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259B1 - Optical bio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biological material using holey fiber - Google Patents

Optical bio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biological material using holey fi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259B1
KR101198259B1 KR20100108015A KR20100108015A KR101198259B1 KR 101198259 B1 KR101198259 B1 KR 101198259B1 KR 20100108015 A KR20100108015 A KR 20100108015A KR 20100108015 A KR20100108015 A KR 20100108015A KR 101198259 B1 KR101198259 B1 KR 101198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 period
core region
biomaterial
holes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080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46396A (en
Inventor
안진수
김길환
이관일
이상배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100108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259B1/en
Publication of KR20120046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3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259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Abstract

다공 광섬유(holey fiber)를 이용한 광 바이오 센서는, 게르마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어 영역; 상기 코어 영역 내에 형성된 장주기 격자; 및 상기 코어 영역 주위에 배열되며 바이오 물질이 주입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는 클래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주기 격자는 공진 파장의 코어 모드 광신호를 클래딩 모드 광신호로 변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 광섬유를 이용한 광 바이오 센서는 제작 비용이 적고 바이오 물질의 검출을 위한 장주기 격자의 제작이 간단하여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클래딩 영역에 위치한 홀의 직경이 커 민감도를 높일 수 있다.An optical biosensor using a porous fiber includes a core region including germanium; A long period grating formed in said core region; And a cladding region arranged around the core region and including one or more holes configured to inject a biomaterial. In this case, the long period grating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ore mode optical signal having a resonance wavelength into a cladding mode optical signal. The optical biosensor using the porous optical fiber can be manufactured in a large amount because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the long period grating for the detection of the biomaterial is simple, and the diameter of the hole located in the cladding region can be increased to increase sensitivity.

Description

다공 광섬유를 이용한 광 바이오 센서 및 바이오 물질 검출 방법{OPTICAL BIO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BIOLOGICAL MATERIAL USING HOLEY FIBER}Optical biosensor and biomaterial detection method using porous optical fiber {OPTICAL BIO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BIOLOGICAL MATERIAL USING HOLEY FIBER}

실시예들은 다공 광섬유(holey fiber)를 이용한 광 바이오 센서 및 바이오 물질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relate to an optical biosensor and a biomaterial detection method using a porous fiber.

바이오 센서는, 특정 물질에 대해서 인식 기능을 가지는 생물학적 수용체가 전기적 또는 광학적 변환기와 결합되어, 생물학적 상호작용 및 인식 반응을 전기적 또는 광학적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을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소자를 일컫는다. 바이오 센서에 의해 바이오 물질의 유무 및 농도의 변화 등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바이오 센서는 의료, 환경,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바이오 센서에 의해 감지할 수 있는 물질에는 DNA, 항원, 항체, 혈당 등의 단백질 및 화학 물질 등이 포함된다. A biosensor is a device that can selectively detect a substance to be analyzed by combining a biological receptor having a recognition function with a specific material with an electrical or optical transducer and converting a biological interaction and a recognition response into an electrical or optical signal. It is called. Since the biosensor can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biomaterial and a change in concentration, the biosensor is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medical care, environment, and food. Substances that can be detected by the biosensors include proteins such as DNA, antigens, antibodies, blood sugar, and chemicals.

최근에는, 단백질에 형광 물질을 결합시킨 후 형광도를 측정하여 바이오 물질을 검출하는 라벨(label) 방식보다, 형광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고 빠르게 바이오 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라벨-프리(label-free) 방식의 바이오 센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라벨-프리 방식의 바이오 센서 중에서도 측면 연마된 광섬유(side-polished fiber)에 장주기 격자를 형성한 바이오 센서, 광자결정 광섬유에 장주기 격자를 형성한 바이오 센서 등 광학적으로 바이오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Recently, a label-free method can be used to detect biomaterials simply and quickly without using fluorescent materials, rather than labeling biomaterials by measuring fluorescence after binding fluorescent materials to proteins. Research on free type of biosensor is being conducted. Among the label-free biosensor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optically detect biomaterials such as biosensors in which long-period gratings are formed on side-polished fibers and biosensors in which long-period gratings are formed on photonic crystal fibers. It is becoming.

도 1은 광자결정 광섬유에 장주기 격자를 형성한 종래의 바이오 센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1 is a photograph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nventional biosensor in which a long period grating is formed on a photonic crystal optical fiber.

도 1을 참조하면, 광자결정 광섬유에 장주기 격자를 형성한 바이오 센서는 광섬유의 클래딩(cladding) 영역에 어레이 형태로 배열되며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직경을 갖는 복수의 공기 구멍을 이용하여 바이오 물질을 검출한다. 그러나, 광자결정 광섬유의 특성상 장주기 격자를 자외선(UV) 조사 방법으로 손쉽고 일정하게 제작할 수는 없다. 또한, 클래딩 영역에 위치한 공기 구멍의 개수는 많으나 그 크기가 현저하게 작아 민감도가 제약되는 문제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1, a biosensor having a long period grating formed on a photonic crystal fiber detects biomaterials using a plurality of air holes arranged in an array in a cladding region of the optical fiber and having a diameter of micrometers. .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photonic crystal optical fiber, the long-period grating cannot be easily and consistently produced by the ultraviolet (UV) irradiation method. In addition, although the number of air holes located in the cladding region is large, the size of the air holes is remarkably small, which may limit the sensitivity.

도 2는 측면 연마된 광섬유에 장주기 격자를 형성한 종래의 바이오 센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iosensor in which a long period grating is formed on a side polished optical fiber.

도 2를 참조하면, 측면 연마된 광섬유에 장주기 격자를 형성한 바이오 센서는, 광섬유(21)의 일부에서 피복을 제거하고 피복이 제거된 부분을 석영 블록(22)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시키며, 석영 블록(22)의 표면을 연마한 후 연마된 표면상에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23)를 일정 주기(Λ)의 격자 형상으로 증착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이는 코어 부분에 가깝게 광섬유(21)를 측면 연마하여야 하는 어려운 과정을 요하며, 반도체 공정과 유사하고 복잡한 격자 제작 과정으로 인해 시간 및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또한, 광섬유(21)의 측면 연마 과정에서 광섬유(21)에 곡률이 존재하기 때문에, 바이오 센서에서 실제로 바이오 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센싱부의 길이는 약 1 cm 정도에 불과하여 민감도가 제약되는 문제점이 있다. Referring to FIG. 2, a biosensor in which a long period grating is formed on a side polished optical fiber, removes a coating from a part of the optical fiber 21 and places the removed part in a groove formed in the quartz block 22. After polishing the surface of the block 22 is formed by depositing a photoresist (23) in a lattice shape of a predetermined period (Λ) on the polished surface. However, this requires a difficult process of side polishing the optical fiber 21 close to the core portion, which is time-consuming and expensive due to the process of fabricating a lattice similar to the semiconductor process. In addition, since the curvature exists in the optical fiber 21 during the side polishing process of the optical fiber 21, the sensing unit that can actually detect the biomaterial in the biosensor is only about 1 cm in length, the sensitivity is limited. hav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간단한 과정에 의하여 장주기 격자를 제작할 수 있고, 제작 단가가 감소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민감도가 개선된 다공 광섬유(holey fiber)를 이용한 광 바이오 센서 및 바이오 물질 검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long period grating by a simple process,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mass production is possible, optical biosensor and biomaterial detection method using a porous fiber with improved sensitivity Can be provided.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바이오 센서는, 게르마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어 영역; 상기 코어 영역 내에 형성된 장주기 격자; 및 상기 코어 영역 주위에 배열되며 바이오 물질이 주입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는 클래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주기 격자는 공진 파장의 코어 모드 광신호를 클래딩 모드 광신호로 변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optical biosensor includes: a core region including germanium; A long period grating formed in said core region; And a cladding region arranged around the core region and including one or more holes configured to inject a biomaterial. In this case, the long period grating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ore mode optical signal having a resonance wavelength into a cladding mode optical signal.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물질 검출 방법은, 광섬유의 클래딩 영역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홀에 바이오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게르마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장주기 격자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광섬유의 코어 영역에 광신호를 입사시키는 단계; 상기 장주기 격자를 이용하여 공진 파장의 코어 모드 광신호를 클래딩 모드 광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 영역을 통과한 광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or more exemplary embodiments, a biomaterial detection method includes: injecting a biomaterial into at least one hole located in a cladding region of an optical fiber; Injecting an optical signal into a core region of the optical fiber including germanium and having a long period lattice formed thereon; Converting a core mode optical signal having a resonance wavelength into a cladding mode optical signal using the long period grating; And measuring an optical signal passing through the core reg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공 광섬유(holey fiber)를 이용한 광 바이오 센서는, 기존의 광자결정 광섬유 또는 측면 연마된 단일 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바이오 센서에 비해 제작 비용이 적고, 바이오 물질의 검출을 위한 장주기 격자의 제작이 간단하여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공 광섬유의 클래딩(cladding) 영역에 위치한 홀의 직경이 크므로 광 바이오 센서의 민감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n optical biosensor using a porous fib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ess expensive to manufacture than a biosensor using a conventional photonic crystal optical fiber or a side polished single mode optical fiber, and has a long period for detecting biomaterials. The production of the grating is simp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anufactured in large quantities. In addition, since the diameter of the hole located in the cladding region of the porous optical fiber is large, there i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sensitivity of the optical biosensor.

도 1은 광자결정 광섬유에 장주기 격자를 형성한 종래의 바이오 센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측면 연마된 광섬유에 장주기 격자를 형성한 종래의 바이오 센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바이오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바이오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바이오 센서 내에 물질을 주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a 및 6b는 실시예들에 따른 광 바이오 센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바이오 센서의 홀 내에 적층되는 물질에 따른 투과 스펙트럼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바이오 센서의 홀 내에 적층되는 물질에 따른 피크 파장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바이오 센서에서 홀의 굴절률 변화에 따른 투과 스펙트럼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바이오 센서에서 홀의 굴절률 변화에 따른 피크 파장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is a photograph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nventional biosensor in which a long period grating is formed on a photonic crystal optical fiber.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iosensor in which a long period grating is formed on a side polished optical fiber.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injecting a substance into an optical biosens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6A and 6B are photographs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of an optical biosensor according to embodiments.
7A is a graph illustrating a change in transmission spectrum according to a material stacked in a hole of an optical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7B is a graph illustrating a change in peak wavelength according to a material stacked in a hole of an optical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8A is a graph illustrating a change in a transmission spectrum according to a change in refractive index of a hole in an optical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8B is a graph illustrating a change in peak wavelength according to a change in refractive index of a hole in an optical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바이오 센서의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광 바이오 센서(100)는 코어(core) 영역(1), 코어 영역(1)에 형성된 장주기 격자(8) 및 코어 영역(1)을 둘러싸는 클래딩(cladding) 영역(2)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영역(1)은 게르마늄(Ge)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영역(1)은 코어 영역(1) 및 클래딩 영역(2)을 구성하는 모재인 유리 또는 실리카(silica)에 게르마늄이 첨가된 영역일 수 있다. 클래딩 영역(2)은 코어 영역(1) 주위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홀(3)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홀(3)은 클래딩 영역(2)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코어 영역(1) 및 클래딩 영역(2)은 다공 광섬유(holey fiber)를 구성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optical biosensor 100 includes a core region 1, a long period grating 8 formed in the core region 1, and a cladding region 2 surrounding the core region 1. ) May be included. The core region 1 may include germanium (Ge). For example, the core region 1 may be a region in which germanium is added to glass or silica, which is a base material constituting the core region 1 and the cladding region 2. The cladding region 2 may comprise one or more holes 3 arranged around the core region 1. Each hole 3 may be formed through the cladding region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re region 1 and the cladding region 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onstitute a porous fiber.

장주기 격자(8)는 코어 영역(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장주기 격자(8)는 코어 영역(1)을 구성하는 물질의 굴절률이 일정한 주기(Λ)로 변화하도록 구성된 부분을 지칭한다. 예컨대, 장주기 격자(8)의 굴절률은 상기 주기(Λ)에 따라 증가 및 감소를 반복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주기 격자(8)는 게르마늄(Ge)을 포함하는 코어 영역(1)에 자외선(UV)을 주기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코어 영역(1)의 자외선이 조사된 부분에서 굴절률이 증가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 방법으로 장주기 격자(8)를 형성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간단한 공정에 의해 장주기 격자(8)를 형성할 수 있어 제조 공정 및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장주기 격자(8)는 코어 영역(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L)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long period grating 8 may be formed in the core region 1. The long period grating 8 refers to a portion configured such tha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core region 1 changes at a constant period Λ. For exampl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ong period grating 8 may be in the form of repeating increase and decrease with the period Λ. In one embodiment, the long-period grating 8 periodically irradiates ultraviolet rays UV to the core region 1 including germanium, thereby increasing the refractive index in the irradiated portion of the core region 1. It can be formed using a phenomenon. When the long period grating 8 is formed by the ultraviolet irradiation method, the long period grating 8 can be formed by a relatively simple process,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cost can be reduced. The long period grating 8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e region 1.

장주기 격자(8)는 다공 광섬유에서 코어 영역(1) 내를 진행하는 코어 모드 광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클래딩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공 광섬유 내를 진행하는 광신호는 전반사에 의해 코어 영역(1) 내에서만 진행하도록 구성되나, 코어 영역(1) 내에 장주기 격자(8)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장주기 격자(8)의 주기(Λ)에 따라 결정되는 광신호의 특정 파장 성분이 클래딩 모드 광신호로 변환된다. 구체적으로는, 광신호가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결정되는 공진 조건을 만족하는 파장에서 광신호가 전반사되지 않고 클래딩 영역(2)으로 진행하게 되며, 본 명세서에서는 수학식 1을 만족하는 파장을 공진 파장이라고 지칭한다.The long period grating 8 may convert at least a portion of the core mode optical signal traveling in the core region 1 in the porous optical fiber to the cladding mode. In general, the optical signal propagating in the porous optical fiber is configured to propagate only in the core region 1 by total reflection, but when the long period grating 8 is formed in the core region 1, the period of the long period grating 8 The specific wavelength component of the optical signal determined according to Λ) is converted into the cladding mode optical signal. Specifically, the optical signal proceeds to the cladding region 2 without total reflection at the wavelength at which the optical signal satisfies the resonance condition determined by Equation 1 below. In this specification, the wavelength satisfying Equation 1 is referred to as the resonance wavelength. Refer.

Figure 112010071384479-pat00001
Figure 112010071384479-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λ는 공진 파장을 나타내며, Λ는 장주기 격자(8)의 주기를 나타낸다. 또한, ncore는 코어 영역(1)의 유효 굴절율을 나타내며, nclad는 클래딩 영역(2)의 유효 굴절율을 나타낸다.In Equation 1, λ represents a resonant wavelength, and Λ represents a period of the long period grating 8. In addition, n core represents the effective refractive index of the core region 1, n clad represents the effective refractive index of the cladding region (2).

따라서, 광신호의 출력단에서 코어 영역(1)을 투과한 광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경우, 장주기 격자(8)에 의하여 클래딩 모드로 변환되는 공진 파장에서 광신호가 반사되지 않아 투과율이 감소하게 되며, 이는 투과 스펙트럼상의 손실로 나타난다.. Therefore, when measuring the intensity of 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re region (1)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tical signal, the optical signal is not reflected at the resonant wavelength converted into the cladding mode by the long period grating 8, the transmittance is reduced, This appears as a loss in the transmission spectrum.

한편, 장주기 격자(8)에서 광신호가 클래딩 모드로 변환되는 공진 파장은 장주기 격자(8)의 주기(Λ)뿐만 아니라 코어 영역(1)의 굴절률 및 클래딩 영역(2)의 굴절률 등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클래딩 영역(2)의 홀(3) 내에 특정 바이오 물질(미도시)을 삽입하게 되면, 홀(3) 내부가 비어있거나 소정의 버퍼(buffer) 물질로 채워져 있는 경우와 비교하면 클래딩 영역(2)의 유효 굴절률이 변화하게 된다. 그 결과, 장주기 격자(8)에 의한 공진 파장이 해당 바이오 물질로 인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코어 영역(1)을 통과한 광신호의 스펙트럼 중 클래딩 모드로 변환되어 투과율이 낮게 나타나는 피크 파장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바이오 물질의 유무, 종류 및/또는 양 등을 검출할 수 있다.The resonant wavelength at which the optical signal is converted into the cladding mode in the long period grating 8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re region 1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ladding region 2 as well as the period Λ of the long period grating 8. . Inserting a particular biomaterial (not shown) into the hole 3 of the cladding region 2 allows the cladding region 2 to b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inside of the hole 3 is empty or filled with a predetermined buffer material. The effective refractive index of is changed. As a result, the resonant wavelength caused by the long period grating 8 is shifted due to the biomaterial. Accordingly, the presence, type, and / or amount of the biomaterial can be detected by measuring the change in the peak wavelength of the optical signal passing through the core region 1 in the cladding mode and showing a low transmittance.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바이오 센서의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광 바이오 센서(100)에서 코어 영역(1)의 단면 직경(d1)은 약 8.7 ㎛일 수 있다. 또한, 클래딩 영역(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3)의 단면 직경(d2)은 약 20㎛ 이상일 수 있다. 홀(3)의 단면 직경(d2)이 클수록 광 바이오 센서(100)의 감도가 좋아지게 된다. 또한, 코어 영역(1)과 하나 이상의 홀(3) 사이의 간격(d3)은 약 15 ㎛ 이하일 수 있다. 코어 영역(1)과 홀(3) 사이의 간격(d3)이 작을수록 광 바이오 센서(100)의 감도가 좋아지게 된다. 종래의 광자결정 광섬유를 이용한 바이오 센서와 비교하면, 바이오 물질이 주입되는 홀(3)의 크기가 크며 홀(3)이 코어 영역(1)에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광 바이오 센서(100)의 민감도가 향상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cross-sectional diameter d 1 of the core region 1 in the optical biosensor 100 may be about 8.7 μm.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diameter d 2 of the one or more holes 3 formed in the cladding region 2 may be about 20 μm or more. The larger the cross-sectional diameter d 2 of the hole 3 is, the better the sensitivity of the optical biosensor 100 is. In addition, the spacing d 3 between the core region 1 and the one or more holes 3 may be about 15 μm or less. The smaller the distance d 3 between the core region 1 and the hole 3, the better the sensitivity of the optical biosensor 100 i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biosensor using a photonic crystal optical fiber, the sensitivity of the optical biosensor 100 is large because the size of the hole 3 into which the biomaterial is injected is large and the hole 3 is located adjacent to the core region 1. Is improved.

그러나 전술한 수치 범위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코어 영역(1) 및 하나 이상의 홀(3)의 크기, 코어 영역(1)과 홀(3) 사이의 거리 등은 바이오 물질의 주입 및 검출이 용이하도록 당업자에 의하여 적절히 변경될 수 있고, 특정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numerical range is merely exemplary, and the size of the core region 1 and one or more holes 3, the distance between the core region 1 and the hole 3, and the like may be used to facilitate the injection and detection of the biomaterial. It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configuration.

일 실시예에서, 광 바이오 센서(100)는 하나 이상의 홀(3) 내에 위치하는 폴리-L-라이신(Poly-L-Lysine; PLL)(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래딩 영역(2)을 실리카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 실리카는 음전하를 띄고 있으므로, 검출하고자 하는 바이오 물질 또한 말단이 음전하를 가지고 있을 경우 바이오 물질이 홀(3) 내에 용이하게 주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양 말단에 양전하를 가지고 있는 PLL(4)을 삽입하여 실리카로 구성된 홀(3)의 내부 표면과 바이오 물질 사이의 결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optical biosensor 100 may further include a Poly-L-Lysine (PLL) 4 located in one or more holes 3. When the cladding region 2 is made of a silica material, since the silica has a negative charge, the biomaterial to be detected may also not be easily injected into the hole 3 when the terminal has a negative charg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ond between the biomaterial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3 made of silica by inserting the PLL (4) having a positive charge at both ends.

또한, 일 실시예에서, 광 바이오 센서(100)는 하나 이상의 홀(3) 내에 위치하는 프로브(probe) 물질(5)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브 물질(5)은 검출하고자 하는 바이오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하고자 하는 바이오 물질이 소정의 타겟(target) DNA일 경우, 프로브 물질(5)은 타겟 DNA와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 DNA일 수 있다. 프로브 물질(5)이 주입된 후 검출하고자 하는 바이오 물질(예컨대, 타겟 DNA)(6)을 하나 이상의 홀(3) 내에 주입할 수 있다. 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optical biosensor 100 may further comprise a probe material 5 located in one or more holes 3. The probe material 5 may be a material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biomaterial to be detected. For example, when the biomaterial to be detected is a predetermined target DNA, the probe material 5 may be a probe DNA that complementarily binds to the target DNA. After the probe material 5 is injected, the biomaterial (eg, target DNA) 6 to be detected may be injected into one or more holes 3.

도 5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물질들을 광 바이오 센서의 홀 내에 주입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r injecting the material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into a hole of an optical biosensor.

도 5를 참조하면, 광 바이오 센서(100)를 주사기(9)의 튜브(11) 내에 삽입하고, 주사기(9)에 압력을 가해 주입 물질(10)을 광 바이오 센서(100)의 하나 이상의 홀(3) 내로 주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 물질(10)은 버퍼(buffer), PLL, 프로브 물질 및/또는 타겟 바이오 물질일 수 있다. 이때, 주입 물질(10)이 홀(3) 내로 충분히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광 바이오 센서(100)가 인입된 튜브(11)의 끝 부분을 밀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폭시(epoxy)(12) 등의 물질을 이용하여 광 바이오 센서(100) 및 튜브(11)의 끝 부분을 밀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n optical biosensor 100 is inserted into a tube 11 of a syringe 9, and pressure is applied to the syringe 9 to inject the injection material 10 into one or more holes of the optical biosensor 100. (3) can be injected into. For example, the injection material 10 may be a buffer, a PLL, a probe material, and / or a target biomaterial. In this case, in order to allow the injection material 10 to sufficiently enter the hole 3, the end portion of the tube 11 into which the optical biosensor 100 is inserted may be sealed. For example, an end portion of the optical biosensor 100 and the tube 11 may be sealed using a material such as epoxy 12.

주사기(9)를 사용하여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주사기(9)에 압력을 가하여 광 바이오 센서(100)의 홀(3) 내에 PLL(4)을 주입한 후, PLL(4)이 홀(3) 내부의 표면에 붙을 때까지 소정의 시간 동안 상온에서 보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홀(3) 내에 프로브 물질(5)을 주입한 후, 프로브 물질(5)이 PLL(4)에 결합될 때까지 상온에서 보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타겟 바이오 물질(6)을 홀(3) 내에 주입할 수 있다. 이상의 과정에서, PLL(4), 프로브 물질(5) 및 바이오 물질(6)은 모두 단일층으로 적층될 수도 있다.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4 using the syringe 9 is as follows. First, pressure is applied to the syringe 9 to inject the PLL 4 into the hole 3 of the optical biosensor 100, and then a predetermined time until the PLL 4 adheres to the surface inside the hole 3. Can be preserved at room temperature for a while. Next, after the probe material 5 is injected into the hole 3 in the same manner, the probe material 5 can be stored at room temperature until the probe material 5 is bonded to the PLL 4. Finally, the target biomaterial 6 can be injected into the hole 3. In the above process, the PLL 4, the probe material 5, and the bio material 6 may all be stacked in a single layer.

이상에서는 주사기를 참조하여 광 바이오 센서의 홀 내에 물질을 주입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적당한 방법을 이용하여 홀 내에 물질을 주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홀 내에 PLL, 프로브 물질 및/또는 타겟 바이오 물질 등을 주입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the process of injecting the substance into the hole of the optical biosensor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yringe. For example, a vacuum pump may be used to inject PLL, probe material, and / or target biomaterial, and the like into the hole.

도 6a 및 6b는 실시예들에 따른 광 바이오 센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6a 및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 바이오 센서에서 클래딩 영역(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3)의 개수, 각각의 홀(3)의 형상 및 크기, 코어 영역(1)과 홀(3) 사이의 간격 등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바이오 물질의 주입 및 검출이 용이하도록 당업자에 의하여 적절히 변경될 수 있고, 특정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6A and 6B are photographs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of an optical biosensor according to embodiments. 6A and 6B, in the optical biosensor, the number of one or more holes 3 formed in the cladding region 2, the shape and size of each hole 3, the core region 1 and the hole 3 The spacing between)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refore, it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acilitate the injection and detection of the biomaterial, and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configuration.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바이오 센서에서 홀 내에 물질이 적층됨에 따른 투과 스펙트럼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투과 스펙트럼이란 광 바이오 센서의 코어 영역을 통과한 광신호를 파장별로 측정하여 얻은 결과를 지칭한다.7A is a schematic graph illustrating a change in transmission spectrum as a material is stacked in a hole in an optical bio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ransmission spectrum refers to a result obtained by measuring the optical signal passing through the core region of the optical biosensor for each wavelength.

도 7a에서 그래프(710)는 광 바이오 센서의 홀 내에 버퍼(buffer) 물질만이 주입되었을 때의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내며, 그래프(720)는 홀 내에 PLL이 주입되었을 때의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또한, 그래프(730)는 PLL에 더하여 프로브 DNA가 주입되었을 때의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내며, 그래프(740)는 PLL, 프로브 DNA에 더하여 타겟 DNA에 주입되었을 때의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PLL, 프로브 DNA 및 타겟 DNA 등은 고유의 굴절률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 물질이 적층될수록 홀의 굴절률이 상승하며, 그 결과 장주기 격자에 의해 클래딩 모드로 변환되는 광신호의 파장이 이동하게 된다. 이는 도 7a 의 투과 스펙트럼에서 투과율의 크기가 가장 작은 값을 갖는 피크 파장에 대응된다. In FIG. 7A, a graph 710 shows a transmission spectrum when only a buffer material is injected into a hole of an optical biosensor, and a graph 720 shows a transmission spectrum when a PLL is injected into a hole. In addition, the graph 730 shows the transmission spectrum when the probe DNA is injected in addition to the PLL, and the graph 740 shows the transmission spectrum when the target DNA is injected in addition to the PLL and the probe DNA. Since PLL, probe DNA, and target DNA have inherent refractive indice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ole increases as each material is stacked, and as a result, the wavelength of the optical signal converted into the cladding mode is shifted by the long period lattice. This corresponds to the peak wavelength having the smallest magnitude of transmittance in the transmission spectrum of FIG. 7A.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투과 스펙트럼에서 적층된 각 물질에 따른 피크 파장의 이동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그래프이다. 도 7b에서 4개의 파장(715, 725, 735, 745)은 각각 도 7a에 도시된 투과 스펙트럼(710, 720, 730, 740)에서 장주기 격자로 인한 피크 파장에 대응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광 바이오 센서의 홀 내에 물질이 적층됨에 따라 장주기 격자로 인한 피크 파장이 이동한다. 따라서, 역으로 상기 피크 파장을 측정함으로서 홀 내에 주입된 바이오 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 FIG. 7B is a schematic graph showing the shift of the peak wavelength according to each stacked material in the transmission spectrum shown in FIG. 7A. In FIG. 7B, the four wavelengths 715, 725, 735, and 745 correspond to peak wavelengths due to the long period grating in the transmission spectra 710, 720, 730, and 740 shown in FIG. 7A, respectively. As shown, the peak wavelength due to the long period grating shifts as the material is deposited in the holes of the optical biosensor. Thus, by measuring the peak wavelength in revers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biomaterial injected into the hole.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바이오 센서에서 홀의 굴절률 변화에 따른 투과 스펙트럼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에서 4개의 그래프(810, 820, 830, 840)는 각각 광 바이오 센서의 홀의 굴절율이 약 1, 약 1.33, 약 1.36 및 약 1.39일 때의 정규화된(normalized) 투과율을 각 파장별로 나타내는 투과 스펙트럼 그래프이다. 이때, 코어 영역에 형성되는 장주기 격자로는 약 344 ㎛의 주기(Λ) 및 약 3.5 cm의 총 길이(L)를 갖는 장주기 격자를 사용하였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홀의 굴절율이 증가함에 따라 투과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8A is a graph illustrating a change in a transmission spectrum according to a change in refractive index of a hole in an optical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FIG. 8A, the four graphs 810, 820, 830, and 840 each show transmission normalized for each wavelength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ole of the optical biosensor is about 1, about 1.33, about 1.36, and about 1.39. Spectral graph. At this time, a long period grating having a period (Λ) of about 344 μm and a total length (L) of about 3.5 cm was used as the long period grating formed in the core region. As shown, it can be seen that the peak wavelength of the transmission spectrum decreases a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ole increases.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투과 스펙트럼에서 홀의 굴절율에 따른 피크 파장의 이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b에서 4개의 파장(815, 825, 835, 845)은 각각 도 8a에 도시된 투과 스펙트럼(810, 820, 830, 840)에서 장주기 격자로 인한 피크 파장에 대응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홀의 굴절율이 증가함에 따라 장주기 격자로 인한 피크 파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피크 파장의 변화로부터 홀의 굴절율을 측정할 수 있으며, 홀 내에 주입된 바이오 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 FIG. 8B is a graph showing the shift of the peak wavelength according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ole in the transmission spectrum shown in FIG. 8A. In FIG. 8B, the four wavelengths 815, 825, 835, and 845 correspond to peak wavelengths due to the long period grating in the transmission spectra 810, 820, 830, and 840 shown in FIG. 8A, respectively. As shown, it can be seen that a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ole increases, the peak wavelength due to the long period lattice decreases. Therefor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ole can be measured from the change of the peak wavelength, and the biomaterial injected into the hole can be detected.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therefrom. However,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1)

게르마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어 영역;
상기 코어 영역 내에 형성된 장주기 격자;
상기 코어 영역 주위에 배열되며 바이오 물질이 주입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는 클래딩 영역; 및
상기 홀 내에 위치하는 폴리-L-라이신을 포함하되,
상기 장주기 격자는 공진 파장의 코어 모드 광신호를 클래딩 모드 광신호로 변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광섬유를 이용한 광 바이오 센서.
A core region comprising germanium;
A long period grating formed in said core region;
A cladding region arranged around the core region and including one or more holes configured to inject biomaterial; And
Including poly-L-lysine located within the hole,
The long period grating is an optical biosensor using a porous optical fib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onvert a core mode optical signal of a resonant wavelength into a cladding mode optical sig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파장은 상기 하나 이상의 홀의 유효 굴절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광섬유를 이용한 광 바이오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resonant wavelength is determined based on an effective refractive index of the one or more hole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 내에 위치하며 바이오 물질과 결합될 수 있는 프로브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광섬유를 이용한 광 바이오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Optical biosensor using a porous optical fib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be material which is located in the hole and can be combined with a bio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홀의 단면 직경은 2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광섬유를 이용한 광 바이오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Optical biosensor using a porous optical fi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at least one hole is 20 ㎛ or mo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영역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홀 사이의 간격은 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광섬유를 이용한 광 바이오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An optical biosensor using a porous optical fiber, wherein an interval between the core region and the one or more holes is 15 μm or less.
광섬유의 클래딩 영역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홀에 바이오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게르마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장주기 격자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광섬유의 코어 영역에 광신호를 입사시키는 단계;
상기 장주기 격자를 이용하여 공진 파장의 코어 모드 광신호를 클래딩 모드 광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 영역을 통과한 광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광섬유를 이용한 바이오 물질 검출 방법.
Injecting the biomaterial into at least one hole located in the cladding region of the optical fiber;
Injecting an optical signal into a core region of the optical fiber including germanium and having a long period lattice formed thereon;
Converting a core mode optical signal having a resonance wavelength into a cladding mode optical signal using the long period grating; And
And measuring the optical signal passing through the core reg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파장은 상기 하나 이상의 홀의 유효 굴절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광섬유를 이용한 바이오 물질 검출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resonance wavelength is determined based on an effective refractive index of the one or more hole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영역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장주기 격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광섬유를 이용한 바이오 물질 검출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nd forming the long period grating by irradiating the core region with ultraviolet ray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홀에 바이오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홀에 폴리-L-라이신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홀에 프로브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홀에 상기 프로브 물질과 결합하는 바이오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광섬유를 이용한 바이오 물질 검출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jecting the biomaterial into the one or more holes,
Injecting poly-L-lysine into the one or more holes;
Injecting probe material into the one or more holes; And
And injecting a biomaterial coupled to the probe material into the one or more hole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홀에 바이오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는 주사기 또는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광섬유를 이용한 바이오 물질 검출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jecting the biomaterial into the one or more holes is a biomaterial detection method using a porous optical fiber,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using a syringe or a vacuum pump.
KR20100108015A 2010-11-02 2010-11-02 Optical bio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biological material using holey fiber KR1011982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8015A KR101198259B1 (en) 2010-11-02 2010-11-02 Optical bio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biological material using holey fi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8015A KR101198259B1 (en) 2010-11-02 2010-11-02 Optical bio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biological material using holey fi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396A KR20120046396A (en) 2012-05-10
KR101198259B1 true KR101198259B1 (en) 2012-11-07

Family

ID=4626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08015A KR101198259B1 (en) 2010-11-02 2010-11-02 Optical bio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biological material using holey fi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25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998B1 (en) * 2013-08-12 2014-11-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Working Robot having Sensor using Optical fi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412B1 (en) * 2012-08-01 2013-09-02 광주과학기술원 Optical fiber for chemical sens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6722B1 (en) 1999-03-04 2002-04-02 Luna Innovations, Inc. Optical waveguide sensors having high refractive index sensitivity
US20030169987A1 (en) * 2002-03-08 2003-09-11 Lucent Technologies Inc. Tunable microfluidic optical fiber devices and systems
US20060133753A1 (en) 2004-12-22 2006-06-22 Nelson Brian K Hole assisted fiber device and fiber preform
KR100913366B1 (en) 2007-07-18 2009-08-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Optical Bio-sensor using SPR Phenomen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6722B1 (en) 1999-03-04 2002-04-02 Luna Innovations, Inc. Optical waveguide sensors having high refractive index sensitivity
US20030169987A1 (en) * 2002-03-08 2003-09-11 Lucent Technologies Inc. Tunable microfluidic optical fiber devices and systems
US20060133753A1 (en) 2004-12-22 2006-06-22 Nelson Brian K Hole assisted fiber device and fiber preform
KR100913366B1 (en) 2007-07-18 2009-08-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Optical Bio-sensor using SPR Phenomen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998B1 (en) * 2013-08-12 2014-11-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Working Robot having Sensor using Optical fi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396A (en)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3135B2 (en) Method for chip-integrated label-free detection and absorption spectroscopy with high throughpu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Zhang et al. Ultra-sensitive chemical and biological analysis via specialty fibers with built-in microstructured optofluidic channels
Muellner et al. CMOS-compatible Si3N4 waveguides for optical biosensing
CN101493410B (en) Multichannel light microfluid sensor based on wavelength devision multiplex technology and sensing device
Wang et al. Optical microfibre based photonic components and their applications in label-free biosensing
Rachana et al. Recent advances in photonic crystal fiber-based sensor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US20110149285A1 (en) Optical resonator and optical sens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Gao et al. Tapered fiber tips for fiber optic biosensors
Azab et al. Label free detection for DNA hybridization using surface plasmon photonic crystal fiber biosensor
Liu et al. Micro-capillary-based evanescent field biosensor for sensitive, label-free DNA detection
Duval et al. Optical waveguide biosensors
US7952772B2 (en) Photonic crystal fiber sensor
CN107131896A (en) A kind of fiber grating resonant biosensor
KR101198259B1 (en) Optical bio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biological material using holey fiber
Hassan et al. Polymer optical fiber compound parabolic concentrator tip for enhanced coupling efficiency for fluorescence based glucose sensors
JP6041390B2 (en) Optical resonator structure
Ullien et al. Protein detection on biotin-derivatized polyallylamine by optical microring resonators
KR101340087B1 (en) Optical biosensor using optical fiber with metallic wire,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tecting biological material using the same
Duval et al. Interferometric waveguide biosensors based on Si-technology for point-of-care diagnostic
CN210665507U (en) High-flux optical waveguide biological sensing chip
KR101244326B1 (en) Optical biosensor using optical fiber with metallic nanowire,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tecting biological material using the same
US9200997B2 (en) Photonic sensing method and device
Paget et al. A review on photonic crystal fiber based fluorescence sensing for chemical and biomedical applications
Naji et al. A novel method of using hollow-core photonic crystal fiber as a Raman biosensor
Yuan et al. Microtubule WGM sensor: applications and key technolo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