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375B1 - 세탁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375B1
KR101199375B1 KR1020050128788A KR20050128788A KR101199375B1 KR 101199375 B1 KR101199375 B1 KR 101199375B1 KR 1020050128788 A KR1020050128788 A KR 1020050128788A KR 20050128788 A KR20050128788 A KR 20050128788A KR 101199375 B1 KR101199375 B1 KR 101199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
coupled
panel
frame
contro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7464A (ko
Inventor
한일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8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375B1/ko
Publication of KR20070067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탁 장치의 배치 상태에 관계없이 사용자에 의한 각종 조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컨트롤 패널이 세탁 장치의 내부로부터 제공되는 고온의 열기나 수분 등으로부터 안정적일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구조의 세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캐비닛과, 전면을 형성하는 커버 캐비닛 및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 하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 캐비닛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 패널 프레임; 그리고,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운전에 필요한 각종 조작이 이루어지는 컨트롤 패널: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가 제공된다.
세탁 장치, 적층, 컨트롤 패널, 하부 패널 프레임, 커버 패널

Description

세탁 장치{laundry device}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두 종류의 세탁 장치가 적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외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 중 본체 케이스의 저부에 하부 패널 프레임이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 중 컨트롤 패널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가 여타 세탁 장치의 상측에 적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케이스 110. 사이드 캐비닛
120. 커버 캐비닛 121. 제1테두리부
122. 제1결합공 130. 베이스 프레임
131. 제2결합편 200. 하부 패널 프레임
210. 몸체부 211. 커넥팅부
220. 상측 테두리부 221. 제1결합편
230. 하측 테두리부 231. 제2결합공
240. 측면 테두리부 300. 컨트롤 패널
310. 선택 버튼 320. 조작 다이얼
400. 상부 패널 프레임 410. 측면 테두리부
500. 커버 패널
본 발명은 세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설치 상태에 관계없이 사용자에 의한 각종 조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세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 장치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와, 세탁물을 세탁함과 더불어 건조 기능도 가지는 건조 겸용 세탁기와, 의류 등의 건조만을 수행하는 의류 건조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한 세탁 장치는 세탁물의 투입 방향(혹은, 드럼의 설치 구조)에 따라 크게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탑 로딩 방식의 세탁 장치는 세탁물을 상부로 투입하거나 취출하도록 구성되며, 드럼은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로딩 방식의 세탁 장치는 세탁물을 전면으로 투입하거나 취출하도록 구성되며, 드럼은 수평하게 눕혀지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로딩 방식의 세탁 장치는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예컨대, 첨부된 도 1과 같이 하부에는 드럼식 세탁기 혹은, 건조겸용 세탁기(1)가 구비되고, 상기 드럼식 세탁기의 상면으로 의류 건조기(2)가 적층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두 드럼식 세탁기가 서로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두 의류 건조기가 서로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두 세탁 장치가 서로 적층된 상태로 사용될 경우 상측에 위치되는 세탁 장치의 조작을 위한 컨트롤 패널이 사용자의 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되기 때문에 조작이 불편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컨트롤 패널의 조작이 편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컨트롤 패널이 세탁 장치의 내부로부터 제공되는 고온의 열기나 수분 등으로부터 안정적일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구조의 세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탁 장치에 따르면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캐비닛과, 전면을 형성하는 커버 캐비닛 및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 하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 캐비닛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 패널 프레임; 그리고,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운전에 필요한 각종 조작이 이루어지는 컨트롤 패널: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는 크게 본체 케이스(100)와, 하부 패널 프레임(200) 및 컨트롤 패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 케이스(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 케이스(100)는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캐비닛(110)과, 전면을 형성하는 커버 캐비닛(120) 및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130;도 4에 도시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 케이스(100)의 전면 상단 및 하단은 개구되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은 상기 컨트롤 패널(300)이 설치되는 부위이다.
상기한 하부 패널 프레임(200)은 상기 본체 케이스(100)의 개구된 전면 하단을 차폐하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둘레를 따라 전방측을 향해 절곡된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몸체부(210)의 상단에 형성된 상측 테두리부(220)와, 상기 몸체부(210)의 하단에 형성된 하측 테두리부(230) 및 상기 몸체부(210)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 테두리부(2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측 테두리부(220)는 커버 캐비닛(120)과 결합되고, 상기 하측 테두리부(230)는 베이스 프레임(130)에 결합되며, 상기 측면 테두리부(240)는 상기 컨트롤 패널(300)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은 상기 본체 케이스(10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 캐비닛(120)의 하측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 캐비닛(120)의 저면 둘레에는 제1테두리부(121)가 내향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테두리부(12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공(122)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의 상측 테두리부(상면)(220)에는 상기 제1결합공(122)에 삽입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편(221)이 각각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결합편(221)은 그 상부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점차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별도의 조작이 없는 한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이 그의 전방측으로 탈거됨은 방지된다. 이때, 상기한 제1결합편(221)은 랜스 가공(lancing)에 의해 형성되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의 하측 테두리부(하면)(2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공(231)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30)의 전방측 끝단에는 상기 제2결합공(231)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편(131)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결합편(131)은 상부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점차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하부 패널 프레임(200)의 몸체부(210)에는 커넥팅부(211)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넥팅부(211)는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의 그 전방으로 컨트롤 패널(300)이 장착될 경우 상기 컨트롤 패널(300)로 연결되는 전원선 및/혹은, 각종 신호선과의 연결을 위해 구성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 패널(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컨트롤 패널(300)은 운전에 필요한 각종 조작이 이루어지는 부위로써, 도시된 도 2와 같이 그 전면에는 다수의 선택 버튼(310)과 조작 다이얼(320)이 구비되며, 그 후면에는 회로기판(도시는 생략됨)이 설치된다.
상기한 컨트롤 패널(300)은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의 전방이나 본체 케이스(100)의 개구된 전면 상부(커버 캐비닛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 패널(300)과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 간의 결합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사 체결에 의해 서로 간이 결합됨을 제시한다.
즉,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양측면과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테두리부(240)를 나사(10)로 체결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4와 같이 본체 케이스(100)의 개구된 전면 상부(커버 캐비닛의 상단)에 상부 패널 프레임(400)이 더 설치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상부 패널 프레임(400)은 상기 컨트롤 패널(30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방출되는 열기나 습기 등이 상기 컨트롤 패널(300)로 제공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상부 패널 프레임(400)의 양측면에는 측면 테두리부(440)가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300)이 상기 상부 패널 프레임(400)의 측면 테두리부(44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상부 패널 프레임(400)에도 커넥팅부(411)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2 및 도 5와 같이 커버 패널(500)이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커버 패널(500)은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300)의 전방 혹은, 상부 패널 프레임(400)의 전방 중 어느 한 패널 프레임에 상기 컨트롤 패널(300)이 결합될 경우 다른 한 패널 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된다.
상기한 커버 패널(500)의 전반적인 형상은 상기 컨트롤 패널(300)과 동일하게 형성되되, 선택 버튼(310)과 조작 다이얼(320) 및 회로기판(도시는 생략됨)이 구비되지는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커버 패널(500)에도 상기 선택 버튼(310)과 조작 다이얼(320) 및 회로기판(도시는 생략됨)이 구비될 수도 있고, 여타의 도안(예컨대, 상표 등) 등이 프린팅될 수도 있다.
상기한 커버 패널(500)은 상기 컨트롤 패널(300)이 장착되지 않은 부위가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하여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불만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 중 하부 패널 프레임(200)을 본체 케이스(100)에 결합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하부 패널 프레임(200)을 본체 케이스(10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본체 케이스(100)의 사이드 캐비닛(110)과 베이스 프레임(130)을 서로 결합한다.
이의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30)의 전방에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을 결합한다.
이는,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의 하측 테두리부(230)에 형성된 제2결합공(23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30)에 형성된 제2결합편(131)을 일치시킨 후 상기 제2결합편(131)이 상기 제2결합공(231)을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로 인해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30)과의 결합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한 일련의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의 상부로 커버 캐비닛(120)을 결합한다.
이는,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의 상측 테두리부(220)에 형성된 제1결합 편(221)을 상기 커버 캐비닛(120)의 제1테두리부(121)에 형성된 제1결합공(122)을 일치시킨 후 상기 제1결합편(221)이 상기 제1결합공(122)을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로 인해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과 상기 커버 캐비닛(120)과의 결합이 완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체 케이스(100)와 하부 패널 프레임(200) 간의 결합 순서는 전술한 일련의 과정으로만 진행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커버 캐비닛(120)을 사이드 캐비닛(110)과 먼저 결합한 후에 상기 커버 캐비닛(120)에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을 결합한 후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과 상기 사이드 캐비닛(110)에 베이스 프레임(130)을 결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부 패널 프레임(400)을 본체 케이스(100)에 결합하는 과정 역시 전술한 하부 패널 프레임(200)을 본체 캐이스(100)에 결합하는 일련의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하면 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세탁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컨트롤 패널(300)의 설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세탁 장치가 또 다른 여타의 세탁 장치의 측편에 배치되거나, 단독으로 사용될 때에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상기 컨트롤 패널(300)은 본체 케이스(100)의 전면 상측 부위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본체 케이스(100)의 전면 하측 부위인 하부 패널 프레임(200)의 전방에는 커버 패널(500)이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한 세탁 장치가 또 다른 여타의 세탁 장치의 상측에 적층될 때에는 첨부된 도 5와 같이 상기 컨트롤 패널(300)을 상기 본체 케이스(100)의 전면 하측 부위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컨트롤 패널(300)을 상부 패널 프레임(400)으로부터 탈거한다.
이는,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양측면에 결합된 나사(10)를 분리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즉, 상기 나사(10)의 분리에 의해 상기 컨트롤 패널(300)과 상기 상부 패널 프레임(400)간의 결합은 해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회로기판과 상기 상부 패널 프레임(400)의 커넥팅부(411)와 연결된 각종 전선(전원선 및 신호선 등)은 서로 분리한다.
전술한 일련의 과정이 완료되면 커버 패널(500)을 하부 패널 프레임(200)으로부터 탈거한다.
이 역시, 상기 커버 패널(500)의 양측면에 결합된 나사(10)를 분리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즉, 상기 나사(10)의 분리에 의해 상기 컨트롤 패널(300)과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간의 결합은 해제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커버 패널(500)을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으로부터 탈거하는 과정은 상기 컨트롤 패널(300)을 상기 상부 패널 프레임(400)으로부터 탈거하는 과 정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컨트롤 패널(300)과 커버 패널(500)의 분리가 완료되면 상기 컨트롤 패널(300)은 하부 패널 프레임(200)의 전방에 결합하고, 상기 커버 패널(300)은 상부 패널 프레임(400)의 전방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 패널(300)과 하부 패널 프레임(200) 간의 결합 및 상기 커버 패널(500)과 상부 패널 프레임(400) 간의 결합은 나사(10)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컨트롤 패널(300)을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에 결합하기 전에는 회로기판에 연결된 각종 전선을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200)의 커넥팅부(211)에 연결한다.
결국,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상기 컨트롤 패널(300)은 상기 본체 케이스(100)의 전면 하측에 위치되고, 이로 인해 해당 세탁 장치가 사용자의 키에 비해 높이 위치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위치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곳에 위치된다.
만일, 상기한 상태에서 상기 세탁 장치를 다시 별개로 배치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여타 세탁 장치의 측편에 배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일련의 과정(컨트롤 패널을 하부 패널 프레임에 결합하는 일련의 과정)과는 역순으로 상기 컨트롤 패널(300)을 상부 패널 프레임(400)에 결합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는 컨트롤 패 널의 위치를 상기 세탁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세탁 장치의 배치 상태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는 컨트롤 패널이 장착되는 부위에 상부 패널 프레임 및 하부 패널 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세탁 장치의 내부로부터 제공되는 고온의 열기나 수분 등으로부터 상기 컨트롤 패널이 안정적일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하부 패널 프레임은 본체 케이스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0)

  1.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캐비닛과, 전면을 형성하는 커버 캐비닛 및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 하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 캐비닛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 패널 프레임; 그리고,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운전에 필요한 각종 조작이 이루어지는 컨트롤 패널: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캐비닛의 저면 둘레를 따라 제1테두리부가 내향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테두리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제1결합공에 삽입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편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편은
    상부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의 저면 둘레를 따라 제2테두리부가 내향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테두리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측 끝단에는 상기 제2결합공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편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편은
    상부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 중 전면 상부에는 상부 패널 프레임이 더 설치되고,
    상기 상부 패널 프레임의 전방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이 선택적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 프레임 혹은, 하부 패널 프레임 중 어느 한 패널 프레임에 상기 컨트롤 패널이 결합될 경우 다른 한 패널 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는 커버 패 널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상부 패널 프레임 혹은,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 중 어느 한 패널 프레임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의 전방 혹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 상부 중 어느 한 곳에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 프레임의 전방 혹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 상부 중 상기 컨트롤 패널이 결합되지 않은 측에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커버 패널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KR1020050128788A 2005-12-23 2005-12-23 세탁 장치 KR101199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788A KR101199375B1 (ko) 2005-12-23 2005-12-23 세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788A KR101199375B1 (ko) 2005-12-23 2005-12-23 세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464A KR20070067464A (ko) 2007-06-28
KR101199375B1 true KR101199375B1 (ko) 2012-11-09

Family

ID=3836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788A KR101199375B1 (ko) 2005-12-23 2005-12-23 세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3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48840C (en) 2008-12-30 2014-01-28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with tub support
KR101698855B1 (ko) * 2009-05-28 201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102562190B1 (ko) 2020-02-19 2023-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647029B1 (ko) * 2020-02-19 2024-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10105683A (ko) 2020-02-19 2021-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464A (ko)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0352B2 (ja) 洗濯物処理装置
KR101155264B1 (ko) 건조기의 컨트롤 패널 장착 구조
US7269979B2 (en) Set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nd rear cover assembly thereof
KR101199375B1 (ko) 세탁 장치
US20070169520A1 (en) Washing appliance
JP2008541791A (ja) 位置変更式コントローラを有する洗濯または洗濯物乾燥のための機械装置
US20090025432A1 (en) Laundry machine having changeable controlling part and dual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199376B1 (ko) 세탁 장치
KR101306694B1 (ko) 세탁 장치
KR101265588B1 (ko) 세탁 장치
JP2009523052A (ja) 位置変更式の制御部付き洗濯器機及びデュアル洗濯器機
KR101259108B1 (ko) 세탁 장치
KR20070075543A (ko) 위치 변경식 콘트롤러를 갖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위한 기계장치
JP2005512741A (ja) 洗濯機および乾燥機用リアカバーアセンブリ、およびこれを用いる洗濯システム
KR101306693B1 (ko) 세탁 장치
KR101265591B1 (ko) 세탁 장치
KR101265590B1 (ko) 세탁 장치
KR101306692B1 (ko) 세탁 장치
US7415846B2 (en) Button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667580B1 (ko) 세탁장치
RU2363788C1 (ru) Стиральная или 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содержащая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о сменным положением
KR20070067467A (ko) 세탁 장치
KR101259101B1 (ko) 세탁장치
KR20070067368A (ko) 세탁장치
KR101227478B1 (ko) 세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