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276B1 - 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beverage container and a beverage dispenser and a beverage dispense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beverage container and a beverage dispenser and a beverage dispense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276B1
KR101196276B1 KR1020097017311A KR20097017311A KR101196276B1 KR 101196276 B1 KR101196276 B1 KR 101196276B1 KR 1020097017311 A KR1020097017311 A KR 1020097017311A KR 20097017311 A KR20097017311 A KR 20097017311A KR 101196276 B1 KR101196276 B1 KR 101196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connecting member
delivery port
beverage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3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06616A (en
Inventor
도모하루 나카노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8/052220 external-priority patent/WO2008099796A2/en
Publication of KR20090106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6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2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 기구 및 동일한 연결 기구를 사용하는 음료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음료 용기 (5) 와 음료 디스펜서 사이의 연결 기구는, 음료 용기에 배치된 음료 전달 부재의 전달 포트 (5d) 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노치 (25) 를 갖는 용기 장착부 (23), 음료 전달 포트 안으로 삽입되는 원통형 날카로운 첨단부 (9) 를 상단부에 갖고 배관 시스템 (2a, 2b) 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부재 (1), 및 음료 전달 포트 안에 연결 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작동 부재를 포함하고, 날카로운 첨단부의 단부면은 이 단부면이 음료 전달 포트의 주변 에지 (5e) 와 접촉할 때 음료 전달 부재가 노치 안에서 이동되게 하는 안내부를 규정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dispenser using a connecting device and the same connecting device. The connecting mechanism between the beverage container 5 and the beverage dispenser is inserted in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a container mount 23 having a notch 25 configured to engage the delivery port 5d of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disposed in the beverage container. A connecting member 1 having a cylindrical sharp tip 9 at its upper end and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piping system 2a, 2b, and an actuating member for inserting the connecting member in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The face defines a guide which allows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to move in the notch when this end face is in contact with the peripheral edge 5e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Description

음료 용기와 음료 디스펜서 사이의 연결 기구 및 이를 사용하는 음료 디스펜서{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BEVERAGE CONTAINER AND A BEVERAGE DISPENSER AND A BEVERAGE DISPENSER USING THE SAME}CONNECTION METHOD BETWEEN DRINK CONTAINER AND DRINK DISPENSER AND A BEVERAGE DISPENSER USING THE SAME {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본 발명은 음료 용기 및 음료 디스펜서 사이의 연결 기구 및 이 기구를 사용하는 음료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교체 가능한 음료 용기와 이 음료 용기로부터 음료를 전달하기 위한 음료 디스펜서 사이의 상호 연결을 제공하는 연결 기구 및 이 기구를 사용하는 음료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beverage container and a beverage dispenser and a beverage dispenser using th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connection between a replaceable beverage container and a beverage dispenser for delivering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A connection mechanism provided and a beverage dispenser using the apparatus.

다양한 종류의 연결 기구와 이러한 기구를 사용하는 음료 디스펜서가 관련 업계에 제안되어 있다. 다른 것들 가운데, 관련 업계에 따른 한 공통적인 종류의 연결 기구에서, 가요성 백 (bag) 과 같은 음료 용기는 음료로 채워지고, 연결 기구는 음료 전달 포트로부터 음료를 취할 수 있도록 음료 용기의 음료 전달 포트와 음료 디스펜서의 배관 시스템 사이의 상호 연결을 성립시키는데 사용된다 (특허 문헌 1 참조). Various types of connection devices and beverage dispensers using these devices have been proposed in the art. Among other things, in one common type of conn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relevant industry, a beverage container such as a flexible bag is filled with a beverage, and the connection mechanism delivers a beverage in the beverage container so that the beverage can be taken from the beverage delivery port. It is used to establish an interconnection between the port and the piping system of the beverage dispenser (see Patent Document 1).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1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음료 용기 (105) 는 경사진 상태와 수평 상태 사이에 위치되는 용기 장착부 (123) 에 위치된다. 도 11 은 수평으로 위치된 용기 장착부 (123) 를 나타낸다. 음료 용기 (105) 가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적절하게 위치된다면, 용기 장착부 (123) 가 수평 상태로 위치될 때, 연결 부재 (101) 의 날카로운 첨단부 (109) 가 음료 전달 부재 (105a) 의 음료 전달 포트 (105c)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는 날카로운 첨단부 (109) 가 밀봉 커버 (107) 를 관통하여 음료 용기 (105) 내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음료 용기 (105) 내의 음료는 날카로운 첨단부 (109) 로부터 연결 부재 (101) 안으로 흐를 수 있고 또한 내부 채널을 통하여, 음료의 분기된 흐름을 생성하는 배출관 (111) 으로 흘러갈 수 있다. 음료 용기 (105) 가 음료 디스펜서의 상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음료는 중력에 의해 외측으로 나올 수 있다. 여기서, 음료 전달 포트 (105c) 의 내벽 (105b) 과 연결 부재 (101) 사이에는 미리 정해진 간극이 있다. 하지만, 연결 부재 (101) 의 외부 둘레면에 위치된 O-링 (103d) 이 음료 전달 포트 (105c) 로부터의 음료의 어떠한 누수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이 실시예에서, 경사질 수 있는 용기 장착부 (123) 와 연결 부재 (101) 는 함께 연결 기구를 구성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1, the beverage container 105 is located in the container mounting portion 123 positioned between the inclined state and the horizontal state. 11 shows the container mount 123 positioned horizontally. If the beverage container 105 is properly position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ainer mounting portion 123 is positioned horizontally, the sharp tip 109 of the connecting member 101 is a beverage of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105a. May be inserted into delivery port 105c. This enables the sharp tip 109 to penetrate the sealing cover 107 and enter the beverage container 105.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container 105 may flow from the sharp tip 109 into the connecting member 101 and may also flow through the inner channel to the discharge pipe 111 which creates a branched flow of beverage. Since the beverage container 105 is located on top of the beverage dispenser, the beverage can come out by gravity. Here, there is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inner wall 105b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105c and the connecting member 101. However, it is ensured that the O-ring 103d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101 can prevent any leakage of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delivery port 105c. In this embodiment, the tiltable container mounting portion 123 and the connecting member 101 together constitute a connecting mechanism.

대조적으로, 도 12 는 음료 용기 (105) 가 부적절하게 위치된 상황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 (101) 에 대한 음료 전달 부재 (105a) 의 상대 위치는 일치하지 않고, 연결 부재 (101) 의 첨단은 음료 전달 포트 (105c) 의 주변 에지와 단지 약간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라고 해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수지 재료로 만들어져 있는 음료 전달 부재 (105a) 때문에, 음료 용기 (105) 를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여전히 수평 상태가 달성될 수 있다. In contrast, FIG. 12 shows a situation where the beverage container 105 is improperly positioned. Specifically,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105a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member 101 does not match, and the tip of the connection member 101 is only slightly in contact with the peripheral edge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105c. Even in this state, because of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105a made of a resin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the horizontal state can still be achieved by pressing the beverage container 105 downward.

[특허 문헌 1][Patent Document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6-27661 (구체적으로 도 7 참조)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6-27661 (see Fig. 7 specifically).

하지만, 불리하게도, 연결 부재 (101) 가 음료 전달 부재 (105a) 에 대하여 어긋난 상태 하에서 음료 용기 (105) 를 하방으로 누르는 것은 이하의 문제를 일으킨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 (101) 는 금속으로 이루어지지만, 음료 전달 부재 (105a) 는,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폴리에틸렌과 같은 수지 재료로 만들어지며, 따라서 음료 전달 포트 (105c) 의 내벽 (105b) 은 음료 용기 (105) 가 하방으로 눌릴 때 손상될 수 있다. 일단 손상된 음료 전달 포트 (105c) 의 내벽은 O-링 (103) 의 배치에도 불구하고 손상된 구역으로부터 누수될 수 있는 음료의 누수를 일으킬 수 있다. Disadvantageously, however, pressing the beverage container 105 downward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ng member 101 is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105a causes the following problem. Specifically, the connecting member 101 is made of metal, but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105a is made of a resin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inner wall 105b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105c is a beverage. It may be damaged when the container 105 is pressed downwards. The inner wall of the once damaged beverage delivery port 105c may cause a leak of beverage that may leak from the damaged area despite the placement of the O-ring 103.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지적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며 또 다른 목적은 동일한 연결 기구를 사용하는 음료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ion mechanism which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beverage dispenser using the same connection mechanis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음료 용기와 음료 디스펜서 사이의 연결 기구를 제공하며, 이 연결 기구는, 음료 용기에 배치되는 음료 전달 부재의 음료 전달 포트와 결합하게 되는 노치를 갖는 용기 장착부, 이 음료 전달 포트 안으로 삽입되는 원통 형상 첨단부를 첨단에 갖고 배관 시스템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부재, 및 이 연결 부재를 음료 전달 포트 안으로 삽입하기 위한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용하고, 음료 전달 포트와 마주하는 날카로운 첨단부의 단부면은, 이 단부면이 음료 전달 포트의 주변 에지와 접촉할 때, 음료 전달 부재가 노치 내에서 그의 허용 이동 방향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도록 작용할 수 있는 안내면을 규정한다. 이용되는 이러한 구성 덕분에, 날카로운 첨단부는 음료 전달 부재에 대한 안내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날카로운 첨단부의 첨단이 음료 전달 포트의 주변 에지와 접촉하게 되더라도, 음료 전달 포트의 주변 에지가 안내면의 작용의 도움으로 노치 안에서 그의 허용 이동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돕는다. 그 결과, 음료 전달 부재와 연결 부재 사이의 상대 위치가 수정되고, 따라서 음료 전달 포트의 내벽의 의도하지 않은 손상의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ing mechanism between a beverage container and a beverage dispenser, the connecting mechanism having a notch to engage a beverage delivery port of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disposed in the beverage container. A beverage comprising a container mount, a connecting member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piping system with a cylindrical tip inserted in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and an actuating member for inserting the connecting member in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The end face of the sharp tip facing the delivery port defines a guide surface that can act to guide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to move in its permissible direction of movement within the notch when this end face contacts the peripheral edge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 Thanks to this configuration used, the sharp tip can provide a guide surface for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This helps the peripheral edge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to move in its notch in the notch with the aid of the action of the guide surface, even if the tip of the sharp tip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eripheral edge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As a result,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and the connection member is corrected, thus reducing the possibility of unintended damage of the inner wall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본 발명의 양태는 바람직하게는 안내면이 음료 전달 포트에 대하여 경사면을 제공하는 구성을 이용한다. 이용되는 이러한 구성 덕분에, 음료 전달 포트의 주변 에지와 접촉하게 되는 안내면의 역할을 하는 경사면에 의해 유사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유사한 효과는 연결 부재를 음료 디스펜서에 대하여 정면 측과 후면 측이 역으로 위치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또한 달성될 수 있다.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utiliz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guide surface provides an inclined surface relative 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Thanks to this configuration used, a similar effect can be achieved by the inclined surface serving as the guide surface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eripheral edge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In addition, this similar effect can also be achieved by arranging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are positioned reversely with respect to the beverage dispenser.

본 발명의 양태는 바람직하게는 슬릿이 날카로운 첨단부의 측벽에 형성되는 구성을 이용한다. 날카로운 첨단부가 음료 용기의 밀봉 커버를 관통할 때, 날카로운 첨단부의 측벽에 형성된 슬릿에 의해, 슬릿에 대응하는 밀봉 커버의 일부분은 잘라지지 않고, 이 부분은 밀봉 커버의 나머지 부분과 여전히 연결되어 음료 용기 내에 유지된다.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utilize a configuration in which slits are formed on the sidewalls of sharp tips. When the sharp tip penetrates the sealing cover of the beverage container, the slit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sharp tip does not cut a part of the sealing cover corresponding to the slit, and this part is still connected to the rest of the sealing cover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Maintained within.

본 발명의 양태는 바람직하게는 관통공이 날카로운 첨단부의 측벽에 형성되는 구성을 이용한다. 날카로운 첨단부의 측벽에 형성되는 관통공 때문에, 음료 용기 내측의 음료의 높이가 날카로운 첨단부의 첨단 아래로 줄어들더라도, 음료는 관통공을 통하여 성공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음료를 완전히 취할 수 있다.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utiliz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sidewalls of the sharp tips. Because of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idewalls of the sharp tip, the beverage can be successfully delivered through the through hole even if the height of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is reduced below the tip of the sharp tip. Thus, the beverage can be taken completely.

본 발명의 양태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재는 날카로운 첨단부가 있고 음료 전달 포트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삽입 부분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용하고, 이 음료 전달 포트 측에 인접한 삽입 부분의 단부에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이 안내부는 단부가 음료 전달 포트의 주변 에지와 접촉할 때 노치 안에서 그의 허용 이동 방향으로 이동되게 음료 전달 부재를 안내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 이용되는 덕분에, 연결 부재가 음료 전달 포트 안으로 삽입될 때, 안내부는 음료 전달 포트의 주변 에지와 접촉하게 되고 음료 전달 부재가 연결 부재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돕는다. 그 결과, 음료 전달 부재가 연결 부재에 대하여 약간 어긋나 있는 것이 수정된다.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utiliz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has a sharp tip and comprises an insertion portion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the guide portion being form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adjacent 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side, This guide may act to guide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to move in its notched direction of movement within the notch when the end contacts the peripheral edge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Thanks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the guid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eripheral edge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and helps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to move to an appropriat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member. As a result, it is corrected that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is slightly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의 양태는 또한 음료 디스펜서가 상기 설명된 어떠한 종류 중 하나에 따른 연결 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용한다. 이용되는 이러한 구성 덕분에, 음료 용기를 음료 디스펜서 안에서 교체할 때, 음료 전달 포트의 내벽의 손상 등과 같은 문제는 방지될 수 있다.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employ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everage dispenser comprises a conn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y of the types described above. Due to this configuration used, when replacing the beverage container in the beverage dispenser, problems such as damage to the inner wall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음료 전달 부재와 연결 부재 사이의 상대 위치가 서로에 대해 일치하지 않더라도, 음료 전달 부재와 연결 부재 사이의 이러한 일치하지 않는 상대 위치는 여전히 수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음료 전달 포트의 내벽에 있을 수 있는 손상이 방지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even if the relative positions between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this mismatched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can still be corrected, and thus the beverage delivery port Any damage that may be on the inner wall of the machine is prevented.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를 나타내며, 도 1(A) 는 연결 부재의 평면도, 도 1(B) 는 연결 부재의 정면도 그리고 도 1(C) 는 연결 부재의 우측 입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1 shows a connecting member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A)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FIG. 1 (B)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FIG. 1 (C) is a The right elevation is shown respectively.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연결 부재를 구비한 음료 디스펜서의 정면도이다.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beverage dispenser with th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1. FIG.

도 3 은 도 1 에 나타낸 연결 부재와 적용되는 연결 기구를 나타내며, 도 3(A) 는 음료 전달 포트를 가상선으로 나타낸 연결 기구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3(B) 는 연결 기구의 정면도 그리고 도 3(C) 는 음료 전달 포트를 단면도로 나타낸 연결 기구의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FIG. 3 shows a connection mechanism applied with the connection member shown in FIG. 1, FIG. 3 (A) shows a plan view of the connection mechanism showing the beverage delivery port in phantom lines, and FIG. 3 (B) shows a front view of the connection mechanism and Fig. 3C shows a front view of the coupling mechanism showing the beverage delivery port in cross section, respectively.

도 4 는 도 1 에 나타낸 연결 부재에 대하여 어긋난 음료 용기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4(A) 는 연결 기구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4(B) 는 음료 전달 포트를 단지 단면도로 나타낸 연결 기구의 우측 입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FIG. 4 shows the state of the beverage container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1, FIG. 4A shows a plan view of the connecting mechanism and FIG. 4B shows a right elevational view of the connecting mechanism showing the beverage delivery port in sectional view only. Respectively.

도 5 는 도 4 에 나타낸 상태보다 더 어긋난 음료 용기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5(A) 는 연결 기구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5(B) 는 음료 전달 포트를 단지 단면도로 나타낸 연결 기구의 우측 입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FIG. 5 shows a state of the beverage container which is more displaced than the state shown in FIG. 4, FIG. 5A shows a plan view of the connection mechanism, and FIG. 5B shows a right elevational view of the connection mechanism showing the beverage delivery port in only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도 6 은 연결 기구를 구성하는 작동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각각 도 6(A) 는 작동 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6(B) 는 음료 전달 포트를 단지 단면도로 나타낸 작동 부재의 우측 입면도이다.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actuating members constituting the connecting mechanism, respectively Fig. 6 (A) is a plan view of the actuating member and Fig. 6 (B) is a right side elevation view of the actuating member showing only a beverage delivery port in cross section.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를 나타내며, 도 7(A) 는 연결 부재의 평면도, 도 7(B) 는 연결 부재의 정면도 그리고 도 7(C) 는 연결 부재의 우측 입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Fig. 7 shows a connecting member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A)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Fig. 7 (B)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Fig. 7 (C) is a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The right elevation is shown respectively.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를 나타내며, 도 8(A) 는 연결 부재의 평면도, 도 8(B) 는 연결 부재의 정면도 그리고 도 8(C) 는 연결 부재의 우측 입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Fig. 8 shows a connecting member us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A)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Fig. 8 (B)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Fig. 8 (C) is a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The right elevation is shown respectively.

도 9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9 shows a front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used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10 shows a front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used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은 연결 기구의 연결 부재와 음료 용기의 음료 전달 포트가 서로에 대해 적절한 물리적 관계에 있는 종래 연결 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11(A) 는 연결 기구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11(B) 는 음료 전달 포트를 단지 단면도로 나타낸 연결 기구의 우측 입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FIG. 11 shows a state of a conventional connecting mechanism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connecting mechanism and the beverage delivery port of the beverage container are in proper physic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nd FIG. 11 (A) shows a top view of the connecting mechanism and FIG. The right elevational view of the connecting mechanism, in which only the beverage delivery port is shown in cross section, is shown respectively.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낸 연결 부재에 대하여 어긋난 음료 용기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12(A) 는 연결 기구의 평면도이며 도 12(B) 는 음료 전달 포트를 단지 단면도로 나타낸 연결 기구의 우측 입면도이다. FIG. 12 shows the state of the beverage container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11, FIG. 12A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ing mechanism, and FIG. 12B is a right elevational view of the connecting mechanism showing the beverage delivery port in sectional view only. .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연결 기구][Connection mechanism]

본 발명의 연결 기구 (S) (도 2 ~ 6 참조) 는 음료 디스펜서 (D) 내에서 음료 용기 (5) 를 지지할 수 있고 음료 용기 (5) 에 배치된 음료 전달 부재 (5a) 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노치 (25) 를 갖는 용기 장착부 (23), 음료 전달 부재 (5a) 의 음료 전달 포트 (5d) 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날카로운 첨단부 (9) 를 첨단에서 갖고 하류측에 위치된 배관 시스템 (2a, 2b) 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연결 부재 (1), 및 이 연결 부재 (1) 를 음료 전달 포트 (5d) 에 삽입하는 역할을 하는 작동 부재 (29) 를 포함한다. The connecting mechanism S (see FIGS. 2-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upporting the beverage container 5 in the beverage dispenser D and engaging with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disposed in the beverage container 5. Piping system 2a positioned downstream on the tip with a container mount 23 having a notch 25 formed therein, a cylindrical sharp tip 9 inserted in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5d of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 A connecting member 1 formed to be connected to 2b), and an actuating member 29 which serves to insert the connecting member 1 in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5d.

[용기 장착부][Vessel mounting]

용기 장착부 (23) 는 음료 디스펜서 (D) 의 내측에 위치되고 음료 용기 (5) 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용기 장착부 (23) 는 음료 디스펜서 (D) 의 내측에 수평으로 놓이고, 음료 용기 (5) 는 용기 장착부에 위치할 수 있다. 용기 장착부 (23) 는 정면에서 볼 때 좌우 방향으로 중앙 영역에 형성된 노치 (25) 를 갖고 (도 3 참조), 음료 용기 (5) 의 음료 전달 부재 (5a) 의 외부 둘레면에 규정된 협소부 (5c) 가 이 노치 안으로 밀어 넣어진다. 음료 전달 부재 (5a) 의 협소부 (5c) 가 일단 노치 (25) 안으로 밀어 넣어지면, 밀어 넣기 방향 (P) 에 대하여 직교하는 좌우 방향 (Q)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을 따른 음료 전달 부재 (5a) 의 이동이 제한된다. 다시 말하면,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밀어 넣기 방향 (P) 을 따르는 방향은 음료 전달 부재 (5a) 의 허용 이동 방향을 규정한다. The container mounting portion 23 is located inside the beverage dispenser D and is formed to support the beverage container 5. More specifically, the container mount 23 can be placed horizontally inside the beverage dispenser D, and the beverage container 5 can be located in the container mount. The container mounting portion 23 has a notch 25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in the later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see FIG. 3), and the narrow portion defin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of the beverage container 5. 5c is pushed into this notch. Once the narrow portion 5c of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is pushed into the notch 25,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s well a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Q orthogonal to the pushing direction P is provided. Movement is restricted. In other words, in the embodiment shown, the direction along the pushing direction P defines the permissible movement direction of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연결 부재][Connection member]

도 1 ~ 도 5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연결 부재 (1) 는 음료의 흐름을 위해 내부에 형성된 채널을 갖는 연결 부재 본체 (3), 음료 용기 (5) 의 밀봉 커버 (7) 를 관통하기 위해 연결 부재 본체 (3) 의 상단부에 배치된 날카로운 첨단부 (9) 및 음료의 분기된 흐름을 배출을 위하여 두 방향으로 배분하기 위해 연결 부재 본체 (3) 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배출관 (11) 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B) 는 연결 부재 (1) 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이후에 설명될 음료 디스펜서 (D) 를 정면에서 볼 때 (도 2 참조) 연결 부재 (1) 는 도 1(B)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향될 것이다. As shown in FIGS. 1 to 5, the connecting memb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the connecting member body 3 having a channel formed therein for the flow of the beverage, the sealing cover 7 of the beverage container 5. A sharp tip 9 arrang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main body 3 and a discharge pipe 11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main body 3 for distributing the diverged flow of beverage in two directions for discharging. It includes. In this regard, FIG. 1B shows a front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1, and when the beverage dispenser D to be described later is seen from the front (see FIG. 2), the connecting member 1 is shown in FIG. 1B. Will be oriented as shown.

연결 부재 본체 (3) 는 날카로운 첨단부 (9) 를 갖는 삽입 부분 (3a), 내부 흐름을 위한 분기된 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분기된 부분 (3c) 및 삽입 부분 (3a) 과 분기된 부분 (3c) 사이의 연결을 위한 연결 부분 (3b) 으로 이루어진다. 삽입 부분 (3a) 은 음료 용기 (5) 의 음료 전달 포트 (5d) 안에 삽입되기에 충분한 미리 정해진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게다가, 탄성 재료 (예컨대, 고무) 등으로 만들어진 O-링 (3d) 이 연결 부분 (3d) 의 외부 둘레면에 위치된다. O-링 (3d) 은 음료가 외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음료 전달 포트 (5d) 의 관형 부재 (5b) 를 밀봉한다. 분기된 부분 (3c) 은 연결 부재 본체 (3) 에 대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형성된 분기된 채널 (더 구체적으로는 날카로운 첨단부 (9) 측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내부 채널) 및 내부 채널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배출 채널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이는 T-형 채널을 규정한다. 본 발명은 양방향의 분기된 흐름에 제한되지 않고 세 개 이상의 채널로 분기된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The connecting member body 3 has an insertion portion 3a with a sharp tip 9, a branched portion 3c for providing a branched channel for internal flow and a branched portion 3c with an insertion portion 3a. ) Consists of a connecting part 3b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m. The insertion portion 3a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iameter sufficient to be inserted in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5d of the beverage container 5. In addition, an O-ring 3d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the like is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3d. The o-ring 3d seals the tubular member 5b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5d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leaking outward. The branched portion 3c is formed in the branched channel (more specifically the inner channel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sharp tip 9 side) and the inner channel formed therei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member body 3. And outlet channels formed in orthogonal directions. In other words, this defines a T-type channe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bidirectional branched flow and may have a structure that enables flow branched into three or more channels.

연결 부재 (1) 의 날카로운 첨단부 (9) 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안내면을 제공하는 단부면 (음료 용기 (5) 와 마주하는) 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안내면은 날카로운 첨단부 (9) 의 단부면이 음료 절달 포트 (5d) 의 주변 에지 (5e) 와 접촉할 때 음료 전달 부재 (5a) 가 노치 (25) 내에서 허용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안내면은 실제로는 경사면으로 나타난다. 나타낸 실시형태의 날카로운 첨단부 (9) 는, 도 1(B)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우측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나타난다. 그 결과, 우측 입면도인 도 1(C) 에서 보이듯이, 날카로운 첨단부 (9) 는 최장부 (음료 전달 포트 (5a) 에 가장 가까운 부분) 인 중심으로부터 좌우를 향해 아래로 경사진 두 변에 의해 규정된 경사면을 갖는다. 날카로운 첨단부 (9) 는 또한 최단부 (좌측 측벽 측) 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슬릿 (9a) 을 포함한다. 슬릿 (9a) 은 날카로운 첨단부 (9) 에 의해 관통된 구역의 음료 용기 (5) 의 밀봉 커버 (7) 일부분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잘라지지 않고 남아있는 특정 부분을 생성하기 위해 제공된다. The sharp tip 9 of the connecting member 1 is made into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end face (facing the beverage container 5) that provides a guide surface. Specifically, the guide surface moves along the permissible movement direction in the notch 25 when the end face of the sharp tip 9 contacts the peripheral edge 5e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5d. The guide surface is actually shown as an inclined surface. The sharp tip 9 of the shown embodiment appears as an inclined surface that rises to the right when viewed from the front, as shown in FIG. 1 (B).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 (C), which is the right elevation, the sharp tip 9 is formed by two sides inclined downward from the center, which is the longest part (closest 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5a). Have a defined slope. The sharp tip 9 also includes a predetermined slit 9a formed at the shortest end (left side wall side). The slit 9a is provided to create a specific portion that remains uncut to prevent the portion of the sealing cover 7 of the beverage container 5 in the region pierced by the sharp tip 9 from falling off.

날카로운 첨단부 (9) 는 또한 우측 측벽 측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관통공 (9b) 을 포함한다. 이 관통공 (9b) 은 날카로운 첨단부 (9) 가 음료 용기 (5) 안에 삽입될 때 음료 용기 (5) 내의 음료가 이를 통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날카로운 첨단부 (9) 가 음료 용기 (5) 안으로 침투할 때 전체 관통공 (9b) 이 음료 용기 (5) 내측에 위치될 수 있는 위치에 관통공 (9b) 이 배치된다.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비록 단지 하나의 관통공 (9b) 이 형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둘 이상의 관통공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관통공 (9b) 의 형상은 단순한 원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어떠한 형상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The sharp tip 9 also includes a predetermined through hole 9b formed on the right side wall side. This through hole 9b is provided for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container 5 to be delivered therethrough when the sharp tip 9 is inserted into the beverage container 5. For this purpose, the through hole 9b is arranged at a position where the entire through hole 9b can be positioned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5 when the sharp tip 9 penetrates into the beverage container 5. Although only one through hole 9b is formed in the embodiment show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wo or more through holes may be provided. Further,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9b is not limited to a simple circle, and any shape can be used.

연결 부재 본체 (3) 에 결합된 두 배출관 (11) 이 분기된 부분 (3c) 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서로에 대해 반대측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배출관 (11) 은 배출관 (11) 에 연결된 배관 시스템 (2a, 2b) 이 배관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표면에 이탈 방지부를 포함한다. Two discharge pipes 11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main body 3 ar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branched portion 3c and project toward the opposite side to each other. The discharge pipe 11 includes a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on its surface to prevent the piping systems 2a and 2b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11 from leaving the pipe.

상기 나타낸 것과 같은 연결 부재 (1) 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 본체 (3) 및 날카로운 첨단부 (9) 는 스테인리스 강의 원통형 로드를 기계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채널이 연결 부재 본체 (3) 내부에 형성된다. 그 이후에, 배출관 (11) 이 연결 부재 본체 (3) 의 분기된 부분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연결 부재 (1) 의 재료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음료에 대하여 안정적이고, 부식과 같은 특성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한 어떠한 적절한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라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The connecting member 1 as shown above may be formed of stainless steel. Specifically, the connecting member body 3 and the sharp tip 9 can be formed by machining a cylindrical rod of stainless steel. Thereafter, a channel is formed inside the connecting member body 3. Thereafter, the discharge pipe 11 is joined to the branched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main body 3 by welding. It is to be noted that the material of the connecting memb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tainless steel and is stable to the beverage and any suitable metal or nonmetallic material can be used so long as it does not cause changes in properties such as corrosion.

[작동 부재][Working member]

작동 부재 (29) 는 연결 부재 (1) 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레버 부재를 포함하는데, 이 레버 부재는 음료 용기 (5) 에 대하여 밀어 넣기 방향 (P) 을 따라 위치된다. 이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작동 부재 (29) 는 연결 부재 (1) 를 좌측 및 우측에서 지지하고 축 (30) 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게다가, 파지부 (29a) 가 작동 부재 (29) 의 가까운 측 단부에 위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그 파지부 (29a) 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에 의해, 음료 용기 (5) 의 음료 전달 부재 (5a) 와 음료 디스펜서 (D) 를 연결하기 위 해서, 음료 용기 (5) 는 용기 장착부 (23) 에 장착되고 음료 전달 부재 (5a) 는 노치 (25) 내에 위치된다. 그 후, 사용자는 그/그녀의 손가락으로 작동 부재 (29) 의 파지부 (29a) 를 잡고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러면 연결 부재 (1) 의 날카로운 첨단부 (9) 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음료 전달 포트 (5d)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다른 한편, 음료 디스펜서로부터 음료 용기 (5) 를 연결 해제하기 위해서는, 작동 부재 (29) 의 파지부 (29a) 를 잡고 반대로 아래로 이동시키면 된다. The actuating member 29 comprises a lever member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connecting member 1, which is located along the push direction P with respect to the beverage container 5. In more detail, the operating member 29 is adapted to support the connecting member 1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o rotat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bout the axis 30. In addition, the gripping portion 29a is located at the close side end of the operation member 29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gripping portion 29a. By the configuration as shown above, in order to connect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of the beverage container 5 and the beverage dispenser D, the beverage container 5 is mounted on the container mounting portion 23 and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 5a) is located in the notch 25. Thereafter, the user grasps the holding portion 29a of the operation member 29 with his / her finger and moves upwards. This causes the sharp tip 9 of the connecting member 1 to move upwards in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5d.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disconnect the beverage container 5 from the beverage dispenser, the gripper 29a of the operating member 29 may be grasped and moved downward.

비록 상기 실시형태는 연결 부재 (1) 가 음료 전달 포트 (5d) 안으로 삽입되기 위해 밀어 올려져야하는 경우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도 11 및 12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기 장착부 (123) 를 경사진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회전 운동 시켜서 고정된 연결 부재 (101) 를 음료 전달 포트 (105c) 안으로 삽입할 수 있는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장착부 (123) 는 회전되어 아래로 눌리며 이에 의해 음료 전달 포트 (105c) 의 주변 에지 (105d) 와 날카로운 첨단부 (109) 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설명된 것과 같이 안내면의 역할을 하는 날카로운 첨단부 (109) 의 도움으로, 음료 전달 부재 (105a) 는 적절하게 이동될 수 있다. Although the above embodiment shows the case where the connecting member 1 must be pushed up to be inserted in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5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also allows inserting the fixed connection member 101 in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105c by rotating the container mounting portion 123 in an inclined state to a horizontal state, as shown in FIGS. 11 and 12. It can also be applied to existing structures. Specifically, the container mount 123 is rotated and pressed down, thereby bringing the sharp edge 109 into contact with the peripheral edge 105d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105c. With the aid of the sharp tip 109 serving as the guide surface 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105a can be properly moved.

[음료 디스펜서][Drink Dispenser]

이제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연결 기구 (S) 를 구비하는 음료 디스펜서 (D) 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2 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음료 디스펜서 (D) 는 그의 상부 영역에서 냉각실 (21) 을 포함하고, 이 냉각실 (21) 은 그의 내부에 음료 용기 (5) 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음료 용기 (5) 가 장착될 수 있는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은 용기 장착부 (23) 는 냉각실 (21) 의 아래에 수평으로 위치된다. 용기 장착부 (23) 는 정면에서 봤을 때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노치 (25) 를 포함하고 (도 3 참조), 음료 용기 (5) 의 음료 전달 부재 (5a) 의 외부 둘레면에 규정된 협소부 (5c) 가 이 노치에 밀어 넣어질 수 있다. 음료 전달 부재 (5a) 의 협소부 (5c) 가 일단 노치 (25) 안으로 밀어 넣어지면, 밀어 넣기 방향 (P) 에 직교하는 좌우 방향 (Q)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도 제한된다. 냉각실 (21) 은 본 발명에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상온의 용기 저장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연결 기구 (S) 주위의 주변 영역, 특히 연결 부재 (1) 및 음료 전달 부재 (5a) 에 충분한 수준의 위생이 보장되는 한 음료에 다양한 종류의 세균이 포함될 가능성이 없다는 전제하에 음료 용기 (5) 그 자체는 외부 공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환경에 위치될 수 있다. Now the beverage dispenser D with the connecting mechanism S as described above will now be described.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2, the beverage dispenser D comprises a cooling chamber 21 in its upper region, which is adapted to receive a beverage container 5 therein. . More specifically, the container mount 23 as mentioned above,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5 can be mounted, is positioned horizontally below the cooling chamber 21. The container mounting portion 23 includes a predetermined notch 25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see FIG. 3), and defined in the narrow peripheral surface of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of the beverage container 5. The portion 5c can be pushed into this notch. Once the narrow portion 5c of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is pushed into the notch 25,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well as the horizontal direction Q orthogonal to the pushing direction P is limit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oling chamber 21 is not necessarily essential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a container storage chamber at room temperature can be used. In addition, the beverage container (assuming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various kinds of bacteria are contained in the beverage as long as sufficient level of hygiene is ensured in the peripheral area around the connecting device S, in particular the connecting member 1 and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5) itself may be located in an environment that is directly exposed to outside air.

음료 디스펜서 (D) 에서, 음료 용기 (5) 는 백-인-박스 (bag-in-box) 형 용기의 밀봉된 용기이며, 음료 용기 (5) 의 내부 백과 결합하여 제공되는 음료 전달 부재 (5a) 는 연결 부재 (1) 를 통하여 음료 디스펜서 (D) 측에 제공된 각각의 배관 시스템 (2a 및 2b) (도 2 및 3 참조) 과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백-인-박스 형 용기는 보드지 등으로 만들어진 외부 박스 (B) 와 이 외부 박스 (B) 내부에 위치된 가요성 백으로 구성된 용기를 말한다. 음료 전달 부재 (5a) 가 가요성 백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박스 (B) 자체가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에서도, 음료 전달 부재 (5a) 는 외력이 가해진다면 여전히 다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은 밀봉 커버 (7) 는 무균 상태로 용기에 담긴 음료의 무균 상태를 보장하기 위해 음료 전달 포트 (5d) 내의 가장 내측에 위치된다. In the beverage dispenser D, the beverage container 5 is a sealed container of a bag-in-box type container and is provided with a beverage delivery member 5a which is provided in combination with the inner bag of the beverage container 5. ) Is connected with respective piping systems 2a and 2b (see FIGS. 2 and 3) provided on the beverage dispenser D side via a connecting member 1. In this regard, a bag-in-box type container refers to a container consisting of an outer box (B) made of cardboard or the like and a flexible bag located inside the outer box (B). Since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is attached to the flexible bag, even when the outer box B itself cannot move,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can still move somewhat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addition, the sealing cover 7 as mentioned above is located at the innermost side in the beverage delivery port 5d to aseptically ensure the sterile state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음료 디스펜서 (D) 내의 음료 용기 (5) 는 냉각실 (21) 에서 약 4 ~ 10℃ 로 냉각될 수 있다. 이는 음용에 적절한 저온으로 음료를 유지하고 뿐만 아니라 음료 용기 (5) 내의 음료의 오염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세균이 스스로 번식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저온으로 음료를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음료 용기 (5) 와 음료 디스펜서 (D) 사이의 연결 구역에 제공되는 연결 부재 (1) 는 또한 외부 공기가 차단된 상태 하에서, 또한 저온의 분위기에서 냉각실 (21) 에 위치되며, 따라서 세균이 침입하고 그 안에서 스스로 번식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The beverage container 5 in the beverage dispenser D may be cooled to about 4-10 ° C. in the cooling chamber 21. This is to keep the beverage at a low temperature suitable for drinking, as well as to keep the beverage at a low temperature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bacteria to propagate themselves in order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of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container 5. 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1 provided in the connection zone between the beverage container 5 and the beverage dispenser D is also located in the cooling chamber 21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external air is blocked and also in a low temperature atmosphere, and thus It is difficult for bacteria to invade and multiply within themselves.

음료 용기 (5) 의 음료 전달 포트 (5d) 는 삽입된 연결 부재 (1) 와 끼워맞춤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 3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결 부재 (1) 의 O-링 (3d) 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보어를 갖는 관형 부재 (5b) 는 음료 전달 부재 (5a) 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연결 부재 (1) 의 날카로운 첨단부 (9) 가 음료 용기 (5) 의 밀봉 커버 (7) 를 관통할 때, O-링 (3d) 은 음료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관형 부재 (5b) 와 협동하여 작용할 수 있다. 게다가, 음료 용기 (5) 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기 위해, 연결 부재 (1) 가 음료 전달 포트 (5d) 로부터 제거되도록 작동 부재 (29) 를 하방으로 누르고, 현재 빈 음료 용기 (5) 를 노치 (25) 밖으로 제거하기 위해 음료 용기 (5) 를 정면 측으로부터 이쪽으로 잡아당긴다. 그 이후에, 새로운 음료 용기 (5) 가 정면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밀어 넣기 방향 (P)) 수평으로 밀리고 이에 의해 음료 전달 부재 (5a) 가 노치 (25) 안에 위치된다. 그 후에, 작동 부재 (29) 는 연결 부재 (1) 를 음료 전달 포트 (5d) 에 삽입하기 위해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고, 따라서 밀봉 커버 (7) 는 음료 전달을 위해 관통될 수 있다 (도 3 참조).The beverage delivery port 5d of the beverage container 5 is fitted with the inserted connecting member 1.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tubular member 5b having a bor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O-ring 3d of the connecting member 1 is provided inside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Is located. Because of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harp tip 9 of the connecting member 1 penetrates the sealing cover 7 of the beverage container 5, the O-ring 3d is the tubular member 5b to prevent leakage of the beverage. Can work in concert with In addition, in order to replace the beverage container 5 with another one, the operating member 29 is pushed downward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1 is removed from the beverage delivery port 5d, and the currently empty beverage container 5 is notched 25 ) Pull out the beverage container 5 this way from the front side to remove it outward. Thereafter, the new beverage container 5 is pushed horizontally from the front side inward (the pushing direction P) so that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is positioned in the notch 25. Thereafter, the operating member 29 is pushed upward for inserting the connecting member 1 in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5d, so that the sealing cover 7 can be penetrated for beverage delivery (see FIG. 3). ).

도 2 를 더 참조하면, 분배 포트 (27) 가 음료의 분배를 위해 제공되는 음료 디스펜서 (D) 의 중간 높이에 위치된다.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음료 디스펜서 (D) 는 두 개의 분배 포트 (27) 를 갖는다. 이 분배 포트 (27) 는 음료 용기 (5) 에 담긴 음료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연결 부재 (1) 를 통하여 배관 시스템 (2a, 2b) 에 연결된다. 나타낸 실시형태의 분배 포트 (27) 가 각각 냉수 및 온수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음료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가열 탱크 (4a) 및 냉각 탱크 (4b) 가 음료 디스펜서 내부에 제공된다. 가열 탱크 (4a) 는 배관 시스템 (2a) 을 통하여 음료를 공급받도록 되어 있지만, 냉각 탱크 (4b) 는 배관 시스템 (2b) 을 통하여 음료를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열 장치 (6a) 가 음료를 가열하기 위해 가열 탱크 (4a) 의 표면에 배치되며, 냉각 장치 (6b) 가 음료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 탱크 (4b) 의 표면에 배치된다.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2, a dispensing port 27 is located at the middle height of the beverage dispenser D provided for dispensing the beverage. In the embodiment shown the beverage dispenser D has two dispensing ports 27. This dispensing port 27 is connected to the piping systems 2a, 2b via the connecting member 1 as described above for supplying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beverage container 5. Since the dispensing ports 27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are adapted to provide cold water and hot water, respectively, a heating tank 4a and a cooling tank 4b for temporarily storing the beverage are provided inside the beverage dispenser. The heating tank 4a is adapted to receive the beverage through the piping system 2a, but the cooling tank 4b is adapted to receive the beverage through the piping system 2b. In addition, a heating device 6a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heating tank 4a for heating the beverage, and a cooling device 6b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tank 4b for cooling the beverage.

[작동][work]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기구 (S) 의 작동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4(A) 는 위에서 본 음료 전달 부재 (5a) 를 따르는 연결 부재 (1) 의 평면도이며, 도 4(B) 는 그의 측면 입면도이다. 설명의 편의 를 위해, 음료 전달 부재 (5a) 는 도 4(A) 에서 파선으로 나타내었고, 음료 전달 부재 (5a) 는 도 4(B) 에서 단지 단면도로 나타내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면에서 좌측은 정면측을 나타내며, 음료 용기 (5) 가 음료 디스펜서 (D) 에 밀어 넣어지는 동안, 음료 전달 부재 (5a) 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밀어 넣기 방향 (P)) 이동하는 것을 또한 주목해야 한다. With reference to FIG. 4,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on mechanism S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this regard, FIG. 4A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1 along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seen from above, and FIG. 4B is a side elevation view thereof.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is shown in broken lines in FIG. 4 (A) and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is shown in sectional views only in FIG. 4 (B). It is also noted that the left side in the figure shows the front side and while the beverage container 5 is pushed into the beverage dispenser D,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moves from left to right (pushing direction P). Should be.

도 4 에서, 음료 전달 부재 (5a) 는 연결 부재 (1) 에 대하여 좌측으로 편위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는 음료 디스펜서 (D) 안으로 음료 용기를 밀어 넣는 양이 불충분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논의된 상태에서 음료 전달 부재 (5a) 에 허용되는 이동 방향은 노치 (25) 를 따른 방향 (P), 또는 그의 반대 방향이다. 보통 작동에서, 음료 전달 포트 (5d) 의 중심은 날카로운 첨단부 (9) 의 중심과 실질적으로 정렬되어야만 하지만, 도 4 에서는, 밀어 넣기 양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음료 전달 포트 (5d) 의 주변이 날카로운 첨단부 (9) 의 첨단와 접촉하고 있다. 음료 전달 부재 (5a) 를 냉각실 (21) 의 용기 장착부 (23) 에 형성되는 노치 (25) 에 삽입하는 동안, 음료 전달 부재 (5a) 가 노치 (25) 내에 걸리고 정지되어, 음료 용기 (5) 를 가장 안쪽 영역에 성공적으로 밀어 넣었다는 잘못된 생각을 사용자가 갖게 된다면 이러한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In FIG. 4,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is biased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member 1. In other words, this indicates an insufficient amount of pushing the beverage container into the beverage dispenser (D). The direction of movement allowed for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in the state discussed above is the direction P along the notch 25, or the opposite direction. In normal operation, the center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5d must be substantially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sharp tip 9, but in FIG. 4, the periphery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5d is sharp, because the amount of pushing is insufficient. It is in contact with the tip of the tip 9. While inserting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into the notch 25 formed in the container mounting portion 23 of the cooling chamber 21,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is caught in the notch 25 and stopped,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5 This can happen if the user has a false idea that they have successfully pushed) into the innermost region.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연결 부재 (1) 를 음료 전달 포트 (5d) 안으로 삽입하기 위해 작동 부재 (29) 를 사용하여 연결 부재 (1) 를 들어올리려고 시도할 수 있다. 이러는 시도 동안, 도 4(B)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비록 날카로운 첨단부 (9) 가 음료 전달 포트 (5d) 의 주변 에지 (5e) 와 접촉하게 되지만, 날카로운 첨단부 (9) 의 접촉 구역은 미리 정해진 각 (α) 으로 우측을 향해 기울어진 안내면 (경사면) 을 규정하고, 이 안내면은 음료 전달 부재 (5a) 에 가해지는 힘에서 우측 (음료 용기 (5) 의 밀어 넣기 방향 (P)) 으로 향하는 분력을 발생시키고, 이 분력이 음료 전달 부재 (5a) 를 적절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음료 전달 부재 (5a) 의 위치 지정은 음료 전달 부재 (5a) 와 연결 부재 (1) 사이의 적절한 위치적 관계가 성립되도록 수정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 용기 (5) 의 밀어 넣기 방향을 향한 경사면을 갖지 않는 종래의 연결 부재와 비교할 때, 음료 전달 포트 (5d) 의 내벽에 손상을 가할 가능성이 없어진다. In this state, the user may try to lift the connecting member 1 using the operating member 29 to insert the connecting member 1 in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5d. During this attempt, although the sharp tip 9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eripheral edge 5e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5d as shown in FIG. 4B, the contact area of the sharp tip 9 is predetermined. A guide surface (inclined surface) inclined toward the right at an angle α is defined, and the guide surface is a component force directed to the right side (the pushing direction P of the beverage container 5) by the force applied to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This component causes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to move properly. Specifically, the positioning of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can be modified so that an appropriat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and the connecting member 1 is established.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possibility of damaging the inner wall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5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onnecting member having no inclined surface in the pushing direc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5.

상기 논의는 음료 전달 포트 (5d) 의 주변 에지가 날카로운 첨단부 (9) 의 최장부 (음료 용기로부터 가장 가까운 부분) 에 대하여 우측으로 편위된 경우에 적용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하지만, 실제 사용 모드에서, 도 5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음료 전달 포트 (5d) 의 주변 에지 (5e) 가 날카로운 첨단부 (9) 의 최장부에 대하여 좌측으로 편위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날카로운 첨단부 (9) 의 첨단은 음료 전달 부재 (5a) 의 하부면에 접하게 되어 연결 부재 (1) 가 더 들어올려지는 것을 막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음료 용기 (5) 의 위치 지정이 부적절하거나 어떠한 문제가 존재한다는 것을 깨닫게 해 준다. 그 결과, 음료 전달 포트 (5d) 내의 관형 부재 (5b) 의 내벽에 가해질 수 있는 어떠한 손상의 가능성이 회피된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discussion applies when the peripheral edge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5d is biased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longest part of the sharp tip 9 (closest to the beverage container). However, in the actual use mode,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peripheral edge 5e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5d is shifted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longest part of the sharp tip 9,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the tip of the sharp tip 9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to prevent the connecting member 1 from being lifted further. This allows the user to realize that the positioning of the beverage container 5 is inappropriate or that some problem exists. As a result, any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inner wall of the tubular member 5b in the beverage delivery port 5d is avoided.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 부재 (1) 의 날카로운 첨단부 (9) 의 첨단이 단순하게 음료 용기 (5) 의 밀어 넣기 방향 (P) (노치 (25) 내의 허용되는 이동 방향) 을 따라 다소 경사진 안내면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안내면 때문에, 음료 전달 부재 (5a) 는, 연결 부재 (1) 가 적절한 위치로 상승되는 것에 따라 안내될 수 있고 또는 연결 부재 (1) 자체는 들어올려지지 않게 되며, 따라서 음료 전달 포트 (5d) 의 내벽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이러한 중간적인 또는 중간에 끝난 작용이 배제될 수 있다. As explained abov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tip of the sharp tip 9 of the connecting member 1 is simply the push direction P of the beverage container 5 (the allowed direction of movement in the notch 25). ), It is required to provide a slightly inclined guide surface. Because of this guide surface,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5a can be guided as the connecting member 1 is rais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or the connecting member 1 itself is not lifted, and thus the beverage delivery port 5d This intermediate or intermediate action, which can cause damage to the inner wall of the body, can be ruled out.

[제 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이제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 (31) 가 설명될 것이다. 나타낸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부재 (31) 는 날카로운 첨단부 (39) 의 구체적인 구조를 제외하고는 제 1 실시형태와 유사하다. 따라서, 날카로운 첨단부 (39) 에 대해서만 설명될 것이며, 나머지 구성에 대한 어떠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날카로운 첨단부 (39) 는 좌측 측벽 측에 위치된 최장부 및 우측 측벽 측에 위치된 최단부를 갖는다는 것이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슬릿 (39a) 이 최장부 측에 형성되고 관통공 (39b) 이 최단부 측에 형성된다. 그 결과, 관통공 (39b) 을 포함하는 최단부 측은 연결 부재 (31) 의 우측 입면도를 나타내는 도 7(C) 에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연결 부재 (31) 는, 날카로운 첨단부 (39) 의 첨단이 음료 용기의 밀어 넣기 방향 (P) 을 따라 뻗어있는 경사면을 갖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작용할 수 있다. Referring now to FIG. 7, the connecting member 31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connecting member 3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sharp tip 39. Therefore, only the sharp tip 39 will be described, and any description of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can be omitted here. The sharp tip 39 of 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has the longest part located on the left side wall side and the shortest part located on the right side wall side. By this configuration, the slit 39a is formed on the longest side and the through hole 39b is formed on the shortest side. As a result, the shortest side including the through hole 39b can be seen in Fig. 7C showing the right side elev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1. Figs. The connecting member 31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above can act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because the tip of the sharp tip 39 has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along the pushing direction P of the beverage container. have.

[제 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이제 도 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 (41) 가 설명될 것이다. 나타낸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부재 (41) 는 각각 날카로운 첨단부 (49) 및 삽입 부분 (43a) 의 구체적인 구조를 제외하고는 제 1 실시형태와 유사하다. 따라서, 날카로운 첨단부 (49) 와 삽입 부분 (43a) 에 대해서만 설명될 것이며, 나머지 구성에 대한 어떠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될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날카로운 첨단부 (49) 는 좌측 및 우측 측벽 측 양쪽에 위치된 최장부 및 정면 및 후면 측에 위치된 최단부를 갖는다는 것이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날카로운 첨단부는 음료 용기 (5) 의 밀어 넣기 방향 (P) 에 직교하는 라인에 위치된 좌측 및 우측 측벽 측 모두에서 음료 용기에 가장 가깝고, 결과적으로 날카로운 첨단부 (49) 의 첨단은 정면에서 볼 때 V-형상 경사면을 규정한다 (도 8(B) 참조). 게다가, 슬릿 (49a) 은 전방측에 형성되며, 관통공 (49b) 은 좌측 측벽 측에 형성된다. 그리하여, 연결 부재 (41) 의 우측 입면도를 나타내는 도 8(C)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결 부재 (41) 는, 날카로운 첨단부 (49) 의 첨단이 음료 용기의 밀어 넣기 방향 (P) 을 따라 뻗어있는 경사면을 갖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작용할 수 있다. Referring now to FIG. 8, the connecting member 41 us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connecting member 4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specific structures of the sharp tips 49 and the insertion portions 43a, respectively. Therefore, only the sharp tip 49 and the insertion portion 43a will be described, and any description of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here. The sharp tip 49 of 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has the longest part locat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 wall sides and the shortest part located on the front and back sides. Specifically, the sharp tip is closest to the beverage container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wall sides located in the line orthogonal to the pushing direction P of the beverage container 5, and consequently the sharp tip 49 has a frontal face. V-shaped inclined planes are defined (see Fig. 8 (B)). In addition, the slit 49a is formed at the front side, and the through hole 49b is formed at the left side wall side. Thus, as shown in Fig. 8C showing the right side elev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41, the connecting member 41 has a sharp tip of the sharp tip 49 extending along the pushing direction P of the beverage container. Since it has an inclined surface, it can act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게다가, 본 실시형태의 연결 부재 (41) 는 테이퍼형 삽입 부분 (43a) 을 갖는 절두 원추형 구성을 갖는다. 삽입 부분 (43a) 의 절두 원추형 구성 덕분에, 음료 용기의 음료 전달 부재가 연결 부재 (41) 의 위치에 대하여 어긋난다고 하더라도, 음료 전달 포트의 주변은 절두 원추형의 테이퍼형 표면에 여전히 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음료 전달 부재는 연결 부재 (41) 의 상승의 결과 적절한 위치로 안내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연결 부재 (41) 둘레에 끼워맞춤 된 O-링 (43d) 이 음료 전달 포트의 관형 부재 안에 위치되고, 따라서 음료 전달 부재에 대한 연결 부재의 적절한 위치 지정이 적절하게 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41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truncated conical configuration with a tapered insertion portion 43a. Thanks to the truncated conical configura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43a, even if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41, the periphery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can still contact the tapered surface of the truncated cone. . Thus,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can be guid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as a result of the elev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41. Finally, an O-ring 43d fitted around the connecting member 41 is located in the tubular member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so that proper positioning of the connecting member relative to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can be properly achieved.

[제 4 실시형태][Fourth Embodiment]

이제 도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 (51) 가 설명될 것이다. 나타낸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부재 (51) 는 날카로운 첨단부 (59) 의 구체적인 구조를 제외하고는 제 1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게다가, 날카로운 첨단부 (59) 는 이전에 설명된 제 3 실시형태의 날카로운 첨단부 (49) 와 유사하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형태의 연결 부재 (51) 의 날카로운 첨단부 (59) 는 정면에서 볼때 V-형상 구성을 갖고 연결 부재 본체 (53) 의 삽입 부분 (53a) 은 원통형 구성을 갖는다. 그 결과, 날카로운 첨단부 (59) 의 첨단이 음료 전달 포트의 주변과 접촉하게 될 때, 연결 부재 (51) 는 제 3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작용할 것이다. Referring now to FIG. 9, the connecting member 51 used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connecting member 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sharp tip 59. In addition, the sharp tip 59 is similar to the sharp tip 49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previously. In other words, the sharp tip 59 of the connecting member 51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V-shaped configura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insertion portion 53a of the connecting member body 53 has a cylindrical configuration. As a result, when the tip of the sharp tip 59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the connecting member 51 will act similarly to the third embodiment.

[제 5 실시형태][Fifth Embodiment]

이제 도 1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 (61) 가 설명될 것이다. 나타낸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부재 (61) 는 삽입 부분 (63a) 의 구체적인 구조를 제외하고는 제 3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부재 (61) 에서, 삽입 부분 (63a) 은 음료 전달 부재에 인접한 단부에 형성된 경사진 구역을 포함하는 안내 표면 (63e) 을 갖고, 상기 안내 표면 (63e) 에 이어서, 원통형 부분을 규정하는 하단부를 갖는 미리 정해진 경사의 절두 원추형 구성을 갖는다. 상기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에 의해, 날카로 운 첨단부 (69) 의 첨단이 음료 전달 포트의 주변과 접촉하게 될 때, 연결 부재 (61) 는 제 3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작용할 것이고, 이는 안내부 (63e) 와 절두 원추형 상부의 작용 도움에 의해 음료 전달 부재를 적절한 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Referring now to FIG. 10, the connecting member 61 used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connecting member 6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third embodiment except for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insertion portion 63a. In the connecting member 6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sertion portion 63a has a guide surface 63e including an inclined region formed at an end adjacent to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and following the guide surface 63e, a cylindrical shape It has a truncated conical configuration of a predetermined slope having a lower end defining the portion. By the configuration as shown above, when the tip of the sharp tip 69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the connecting member 61 will act similarly to the third embodiment, which is a guide ( 63e) and the help of the truncated cone top can guide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to the proper position.

본 발명은 음료 용기의 음료 전달 포트를 음료 디스펜서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기구 및 또한 동일한 연결 기구를 사용하는 음료 디스펜서에 적용될 수 있다. The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connection mechanism for connecting a beverage delivery port of a beverage container to a beverage dispenser and also a beverage dispenser using the same connection mechanism.

Claims (9)

음료 용기에 배치되는 음료 전달 부재와 결합하게 되는 노치를 갖는 용기 장착부, A container mounting portion having a notch that engages a beverage delivery member disposed in the beverage container, 상기 음료 전달 부재 안으로 삽입되는 원통 형상 첨단부를 첨단에 갖고 배관 시스템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부재, 및A connecting member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plumbing system having a cylindrical tip at the tip inserted into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음료 전달 포트 안으로 삽입하기 위한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와 음료 디스펜서 사이의 연결 기구로서,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beverage container and a beverage dispenser comprising an actuating member for inserting the connecting member in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상기 노치와 상기 음료 용기를 음료 디스펜서에 설치하는 경우의, 상기 음료 전달 부재의 이동 가능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It is formed along the movable direction of the said drink delivery member in the case of installing the said notch and the said drink container in a beverage dispenser, 상기 음료 용기는, 외부 박스와 이 외부 박스 내부에 위치된 가요성 백으로 구성되고,The beverage container consists of an outer box and a flexible bag located inside the outer box, 상기 음료 전달 포트와 마주하는 상기 날카로운 첨단부의 단부면은, 이 단부면이 상기 음료 전달 포트의 주변 에지와 접촉할 때, 상기 음료 전달 부재가 상기 노치 내에서 그의 허용 이동 방향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도록 작용할 수 있는 안내면이 규정되어 있고,The end face of the sharp tip facing the beverage delivery port may act to guide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to move in its notched direction within the notch when the end face contacts the peripheral edge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There is a guide surface that can be 상기 안내면은 음료 전달 부재의 상기 이동 가능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단일의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단면에 의해 형성되고,The guide surface is formed by a cross section consisting of a single plane inclin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vable direction of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상기 음료 전달 부재에 대해 상기 이동 가능 방향을 따라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An inclined surface along the movabl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날카로운 첨단부가 있고 상기 음료 전달 포트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삽입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음료 전달 포트 측에 인접한 상기 삽입 부분의 단부에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이 안내부는 상기 단부가 상기 음료 전달 포트의 주변 에지와 접촉할 때 상기 노치 안에서 그의 허용 이동 방향으로 이동되게 상기 음료 전달 부재를 안내하도록 작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와 음료 디스펜서 사이의 연결 기구.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having the sharp tip and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wherein an end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adjacent 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side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the guide portion having the end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ion. And act to guide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to be moved in its notched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peripheral edge of the pot,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beverage dispens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슬릿이 상기 날카로운 첨단부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와 음료 디스펜서 사이의 연결 기구.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beverage container and a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lit is formed on the side wall of said sharp tip. 제 1 항에 있어서, 관통공이 상기 날카로운 첨단부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와 음료 디스펜서 사이의 연결 기구.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beverage container and a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ide wall of said sharp tip. 제 3 항에 있어서, 관통공이 상기 날카로운 첨단부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와 음료 디스펜서 사이의 연결 기구.4. 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beverage container and a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sharp tip. 삭제dele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날카로운 첨단부가 있고 상기 음료 전달 포트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삽입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음료 전달 포트 측에 인접한 상기 삽입 부분의 단부에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이 안내부는 상기 단부가 상기 음료 전달 포트의 주변 에지와 접촉할 때 상기 노치 안에서 그의 허용 이동 방향으로 이동되게 상기 음료 전달 부재를 안내하도록 작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와 음료 디스펜서 사이의 연결 기구.5.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having the sharp tip and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the guide portion being formed at an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adjacent to the beverage delivery port side, the guide portion And actuate to guide the beverage delivery member to move in its allowable direction of movement within the notch when the end is in contact with the peripheral edge of the beverage delivery port. 제 1 항에 따른 상기 연결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A beverage dispenser comprising the conn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1. 삭제delete
KR1020097017311A 2007-02-14 2008-02-05 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beverage container and a beverage dispenser and a beverage dispenser using the same KR10119627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33467 2007-02-14
PCT/JP2008/052220 WO2008099796A2 (en) 2007-02-14 2008-02-05 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beverage container and a beverage dispenser and a beverage dispense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616A KR20090106616A (en) 2009-10-09
KR101196276B1 true KR101196276B1 (en) 2012-11-09

Family

ID=4153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311A KR101196276B1 (en) 2007-02-14 2008-02-05 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beverage container and a beverage dispenser and a beverage dispense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27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0577A (en) * 1997-12-26 1999-07-13 Fuji Electric Co Ltd Drinking water dispens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0577A (en) * 1997-12-26 1999-07-13 Fuji Electric Co Ltd Drinking water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616A (en) 2009-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37720B1 (en) Method for filling a gas canister for a carbonation machine
KR20030015270A (en) Drink dispensing device and container for drink provided with positioning means
BRPI0621433A2 (en) liquid dispensing tap, particularly for high and medium density liquids
US8196777B2 (en)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beverage container and a beverage dispenser and a beverage dispenser using the same
BRPI0708045A2 (en) drip proof fluid dispensing valve
JP2018503032A (en) Liquid gas bottle connector and filling method
MX2007011781A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nd device.
KR950014595B1 (en) Filling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s and preventing spillage thereof
US8528783B2 (en) Sterile dispensing package with coupling insert for receipt of piercing memb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196276B1 (en) 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beverage container and a beverage dispenser and a beverage dispenser using the same
RU2591088C2 (en) Tool for pouring of liquid, equipped with anti-drip valve system
US20030192918A1 (en) Thermal container
RU2376240C2 (en) Valve device for reservoir with internal bag for storage of drink
JP2010526971A (en) Dual valve with flexibility
US20060278656A1 (en) Spout handle and nozzle assembly
WO2012042503A1 (en) Gas distributing bar for beverage dispensing devices from containers such as bottles and the like
WO2020106831A1 (en) Hollow needle with particle screen for beverage dispensing
US20170297885A1 (en) Liquid dispensing head
JP7442445B2 (en) Needle for accessing the beverage inside the container
US20200354132A1 (en) Closure device and liquid container
PT1490290E (en) Assembly of a keg with a neck and a connecting device
TWI768863B (en) Beverage dispensing device
CN117178347A (en) container
KR200431483Y1 (en) Aligning apparatus for pouch container
US10611542B2 (en) Quick connection devices for aseptic ba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