit 10, thereby preventing the rod bar 12 from coming out of the locking groove 7.

상기 도어(9)의 전면에는 핸들(16)이 설치된다. 상기 핸들(16)은 상기 로드바아(12)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핸들(16)은 그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16')이 상기 도어(9)를 관통하여 도어(9)의 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도어(9)의 후면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연동레버(17)가 연결된다. 상기 연동레버(17)는 상기 회전축(1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로드바아(12)를 이동시킨다.The handle 16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9. The handle 16 is for moving the rod bar 12. The handle 16 has a rotating shaft 16 ′, which is a rotational center thereof, protrudes through the door 9 to the rear side of the door 9, and at the portion protruding to the rear side of the door 9, an interlocking lever ( 17) is connected. The interlocking lever 17 moves the rod bar 12 while rotating about the rotating shaft 16 '.

상기 브라켓홀더(15)에는 보조로드바아(18)가 더 구비된다. 도 1에는 상기 보조로드바아(18)가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로드바아(12)를 기준으로 보조로드바아(18)의 반대쪽이 되는 브라켓홀더(15)에 또 다른 보조로드바아가 구비될 수 있다.The bracket holder 15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rod bar (18). Although only one auxiliary rod bar 18 is shown in FIG. 1, another auxiliary rod bar may be provided on the bracket holder 15 that is opposite to the auxiliary rod bar 18 based on the rod bar 12. hav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도어(9)를 개방하기 위해서, 상기 다이얼록(11)을 조작하여 상기 록킹유니트(10)의 걸이편(10')이 내부로 수납되게 하고, 상기 핸들(16)을 도 1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로드바아(12)가 록킹홈(7)에서 빠져나오게 한다.(도 3참고) 이때, 상기 보조로드바아(18)도 함께 상단의 록킹홈(7)에서 빠져나온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핸들(16)을 잡아당기면 상기 도어(9)가 힌지(9')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내부공간(3)이 개방된다.In the prior ar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 order to open the door 9, the dial lock 11 is operated so that the hook piece 10 'of the locking unit 10 is received inside, and the handle ( 16, the rod bar 12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7 by slightly rotating clockwise with reference to FIG. 1 (see FIG. 3). At this time, the auxiliary rod bar 18 also has an upper end. It comes out of the locking groove (7). In this case, when the handle 16 is pulled out, the door 9 is rotated about the hinge 9 'to open the inner space 3.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즉, 탈취자가 상기 도어(9)의 전면에서 드릴을 사용하여 통공을 천공하고, 상기 로드바아(12)의 걸이턱(12')에 접근하여 이를 파손시키면, 상기 걸이편(10')이 록킹유니트(10)의 내부로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로드바아(12)가 이동될 수 있다. 즉, 일단 상기 도어(9)에 통공을 낸 후, 이를 통해 엔드밀 등의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핸들(16)을 사용하여 상기 로드바아(12)를 후퇴시키면서 로드바아(12)의 걸이턱(12')을 절삭하여 제거할 수 있다.That is, when a deodorizer drills through-holes using a drill in the front of the door 9 and approaches the hooking jaw 12 'of the rod bar 12 and breaks it, the hook piece 10' is locked. The rod bar 12 may be moved even when it is not stored inside the unit 10. That is, once the through-hole in the door (9), through this through inserting a tool such as an end mill and the like by using the handle 16 to retract the rod bar 12 while the hook bar (12) 12 ') can be cut and removed.

즉, 상기 걸이편(10')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도 상기 걸이턱(12')을 상기 로드바아(12)가 상기 록킹홈(7)에서 빠져나올 수 있을 정도로 절삭하여 제거하면 상기 도어(9)를 쉽게 열 수 있다.That is, even when the hook piece 10 'is protruded to the outside, when the hook jaw 12' is cut and removed to the extent that the rod bar 12 can escape from the locking groove 7, the door ( 9) can be opened easil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캐비넷본체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도어의 잠금상태를 비정상적으로 해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event abnormally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that shields the inner space of the cabinet bod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넷본체에 도어가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이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캐비넷본체에 형성된 록킹홈에 선단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며 일측에 걸이턱이 구비되는 로드바아와, 상기 로드바아의 걸이턱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이편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이면에 설치되는 록킹유니트와, 상기 록킹유니트의 동작을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상기 도어의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사용자조작부와, 상기 걸이턱에 인접한 로드바아의 내부에 형성된 안착홈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어, 외부에서 공구의 삽입 시 회전함으로써, 외부에서 삽입된 공구에 의한 상기 걸이턱의 절삭을 차단하는 볼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abinet body having an inner space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 is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back of the door The rod is provided with a hook bar on one side of which is selectively seated at a locking groove formed in the cabinet body, and a hook piece which is selectively hooked on the hook jaw of the rod bar is provided, and a locking unit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door. And a user control unit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door to allow the user to operate the locking unit, and a rotatably seated in a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rod bar adjacent to the hanger jaw, when the tool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By rotating, it comprises a ball to block the cutting of the hanger by the tool inserted from the outside.

상기 로드바아는 상기 도어의 이면에 설치된 브라켓가이드를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드바아에는 상기 브라켓가이드를 따라 상기 로드바아의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브라켓홀더가 더 구비된다.The rod bar is installed to be movable through the bracket guid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the rod bar is further provided with a bracket holder movabl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od bar along the bracket guide.

상기 브라켓홀더에는 보조로드바아가 설치되어 상기 로드바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캐비넷본체에 형성된 록킹홈에 그 선단이 선택적으로 안착된다.The bracket holder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rod bar, the tip of which is selectively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formed in the cabinet body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rod bar.

상기 록킹유니트를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하는 사용자조작부는 회전방향과 회전정도에 따라 상기 록킹유니트를 조작하는 다이얼록, 디지털신호에 따라 상기 록킹유니트를 조작하는 것 또는 상기 록킹유니트를 열쇠로 조작하는 것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A user control unit for allowing a user to operate the locking unit is a dial lock for operating the locking unit in accordance with a rotation direction and a degree of rotation, operating the locking unit in accordance with a digital signal, or operating the locking unit with a key. One is used.

상기 보조로드바아에는 보조로드바아의 선단이 상기 록킹홈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더 구비된다.The auxiliary rod bar is further provided with a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ip of the auxiliary rod bar is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잠금 안전장치에 의하면 탈취자가 도어를 관통하여 통공을 형성하여 로드바아를 손상시키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도어의 잠금상태가 비정상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door lock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prevent the deodorizer penetrating through the door to damage the rod bar to prevent the door lock state from being released abnormally. hav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어잠금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oor lock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잠금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캐비넷본체와 도어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록킹유니트와 로드바아가 서로 걸어지는 부분의 구성을 보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보조로드바아와 주변 구성을 보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binet main body and a door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oor lock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art of the locking unit and the rod ba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alked with each other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nd FIG. 7 show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auxiliary rod bar and the surrounding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캐비넷본체(2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넷본체(20)의 전면 일측 단부를 따라서는 사이드프레임(22)이 설치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22)에는 다수개의 록킹홈(24,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홈(24,2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로드바아(36,50)의 선단이 각각 선택적으로 걸어진다. 상기 사이드프레임(22)은 실질적으로 상기 캐비넷본체(20)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an inner space (not shown) is formed inside the cabinet body 20. A side frame 22 is installed along one end of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body 20.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24 and 24 'are formed in the side frame 22. The locking grooves 24, 24 'are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tips of the rod bars 36, 5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side frame 22 may be regarded as a part of the cabinet body 20 substantially.

도어(26)는 상기 캐비넷본체(20)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26)는 상기 캐비넷본체(20)에 힌지(28)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The door 26 is installed in the cabinet body 20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 The door 26 is installed to rotate around the hinge 28 in the cabinet body 20.

상기 도어(26)가 상기 캐비넷본체(20)에 닫힌 상태를 잠금시키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도어(26)의 이면에는 록킹유니트(30)가 설치된다. 상기 록킹유니트(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록킹과 해제를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록킹유니트(30)에는 걸이편(32)이 구비되는데, 상기 걸이편(32)은 록킹유니트(30) 의 내외부로 입출된다.The door 26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for locking the closed state to the cabinet body (20). That is, the locking unit 30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6. The locking unit 30 performs an operation for locking and releasing by a user's manipulation. The locking unit 30 is provided with a hook piece 32, and the hook piece 32 enters into and out of the locking unit 30.

상기 걸이편(32)의 입출동작을 위해 상기 도어(26)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다이얼록(34)이 설치된다. 상기 다이얼록(34)은 상기 록킹유니트(30)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다이얼록(34)은 다이얼형태로서 그 회전방향과 회전정도에 따라 상기 록킹유니트(30)가 조작되게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다이얼록(34) 대신에 열쇠로 상기 록킹유니트(30)를 조작하거나, 디지털신호에 의해 상기 록킹유니트(30)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록킹유니트(30)를 조작하는 다이얼록(34)과 같은 부분을 사용자조작부라고 할 수 있다.The dial lock 34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door 26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hook piece 32. The dial lock 34 is a part for allowing a user to operate the locking unit 30. The dial lock 34 is in the form of a dial to allow the locking unit 30 to be operated in accordance with its rotation direction and degree of rot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locking unit 30 with a key instead of the dial lock 34 or to operate the locking unit 30 by a digital signal. have. In this way, the same portion as the dial lock 34 for operating the locking unit 30 may be referred to as a user control unit.

로드바아(36)는 상기 도어(26)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로드바아(36)는 상기 캐비넷본체(20)의 록킹홈(24)에 선단이 선택적으로 안착된다. 상기 로드바아(36)의 선단이 상기 록킹홈(24)에 안착되면 상기 도어(26)가 상기 캐비넷본체(20)에 체결된다. 상기 로드바아(36)에는 걸이턱(3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6')은 상기 걸이편(32)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턱(36')은 상기 로드바아(36)에 단차지게 형성된다.The rod bar 36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6. The rod bar 36 is selectively mounted to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groove 24 of the cabinet body 20. When the tip of the rod bar 36 is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24, the door 26 is fastened to the cabinet body 20. The rod bar 36 is provided with a hooking jaw 36 '. The hooking jaw 36 'is a portion on which the hook piece 32 is hooked. The hooking jaw 36 ′ is formed to be stepped on the rod bar 36.

상기 로드바아(36)는 상기 도어(26)의 배면에 구비되는 브라켓가이드(37)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브라켓가이드(37)는 상기 도어(26)의 배면에 사각형 프레임의 형태로 구비되는데, 상기 브라켓가이드(37)의 양측변을 관통하여 상기 로드바아(36)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가이드(37)에는 브라켓홀더(38')가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홀더(38')는 상기 브라켓가이드(37)에 상기 로드바아(36) 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로드바아(36)의 일측은 상기 브라켓홀더(38')에 결합되어, 로드바아(36)와 브라켓홀더(38')는 일체로 동작된다.The rod bar 36 is movably supported by the bracket guide 37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6. The bracket guide 37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on the back of the door 26, the rod bar 36 is installed to move through both sides of the bracket guide 37. The bracket guide 37 is provided with a bracket holder 38 '. The bracket holder 38 ′ is installed to the bracket guide 37 so as to be movab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d bar 36 moves. One side of the rod bar 36 is coupled to the bracket holder 38 'so that the rod bar 36 and the bracket holder 38' are integrally operated.

상기 로드바아(36)의 걸이턱(36')에 인접한 부분에는 안착홈(38)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38)에는 볼(39)이 수납된다. 상기 볼(29)이 수납된 상기 안착홈(38)은 차폐판(4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차폐판(40)은 상기 로드바아(36)에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A seating groove 38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rod bar 36 adjacent to the hooking jaw 36 ′, and the ball 39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38. The seating groove 38 in which the ball 29 is accommodated is shielded by the shielding plate 40. The shield plate 40 is fixed to the rod bar 36 by, for example, welding.

상기 볼(39)의 위치는 상기 걸이턱(36')중 상기 걸이편(32)과 접촉되는 부분에서부터 시작해서 상기 로드바아(36)의 행정거리 만큼 떨어진 곳 사이의 범위이다. 이 범위 내에 상기 볼(39)이 위치되어야 상기 볼(39)이 상기 로드바아(36)의 파손 정도를 규제하여 로드바아(36)가 상기 록킹홈(24)에서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ball 39 is a range between the distance of the rod bar 36, starting from the portion of the hanging jaw (36 ') in contact with the hook piece (32). The ball 39 should be positioned within this range so that the ball 39 may restrict the degree of breakage of the rod bar 36 so that the rod bar 36 does not fall out of the locking groove 24.

핸들(42)은 상기 로드바아(36)의 이동을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로드바아(36)를 정상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핸들(42)은 상기 도어(26)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핸들(42)은 상기 도어(26)를 관통하는 회전축(44)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다. 상기 회전축(44)은 상기 도어(26)를 관통하여 도어(26)의 배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회전축(44)에는 연동레버(46)가 연결된다. 상기 연동레버(46)는 그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44)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로드바아(36)와 연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로드바아(36)와 상기 연동레버(46)가 연결되는 부분은 이들 사이의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된다.The handle 42 is for the movement of the rod bar 36. That is, the user can operate the rod bar 36 normally. The handle 42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door 26. The handle 42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rotation shaft 44 penetrating the door 26. The rotating shaft 44 penetrates through the door 26 and protrudes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6. An interlocking lever 46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44. One end of the interlock lever 46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44, and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 lever 46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rod bar 36. The part where the rod bar 36 and the interlocking lever 4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s capable of relative rotation therebetween.

보조로드바아(50)는 상기 브라켓홀더(38')에 설치된다. 상기 보조로드바아 (50)는 상기 로드바아(36)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선단이 록킹홈(24')에 안착됨에 의해 도어(26)가 캐비넷본체(20)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보조로드바아(50)는 본 실시예에서 하나만이 설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상기 브라켓홀더(38')에 상기 로드바아(36)를 기준으로 양단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보조로드바아(50)의 갯수는 상기 도어(26)의 높이 등이 따라 달리 될 수 있다.The auxiliary rod bar 50 is installed in the bracket holder 38 '. The secondary rod bar 50 plays the same role as the rod bar 36, so that the door 26 is fastened to the cabinet body 20 by the front end is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24 '. Only one auxiliary rod bar 50 is provided in this embodiment, but is not necessarily the case, and may be installed at each end of the bracket holder 38 ′ at both ends of the rod bar 36. Of course, the number of the auxiliary rod bar 50 may vary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door 26.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로드바아(50)는 스프링(52)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다. 즉, 상기 보조로드바아(50)의 선단이 상기 록킹홈(24')에 안착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상기 스프링(52)으로부터 전달받는다. 따라서, 상기 보조로드바아(50)는 항상 상기 스프링(52)의 탄성력에 의해 선단이 상기 록킹홈(24')에 안착되려는 경향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9, the auxiliary rod bar 50 is subjected to an elastic force by the spring (52). That is, the elastic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spring 5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ip of the auxiliary rod bar 50 is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24 ′. Accordingly, the auxiliary rod bar 50 always has a tendency for the tip to be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24 ′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2.

그리고, 상기 보조로드바아(50)는 브라켓홀더(38')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보조로드바아(50)의 이동은 상기 로드바아(36)의 이동을 만들어내고, 결국 상기 핸들(42)이 잠금 위치로 회전되게 한다. 이와 같이 스프링(52)을 보조로드바아(50)에 설치함에 의해 탈취자가 상기 브라켓홀더(38')의 로드바아(36)와 보조로드바아(50) 사이를 공격하여 파손한 경우에 상기 보조로드바아(50)는 스프링(52)의 힘에 의해 계속해서 잠금상태를 유지하여 탈취자가 도어(26)를 개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지체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rod bar 50 is fastened to the bracket holder 38 ′, the movement of the auxiliary rod bar 50 produces the movement of the rod bar 36, and eventually the handle 42 is moved. Allow it to rotate to the locked position. In this way, by installing the spring 52 in the auxiliary rod bar 50, the auxiliary rod in case the deodorizer attacks and breaks between the rod bar 36 and the auxiliary rod bar 50 of the bracket holder 38 '. The bar 50 continues to be locked by the force of the spring 52 to retard the time it takes for the takeover to open the door 26.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잠금 안전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먼저, 상기 도어(26)를 상기 캐비넷본체(20)에 잠금시키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도어(26)를 닫아 상기 캐비넷본체(20)의 전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핸들(42)을 회전시켜 상기 로드바아(36,50)의 선단이 상기 록킹홈(24,24')에 안착되도록 한다.First, the locking of the door 26 to the cabinet body 20 will be described. The door 26 is closed to closely contact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body 20, and the handle 42 is rotated so that the ends of the rod bars 36 and 50 are seated in the locking grooves 24 and 24 ′. do.

그리고, 상기 다이얼록(34)을 조작하여 상기 록킹유니트(30)에서 걸이편(32)이 나와서 상기 로드바아(36)의 걸이턱(36')에 걸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도어(26)가 캐비넷본체(20)에 잠금된다. 이는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Then, the dial lock 34 is operated so that the hook piece 32 comes out of the locking unit 30 so as to be hooked on the hooking jaw 36 'of the rod bar 36. In this state, the door 26 is locked to the cabinet body 20. This is illustrated well in FIG.

다음으로,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도어(26)를 개방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도어(26)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설치된 상기 다이얼록(34)을 조작한다. 상기 다이얼록(34)을 조작하면 상기 록킹유니트(30)가 조작되면서 상기 걸이편(32)이 수납된다.Next, the user will normally open the door 26. The dial lock 34 exposed to the front of the door 26 is operated. When the dial lock 34 is operated, the hook piece 32 is accommodated while the locking unit 30 is operated.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록킹유니트(30)의 걸이편(32)과 상기 로드바아(36)의 걸이턱(36')사이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로드바아(36)는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사용자는 이때, 상기 핸들(42)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로드바아(36)가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로드바아(36)가 이동되면, 상기 브라켓호더(38')에 의해 연결된 상기 보조로드바아(5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로드바아(36)와 보조로드바아(50)의 선단이 각각 상기 록킹홈(24,24')에서 빠져나와 도어(26)와 캐비넷본체(20)의 체결이 해제된다.In this c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hook piece 32 of the locking unit 30 and the hook jaw 36 ′ of the rod bar 36 is released to allow the rod bar 36 to move. At this time, the user rotates the handle 42 by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rod bar 36 is moved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drawing. When the rod bar 36 is moved, the auxiliary rod bar 50 connected by the bracket holder 38 'is also moved. That is, the ends of the rod bar 36 and the auxiliary rod bar 50 are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s 24 and 24 ', respectively, to release the door 26 from the cabinet body 20.

그리고, 상기 핸들(42)을 잡아 당기면, 상기 도어(26)는 힌지(28)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캐비넷본체(20)의 내부공간을 개방하게 된다.Then, when pulling out the handle 42, the door 26 is rotated about the hinge 28 to open the internal space of the cabinet body 20.

한편, 탈취자가 상기 도어(26)를 비정상적으로 개방하기 위해 드릴과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도어(26)에 통공을 천공할 수 있다. 즉, 도 8에 빗금쳐 표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통공을 천공하고, 상기 통공으로 엔드밀을 삽입하여 상기 로드바아(36)의 걸이턱(36')을 절삭하려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deodorizer may drill a through hole in the door 26 using a tool such as a drill to abnormally open the door 26. That is, the hole may be drilled at a position as indicated by hatching in FIG. 8, and an end mill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to cut the hooking jaw 36 ′ of the rod bar 36.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통공으로 엔드밀을 삽입하여 걸이턱(36')을 절삭하면서, 상기 핸들(42)을 조금씩 회전시키면, 상기 걸이편(32)의 존재에 불구하고 상기 로드바아(36)가 상기 록킹홈(24)에서 빠져나올 수 있을 만큼 상기 걸이턱(36')을 제거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when the handle 42 is rotated little by little while inserting the end mill into the through hole to cut the hanger 36 ', the rod bar 36 despite the presence of the hanger 32 is provided. ) So that the hanging jaw 36 ′ can be removed so that the locking groove 24 can escape from the locking groove 24.

하지만, 이는 상기 볼(38)의 존재에 의해 방지된다. 상기 걸이턱(36')의 부분을 절삭하여 제거하다가 상기 볼(38)을 엔드밀이 만나게 되면, 더 이상의 절삭작업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는 엔드밀이 상기 볼(38)과 접촉하여 볼(38)이 상기 안착홈(38)내에서 회전하여 더 이상 가공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걸이턱(36')의 더 이상의 손상이 방지된다.However, this is prevented by the presence of the ball 38. If the end mill meets the ball 38 while cutting a portion of the hooking jaw 36 ', no further cutting operation is possible. This is because the end mill contacts the ball 38 and the ball 38 rotates in the seating groove 38 so that further processing is impossible. Thus, further damage of the hanger 36 'is prevented.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라켓홀더(38')가 탈취자의 공격에 의해 파손되더라도 스프링(52)의 탄성력에 의해 보조로드바아(50)가 계속하여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탈취자가 도어(26)를 개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더 걸리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9 so that even if the bracket holder 38 'is damaged by the attacker of the deodorizer, the auxiliary rod bar 5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2 to continue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Thus, it takes more time for the takeover to open the door 26.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all of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잠금 안전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door lock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즉, 본 발명에서는 록킹유니트의 걸이편과 걸어지는 로드바아의 걸이턱에 대한 절삭가공이 일정 이상 이루어지지 않도록 로드바아에 볼을 설치하였다. 따라서, 공구에 의해 로드바아의 걸이턱이 절삭되다가 상기 볼을 만나면 더 이상의 절삭이 불가능하여 로드바아를 비정상적으로 조작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탈취자에 의해 도어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어 금품이 도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 is installed in the rod bar so that the cutting process for the hanger piece of the locking unit and the hanger jaw of the rod bar to be walked is not performed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refore, when the hanger of the rod bar is cut by the tool, and the ball meets the ball, no further cutting is possible, thereby making it impossible to abnormally manipulate the rod ba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door from being abnormally opened by the deodorizer and the stolen goods.

Claims (5)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넷본체에 도어가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것에 있어서,In the cabinet body having an interior space is provided with a door to open and close the interior space, 상기 도어의 이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캐비넷본체에 형성된 록킹홈에 선단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며 일측에 걸이턱이 구비되는 로드바아와,A rod bar movably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having a tip end selectively mounted on a locking groove formed in the cabinet body, and having a hooking jaw at one side thereof; 상기 로드바아의 걸이턱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이편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이면에 설치되는 록킹유니트와,A locking unit which is provided on a hook jaw of the rod bar and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상기 록킹유니트의 동작을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상기 도어의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사용자조작부와,A user control unit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door to allow the user to operate the locking unit; 상기 걸이턱에 인접한 로드바아의 내부에 형성된 안착홈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어, 외부에서 공구의 삽입 시 회전함으로써, 외부에서 삽입된 공구에 의한 상기 걸이턱의 절삭을 차단하는 볼을 포함하는 도어잠금 안전장치.A door lock including a ball that is rotatably seated in a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rod bar adjacent to the hooking jaw and rotates when the tool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thereby blocking the cutting of the hooking jaw by the tool inserted from the outside. safet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바아는 상기 도어의 이면에 설치된 브라켓가이드를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드바아에는 상기 브라켓가이드를 따라 상기 로드바아의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브라켓홀더가 더 구비되는 도어잠금 안전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d bar is installed to be movable through the bracket guid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the rod bar is further provided with a bracket holder movabl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od bar along the bracket guide. Door lock safety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홀더에는 보조로드바아가 설치되어 상기 로드바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캐비넷본체에 형성된 록킹홈에 그 선단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도어잠금 안전장치.The door lock safety device of claim 2, wherein an auxiliary rod bar is installed at the bracket holder, and a tip thereof is selectively seated in a locking groove formed in the cabinet bod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od bar.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니트를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하는 사용자조작부는 회전방향과 회전정도에 따라 상기 록킹유니트를 조작하는 다이얼록, 디지털신호에 따라 상기 록킹유니트를 조작하는 것 또는 상기 록킹유니트를 열쇠로 조작하는 것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도어잠금 안전장치. 4. A user loc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user operating portion for allowing a user to operate the locking unit is a dial lock for operating the locking unit in accordance with a rotation direction and a degree of rotation, and the locking unit in accordance with a digital signal. The door lock safety device, which is used to operate or to operate the locking unit with a ke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로드바아에는 보조로드바아의 선단이 상기 록킹홈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도어잠금 안전장치.4. The door locking safety device of claim 3, wherein the auxiliary rod bar further comprises a spring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ip of the auxiliary rod bar rests on the locking groove.
KR1020050113641A 2005-11-25 2005-11-25 Door-lock security apparatus KR101199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641A KR101199696B1 (en) 2005-11-25 2005-11-25 Door-lock securit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641A KR101199696B1 (en) 2005-11-25 2005-11-25 Door-lock securit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202A KR20070055202A (en) 2007-05-30
KR101199696B1 true KR101199696B1 (en) 2012-11-08

Family

ID=3827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641A KR101199696B1 (en) 2005-11-25 2005-11-25 Door-lock securit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6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915B1 (en) * 2008-10-22 2011-08-12 엘지엔시스(주) Door lock structure of the storage device
KR101064822B1 (en) * 2009-12-22 2011-09-14 엘지엔시스(주) Door locking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480B1 (en) * 2000-09-09 2003-11-28 박동혁 Opening and shutting device using safe do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480B1 (en) * 2000-09-09 2003-11-28 박동혁 Opening and shutting device using safe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202A (en)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0882A (en) Lock shielding assembly
US6367292B1 (en) Padlock protector
KR101199696B1 (en) Door-lock security apparatus
RU2249087C2 (en) Lock
KR100648574B1 (en) double locking crossbar
GB2062084A (en) A Device to Prevent Unauthorised Opening of a Door Having an Espagnolette Closure Such as the Door of a Lorry
EA004355B1 (en) Door lock with a hook bolt
RU2434111C2 (en) Improved door lock with hook-like bolt
JP2852249B2 (en) Door lock devices for vending machines, etc.
KR200235586Y1 (en) safety locking device
HUT57350A (en) Protecting device for door
JP3989915B2 (en) Lock device for doors of vending machines, etc.
JP3821291B2 (en) Auxiliary lock device for vending machines
KR200420902Y1 (en) Door lock apparatus for a strong box
JP4428197B2 (en) Vending machine door lock device
JP3512769B2 (en) Auxiliary lock device for vending machines, etc.
JP3989925B2 (en) Auxiliary lock devices such as vending machines
JPH07269210A (en) Dropping lock device
KR101631873B1 (en) Door locking apparatus and keep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2106216A (en) Emergency lock device for door of safe or the like
KR101700112B1 (en) Door locking apparatus and keep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H10121808A (en) Anti-theft device
KR101199740B1 (en) Drill blocking unit and door-lock security apparatus using the same
JP4219143B2 (en) Door lock device
KR200166849Y1 (en) Lock of door lock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