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587B1 - 선글라스 - Google Patents

선글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587B1
KR101199587B1 KR1020100059633A KR20100059633A KR101199587B1 KR 101199587 B1 KR101199587 B1 KR 101199587B1 KR 1020100059633 A KR1020100059633 A KR 1020100059633A KR 20100059633 A KR20100059633 A KR 20100059633A KR 101199587 B1 KR101199587 B1 KR 101199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lens
control
control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9506A (ko
Inventor
김보민
Original Assignee
김보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민 filed Critical 김보민
Priority to KR1020100059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587B1/ko
Publication of KR20110139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1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an electro-optical light val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66Field-of-view determination; Aiming or pointing of a photometer; Adjusting alignment; Encoding angular position; Size of the measurement area; Position tracking; Photodetection involving different fields of view for a single detector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의 선글라스는 오른쪽 액정 렌즈, 왼쪽 액정 렌즈, 조도 감지부, 발진 회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왼쪽 액정 렌즈는 빛을 차단 또는 투과한다. 상기 액정 렌즈는 동작 전압이 공급된 경우 빛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조도 감지부는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왼쪽 액정 렌즈로 입사되는 광량을 감지하여 광량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발진 회로부는 특정 주파수의 발진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진 회로부에서 생성된 발진 신호 및 상기 조도 감지부에서 생성된 광량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상기 왼쪽 액정 렌즈의 턴온 및 턴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신호는 특정 주기의 펄스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비례 제어 모듈은 상기 펄스 신호의 듀티비를 비례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왼쪽 액정 렌즈 각각의 최대 개방값과 임계값 사이에서 비례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최대 개방값은 동작 전압의 공급을 차단시킨 상태의 듀티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임계값은 사용자가 최소한의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상태의 듀티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글라스{SUNGLASSES}
개시된 기술은 선글라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빛의 투과율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선글라스에 관한 것이다.
선글라스는 여름철의 강한 태양광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거나 겨울철에 눈이 내린 산이나 들에서 자외선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선글라스는 기능에 따라 자외선을 차단하는 일반 선글라스와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유해광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특수 선글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개시된 기술의 선글라스는 오른쪽 액정 렌즈, 왼쪽 액정 렌즈, 조도 감지부, 발진 회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왼쪽 액정 렌즈는 빛을 차단 또는 투과한다. 상기 액정 렌즈는 동작 전압이 공급된 경우 빛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조도 감지부는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왼쪽 액정 렌즈로 입사되는 광량을 감지하여 광량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발진 회로부는 특정 주파수의 발진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진 회로부에서 생성된 발진 신호 및 상기 조도 감지부에서 생성된 광량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상기 왼쪽 액정 렌즈의 턴온 및 턴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어 신호 생성 모듈, 제1 비례 제어 모듈 및 제2 비례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 생성 모듈은 상기 발진 회로부에서 생성된 발진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상기 왼쪽 액정 렌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례 제어 모듈은 상기 조도 감지부에서 생성된 광량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비례 제어하고, 상기 비례 제어된 제어 신호를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에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2 비례 제어 모듈은 상기 조도 감지부에서 생성된 광량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비례 제어하고, 상기 비례 제어된 제어 신호를 상기 왼쪽 액정 렌즈에 인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신호는 특정 주기의 펄스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비례 제어 모듈은 상기 펄스 신호의 듀티비를 비례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비례 제어 모듈은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왼쪽 액정 렌즈 각각의 최대 개방값과 임계값 사이에서 비례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최대 개방값은 동작 전압의 공급을 차단시킨 상태의 듀티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임계값은 사용자가 최소한의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상태의 듀티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정 렌즈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영역들은 독립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각각의 액정 렌즈의 영역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선글라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선글라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액정 렌즈의 동작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조도 감지부에 따른 액정 렌즈의 동작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동작 제어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개시된 기술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글라스(100)는 오른쪽 액정 렌즈(110), 왼쪽 액정 렌즈(120), 및 조도 감지부(1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오른쪽 액정 렌즈(110), 왼쪽 액정 렌즈(120) 및 조도 감지부(130)는 안경 프레임(140)에 설치된다. 안경 프레임(140)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는 동작 전압의 인가 여부에 상응하여 빛을 차단 또는 투과한다. 일 실시예에서, 액정 렌즈(liquid lens)는 투명전극 사이에 액정이 충진되어 구성되고 양측의 투명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의해 투과되는 빛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액정 렌즈의 구동 방식은 TN(Twisted Nematic) 방식, VA(Vertical Alignment) 방식 및 IPS(In Place Switching)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TN 방식의 액정 렌즈는 동작 전압이 공급된 경우 빛을 차단시킬 수 있고, 동작 전압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VA 방식의 액정 렌즈는 전압이 인가되면 빛을 투과시킬 수 있고, 전압이 차단되면 빛을 차단시킬 수 있다.
조도 감지부(130)는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로 입사되는 광량을 감지하여 광량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조도 감지부(130)는 안경 프레임(140)의 브릿지(141)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 감지부(130)는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수광 소자(예를 들어, 광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선글라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선글라스(100)는 발진 회로부(210) 및 제어부(22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진 회로부(210) 및 제어부(220)는 기판에 모듈화되어 도 1의 안경 프레임(14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각 구성간의 전기적 연결관계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개시된 기술에서는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모듈화된 기판은 안경 프레임(140)의 중앙부인 브릿지(141)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모듈화된 기판이 중앙부에 설치되면 각 구성간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좌우대칭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우대칭구조로 전기적 연결관계가 구성되면 제어부(220)가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를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있다.
발진 회로부(210)는 특정 주파수의 발진 신호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진 신호는 특정 주기의 펄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발진 회로부(210)에서 생성된 발진 신호 및 조도 감지부(130)에서 생성된 광량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의 턴온(Turn-On) 및 턴오프(Turn-Off) 동작을 제어한다.
도 2에서, 제어부(220)는 제어 신호 생성 모듈(310), 제1 비례 제어 모듈(320) 및 제2 비례 제어 모듈(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 모듈(310)은 발진 회로부(210)에서 생성된 발진 신호를 입력받아,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신호는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의 동작 전압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펄스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 신호의 주기는 발진 신호의 주기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제어 신호인 펄스 신호의 듀티비(duty ratio)에 상응하여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를 통과하는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비례 제어 모듈(320)은 조도 감지부(130)에서 생성된 광량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 생성 모듈(31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비례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례 제어된 제어 신호는 오른쪽 액정 렌즈(110)로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례 제어 모듈(320)은 펄스 신호의 듀티비를 비례 제어할 수 있다.
제2 비례 제어 모듈(330)은 조도 감지부(130)에서 생성된 광량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 생성 모듈(31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비례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례 제어된 제어 신호는 왼쪽 액정 렌즈(120)로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비례 제어 모듈(330)은 펄스 신호의 듀티비를 비례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선글라스(100)는 오른쪽 조도 감지부(131) 및 왼쪽 조도 감지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른쪽 조도 감지부(131)는 안경 프레임(140)의 오른쪽 림(rim)(142)에 설치될 수 있고, 왼쪽 조도 감지부(132)는 안경 프레임(140)의 왼쪽 림(143)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선글라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선글라스(100)는 오른쪽 조도 감지부(131)에서 생성된 광량 감지 신호는 제1 비례 제어 모듈(320)로 전송될 수 있고, 왼쪽 조도 감지부(132)에서 생성된 광량 감지 신호는 제2 비례 제어 모듈(330)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비례 제어 모듈(320)은 오른쪽 조도 감지부(131)에서 생성된 광량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 생성 모듈(31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비례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례 제어된 제어 신호는 오른쪽 액정 렌즈(110)로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례 제어 모듈(320)은 펄스 신호의 듀티비를 비례 제어할 수 있다.
제2 비례 제어 모듈(330)은 왼쪽 조도 감지부(132)에서 생성된 광량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 생성 모듈(31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비례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례 제어된 제어 신호는 왼쪽 액정 렌즈(120)로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비례 제어 모듈(330)은 펄스 신호의 듀티비를 비례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액정 렌즈의 동작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20)는 오른쪽 액정 렌즈(110)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R_signal) 및 왼쪽 액정 렌즈(120)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L_signal)는 발진 회로부(210)에서 생성된 발진 신호(Oscil_signal)의 주기 마다 턴온 및 턴오프를 반복하여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정 렌즈의 구동 방식이 TN 방식인 경우 제어 신호(L_signal)가 턴온되면 액정 렌즈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시키고, 제어 신호(L_signal)가 턴오프되면 액정 렌즈로 입사되는 빛을 통과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액정 렌즈의 구동 방식이 VA 방식인 경우 제어 신호(L_signal)가 턴온되면 액정 렌즈로 입사되는 빛을 통과시키고, 제어 신호(L_signal)가 턴오프되면 액정 렌즈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듀티비(T2/T1)를 제어하여 매 주기마다 액정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조도 감지부에 따른 액정 렌즈의 동작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조도 감지부(130)에서 생성된 광량 감지 신호(Sensing_signal)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제어 신호의 듀티비가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착용자)가 그늘진 곳에서 햇빛이 드는 곳으로 이동하면 조도 감지부(130)에서 생성되는 광량 감지 신호(Sensing_signal)는 "V2"에서 "V3"으로 높아지고, 사용자가 실내로 이동하면 광량 감지 신호(Sensing_signal)는 "V3"에서 "V1"으로 낮아진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비례 제어 모듈(320)(330)은 광량 감지 신호(Sensing_signal)가 "V2"에서 "V3"으로 높아지면, 듀티비를 "T2/T1"에서 "T3/T1"으로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액정 렌즈의 구동 방식이 TN 방식인 경우, 듀티비가 증가하게 되면 액정 렌즈를 통과하는 광량이 줄어들 수 있다. 제1 및 제2 비례 제어 모듈(320)(330)은 광량 감지 신호(Sensing_signal)가 "V3"에서 "V2"로 낮아지면, 듀티비를 "T3/T1"에서 "T4/T1"으로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액정 렌즈의 구동 방식이 TN 방식인 경우, 듀티비가 감소하게 되면 액정 렌즈를 통과하는 광량이 늘어날 수 있다. 다른 예로, 액정 렌즈의 구동 방식이 VA 방식인 경우, TN 방식과 반대로 제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액정 렌즈가 빛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면, 착용자는 전방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게 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에서는 최소한의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임계값을 설정하여 렌즈의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동작 제어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비례 제어 모듈(320)(330)은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 각각의 최대 개방값(Lens_Open_Max)과 임계값 사이에서 비례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개방값(Lens_Open_Max)은 동작 전압의 공급을 차단시킨 상태의 듀티비를 포함할 수 있고, 임계값은 사용자가 최소한의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상태의 듀티비를 포함할 수 있다.
"Lens_Close_Max"는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가 빛을 완전히 차단한 상태의 듀티비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렌즈의 구동 방식이 VA 방식인 경우, 제1 및 제2 비례 제어 모듈(320)(330)은 최대 개방값(Lens_Open_Max)과 임계값 사이에서 반비례 제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8은 개시된 기술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선글라스(100)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영역들은 독립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 동작이 수행되는 오른쪽 액정 렌즈(810)와 왼쪽 액정 렌즈(8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20)는 오른쪽 액정 렌즈(810)와 왼쪽 액정 렌즈(820)의 분할된 각각의 영역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각각의 영역에 상응하는 복수의 비례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220)가 해당 비례 제어 모듈들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20)는 오른쪽 액정 렌즈(810)와 왼쪽 액정 렌즈(820)를 투과하는 광량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는 하나의 선글라스를 실내와 실외에서 모두 착용할 수 있다. 선글라스로 입사되는 광량에 상응하여 랜즈의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는 착용상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최소한의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임계값을 설정하여 렌즈의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는 하나의 선글라스로 다양한 연출을 할 수 있다. 액정 랜즈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해당 영역을 각각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동작 전압의 공급에 따라 빛을 차단 또는 투과하는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왼쪽 액정 렌즈;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왼쪽 액정 렌즈로 입사되는 광량을 감지하여 광량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조도 감지부;
    특정 주파수의 발진 신호를 생성하는 발진 회로부; 및
    상기 발진 회로부에서 생성된 발진 신호 및 상기 조도 감지부에서 생성된 광량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상기 왼쪽 액정 렌즈의 턴온 및 턴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진 회로부에서 생성된 발진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상기 왼쪽 액정 렌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 모듈;
    상기 조도 감지부에서 생성된 광량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비례 제어하고, 상기 비례 제어된 제어 신호를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에 인가하는 제1 비례 제어 모듈; 및
    상기 조도 감지부에서 생성된 광량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비례 제어하고, 상기 비례 제어된 제어 신호를 상기 왼쪽 액정 렌즈에 인가하는 제2 비례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특정 주기의 펄스 신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비례 제어 모듈은 상기 펄스 신호의 듀티비를 비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비례 제어 모듈은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왼쪽 액정 렌즈 각각의 최대 개방값과 임계값 사이에서 비례 제어하고, 상기 최대 개방값은 동작 전압의 공급을 차단시킨 상태의 듀티비이고, 상기 임계값은 사용자가 최소한의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상태의 듀티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
  5. 삭제
KR1020100059633A 2010-06-23 2010-06-23 선글라스 KR101199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633A KR101199587B1 (ko) 2010-06-23 2010-06-23 선글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633A KR101199587B1 (ko) 2010-06-23 2010-06-23 선글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506A KR20110139506A (ko) 2011-12-29
KR101199587B1 true KR101199587B1 (ko) 2012-11-12

Family

ID=45504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633A KR101199587B1 (ko) 2010-06-23 2010-06-23 선글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5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794B1 (ko) * 2017-09-14 2018-08-06 정승일 집중력 향상을 위한 안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506A (ko)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3330A (ko) 안경 렌즈용 적응형 광학 필터
CN202383380U (zh) 多功能眼镜
CN104730729A (zh) 一种根据环境光强度自动调节镜片透明度的智能眼镜
KR20070026569A (ko) 전기 광학 기능을 구비한 안과 렌즈
FR2975792B1 (fr) Filtre optique adaptatif
JP2014240889A5 (ko)
JP2006510921A (ja) 眼鏡への半導体素子の組み込み
US20130215376A1 (en) Electronic spectacles having partitioned switching lens
WO2012053744A3 (ko) 선글라스 또는 고글용 광학 특성 조절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글라스 및 고글
CN201780419U (zh) 一种可自动调节明暗的电子太阳眼镜
CN104407451B (zh) 日夜两用防眩液晶眼镜
KR101199587B1 (ko) 선글라스
CN101592793B (zh) 全自动角度遮光眼镜
CN201359670Y (zh) 一种电子变色太阳镜
KR101273620B1 (ko) 주변조도에 따라 렌즈의 투과율이 자동 조절되는 고글
KR101374699B1 (ko) 전자식 선글라스 및 그 구동 방법
CN202916525U (zh) 一种可变焦的液晶太阳镜
CN104407450B (zh) 一种防眩液晶眼镜的设计方法与装置
CN107966834A (zh) 可实现高遮光号的自动变光过滤器
KR20140046645A (ko) 시력 보호용 전자안경
CN204360046U (zh) 智能变色眼镜
CN106094253A (zh) 一种智能镜片
CN104407449B (zh) 一种防眩液晶会车镜的设计方法与装置
CN102087423A (zh) 变色太阳镜
CN201097023Y (zh) 一种防强光眩目的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