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808B1 - Ergonomically Designed Backpack - Google Patents

Ergonomically Designed Backp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808B1
KR101196808B1 KR1020100028053A KR20100028053A KR101196808B1 KR 101196808 B1 KR101196808 B1 KR 101196808B1 KR 1020100028053 A KR1020100028053 A KR 1020100028053A KR 20100028053 A KR20100028053 A KR 20100028053A KR 101196808 B1 KR101196808 B1 KR 101196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pack
cushion
back plate
opening
sid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0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08699A (en
Inventor
정관영
Original Assignee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8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808B1/en
Publication of KR20110108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6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8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 A45F2003/127Dorsal or hip pads for the lumbar back or for the waist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중심이 신체의 어깨 부분으로 높게 유지되고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킴으로써 신체의 척추 및 어깨에 무리가 가지 않으며, 배낭의 등판과 신체의 등 사이의 통기성을 향상시켜 쾌적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 배낭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체공학적 배낭은 물건을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된 배낭 몸체와, 상기 배낭 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연결되어 신체의 어깨에 메어지는 한 쌍의 어깨 끈을 포함하는 배낭에 있어서, 상기 배낭 몸체는, 단단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의 전후 폭(D1)이 하부의 전후 폭(D2)보다 크게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 몰드부와; 양단이 상기 측면 몰드부의 전단부와 연결되어 신체의 등과 마주보는 등판부와; 상기 등판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중간 부분과 신체의 등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테두리 부분이 가운데 부분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는 통기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쿠션부재와; 상기 등판부 및 측면 몰드부의 후단부에 이어지며, 물건을 인출 또는 수납하기 위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high center of gravity to the shoulder portion of the body and evenly distributes the load so that the spine and shoulders of the body do not overdo it, and improves breathability between the back of the backpack and the back of the body so that a comfortable state can be maintained. Regarding an ergonomic backpack, the ergonomic back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pack body having a space for storing an object, and a pair of shoulder strap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ackpack body to be carried on the shoulder of the body. In the backpack, the backpack body is made of a rigid synthetic resin material, a pair of side mold parts facing each other formed with a front and rear width (D1) great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 (D2) of the lower; A back plate portion whose both ends are connected to a front end portion of the side mold portion to face the back of the body;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in the back portion, the edge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urther forward than the center portion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middle portion and the back of the body, the air flow passage in which air flow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cushion member formed; It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ack portion and the side mold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ning for taking out or storing an object, and a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cover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Description

인체공학적 배낭 {Ergonomically Designed Backpack}Ergonomically Backpacked {Ergonomically Designed Backpack}

본 발명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배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게중심이 신체의 어깨 부분으로 높게 유지되고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킴으로써 신체의 척추 및 어깨에 무리가 가지 않으며, 배낭의 등판과 신체의 등 사이의 통기성을 향상시켜 쾌적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학생용 배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rgonomically designed backpack, and more particularly, the center of gravity is kept high in the should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load is evenly distributed so that the spine and shoulders of the body are not unreasonable. It relates to a student backpack ergonomically designed to improve the breathability between and maintain a comfortable state.

배낭은 하이킹, 자전거타기 및 등산용으로 널리 사용될 뿐만 아니라, 책과 준비물을 집과 학교로 가져가기 위해 학생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Backpacks are not only widely used for hiking, biking and mountaineering, but are also widely used among students to bring books and supplies to home and school.

학교와 청소년에게 제공된 교육의 질을 개선하는 것에 국가적인 중요성이 계속 부과됨에 따라, 많은 교육기관은 보충 수업 등을 통하여 수업 시간을 연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다 긴 시간의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 학생들은 과거보다 더 많은 책이나 준비물을 학교로 가지고 와서 준비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학생용 배낭은 수납의 효율성과 공간 활용도, 외관미 등만 고려되어 설계되고 있는 바, 장시간 동안 무거운 짐을 휴대하고 있으면 피로, 불편함, 잘못된 자세, 그리고 심지어 골격근육 장애 및 부상, 성장 장애의 가능성을 유발한다.As national importance continues to be imposed on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provided to schools and adolescents,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extending class time through supplementary classes. Therefore, in order to proceed with these longer periods of time, students are required to bring more books and supplies to school than they have in the past. However, the conventional student backpack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storage efficiency, space utilization, appearance and the like, fatigue, discomfort, incorrect posture, and even skeletal muscle disorders and injuries, growth disorders when carrying heavy luggage for a long time Causes the possibility of.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학생용 배낭을 사용했을 때 신체에 가해지는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배낭은 짐을 넣었을 때 무게 중심(C)이 사용자의 등 뒤쪽으로 멀리, 그리고 배낭 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무게중심(C) 위치는 배낭 몸체의 처진 형상에 의해 명백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지지 형태를 가진 배낭의 무게에 의해 발생된 모멘트는 배낭의 하단부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고 어깨 끈과 배낭 몸체간의 연결지점에서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한다.Figure 1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s the effect on the body when using a conventional general student backpack, the conventional backpack has a center of gravity (C) far behind the user's back when the baggage, and the bottom of the backpack body Tend to be located in This center of gravity C position is evident by the sagging shape of the backpack body. The moment generated by the weight of the backpack having this support form is directed toward the user's body at the bottom of the backpack and away from the user's body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shoulder strap and the backpack body.

배낭 무게에 의해 야기된 거의 모든 힘과 모멘트는 어깨 끈의 상부 부분을 통하여 어깨 끈과 배낭 몸체간의 연결지점에서 반작용되고, 이러한 힘들은 배낭을 상부에서 그리고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멀어지게 끌어당겨서 어깨가 뒤로 끌어당겨지도록 한다. 그리고, 배낭의 전체 하중이 사용자 어깨의 바로 상부에서 어깨 끈의 일부분에 불균형적으로 분배되는데,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팔 아래의 어깨 끈을 사용자의 팔 아래에서 치켜 올리고 꽉 잡게 하는 불편한 행동을 하게 된다.Almost all the forces and moments caused by the weight of the backpack are reacted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shoulder strap and the backpack body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shoulder strap, and these forces pull the backpack from the top and away from the user's body To be pulled. In addition, the entire load of the backpack is disproportionately distributed to a part of the shoulder strap at the upper portion of the user's shoulder, which causes the user to uncomfortably lift and hold the shoulder strap under the user's arm.

요컨대, 종래의 학생용 배낭은 무게중심이 하측에 위치하며, 배낭 몸체의 하단(H) 부위가 골반 아래로 쳐져 배낭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피로, 불편함, 장기간의 골격근육 문제, 성장 장애 등의 가능성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In short, the conventional student backpack has a lower center of gravity, and the lower (H) portion of the backpack body is struck below the pelvis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backpack, which causes fatigue, discomfort, long-term skeletal muscle problems, and growth. There is a problem causing the possibility of a disorder.

또한, 종래의 배낭은 등판이 신체의 등과 거의 연접하기 때문에 통기성이 좋지 않아 땀이 배출되지 못하고, 따라서 옷이 등판에 눌러 붙어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도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ackpack has a problem that the back is almost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body, so the breathability is not good, sweat is not discharged, and thus the clothes are pressed against the back, causing discomfor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게중심이 신체의 어깨 부분으로 높게 유지되고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킴으로써 신체(특히 학생)의 척추 및 어깨에 무리가 가지 않으며, 배낭의 등판과 신체의 등 사이의 높은 밀착성을 제공하면서도 또한 통기성을 향상시켜 쾌적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인체공학적 배낭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a high center of gravity to the shoulder portion of the body and evenly distribute the load, so that the burden on the spine and shoulder of the body (particularly students), backpack To provide a high adhesion between the back of the body and the back of the body, while also improving the breathability to provide a ergonomic backpack that can maintain a comfortable sta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건을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된 배낭 몸체와, 상기 배낭 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연결되어 신체의 어깨에 메어지는 한 쌍의 어깨 끈을 포함하는 배낭에 있어서, 상기 배낭 몸체는, 단단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의 전후 폭(D1)이 하부의 전후 폭(D2)보다 크게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 몰드부와; 양단이 상기 측면 몰드부의 전단부와 연결되어 신체의 등과 마주보는 등판부와; 상기 등판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중간 부분과 신체의 등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테두리 부분이 가운데 부분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는 통기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쿠션부재와; 상기 등판부 및 측면 몰드부의 후단부에 이어지며, 물건을 인출 또는 수납하기 위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배낭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backpack comprising a backpack body formed with a space for storing the object, and a pair of shoulder straps connected to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backpack body to be carried on the shoulder of the body The backpack body includes a pair of side mold parts facing each other, which is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has a front and rear width D1 formed larger than a front and rear width D2 of the lower part; A back plate portion whose both ends are connected to a front end portion of the side mold portion to face the back of the body;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in the back portion, the edge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urther forward than the center portion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middle portion and the back of the body, the air flow passage in which air flow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cushion member formed; It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ack portion and the side mold portion, provides an ergonomic backpa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ning for taking out or storing an object, and a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본 발명에 따르면, 배낭 몸체가 상광하협 형태를 갖게 되며, 내부 공간에 물건이 수납되더라도 측면 몰드부에 의해 아래로 쳐지지 않고 원형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무게중심이 신체의 어깨 부분으로 높게 유지되고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어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으며, 나아가 요추부의 하중 경감을 통하여 올바른 보행 자세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pack body has a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straits, and even if an object is stored in the inner space, the center of gravity is kept high as the should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load is maintained because the circular shape is maintained without being struck down by the side mold part. Evenly distributed and do not overdo the body, and further has the effect of inducing a correct walking posture by reducing the load on the lumbar region.

또한, 등판부의 쿠션부재에 의해 신체의 등과 허리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이 경감되며, 신체와 등판부 간에 높은 밀착성을 제공하면서도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장시간 사용에도 땀이 차지 않아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load on the back and waist of the body is reduced by the cushion member of the back plate, and a space is provided for air flow while providing a high adhesion between the body and the back part, so that a sweat does not take long periods of use.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be maintained.

도 1은 종래의 학생용 배낭을 맨 상태에서 신체에 가해지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공학적 학생용 배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학생용 배낭의 일부분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학생용 배낭에 물건이 수납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학생용 배낭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학생용 배낭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학생용 배낭이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I 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Ⅱ-Ⅱ 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학생용 배낭을 멜 때 신체에 가해지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effect applied to the body in a state wearing a conventional student backpack.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rgonomic student back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student backpack of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bject is stored in the student backpack of FIG. 2.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A of FIG. 4.
6 is a side view of the student backpack of FIG. 2.
FIG. 7 is a rear view of the student backpack of FIG. 2.
8 is a front view of the student backpack of FIG.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8,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8.
11 is a view showing the effect on the body when carrying a student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체공학적 배낭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rgonomic back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공학적 학생용 배낭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학생용 배낭은 물건을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된 배낭 몸체(100)와, 상기 배낭 몸체(1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연결되어 신체의 어깨에 메어지는 한 쌍의 어깨 끈(200)을 포함한다. 2 to 10 show an ergonomic student back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udent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ckpack body 100 is formed with a space for storing the object, the upper end of the backpack body 100 And a pair of shoulder straps 200 connected to the lower end and carried on the shoulders of the body.

그리고, 상기 배낭 몸체(100)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2개 1조로 된 측면 몰드부(110)와, 상기 측면 몰드부(110)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등판부(120)와, 상기 측면 몰드부(11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몸체부(130)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backpack body 100 has two side mold portions 110 formed to face each other, the back plate portion 120 connected to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ide mold portion 110, and the side mold portion It is composed of a body portion 130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110).

상기 측면 몰드부(110)는 가볍고 단단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배낭 몸체(100) 내부에 물건을 수납했을 때 쳐지거나 변형되지 않고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측면 몰드부(110)는 테두리 부분이 내측으로 굽어지게 형성되며, 이 굽어진 테두리 부분의 끝단이 상기 등판부(120)의 내피(121) 및 몸체부(130)의 양측단부와 재봉되어 연결된다. The side mold part 110 is made of a light and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to function to maintain the original shape without being knocked or deformed when the object is stored in the backpack body (100). And, the side mold portion 110 is formed so that the edge portion is bent inward, the end of the bent edge portion is sewn with both end portions of the inner skin 121 and the body portion 130 of the back plate portion 120 Connected.

상기 측면 몰드부(110)는 상부의 전후 폭(D1)이 하부의 전후 폭(D2)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배낭 몸체(100)의 상부의 좌우 폭(W1)은 하부의 좌우 폭(W2)보다 크게 형성되어, 배낭 몸체(100)의 내측 공간의 횡단면적이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즉, 배낭 몸체(100)의 내측 공간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를 갖는다. The side mold part 110 is formed to have a front and rear width D1 larg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 D2. The left and right widths W1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pack body 100 are larg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W2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pack body 100,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space of the backpack body 100 decreases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That is, the inner space of the backpack body 100 has a structure of an ordinary light bottom narrow.

이와 같이 배낭 몸체(100)가 상광하협의 구조를 갖게 되면, 배낭 몸체(100) 내부에 수납된 물건이 하측으로 쏠리지 않고 상측으로 치우쳐서 지지되므로 무게중심(C)(도 11 참조)이 상측에 위치하여 신체의 어깨 부분에 근접하게 된다(도 4 및 도 11 참조).As such, when the backpack body 100 has a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straits, the center of gravity (C) (see FIG. 11) is positioned at the upper side because the object stored in the backpack body 100 is supported by being biased upward without being lowered. To be close to the shoulder portion of the body (see FIGS. 4 and 11).

상기 등판부(120)는 양단이 상기 측면 몰드부(110)의 전단부와 결합되어 신체의 등과 마주보며 이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단단한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며, 후면은 내피(121)에 의해 감싸진다. 상기 등판부(120)는 중간 부분이 양측부 보다 후방으로 오목한 곡면(전방으로 볼록한 곡면; 사용자 신체의 등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 도 9 참조)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용자가 배낭을 매었을 때 등판부(120)와 사용자 신체의 등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등판부(120)는 신체의 척추 형태와 대응하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S자형으로 휘어진 형태를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인체 바디 라인에 적합한 등판부(120)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등판부(120)를 지지하는 근육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유도하는 작용을 하며, 특히 성장기의 학생들의 경우에는 척추의 바른 성장에 도움을 주게된다. The back plate portion 120 is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as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side mold portion 110 to face and support the back of the body, the back is wrapped by the endothelial (121). The back plate 120 is preferably formed of a curved surface (convexly curved forward; convex toward the back of the user's body; see Fig. 9) in which the middle portion is concave to the rear than both sides, which is when the user is wearing a backpack This is to allow a predetermined space to be formed between the back plate 120 and the back of the user's body. In addition, the back plate 120 preferably has a shape bent in an S-shap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pine of the body. Thus, by providing the structure of the back portion 120 suitable for the body line of the human body to induce the natural movement of the muscle supporting the back portion 120, especially in the growth period of the students to help the growth of the spine do.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등판부(120)의 내면(후면)에는 등판부(12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단단한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판이 덧대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t is preferable that a reinforcement plate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is added to the inner surface (rear) of the back plate part 120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back plate part 120.

상기 등판부(120)의 외면에는 완충 기능을 하는 쿠션부재(140)가 부착된다. 상기 쿠션부재(140)는 상기 등판부(120)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가운데 부분과 신체의 등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테두리 부분이 가운데 부분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쿠션부재(140)는 등판부(1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중간 부분이 테두리보다 낮게 형성된 제1쿠션부(141)와, 상기 제1쿠션부(141)의 하측에 제1쿠션부(141)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제2쿠션부(142)로 분할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쿠션부(141)의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제1통기유로(143)가 형성되고, 상기 제1쿠션부(141)와 제2쿠션부(142) 사이에 상기 제1통기유로(143)와 연통되는 제2통기유로(144)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plate portion 120 is attached with a cushioning member 140 for a buffer function. The cushion member 140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back plate portion 120, and the edge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urther forward than the center portion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middle portion and the back of the body. In this embodiment, the cushion member 14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 plate 120 and the first cushion portion 141 and the middle portion is formed lower than the rim, the first cushion portion 141 below the first side The second cushion portion 142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ushion portion 14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ddition, a first vent passage 143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cushion portion 14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rst vent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ushion portion 141 and the second cushion portion 142. A second ventilation passage 144 communicating with 143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제1쿠션부(141)는 상기 제1통기유로(143)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 형상을 하며, 테두리 부분과 가운데 부분들이 서로 높이가 다른 요철 형태를 갖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가운데 부분에서 공간이 형성되도록 테두리 부분이 가운데 부분보다 더 전방으로 더 높게 돌출된다. 그리고, 제1쿠션부(141)의 가운데 부분에서도 공기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부분과 상대적으로 서로 부분들이 서로 교대로 형성된다. The first cushion portion 141 has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first ventilation passage 143 and has an uneven shape in which the edge portion and the center portions have different heights from each other. The edge portion protrudes higher forward than the center portion so as to form. In addition, in order to enable the flow of air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cushion portion 141, portions having a relatively low height and portions are form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상기 제2쿠션부(142)는 제1쿠션부(14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신체의 허리 부분과 접하게 되는데, 상기 제2쿠션부(142)가 다른 부분보다 확실하게 신체의 허리 부분에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쿠션부(142)는 제1쿠션부(141) 보다 전방으로 더 높게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cushion portion 14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ushion portion 141 to be in contact with the waist portion of the body, the second cushion portion 142 is surely in contact with the waist portion of the body than other parts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ushion portion 142 protrudes higher than the first cushion portion 141 to be supported.

상기 제1쿠션부(141)와 제2쿠션부(142)는 상기 등판부(120)에 고정되는 유연한 재질의 완충재(140a)와, 상기 완충재(140a)의 외면을 감싸며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에어메쉬(140b)로 구성된다. 상기 완충재(140a)는 스펀지와 같은 푹신한 합성수지 재질 및 탄성이 높은 고밀도 폼 재질로 이루어져 우수한 쿠션감을 제공한다.The first cushion portion 141 and the second cushion portion 142 are formed of a buffer material 140a of a flexible material fixed to the back plate part 1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uffer material 140a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 holes. It consists of an air mesh 140b. The cushioning material 140a is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sponge and a high-density foam material having high elasticity to provide an excellent cushioning feeling.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등판부(120)와 그 외면의 쿠션부재(140)의 배치 구조는 등판을 양측에서 감싸주는 버킷 시트처럼 작용하여 사용자의 등판과의 높은 밀착감을 제공하여 하중을 등판 전체에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거운 배낭을 장시간 메는 경우에도 양호한 척추 보호 기능을 제공하면서, 나아가 요추부의 하중 부담을 경감함으로써 사용자의 바른 자세(보행 자세)를 유도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배낭을 메고 달리는 경우에도 그 흔들림이 적어서 더욱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하게 된다.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back plate portion 120 and the cushion member 140 of the outer surface as described above acts like a bucket seat that surrounds the back plate on both sides to provide a high adhesion to the back plate of the user to evenly load the entire back plate. By distributing it, it provides good spine protection even when carrying a heavy backpack for a long time, and further reduces the load on the lumbar spine to induce the user's correct posture (walking posture) and also allows the user to carry the backpack. Even if the shaking is less, it provides a more stable fit.

상기 몸체부(130)는 상기 등판부(1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와, 상기 측면 몰드부(11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두 측면 몰드부(110) 및 등판부(120)와 함께 배낭 몸체(100)를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30)는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의 천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배낭 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물건을 수납하거나 배낭 몸체(100)에서 물건을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미도시) 및, 상기 개구부(미도시)를 개폐하는 덮개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부(132)는 지퍼와 같은 잠금부재(133)에 의해 개구부(미도시)를 폐쇄하거나 개방한다. The body 13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back plate portion 120 and the rear end of the side mold portion 110, the backpack body together with the two side mold portion 110 and the back plate 120 Form 100. The body portion 130 is made of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upper opening (not shown) for storing an object or withdrawing the object from the backpack body 100, the inner space of the backpack body 100, and The cover part 132 which opens and closes an opening part (not shown) is formed. The cover part 132 closes or opens an opening (not shown) by a locking member 133 such as a zipper.

그리고, 상기 몸체부(130)에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13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30)의 하단부에는 비가 올때 배낭 몸체(100)를 감싸는 방수커버(150)가 수납되는 수납부(135)와, 상기 수납부(135)의 입구를 개폐하는 잠금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방수커버(150)는 평상시 수납부(135) 내에 수용된 상태로 놓여지는데, 이 수납부(135)에 수용된 방수커버(150)로 인하여 몸체부(130)의 하단부 내측면이 배낭 몸체(100)의 내부 공간 쪽으로 볼록해져서 배낭 몸체(100)의 내부 공간 하단부가 더욱 협소해지고, 이로 인해 배낭의 무게 중심을 상측으로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배낭의 내용물이 요추 아래로 처져서 사용자가 느끼는 무게가 배낭에 수납된 내용물의 무게보다 더 무겁게 느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body 130 is provided with a pocket 134 for storing an object.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130, the rain cover (135) is accommodated in the waterproof cover 150 that surrounds the backpack body 100 when the rain, and a lock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of the housing 135 (not shown) H) is provided. As shown in FIG. 4, the waterproof cover 150 is normally placed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35, and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130 due to the waterproof cover 15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35. The inner surface is convex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backpack body 10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backpack body 100 becomes narrower, and thus, an advantage of maintain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ckpack upward more stable can be obtained. The content of the sag down the lumbar spin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user feels more heavy than the weight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backpack.

상기 배낭 몸체(100)의 내부 공간에는 연필 등의 필기구나 수첩, 각종 문구류 등을 수납하기 위한 포켓 또는 수납판(160)이 구비될 수 있다. The inner space of the backpack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a pocket or storage plate 160 for storing writing or notebooks, such as pencils, various stationery.

한편, 상기 배낭 몸체(100)에 연결되는 어깨 끈(200)은 상단이 몸체부(130)와 등판부(120) 상단의 연결 부분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등판부(120)의 하단부 양측에 연결되는 날개쿠션부(22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어깨 끈(200)은 하중을 신체의 안쪽으로 모아 배낭 몸체(100)의 무게중심을 상측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중간 부분이 내측으로 만곡된 'S'자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깨 끈(200)의 안쪽에도 완충 효과를 제공하는 쿠션부재(2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houlder strap 200 is connected to the backpack body 100,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130 and the back plate portion 120, the lower end is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back plate portion 120 It is connected to the wing cushion portion 220 is connected. Here, the shoulder strap 200 is preferably made of an 'S' shape of the middle portion is curved inward to mainta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ckpack body 100 by collecting the load to the inside of the body. It is preferable that a cushion member 210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shoulder strap 200 to provide a cushioning effect.

상기 날개쿠션부(220)는 상기 등판부(120)에 부착된 쿠션부재(140)와 마찬가지로 푹신한 스펀지 등의 완충재와 상기 완충재의 외면을 감싸는 에어메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등판부(120)에 재봉되어 등판부(120)에 대해서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Like the cushion member 140 attached to the back plate portion 120, the wing cushion portion 220 may be composed of a cushioning material such as a soft sponge and an air mesh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uffer material, the back portion 120 It is sewn so that the flow is connected to the back plate 120.

상술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배낭은 양측면이 단단한 측면 몰드부(110)로 구성되어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되어 있고, 배낭 몸체(100)의 내부 공간의 전후 방향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져 상광하협의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배낭 몸체(100)가 하측으로 쳐지지 않고 원형 상태를 유지하며,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책과 같은 물건들을 배낭 몸체(100) 내의 공간에 넣었을 때 아래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일부가 중간에 걸려서 지지되므로 무게중심이 상측으로 치우치게 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배낭을 멜 때, 배낭 몸체(100)의 무게중심(C)이 상측에 위치하게 되어 신체의 어깨 부분과 근접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하부 외측 방향으로의 모멘트가 줄어들고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척추 및 어깨에 무리가 가지 않으며, 피로감과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minimize deformation by forming the side mold portion 110, both sides of the rigid,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inner space of the backpack body 100 becomes narrow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Since the narrow structure of the backpack body 100 does not fall down and maintains a circular state, as shown in FIG. 4, when the objects such as books are placed in the space in the backpack body 100 without being biased downward. Is supported in the middle, so the center of gravity is biased upward. Therefore, as shown in FIG. 11, when the user carries the backpack, the center of gravity C of the backpack body 10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to approach the shoulder portion of the body, thereby causing the moment in the lower outward direction. Is reduced and the load is evenly distributed so that the spine and shoulders are not unreasonable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fatigue and discomfort.

그리고, 본 발명의 배낭은 하단부의 제2쿠션부(142)가 신체의 골반 위쪽에 접촉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어깨 끈(200)의 'S'자형으로 형성되어 중간 부분이 내측으로 만곡되기 때문에 배낭 몸체(100)의 하중을 신체의 내측으로 모아줄 수 있으며, 이로써 배낭 몸체(100)가 외측으로 쳐지지 않고 무게중심(C)이 신체의 상측에 근접된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more stable state because the second cushion portion 142 of the lower end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pelvis of the body. In addition, because the shoulder strap 200 is formed in the 'S' shape and the middle portion is curved inward, the load of the backpack body 100 can be collected to the inside of the body, whereby the backpack body 100 hits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center of gravity C is close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without losing.

한편, 상술한 이점과 더불어 본 발명의 배낭은 우수한 통기성 및 쿠션감을 제공하여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낭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부(120)의 중앙부가 후방으로 오목(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등판부(120)에 부착된 쿠션부재(140)의 테두리 부분이 가운데 부분보다 전방으로 더 높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배낭을 맸을 때 등판부(120)의 쿠션부재(140)와 신체의 등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부재(140) 사이에 형성된 제1,2통기유로(143, 144)를 통해서 상기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하게 되므로 우수한 통기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쿠션부재(140)로 인한 우수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advantages, the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cellent breathability and cushioning effect to maintain a comfortable state. That is, the back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9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ck portion 120 is concave (convex forward) to the rear, and the cushion member 140 attached to the back portion 120 Since the edge portion protrudes higher than the center portion,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ushion member 140 of the back plate 120 and the back of the body when the user takes off the backpack, and between the cushion members 140. Since the air flows into the space through the formed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passages 143 and 144, it is possible to provide excellent breathability and provide an excellent cushioning feeling due to the cushion member 140.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인체공학적 배낭에 대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 목적으로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The embodiment of the ergonomic back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present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re attached Various changes and implement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100 : 배낭 몸체 110 : 측면 몰드부
120 : 등판부 130 : 몸체부
132 : 덮개부 140 : 쿠션부재
140a : 완충재 140b : 에어메쉬
141 : 제1쿠션부 142 : 제2쿠션부
143 : 제1통기유로 144 : 제2통기유로
150 : 방수커버 200 : 어깨끈
210 : 쿠션부재 220 : 날개쿠션부
C : 무게중심
100: backpack body 110: side mold portion
120: back portion 130: body portion
132: cover portion 140: cushion member
140a: shock absorber 140b: air mesh
141: first cushion portion 142: second cushion portion
143: first aeration passage 144: second aeration passage
150: waterproof cover 200: shoulder strap
210: cushion member 220: wing cushion portion
C: center of gravity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물건을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된 배낭 몸체와, 상기 배낭 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연결되어 신체의 어깨에 메어지는 한 쌍의 어깨 끈을 포함하는 배낭에 있어서,
상기 배낭 몸체는,
단단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의 전후 폭(D1)이 하부의 전후 폭(D2)보다 크게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 몰드부와;
양단이 상기 측면 몰드부의 전단부와 연결되어 신체의 등과 마주보는 등판부와;
상기 등판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중간 부분과 신체의 등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테두리 부분이 가운데 부분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는 통기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쿠션부재와;
상기 등판부 및 측면 몰드부의 후단부에 이어지며, 물건을 인출 또는 수납하기 위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배낭 몸체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좌우 폭이 작아지며,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내부 공간의 횡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등판부는 중간부분이 양측부보다 후방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배낭.
A backpack comprising a backpack body having a space for storing an object, and a pair of shoulder straps connected to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backpack body to be carried on a shoulder of the body,
The backpack body,
A pair of side mold parts formed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having opposite front and rear widths D1 formed larg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s D2;
A back plate portion whose both ends are connected to a front end portion of the side mold portion to face the back of the body;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in the back portion, the edge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urther forward than the center portion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middle portion and the back of the body, the air flow passage in which air flow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cushion member formed;
And a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ack plate portion and the side mold portion, and having an opening for extracting or storing an article, and a cover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The backpack body has a smaller left and right width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is form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space is reduc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back plate portion is ergonomic backp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middle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concave rearward than both sid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등판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중간 부분이 테두리보다 낮게 형성된 제1쿠션부와, 상기 제1쿠션부의 하측에 제1쿠션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신체의 허리 부분과 접촉하는 제2쿠션부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제1쿠션부의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제1통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쿠션부와 제2쿠션부 사이에 상기 제1통기유로와 연통되는 제2통기유로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배낭.The waist of the body of claim 4, wherein the cushion member is disposed above the back plate and has a middle portion lower than the rim, and is formed at a lower distance from the first cushion portion at a lower side of the first cushion portion. It is divided into a second cushion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ortion, a first ventilation flow path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cushion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mmunicated with the first ventilation flow path between the first cushion portion and the second cushion portion. Ergonomic backp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ventilation flow path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쿠션부는 제1쿠션부보다 전방으로 더 높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배낭.The ergonomic backpack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cushion portion protrudes higher than the first cushion portion.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등판부에 고정되는 유연한 재질의 완충재와, 상기 완충재의 외면을 감싸며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에어메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배낭.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wherein the cushion member is configured to include a cushioning material of a flexible material fixed to the back plate portion, and an air mesh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ushioning material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 holes Ergonomic backpack characterized by.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 끈은 중간 부분이 내측 방향으로 만곡되도록 'S'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배낭.The ergonomic backpack of any one of claims 4 to 6, wherein the shoulder strap is formed in an 'S' shape such that the middle portion is curved in an inward direction.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는 배낭 몸체를 감싸는 방수커버가 수납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배낭 몸체의 내부 공간의 하단부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방수커버에 의해 더욱 협소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배낭.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waterproof cover surrounding the backpack body,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of the housing is provided, the backpack body The lower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ergonomic backpack,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narrowed by the waterproof cov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KR1020100028053A 2010-03-29 2010-03-29 Ergonomically Designed Backpack KR1011968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053A KR101196808B1 (en) 2010-03-29 2010-03-29 Ergonomically Designed Back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053A KR101196808B1 (en) 2010-03-29 2010-03-29 Ergonomically Designed Backp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699A KR20110108699A (en) 2011-10-06
KR101196808B1 true KR101196808B1 (en) 2012-11-06

Family

ID=4502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053A KR101196808B1 (en) 2010-03-29 2010-03-29 Ergonomically Designed Backp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80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087B1 (en) * 2012-05-25 2013-12-09 주식회사 성진아이앤씨 Bag
US10772410B2 (en) * 2019-01-04 2020-09-15 The North Face Apparel Corp. Cinch pac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466Y1 (en) * 2000-02-01 2000-08-16 김성실 Satchel
US20050017041A1 (en) * 2003-07-21 2005-01-27 Brian Roberts Backpa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466Y1 (en) * 2000-02-01 2000-08-16 김성실 Satchel
US20050017041A1 (en) * 2003-07-21 2005-01-27 Brian Roberts Back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699A (en)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6177B2 (en) Compression system for backpack
US6997507B2 (en) Rucksack having folding chair
US6892915B2 (en) Pack frame assembly and hydration systems incorporating the same
US7992749B2 (en) Support element for a carry strap
KR20020033158A (en) Ergonomic bookpack
US7726530B1 (en) Ergonomic backpack
US20060117453A1 (en) Garment backpack
JP2020018822A (en) Backpack
KR101196808B1 (en) Ergonomically Designed Backpack
CN102824020A (en) Human engineering knapsack
US20040050893A1 (en) Backpack
JP5713160B2 (en) school bag
KR200466701Y1 (en) a bag with the back which controlling temperature
KR101382586B1 (en) Backpack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backplate
KR101128300B1 (en) Bag for student for loaddispersion
KR20160115160A (en) Changeable backpack of its position
EP2312972A1 (en) Ergonomic backpack
KR101095684B1 (en) Backpack equipped with dual pad for supporting back
CN201734113U (en) Back protection bag
CN212912170U (en) Child bag
KR200411707Y1 (en) A knap sack possible back panel change
KR101906828B1 (en) Backpack with protecting backbone
KR101887855B1 (en) Backpack
US6513693B1 (en) Academic carrying apparatus
US11737533B1 (en) Hard-shell backpack with whe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