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753B1 -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 - Google Patents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753B1
KR101195753B1 KR1020120002162A KR20120002162A KR101195753B1 KR 101195753 B1 KR101195753 B1 KR 101195753B1 KR 1020120002162 A KR1020120002162 A KR 1020120002162A KR 20120002162 A KR20120002162 A KR 20120002162A KR 101195753 B1 KR101195753 B1 KR 101195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holder
tool
groove
cutting oil
turr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섭
Original Assignee
김흥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섭 filed Critical 김흥섭
Priority to KR102012000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24Tool holders for a plurality of cutting tools, e.g.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1Retention by threaded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에 관한 것으로, 일측은 터렛에 설치된 내경공구홀더에 설치되고 타측에는 공구 설치부(320)가 형성되어 공구가 설치되는 공구홀더로서, 상기 공구홀더 내부에 절삭유가 흐르는 유로(400)가 형성되어 절삭유 유입구로 유입된 절삭유가 상기 공구 설치부(320)를 통하여 토출되며, 상기 공구 설치부(320)는 중심부에 공구 삽입공(322)이 형성된 중공원통형으로서 공구홀더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공구 설치부 외주면에 형성된 공구 고정 볼트용 너트공(326)에 결합된 공구 고정 볼트(328)를 조여 삽입된 공구를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공구 삽입공(322)의 가장자리에 절삭유 토출공(324)이 방사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절삭유 토출공을 통하여 토출된 절삭유가 공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공구의 길이방향으로 토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공구홀더는 터렛에 설치된 내경공구홀더에 설치되는 제1공구홀더(200)와, 공구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공구가 설치되는 제2공구홀더(300)의 두 부분으로 분리.결합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1공구홀더와 제2공구홀더가 서로 접촉되는 결합면 중 어느 한 결합면의 유로 구멍의 가장자리에 패킹홈(240)이 형성되어 누수 방지용 패킹이 안치되어, 설치된 공구의 편심을 보정하기 위하여 제2공구홀더(300)의 위치를 이동하여 결합하더라도 기밀이 유지되게 구성되되,
편심보정은 제1공구홀더의 결합면(210) 또는 제2공구홀더의 결합면(310)에 구성된 가이드돌부(270)와, 가이드돌부(270)가 구성된 결합면과 대향되는 결합면에 구성되며 가이드돌부(27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50)으로서, 상기 가이드돌부(270) 및 가이드홈(350)의 안내에 의하여 제2공구홀더(300)의 편심을 보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에 있어서,
상기 제1공구홀더(200)와 제2공구홀더(300)에는 제1공구홀더 조정홈(201)과 제2공구홀더 조정홈(301)이 각각 형성되되, 제1공구홀더(200)와 제2공구홀더(300)의 결합면과 수평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2공구홀더 조정홈(201, 301)에는 조정나사(600)가 삽입설치되되, 상기 제1공구홀더 조정홈(201)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제2공구홀더 조정홈(301)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조정나사(600)를 전, 후진하면, 제1공구홀더(200)에 대하여 제2공구홀더(300)가 상대운동하며 전, 후진하여 편심을 보정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터렛용 공구홀더에 조정나사가 가이드돌기 및 홈과 함께 설치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편심을 조정하기 위한 공구가 필요하지 않고 또한 비숙련자도 정확하고 쉽게 편심을 조정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tool holder with control screw for turret}
본발명은 터렛용 공구홀더에 가이드돌기 및 홈과 함께, 조정나사가 설치되어 편심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터렛용 공구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렛은 선반이나 머시닝센터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터렛은 보통 8~12개 정도의 내경공구홀더가 체결되고 상기 내경공구홀더에 드릴이나 리이머 등의 다양한 절삭공구가 장착되어 사용되어 진다.
종래의 기술(특허 등록번호 제0149786)에 의한 터렛공구대는, 터렛에 공작물의 외경을 가공하는 외경바이트를 조임하는 다수개의 클램프 웨지가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원주방향으로 배열, 장착되고, 그 둘레에 키이 결합으로 조립되는 내경공구홀더가 설치되어 있고, 이 내경공구홀더의 일측에는 소켓에 고정되는 내경공구를 조임하는 세트스크류가 나사결합된 것이 있다.
한편, 또다른 종래의 기술(공개번호 실2000-000689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스핀들의 고속회전으로 클램핑된 공작물을 공구에 의해 높은 정밀도로 가공하게 되는 수치제어(NC) 공작기계에서는 가공되는 공작물의 가공면의 냉각과 공구의 보호 및 칩의 제거를 위하여 일정압의 절삭유를 가공작업을 하는 부분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되며, 이와같은 종래의 절삭유 공급장치는 절삭유 공급파이프로부터 절삭유를 공급받는 몸체가 공구대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몸체 내에는 탄성스프링이 내설되는 것은 물론이고, 노즐 및 선단캡이 가공물측을 향하여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절삭유 공급장치는 공구교환을 위해 터렛이 언클램프, 회전, 클램프의 순서로 작동하는 타입의 터렛인 경우, 터렛에 절삭유를 공급해 주기 위해 탄성스프링의 힘에 의해 노즐이 왕복운동을 하게 되어 노즐이 마모되어 절삭유가 누유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터렛이 언클램프 동작없이 회전에 의해서만 공구교환을 하는 타입의 터렛인 경우는 노즐이 공구대 외부로 돌출되어 이를 사용할 수 없으며, 절삭유칩 등으로 인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종래의 기술(공개번호 실2000-0006896)에는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구회전장치(30)가 내설된 회전터렛(14)이 구비되는 한편, 내부에 회전터렛(14)의 선단에 이르기까지 중공축(12)이 형성된 공구대(10)를 가지며, 그 중공축(12)으로 공작기계의 절삭작업부위에 절삭유 공급원으로부터의 절삭유를 공급하기 위한 절삭유 공급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공구대(10)의 중공축(12)내에 축방향으로 서로 간섭되지 않게 설치되고, 그 일단부가 상기 절삭유 공급원에 연결되는 절삭유 공급튜브(11)와; 상기 절삭유 공급튜브(11)의 타단으로부터 그 공구회전장치(30)에 간섭되지 않게 우회로(32a)를 형성하는 한편, 그 우회로(32a)로부터 연장하여 연통설치되고 공구쪽으로 향하도록 별도의 연결유로(20a)가 형성된 절삭유 연결고정블럭(20)과; 상기 절삭유 연결고정블럭(20)과 연통하여 공구홀더(15)에 이르기까지 분배유로(22a)가 형성되되, 상기 분배유로(22a)는 터렛(14)의 분할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해당공구에 위치되었을 경우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공구의 분할갯수와 동일하게 형성하도록 된 절삭유 분배블럭(22)을 포함하는 절삭유 공급장치가 출원.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절삭유 공급장치는 터렛의 내부를 통하여 절삭유가 공급되어 공구홀더의 측면 또는 터렛의 측면에 형성된 절삭유 토출공을 통하여 공구와 어느 정도 떨어진 거리에서 절삭유를 분사하는 방식으로서 소모되는 절삭유의 양이 많고 외부로 튀는 등의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출원인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등록번호 10-1050411 터렛용 공구홀더를 출원, 등록하였고, 이는 일측은 터렛에 설치된 내경공구홀더에 설치되고 타측에는 공구 설치부가 형성되어 공구가 설치되는 공구홀더에 있어서, 상기 공구홀더 내부에 절삭유가 흐르는 유로(400)가 형성되되 절삭유 유입구로 유입된 절삭유가 공구 설치부(320)를 통하여 토출되어 공구의 외주면을 감싸고 공구의 길이방향으로 토출가능케 구성된 것이 특징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발명은 사용시 공구가 상부로 밀려올라오는 경향이 있었고, 또한 유로가 상부로부터 일직선으로 하부로 형성되어 있어서, 절삭유 공급을 전체적으로 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출원인은 특허등록번호 10-1076711의 스토퍼가 내장된 터렛용 공구홀더를 출원등록하였고, 이는, 일측은 터렛에 설치된 내경공구홀더에 설치되고 타측에는 공구 설치부가 형성되어 공구가 설치되는 공구홀더에 있어서, 상기 공구홀더 내부에 절삭유가 흐르는 유로(400)가 형성되되 절삭유 유입구로 유입된 절삭유가 상기 공구 설치부(320)를 통하여 토출되게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절삭유 유입구는 내경공구홀더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공구홀더의 일측 단부 중심에 형성될 수있으며, 절삭유 공급 파이프를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절삭유 유입구 내측면에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구 설치부(320)는 중심부에 공구 삽입공(322)이 형성된 중공원통형으로서 공구홀더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공구 설치부 외주면에 형성된 공구 고정 볼트용 너트공(326)에 결합된 공구 고정 볼트(328)를 조여 삽입된 공구를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공구 삽입공(322)의 가장자리에 절삭유 토출공(324)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절삭유 토출공를 통하여 토출된 절삭유가 공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공구의 길이방향으로 토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삭유 토출공의 바람직한 예로서, 공구 삽입공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공구 삽입공에 삽입된 공구의 외주면과 홈으로 이루어지는 절삭유 토출공이 있다.
상기와 같이 공구홀더 내부에 절삭유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여 절삭유 유입구로 유입된 절삭유가 공구 설치부를 통하여 공구의 외주면을 감싸고 길이방향으로 토출되게 구성하면, 보다 적은 양의 절삭유로 효과적으로 냉각, 윤활, 칩 제거 등과 같은 절삭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정밀한 공작물의 가공과 더불어 공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절삭유 소모량 감소에 따른 비용 절감과 폐절삭유 처리에 따른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공구 설치부(320)는 중심부에 콜릿척 삽입공(340)이 형성된 중공원통형으로서 공구홀더의 일측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되, 공구 설치부 외주면에 형성된 공구 고정볼트용 너트공(326)에 결합된 공구 고정 볼트(328)를 조여 삽입된 콜릿척 몸체를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절삭유가 상기 콜릿척 몸체 내부를 통하여 콜릿의 틈새로 토출되어 콜릿 중심부에 장착된 공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공구의 길이방향으로 토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콜릿척은 종래부터 생산.판매되고 있는 것으로서, 중공원통형의 몸체와, 몸체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결합되는 너트와, 너트와 몸체 사이에 개재되어 너트를 조이면 오므라들어 공구를 조여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 콜릿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터렛용 공구홀더에 있어서, 공구 설치부에 형성되는 공구 삽입공또는 콜릿척 삽입공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구멍의 모양과 크기를 단순히 변경하여 가공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구홀더는 터렛에 설치된 내경공구홀더에 설치되는 제1공구홀더(200)와, 공구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공구가 설치되는 제2공구홀더(300)의 두 부분으로 분리.결합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1공구홀더와 제2공구 홀더가 서로 접촉되는 결합면 중 어느 한 결합면의 유로 구멍의 가장자리에 패킹홈(240)이 형성되어, 누수 방지용 패킹이 안치되어, 설치된 공구의 편심을 보정하기 위하여 제2공구홀더(300)의 위치를 이동하여 결합하더라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토퍼가 내장된 터렛용 공구홀더는 그 내부에 절삭 유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한개의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와 같이 제1공구홀더와 제2공구홀더의 두 부분으로 분리.결합되게 구성하면 가공오차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하여 설치된 공구와 공작물을 물고 있는 척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때 제2공구홀더의 위치를 이동하여 재결합하여 편심을 보정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는데, 이때 분리.결합되는 결합면의 틈으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면의 일측에 패킹홈을 형성하고 패킹을 개재하는 것이다.
그리고 편심보정은 도 3, 4, 5, 6에 명료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구홀더의 결합면(210) 또는 제2공구홀더의 결합면(310)에 구성된 제1, 2가이드돌부(212, 214)와, 제1, 2가이드돌부(212, 214)가 구성된 결합면과 대향되는 결합면에 구성되며 제1, 2가이드돌부(212, 214)가 삽입되는 제1, 2가이드홈(312, 314)으로서, 상기 제1, 2가이드돌부(212, 214) 및 제1, 2가이드홈(312, 314)의 안내에 의하여 제2공구홀더(300)의 편심을 보정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구홀더의 유로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유로가 형성된 스토퍼(500)가 설치된다. 상기 절삭유가 유입되는 상부 입구(510)의 테두리에는 렌치홈(520)이 형성되어 스토퍼가 공구홀더의 유로에 정확하게 내장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는 공구홀더의 유로에 내장되어 있어서, 절삭중 공구가 위로 상승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보다 정밀한 공작물의 가공이 가능하며 공구수명도 연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로가 형성된 스토퍼(500)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상으로서, 절삭유가 유로가 형성된 스토퍼(500)의 상부입구(510)로 유입되고, 하부출구(530)쪽 유로 측면에는 절삭유 관로인 측면구멍(540)이 형성되어 절삭유가 상부입구(510)로 유입된 후 상기 절삭유 관로인 측면구멍(540)을 통하여 유출되되, 제2공구홀더의 중공이 상부는 구멍이 좁고 하부는 구멍이 넓게 단차가 져 있어서, 원통형상의 스토퍼의 상부가 상기 좁은 부분에 삽입고정되며, 스토퍼의 하부에 형성되는 측면구멍(540)이 단차 이후의 넓어지는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편심을 조정하기 위하여 망치등으로 터렛용 공구홀더의 제1공구홀더(200)와 제2공구홀더(300) 측면을 두드리거나 하여 힘을 억지로 가하여 조정하게 됨으로 편심조정이 정확하지 않고 잘못 공구홀더가 손상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터렛용 공구홀더에 조정나사가 가이드돌기 및 홈과 함께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편심을 조정하기 위한 공구가 필요하지 않고, 비숙련자도 정확하고 쉽게 편심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에 관한 것으로, 일측은 터렛에 설치된 내경공구홀더에 설치되고 타측에는 공구 설치부(320)가 형성되어 공구가 설치되는 공구홀더로서, 상기 공구홀더 내부에 절삭유가 흐르는 유로(400)가 형성되어 절삭유 유입구로 유입된 절삭유가 상기 공구 설치부(320)를 통하여 토출되며, 상기 공구 설치부(320)는 중심부에 공구 삽입공(322)이 형성된 중공원통형으로서 공구홀더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공구 설치부 외주면에 형성된 공구 고정 볼트용 너트공(326)에 결합된 공구 고정 볼트(328)를 조여 삽입된 공구를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공구 삽입공(322)의 가장자리에 절삭유 토출공(324)이 방사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절삭유 토출공을 통하여 토출된 절삭유가 공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공구의 길이방향으로 토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공구홀더는 터렛에 설치된 내경공구홀더에 설치되는 제1공구홀더(200)와, 공구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공구가 설치되는 제2공구홀더(300)의 두 부분으로 분리.결합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1공구홀더와 제2공구홀더가 서로 접촉되는 결합면 중 어느 한 결합면의 유로 구멍의 가장자리에 패킹홈(240)이 형성되어 누수 방지용 패킹이 안치되어, 설치된 공구의 편심을 보정하기 위하여 제2공구홀더(300)의 위치를 이동하여 결합하더라도 기밀이 유지되게 구성되되,
편심보정은 제1공구홀더의 결합면(210) 또는 제2공구홀더의 결합면(310)에 구성된 가이드돌부(270)와, 가이드돌부(270)가 구성된 결합면과 대향되는 결합면에 구성되며 가이드돌부(27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50)으로서, 상기 가이드돌부(270) 및 가이드홈(350)의 안내에 의하여 제2공구홀더(300)의 편심을 보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에 있어서,
상기 제1공구홀더(200)와 제2공구홀더(300)에는 제1공구홀더 조정홈(201)과 제2공구홀더 조정홈(301)이 각각 형성되되, 제1공구홀더(200)와 제2공구홀더(300)의 결합면과 수평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2공구홀더 조정홈(201, 301)에는 조정나사(600)가 삽입설치되되, 상기 제1공구홀더 조정홈(201)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제2공구홀더 조정홈(301)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조정나사(600)를 전, 후진하면, 제1공구홀더(200)에 대하여 제2공구홀더(300)가 상대운동하며 전, 후진하여 편심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렛용 공구홀더에 조정나사가 가이드돌기 및 홈과 함께 설치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편심을 조정하기 위한 공구가 필요하지 않고 또한 비숙련자도 정확하고 쉽게 편심을 조정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렛용 공구홀더의 실시예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제1공구홀더의 실시예 도면
도 3은 종래의 제2공구홀더의 실시예 도면
도 4는 종래의 제1공구홀더와 제2공구홀더의 실시예 결합도
도 5는 종래의 제1공구홀더와 제2공구홀더의 다른 실시예 결합도
도 6은 종래의 터렛용 공구홀더 내부에 스토퍼가 내장된 도면
도 7은 도 6의 스토퍼 정면도
도 8은 도 6의 스토퍼 평면도
도 9는 본발명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제1공구홀더의 실시예 도면
도 11은 제2공구홀더의 실시예 도면
도 12는 제1공구홀더와 제2공구홀더의 실시예 결합도면
도 13은 제1공구홀더와 제2공구홀더의 다른 실시예 결합도면
도 14는 본발명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의 사시도
도 15는 본발명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의 단면도
도 16은 본발명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의 제1공구홀더 도면
도 17은 본발명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의 제2공구홀더 도면
도 18은 본발명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의 조정나사 단면도
본발명은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에 관한 것으로, 일측은 터렛에 설치된 내경공구홀더에 설치되고 타측에는 공구 설치부(320)가 형성되어 공구가 설치되는 공구홀더로서, 상기 공구홀더 내부에 절삭유가 흐르는 유로(400)가 형성되어 절삭유 유입구로 유입된 절삭유가 상기 공구 설치부(320)를 통하여 토출되며, 상기 공구 설치부(320)는 중심부에 공구 삽입공(322)이 형성된 중공원통형으로서 공구홀더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공구 설치부 외주면에 형성된 공구 고정 볼트용 너트공(326)에 결합된 공구 고정 볼트(328)를 조여 삽입된 공구를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공구 삽입공(322)의 가장자리에 절삭유 토출공(324)이 방사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절삭유 토출공을 통하여 토출된 절삭유가 공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공구의 길이방향으로 토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공구홀더는 터렛에 설치된 내경공구홀더에 설치되는 제1공구홀더(200)와, 공구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공구가 설치되는 제2공구홀더(300)의 두 부분으로 분리.결합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1공구홀더와 제2공구홀더가 서로 접촉되는 결합면 중 어느 한 결합면의 유로 구멍의 가장자리에 패킹홈(240)이 형성되어 누수 방지용 패킹이 안치되어, 설치된 공구의 편심을 보정하기 위하여 제2공구홀더(300)의 위치를 이동하여 결합하더라도 기밀이 유지되게 구성되되,
편심보정은 제1공구홀더의 결합면(210) 또는 제2공구홀더의 결합면(310)에 구성된 가이드돌부(270)와, 가이드돌부(270)가 구성된 결합면과 대향되는 결합면에 구성되며 가이드돌부(27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50)으로서, 상기 가이드돌부(270) 및 가이드홈(350)의 안내에 의하여 제2공구홀더(300)의 편심을 보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에 있어서,
상기 제1공구홀더(200)와 제2공구홀더(300)에는 제1공구홀더 조정홈(201)과 제2공구홀더 조정홈(301)이 형성되되, 제1공구홀더(200)와 제2공구홀더(300)의 결합면과 수평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2공구홀더 조정홈(201, 301)으로 구성되는 공구홀더 조정홈에는 조정나사(600)가 삽입설치되되, 상기 제1공구홀더 조정홈(201)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제2공구홀더 조정홈(301)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조정나사(600)를 공구홀더 조정홈 내부에서 전, 후진하면, 제1공구홀더(200)에 대하여 제2공구홀더(300)가 상대운동하며 전, 후진하게 되어 편심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공구홀더 조정홈(201)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제2공구홀더 조정홈(301)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공구홀더 조정홈(201, 301)은 가이드홈(350) 및 가이드돌부(350)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정나사(600)의 후부에는 조정나사 렌치홈(60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터렛용 공구홀더의 실시예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제1공구홀더의 실시예 도면, 도 3은 종래의 제2공구홀더의 실시예 도면, 도 4는 종래의 제1공구홀더와 제2공구홀더의 실시예 결합도, 도 5는 종래의 제1공구홀더와 제2공구홀더의 다른 실시예 결합도, 도 6은 종래의 터렛용 공구홀더 내부에 스토퍼가 내장된 도면, 도 7은 도 6의 스토퍼 정면도, 도 8은 도 6의 스토퍼 평면도, 도 9는 본발명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제1공구홀더의 실시예 도면, 도 11은 제2공구홀더의 실시예 도면, 도 12는 제1공구홀더와 제2공구홀더의 실시예 결합도면, 도 13은 제1공구홀더와 제2공구홀더의 다른 실시예 결합도면, 도 14는 본발명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의 사시도, 도 15는 본발명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의 단면도, 도 16은 본발명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의 제1공구홀더 도면, 도 17은 본발명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의 제2공구홀더 도면, 도 18은 본발명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의 조정나사 단면도이다.
본발명은 일측은 터렛에 설치된 내경공구홀더에 설치되고 타측에는 공구 설치부(3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구홀더 내부에 절삭유가 흐르는 유로(400)가 형성되어 절삭유 유입구로 유입된 절삭유가 상기 공구 설치부(320)를 통하여 토출되며, 상기 공구 설치부(320)는 중심부에 공구 삽입공(322)이 형성된 중공원통형으로서 공구홀더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공구 설치부 외주면에 형성된 공구 고정 볼트용 너트공(326)에 결합된 공구 고정 볼트(328)를 조여 삽입된 공구를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구 삽입공(322)의 가장자리에 절삭유 토출공(324)이 방사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절삭유 토출공을 통하여 토출된 절삭유가 공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공구의 길이방향으로 토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공구홀더는 터렛에 설치된 내경공구홀더에 설치되는 제1공구홀더(200)와, 공구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공구가 설치되는 제2공구홀더(300)의 두 부분으로 분리.결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공구홀더와 제2공구홀더가 서로 접촉되는 결합면 중 어느 한 결합면의 유로 구멍의 가장자리에 패킹홈(240)이 형성되어 누수 방지용 패킹이 안치되어, 설치된 공구의 편심을 보정하기 위하여 제2공구홀더(300)의 위치를 이동하여 결합하더라도 기밀이 유지되게 구성된다.
한편, 편심보정은 제1공구홀더의 결합면(210) 또는 제2공구홀더의 결합면(310)에 구성된 가이드돌부(270)와, 가이드돌부(270)가 구성된 결합면과 대향되는 결합면에 구성되며 가이드돌부(27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50)으로서, 상기 가이드돌부(270) 및 가이드홈(350)의 안내에 의하여 제2공구홀더(300)의 편심을 보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본발명은 상기 제1공구홀더(200)와 제2공구홀더(300)에는 제1공구홀더 조정홈(201)과 제2공구홀더 조정홈(301)이 형성되되, 제1공구홀더(200)와 제2공구홀더(300)의 결합면과 수평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2공구홀더 조정홈(201, 301)으로 구성되는 공구홀더 조정홈에는 조정나사(600)가 삽입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공구홀더 조정홈(201)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제2공구홀더 조정홈(301)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조정나사(600)를 공구홀더 조정홈 내부에서 전, 후진하면, 제1공구홀더(200)에 대하여 제2공구홀더(300)가 상대운동하며 전, 후진하게 되어 편심을 보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는, 상기 제1공구홀더 조정홈(201)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제2공구홀더 조정홈(301)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게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2공구홀더 조정홈(201, 301)은 가이드홈(350) 및 가이드돌부(350)와 대칭되게 형성되게 한다.
한편, 본발명은 상기 조정나사(600)의 후부에는 조정나사 렌치홈(601)이 형성되게 하여 렌치를 사용하여 조정나사를 전후진 시키게 된다.
본발명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을 기재하면, 본발명은 종래 가이드돌기 및 이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을 다수 개 형성하는 것을, 상기 가이드돌기 및 가이드홈에 대칭되는 방향에 별개의 공구홀더 조정홈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공구홀더 조정홈은 제1공구홀더 조정홈(201)과 제2공구홀더 조정홈(301)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구홀더 조정홈에 조정나사를 삽입하여 조정나사를 전후진 시키면서 편심을 보정하게 되는 것이다.
공구홀더 조정홈은 전면이 원통형두부홈이며, 상기 원통형두부홈 후부로는 원통형몸체홈이 형성되되, 상기 원통형두부홈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구홀더 조정홈의 원통형두부홈과 몸체홈은 상하로 이분되어 제1공구홀더 조정홈(201)과 제2공구홀더 조정홈(301)를 형성한다. 곧, 제1공구홀더 조정홈(201)과 제2공구홀더 조정홈(301)은 대칭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공구홀더 조정홈(201)과 제2공구홀더 조정홈(301)은 조정나사에 의한 상대운동을 위하여 어느 하나는 나사를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는 형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조정나사는 전면이 원통형 두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두부 하부는 원통형 몸체가 형성되되, 원통형 두부보다 지름이 작아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원통형 두부가 조정홈에 걸리게 되어 전진하는 거리뿐 아니라 후퇴하는 거리도 제한된다.
그리고 조정나사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정나사(600)를 전, 후진하면, 제1공구홀더(200)에 대하여 제2공구홀더(300)가 상대운동하며 전, 후진하여 편심을 보정하는 것이다. 곧 조정나사가 전후진 하더라도 제1공구홀더 조정홈(201)과 제2공구홀더 조정홈(301)의 어느 한쪽은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조정나사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 나사가 형성된 다른 한쪽은 조정나사와 나사결합이 되어 조정나사의 움직임에 따라 전후진 하게 된다. 그러므로 결과적으로 제1공구홀더 조정홈(201)과 제2공구홀더 조정홈(301)이 각각 형성된 제1공구홀더(200)와 제2공구홀더(300)가 상대운동하며 전후진 하게 되어 편심이 보정되는 것이다.
또한, 본발명은 종래 본출원인이 특허받은 바와 같이, 상기 공구홀더의 유로(400)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유로가 형성된 스토퍼(500)가 설치되되, 상기 유로가 형성된 스토퍼(500)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상으로서, 절삭유가 유로가 형성된 스토퍼(500)의 상부입구(510)로 유입되고, 하부출구(530)쪽 유로 측면에는 절삭유 관로인 측면구멍(540)이 형성되어 절삭유가 상부입구(510)로 유입된 후 상기 절삭유 관로인 측면구멍(540)을 통하여 유출되게 하는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구홀더의 중공 상부는 구멍이 좁고 하부는 구멍이 넓게 단차가 져 있어서, 원통형상의 스토퍼의 상부가 상기 좁은 부분에 삽입고정되며, 스토퍼의 하부에 형성되는 측면구멍(540)이 단차 이후의 넓어지는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절삭유가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공구에 넓은 범위에서 절삭유를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절삭유가 유입되는 상부입구(510)의 테두리에는 렌치홈(520)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본발명을 종래 본출원인이 특허받은 구성들을 포함하여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일측은 터렛에 설치된 내경공구홀더에 설치되고 타측에는 공구 설치부가 형성되어 공구가 설치되는 공구홀더에 있어서, 상기 공구홀더 내부에 절삭유가 흐르는 유로(400)가 형성되되 절삭유 유입구로 유입된 절삭유가 상기 공구 설치부(320)를 통하여 토출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절삭유 유입구는 내경공구홀더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공구홀더의 일측 단부 중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절삭유 공급 파이프를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절삭유 유입구 내측면에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구 설치부(320)는 중심부에 공구 삽입공(322)이 형성된 중공원통형으로서 공구홀더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공구 설치부 외주면에 형성된 공구 고정 볼트용 너트공(326)에 결합된 공구 고정 볼트(328)를 조여 삽입된 공구를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공구 삽입공(322)의 가장자리에 절삭유 토출공(324)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절삭유 토출공를 통하여 토출된 절삭유가 공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공구의 길이방향으로 토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삭유 토출공의 바람직한 예로서, 공구 삽입공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공구 삽입공에 삽입된 공구의 외주면과 홈으로 이루어지는 절삭유 토출공이 있다.
상기와 같이 공구홀더 내부에 절삭유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여 절삭유 유입구로 유입된 절삭유가 공구 설치부를 통하여 공구의 외주면을 감싸고 길이방향으로 토출되게 구성하면, 보다 적은 양의 절삭유로 효과적으로 냉각, 윤활, 칩 제거 등과 같은 절삭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정밀한 공작물의 가공과 더불어 공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절삭유 소모량 감소에 따른 비용 절감과 폐절삭유 처리에 따른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공구 설치부(320)는 중심부에 콜릿척 삽입공(340)이 형성된 중공원통형으로서 공구홀더의 일측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되, 공구 설치부 외주면에 형성된 공구 고정볼트용 너트공(326)에 결합된 공구 고정 볼트(328)를 조여 삽입된 콜릿척 몸체를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절삭유가 상기 콜릿척 몸체 내부를 통하여 콜릿의 틈새로 토출되어 콜릿 중심부에 장착된 공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공구의 길이방향으로 토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콜릿척은 종래부터 생산.판매되고 있는 것으로서, 중공원통형의 몸체와, 몸체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결합되는 너트와, 너트와 몸체 사이에 개재되어 너트를 조이면 오므라들어 공구를 조여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 콜릿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터렛용 공구홀더에 있어서, 공구 설치부에 형성되는 공구 삽입공또는 콜릿척 삽입공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구멍의 모양과 크기를 단순히 변경하여 가공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구홀더는 터렛에 설치된 내경공구홀더에 설치되는 제1공구홀더(200)와, 공구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공구가 설치되는 제2공구홀더(300)의 두 부분으로 분리.결합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1공구홀더와 제2공구 홀더가 서로 접촉되는 결합면 중 어느 한 결합면의 유로 구멍의 가장자리에 패킹홈(240)이 형성되어, 누수 방지용 패킹이 안치되어, 설치된 공구의 편심을 보정하기 위하여 제2공구홀더(300)의 위치를 이동하여 결합하더라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은 스토퍼를 내장할 수 있는 것으로, 본발명은 그 내부에 절삭 유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한개의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와 같이 제1공구홀더와 제2공구홀더의 두 부분으로 분리.결합되게 구성하면 가공오차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하여 설치된 공구와 공작물을 물고 있는 척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때 제2공구홀더의 위치를 이동하여 재결합하여 편심을 보정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는데, 이때 분리.결합되는 결합면의 틈으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면의 일측에 패킹홈을 형성하고 패킹을 개재하는 것이다.
그리고 편심보정은 제1공구홀더의 결합면(210) 또는 제2공구홀더의 결합면(310)에 구성된 가이드돌부(270)와, 상기 가이드돌부(270)가 구성된 결합면과 대향되는 결합면에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돌부(27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50)으로서, 상기 가이드돌부 및 가이드홈의 안내에 의하여 제2공구홀더(300)의 편심을 보정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구홀더의 유로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유로가 형성된 스토퍼(500)가 설치된다. 상기 절삭유가 유입되는 상부 입구(510)의 테두리에는 렌치홈(520)이 형성되어 스토퍼가 공구홀더의 유로에 정확하게 내장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는 공구홀더의 유로에 내장되어 있어서, 절삭중 공구가 위로 상승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보다 정밀한 공작물의 가공이 가능하며 공구수명도 연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로가 형성된 스토퍼(500)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상으로서, 절삭유가 유로가 형성된 스토퍼(500)의 상부입구(510)로 유입되고, 하부출구(530)쪽 유로 측면에는 절삭유 관로인 측면구멍(540)이 형성되어 절삭유가 상부입구(510)로 유입된 후 상기 절삭유 관로인 측면구멍(540)을 통하여 유출되되, 제2공구홀더의 중공이 상부는 구멍이 좁고 하부는 구멍이 넓게 단차가 져 있어서, 원통형상의 스토퍼의 상부가 상기 좁은 부분에 삽입고정되며, 스토퍼의 하부에 형성되는 측면구멍(540)이 단차 이후의 넓어지는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렛용 공구홀더에 조정나사가 가이드돌기 및 홈과 함께 설치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편심을 조정하기 위한 공구가 필요하지 않고 또한 비숙련자도 정확하고 쉽게 편심을 조정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200 : 제1공구홀더 210 : 제1공구홀더의 결합면
212 : 제1가이드돌부 214 : 제2가이드돌부
230 : 결합 볼트용 너트공 240 : 패킹홈
300 : 제2공구홀더 310 : 제2공구홀더의 결합면
312 : 제1가이드홈 314 : 제2가이드홈
316 : 경사보정 볼트용 너트공 318 : 경사보정 볼트
320 : 공구 설치부 322 : 공구 삽입공
324 : 절삭유 토출공 326: 공구 고정 볼트용 너트공
328 : 공구 고정 볼트 330 : 결합 볼트 관통공
332 : 결합 볼트 340 : 콜릿척 삽입공
400 : 유로
500; 스토퍼 510 : 상부입구
520 : 렌치홈 530: 하부출구
540 : 측면구멍
201 : 제1공구홀더 조정홈 301 : 제2공구홀더 조정홈
270 : 가이드돌부 350 : 가이드홈
600 : 조정나사 601 : 조정나사 렌치홈

Claims (4)

  1. 일측은 터렛에 설치된 내경공구홀더에 설치되고 타측에는 공구 설치부(320)가 형성되어 공구가 설치되는 공구홀더로서, 상기 공구홀더 내부에 절삭유가 흐르는 유로(400)가 형성되어 절삭유 유입구로 유입된 절삭유가 상기 공구 설치부(320)를 통하여 토출되며, 상기 공구 설치부(320)는 중심부에 공구 삽입공(322)이 형성된 중공원통형으로서 공구홀더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공구 설치부 외주면에 형성된 공구 고정 볼트용 너트공(326)에 결합된 공구 고정 볼트(328)를 조여 삽입된 공구를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공구 삽입공(322)의 가장자리에 절삭유 토출공(324)이 방사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절삭유 토출공을 통하여 토출된 절삭유가 공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공구의 길이방향으로 토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공구홀더는 터렛에 설치된 내경공구홀더에 설치되는 제1공구홀더(200)와, 공구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공구가 설치되는 제2공구홀더(300)의 두 부분으로 분리.결합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1공구홀더와 제2공구홀더가 서로 접촉되는 결합면 중 어느 한 결합면의 유로 구멍의 가장자리에 패킹홈(240)이 형성되어 누수 방지용 패킹이 안치되어, 설치된 공구의 편심을 보정하기 위하여 제2공구홀더(300)의 위치를 이동하여 결합하더라도 기밀이 유지되게 구성되되,
    편심보정은 제1공구홀더의 결합면(210) 또는 제2공구홀더의 결합면(310)에 구성된 가이드돌부(270)와, 가이드돌부(270)가 구성된 결합면과 대향되는 결합면에 구성되며 가이드돌부(27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50)으로서, 상기 가이드돌부(270) 및 가이드홈(350)의 안내에 의하여 제2공구홀더(300)의 편심을 보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조정나사가 공구홀더조정홈에 삽입설치되는 터렛용 공구홀더에 있어서,
    상기 공구홀더 조정홈은 전면이 원통형두부홈이며, 상기 원통형두부홈 후부로는 원통형몸체홈이 형성되되, 원통형두부홈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구홀더 조정홈의 원통형두부홈과 원통형 몸체홈은 상하로 이분되어 제1공구홀더 조정홈(201)과 제2공구홀더 조정홈(301)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공구홀더 조정홈(201)과 제2공구홀더 조정홈(301)은 대칭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조정나사는 전면이 원통형 두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두부 하부는 원통형 몸체가 형성되되, 원통형 두부보다 지름이 작아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원통형 두부가 조정홈에 걸리게 되어 전진하는 거리뿐 아니라 후퇴하는 거리도 제한되는 것이며,
    상기 제1공구홀더(200)와 제2공구홀더(300)에는 제1공구홀더 조정홈(201)과 제2공구홀더 조정홈(301)이 형성되되, 제1공구홀더(200)와 제2공구홀더(300)의 결합면과 수평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2공구홀더 조정홈(201, 301)으로 구성되는 공구홀더 조정홈에는 조정나사(600)가 삽입설치되되, 상기 제1공구홀더 조정홈(201)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제2공구홀더 조정홈(301)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조정나사(600)를 공구홀더 조정홈 내부에서 전, 후진하면, 제1공구홀더(200)에 대하여 제2공구홀더(300)가 상대운동하며 전, 후진하게 되어 편심을 보정하는 것이며,
    상기 제1, 2공구홀더 조정홈(201, 301)은 가이드홈(350) 및 가이드돌부(270)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조정나사(600)의 후부에는 조정나사 렌치홈(601)이 형성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공구홀더의 유로(400)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유로가 형성된 스토퍼(500)가 설치되되, 상기 유로가 형성된 스토퍼(500)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상으로서, 절삭유가 유로가 형성된 스토퍼(500)의 상부입구(510)로 유입되고, 하부출구(530)쪽 유로 측면에는 절삭유 관로인 측면구멍(540)이 형성되어 절삭유가 상부입구(510)로 유입된 후 상기 절삭유 관로인 측면구멍(540)을 통하여 유출되되,
    상기 제2공구홀더(300)의 중공 상부는 구멍이 좁고 하부는 구멍이 넓게 단차가 져 있어서, 원통형상의 스토퍼(500)의 상부가 상기 좁은 부분에 삽입고정되며, 스토퍼(5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측면구멍(540)이 단차 이후의 넓어지는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절삭유가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공구에 넓은 범위에서 절삭유를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절삭유가 유입되는 상부입구(510)의 테두리에는 렌치홈(520)이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002162A 2012-01-06 2012-01-06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 KR101195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162A KR101195753B1 (ko) 2012-01-06 2012-01-06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162A KR101195753B1 (ko) 2012-01-06 2012-01-06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753B1 true KR101195753B1 (ko) 2012-11-05

Family

ID=47563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162A KR101195753B1 (ko) 2012-01-06 2012-01-06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7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603B1 (ko) * 2016-02-19 2016-05-18 송성기 편심조절 터렛용 공구홀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612Y1 (ko) * 2004-08-26 2004-11-26 허명호 보링 및 페이싱 헤드
KR101076711B1 (ko) * 2011-05-11 2011-10-26 김흥섭 스토퍼가 내장된 터렛용 공구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612Y1 (ko) * 2004-08-26 2004-11-26 허명호 보링 및 페이싱 헤드
KR101076711B1 (ko) * 2011-05-11 2011-10-26 김흥섭 스토퍼가 내장된 터렛용 공구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603B1 (ko) * 2016-02-19 2016-05-18 송성기 편심조절 터렛용 공구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8721B1 (en) Tool comprising a tool holder
US8534963B2 (en) Tool for machining a workpiece
US8550755B2 (en) Tap driver for rigid/synchronous tapping
US7762166B2 (en) Multiple machine tool support block and tool post having internal coolant supply
JP6833900B2 (ja) クーラントチャネルを有するクランプ装置、当該クランプ装置の製造方法、及び、そのようなクランプ装置を有する旋削装置のための工具ホルダプレート
US10814447B2 (en) Cooling system and method for machine tools
US11548075B2 (en) Tool holde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tool holder
US11305359B2 (en) Device for securing a boring bar
KR20070061520A (ko) 밀링커터용 홀더의 맨드릴
JP5234682B2 (ja) 工具ホルダ
JP4982253B2 (ja) コンビネーションホルダ
JP2008073792A (ja) クーラント供給装置を備えた刃物台
JP2010240817A (ja) ボーリングバイト用ホルダー&スリーブ
KR101195753B1 (ko) 조정나사가 설치된 터렛용 공구홀더
TW201313354A (zh) 具有可更換刀座的刀架及刀座
KR101050411B1 (ko) 터렛용 공구홀더
KR101076711B1 (ko) 스토퍼가 내장된 터렛용 공구홀더
DK1893376T3 (en) Tool Holder System
KR20170135513A (ko) 내부 경로를 통한 절삭유 공급 구조의 공작 공구
JP4051223B2 (ja) プルスタッド及び工具ホルダ
KR101040955B1 (ko) 터렛용 공구홀더
CA2668053A1 (en) Tool holder
US20090116912A1 (en) Tool Support for Tools on Machine Tools
KR101617603B1 (ko) 편심조절 터렛용 공구홀더
WO2012036404A2 (ko) 터렛용 공구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7