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571B1 -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9571B1 KR101199571B1 KR1020100124155A KR20100124155A KR101199571B1 KR 101199571 B1 KR101199571 B1 KR 101199571B1 KR 1020100124155 A KR1020100124155 A KR 1020100124155A KR 20100124155 A KR20100124155 A KR 20100124155A KR 101199571 B1 KR101199571 B1 KR 1011995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ramic sheet
- biocomposite
- bio
- ceramic
- eco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173 biocomposi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8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12795 eco-friendly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1 polybutylene succin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1610 polycaprolact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632 polycaprolac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631 polybutylene succi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2961 polybutylene succin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626 polylact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1131 Pulp (pap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522 Wood fibr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748 compress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025 wood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988 biodegradable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621 biodegradable polym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ODINCKMPIJJUCX-UHFFFAOYSA-N calc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Ca]=O ODINCKMPIJJUC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claims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40000000797 Hibiscus cannab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6259 organic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701 coagu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01000984753 Homo sapiens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B-raf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100027103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B-raf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430 Fibre-reinforced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6572 Rhod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113 Sepi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DIZPMCHEQGEION-UHFFFAOYSA-H aluminium sulfate (anhydrous) Chemical compound [Al+3].[Al+3].[O-]S([O-])(=O)=O.[O-]S([O-])(=O)=O.[O-]S([O-])(=O)=O DIZPMCHEQGEION-UHFFFAOYSA-H 0.000 description 2
- VSCWAEJMTAWNJL-UHFFFAOYSA-K aluminium tr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l](Cl)Cl VSCWAEJMTAWNJL-UHFFFAOYSA-K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12 characteriz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24 continuous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94 floccul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99 nitrogen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371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24 sepi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55 sepiol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6010001497 Agi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9240 Ambelania aci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66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65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pon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3 Cellulose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628 Chlor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01667 Etrop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240 Linum usitatissim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431 Linum usitatissim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9919 Phaeophy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82204 Phyllostachys virid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QAOWNCQODCNURD-UHFFFAOYSA-L Sulfate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DPXJVFZANSGRMM-UHFFFAOYSA-N acetic acid;2,3,4,5,6-pentahydroxyhexanal;sodium Chemical compound [Na].CC(O)=O.OCC(O)C(O)C(O)C(O)C=O DPXJVFZANSGR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23 alumin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129 an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5 bagas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25 biodies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20 biologic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120 cam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07 chanvre indie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2 decol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94 dissoci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93 dissocia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76 fibr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21 hard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87 hem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63 impact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FBAFATDZDUQKNH-UHFFFAOYSA-M iron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Fe] FBAFATDZDUQKN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58 iron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BAUYGSIQEAFULO-UHFFFAOYSA-L iron(2+) sulfate (anhydrous) Chemical compound [Fe+2].[O-]S([O-])(=O)=O BAUYGSIQEAFU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04 material by fun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02 nano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01 point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7 poly(la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01 polyacryl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89 poly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8 poly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3 re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12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27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22 soft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5 standard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30 thermomechan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4—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and 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i.e. combined with compressing after the lay-up op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08—Fibrous reinforcements only comprising combinations of different forms of fibrous reinforcement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layers
- B29C70/088—Fibrous reinforcements only comprising combinations of different forms of fibrous reinforcement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layers and with one or more layers of non-plastics material or non-specified material, e.g. 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8/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ceramics, e.g. refractory produ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B29K2067/046—PLA, i.e. polylactic acid or polylact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26—Flame proofing or flame retarding ag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11/00—Use of natural products or their composit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201/00 - B29K2309/00, as reinforcement
- B29K2311/10—Natural fibres, e.g. wool or cott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59—Degradable
- B29K2995/006—Bio-degradable, e.g. bioabsorbable, bioresorbable or bioerodi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6—Degradable
- B32B2307/7163—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1) 세라믹 시트 상에 절단된 천연섬유 및 고분자 분말을 분산시키는 단계; 2) 상기 천연섬유와 고분자가 분산된 세라믹 시트를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 분말을 용융시킨 후, 압축 성형하는 단계; 및 3) 상기 압축 성형된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제조된 바이오 복합재료는 천연섬유를 보강재로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세라믹 시트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난연성 문제가 해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저장탄성율, 치수안정성, 굴곡 특성, 경량 특성이 우수하며, 다양한 구조로 성형이 가능하여 자동자 및 건축내외장재로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이오 복합 복합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친환경 특성, 저장탄성률, 치수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과 난연성까지 갖는 바이오 복합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나 건축 산업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 복합재료는 대부분 유리 섬유를 보강재로 사용하고 있는데, 유리 섬유는 인체에 유해하며 리사이클링(recycling)이 어렵기 때문에 에너지 및 환경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인체에 유해한 유리 섬유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최근에는 천연섬유를 보강재로 사용하는 바이오 복합재료가 검토되고 있다.
바이오 복합재료는 유리 섬유 강화 고분자 복합재료에 비해 약 30% 이상 가볍기 때문에 자동차 부품에 적용될 경우, 연비 향상(1.6%)에 의한 에너지 절약을 기대할 수 있는 첨단 신소재이다. 또한 천연 섬유는 유리 섬유와 달리 기계에 대한 마모율도 적고 가벼워서 제조공정에서도 80%의 생산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가격 면에서도 천연섬유(약 5원/g)는 유리 섬유(20원/g)의 약 1/4 정도이며, 유리 섬유(밀도: 2.6 g/㎤)에 비해 천연섬유(밀도: 1.3 g/㎤ )는 가볍고 인성과 비강성(specific modulus)도 우수하다.
최근까지는 대부분 셀룰로오즈를 기반으로 하는 보강재로서 주로 목질계 및 천연섬유 비목질계로부터 얻어진 분말 혹은 섬유를 포함하는 바이오 복합재료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셀룰로오즈계 보강재는 나무 혹은 천연 섬유의 성장조건, 성장부위, 성장기간 등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가지며, 특히 한 섬유에서도 각 부위에서의 조성과 크기가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들 섬유를 그대로 보강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이오 복합재료의 각 부위별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목질계 보강재의 사용에 의한 산림 훼손이나 최근 바이오 복합재의 보강재로 많이 사용되는 아마, 대마 등 비목질계 특수 식물의 재배에 따른 부작용의 우려도 존재한다.
따라서, 최근 친환경 소재인 다양한 바이오 소재를 고기능성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친환경 특성, 저장탄성율,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며, 내열성과 난연성이 강화된 바이오 복합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 세라믹 시트 상에 절단된 천연섬유 및 고분자 분말을 분산시키는 단계; 2) 상기 천연섬유와 고분자가 분산된 세라믹 시트를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 분말을 용융시킨 후, 압축 성형하는 단계; 및 3) 상기 압축 성형된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사용되는 고분자에 따라 달라지지만, 용융 온도는 100 ~ 200℃가 바람직하며, 압축력은 0.1 ~ 10 kgf/cm2 인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3) 단계 이후 고분자를 다시 가열 용융한 다음 세라믹 시트를 한 층 더 적층하여 가열 압축 성형함으로써 세라믹 시트가 양면에 부착된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섬유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상부에 적층된 세라믹 시트를 제조한 후, 그 세라믹 시트상에서 1) 절단된 천연섬유 및 고분자 분말을 분산시키는 단계; 2) 상기 천연섬유와 고분자가 분산된 세라믹 시트를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 분말을 용융시킨 후, 압축 성형하는 단계; 및 3) 상기 압축 성형된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를 한번 더 수행함으로써 세라믹 시트가 중간에 위치하는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체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따라 세라믹 시트가 부착된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한 후, 재가열하고 편파 성형롤을 통과시켜 연속공정으로 편파형 구조를 갖는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천연섬유는 목재 펄프, 비목재 섬유, 미세조류 부산물, 해조류 부산물, 실크 섬유 및 헤네켄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분자는 폴리 유산(PLA), 폴리 카프로락톤(PCL), 폴리 유산(PLA)과 전분의 블렌드체,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PBS)와 같은 생분해성 고분자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범용성 고분자 및 이들의 브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세라믹 시트는 SiO2, Al2O3, CaO, MgO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세라믹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세라믹 시트 중 세라믹 섬유의 함량은 5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믹 시트는 세라믹 섬유를 포함하며 60% 이상의 무기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는 평판형, 편파형, 평판 및 편파 복합형, 허니컴형 구조 또는 이들의 다층 구조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는 천연섬유를 보강재로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경량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세라믹 시트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천연바이오 복합재료의 가장 큰 단점이라고 할 수 있는 난연성 문제를 해소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바이오 복합재료는 세라믹 시트의 결합에 의해서 저장탄성율, 치수안정성, 굴곡 특성이 모두 향상되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경량 특성도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의 제조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쉽게 복합재료를 성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파형이나 허니컴형과 같은 입체 구조를 갖는 복합재료로 제조할 경우 충격흡수율을 높일 수 있어 자동자 및 건축내외장재로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의 사진으로서, 상부에서부터 헤네켄 섬유, 케나프 섬유, 실크 섬유를 사용한 바이오 복합재료의 사진이 나타나있다. 사진에서 좌측에는 세라믹 시트를 포함하지 않는 바이오 복합재료, 중간은 단면에 세라믹 시트를 포함하는 바이오 복합재료 및 우측에는 양면에 세라믹 시트를 포함하는 바이오 복합재료가 각각 나타나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의 사진으로서, (a)는 평판형, (b)는 편파형, (c)는 복합형과 허니컴형 구조체를 각각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평판형, 편파형, 복합형 및 허니컴형 바이오 복합재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천연섬유의 종류 및 세라믹 시트의 유무에 따른 본 발명 바이오 복합재료의 밀도(Density) 비교 그래프이다.
도 6는 천연섬유의 종류 및 세라믹 시트의 유무에 따른 본 발명 바이오 복합재료의 저장 탄성율(Storage Modulus) 비교 그래프이다.
도 7은 천연섬유의 종류 및 세라믹 시트의 유무에 따른 본 발명 바이오 복합재료의 치수안정성(CTE) 비교 그래프이다.
도 8은 천연섬유의 종류 및 세라믹 시트의 유무에 따른 본 발명 바이오 복합재료의 굴곡 강도(Flexural Strength) 비교 그래프이다.
도 9는 천연섬유의 종류 및 세라믹 시트의 유무에 따른 본 발명 바이오 복합재료의 굴곡 탄성율(Flexural Modulus) 비교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 (헤네켄 섬유를 보강재로 사용)의 난연 특성을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a)는 천연섬유와 고분자 매트릭스로만 구성된 바이오 복합재료이고, (b)는 단면에 세라믹 시트를 포함하는 바이오 복합재료이며, (c)는 양면에 세라믹 시트를 포함하는 바이오 복합재료를 보여준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 (케나프 섬유를 보강재로 사용)의 난연 특성을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a)는 천연섬유와 고분자 매트릭스로만 구성된 바이오 복합재료이고, (b)는 단면에 세라믹 시트를 포함하는 바이오 복합재료이며, (c)는 양면에 세라믹 시트를 포함하는 바이오 복합재료를 보여준다.
도 12는 천연섬유로 헤네켄 섬유(5%, 10% 함유)를 포함하는 바이오 복합재료에 있어서, 세라믹 시트의 유무, 양면, 단면 적층에 따른 본 발명 바이오 복합재료의 연소 평균 속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3은 천연섬유로 케나프 섬유(10% 함유)를 포함하는 바이오 복합재료에 있어서, 세라믹 시트의 유무, 양면, 단면 적층에 따른 본 발명 바이오 복합재료의 연소 평균 속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의 사진으로서, (a)는 평판형, (b)는 편파형, (c)는 복합형과 허니컴형 구조체를 각각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평판형, 편파형, 복합형 및 허니컴형 바이오 복합재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천연섬유의 종류 및 세라믹 시트의 유무에 따른 본 발명 바이오 복합재료의 밀도(Density) 비교 그래프이다.
도 6는 천연섬유의 종류 및 세라믹 시트의 유무에 따른 본 발명 바이오 복합재료의 저장 탄성율(Storage Modulus) 비교 그래프이다.
도 7은 천연섬유의 종류 및 세라믹 시트의 유무에 따른 본 발명 바이오 복합재료의 치수안정성(CTE) 비교 그래프이다.
도 8은 천연섬유의 종류 및 세라믹 시트의 유무에 따른 본 발명 바이오 복합재료의 굴곡 강도(Flexural Strength) 비교 그래프이다.
도 9는 천연섬유의 종류 및 세라믹 시트의 유무에 따른 본 발명 바이오 복합재료의 굴곡 탄성율(Flexural Modulus) 비교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 (헤네켄 섬유를 보강재로 사용)의 난연 특성을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a)는 천연섬유와 고분자 매트릭스로만 구성된 바이오 복합재료이고, (b)는 단면에 세라믹 시트를 포함하는 바이오 복합재료이며, (c)는 양면에 세라믹 시트를 포함하는 바이오 복합재료를 보여준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 (케나프 섬유를 보강재로 사용)의 난연 특성을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a)는 천연섬유와 고분자 매트릭스로만 구성된 바이오 복합재료이고, (b)는 단면에 세라믹 시트를 포함하는 바이오 복합재료이며, (c)는 양면에 세라믹 시트를 포함하는 바이오 복합재료를 보여준다.
도 12는 천연섬유로 헤네켄 섬유(5%, 10% 함유)를 포함하는 바이오 복합재료에 있어서, 세라믹 시트의 유무, 양면, 단면 적층에 따른 본 발명 바이오 복합재료의 연소 평균 속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3은 천연섬유로 케나프 섬유(10% 함유)를 포함하는 바이오 복합재료에 있어서, 세라믹 시트의 유무, 양면, 단면 적층에 따른 본 발명 바이오 복합재료의 연소 평균 속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는 a) 천연섬유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b)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와 압착되어 일체화된 세라믹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천연섬유의 함량은 1 ~ 70 중량%이고, 상기 고분자의 함량은 1 ~ 98%이며, 상기 세라믹 시트의 함량은 1 ~ 30 중량%인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라믹 시트는 상기 천연섬유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의 적어도 한 면 또는 중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에 사용될 수 있는 천연섬유의 예로는 침엽수 펄프, 활엽수 펄프 등의 목재 펄프; 짚(straw), 버개스(bagasse), 갈대, 대나무, 인피 섬유, 면, 케나프 섬유 등의 비목재 섬유; 미세조류 부산물;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담수 조류 등의 해조류 부산물; 실크 섬유; 헤네켄 섬유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중에서 미세조류 부산물은 미세조류로부터 바이오 디젤을 제조하기 위해 지질 추출공정을 거친 후 남은 부산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조류 섬유는 해조류로부터 불순물 제거, 용매추출 및 탈색과정에 의해 제조된 해조류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천연섬유로 목재 펄프 또는 비목재 섬유를 사용할 경우에는 길이가 0.1mm ~ 3cm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목재 펄프 또는 비목재 섬유의 길이가 0.1mm 미만인 경우에는 바이오 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3c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특성 저하 또는 분산투입이 어렵기 때문에 균일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 바이오 복합재료의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세조류 부산물 또는 해조류 부산물을 사용할 경우 그 길이는 0.1 ~ 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조류 부산물 또는 해조류 부산물의 길이가 0.1㎛ 미만인 경우에는 바이오 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0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특성 저하 또는 분산투입이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 중 천연섬유의 함량은 1 ~ 70 중량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섬유의 함량이 1 중량 % 미만인 경우에는 바이오 복합재료로서의 친환경 특성 혹은 기계적 특성향상을 위한 보강재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고, 7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천연섬유 사이에 고분자 매트릭스가 충분히 스며들 수 없어 계면접착 특성이 나쁘게 되고 이에 의해 바이오 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이오 복합재료에 사용되는 고분자로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생분해성 고분자, 범용 고분자면 제한 없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생분해성 고분자로는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분해되는 물질인 폴리 유산(PLA), 폴리 카프로락톤(PCL), PCL과 전분의 블렌드체,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PBS) 등을 들 수 있고, 범용 고분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이오 복합재료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로서, 고분자 분말의 형태는 구형, 실린더형, 분말형, 섬유형 등일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 분말의 공급량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바이오 복합재료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의 두께는 0.1mm ~ 10cm 정도가 적당하다. 바이오 복합재료의 두께가 0.1mm 미만인 경우에는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천연섬유가 충분하게 포함되기 어렵고, 10c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바이오 복합재료를 파형 혹은 허니컴형으로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에 내열성과 난연성을 부여하는 세라믹 시트는 세라믹 섬유를 주 원료로서 포함하는 시트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세라믹 시트 중 세라믹 섬유의 함량은 50 중량 % 이상이고, 세라믹 섬유를 포함한 무기물의 함량이 60 중량 % 이상인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믹 섬유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이거나 무기물의 함량이 60 중량 % 미만인 경우에는 세라믹 시트의 치수안정성이 저하되고 우수한 내열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구체적으로 세라믹 섬유는 SiO2, Al2O3, CaO, MgO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세라믹 시트는 세라믹 섬유 이외에 유기 섬유, 무기 첨가제, 유기 첨가제, 무기 응집제, 유기 응집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섬유는 세라믹 시트의 제조시 성형성을 개선하고, 세라믹 시트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데, 구체적인 예로는 셀룰로오스(펄프) 섬유, 실크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섬유는 세라믹 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3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기 섬유의 함량이 세라믹 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 또는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라믹 시트의 성형성, 인장강도 등의 특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내지 못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무기 첨가제는 세라믹 섬유와 유기 섬유들 사이에 분포하여 이들 섬유들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세피오라이트(sepiolite), 실리카, 알루미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기 첨가제는 세라믹 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 3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첨가제의 함량이 세라믹 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미만 또는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세라믹 섬유와 유기 섬유들 간의 결합력 증대의 특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내지 못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유기 첨가제는 세라믹 시트 제조시 슬러리 내에서 섬유의 해리와 분산특성을 증대시키며, 성형성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세라믹 섬유와 유기 섬유들 사이에 분포하여 이들 섬유들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소디움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첨가제는 상기 세라믹 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30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유기 첨가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 또는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라믹 시트의 성형성, 세라믹 섬유와 유기 섬유들 간의 결합력 증대 등의 특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내지 못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무기 응집제 및 유기 응집제는 세라믹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슬러리 내에 첨가된 첨가물들 간의 이온결합을 촉진하거나 이들 첨가물들이 결합된 상태로의 슬러리 내에서의 분산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응집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황산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염화철, 황산철, 폴리 알루미늄 크로라이드, 폴리 알루미늄 설페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유기 응집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양성전분, 폴리디알리디메틸암모늄(PDADMAC), 음이온 폴리아크릴아마이드 (A-PAM)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러리 내에 첨가되어 있는 물질들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물질과 분산용도로 첨가되는 물질을 포함한다.
무기 응집제 및 유기 응집제의 첨가량은 사용되는 응집제 및 분산제의 이온 농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슬러리의 제타전위를 측정하였을 때 -100mV ~ +100mV가 될 수 있는 범위가 적당하다. 상기 무기 응집제 또는 유기 응집제를 첨가할 때 슬러리의 제타 전위가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슬러리 내의 응집 및 분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세라믹 시트의 제조 방법은 a) 정제수에 세라믹 섬유, 유기 섬유, 무기 첨가제, 유기 첨가제 등을 첨가하여 1차 교반한 다음, 무기 응집제, 유기 응집제 등을 첨가하고 2차 교반하여 슬러리를 얻는 단계, b) 상기 슬러리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c) 상기 불순물을 제거한 슬러리를 초지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에 있어서, 세라믹 시트의 두께는 0.05 ~ 5m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라믹 시트의 두께가 0.05mm 미만인 경우에는 세라믹 시트를 제조하기 어렵고, 5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바이오 복합재료의 제조시 세라믹 시트와 고분자 매트릭스와의 치밀한 결합을 이루기 어렵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세라믹 시트는 바이오 복합재료의 어느 한 면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바이오 복합재료의 양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바이오 복합재료의 두께가 0.1mm 미만인 경우에는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천연섬유가 충분하게 포함되기 어렵고, 10c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바이오 복합재료를 파형 혹은 허니컴형으로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의 제조 공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은 1) 세라믹 시트 상에 절단된 천연섬유 및 고분자 분말을 분산시키는 단계; 2) 상기 천연섬유와 고분자가 분산된 세라믹 시트를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 분말을 용융시킨 후, 압축 성형하는 단계; 3) 상기 압축 성형된 복합재료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2) 단계의 압축성형은 성형 압축롤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성형 압축롤의 압축력은 0.1 kgf/c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10 kgf/cm2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력이 0.1 kgf/cm2 미만인 경우에는 천연섬유와 고분자 매트릭스 사이에 결합력이 약해지며 또한 바이오 복합재료의 평활도가 크게 저하될 수 있으며, 10 kgf/cm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융된 고분자가 성형롤 외부로 밀려 나와 원하는 두께의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압축성형시 다수 개의 성형 압축롤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조되는 시트의 치밀도가 높아지고, 평활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는 상기 2) 단계 이후 형성된 복합재료를 냉각시킴으로써 최종적인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3) 단계 이후 고분자를 다시 가열 용융한 다음 세라믹 시트를 한 층 더 적층하여 가열 압축 성형함으로써 세라믹 시트가 양면에 적층된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 고분자 매트릭스와 일체화된 세라믹 시트상에서 1) 절단된 천연섬유 및 고분자 분말을 분산시키는 단계; 2) 상기 천연섬유와 고분자가 분산된 세라믹 시트를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 분말을 용융시킨 후, 압축 성형하는 단계; 및 3) 상기 압축 성형된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를 한번 더 수행함으로써 세라믹 시트가 중간에 위치하는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용된 세라믹 시트, 천연섬유, 고분자 매트릭스 등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 또 다른 특징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는 평판형, 편파형, 평판 및 편파 복합형, 허니컴형 구조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들이 적층된 다층 구조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될 수 있는 바이오 복합재료의 다양한 형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있다.
이 중에서 바이오 복합재료를 편파형으로 성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바이오 복합재료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평판형 시트의 표면온도를 50 ~ 150℃로 유지하여 파형화 롤을 거치는 공정으로 통해 파형화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이 공정은 바이오 복합재료 시트 제조 장치에 편파 성형롤을 장착하여, 연속 공정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파형화 시트의 적어도 한 면의 산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여기에 바이오 복합재료 평판 시트를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시켜 복합 구조를 갖는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합형 바이오 복합재료는 단순히 두 장의 평판시트형 바이오 복합재료를 적층시킨 것보다 강도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는 허니컴형 구조로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이오 복합 편파성형체를 적어도 2개 이상 적층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며, 허니컴형 바이오 복합재료는 인장강도 등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실제 포장재나 건축 자재 등으로 널리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세라믹 시트의 제조
슬러리 탱크에 세라믹 섬유 100 중량부를 넣고, 세라믹 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00 중량부, 유기 첨가제 20 중량부를 슬러리 탱크에 첨가하였고, 그 후 세라믹 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 섬유 20 중량부를 슬러리 탱크에 투입하였다. 그리고, 세라믹 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 첨가제 25 중량부를 슬러리 탱크에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첨가물들이 슬러리 탱크 내에서 충분히 풀어지도록 1,500rpm으로 2시간 동안 1차 교반하였다.
상기에서 세라믹 섬유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섬유(Al2O3-SiO2)를 사용하였고, 유기 섬유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사용하였으며, 무기 첨가제는 섬유상 천연광물인 세피오라이트를 사용하였고, 유기 첨가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였다.
1차 교반 후 슬러리 내 첨가물들의 미세한 입자들이 시트 제조시에 와이어메시를 통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세라믹 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 응집제 1.85 중량부, 유기 응집제 1.85 중량부를 슬러리 탱크에 첨가하여 슬러리를 완성하였고 그 후 슬러리 내에서 응집되어 있는 첨가물들이 강제 교반에 의해 응집이 풀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300rpm으로 30분 동안 2차 교반을 실시하였다.
상기에서 무기 응집제는 알루미늄 설페이트를 사용하였고, 유기 응집제는 폴리디알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PDADMAC)를 사용하였다.
2차 교반을 마친 슬러리는 정량펌프를 사용하여 비중분리장치로 이송하여 슬러리 내의 세라믹 섬유, 유기 섬유, 무기 첨가제, 유기 첨가제, 무기 응집제, 유기 응집제와 같은 첨가물보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시트 제조장치로 공급하였다.
비중분리장치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슬러리는 시트 제조장치의 와이어메시에 공급되어 고르게 분포시킨 다음 자연탈수 및 흡입탈수과정을 거치면서 함수율이 82%인 세라믹 시트 초지를 얻었다. 이렇게 성형된 세라믹 시트 초지는 압축압력이 6 kgf/cm2인 4단의 압축롤을 통과시키는 압착탈수과정을 거쳐 세라믹 시트의 수분을 강제 탈수시켜 함수율이 63%가 되도록 하였다. 자연탈수, 흡입탈수 및 압착탈수과정을 거쳐 성형이 완료된 세라믹 시트 초지의 함수율을 더욱 낮추기 위하여 표면온도가 150℃로 유지되고 있는 건조롤을 통과시켜 함수율 12%인 세라믹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단면에 세라믹 시트가 부착된 바이오 복합재료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천연섬유로 헤네켄 섬유, 케나프 섬유, 실크를 각각 보강재로 이용한 친환경 특성의 경량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고분자 매트릭스는 범용 고분자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주)한화폴리드리머)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바이오 복합재료 제조시에 천연섬유 상부에 공급되는 고분자의 분산이 잘 이루어지도록 폴리프로필렌은 직경 0.1 ~ 1mm인 구형으로 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세라믹 시트 상에 5 ~ 10mm 길이로 자른 헤네켄, 케나프 또는 실크와 같은 천연 섬유를 진동공급장치를 이용하여 공급한 후, 상기 천연섬유 위에 폴리프로필렌 구형 분말을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공급하였다.
그 다음 상기 폴리프로필렌 구형 분말이 완전히 용융되도록 150 ~ 180℃ 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그 후 압축력이 0.2 kgf/cm2 인 성형 압축롤을 이용하여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고, 공기냉각장치를 이용하여 상온까지 냉각하여 세라믹 시트가 부착된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양면에 세라믹 시트가 부착된 바이오 복합재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폴리프로필렌이 용융되도록 가열한 후, 용융된 폴리프로필렌 위에 세라믹 시트를 추가로 공급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에 세라믹 시트가 부착된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도 2에는 헤네켄, 케나프, 실크를 천연섬유로 사용한 바이오 복합재료로서, 왼쪽부터 세라믹 시트가 부착되지 않은 바이오 복합재료, 단면에 세라믹 시트가 부착된 바이오 복합재료 및 양면에 세라믹 시트가 부착된 바이오 복합재료의 실제 사진이 각각 나타나있다.
실시예
4:
편파형
구조를 갖는 바이오 복합재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세라믹 시트를 함유한 바이오 복합재료의 표면온도를 50 ~ 150℃로 유지하면서 파형화 롤을 이용하여 편파형 시트를 제조하였다. (도 2의 b) 또한 상기 파형 시트의 산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실시예 2 또는 3에서 제조한 평판시트형 바이오 복합재료를 상부 또는 상하부에 추가적으로 부착시켜 판형 시트와 파형 시트가 복합된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도 2c 및 도 3의 c, d)
실시예
5:
허니컴
구조를 갖는 바이오 복합재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판형 시트와 파형 시트가 복합된 바이오 복합재료를 여러 개 적층시켜 허니컴형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도 2c 및 도 3의 e) 이와 같이 입체적으로 구성된 바이오 복합재료는 강도와 충격흡수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자동차 또는 건축 자재로 사용할 수 있다.
실험예
1: 바이오 복합재료의 물리적 특성 분석
A. 특성측정방법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의 특성을 굴곡강도 시험 (Flexural Test), 그리고 충격강도 시험 (Izod Impact Test)을 실시하였고, 동역학적 특성 분석 (Dynamic mechanical Analysis)과 열팽창 특성 분석 (Thermomechanical Analysis)로 실시하였다.
(1) 굴곡특성
바이오 복합재료의 굴곡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만능재료시험기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Tinius olsen Ltd., H-50K-S T, Redhill, England)를 사용하였다. 굴곡시험은 국제표준 시험법인 ASTM D 790 Method Ⅰ(three-point loading)에 의거하여 3점 굴곡 (three point bending)방법으로 상온 (room temperature; 23±2℃ and 50±5% relative humidity)에서 측정하였고, 시편의 크기는 50㎜×25㎜×2㎜로 준비하였다. 시편의 span-to-depth 비율은 16, load cell은 50kN, cross head speed는 1㎜/min으로 설정하였다.
(2) 동역학적 특성 분석(Dynamicmechanical Analysis)
바이오 복합재료의 동역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동역학적열특성 분석기 (Dynamic mechanical Analyzer, DMA Q-800, TA Instrument)를 이용하여 저장탄성률 (storage modulus) 및 Tanδ값을 측정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시편의 크기는 35.0㎜×11.0㎜×1.7㎜로 제조하였다. BRAF/PLA 바이오 복합재료는 -30~150℃까지, BRAF/PP/nano-clay 바이오 복합재료는 -30℃~100℃까지 액체질소 분위기에서 측정하였다. 승온속도는 분당 5℃로 각각의 복합재료 시편이 장치 내 가열로에서 열적으로 충분히 평형상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편은 single cantilever mode에서 sinusoidally oscillating frequency가 동적으로 작용하는 조건 하에서 진행하였다. 사용된 진동수 (frequency)는 1Hz로 고정시켰고, 진동폭 (oscillating amplitude)은 0.2㎜로 유지하였다.
(3) 열팽창 특성 분석(Thermomechanical Analysis)
바이오 복합재료의 두께방향에 대한 열팽창 거동을 측정하기 위해 열기계적 특성 분석기 (Thermomechanical Analyzer, TMA Q-400, TA Instrument)를 사용하였으며 측정값은 열팽창계수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시편의 크기는 7.0㎜×7.0㎜×1.7㎜로 제작하였으며 수분흡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절단된 바이오 복합재료를 데시케이터에 넣어 24시간 이상 보관 후 측정에 사용하였다. 승온속도는 분당 5℃로 하여 100℃까지 가열시켰고, 시편의 팽창정도를 측정하는 probe 주위를 100㎖/min의 질소분위기로 유지하였다.
B. 특성분석 결과
이하에서 세라믹 시트의 사용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의 밀도, 저장탄성률, 열팽장률, 굴곡탄성률을 도 3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9에서, PP는 폴리프로필렌, HQ는 헤네켄 섬유, KE는 케나프 섬유, SK는 실크, BRAF는 홍조류 섬유를 표기한 것이다.
도 5는 세라믹 시트의 유무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의 밀도 변화 그래프를 보여준다. 세라믹 시트를 첨가한 바이오 복합재료의 밀도는 바이오 복합재료의 밀도에 비해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며 이는 유리섬유 보강 고분자복합재료의 대체용으로 사용되는 바이오 복합재료의 친환경성과 경량 특성을 유지하면서 난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도 6는 세라믹 시트의 유무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의 저장탄성율 변화 그래프를 보여준다. 세라믹 시트를 첨가한 바이오 복합재료의 저장탄성률은 기존 바이오 복합재료의 저장탄성률에 비해 섬유의 종류에 따라 유사하거나 증가하고 있어 세라믹시트, 고분자 및 천연섬유의 하이브리드가 치밀하게 잘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도 7은 세라믹 시트의 유무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의 치수안정성 변화 그래프를 보여준다. 세라믹 시트를 첨가한 바이오 복합재료의 치수안정성을 보여주는 열팽창계수는 기존 바이오 복합재료에 비해 감소하여 온도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의 치수안정성이 세라믹 시트 하이브리드 구조에 의해 보다 향상된 것으로 분석된다.
도 8에는 세라믹 시트의 유무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의 굴곡 강도 변화가 나타나있으며, 도 9에는 굴곡 탄성율 그래프가 나타나있다. 세라믹 시트를 첨가한 바이오 복합재료의 굴곡특성은 강도와 탄성률에서 모두 유사하거나 증가하여 세라믹시트, 고분자 및 천연섬유의 하이브리드가 치밀하게 잘 이루어져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험예
2: 바이오 복합재료의 난연 특성 분석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의 난연 특성을 분석하였다. 바이오 복합 시트, 단면 세라믹 시트 부착 바이오 복합재료 (실시예 2) 및 양면 세라믹 시트 부착 바이오 복합재료 (실시예 3)를 제조하고 동일 조건 및 동일시간에 각 바이오 복합재료의 연소속도를 측정하여 난연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은 각각의 시료들에 대해 5개의 동일 시료들을 실험하고 평균값을 표시하였다.
도 10은 헤네켄 섬유를 보강재로 사용한 바이오 복합재료의 난연 특성을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a)는 천연섬유와 고분자 매트릭스로만 구성된 바이오 복합재료이고, (b)는 단면에 세라믹 시트를 포함하는 바이오 복합재료이며, (c)는 양면에 세라믹 시트를 포함하는 바이오 복합재료를 보여준다.
도 11은 케나프 섬유를 보강재로 사용한 바이오 복합재료의 난연 특성을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a)는 천연섬유와 고분자 매트릭스로만 구성된 바이오 복합재료이고, (b)는 단면에 세라믹 시트를 포함하는 바이오 복합재료이며, (c)는 양면에 세라믹 시트를 포함하는 바이오 복합재료를 보여준다.
이들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세라믹 시트를 사용하지 않은 바이오 복합재료는 쉽게 타서 형체가 없어지는 문제가 있으나, 세라믹 시트가 결합된 바이오 복합재료는 화염에서도 시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 난연성이 우수하다는 사실을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도 12에는 세라믹 시트의 유무에 따른 연소 평균 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가 나타나있다. HQNF+PP는 헤네켄 천연섬유 보강 폴리프로필렌 바이오 복합재료를 나타내며, HQNF+PP+CEST 단면에 세라믹시트를 가진 헤네켄 천연섬유 보강 폴리프로필렌 바이오 복합재료를 나타내고, CEST+HQNF+PP+CEST는 양면에 세라믹시트를 가진 헤네켄 천연섬유 보강 폴리프로필렌 바이오 복합재료를 나타낸다. 또한 천연섬유가 5 중량 % 이하인 경우와, 10 중량 %인 경우를 각각 표시하였다.
상기 그래프에서와 같이, 세라믹 시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복합재료가 세라믹 시트를 포함하지 않는 바이오 복합재료에 비해 연소 속도가 훨씬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천연섬유의 함량이 10 중량%인 경우에는 단면에만 세라믹 시트를 결합한 경우에도 연소 방지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3에는 천연섬유로 케나프를 사용한 경우의 연소 평균 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가 나타나있다. KENF+PP는 케나프 천연섬유 보강 폴리프로필렌 바이오 복합재료를 나타내며, KENF+PP+CEST는 단면에 세라믹시트를 가진 케나프 천연섬유 보강 폴리프로필렌 바이오 복합재료를 나타내고, CEST+KENF+PP+CEST는 양면에 세라믹시트를 가진 케나프 천연섬유 보강 폴리프로필렌 바이오 복합재료를 나타낸다. 헤네켄 사용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세라믹 시트의 결합에 따라 연소 평균 속도가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난연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세라믹 시트 상에 절단된 천연섬유 및 고분자 분말을 분산시키는 단계;
2) 상기 천연섬유와 고분자가 분산된 세라믹 시트를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 분말을 용융시킨 후, 압축 성형하는 단계; 및
3) 상기 압축 성형된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2) 상기 천연섬유와 고분자가 분산된 세라믹 시트를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 분말을 용융시킨 후, 압축 성형하는 단계; 및
3) 상기 압축 성형된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섬유는 목재 펄프, 비목재 섬유, 미세조류 부산물, 해조류 부산물, 실크 섬유 및 헤네켄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 천연섬유는 목재 펄프, 비목재 섬유, 미세조류 부산물, 해조류 부산물, 실크 섬유 및 헤네켄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폴리 유산(PLA), 폴리 카프로락톤(PCL), 폴리 유산(PLA)과 전분의 블렌드체,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PBS)와 같은 생분해성 고분자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범용성 고분자 및 이들의 브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 고분자는 폴리 유산(PLA), 폴리 카프로락톤(PCL), 폴리 유산(PLA)과 전분의 블렌드체,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PBS)와 같은 생분해성 고분자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범용성 고분자 및 이들의 브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시트는 SiO2, Al2O3, CaO, MgO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세라믹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 세라믹 시트는 SiO2, Al2O3, CaO, MgO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세라믹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시트 중 세라믹 섬유의 함량은 50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 세라믹 시트 중 세라믹 섬유의 함량은 50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 이후 고분자를 다시 가열 용융한 다음 세라믹 시트를 한 층 더 적층하여 가열 압축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라믹 시트가 양면에 부착된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 3) 단계 이후 고분자를 다시 가열 용융한 다음 세라믹 시트를 한 층 더 적층하여 가열 압축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라믹 시트가 양면에 부착된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삭제
천연섬유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상부에 적층된 세라믹 시트상에 1) 절단된 천연섬유 및 고분자 분말을 분산시키는 단계; 2) 상기 천연섬유와 고분자가 분산된 세라믹 시트를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 분말을 용융시킨 후, 압축 성형하는 단계; 및 3) 상기 압축 성형된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를 한번 더 수행함으로써 세라믹 시트가 중간에 위치하는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온도는 100 ~ 200℃이며, 압축력은 0.1 ~ 0.5 kgf/c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 용융 온도는 100 ~ 200℃이며, 압축력은 0.1 ~ 0.5 kgf/c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시트가 부착된 바이오 복합체를 재가열한 후 편파 성형롤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파형 구조를 갖는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 세라믹 시트가 부착된 바이오 복합체를 재가열한 후 편파 성형롤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파형 구조를 갖는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18251 | 2010-02-26 | ||
KR1020100018251 | 2010-02-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8605A KR20110098605A (ko) | 2011-09-01 |
KR101199571B1 true KR101199571B1 (ko) | 2012-11-12 |
Family
ID=4495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4155A KR101199571B1 (ko) | 2010-02-26 | 2010-12-07 |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957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7255B1 (ko) * | 2013-07-11 | 2014-12-01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로수 전정지를 이용한 바이오 플라스틱 성형방법 및 그 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된 바이오 플라스틱 제품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36966A (ja) * | 2002-02-13 | 2003-08-26 | Inoac Corp | 補強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100836271B1 (ko) * | 2007-05-23 | 2008-06-10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해조류 섬유를 보강재로 한 바이오복합재료를 이용한전자부품케이스 |
-
2010
- 2010-12-07 KR KR1020100124155A patent/KR1011995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36966A (ja) * | 2002-02-13 | 2003-08-26 | Inoac Corp | 補強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100836271B1 (ko) * | 2007-05-23 | 2008-06-10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해조류 섬유를 보강재로 한 바이오복합재료를 이용한전자부품케이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8605A (ko) | 2011-09-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37982B2 (ja) | 環境に優しい難燃性バイオ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 |
Muthuraj et al. | Sustainable thermal insulation biocomposites from rice husk, wheat husk, wood fibers and textile waste fibers: Elaboration and performances evaluation | |
Chen et al. | Natural fibers for automotive nonwoven composites | |
Akhil et al. | A comprehensive review on plant‐based natural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fabrica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 |
Sawpan et al. | Flexural properties of hemp fibre reinforced polylactide and unsaturated polyester composites | |
Henriksson et al. | Cellulose nanopaper structures of high toughness | |
Zhong et al. | Effect of surface microfibrillation of sisal fibr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isal/aramid fibre hybrid composites | |
Fortea-Verdejo et al. | Upgrading flax nonwovens: Nanocellulose as binder to produce rigid and robust flax fibre preforms | |
Wang et al. | Green bio-based aerogels prepared from recycled cellulose fiber suspensions | |
Tao et al. | Flamm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mposites fabricated with CaCO3-filled pine flakes and Phenol Formaldehyde resin | |
JP2014514240A (ja) | 高靱性セメント系複合材料中の3モードでブレンドされたファイバー | |
Leow et al. | A tough, biodegradable and water-resistant plastic alternative from coconut husk | |
US10850454B2 (en) | Porous single resin fiber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rous single resin fiber composite material | |
CA3002729C (en) | Method of producing films from high consistency enzyme fibrillated nanocellulose | |
Mehanny et al. |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tarch based bagasse fiber composite | |
Chougan et al. | High-performance polylactic acid compressed strawboard using pre-treated and functionalised wheat straw | |
KR101199571B1 (ko) |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 |
US20050196598A1 (en) | Thermally stable, non-woven, fibrous paper, derivatives thereof,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110098604A (ko) | 친환경 난연성 바이오 복합재료 | |
Song et al. | Bamboo–Alginate Composite as a Sustainable Structural Material | |
Zhu et al. | Recent advances on bast fiber composites: Engineering innovations, applications and perspectives | |
KR101268926B1 (ko) | 케이폭 섬유 복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040574B1 (ko) |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하여 물성이 향상된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009811B1 (ko) | 복합재 예비성형 보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
Aloulou et al. | Effect of modified fibre flour wood on the fresh condition properties of cement-based morta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