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838B1 -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에서 자동 스위치 기능을 갖는 통신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에서 자동 스위치 기능을 갖는 통신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838B1
KR101196838B1 KR1020100117264A KR20100117264A KR101196838B1 KR 101196838 B1 KR101196838 B1 KR 101196838B1 KR 1020100117264 A KR1020100117264 A KR 1020100117264A KR 20100117264 A KR20100117264 A KR 20100117264A KR 101196838 B1 KR101196838 B1 KR 101196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eaf
communication
android
ap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844A (ko
Inventor
이정희
오병부
Original Assignee
(주)와이드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드위트 filed Critical (주)와이드위트
Priority to KR1020100117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838B1/ko
Publication of KR20120055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3Intelligent ed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04Software analysis for verifying properties of programs
    • G06F11/3608Software analysis for verifying properties of programs using formal methods, e.g. model checking, abstract interpre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2Code refac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3Program docum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드로이드 계층 구조 내에 소스 코딩되는 통신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드로이드 고유의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등에서 제공되는 API와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에서 자동 스위치 기능을 갖는 통신 제어 장치는, 리눅스 커널(Linux Kernel), 라이브러리(Libraries) 계층,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Appilacation Framework) 계층 및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계층으로 이루어지는 휴대폰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안드로이드 계층구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서 제공되는 무선통신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자동적으로 통신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통신 API에서 제공되는 통신방식과 그 통신방식의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하나의 API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안드로이드 계층구조의 소스 코드 내에 코딩되는 통신장치 매니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에서 자동 스위치 기능을 갖는 통신 제어 장치{Common Communication Manager Corded in Source Code of Android Layer Architecture}
본 발명은 안드로이드 계층 구조 내에 소스 코딩되는 통신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드로이드 고유의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등에서 제공되는 API와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드로이드는 리눅스(Linux) 2.6 커널을 기반으로 강력한 운영체제(OS;operating system)와 포괄적 라이브러리 세트, 풍부한 멀티미디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폰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하는 휴대폰 운영체제를 말한다.
이러한 안드로이드는 컴퓨터에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운영체제인 '윈도'에 비유할 수 있으며, 휴대폰에 안드로이드를 탑재하여 인터넷과 메신저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휴대폰뿐 아니라 다양한 정보 가전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연동성도 갖추고 있으며, 완전 개방형 플랫폼이라는 점에서 종전의 휴대폰 운영체제와는 차별성을 갖는다.
따라서, 안드로이드는 기반 기술인 '소스 코드'를 모두 공개함으로써 누구라도 이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와 기기를 만들어 판매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자들은 이를 확장, 대체 또는 재사용하여 사용자들에게 풍부하고 통합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개방형 플랫폼이라는 장점으로 인해 소프트웨어의 개발자들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휴대폰에 탑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광범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도모하고 있다.
하지만, 안드로이드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통신 컨트롤 어플리케이션 즉, 통신관련 API(android.bluetooth, android.net.wifi, android.telephony 등)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게 되어 있고, 사용 어플리케이션과 통신 환경이 변할 때마다 수동적으로 각종 설정값을 변경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사용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통신 환경을 바꾸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자동화된 통신 환경 설정을 제공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계층구조에 소스 코딩되는 통신장치 매니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자동화된 통신 환경 설정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마다 가장 최적화되고 안정적인 통신환경을 구현하도록 통신 방식의 우선 순위를 정해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자동 조정할 수 있도록 구현된 안드로이드 계층구조에 소스 코딩되는 통신장치 매니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에서 자동 스위치 기능을 갖는 통신 제어 장치는, 리눅스 커널(Linux Kernel), 라이브러리(Libraries) 계층,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Appilacation Framework) 계층 및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계층으로 이루어지는 휴대폰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안드로이드 계층구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서 제공되는 무선통신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자동적으로 통신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통신 API에서 제공되는 통신방식과 그 통신방식의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하나의 API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안드로이드 계층구조의 소스 코드 내에 코딩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통신장치 매니저는 SDK(Software Development Kit)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신장치 매니저는 통신장치의 온-오프 및 연결-해제 등을 지원하도록 EAF_Device_On, EAF_Device-off, EAF_Device_Init, EAF_connect, EAF_Disconnect, EAF_Connective_Control API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신장치 매니저는 통신방식을 소프트웨어 개발자나 단말 제조사에서 선택적으로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도록 기능별 템플릿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자동화된 통신 환경 설정을 제공하고, 통신 방식의 우선 순위를 정해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는 안드로이드 계층구조에 소스 코딩되는 통신장치 매니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계층구조에 소스 코딩된 통신장치 매니저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치 매니저를 포함하는 EAF 계층 구조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치 매니저가 구현된 API와 어플리케이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계층구조에 소스 코딩되는 통신장치 매니저의 구조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EAF(Enhanced Android Frameworks)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EAF(Enhanced Android Frameworks)는 안드로이드 응용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개발을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Application Framework)로서, 안드로이드 고유의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Application Framework), 라이브러리(Libraries) 등에서 제공되는 API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들(제조사, Third Party Application 제작자, Customer)에게 제공되는 프레임워크이며, 본 발명에서는 EAF을 이용한 통신장치 매니저(Common Communication Manager)를 그 발명의 대상으로 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계층구조에 소스 코딩된 통신장치 매니저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치 매니저를 포함하는 EAF 계층 구조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에서는 안드로이드 계층 구조(10)와 안드로이드 계층 구조 내의 소스 코드에 코딩된 EAF 계층구조(15)가 도시된다.
안드로이드는 리눅스(Linux) 2.6 커널을 기반으로 강력한 운영체제(OS;operating system)와 포괄적 라이브러리 세트, 풍부한 멀티미디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폰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하는 완전 개방형 플랫폼을 일컫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계층구조에 소스 코딩된 통신장치 매니저는 안드로이드 계층 구조(10)에 EAF 계층(15)이 코딩된 계층구조를 갖는다.
안드로이드 계층 구조(10)는 크게 4계층 즉, 리눅스 커널(Linux Kernel, 11), 라이브러리(Libraries, 12),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Application Framework, 13) 및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14)으로 구분되며, EAF 플랫폼(15)은 EAF-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20) 및 EAF-어플리케이션(110)으로 구분된다.
리눅스 커널(11)은 하드웨어와 내부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 관리 및 네트워킹 관리 등을 담당한다.
라이브러리(12)는 C언어 또는 C++로 구성된 계층으로 핸드폰에서 사용되는 하드웨어를 사용하기 위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대표적인 라이브러리는 그래픽을 구현하기 위한 그패픽 라이브러리와 동영상 재생을 위한 미디어 코덱이 있다.
또한, 안드로이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기 위한 안드로이드 런타임(Android Runtime, 12a)이 위치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3)는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계층이며,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는 필요한 기능 구현을 위해 프레임워크 계층에서 제공하는 API(Application Arogramming Interface)를 자유롭게 사용하게 된다.
어플리케이션(14)는 최상위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들이 배포되는 계층이다. 개발자들이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면 기본적으로 어플리케이션 계층에 포함된다.
EAF 플랫폼(15)은 안드로이드 계층 구조(10) 내의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3) 및 어플리케이션(14) 계층의 소스 코드 내에 코딩된 형태로 구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EAF 플랫폼(15)은 android.net.wifi, android.bluetooth, android.telephony, android.location 등으로 세분화되어 관리되고 있는 안드로이드 통신그룹 API를 EAF-어플리케이션(110) 내의 통신장치 매니저(Common Communication Manager)에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서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효율성을 제공하게 된다.
EAF-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20)는 Telephony Manager, Communication Manager를 기반으로 한 API를 EAF-어플리케이션(110)에 제공하며, EAF-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및 영상통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SMS/MMS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통신방식의 선택을 위한 통신장치 매니저를 제공할 수 있도록 코딩된다.
이러한 방식은 SMS/MMS 어플리케이션과 API, 음성/화상 통화 어플리케이션과 API, 통신장치 매니저와 API를 통합하여 하나의 패키지 형태 SDK((Software Development Kit)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치 매니저가 구현된 API와 어플리케이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장치 매니저(20)는 안드로이드 통신 API로 구분되는 android.net.wifi, android.bluetooth, android.telephony, android.location의 API를 이용하여 통신방식을 CDMA/WCDMA(201), wifi(202), bluetooth(203), zigbee(204)등으로 구분하고 Activity manager와 함께 연동하여 각 프로그램의 실행, 종료 신호에 따라 통신장치 매니저(20)를 구동/종료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최상위 어플리케이션(24)의 구동과 종료 등의 신호에 따라 통신장치 매니저(20)는 통신장치의 온-오프 및 연결-해제 등을 지원하도록 통신장치 매니저의 온을 위한 EAF_Device_On, 통신장치 매니저의 오프를 위한 EAF_Device-off, 통신장치 매니저의 초기화를 위한 EAF_Device_Init, 어플리케이션과 통신방식의 연결을 위한 EAF_connect, 어플리케이션과 통신방식의 연결오프를 위한 EAF_Disconnect, 어플리케이션과 통신방식의 연결상태에서의 관리를 위한 EAF_Connective_Control API가 제공된다.
통신장치 매니저(20)는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하는 각 통신장치별 각 시스템서비스(블루투스, 센서, 하드웨어)를 통합하여 API 형태로 제공하게 되며, 안드로이드 런타임(Android Runtime, 22a)에 연동된다.
또한 통신장치 매니저(20)는 통신방식을 소프트웨어 개발사나 단말 제조사에서 선택적으로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도록 기능별 템플릿(21)으로 제공하여 까다로운 통신 제어 개발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에게도 유용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Wi-Fi 무선통신 방식을 우선 순위(21a)로 적용한 통신 어플리케이션의 예를 도시한 것이며, 무선통신 방식의 우선 순위는 기능별 템플릿(21)으로 제공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통신장치 매니저는 안드로이드 응용 Application개발을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개발 할 수 있도록 API를 제공하는 Application Framework로서 안드로이드 고유의 Application Framework, Libraries등에서 제공 되는 API를 이용하여 보다 사용자 친화적이고 능동성을 강화한 API를 개발하여 Application 개발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신방식의 안드로이드 API와 통신장치 매니저의 통합 API의 개발과 더불어 SMS/MMS 어플리케이션과 API, 음성/화상 통화 어플리케이션과 API을 통합하여 하나의 패키지 형태 SDK로 개발하여 소프트웨어 개발자 및 단말 제조사에서 필요한 요소의 개발을 용이하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 리눅스 커널 12, 22 : 라이브러리
12a, 22a : 안드로이드 런타임 13 :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14, 24 : 어플리케이션 15 : EAF 플랫폼
20 : 통신장치 매니저 21 : 기능별 템플릿
110 : EAF-어플리케이션 120 : EAF-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201 : CDMA/WCDMA 202 : wifi
203 : bluetooth 204 : zigbee

Claims (4)

  1. 리눅스 커널(Linux Kernel), 라이브러리(Libraries) 계층,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Appilacation Framework) 계층 및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계층으로 이루어지는 휴대폰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안드로이드 계층구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서 제공되는 무선통신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자동적으로 통신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통신 API에서 제공되는 통신방식과 그 통신방식의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하나의 API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안드로이드 계층구조의 소스 코드 내에 코딩되는 통신장치 매니저인 EAF(Enhanced Android Frameworks) 플랫폼을 제공하고,
    상기 EAF 플랫폼은 EAF-어플리케이션 및 EAF-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 구분되며,
    상기 EAF-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는 Telephony Manager, Communication Manager를 기반으로 한 API를 상기 EAF-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며,
    상기 EAF-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및 영상통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SMS/MMS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통신방식의 선택을 위한 통신장치 매니저를 제공하는,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에서 자동 스위치 기능을 갖는 통신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 매니저는 통신장치의 온-오프 및 연결-해제 등을 지원하도록 EAF_Device_On, EAF_Device-off, EAF_Device_Init, EAF_connect, EAF_Disconnect, EAF_Connective_Control API가 제공되는,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에서 자동 스위치 기능을 갖는 통신 제어 장치.
  4. 삭제
KR1020100117264A 2010-11-24 2010-11-24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에서 자동 스위치 기능을 갖는 통신 제어 장치 KR101196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264A KR101196838B1 (ko) 2010-11-24 2010-11-24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에서 자동 스위치 기능을 갖는 통신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264A KR101196838B1 (ko) 2010-11-24 2010-11-24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에서 자동 스위치 기능을 갖는 통신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844A KR20120055844A (ko) 2012-06-01
KR101196838B1 true KR101196838B1 (ko) 2012-11-01

Family

ID=4660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264A KR101196838B1 (ko) 2010-11-24 2010-11-24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에서 자동 스위치 기능을 갖는 통신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8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137A (ko) 2021-10-25 2023-05-03 김준기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에서 써멀 프린터를 구동하는 장치, 이의 제어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230B1 (ko) * 2016-08-18 2022-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망 연결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77B1 (ko) 2005-04-18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장치의 통신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77B1 (ko) 2005-04-18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장치의 통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137A (ko) 2021-10-25 2023-05-03 김준기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에서 써멀 프린터를 구동하는 장치, 이의 제어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844A (ko)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91275B (zh) 程序优化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0354828C (zh) 移动终端平台系统的中间件服务层
US20090228862A1 (en) Modularized integrated software development environments
TWI471802B (zh) 行動裝置應用程式之轉換方法及可轉換行動裝置應用程式之行動裝置和系統
CN104281478B (zh) 更新应用程序的方法及装置
González et al. Context-oriented programming with the ambient object system.
JP3968116B2 (ja) 携帯通信機器、および携帯通信機器用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環境ソフトウェア
CN104317648B (zh) 一种监测广告的方法和装置
CN110955499B (zh) 处理器核心配置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4943650B2 (ja) ポータブルデバイスにおけるマルチメディアレンダリ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
CN107102853A (zh) 一种定制化移动操作系统兼容Android应用的方法
CN107179903B (zh) 用于使用模型驱动开发来开发基于移动的应用的系统和方法
KR101196838B1 (ko)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에서 자동 스위치 기능을 갖는 통신 제어 장치
CN101339508B (zh) 一种Java2微型版应用的运行方法和装置
CN104702701A (zh) 一种数据分享方法及装置
Seo et al. Pyp: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ntext-aware configuration manager for smartphones
CN101296164A (zh) 一种业务的实现方法及装置
KR101254756B1 (ko) 복수의 운영체제와 호환 가능한 가상머신 생성 방법 및 가상머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hagas et al. End-user development for the Internet of Things OR How can a (smart) light bulb be so complicated?
WO2021097683A1 (zh) 安卓系统启动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4133669B (zh) 一种桌面应用的控制方法及终端设备
Van den Bergh et al. Contextual concurtasktrees: Integrating dynamic contexts in task based design
CN114840194A (zh) 代码及操作系统的生成方法和装置、服务器及电子设备
US20100218189A1 (en) Method for managing java applications
CN105657557A (zh) 一种基于智能电视的视频播放控制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